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407B1 - 떡납줄갱이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종묘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떡납줄갱이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종묘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407B1
KR101474407B1 KR20140116109A KR20140116109A KR101474407B1 KR 101474407 B1 KR101474407 B1 KR 101474407B1 KR 20140116109 A KR20140116109 A KR 20140116109A KR 20140116109 A KR20140116109 A KR 20140116109A KR 101474407 B1 KR101474407 B1 KR 101474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days
rice
maturation
no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용
강은경
지준오
김근식
송하윤
방인철
조성장
현 양
Original Assignee
(주)한국생물보전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생물보전연구소 filed Critical (주)한국생물보전연구소
Priority to KR20140116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자루아과의 떡납줄갱이의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 종묘생산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수온과 광주기에서 선호되는 숙주조개에서 자연산란시켜 떡납줄갱이를 가두리 양식장에서 대량 사육시킬 수 있는 떡납줄갱이의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 종묘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떡납줄갱이 친어의 성숙유도 조건, 선호숙주조개 및 종묘를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산 어미를 관리 사육하다가, 실험을 통해 구명된 최적 광주기와 수온을 토대로 성숙시키고, 각 종별 선호조개(작은말 조개, 대칭이 조개, 말조개)를 이용하여 산란유도 및 종묘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떡납줄갱이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종묘생산 방법{METHOD FOR MASS SEEDLING PRODUCTION BY MATURATION INDUCTION OF PHODEUS NOTATUS IN KOREAN BITTERLINGS(ACHEILOGNATHINAE) THROUGH INDUCED MATURING}
본 발명은 납자루아과의 떡납줄갱이의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종묘생산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수온과 광주기에서 선호되는 숙주조개에서 자연산란시켜 떡납줄갱이를 가두리 양식장에서 대량 사육시킬 수 있는 떡납줄갱이의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 종묘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납자루아과 떡납줄갱이는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잉어과에 속하는 소형의 담수어로서 중국대륙을 중심으로 하여 시베리아 남부, 한국, 일본, 대만과 북부 베트남 등에 약 40여 종이 분포하며, 그 가운데 납줄개 Rhodeus sericeus 1종만이 유럽까지 분포하고 있다.
납자루아과의 전면적인 공통점은 납자루아과 어류의 수컷은 생식시기에 혼인색이 현저하게 아름답고 종간에 뚜렷한 차이가 있어 분류 형질로 이용되기도 하며, 납자루아과 어류의 암컷은 산란기에 긴 산란관이 나와 담수이매패(조개)의 샛강 안에 산란을 하고 수컷이 방정을 한 후 그 곳에서 부화하여 자유 유영기가 될 정도로 자랐을 때 샛강 바깥으로 나오게 된다.
한국산 납자루아과 어류는 이미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서호납줄개 Rhodeus hondae를 포함하여 3속 14종이다.
< 표 1 > 한국산 납자루아과 목록
Figure 112014083828402-pat00001
< 표 2 > 기술분야 및 종래기술개발
Figure 112014083828402-pat00002

이들 연구기관은 주로 식용 양식어종에 대한 기술개발이 집중되어 있어 우리나라 토종 담수어류 기술개발은 미흡하며, 대부분 해산어에 치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토종 담수어류의 연구개발에서도 기초생태 및 사육조건 등 기초연구에 한정되어 있다.
