KR101474474B1 - 데이터 처리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474B1
KR101474474B1 KR1020080044421A KR20080044421A KR101474474B1 KR 101474474 B1 KR101474474 B1 KR 101474474B1 KR 1020080044421 A KR1020080044421 A KR 1020080044421A KR 20080044421 A KR20080044421 A KR 20080044421A KR 101474474 B1 KR101474474 B1 KR 101474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title
contents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701A (ko
Inventor
아키히로 와타나베
타츠야 나라하라
켄스케 오누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29366A external-priority patent/JP43957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932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7559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101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각각의 컨텐츠에 부가된 메타데이터(metadata)에 근거하여 각각의 복수의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설정하는 데이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되고 컨텐츠의 타이틀에 관련된 각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취득하는 타이틀정보 취득수단, 타이틀 정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인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 각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비교하는 정보추출수단, 타이틀 정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인 부분 이외의 타이틀 정보의 다른 부분에 근거하여 각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식별정보 설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일본 특허청에 2007년 9월 25일, 2007년 5월 15일, 2007년 5월 15일에 각각 출원된 일본특허문헌 JP 2007-193249호, JP 2007-129365호, JP 2007-120366호에 관한 주제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 모든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에 있어서 매우 편의성이 높은 타이틀의 표시 및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 HDD(Hard Disk Drive) 레코더와 같이, 대용량 기록매체를 가지는 기록장치의 보급에 수반하여, 사용자가 녹화할 수 있는 컨텐츠의 수도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량의 녹화된 컨텐츠 등을 재생할 때, 예를 들면, 썸네일(thumbnails) 등에 따라 컨텐츠 타이틀의 목록(list)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대량의 컨텐츠가 기록된 대용량 장치에 대하여도, 사용자가 컨텐츠를 더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동일한 타 이틀을 가지는 프로그램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동일한 타이틀을 가지는 프로그램이 하나로 통합된 타이틀 리스트가 생성된다(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JP 2004-133984호 참조).
대량의 녹화된 컨텐츠가 있는 경우, 종래기술에 따라 컨텐츠 타이틀의 목록을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그다지 큰 편의성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표시된 타이틀 목록을 차례차례 스크롤 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찾을 필요가 있다.
원하는 컨텐츠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방송채널, 장르 등으로 컨텐츠를 그룹화하고, 다른 방송채널, 장르 등에 대하여 다른 폴더를 만들어, 각 컨텐츠 그룹이 대응하는 폴더 중 하나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예를 들면, 대부분의 녹화된 컨텐츠가 동일한 장르에 속하는 경우나, 시리즈 프로그램이 연속으로 녹화되었을 경우 등은, 원하는 컨텐츠의 검색을 용이하게 수행하지 못한다.
또한, 컨텐츠의 타이틀이 긴 경우, 타이틀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타이틀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그 결과 사용자가 컨텐츠의 내용을 식별하기 곤란하게 된다.
더욱이, 녹화된 컨텐츠를 저장매체에 기록할 때, 사용자는 저장매체의 표면 등에 컨텐츠의 타이틀을 인쇄하고자 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저장매체의 표면 등에 인쇄된 그러한 컨텐츠 타이틀은 많은 경우에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황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이점은 사용 자에게 있어 매우 편의성 높은 타이틀의 표시 및 인쇄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컨텐츠에 부가된 메타데이터(metadata)에 근거하여 각각의 복수의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설정하는 데이터 처리장치(data processing apparatus)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고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에 관련된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취득하는 타이틀정보 취득수단(titl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과, 상기 타이틀 정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인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비교하는 정보추출수단(information extraction means)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타이틀 정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인 부분 이외의 상기 타이틀 정보의 다른 부분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식별정보 설정수단(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ting means)을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타이틀정보를 복수의 단위정보(unit information)로 분할하는 타이틀정보 분할수단(title information separating mean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추출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다른 것과 공통되는 단위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식별정보 설정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로부터 상기 정보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되지 않은 단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설정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로서, 다른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위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설정수단은, 상기 다른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위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정보 이외에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다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식별정보의 목록(list)을 제시하는 제시수단(presenting mean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의 목록에서 선택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수단으로부터 읽혀질 수 있다.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정보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타이틀 정보의 공통부분(common part)에 관련되도록, 상기 타이틀 정보의 공통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타이틀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상기 타이틀정보 분할수단은, 상기 타이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에 형태소 해석을 행하기 위한 형태소 해석수단(morphological analysis means)과, 상기 형태소 해석수단에 의한 형태소 해석의 결과로서 얻어진 형태소(morphemes)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키워드를 검출하는 키워드 검출수단(keyword detection means)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단위정보는 상기 키워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로 구성될 수 있 다.
상기 타이틀정보 분할수단은,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키워드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단위정보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정보추출수단은, 계층(hierarchy)을 형성하도록 상기 공통 단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추출수단에 의해 상기 계층을 형성하도록 추출되는 상기 공통 단위정보에 관한 계층 단계(hierarchical level)의 수의 상한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컨텐츠에 부가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복수의 각각의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해 적용되는 데이터 처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고,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에 관련된,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틀 정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인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틀정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인 부분 이외의 상기 타이틀정보의 다른 부분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컨텐츠에 부가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복수의 각각의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고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에 관련된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취득하는 타이틀정보 취득수단으로서의 기능과, 상기 타이틀 정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인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비교하는 정보추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컴퓨터에 수행시킨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타이틀 정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인 부분 이외의 상기 타이틀 정보의 다른 부분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식별정보 설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더 수행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며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에 관련되는 타이틀정보가 취득되고, 상기 취득된 타이틀 정보가 복수의 단위정보로 분할되며,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상기 타이틀의 단위정보가 상기 컨텐츠의 다른 것과 공통인 단위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서로 비교된다. 더욱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로부터 추출되지 않은 단위정보에 근거하여 설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매체(storage medium) 상에, 상기 저장매체 내에 저장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print data)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장매체 내에 저장된 각각의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denoting) 문자열(character sequence)을 취득하는 타이틀 취득수단과,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쇄데이터 생성수단(print data generation means)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은, 상기 저장매체의 제 1 영역에 인쇄되고, 상기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문자열의 부분 이외의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저장매체의 제 2 영역에 인쇄된다.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관련된 날짜(data)와 시간(time)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영역에 부가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인쇄데이터 생성수단은, 상기 저장매체의 제 3 영역에,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관련된 날짜와 시간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문자열을 부가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에 인쇄된 문자열로부터, 둘 이상의 컨텐츠에 공통되는 문자열이 상기 제 2 영역의 소정의 위치에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컨텐츠가 N개의 집합(set)으로 분류되고, 상기 저장매체의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은 각각 N개의 부분(part)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N개의 컨텐츠의 집합에 대하여, 동일한 집합 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부분이, 추출되고 제 1 영역의 N 개의 부분 중 별도의 하나(separate one)에 인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N개의 컨텐츠의 집합에 대하여, 동일한 집합 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문자열의 부분 이외의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다른 부분은 제 2 영역의 N 개의 부분 중 별도의 하나에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매체 상에 상기 문자열을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매체 내에 저장된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취득되고, 인쇄 데이터가 생성된다.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부분,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은, 상기 저장매체의 제 1 영역에 인쇄되고,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상기 문자열의 부분 이외의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상기 문자열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저장매체의 제 2 영역에 인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있어 편의성이 높은 타이틀의 표시 또는 인쇄가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constituent features)과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사이의 대응관계(correspondence)는 다음과 같이 예시된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뒷받침하는 실시예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에 기재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지 않은 실시예가 있더라도, 그것은 그 실시예가 그 구성상의 특징에 대응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실시예가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더라도, 그것은 그 실시예가 그 구성상의 특징 이외의 다른 구성상의 특징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장치는, 각각의 컨텐츠에 부가된 메타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각의 복수의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데이터 처리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고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에 관련된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예를 들면, EPG 타이틀 데이터)를 취득하는 타이틀정보 취득수단(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EPG 데이터 취득부(101))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타이틀정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된 부분(예를 들면, 폴더에 할당되는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비교하는 정보추출수단(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그룹 분할부(10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타이틀정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된 부분 이외의 상기 타이틀 정보의 다른 부분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예를 들면,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를 설정하는 식별정보 설정수단(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을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타이틀정보를 복수의 단위정보(예를 들면, 그룹)로 분할하는 타이틀정보 분할수단(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그룹 분할부(1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추출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다른 것과 공통되는 단위정보(예를 들면, 폴더에 할당되는 그룹)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설정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로부터 상기 정보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되지 않은 단위정보(예를 들면,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상기 식별정보 설정수단은, 다른 컨텐츠의 타이 틀정보의 단위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위정보가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존재하지 않음)을 만족하면,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정보 이외의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다른 정보(예를 들면, 상세 정보(detailed information))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방법은, 각각의 컨텐츠에 부가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복수의 각각의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해 적용되는 데이터 처리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고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에 관련된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예를 들면, EPG 타이틀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단계(S101 및 S102)의 처리)와, 상기 타이틀 정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인 부분(예를 들면, 폴더에 할당되는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단계(S104)의 처리)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타이틀정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인 부분 이외의 상기 타이틀정보의 다른 부분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예를 들면,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단계(S201~S209)의 처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장치는, 저장매체 상에, 상기 저장매체 내에 저장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장매체 내에 저장된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예를 들면, EPG 타이틀 데이터)을 취득하는 타이틀 취득수단(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EPG 데이터 취득부(101))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쇄데이터 생성수단(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컨트롤러(52))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예를 들면, 폴더명)은, 상기 저장매체의 제 1 영역(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영역(321))에 인쇄되고, 상기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문자열의 부분(예를 들면, 폴더명) 이외의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저장매체의 제 2 영역(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영역(323 또는 324))에 인쇄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상기 인쇄데이터 생성수단은, 상기 저장매체의 제 3 영역(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영역(322))에,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관련된 날짜와 시간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문자열을 부가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상기 제 2 영역(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영역(361~364))에 인쇄된 문자열로부터, 둘 이상의 컨텐츠에 공통되는 문자열이 상기 제 2 영역의 소정의 위치에 인쇄될 수 있다.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컨텐츠가 N개의 집합으로 분류되고, 상기 저장매체의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은 각각 N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N개의 컨텐츠의 집합에 대하여, 동일한 집합 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부분(예를 들면, 폴더명)이, 추출되고 제 1 영역의 N 개의 부분 중 별도의 하나에 인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낸 영역(341 및 351)). 상기 장치는, 또한, 각각의 N개의 컨텐츠의 집합에 대하여, 동일한 집합 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문자열의 부분(예를 들면, 폴더명) 이외의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다른 부분은 제 2 영역의 N 개의 부분 중 별도의 하나에 인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낸 영역(343 및 353)).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매체 상에 상기 문자열을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1의 프린터(1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기록 시스템(content recording system)(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컨텐츠 기록 시스템(10)은 데이터 처리장치(data processing apparatus)(11), 텔레비전 수상기(television receiver)(12) 및 프린터(printer)(13)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장치(11)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텔레비전 수상기(12)와 프린터(13)는 데이터 처리장치(11)에 연결된다.
데이터 처리장치(11)는, 예를 들면, HDD(Hard Disk Drive) 레코더 등으로 구성되고, 튜너(tuner)(51), 컨트롤러(controller)(52) 및 HDD(5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튜너(51)는, 예를 들면, 안테나를 통하여 방송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컨트롤러(52)에 공급한다. 또한, 튜너(51)는, 예를 들면, 컨텐츠와 함께 방송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수신하고, 수신된 EPG의 데이터를 컨트롤러(52)에 공급한다.
컨트롤러(52)는, MPEG과 같은 소정의 압축 알고리즘으로 인코딩되고 튜너(51)로부터 공급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디코드하고, 텔레비전 수상기(12)에 디코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컨트롤러(52)는, 튜너(5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HDD(53)에 기록한다.
또한, 예를 들면, 리모트 커맨더(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 등에 근거하여, 컨트롤러(52)는 HDD(53)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읽어내고 디코드하여 디코드된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한다.
즉, 데이터 처리장치(11)는, 예를 들면, 리모트 커맨더(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 등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컨텐츠를 재생하라는 지령을 내릴 경우, 컨트롤러(52)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12) 등의 화면에, 컨텐츠 타이틀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데이터(display data)를 생성한다. 컨텐츠 타이틀이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재생하기를 원하는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장치(11)에 있어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의 예인 HDD(53)는,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으로 대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장치(11)는 HDD(53)에 기록된 컨텐츠를 DVD에 복사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52)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컨트롤러(52)는, 프로그램과 같이,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미리 인스톨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다.
여기서는 텔레비전 수상기(12) 및 프린터(13)가 데이터 처리장치(11)에 직접 접속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데이터 처리장치(11), 텔레비전 수상기(12) 및 프린터(13)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장치(11), 텔레비전 수상기(12) 및 프린터(13)는 서로 떨어져 있고(remotely located) 인터넷 등을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 처리장치(11) 텔레비전 수상기(12) 및 프린터(13)는 단일의 데이터 처리장치로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컨트롤러(52)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성(functional structure)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EPG 데이터 취득부(EPG data acquisition section)(101)는 HDD(53)에 기록된 컨텐츠의 EPG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EPG의 데이터는, 튜너(51)에 의해 수신되어 컨트롤러(52)에 공급된다. 제어부(105)는, 튜너(51)로부터 공급된 EPG의 데이터를, 이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등과 연관되도록, 예를 들면, HDD(53)의 소정의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EPG 데이터 취득부(101)는, 예를 들면, 현재 녹화되는 컨텐츠의 EPG의 데이 터를 식별하고 취득한다. 그리고 나서, EPG 데이터 취득부(101)는, EPG 타이틀 데이터로서, 그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EPG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EPG 타이틀 데이터를 제어부(105)를 통하여 그룹 분할부(102)에 공급한다.
그룹 분할부(102)는, 제어부(105)를 통하여 공급된 EPG 타이틀 데이터를, 후술 하는 바와 같이 다른 그룹으로 분할한다.
그룹 분할부(102)는, 형태소 해석부(morphological analysis section)(121)와 키워드 검출부(keyword detection section)(122)를 포함한다. 형태소 해석부(121)는, 예를 들면, EPG 타이틀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text format)으로 변환하고, 그 결과로서의 텍스트 데이터를 형태소 해석한다. 형태소 해석부(121)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text sequence)을 각 형태소(morpheme)로 분할하고, 그 형태소를 키워드 검출부(122)로 출력한다.
그룹 분할부(102)의 키워드 검출부(122)는, 예를 들면, 형태소 해석부(121)로부터 공급된 각 형태소 또는 연속하는(successive) 형태소로 구성되는 단어(word)나 어구(phrase)를 사전 데이터(dictionary data) 등과 비교함으로써, 키워드를 검출한다. 사전 데이터 등은 미리 설정된다. 여기서, "키워드"란 용어는, 예를 들면, 컨텐츠 타이틀을 분석할 때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단어이며 미리 사전 데이터에 등록된 것으로 한다. 키워드 검출부(122)는, 키워드로서, 사전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단어와 일치하는(coincide) 형태소 또는 연속하는 형태소로 구성되는 단어나 어구를 검출하고, 검출된 키워드를 그 키워드의 품사를 나 타내는 정보와 함께 제어부(105)로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가 얻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키워드로 구성되는 그룹이 각각 생성된다.
제어부(105)는, 그룹 분할부(102)에 의해 그룹 분할된 각각의 녹화된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를, 컨트롤러(52)의 내부 메모리(internal memory) 또는 HDD(53)와 같은 기억부에 저장되도록 한다.
집약부(grouping section)(103)는, 그룹 분할부(102)에 의해 그룹 분할된 각각의 녹화된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를,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그룹화(grouping)한다. 그 결과, 서로 다른 컨텐츠에 대하여 공통되는 EPG 타이틀의 부분이 폴더로서 집적된다(integrated).
각각의 녹화된 컨텐츠에 대하여, 예를 들면,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content title setting section)(104)는,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집약부(103)에 의해 폴더로 집적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 이외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다른 부분을 설정한다.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는, EPG에 있어서 공통인 타이틀을 공유하는 각각의 컨텐츠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정되는 컨텐츠 타이틀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연속으로(in series) 방송되는 컨텐츠는 EPG에 공통인 타이틀을 가지게 된다.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각각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차분(difference)의 데이터를 설정한다.
또, 예를 들면,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EPG 데이터 취득부(101)에 의 해 취득된 EPG의 데이터 중에서, 그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의 데이터를 제어부(105)를 통하여 취득하고,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이 취득된 데이터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소정의 문자수의 문자열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차분의 데이터가 없는 경우,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를 설정한다.
제어부(105)는, EPG 데이터 취득부(101), 그룹 분할부(102), 집약부(103),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에 의한 처리가 각각 필요한 데이터를, 컨트롤러(52)의 내부 메모리 또는 HDD(53)와 같은 기억부에 저장하고, 기억부로부터 그러한 데이터를 읽어낸다. 또한, 제어부(105)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 처리장치(11)의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신호 등을 설정하고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3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데이터 처리장치(11)에 의해 수행되는 타이틀 집약처리(title grouping process)의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컨텐츠가 녹화될 때 수행될 수도 있고, 소정의 수만큼의 컨텐츠가 HDD(53)에 기록되었을 때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이 처리는 사용자의 지시 등에 근거하여 특정한 시간에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S101)에 있어서, EPG 데이터 취득부(101)는, HDD(53)에 녹화될 컨텐츠의 EPG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튜너(51)에 의해 수신되어 컨트롤러(52)에 공급된 EPG의 데이터가 취득된다. 예를 들면, EPG 데이터 취 득부(101)는 현재 녹화되는 컨텐츠의 EPG의 데이터를 식별하고 취득한다.
단계(S102)에 있어서, EPG 데이터 취득부(101)는, EPG 타이틀 데이터로서,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EPG의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EPG 타이틀 데이터를 제어부(105)를 통하여 그룹 분할부(102)로 공급한다.
단계(S103)에 있어서, 단계(S102)에서 추출된 EPG 타이틀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룹 분할부(102)는 도 4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그룹 분할처리(group separation process)를 수행한다.
여기서, 도 4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도 3의 단계(S103)의 그룹 분할처리의 상세한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단계(S121)에 있어서, 그룹 분할부(102)의 형태소 해석부(121)는, 단계(S102)의 처리에 의해 추출된 EPG 타이틀 데이터를, EPG 타이틀 데이터의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한다.
단계(S122)에 있어서, 형태소 해석부(121)는, 단계(S121)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형태소 해석을 행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컨텐츠의 타이틀로서 EPG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이 형태소로 분할된다.
단계(S123)에 있어서, 그룹 분할부(102)의 키워드 검출부(122)는, 예를 들면, 단계(S122)의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각각의 형태소, 또는 연속하는 형태소로 구성되는 단어나 어구를, 미리 설정된 사전 데이터 등과 비교함으로써, 키워드를 검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키워드는, 예를 들면, 컨텐츠의 타이틀을 분석할 때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고 미리 사전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단어나 어구 를 참조한다. 사전 데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단어나 어구와 일치하는 각각의 형태소, 또는 연속하는 형태소로 구성되는 단어나 어구가 키워드로서 검출되고, 검출된 각각의 키워드는 그 키워드의 품사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출력된다.
예를 들면, 컨텐츠의 타이틀로서, 어느 컨텐츠의 EPG에, "MHK High School Course(MHK 고교강좌) General Science(일반과학) AㆍB 'Mechanism of Weather Change(기상변화의 메커니즘)'"라고 하는 문자열로 구성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단계(S122 및 S123)의 처리의 결과로서,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키워드의 목록(list)이 얻어진다.
키워드 No.1 내지 No.13이 도 5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키워드는, "MHK High School Course General Science AㆍB 'Mechanism of Weather Change'"라는 문자열(즉, 텍스트 데이터)로 구성되는 정보에 대하여 형태소 해석과 키워드 검출을 행한 결과로서 얻어진 것이다.
이 예에서, 키워드 No.1(즉, 첫 번째 키워드)은 "MHK High School Course"이고, 이 키워드의 품사는 "phrase(구)"이다. 2번째 키워드는 " "(공백)이며, 이 키워드의 품사는 "Double space(공백)"이다. 따라서 공백도 키워드로서 검출된다. 3번째 키워드는 "General"이고, 이 키워드의 품사는 "Adjective(형용사)"이다. 4번째 키워드는 "Science"이고, 이 키워드의 품사는 "Noun(명사)"이다. 5번째 키워드는 "A"이며, 이 키워드의 품사는 "Alphabet(알파벳)"이다.
6번째 키워드는 "ㆍ"이고, 이 키워드의 품사는 "Mark(기호)"이다. 따라서 기호도 키워드로서 검출된다. 본 예에서, 기호 "'"과 "'"(작은따옴표)는 8번째 와 13번째 키워드로서 각각 검출된다.
9번째 내지 12번째 키워드는 "Noun(명사)" 또는 "Preposition(전치사)" 키워드로서 검출된다.
도 4로 돌아가서, 단계(S124)에 있어서, 그룹 분할부(102)는 단계(S123)의 처리를 통해 얻어진,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키워드의 목록에 근거하여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을 다른 그룹으로 분리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이 다른 그룹으로 분리된다. 도 6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13개의 키워드는 각각 사각형의 프레임(quadrilateral frame) 내에 있고, 13개의 키워드로 구성되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은 3개의 그룹으로 분할되어 있다.
특히, 첫 번째 그룹인 그룹 1은, 첫 번째 키워드 "MHK High School Course"로 구성된다. 2번째 그룹인 그룹 2는, 3번째 내지 7번째 키워드 "General Science AㆍB"로 구성된다. 세 번째 그룹인 그룹 3은, 9번째 내지 12번째 키워드 "Mechanism of Weather Change"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로 각각 구성되는 그룹이 생성되어,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가 얻어지도록 한다.
그룹 분할부(102)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기호 키워드에 근거하여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을 다른 그룹으로 분리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의 예에서는, 2번째 키워드인 "double space" 기호에 근거하여 그룹 1과 그룹 2가 분할된다. 그룹 2와 그룹 3은 8번째 및 13번째 키 워드인 "'" 및 "'" 기호(즉, 작은따옴표)에 근거하여 각각 분할된다. 6번째 키워드인 "ㆍ"은 기호이나 그룹 분할에는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기호 키워드에 근거하여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이 다른 그룹으로 분할된다. 그룹 분할에 이용되는 기호의 예는 도 7에 나타나 있다.
도 7에 있어서, 더블 스페이스와 작은따옴표에 더하여, 큰따옴표, "▽", "/", ":", "#1" 등의 기호가 그룹 분할에 이용되는 기호로서 나타나 있다. 이들 기호 중에서, "#1"은, 예를 들면, 기호 "#"와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1개의 기호 키워드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그룹 분할 처리가 수행된다.
도 3으로 돌아가서, 단계(S103)의 처리 후, 집약부(103)는, 단계(S104)에서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폴더작성처리를 행한다. 이때, 예를 들면, 단계(S103)의 처리를 통하여 그룹 분할된, 각각의 녹화된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컨텐츠에 대하여 공통되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이 폴더로서 집약된다.
여기서, 도 8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도 3의 단계(S104)에서의 폴더작성처리의 상세한 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단계(S141)에 있어서, 집약부(103)는, 예를 들면, 각각의 녹화된 컨텐츠의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에 공통되는 그룹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141)에서 그러한 그룹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집약부(103)는 단 계(S142)에서 그 공통되는 그룹에 대한 폴더를 작성한다.
일례로, 단계(S103)의 처리를 통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그룹으로 분할된 6개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가 이미 HDD(53)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이 예에서,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첫 번째 부분(first piece)은, "MHK High School Course General Science AㆍB 'Mechanism of Weather Change'"이다.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2번째 부분은, "MHK High School Course General Science AㆍB 'Let's use Electric power(전기의 힘을 이용하자)'"이다.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3번째 부분은, "MHK High School Course Physics(MHK 고교강좌 물리) 'Work and Power(일과 일률)'"이다.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4번째 부분은, "MHK High School Course Physics 'Lashing Waves(몰아치는 파도)'"이다.
단계(S141)에서, 제 1 그룹(즉, 그룹 1) 내에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다른 부분에 공통되는 문자열이 있는지 없는지가 판정된다. 이 예에서, 그룹 1의 문자열 "MHK High School Course"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 분할되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첫 번째에서 4번째 부분에 공통된다. 따라서, 단계(S142)에서 폴더 "MHK High School Course"가 생성된다. 마찬가지로, 그룹 1의 문자열 "MHK Special(MHK 스페셜)"이 그룹 분할되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5번째와 6번째 부분에 공통된다. 따라서 단계(S142)에서 폴더 "MHK Special"이 작성된다.
도 8로 돌아가서, 단계(S142)의 처리 후, 집약부(103)는, 단계(S143)에서, 예를 들면, 그룹 분할된 각각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가 공통되는 그룹을 더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단계(S143)에서 그러한 그룹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집약부(103)는 단계(S144)에서 그 공통되는 그룹에 대한 폴더를 작성한다.
단계(S143)에 있어서, 2번째 그룹(즉, 그룹 2) 내에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다른 부분에 공통되는 문자열이 더 있는지 없는지가 판정된다. 이 예에서, 그룹 2의 문자열 "General Science AㆍB"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 분할되는 EPG 데이터의 첫 번째와 2번째 부분에 공통되고 있다. 따라서 단계(S143)에서, 폴더 "MHK High School Course"의 하위 폴더로서 폴더 "General Science AㆍB"가 생성된다. 마찬가지로, 그룹 2의 문자열 "Physics"이 그룹 분할되는 EPG 데이터의 3번째와 4번째 부분에 공통되고 있다. 따라서 폴더 "MHK High School Course"의 하위 폴더로서 폴더 "Physics"가 생성된다. 또한, 그룹 2의 문자열 "Planet Booth(플래닛 부스)"이 그룹 분할되는 EPG 데이터의 5번째와 6번째 부분에 공통되고 있다. 따라서, 폴더 "MHK High School Course"의 하위 폴더로서 폴더 "Planet Booth"가 생성된다.
즉, 도 9에 있어서, 점선(dotted line) 또는 긴 점선(dashed line)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각각 폴더에 해당하고, 반면, 해칭된(hatched) 부분은 EPG 타이틀 데이터의 차분 데이터(difference data)에 각각 해당한다.