국내 천연기념물 및 멸종 위기어류 10여 종의 복원사업에 관련기술이 적용되고 있다(어름치, 미호종개, 꾸구리, 돌상어, 가는 돌고기 등).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2008-0020810) '전어의 성성숙시기 제어를 통한 조기 산란 유도 및 이를 이용한 종묘생산방법', 한국공개특허(1999-00002626) '농어의 수정란 생산방법', 한국공개특허(1997-0025382) '미생물학적 순환여과식 고밀도 어류 사육방법 및 그 장치', 한국공개 특허(2005-0102458) '말쥐치의 조기산란유도 및 종묘생산방법' 등이 공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대상종에 대한 성숙유도를 통한 종묘 대량생산 방법 등은 공개된 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우리나라 토종 담수어류의 양식기술개발을 통해 급격히 사라져 가는 납자루아과의 자원을 복원하고, 타 어종으로의 기반기술 제공하며, 관상어 시장의 안정적 공급 및 합법적 거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연산 및 양식산 친어를 이용하여, 수온과 광주기의 조절을 통한 조기 성숙을 유도하고, 선호 숙주를 사용하여 종묘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떡납줄갱이의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 종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떡납줄갱이의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 종묘생산 방법은 떡납줄갱이의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 종묘생산방법에 있어서,
떡납줄갱이의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 종묘생산방법에 있어서,
(a) 떡납줄갱이의 친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친어를 18 ~ 23℃의 사육 수온으로 유지하고, 100L-4톤의 수조에서 항생제 투여와 약욕을 2~3일 동안 진행하고, 친어의 안정화 및 먹이 순치를 위해 외부 충격을 배제하며, 수서곤충 및 동물성 플랑크톤과 배합사료로 3-4일 동안 순차적으로 병행 공급하고, 5일 이후에는 배합사료로 전환하여 1일 3-4회 공급하여 순치 및 사육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사육된 친어를 순환 여과식 친어 수조로 옮기고 수온 및 광주기를 21℃의 수온 및 12L(명, light) 및 12D(암, Dark)의 광주기로 조절하여 성숙시키되 사육 개시 후, 27일째에 산란관 길이비율(산란관 길이/체장*100, %)이 최대인 경우, 성숙된 것으로 판단하는 성숙여부 판단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성숙여부가 판단된 친어를 대칭이 조개를 숙주조개로 하여 자연산란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대칭이 조개에 자연산란시킨 난을 21℃에서 17±1.5일 동안 관리하여 숙주조개 밖으로 나온 자어를 가두리 양식장에서 대량 사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떡납줄갱이를 효율적으로 성숙유도할 수 있으며, 떡납줄갱이의 선호 숙조 조개를 구명하여, 최적의 종묘생산방법 및 대량생산방법을 통해 완전양식이 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납자루아과 떡납줄갱이의 산란유도 및 종묘생산 전체 과정도
도 2는 성숙유도, 담수조개 및 종묘생산에 사용된 시설
도 3은 대량종묘생산을 위한 인공수정 및 자연 산란유도 실험
도 4는 양어장의 가두리(7×7×0.5m)를 이용한 대량종묘생산 실험
도 5는 수온 및 광주기(14L(명, light)/10D(암, Dark))에 따른 떡납줄갱이 성숙유도
도 6은 수온 및 광주기(12L(명, light)/12D(암, Dark))에 따른 떡납줄갱이 성숙유도
도 7은 수온 및 광주기(10L(명, light)/14D(암, Dark))에 따른 떡납줄갱이 성숙유도
도 8은 자연광주기(10L(명, light)→11.5L(명, light)) 및 수온(17℃) 따른 성숙유도
도 9는 떡납줄갱이의 평균 산란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떡납줄갱이의 숙주선호도
도 11은 인공수정 및 자연산란에 따른 유영시간
도 12는 인공수정 및 자연산란에 따른 생존율
도 13은 인공수정 및 자연산란에 따른 기형률
도 14는 성숙 및 미성숙 떡납줄갱이의 가두리 산란효과
본 발명은 자연산 및 양식산 친어를 이용하여, 수온과 광주기의 조절을 통한 조기 성숙을 유도하고, 선호 숙주를 사용하여 종묘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떡납줄갱이의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 종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떡납줄갱이의 대량종묘생산을 위한 성숙유도방법, 각 종별 선호숙주, 대량생산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떡납줄갱이가 산란할 수 있는 선호하는 담수 패류(작은말조개, 대칭이 조개, 말조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떡납줄갱이의 인공수정과 자연산란의 부화시간, 생존율, 기형률을 제공하고 대량종묘생산을 위해 양어장을 활용하는 방법, 성숙 친어를 양어장 가두리에 수용하여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 1단계 : 친어 순치 / 관리
자연산 친어는 충남 아산시 지류 하천에서 확보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친어의 떡납줄갱이의 암컷 및 수컷의 전장과 체중은 표 3과 같았다.
친어의 평균 전장과 체중
친어 종류 전장(cm) 체중(g)
암컷 수컷 암컷 수컷
떡납줄갱이 4.50 ± 1.61 5.67 ± 1.81 2.21 ± 1.02 3.47 ± 1.87
제 2단계 : 친어 관리
자연산 친어를 실내 순치에 순치하기 위해 100L-4톤 수조를 활용하였으며, 세균성 및 기생충성 질병 차단을 위해 항생제투여와 약욕을 2-3일 동안 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물갈이(1/2)를 통해 실내에 적응이 잘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먹이는 수서곤충 및 동물성 플랑크톤로 순치시켰다. 이후 영양적 측면을 고려하여 배합사료로 3-4일 동안 순차적으로 병행 공급하였으며, 5일 이후에는 배합사료로 전환시켰다.
제 3단계 : 친어 성숙유도를 위한 실험군 설계
실험군의 설계는 떡납줄갱이, 작은말조개, 대칭이 조개, 말조개를 이용하여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도 2, 표4).