여기서, 그룹 분할되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5번째와 6번째 부분은 그룹 1과 그룹 2 모두에 공통되는 문자열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두 개의 폴더 "MHK Special"과 "Planet Booth" 대신에 단일(single)의 폴더 "MHK Special Planet Booth"가 작성될 수도 있다.
도 8의 단계(S141)에서 공통되는 그룹이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단계(S143)에서 공통되는 그룹이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폴더작성처리는 종료된다.
여기서,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상기한 예는 폴더작성의 일례이며, 폴더생성은 이것과 다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폴더구조(folder hierachy)의 계층(level) 수는, 도 8 및 도 9의 예와 같이 2 계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 계층 또는 그 이상의 계층의 폴더가 작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컨텐츠가 공통되는 그룹을 그룹 1에서 공유하고 있는 경우라도, 이 그룹에 포함되는 키워드의 수가 소정의 수보다 적으면, 이 공통되는 그룹에 대한 폴더가 작성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컨텐츠가 공통되는 그룹을 그룹 1이 아니라 그룹 2에서 공유하는 경우, 그룹 2의 공통되는 그룹에 대하여 상위 계층의 폴더로서 폴더가 생성될 수도 있다.
그룹 분할된 복수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공통되는 부분이 폴더로서 집약된다.
결과적으로, 도 3에 나타낸 타이틀 집약처리도 종료된다.
타이틀 집약처리의 결과로서,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이틀 집약 데이터(title-grouped data)가 생성된다.
도 10의 예에서는, 폴더 "Root(루트)"가 타이틀 집약 데이터의 최상위(highest-level) 폴더이다. 폴더 "Root"에 대한 하위 폴더로서 "MHK High School Course", "MHK Special Planet Booth", "Dishes for Tonight(오늘의 요리)", "Street Heaven(거리의 천국)" 및 "Ritsuko's Room(리츠코의 방)" 폴더가 작성되어 있다. 또한, 폴더 "MHK High School Course"의 하위 폴더로서 폴더 "Physics" 및 "General Science AㆍB"가 작성되어 있다.
도 10에 있어서, 해칭된(hatched) 박스 내의 문자열은, EPG 타이틀 데이터의 차분 데이터에 해당한다.
즉, 도 10의 예에서는, "MHK High School Course" 폴더 내에 6개의 컨텐츠가 집약되어(collected) 있다. 이들 6개의 컨텐츠 중, 2개의 컨텐츠는, "MHK High School Course" 폴더에 포함되는 "Physics" 폴더 내에 집약되어 있고, 반면, 다른 2개의 컨텐츠는, "MHK High School Course" 폴더에 포함되는 "General Science AㆍB" 폴더 내에 집약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개의 컨텐츠가 "MHK Special Planet Booth" 폴더에 집약되어 있고, 2개의 컨텐츠가 "Dishes for Tonight" 폴더에 집약되어 있으며, "Street Heaven" 폴더에 3개의 컨텐츠가 집약되어 있고, "Ritsuko's Room" 폴더에 3개의 컨텐츠가 집약되어 있다.
또, EPG 타이틀 데이터가 "Kichibe"를 나타내는 컨텐츠와 EPG 타이틀 데이터가 "Iwashi's Karakuri TV"를 나타내는 컨텐츠는 어느 폴더에도 집약되어 있지 않으며, 이는 두 컨텐츠의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가 다른 어느 컨텐츠와도 공통되는 부분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Dishes for Tonight" 폴더에 2개의 컨텐츠가 집약되어 있으나, 도면 중에서 해칭된 두 컨텐츠의 차분 데이터는 공백(blank)이다. 이는 두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가 모두 "Dishes for Tonight"만을 나타내는 것과, 2개의 컨텐츠가 EPG 타이틀 데이터 내에 차분 데이터를 가지지 않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제어부(105)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이틀 집약 데이터가, 예를 들면, HDD(53)의 소정의 영역에 저장되도록 한다. 각각의 타이틀 집약 데이터의 해칭된 부분은, EPG 타이틀 데이터의 차분의 데이터 등 및 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특정하는 정보와 관련되도록 하여 저장된다. 그러한 정보의 예는 컨텐츠의 데이터가 HDD(53) 내에서 저장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주소 등)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1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컨텐츠 타이틀 설정처리(content title setting process)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복수의 컨텐츠가 이미 HDD(53) 내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개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가 설정될 때 수행되는 것이다.
단계(S201)에 있어서,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타이틀 집약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때, 예를 들면, 제어부(105)를 통하여 도 10에 나타내 바와 같은 타이틀 집약 데이터가 취득된다.
단계(S202)에 있어서,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n번째 컨텐츠를 체크한다. 여기서 변수 n의 초기값은 1이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해칭된 사각형의 박스가 n번째 컨텐츠로서 하나씩(one by one) 체크된다.
단계(S203)에 있어서,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n번째 컨텐츠가 차분 데 이터를 가지고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203)에서 n번째 데이터가 차분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S204)로 진행한다.
단계(S204)에 있어서,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단계(S203)의 처리에 의해 그 존재가 판정된 차분 데이터를, 그 n번째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이틀 집약 데이터가 단계(S201)에서 취득되고 단계(S202)에서 첫 번째의 컨텐츠가 체크될 때, 단계(S203)의 처리는, 첫 번째 컨텐츠가 차분 데이터를 가지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이 예에서, 첫 번째 컨텐츠는 문자열 "Work and Power"로 둘러싸인 사각형 박스에 해당하고, 문자열 "Work and Power"는 첫 번째 컨텐츠의 차분 데이터이다. 따라서, 단계(S204)에서, 문자열 "Work and Power"가 첫 번째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5번째 컨텐츠의 경우, 문자열 "Information A 'Security in Internet Society(정보 A '인터넷 사회의 보안')"이 그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설정된다. 18번째 컨텐츠(도 10에서 가장 우측의 사각형 박스에 해당)의 경우, 예를 들면, 문자열 "Iwashi's Karakuri TV(이와시의 카라쿠리 TV)"가 그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설정된다.
한편, 단계(S203)에서 n번째 컨텐츠가 차분 데이터를 가지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S205)로 진행한다.
단계(S205)에 있어서,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n번째 컨텐츠의 상세정 보(detailed information)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상세정보는 EPG에 포함되며, 컨텐츠의 내용이나 출연자(guest)와 같은, 컨텐츠의 세부내용을 기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제어부(105)를 통하여 EPG 데이터 취득부(101)에, n번째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n번째 컨텐츠의 EPG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세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요구를 출력한다. n번째 컨텐츠의 EPG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세정보가 EPG 데이터 취득부(101)에 의해 성공적으로 취득되면, 취득된 상세정보는 제어부(105)를 통하여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로 공급되고, 단계(S205)에서 n번째 컨텐츠의 상세정보가 있다고 판정된다.
한편, 예를 들면, n번째 컨텐츠의 EPG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세정보가 EPG 데이터 취득부(101)에 의해 성공적으로 취득되지 않은 경우, 단계(S205)에서 n번째 컨텐츠의 상세정보가 없다고 판정된다.
단계(S205)에 있어서, n번째 컨텐츠의 상세정보가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는 단계(S206)로 진행한다. 단계(S206)에서,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단계(S205)의 처리에 의해 존재가 판정된 상세정보를, n번째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설정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문자 수가 소정의 문자 수보다 큰 경우, 상세정보로부터 소정의 수의 문자가 추출되고, 추출된 문자가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설정된다.
단계(S205)에서 n번째 컨텐츠의 상세정보가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는 단계(S207)로 진행한다. 단계(S207)에서,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EPG 타 이틀 데이터를 n번째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 있어서, "Dishes for Tonight" 폴더에 집약된 2개의 컨텐츠는 차분 데이터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컨텐츠의 경우, 제어는 단계(S203)에서 단계(S205)로 진행한다.
그리고 "Dishes for Tonight" 폴더에 집약된 2개의 컨텐츠가 상세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각각의 상세정보의 부분이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설정된다. 이 경우, 요리의 이름이나 컨텐츠의 출연자와 같은 컨텐츠의 내용을 기술하는 문자열이, 그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설정된다. 그러한 문자열은, 예를 들면, 상세정보로서 EPG 데이터 내에 포함된다.
"Dishes for Tonight" 폴더에 집약된 2개의 컨텐츠가 상세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Dishes for Tonight"이 두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설정된다.
단계(S206) 또는 단계(S207)의 처리 후, 제어는 단계(S208)로 진행한다. 단계(S208)에서,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아직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가 설정되지 않은 다음의 컨텐츠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208)에서 그러한 컨텐츠가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는 단계(S209)로 진행한다. 단계(S209)에서, 변수 n의 값이 1 증가(increment) 되고, 제어는 단계(S202)로 돌아간다.
그 후, 단계(S208)에서 다음의 컨텐츠가 없다고 판정될 때까지 단계(S202 내지 S209)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208)에서 다음의 컨텐츠가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컨텐츠 타이틀 설 정처리는 종료된다.
여기서 컨텐츠 타이틀 설정 처리는 복수의 컨텐츠가 이미 HDD(53) 내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가 설정될 때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타이틀 집약처리가 수행되는 동안 개개의 컨텐츠에 대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단계(S144)의 처리에 이어서 도 11에 나타낸 단계(S203 내지 S207)의 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S204), 단계(S206) 또는 단계(S207)에서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가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를 설정할 때,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EPG데이터 취득부(101)를 통하여, 그 컨텐츠의 EPG에 포함되는 방송일시(broadcast data and time)의 정보, 방송시간(broadcast duration)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에 그 컨텐츠의 방송일시, 방송시간 등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부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개별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타이틀이 설정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컨텐츠의 재생을 지령할 때 원하는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컨텐츠의 타이틀의 목록을,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방식(user-friendly manner)으로 화면에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데이터(display data)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컨 텐츠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2에 있어서, 아이콘(211), 아이콘(212), 아이콘(213) 등이 표시화면(201)상에 표시되고 있다. 아이콘(211)은 비디오(Video)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아이콘(212)은 음악(Music)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아이콘(213)은 포토(photo)(사진(picture) 또는 정지화상(still image))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아이콘(211)이 선택되었을 경우, 데이터 처리장치(11)의 HDD(53)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컨텐츠의 목록이 표시된다.
도 13은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종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아이콘(211)이 선택되었을 때 표시 화면(201)에 표시되는 GUI를 나타낸다. 이 GUI에 있어서, 컨텐츠의 썸네일(thumbnail)(231, 232, 233, 234, 235, 236, 237)과 각각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가 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표시화면(201)에 표시된 썸네일을 선택하면, 그 썸네일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데이터가 HDD(53)로부터 읽혀지고 재생된다.
이 예에서는, 표시화면(201)의 좌측에 썸네일(231 내지 237)이 수직으로 일렬에 표시되고 있는 동시에, 각각의 썸네일(231 내지 237)의 우측에 EPG 타이틀 데이터가 표시되고 있다. 썸네일(231 내지 237)에 대응하는 7개의 컨텐츠의 목록이 표시화면(201)에 표시되고 있고, 이러한 컨텐츠는, 예를 들면, 국제축구대회 "VIVA World Cup 2006 (비바 월드컵 2006)"에서의 복수의 경기의 방송에 해당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썸네일(231)의 우측에는 "VIVA World Cup 2006 'Uk"라는 문 자열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문자열 아래에는, 이 컨텐츠의 방송일시 "6/29(Thu) 3:45 AM"와, 이 컨텐츠의 방송시간 "(2H15M)"(2시간 15분을 나타낸다)이 표시되어 있다.
썸네일(231)의 우측에 표시된 문자열 "VIVA World Cup 2006 'Uk"은, 그 컨텐츠의 실제 EPG 타이틀 데이터인 "VIVA World Cup 2006 'Ukraine(우크라이나)' vs 'Switzerland(스위스)'"의 일부이다. EPG 타이틀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 즉, "raine' vs 'Switzerland'"는 화면의 표시영역의 제한으로 인해 생략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썸네일(232 내지 237)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는 EPG 타이틀 데이터도 또한 화면의 표시영역의 제한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생략된 것이다.
이 예에서는, 종래의 EPG 타이틀 데이터는 컨텐츠의 타이틀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VIVA World Cup 2006"이라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은 모든 컨텐츠에 대하여 반복하여 표시되는 반면, 상대 국가를 나타내는 문자열(예를 들면, "'Ukraine' vs 'Switzerland'")은, 이 부분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또는 전체가 생략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면,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 컨텐츠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처리장치(11)의 컨트롤러(52)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텔레비전 수상기(television receiver)(12)에 생성된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여, 텔레비전 수상기(12)의 화면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의 목록이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HDD(53)에 저장된 원하는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을 희망하는 경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GUI에서,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아이콘(211)이 선택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GUI가 표시화면(201)에 표시된다. 이 도 14의 예에 있어서, 비디오 컨텐츠가 집약된 폴더(221 내지 223)가 아이콘(211)과 함께 표시화면(201)에 표시되고 있다. 폴더(221 내지 223)는,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처리에 의해 작성된 폴더이며, 복수의 컨텐츠가 각각의 폴더(221 내지 223)에 집약되어 있다.
도 14에서 폴더(221)의 우측에, 폴더명 "VIVA World Cup 2006"이 표시되어 있고, 그 아래쪽에는 이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의 수를 나타내는 문자열 "Number of Titles(타이틀 수) : 7"이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폴더는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다른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것이며, 따라서, 이 예에서는, EPG 타이틀 데이터가 문자열 "VIVA World Cup 2006"을 포함하는 7개의 컨텐츠가 폴더(221)에 집약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폴더(222)의 폴더명은 "Street Heaven"이며, 4개의 컨텐츠가 이 폴더(222)에 집약되어 있다. 폴더(223)의 폴더명은"World Business(월드 비즈니스)"이며, 5개의 컨텐츠가 이 폴더(223)에 집약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GUI에 있어서,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폴더(221)가 선택되었을 경우,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GUI가 표시화면(201)에 표시된다. 도 15의 예에 있어서, 아이콘(211)과 이 아이콘(211)에 대응하는 선택된 폴더인 폴더(221)가 표시화면(201)에 표시되어 있고, 또한, 폴더(221)에 포함되는 7개의 컨텐츠의 썸네일(231 내지 237)이 표시화면(201)에 수직으로 일렬로 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표시화면(201)에 표시된 썸네일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 썸네일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데이터가 HDD(53)로부터 읽혀지고 재생된다.
여기서, 이 예에서는, 폴더(221)의 명칭인 "VIVA World Cup 2006" 및 폴더(221)에 집약되어 있는 컨텐츠의 수를 나타내는 문자열 "Number of Titles: 7"은, 표시화면(201)의 좌측 상단(upper left corner)에 표시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썸네일(231 내지 237)의 우측에는, 대응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가 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썸네일(231)의 우측에는 문자열 "'Ukraine' vs 'Switzerland'"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그 아래에는, 이 컨텐츠의 방송일시 "6/29 (Thu) 3:45 AM"와, 이 컨텐츠의 방송시간 "(2H15M)"(2시간 15분을 나타낸다)이 표시되고 있다.
썸네일(231)의 우측에 표시된 문자열 "'Ukraine' vs 'Switzerland'"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이며, 실제 EPG 타이틀 데이터 "VIVA World Cup 2006 'Ukraine' vs Switzerland'"의 차분의 데이터 부분에 대응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썸네일(232 내지 237)의 우측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도, 또한 실제 EPG 타이틀 데이터 내의 차분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EPG 타이틀 데이터 내에 차분 데이터가 없는 경 우, EPG에서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문자열이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설정된다. 즉, 썸네일(231 내지 237) 중 어느 것의 우측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는, EPG에서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문자열일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는, EPG 데이터 취득부(101)를 통하여, 그 컨텐츠의 EPG에 포함되는 방송일시의 정보 및 방송시간의 정보를 취득하고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104)가, 예를 들면, 도 11의 단계(S204), 단계(S206), 또는 단계(S207)에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를 설정할 때 그것들을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에 부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의 방송일시를 나타내기 위해 표시되는 "6/29 (Thu) 3:45 AM", 컨텐츠의 방송시간을 나타내기 위해 표시되는 "(2H15M)"과 같은 문자열은, 컨텐츠의 목록이 표시될 때 용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면, 다른 컨텐츠에 공통되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 "VIVA World Cup 2006"이, 폴더(221)의 명칭으로서 표시되고, 동시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상대 국가를 나타내는 문자열(예를 들면, "'Ukraine' vs 'Switzerland'")이 개개의 컨텐츠의 타이틀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화면(201)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목록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HDD(53)에 저장된 원하는 동영상의 컨텐츠의 재생을 희망하는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GUI에서 그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아이콘(211)이 선택되고, 예를 들면, 도 14를 참조하 여 상기한 바와 같은 아이콘(211)과 동영상 컨텐츠가 집약된 복수의 폴더가 표시된 GUI가 표시화면(201)에 표시되도록 하며, 그 폴더들 중 하나의 폴더가 선택되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GUI가 표시된다. 여기서는 폴더(225)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폴더(224, 225, 226, 227)도, 또한,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처리에 의해 작성된 폴더들이며, 각각의 폴더(224 내지 227) 내에 복수의 컨텐츠가 집약되어 있다.
폴더(225)의 우측에는, 이 폴더의 명칭인 "Television Series Wind Dolphin"이 표시되고 있고, 그 아래쪽에는, "Number of Titles: 3"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폴더는,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다른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이므로, 이 예에서는, EPG 타이틀 데이터에 문자열 "Television Series Wind Dolphin"을 포함하는 3개의 컨텐츠가 폴더(224)에 집약되어 있다.
폴더(225)가 선택된 결과로서, 폴더(225)에 집약된 3개의 컨텐츠의 각각 대응하는 썸네일(241, 242, 243)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표시화면(201)에 표시된 썸네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 썸네일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데이터가 HDD(53)로부터 읽혀지고 재생된다.
각각의 썸네일(241 내지 243)의 우측에는, 대응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썸네일(241)의 우측에는 문자열 "(54) 'With Mom on Windy Day'"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문자열의 아래에, 이 컨텐츠의 방송일자를 나타내는 문자열 "12/12 (Thu)"이 표시되어 있다.
썸네일(241)의 우측에 표시된 문자열 "(54) 'With Mom on Windy Day'"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이며, 실제 EPG 타이틀 데이터 "Television Series Wind Dolphin (54) 'With Mom on Windy Day'"의 차분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각 썸네일(242, 243)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도, 또한 실제 EPG 타이틀 데이터 내의 차분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EPG 타이틀 데이터 내에 차분 데이터가 없는 경우, EPG의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문자열이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로서 설정된다. 즉, 썸네일(241 내지 243) 중 어느 것의 우측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는 EPG의 상세정보에 포함되는 문자열일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라 표시화면(201)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목록의 또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경우도, 또한, 도 1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HDD(53)에 저장된 원하는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을 희망하는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GUI에서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아이콘(211)이 선택되고, 예를 들면, 아이콘(211)과 비디오 컨텐츠가 집약된 복수의 폴더가 표시된,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GUI가 표시화면(201)에 표시되도록 하며, 그 폴더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GUI가 표시된다.
도 17의 경우에 있어서, 도 16의 폴더(225, 226)에 집약된 컨텐츠가 상위 폴더(parent folder)인 폴더(225)에 집약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특히, EPG 타이틀 데이터에 "Television Series Wind Dolphin"을 포함하는 컨텐츠와 EPG 타이틀 데이 터에 "Television Series Wakagi"를 포함하는 컨텐츠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Television Series"라는 부분을 공유하므로,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Television Series"라는 이름의 폴더(225)가 작성된다.
그리고 나서, 폴더(225)가 선택되면, 폴더(225)의 우측으로 폴더(228, 229)가 표시된다. 폴더(228)의 명칭은 "Wind Dolphin"이며 3개의 컨텐츠가 폴더(228) 내에 집약되어 있다(즉, Number of Titles: 3). 반면, 폴더(229)의 명칭은 "Wakagi"이며 폴더(229) 내에 3개의 컨텐츠가 집약되어 있다(즉, Number of Titles: 3). 두 폴더(228, 229) 모두,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작성된다.
또한, 폴더(228)가 선택된 결과로서, 폴더(228)에 집약된 3개의 컨텐츠에 각각 대응하는 썸네일(241 내지 243)이 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표시화면(201)에 표시된 썸네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데이터가 HDD(53)로부터 읽혀지고 재생된다.
이 예에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GUI 상의 썸네일들 중 하나로 커서를 이동시키면, 포커스가 위치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오직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만이 썸네일의 우측에 표시된다. 이 예에서, 썸네일(241 내지 243) 중, 썸네일(242)에 포커스가 위치되고, 썸네일(242)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 즉, "(55) 'Dolphin's Spring Holidays 1'"이 썸네일(242)의 우측에 표시되고 있다. 또한, 그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아래에, 그 컨텐츠의 방송일자를 나타내는 문자열 "12/13 (Wed)"이 표시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텐츠가 집약된 폴더를 계층 구조로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린터(13)가 데이터 처리장치(11)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HDD(53)에 저장된 컨텐츠가 DVD에 복사 또는 이동되었을 경우, 프린터(13)는 그러한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를 DVD에 인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린터(13)는, 예를 들면, 데이터 처리장치(11)로부터 공급되는 인쇄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DVD와 같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표면(기록면과는 다른 면)에 문자 등을 인쇄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DVD와 같은 기록매체에 컨텐츠의 타이틀 등을 인쇄하는 것은,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다. 도 18 및 도 19는 종래기술에서 기록매체에 컨텐츠의 타이틀을 인쇄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연속으로 방송된 시리즈 프로그램 "Street Heaven(거리의 천국)"의 18개의 컨텐츠가 기록된 디스크(301)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있어서, 컨텐츠의 방송일자와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가, 세로방향으로 두 줄로 나타나 있다. 디스크(301)의 우측에는, 2006년 4월 22일부터 2006년 6월 17일까지 방송된 9개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Street Heaven")가 각각의 컨텐츠의 방송일자와 함께 인쇄되어 있다. 반면, 디스크(301)의 좌측에는, 2006년 6월 24일부터 2006년 8월 19일까지 방송된 9개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Street Heaven")가 각각의 컨텐츠의 방송일자와 함께 인쇄되어 있다.
도 19는, 연속으로 방송된 시리즈 프로그램 "Ritsuko's Room(리츠코의 방)"의 18개의 컨텐츠가 기록된 디스크(301)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 있어서도, 역시 컨텐츠의 방송일자와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가 세로방향으로 두 줄로 나타나 있다. 디스크(301)의 우측에는, 2006년 8월 14일부터 2006년 8월 24일까지 방송된 9개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Ritsuko's Room")가 각각의 컨텐츠의 방송일자와 함께 인쇄되어 있다. 반면, 디스크(301)의 좌측에는, 2006년 8월 25일부터 2006년 9월 6일까지 방송된 9개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Ritsuko's Room")가 각각의 컨텐츠의 방송일자와 함께 인쇄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 사용자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원하는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도 18 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매체 상에 인쇄된 것을 보는 것으로 원하는 컨텐츠가 디스크(301)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사용자가 판단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연속으로 방송되는 시리즈 프로그램의 경우, 서로 다른 촬영지(location)나 출연자(guest)가 각각 다른 방송일에 등장하는 경우가 많고,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촬영지나 출연자가 등장하는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사용자는, 도 18 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인쇄된 컨텐츠 타이틀을 보는 것으로는, 사용자가 관심 있는 촬영지나 출연자가 등장하는 컨텐츠가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
또, EPG 타이틀 데이터가 그 컨텐츠의 촬영지나 출연자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디스크(301) 표면의 한정된 인쇄가능 영역 내에 각각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모든 문자열을 인쇄하는 것은 곤란하다. 각각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모든 문자열이 디스크(301) 표면에 인쇄되면, 문자 크기를 극도로 작게 할 필요가 있고, 결과적으로 그러한 문자열은 사용자가 읽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인쇄한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컨텐츠의 타이틀이 기록매체에 인쇄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20 및 도 21은 각각 데이터 처리장치(11)의 컨트롤러(52)에 의해 생성되고 공급되는 인쇄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프린터(13)가 문자 등을 인쇄한 디스크(301)의 표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은, 도 1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속으로 방송된 시리즈 프로그램 "Street Heaven"의 18개의 컨텐츠가 기록된 디스크(301)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있어서, 디스크(301)의 표면의 영역(321)에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일부가 인쇄된다. 이 예에서는, 문자열 "Street Heaven"이 상기 영역(321)에 인쇄된다. 즉, EPG 타이틀 데이터의 18개의 컨텐츠 모두에 공통되는 부분,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작성된 폴더의 명칭이, 영역(321)에 인쇄된다.
영역(322)에는, 디스크(301)에 기록된 컨텐츠의 방송일자 중 가장 빠른 날짜(2006년 4월 22일)와 마지막 날짜(2006년 8월 19일)가 인쇄된다. 또, 영역(322)에는, 디스크(301)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수가 18개임을 나타내는 문자 열 "Number of Titles : 18"이 가장 빠른 방송일자와 마지막 방송일자의 아래에 인쇄된다. 또한, 영역(322)에는, 디스크(301)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총 방송시간이 18시간임을 나타내는 문자열 "Duration : 18 hours(방송시간 : 18 시간)"이 문자열 "Number of Titles : 18" 아래에 인쇄된다.
영역(323, 324)에,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각각의 방송일자를 가지는 부분(pieces)이 인쇄된다. 이러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이며, 예를 들면, 각각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차분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열이다. 도 20의 예에서, 각각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의 좌측으로, 대응하는 컨텐츠의 방송일자가 인쇄되고, 각각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은 대응하는 날짜에 방송된 프로그램 "Street Heaven"에 등장하는 촬영지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1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속으로 방송된 시리즈 프로그램 "Ritsuko's Room"의 18개의 컨텐츠가 기록된 디스크(301)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에 있어서, 디스크(301)의 표면의 영역(321)에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일부가 인쇄된다. 이 예에서는, 문자열 "Ritsuko's Room"이 영역(321)에 인쇄된다. 즉, EPG 타이틀 데이터의 18개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이,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작성된 폴더의 명칭이, 영역(321)에 인쇄된다.
여기서,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301)에 기록된 18개의 모든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는 "Ritsuko's Room"만을 나타내고 차분 데이터는 없는 것 으로 가정한다.