< 표 4 > 성 성숙 조건을 알아보기 위한 각각의 실험조건
Figure 112014083828402-pat00003
* 떡납줄갱이 390마리를 암수 각 30마리 입수
** 작은말조개, 대칭이 조개, 말조개 실험군별 각 50마리
* 수온보정 : 자동온도조절기가 부착된 히터, 냉각기
* 실험기간 : 1개월, 실험 수조 : 100L 순환여과수조, 친어 유형: 2년생 2.5g 이상
< 성숙유도 결과 >
1) 실험군 1 : 14L(명, light)/10D(암, Dark)
떡납줄갱이를 대상으로 광주기 14L(명, light)/10D(암, Dark) 조건에 35일 동안 실험한 결과 17℃와 14℃ 실험에서는 성숙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산란관 길이(산란관길이/체장*100, %)가 실험기간 동안 10% 전후의 변화로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23℃와 21℃에서는 실험개시 후 18일부터 산란관 길이가 점진적으로 신장되어 27일째에는 가장 높은 신장률을 보였다(도 5)
2) 실험군 2 : 12L(명, light)/12D(암, Dark)
떡납줄갱이를 대상으로 광주기 12L(명, light)/12D(암, Dark) 조건에 35일 동안 실험한 결과 17℃와 14℃ 실험에서는 성숙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산란관 길이(산란관길이/체장*100, %)가 실험기간 동안 10% 전후의 변화로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23℃와 21℃에서는 실험개시 후 18일부터 산란관 길이가 점진적으로 신장되어 27일째에 가장 높은 신장률을 기록하였다(도 6).
3) 실험군 3 : 10L(명, light)/14D(암, Dark)
떡납줄갱이를 대상으로 광주기 10L(명, light)/14D(암, Dark) 조건에 35일 동안 실험한 결과 17℃와 14℃ 실험에서는 성숙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산란관 길이(산란관길이/체장*100, %)가 실험기간 동안 10% 전후의 변화로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23℃와 21℃에서는 실험개시 후 18일부터 산란관 길이가 점진적으로 신장되어 27일째에 가장 높은 신장률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실험군 1과 2에 비해 산란관 길이의 신장률이 약 17%의 낮은 결과를 보였다(도 7).
4) 실험군 4(대조구) : 자연광주기+17℃
떡납줄갱이를 대상으로 자연광주기(10L(명, light)→11.5L(명, light))와 17℃ 조건에서 35일 동안 실험한 결과 모든 실험구에서 산란관의 신장률 10% 전후의 결과를 보여 성숙이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8).
제 4단계 : 대량종묘생산 방법 : 자연 산란유도 및 인공 종묘생산
3단계 실험에서 구명된 떡납줄갱이의 최적 조건(광주기, 수온, 조개)을 대상으로 대량성숙을 유도한다. 성숙된 종을 대상으로 인공종묘생산과 숙주(조개)에 자연산란을 유도하는 실험군을 설정하여 기형률, 생존율 및 부화기간을 비교하여 대량 종묘생산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도 3 참조).
< 종묘생산방법 : 자연산란유도 , 인공종묘생산 >
1) 숙주별 평균 산란수
떡납줄갱이를 대상으로 숙주조개 30개를 해부하여 평균산란수를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이 산란된 숙주 조개는 대칭이 조개로 평균 6.8±1.5개로 나타났다(도 9).
2) 숙주선호도
떡납줄갱이를 대상으로 숙주조개 선호도를 30일 동안 실험한 결과 대칭이조개(86.7±3.5%), 작은말조개(33.3±1.0%), 말조개(30.0±5.3%) 순으로 나타났다(도 10).
3) 유영시간
떡납줄갱이를 대상으로 인공수정하여 21℃에서 부화시켜 난황이 흡수되고 자어가 유영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은 평균 20±0.5일이 소요된 반면, 숙주조개(대칭이조개, 30개체)에 자연산란시켜 21℃에서 관리하여 자어가 조개 밖으로 나오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17±1.5일이 소요되었다(도 11).
4) 생존율
떡납줄갱이를 대상으로 인공수정과 숙주조개(대칭이조개 30개체)에 자연산란 된 수정난을 21℃의 수온에서 부화시켜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자연산란 된 숙주조개는 평균 96.3±1.3%, 인공수정한 실험에서는 38.5±15.8%를 보였다(도 12).
5) 기형률
떡납줄갱이를 대상으로 인공수정과 숙주조개(대칭이조개 30개체)에 자연산란 된 수정난을 21℃의 수온에서 부화시켜 기형률을 측정한 결과 자연산란된 실험에서는 평균 2.0±0.5%, 인공수정 한 실험에서는 20.5±12.5%를 보였다(도 13).