영역(322)에는, 디스크(301)에 기록된 컨텐츠의 방송일자 중 가장 빠른 날짜(2006년 8월 11일)와 마지막 날짜(2006년 9월 6일)가 인쇄된다. 또, 영역(322)에는, 디스크(301)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수가 18개임을 나타내는 문자열 "Number of Titles : 18"이 가장 빠른 방송일자와 마지막 방송일자의 아래에 인쇄된다. 또한, 영역(322)에는, 디스크(301)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총 방송시간이 18시간임을 나타내는 문자열 "Duration : 18 hours"이 문자열 "Number of Titles : 18" 아래에 인쇄된다.
영역(323, 324)에,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각각의 방송일자를 가지는 부분(pieces)이 인쇄된다. 이러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이며, 예를 들면, 각각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상세정보로부터 추출된 문자열에 대응한다. 도 21의 예에서, 각각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의 좌측으로, 대응하는 컨텐츠의 방송일자가 인쇄되고, 각각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은 대응하는 날짜에 방송된 프로그램 "Ritsuko's Room"의 주요 출연자(main guest)를 나타낸다.
도 22는, 연속으로 방송된 시리즈 프로그램 "Street Heaven"의 복수의 컨텐츠와 연속으로 방송된 시리즈 프로그램 "Ritsuko's Room"의 복수의 컨텐츠가 동일한 디스크(301)에 기록되는 경우에 기록매체에 컨텐츠의 타이틀이 인쇄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즉, 도 22는 데이터 처리장치(11)로부터 공급되는 인쇄용 데이 터에 근거하여 프린터(13)가 문자 등을 인쇄한 디스크(301)의 표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연속으로 방송된 시리즈 프로그램 "Street Heaven"의 9개의 컨텐츠와, 연속으로 방송된 시리즈 프로그램 "Ritsuko's Room"의 9개의 컨텐츠가 각각 기록된 디스크(301)를 나타나고 있다. 즉, 복수의 시리즈 프로그램의 집합(set)이 1개의 디스크(301)에 집적되어 기록된다.
도 22에 있어서, 디스크(301)의 표면의 영역(341, 351)에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일부가 인쇄된다. 이 예에서는, 영역(341)에 문자열"Street Heaven"이 인쇄되고, 영역(351)에 문자열""이 인쇄된다. 즉, EPG 타이틀 데이터의 9개의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작성된 폴더의 명칭이 영역(341)에 인쇄된다. 반면, EPG 타이틀 데이터의 다른 9개의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작성된 폴더의 명칭이 영역(351)에 인쇄된다.
영역(342)에는, 디스크(301)에 기록되고, 영역(341)에 대응하는 명칭을 가지는 폴더에 집약된 9개의 컨텐츠의 방송일자 중 가장 빠른 날짜(2006년 6월 24일)와 마지막 날짜(2006년 8월 19일)가 인쇄된다. 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수가 9개임을 나타내는 문자열 "Number of Titles : 9"이 이들 방송일자의 아래에 인쇄된다. 또한,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총 방송시간이 9시간임을 나타내는 문자열 "Duration : 9 hours"이 문자열 "Number of Titles : 9" 아래에 인쇄된다.
영역(343)에는, 영역(341)에 대응하는 명칭을 가지는 폴더에 집약된 각각의 9개의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가 인쇄된다. 이러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이며, 이 예에서는, 대응하는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의 좌측에 각 컨텐츠의 방송일자가 인쇄된다.
영역(352)에는, 디스크(301)에 기록되고, 영역(351)에 대응하는 명칭을 가지는 폴더에 집약된 9개의 컨텐츠의 방송일자 중 가장 빠른 날짜(2006년 8월 11일)와 마지막 날짜(2006년 8월 24일)가 인쇄된다. 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수가 9개임을 나타내는 문자열 "Number of Titles : 9"이 이들 방송일자의 아래에 인쇄된다. 또한,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총 방송시간이 9시간임을 나타내는 문자열 "Duration : 9 hours"이 문자열 "Number of Titles : 9" 아래에 인쇄된다.
영역(353)에는, 영역(351)에 대응하는 명칭을 가지는 폴더에 집약된 각각의 9개의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가 인쇄된다. 이러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이며, 이 예에서는, 대응하는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의 좌측에 각 컨텐츠의 방송일자가 인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EPG 타이틀 데이터의 복수의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 예를 들면, "Street Heaven" 또는 "Ritsuko's Room"이 폴더의 명칭으로서 인쇄되고, 사용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열(예를 들면, 촬영지, 출연자 등)이 각각의 개별 컨텐츠의 타이틀로서 인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촬영지나 출연자가 등장하는 컨텐츠가, 그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23은 다른 계층의 폴더에 집약된 복수의 컨텐츠가 1개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타이틀이 기록매체에 인쇄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23은, 또한, 데이터 처리장치(11)로부터 공급되는 인쇄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프린터(13)가 문자 등을 인쇄한 디스크(301)의 표면의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의 결과로서, 예를 들면, 상위 폴더로서 "MHK High School Course(MHK 고교강좌)" 폴더가 작성되어 있고, "MHK High School Course" 폴더의 하위 폴더로서 4개의 "English(영어)", "Chemistry(화학)", "Japanese History(일본사)" 및 "Geography(지리)" 폴더가 작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4개의 폴더에 3개의 컨텐츠가 집약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들 12(= 4 ×3)개의 컨텐츠가 디스크(301)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3에 있어서, 디스크(301)의 표면의 영역(321)에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일부가 인쇄되어 있다. 이 예에서, 문자열 "MHK High School Course"이 영역(321)에 인쇄되어 있다. 즉, EPG 타이틀 데이터의 12개의 컨텐츠 모두에 공통되는 부분,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작성된 최상위 폴더의 명칭이 영역(321)에 인쇄된다.
디스크(301)에 기록된 컨텐츠의 방송일자 중 가장 빠른 날짜(2006년 8월 11일)와 마지막 날짜(2006년 8월 27일)가 영역(322)에 인쇄되어 있다. 또, 기록되 어 있는 컨텐츠의 수가 12개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Number of Titles : 12"이 방송일자의 아래에 인쇄되어 있다. 또한,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총 방송시간이 12시간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Duration : 12 hours"이 문자열 "Number of Titles : 12"의 아래에 인쇄되어 있다.
영역(361, 362, 363, 364)에, 그들의 방송일자에 각각 방송된 각각의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가 인쇄되어 있다. 각각의 영역(361 내지 364)의 맨 위(top)에는, 영역(321)에 그 명칭이 인쇄된 폴더의 하위의 4개의 폴더 중 대응하는 하나의 명칭이 인쇄되어 있다.
특히, 영역(361)에, "English" 폴더에 집약된 각각의 3개의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가 인쇄된다. 영역(362)에는, "Chemistry" 폴더에 집약된 각각의 3개의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가 인쇄된다. 영역(363)에는, "Japanese History" 폴더에 집약된 각각의 3개의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가 인쇄된다. 영역(364)에는, "Geography" 폴더에 집약된 각각의 3개의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가 인쇄된다.
이러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은, 각각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이며, 예를 들면, 각각의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차분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열이다. 도 23의 예에서, 각각의 컨텐츠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의 좌측으로, 대응하는 컨텐츠의 방송일자가 인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텐츠가 집약된 폴더가 계층 구조로 인쇄된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이 관심 있는 촬영지나 출연자 등이 등장하는 컨텐츠가 그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컨텐츠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를 디스크(301)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여기서, 컨텐츠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어떠한 기록매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이틀 집약 데이터가 생성되고, 다른 컨텐츠에 공통되는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이 있으면, 그 공통된 부분에 대한 폴더가 작성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그러한 컨텐츠가 이 폴더에 집약된다. 얼마나 많은 계층의 폴더가 생성되는지는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에 의존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그룹에서 공통된 문자열을 공유하는 복수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이 제 2 그룹에서도 공통된 문자열을 공유하면, 하위 폴더가 추가로 작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폴더의 계층 수가 둘에서 셋, 넷 등으로 더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컨텐츠의 재생을 지령할 때 더 용이하게 재생해야 할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폴더의 계층 수의 과도한 증가는 원하는 컨텐츠를 더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원하는 컨텐츠를 찾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이 그룹 분할되고 집약될 때,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작성되는 폴더의 계층 수를 지 정(specify)하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EPG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이 그룹 분할되고 집약될 때 생성될 수 있는 폴더의 계층 수의 상한을 지정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계층에 폴더가 작성되지 않도록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 계층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이 그룹 분할되고 집약될 때 생성될 수 있는 폴더의 계층 수의 상한을 2로 설정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에 있어서, 제 1 계층(first level)은 "뷰(View)"라 하고, 이 계층은, 예를 들면,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방식 등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2 계층은 "그룹(Group)"이라 하고, 이 계층에는, 제 1 계층에서 지정된 표시방식에 따라 선택가능하게 되는 컨텐츠군(collection of contents)이 표시된다.
제 3 계층 및 제 4 계층은 "그룹 타이틀(Group Title)"이라 하고, 이들 계층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EPG 타이틀 데이터의 부분이 그룹 분할되고 집약됨으로써 집약되어 있는 컨텐츠의 목록이 표시된다. 제 3 계층 및 제4 계층에서, 그룹 분할되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공통되는 부분을 공유하는 컨텐츠에 대하여 폴더가 생성되고, 반면에, 어느 컨텐츠와도 EPG 타이틀 데이터의 공통되는 부분을 공유하지 않는 컨텐츠에 대하여는 컨텐츠의 타이틀이 표시된다.
제 5 계층은 "타이틀(Title)"이라 하고, 이 계층에는 컨텐츠 타이틀이 표시된다. 즉, EPG 타이틀 데이터가 그룹 분할되고 집약될 때 생성될 수 있는 폴더의 계층수의 상한이 2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컨텐츠가 EPG 타이틀 데이터에 공통되는 부분을 공유하고 있더라도 제 5 계층에는 폴더가 생성되지 않고, 대 신에, 각각의 컨텐츠의 컨텐츠 타이틀이 표시된다.
도 25는 표시되고 있는 제 1 계층 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의 예에서, 아이콘(401, 402, 403, 404, 405)이 제 1 계층에서 선택 가능한 아이콘으로서 표시되고 있다.
아이콘(401)은 "Scheduled(예약)" 아이콘이다. 이 아이콘이 선택되면, 예약 녹화(scheduled recording)에 의해 녹화된 컨텐츠가 제 2 계층 및 그 이하의 계층에 표시되게 된다. 아이콘(402)은 "Genre(장르)" 아이콘이다. 이 아이콘이 선택되면, 데이터 처리장치(11)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가 제 2 계층 및 그 이하의 계층에 표시되게 된다. 아이콘(403)은 "Automatic Complete Recording(자동 전체 녹화)" 아이콘이며, 이 아이콘이 선택되면, 자동 녹화된 컨텐츠가 제 2 계층 및 그 이하의 계층에 표시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아이콘(404 또는 405)이 선택되면, 그들의 소정의 기준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 2 계층 및 그 이하의 계층에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아이콘(401 내지 405)의 우측에는,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의 수가 "Number of Titles(타이틀 수)"로서 표시되고 있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낸 아이콘(402)이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는 제 2 계층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6의 예에서, "Genre" 아이콘(402)이 선택된 결과로서, 장르 "News(뉴스)"에 대응하는 아이콘(411), 장르 "Sports(스포츠)"에 대응하는 아이콘(412), 장르 "Gossip Show(가십 쇼)"에 대응하는 아이콘(413), 장르 "Drama(드라마)"에 대응하는 아이콘(414), 장르 "Music(음악)"에 대응하는 아이 콘(415), 장르 "Variety Shows(버라이어티 쇼)"에 대응하는 아이콘(416), 장르 "Movie(영화)"에 대응하는 아이콘(417)이 표시되고 있다. 아이콘(411 내지 417) 중 하나가 선택되면, 컨텐츠 또는 대응하는 장르에 속하는 컨텐츠가 제 3 계층 및 그 이하의 계층에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아이콘(411 내지 417)의 우측에는, 각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의 수가 "Number of Titles"로서 표시되고 있다. 아이콘(411 내지 417)의 우측에 표시되고 있는, "NEW(신규)" 표시(sign)는, 그 아이콘이 선택되면 재생된 적이 없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27은 도 26의 아이콘(414)이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는 제 3 계층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7의 예에서, 장르 "Dramas"에 대응하는 아이콘(414)이 선택된 결과로서, 장르 "Dramas"에 속하는 컨텐츠와 그러한 컨텐츠가 집약된 폴더가 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EPG 타이틀 데이터에 문자열 "SHOWBZ MAN"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폴더(421)에 집약되어 있다. 폴더(421)의 우측에 표시되고 있는 문자열 "2006/4/14 - 2006/12/3"은, 폴더(421)에 집약된 컨텐츠가 2006년 4월 14일부터 2006년 12월 3일까지 녹화된 것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폴더(421)에 집약된 컨텐츠의 수는 "Number of Titles"(이 예에서는 2)로서 표시되고 있다.
EPG 타이틀 데이터에 문자열 "One and Only Love(단 하나의 사랑)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폴더(422)에 집약되어 있다. 폴더(422)에 집약된 컨텐츠는 2006년 3월 17일부터 2007년 5월 3일까지 녹화된 것이다. 폴더(422)에 집약된 컨텐츠의 수, 즉, 11은, "Number of Titles : 11"로 표시되어 있다. EPG 타이틀 데이터에 문자열 "Television Drama Series(TV 드라마 시리즈)"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폴더(423)에 집약되어 있다. 폴더(423)에 집약된 컨텐츠는 2006년 3월 17일부터 2007년 5월 15일까지 녹화된 것이다. 폴더(422)에 집약된 컨텐츠의 수, 즉, 21은, "Number of Titles : 21"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NEW" 표시가 폴더(422, 423)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다. 이는, 두 폴더(422, 423)에 재생된 적이 없는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썸네일(424)은 EPG 타이틀 데이터가 타이틀 "This Is Your Way of Living Episode 2(이것이 당신의 사는 법 제2화")를 나타내는 1개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이다. 썸네일(425 및 426)도 역시 1개의 컨텐츠에 대응한다. 썸네일(425)의 우측에 "NEW" 표시가 표시되고 있고, 이는, 대응하는 컨텐츠가 재생된 적이 없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썸네일은 컨텐츠 대신에, 예를 들면, 재생목록(playlist)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28은 도 27의 폴더(423)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는 제 4 계층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8의 예에서, 폴더(423)가 선택된 결과로서, EPG 타이틀 데이터에 문자열 "Television Drama Series"를 포함하는 컨텐츠와 그러한 컨텐츠가 집약된 폴더가 표시되고 있다.
EPG 타이틀 데이터에 문자열 "Encore(앙코르)"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폴더(431)에 집약되어 있다. 즉, 폴더(431)에 집약된 각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는 문자열 "Television Drama Series"와 "Encore"를 포함하고 있다. 폴 더(431)에 집약된 컨텐츠는 2006년 4월 14일부터 2006년 10월 15일까지 녹화된 것이다. 폴더(431)에 집약된 컨텐츠의 수, 즉, 3은, "Number of Titles : 3"으로 표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폴더(432 및 433)에도 컨텐츠가 집약되어 있다. 폴더(433)의 우측에 "NEW" 표시가 표시되어 있고, 이는, 폴더(433)에 재생된 적이 없는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썸네일(434)은 EPG 타이틀 데이터가 타이틀 "Television Drama Series My Autumn Weather(나의 가을 경치)"을 나타내는 1개의 컨텐츠에 대응한다. 즉, 이 컨텐츠의 타이틀의, 제 3 계층의 폴더에 포함되고, 차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 4 계층 화면에 표시되고 있다. 썸네일(435 및 436)도 역시 1개의 컨텐츠에 대응한다. 여기서, 썸네일(435)의 우측에 "NEW" 표시가 표시되고 있다. 이는 대응하는 컨텐츠가 재생된 적이 없음을 나타낸다.
도 29는 도 28의 폴더(433)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는 제 5 계층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9의 예에서, 폴더(433)가 선택된 결과로서, EPG 타이틀 데이터가 문자열 "Television Drama Series"와 "Ojin"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타이틀이 각각 표시되고 있다.
썸네일(441)은 EPG 타이틀 데이터가 타이틀 "Television Drama Series Ojin #01"을 나타내는 1개의 컨텐츠에 대응한다. 즉, 제 5 계층 화면에는 아무 폴더도 표시되지 않으므로, 제 4 계층 폴더에 포함되고, 차분에 대응하는, 이 컨텐츠의 타이틀의 부분이, 제 4 계층에서 선택된 제 4 계층 폴더(이 예에서는, 폴더(433)) 의 명칭(이 예에서는, "Ojin")과 함께 표시되고 있다.
썸네일(442, 443, 444, 445, 446) 또한 1개의 컨텐츠에 대응한다. 여기서, 각각의 썸네일(443 내지 446)의 우측에 "NEW" 표시가 표시되고 있다. 이는, 대응하는 컨텐츠가 재생된 적이 없음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컨텐츠가 폴더에 집약되고 계층 구조로 표시된다.
여기서, 도 25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상기한 표시의 예는, 제 1 계층(뷰)에서 아이콘(402)("Genre")가 선택되었을 경우이다. 예를 들면, 제 1 계층에서 아이콘(405)("x-Pict Story")가 선택되었을 경우, 그 컨텐츠는 폴더에 집약되어 있지 않고 개개의 컨텐츠는 모두, 썸네일 등과 함께, 1개의 계층에 대응하는 1개의 화면에 표시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뷰(View)"의 종류(type)에 따라 컨텐츠가 폴더에 집약되고 계층 구조로 표시된다.
도 30은 도 27 및 도 27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 각각의 폴더의 우측에 표시된, "폴더 부가정보(folder additional information)"를 생성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폴더작성처리에 의해 폴더가 작성된 후에 수행된다.
단계(S301)에서, 집약부(103)는 1개의 폴더에 집약되어 있는 컨텐츠 중 하나를 취득한다.
단계(S302)에서, 집약부(103)는 단계(S301)에서 취득한 컨텐츠의 녹화개시시각(recording start time)을 체크한다.
단계(S303)에서, 집약부(103)는 단계(S302)에서 얻어진 녹화개시시각이 시각(Ts)보다 이전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Ts는 변수인 것으로 가정하고, 예를 들면, 현재 시각(current time)이 변수(Ts)의 초기값(initial value)으로 설정된다. 단계(S303)에서 녹화개시시각이 시각(Ts)보다 이전이라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04)로 진행한다. 녹화개시시각이 시각(Ts)보다 이전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단계(S304)를 생략(skip)하고, 제어는 단계(S305)로 진행한다.
단계(S304)에서, 집약부(103)는 단계(S302)에서 얻어진 녹화개시시각에 시각(Ts)을 설정한다.
단계(S305)에서, 집약부(103)는 단계(S302)에서 얻어진 녹화개시시각이 시각(Te)보다 이후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Te는 변수인 것으로 가정하고, 예를 들면, 장치가 제조된 시각이 변수(Te)의 초기값으로 설정된다. 단계(S305)에서, 녹화개시시각이 시각(Te)보다 이후라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06)로 진행한다. 녹화개시시각이 시각(Te)보다 이후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단계(S306)를 생략하고, 처리는 단계(S307)로 진행한다.
단계(S306)에서, 집약부(103)는 시각(Te)에 단계(S302)에서 얻어진 녹화종료시각에 시각(Te)을 설정한다.
단계(S307)에서, 집약부(103)는 해당 컨텐츠가 재생된 적이 없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단계(S307)에서 해당 컨텐츠가 재생된 적이 없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08)로 진행한다. 단계(S307)에서 해당 컨텐츠가 이전에 재생된 적이 있었다고 판정되면, 단계(S308)를 생략하고, 제어는 단계(S309)로 진행한다.
단계(S308)에서, 집약부(103)는 "미재생 플래그(never-reproduced flag)"를 "ON"으로 설정한다.
단계(S309)에서, 집약부(103)는 변수(n)를 1 증가(increment)시킨다. 변수(n)는 해당 폴더에 집약되어 있는 컨텐츠의 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변수(n)의 초기값은 0이다.
단계(S310)에서, 집약부(103)는 해당 폴더가 다음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단계(S310)에서 폴더가 다음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01)로 돌아가고,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310)에서 폴더가 다음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11)로 진행한다.
단계(S311)에서, 집약부(103)는 이 폴더의 개시시각이 Ts, 종료시각이 Te, 컨텐츠 수가 n인 것으로 판정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도 27의 폴더(421)의 우측에 "2006/4/14 - 2006/12/3"과 "Number of Titles : 3"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단계(S312)에서, 집약부(103)는 미재생 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단계(S312)에서 미재생 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13)로 진행한다. 단계(S312)에서 미재생 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13)를 생략한다.
단계(S313)에서, 집약부(103)는 해당 폴더에 "NEW" 표시를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플래그 등을 설정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도 27의 폴더(422, 423)의 경 우와 같이, 폴더의 우측에 "NEW" 표시가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단계(S301 내지 S313)의 처리는,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의 그룹 분할 및 집약의 결과로서 작성된 각각의 폴더에 대하여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폴더 부가정보가 생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가 집약된 폴더가 계층 구조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정의 계층의 하나의 폴더(또는 아이콘)를 선택하고, 이 폴더와 하위의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새로운 컨텐츠가 추가되거나, 컨텐츠가 삭제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계층의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와 하위 폴더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새로운 컨텐츠가 추가되거나 컨텐츠가 삭제되었을 경우, 컨텐츠와 폴더의 목록의 표시의 변경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27을 참조하여, 제 2 계층의 아이콘(414)을 선택한 결과로서 아이콘(414)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폴더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EPG 타이틀 데이터가 "One and Only Love"를 포함하는 새로운 컨텐츠가 녹화되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화면은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게 된다.
도 31의 예에서, 폴더 명칭이 "One and Only Love"인 제 3 계층의 폴더(422)의 "Number of Titles"(즉, 컨텐츠의 수)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11" 대신에, "12"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 3 계층 폴더와 제 2 계층에서 선택된 아이콘 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제 3 계층 폴더 중 하나에 포함될 새로운 컨텐츠가 추가되었을 경우, 제 3 계층 폴더의 우측에 표시된 폴더 부가정보가 변경된다.
도 31의 예에서, 폴더(422)의 폴더 부가정보의 "Number of Titles" 부분만이 변경된다. 그러나, 여기서, 폴더(422)의 개시시각 또는 종료시각의 표시도 추가된 컨텐츠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 변경된다.
상기한 예에서, 추가된 컨텐츠는 제 3 계층의 폴더(422)에 포함되고, 따라서 제 3 계층의 폴더(422)의 "Number of Titles"가 변경(가산)된다. 또한, 추가된 컨텐츠가 제 3 계층의 폴더에 포함되는 제 4 계층의 폴더에 포함되는 경우도, 제 3 계층의 폴더의 "Number of Titles"가 가산된다.
예를 들면, 표시화면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일 때 EPG 타이틀 데이터가 타이틀 "Television Drama Series Ojin #07"을 나타내는 새로운 컨텐츠가 녹화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명칭이 "Ojin"이며 명칭이 "Television Drama Series"인 제 3 계층의 폴더(423)에 집약되어 있는 제 4 계층의 폴더 중 하나인 폴더(433)의 컨텐츠의 수가 1개 증가하므로, 제 3 계층의 폴더(423)의 "Number of Titles"가 "22"로 변경된다.
이하, 표시화면이 도 31에 나타나는 상태일 때 EPG 타이틀 데이터에 "SHOWBZ MAN"을 포함하는 컨텐츠 중 하나가 삭제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표시화면은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다.
도 32의 예에서, 폴더 명칭이 "SHOWBZ MAN"인 제 3 계층 폴더(421)의 "Number of Titles"는 도 31에 나타낸 "2"에 대신하여, "1"이다. 즉, 제 3 계층폴더와 제 2 계층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제 3 계층 폴더 중 하나의 컨텐츠가 삭제된 경우, 그 제 3 계층 폴더의 우측에 표시된 폴더 부가정보가 변경된다.
도 32의 예에서는, 폴더(421)의 폴더 부가정보의 "Number of Titles" 부분만이 변경된다. 그러나, 여기서, 폴더(421)의 개시시각 또는 종료시각의 표시도 또한 필요에 따라 삭제된 컨텐츠에 따라서 변경된다.
상기한 예에서, 삭제될 컨텐츠가 제 3 계층의 폴더(421)에 포함되어 있고, 따라서 제 3 계층 폴더(421)의 "Number of Titles"가 변경(감산)된다. 또한, 삭제될 컨텐츠가 제 3 계층의 폴더에 포함되는 제 4 계층의 폴더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그 제 3 계층 폴더의 "Number of Titles"가 감산된다.
예를 들면, 표시화면이 도 27에 나타나는 상태일 때, EPG 타이틀 데이터가 타이틀 "Television Drama Series Ojin #01"을 나타내는 컨텐츠가 삭제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명칭이 "Ojin"이며, 명칭이 "Television Drama Series"인 제 3 계층 폴더(423)에 집약되어 있는 제 4 계층 폴더 중 하나인, 폴더(433의 컨텐츠 수가 1개 줄어들게 되어, 제 3 계층 폴더(423)의 "Number of Titles"가 "20"으로 변경되게 된다.
표시화면이 도 32에 나타낸 상태일 때 EPG 타이틀 데이터가 "SHOWBZ MAN"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추가로 삭제되면, 표시화면은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다.
도 33의 예에서, 폴더 명칭이 "SHOWBZ MAN"인 제 3 계층 폴더(421)는, 삭제되었으므로, 표시되어 있지 않다. 즉, 제 3 계층 폴더 및 제 2 계층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제 3 계층의 폴더에 집약된 모든 컨텐츠가 삭제되었을 경우, 그 제 3 계층 폴더는 삭제된다.
예를 들면, 폴더에 1개의 컨텐츠만이 남아있을 때, 이 폴더를 표시하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화면상의 표시는 이 남아있는 컨텐츠가 폴더가 삭제되는 동안 대응하는 썸네일과 함께 표시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계층에서 선택된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와 하위 폴더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하위 폴더 중 하나가 삭제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삭제된 폴더의 명칭에 대응하는 모든 컨텐츠가 삭제된 것으로 생각하여 혼동할 수 있다. 더욱이, 폴더의 삭제는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그 삭제된 폴더에 포함되어 있던 컨텐츠를 찾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계층에서 선택된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와 하위 폴더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하위 폴더 중 하나에 1개의 컨텐츠만이 남아있는 경우라도, 그 하위 폴더가 계속해서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그 하위 폴더에 집약된 모든 컨텐츠가 삭제된 후에, 그 폴더가 삭제된다.
따라서, 사용자 친화적인(user-friendly)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이 달성된다.
다음으로, 도 34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컨텐츠 추가처리(content adding process)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계층에서 선택된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와 하위 폴더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예를 들면, 새로운 컨텐츠가 추가되었을 때 수행된다.
단계(S341)에서, EPG 데이터 취득부(101)는 추가된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EPG 타이틀 데이터를 제어부(105)를 통하여 그룹 분할부(102)에 공급한다.
단계(S342)에서, 그룹 분할부(102)는 단계(S341)에서 추출된 EPG 타이틀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룹 분할처리를 수행한다. 이 처리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이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처리의 결과로서, 미리 설정된 기호 키워드에 근거하여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이 다른 그룹으로 분할된다.
단계(S343)에서, 집약부(103)는 단계(S342)의 처리에 의해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에 대응하는 폴더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더 상세하게는, 집약부(103)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폴더에 집약되어 있는 하위의 폴더에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 2 계층의 아이콘(414)을 선택하고, 아이콘(414)에 대응하는 컨텐츠와 제 3 계층 폴더(폴더(421 내지 423))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집약부(103)는 제 3 계층의 폴더(421 내지 423) 중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343)에서 대응하는 폴더가 있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44)로 진행한다.
단계(S344)에서, 집약부(103)는 단계(S343)의 처리에 의해 발견된 대응하는 폴더가 하위 계층의 폴더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그것에 의해 다음의 계층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344)에서, 다음의 계층(next level)이 있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45)로 진행하고, 다음의 계층(즉, 하위의 계층)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는 단계(S343)로 돌아간다.
단계(S343)에서 대응하는 폴더가 없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46)로 진행한다. 단계(S346)에서, 단계(S343)의 처리에 의해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된 폴더를 식별하는 정보가 얻어졌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단계(S346)에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된 폴더를 식별하는 정보가 얻어졌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47)로 진행한다. 단계(S347)에서, 집약부(103)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폴더에 컨텐츠를 추가한다. 즉, 이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의 수가 1 증가한다.
단계(S348)에서, 집약부(103)는 이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의 수에 1을 더한다. 그 결과, 이 폴더의 폴더 부가정보의 "Number of Titles" 부분이 변경된다. 더욱이, 그 폴더의 폴더 부가정보의 개시시각 또는 종료시각 또한 필요에 따라 변경된다.
단계(S346)에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된 폴더를 식별하는 정보가 얻어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단계(S347, S348)를 생략하고, 제어는 단계(S349)로 진행한다.
단계(S348)의 처리 후, 단계(S346)에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된 폴더를 식별하는 정보가 얻어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또는, 단계(S344)에서 다음의 계층이 없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49)로 진행한다. 단계(S349)에서, 집약부(103)는 다른 추가된 컨텐츠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349)에서 다른 추가된 컨텐츠가 있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41)로 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여기서, 단계(S346)에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된 폴더를 식별하는 정보가 얻어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이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폴더가 없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추가된 컨텐츠는 폴더에 추가되지 않고 대신에 그것 자신이 표시되게 된다.
단계(S349)에서, 다른 추가된 컨텐츠가 없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50)로 진행하고, 화면의 표시가 변경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화면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컨텐츠 추가처리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35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컨텐츠 삭제처리(content deleting process)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계층의 폴더에 집약되어 있는 컨텐츠 및 하위의 폴더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예를 들면, 컨텐츠가 삭제되었을 때 수행된다.
단계(S371)에서, 집약부(103)는 삭제될 컨텐츠를 식별한다.
단계(S372)에서, 집약부(103)는 폴더가 단계(S371)의 처리에 의해 식별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더 상세하게는, 집약부(103)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폴더에 집약되어 있는 하위 폴더에 단계(S371)의 처리에 의해 식별된 삭제될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 2 계층의 아이콘(414)을 선택하고, 아이콘(414)에 대응하는 제 3 계층 폴더(즉, 폴더(421 내지 423))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집약부(103)는 삭제될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제 3 계층 폴더(421 내지 423)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372)에서, 삭제될 컨텐츠를 포함하는 폴더가 있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73)로 진행한다.
단계(S373)에서, 집약부(103)는 그 폴더로부터 해당 컨텐츠(즉, 단계(S371)의 처리에 의해 식별된 컨텐츠)를 삭제한다.
단계(S374)에서, 집약부(103)는 이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의 수에서 1을 감산한다. 그 결과, 이 폴더의 폴더 부가정보의 "Number of Titles" 부분이 변경된 다. 또한, 이 폴더의 폴더 부가정보의 개시시각 또는 종료시각도 필요에 따라 변경된다.
단계(S375)에서, 집약부(103)는 이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의 수가 1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예를 들면, 단계(S373)의 처리에 의해 폴더로부터 컨텐츠가 삭제된 후, 그 폴더에 집약되어 있는 컨텐츠의 수가 1 이상 인지 아닌지(즉, 이 폴더에 집약되어 있는 컨텐츠의 수가 0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단계(S375)에서 컨텐츠의 수가 1 이상이 아니라고(즉, 컨텐츠의 수가 0이라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76)로 진행하고, 집약부(103)는 그 폴더를 삭제한다.
한편, 단계(S375)에서 컨텐츠의 수가 1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단계(S376)를 생략하고, 제어는 단계(S377)로 진행한다.
단계(S372)에서 삭제될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폴더가 없다고 판정되면, 단계(S373 내지 S376)의 처리는 생략된다. 단계(S372)에서 삭제될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폴더가 없다고 판정되면, 이는, 그 컨텐츠는 어느 폴더에도 집약되지 않고 대응하는 썸네일 등과 함께 표시되고 있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폴더에 관한 표시는 변경되지 않고, 그 컨텐츠는, 표시상에서, 대응하는 썸네일 등과 함께 삭제된다.
단계(S377)에서, 집약부(103)는 다른 삭제된 컨텐츠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377)에서 다른 삭제된 컨텐츠가 있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71)로 돌아가고,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377)에서 다른 삭제된 컨텐츠가 없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378) 로 진행하고, 화면의 표시가 변경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 화면이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변경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컨텐츠 삭제처리가 수행된다.
가끔씩, 예를 들면, 연속으로 방송되는 연속극(serialized dramas) 등의 최종회나 특별 방송분(special installment)의 컨텐츠에 다른 방송분과는 다른 타이틀이 부여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의 방송분과는 다른 타이틀이 부여된 그러한 컨텐츠의 경우는,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의 결과로서의 적절한 폴더에 그 컨텐츠가 포함되지 않게 된다. 또한, 그 컨텐츠가 실수로 부적절한 폴더에 포함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장치(11)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임의의 기록된 컨텐츠의 타이틀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계층의 폴더에 집약되어 있는 컨텐츠 및 하위 폴더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컨텐츠의 타이틀이 변경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및 폴더의 목록의 표시의 변경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아이콘(414)이 선택된 결과로서 제 2 계층 아이콘(414)에 대응하는 컨텐츠 및 폴더의 목록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가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폴더(421)에 집약되어 있는 2개의 컨텐츠 중 하나의 타이틀이 "One and Only Love"으로 변경되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화면 은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변경된다.
도 36의 예에서, 폴더 명칭이 "SHOWBZ MAN"인 제 3 계층 폴더(421)의 "Number of Titles"(즉, 컨텐츠의 수)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2" 대신에 "1(=2-1)"이 되고, 반면, 폴더 명칭이 "One and Only Love"인 제 3 계층 폴더(422)의 "Number of Titles"(즉, 컨텐츠의 수)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11" 대신에 "12(=11+1)"가 된다. 즉, 선택된 제 2 계층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 및 제 3 계층 폴더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제 3 계층 폴더에 포함되어야 할 컨텐츠의 타이틀이 변경되면, 그 제 3 계층 폴더의 우측에 표시된 폴더 부가정보가 변경된다.
도 36의 예에서는, 폴더(421 및 422)의 "Number of Titles"의 표시만이 변경된다. 그러나, 여기서, 폴더(421 및 422)의 개시시각 또는 종료시각의 표시도 또한 타이틀이 변경된 컨텐츠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 변경된다.
다음으로, 도 37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컨텐츠 타이틀 변경처리(content title changing process)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 및 하위 폴더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컨텐츠의 타이틀이 변경되었을 때 수행된다.
단계(S401)에서, 집약부(103)는 타이틀이 변경된 컨텐츠를 식별한다.
단계(S402)에서, 집약부(103)는 단계(S401)의 처리에 의해 식별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폴더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더 상세하게는, 집약부(103)는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폴더에 집약된 하위 폴 더에, 예를 들면, 컨텐츠의 타이틀이 변경될 컨텐츠와 같이, 단계(S401)의 처리에 의해 식별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 2 계층 아이콘(414)에 대응하는 컨텐츠 및 제 3 계층 폴더(즉, 폴더(421 내지 423))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타이틀을 변경해야 할 컨텐츠가 제 3 계층 폴더(421 내지 423) 중 어느 것인가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단계(S402)에서 그러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폴더가 있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403)로 진행한다.
단계(S403)에서, 집약부(103)는 그 폴더로부터 해당 컨텐츠(즉, 단계(S401)의 처리에 의해 식별된 컨텐츠)를 삭제한다.
단계(S404)에서, 집약부(103)는 그 폴더의 컨텐츠의 수로부터 1을 감산한다. 그 결과, 그 폴더의 폴더 부가정보의 "Number of Titles" 부분이 변경된다. 더욱이, 그 폴더의 폴더 부가정보의 개시시각 또는 종료시각도 또한 필요에 따라 변경된다.
단계(S405)에서, 집약부(103)는 그 폴더의 컨텐츠의 수가 1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예를 들면, 단계(S403)의 처리에 의해 폴더로부터 컨텐츠가 삭제된 후 그 폴더에 집약되어 있는 컨텐츠의 수가 1 이상 인지 아닌지(즉, 그 폴더에 집약되어 있는 컨텐츠의 수가 0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단계(S405)에서 컨텐츠의 수가 1 이상이 아니라고(즉, 컨텐츠의 수가 0이라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406)로 진행한다. 단계(S406)에서, 집약부(103)는 그 폴더를 삭제한다.
한편, 단계(S405)에서 컨텐츠의 수가 1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단계(S406)를 생략하고, 제어는 단계(S407)로 진행한다.
단계(S402)에서, 그러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폴더가 없다고 판정되면, 단계(S403 내지 S406)를 생략하고, 제어는 단계(S407)로 진행한다.
단계(S407)에서, EPG 데이터 취득부(101)는 타이틀이 변경된 컨텐츠의 EPG 타이틀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EPG 타이틀 데이터를 제어부(105)를 통하여 그룹 분할부(102)에 공급한다.
단계(S408)에서, 그룹 분할부(102)는 단계(S407)에서 추출된 EPG 타이틀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룹 분할처리를 수행한다. 이 처리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와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처리의 결과로서, 미리 설정된 기호 키워드에 근거하여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이 다른 그룹으로 분할된다.
단계(S409)에서, 집약부(103)는 단계(S408)의 처리에 의해 그룹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폴더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더 상세하게는, 집약부(103)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폴더에 집약되어 있는 하위 폴더에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 2 계층의 아이콘(414)을 선택하고, 아이콘(414)에 대응하는 컨텐츠 및 제 3 계층의 폴더(즉, 폴더(421 내지 423))의 목록이 표시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집약 부(103)는 제 3 계층 폴더(421 내지 423) 중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폴더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409)에서 대응하는 폴더가 있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410)로 진행한다.
단계(S410)에서, 집약부(103)는 단계(S409)의 처리에 의해 발견된 대응하는 폴더가 하위 계층의 폴더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그것에 의해, 다음의 계층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410)에서 다음의 계층이 있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411)로 진행하고, 다음의 계층(즉, 하위의 계층)으로 이동한다. 그 후, 제어는, 단계(S409)로 돌아간다.
단계(S409)에서 대응하는 폴더가 없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412)로 진행한다. 단계(S412)에서, 단계(S409)의 처리에 의해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된 폴더를 식별하는 정보가 취득되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단계(S412)에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된 폴더를 식별하는 정보가 취득되었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413)로 진행한다. 단계(S413)에서, 집약부(103)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폴더에 컨텐츠를 추가한다. 즉, 이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이 수가 1 증가한다.
단계(S414)에서, 집약부(103)는 이 폴더에 집약된 컨텐츠의 수에 1을 가산한다. 그 결과, 이 폴더의 폴더 부가정보의 "Number of Titles" 부분이 변경된다. 더욱이, 그 폴더의 폴더 부가정보의 개시시각 또는 종료시각도 또한 필요에 따라 변경된다.
단계(S412)에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된 폴더를 식별하는 정보가 취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단계(S413, S414)를 생략하고, 제어는 단계(S415)로 진행한다.
단계(S414)의 처리 후, 단계(S412)에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된 폴더를 식별하는 정보가 취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또는 단계(S410)에서 다음의 계층이 없다고 판정되면, 제어는 단계(S415)로 진행한다.
여기서, 단계(S412)에서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된 폴더를 식별하는 정보가 취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이는 EPG 타이틀 데이터의 문자열과 대응하는 폴더가 없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타이틀이 변경된 컨텐츠는 어느 폴더에도 추가되지 않고 대신에 그것 자신이 표시되게 된다.
단계(S402)에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폴더가 없다고 판정되면, 이는 그 컨텐츠가 어느 폴더에도 포함되지 않고 대응하는 썸네일 등과 함께 표시되고 있던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폴더에 관한 표시는 변경되지 않고, 표시상에서, 그 컨텐츠는 썸네일 등과 함께 삭제되거나, 또는, 그 컨텐츠의 타이틀이 변경된다.
단계(S415)에서, 화면의 표시가 변경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화면이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컨텐츠 타이틀 변경처리가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 친화적인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한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또는 저장매체로부터, 전용의 하드웨어 구조를 가지는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이 설치되었을 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예를 들면,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범용 개인용 컴퓨터(general-purpose personal computer)(700)에 설치된다.
도 38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701)는 ROM(Read Only Memory)(70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storage section)(708)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 ory)(703)에 로드(load)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다양한 처리를 수행한다. RAM(703)에는, CPU(701)가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하게 저장된다.
CPU(701), ROM(702) 및 RAM(703)은 버스(70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input/output interface)(705)도 또한 버스(704)에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70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input section)(706),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output section)(707),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storage section)(708), 모뎀, LAN 카드 등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부(communication section)(709)에 접속된다. 통신부(709)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처 리(communication process)를 수행한다.
드라이브(710)가 또한 필요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705)에 접속된다. 자기디스크(magnetic disk), 광디스크(optical disk), 광자기 디스크(magneto-optical disk) 또는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와 같은 리무버블 매체(removable medium)(711)가 적절하게 드라이브에 탑재된다. 리무버블 매체(711)로부터 읽혀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기억부(708)에 인스톨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처리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또는, 리무버블 매체(711)와 같은 기록매체로부터 인스톨 된다.
여기서, 이 기록매체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그 안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가지는 리무버블 매체(711)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무버블 매체(711)의 예는 자기디스크(floppy disk(등록상표)를 포함한다), 광디스크(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및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MD(Mini-Disk)(등록상표)를 포함한다) 및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저장매체는, 그 안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가지며 그것들을 포함하는 장치와 함께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기억부(708) 등에 포함되는 ROM(702)이나 하드디스크 등일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한 일련의 처리의 단계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순서대로 시계열적으로(chronologically)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될 필요는 없다. 처리에 따라서는 병렬적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서 설계상의 요구(design acquirements) 및 기타 다른 요인에 따라 다양한 수정(modifications), 결합(combinations), 부분결합(sub-combinations) 및 대체(alternations)가 일어날 수 있음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기록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타이틀 집약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4는 그룹 분할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키워드의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6은 그룹으로 분할된 EPG 타이틀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그룹 분할처리에 이용되는 기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폴더 작성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폴더의 작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타이틀 집약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컨텐츠 타이틀 설정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GUI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컨텐츠의 목록의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된 컨텐츠의 목록을 나타내는 GUI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된 컨텐츠의 목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된 컨텐츠의 목록을 나타내는 GUI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된 컨텐츠의 목록을 나타내는 GUI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종래기술에서 저장매체 상에 컨텐츠 타이틀을 인쇄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장매체 상에 컨텐츠 타이틀을 인쇄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장매체 상에 컨텐츠 타이틀을 인쇄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장매체 상에 컨텐츠 타이틀을 인쇄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장매체 상에 컨텐츠 타이틀을 인쇄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 계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제 1 계층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 2 계층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 3 계층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제 4 계층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제 5 계층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폴더 부가정보 생성하는 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1은 새로운 컨텐츠가 추가되었을 때의 표시화면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컨텐츠가 삭제되었을 때의 표시화면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다른 컨텐츠가 추가로 삭제되었을 때의 표시화면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컨텐츠 추가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5는 컨텐츠 삭제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6은 컨텐츠의 타이틀이 변경되었을 때의 표시화면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컨텐츠 타이틀 변경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8은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컨텐츠 기록 시스템 11. 데이터 처리장치
12. 텔레비전 수상기 13. 프린터
51. 튜너 52. 컨트롤러
53. HDD 101. EPG 데이터 취득부
102. 그룹 분할부 103. 집약부
104. 컨텐츠 타이틀 설정부 105. 제어부
121. 형태소 해석부 122. 키워드 검출부
301. 디스크

Claims (21)

  1. 각각의 컨텐츠에 부가된 메타데이터(metadata)에 근거하여 각각의 복수의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설정(set)하는 데이터 처리장치(data processing apparatus)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에 관련되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취득하는 타이틀정보 취득수단(titl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과,
    상기 타이틀정보의 모든 상기 컨텐츠에 공통되는(common) 부분(part)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비교(comparing)하는 정보추출수단(information extraction means)과,
    상기 타이틀정보의 모든 상기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 이외의 상기 타이틀정보의 다른 부분(other part)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식별정보 설정수단(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ting means)과,
    상기 타이틀정보를 복수의 단위정보의 부분(pieces of unit information)으로 분할하는 타이틀정보 분할수단(title information separating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추출수단은, 상기 컨텐츠 중 다른 것과 공통되는 단위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의 부분을 비교하고, 상기 공통되는 단위정보는 계층(hierarchy)을 형성하도록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설정수단은,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정보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되지 않았던 단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설정수단은, 다른 어느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의 부분에도 포함되지 않는 1개 이상의 단위정보의 부분을 그 컨텐츠의 식별정보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설정수단은, 다른 어느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의 부분에도 포함되지 않는 1개 이상의 단위정보의 부분이 정해진 조건(predetermined condition)을 만족하면, 그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정보 이외에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의 다른 부분(another piece of information)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recording means)과,
    상기 식별정보의 목록(list)을 제시하는 제시수단(presenting means)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정보의 목록으로부터 선택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데이터가 상기 기록수단으로부터 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정보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타이틀정보의 공통부분(common part)과 관련되도록, 상기 타이틀정보의 공통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타이틀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틀정보 분할수단은,
    상기 타이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형태소 해석하기 위한 형태소 해석수단(morphological analysis means)과,
    상기 형태소 해석수단에 의해 형태소분석의 결과로서 얻어진 형태소(morphemes)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키워드를 검출하는 키워드 검출수단(keyword detection means)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단위정보의 부분은 상기 키워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틀정보 분할수단은, 미리 설정된(previously set) 소정의 키워드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단위정보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추출수단에 의해 계층을 형성하도록 추출된 상기 공통되는 단위정보에 관한 계층 수(number of hierarchical levels)의 상한(upper limit)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11. 각각의 컨텐츠에 부가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각각의 복수의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해 사용되는(employed) 데이터 처리방법(data processing method)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에 관련되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틀정보의 모든 상기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틀정보의 모든 상기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 이외의 상기 타이틀정보의 다른 부분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틀정보를 복수의 단위정보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중 다른 것과 공통되는 단위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의 부분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되는 단위정보는 계층을 형성하도록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방법.
  12. 각각의 컨텐츠에 부가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각각의 복수의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에 관련되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취득하는 타이틀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타이틀정보의 모든 상기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비교하는 정보추출수단과,
    상기 타이틀정보의 모든 상기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 이외의 상기 타이틀정보의 다른 부분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식별정보 설정수단과,
    상기 타이틀정보를 복수의 단위정보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타이틀정보 분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추출수단은, 상기 컨텐츠 중 다른 것과 공통되는 단위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의 부분을 비교하고, 상기 공통되는 단위정보는 계층을 형성하도록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3. 삭제
  14. 기록매체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데이터(print data)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denoting) 문자열(character sequence)을 취득하는 타이틀 취득수단(title acquisition means)과,
    상기 타이틀정보를 복수의 단위정보의 부분(pieces of unit information)으로 분할하는 타이틀정보 분할수단(title information separating means)과,
    상기 컨텐츠 중 다른 것과 공통되는 단위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의 부분을 비교하고, 상기 공통되는 단위정보는 계층(hierarchy)을 형성하도록 추출되는 정보추출수단(information extraction means)과,
    상기 인쇄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쇄데이터 생성수단(print data generation means)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모든 상기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이, 상기 기록매체의 제 1 영역(first area)에 인쇄되고,
    상기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문자열의 부분 이외의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다른 부분이 상기 기록매체의 제 2 영역(second area)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관련된 날짜(date) 및 시각(time)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 2 영역에 추가로(additionally)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데이터 생성수단은,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관련된 날짜 및 시각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문자열을, 상기 기록매체의 제 3 영역(third area)에, 추가로 인쇄하기 위한 인쇄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 인쇄된 문자열 중에서, 2개 이상의 컨텐츠에 공통되는 문자열이 상기 제 2 영역의 소정의 위치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컨텐츠가 N개의 집합(set)으로 분류되고(classified),
    상기 기록매체의 제 1 및 제 2 영역이 각각 N개의 부분(part)으로 나누어지며(divided),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N개의 집합에 대하여, 동일한 집합 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부분이, 상기 제 1 영역의 N 개의 부분 중 하나에 인쇄되고,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N개의 집합에 대하여, 상기 동일한 집합 내의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문자열의 부분 이외에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다른 부분이 상기 제 2 영역의 N 개의 부분 중 하나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문자열을 인쇄하는 인쇄수단(printing mean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20. 각각의 컨텐츠에 부가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각각의 복수의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컨텐츠의 타이틀에 관련되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타이틀정보 취득부(title information acquisition section)와,
    상기 타이틀정보의 모든 상기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를 비교하도록 구성된 정보추출부(information extraction section)와,
    상기 타이틀정보의 모든 상기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 이외의 상기 타이틀정보의 다른 부분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식별정보 설정부(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ting section)와,
    상기 타이틀정보를 복수의 단위정보의 부분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된 타이틀정보 분할부(title information separating s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컨텐츠 중 다른 것과 공통되는 단위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의 부분을 비교하고, 상기 공통되는 단위정보는 계층을 형성하도록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21. 기록매체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타이틀 취득부(title acquisition section)와,
    상기 타이틀정보를 복수의 단위정보의 부분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된 타이틀정보 분할부(title information separating section)와,
    상기 컨텐츠 중 다른 것과 공통되는 단위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정보의 단위정보의 부분을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통되는 단위정보는 계층을 형성하도록 추출되는 정보추출부(information extraction section)와,
    상기 인쇄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인쇄데이터 생성부(print data generation section)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모든 상기 컨텐츠에 공통되는 부분이, 상기 기록매체의 제 1 영역에 인쇄되고,
    상기 모든 컨텐츠에 공통되는 문자열의 부분 이외의 상기 각각의 컨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문자열의 다른 부분이 상기 기록매체의 제 2 영역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KR1020080044421A 2007-05-15 2008-05-14 데이터 처리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474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29365 2007-05-15
JPJP-P-2007-00129366 2007-05-15
JPJP-P-2007-00129365 2007-05-15
JP2007129366A JP4395794B2 (ja) 2007-05-15 2007-05-15 データ処理装置
JP2007193249A JP4437559B2 (ja) 2007-05-15 2007-07-25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JP-P-2007-00193249 2007-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701A KR20080101701A (ko) 2008-11-21
KR101474474B1 true KR101474474B1 (ko) 2014-12-19

Family

ID=4028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421A KR101474474B1 (ko) 2007-05-15 2008-05-14 데이터 처리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4474B1 (ko)
DE (1) DE602008002633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817A (ko) * 2021-08-06 2023-02-14 황교찬 컴퓨터 업무 기록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305B1 (ko) 2009-07-01 2013-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이금속 촉매를 이용한 탄성 중합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817A (ko) * 2021-08-06 2023-02-14 황교찬 컴퓨터 업무 기록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31304B1 (ko) * 2021-08-06 2023-05-10 황교찬 컴퓨터 업무 기록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8002633D1 (de) 2010-11-04
KR20080101701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0494B2 (ja) コンテンツ・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マネジメント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501980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78441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roduct
JP5770408B2 (ja) 映像コンテンツ視聴端末
JP2007334984A (ja) ビデオライブラリー管理方法及び装置
KR101392273B1 (ko) 키워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JP4984180B2 (ja) データ処理装置
CN1584886A (zh) 内容检索系统
EP1993052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the identification of content
US20060024025A1 (e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and signal reproducing method
JP2010245853A (ja) 動画インデクシング方法及び動画再生装置
KR20090038806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제시 장치, 정보 제시 방법, 정보 제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74474B1 (ko) 데이터 처리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8493320B2 (en) Display control device, content output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mage used in retrieval operation, and program
JP200726725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ファイル再生方法
JP2011013860A (ja)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76069B1 (ko) 저장된 방송 목록에 대한 빠른 정보검색(quick browsing) 기능을 갖춘 PVR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090276809A1 (en) Method of browsing recorded news program and brow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09076988A (ja) コンテンツ情報表示装置、コンテンツ情報の表示方法
JP2007251903A (ja) 録画番組管理装置
JP4395794B2 (ja) データ処理装置
JP4769838B2 (ja) コンテンツ操作方法及びコンテンツ操作プログラム
JP5229377B2 (ja) プレイリスト作成方法
KR20070033119A (ko) Pvr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이용한 녹화 목록 검색방법
JP2011040099A (ja) 表示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