제 5단계 : 양어장을 이용한 대량종묘생산 방법
4단계 실험에서 구명된 자연산란과 인공종묘생산의 기형률, 생존율, 부화기간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량종묘생산을 하기 위해 양어장에 모기장 망으로 가두리(7×7×0.5 m)를 설치하여, 성숙되지 않은 친어와 선호숙주(작은말조개, 대칭이조개, 말조개)를 수용하는 방법과, 최적 성숙유도조건을 토대로 4톤 수조에서 대량으로 성숙시킨 친어와 선호숙주를 수용하는 실험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도 4).
조개에 산란된 난을 조사하기 위해 친어와 조개를 수용 후 15일부터 20일 동안 매일 30개의 조개를 채집하여 산란수를 측정하여 산란율을 비교하였다(도 4).
이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양어장을 이용한 대량종묘생산 >
양어장에 모기장 가두리(7×7×0.7m)를 제작하여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육상수조에서 성숙시킨 친어, 미성숙 친어, 선호숙주를 양어장 가두리에 수용하여 35일 동안 실험하여 숙주 조개에 평균 산란수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떡납줄개이 성숙친어 실험구(암컷 : 1,500마리, 수컷 : 2,000마리)에서는 수용 후 9일째부터 숙주조개(대칭이 조개, 3,000개)에 산란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35일 동안 지속적으로 산란이 이루어졌으며, 숙주조개 1개당 평균 3.0±1.2개의 산란수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미성숙개체의 실험구에서는 수용 후 24일부터 산란이 이루어졌으며 평균 0.9±0.4개의 산란수를 기록하였다(도 14).
본 발명에 의해 떡납줄갱이를 효율적으로 성숙유도할 수 있으며, 떡납줄갱이의 선호 숙조 조개를 구명하여, 최적의 종묘생산방법 및 대량생산방법을 통해 완전양식이 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

  1. 떡납줄갱이의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 종묘생산방법에 있어서,
    (a) 떡납줄갱이의 친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친어를 18 ~ 23℃의 사육 수온으로 유지하고, 100L-4톤의 수조에서 항생제 투여와 약욕을 2~3일 동안 진행하고, 친어의 안정화 및 먹이 순치를 위해 외부 충격을 배제하며, 수서곤충 및 동물성 플랑크톤과 배합사료로 3-4일 동안 순차적으로 병행 공급하고, 5일 이후에는 배합사료로 전환하여 1일 3-4회 공급하여 순치 및 사육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사육된 친어를 순환 여과식 친어 수조로 옮기고 수온 및 광주기를 21℃의 수온 및 12L(명, light) 및 12D(암, Dark)의 광주기로 조절하여 성숙시키되 사육 개시 후, 27일째에 산란관 길이비율(산란관 길이/체장*100, %)이 최대인 경우 성숙된 것으로 판단하는 성숙여부 판단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성숙여부가 판단된 친어를 대칭이 조개를 숙주조개로 하여 자연산란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대칭이 조개에 자연산란시킨 난을 21℃에서 17±1.5일 동안 관리하여 숙주조개 밖으로 나온 자어를 가두리 양식장에서 대량 사육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떡납줄갱이의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 종묘생산 방법.
KR20140116109A 2014-09-02 2014-09-02 떡납줄갱이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종묘생산 방법 KR101474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6109A KR101474407B1 (ko) 2014-09-02 2014-09-02 떡납줄갱이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종묘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6109A KR101474407B1 (ko) 2014-09-02 2014-09-02 떡납줄갱이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종묘생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454 Division 2013-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407B1 true KR101474407B1 (ko) 2014-12-24

Family

ID=5267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6109A KR101474407B1 (ko) 2014-09-02 2014-09-02 떡납줄갱이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종묘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4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4284A (zh) * 2017-05-10 2017-09-01 临沂大学 一种鳑鲏鱼卵采集孵化装置
CN112471015A (zh) * 2020-11-25 2021-03-12 安徽水韵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蚶形无齿蚌的规模化繁育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461A (ko) * 2010-11-25 2012-06-04 임승묵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KR20130041464A (ko) * 2011-10-17 2013-04-2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자개 조기종묘생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461A (ko) * 2010-11-25 2012-06-04 임승묵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KR20130041464A (ko) * 2011-10-17 2013-04-2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자개 조기종묘생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용억외 1. 실험실에서 사육한 한국산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초기생활사. 한어지. 1990. 2(2). 159~168. *
안철민.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생식주기에 미치는 광주기 및 수온의 영향. 한어지. 7(1), 1995, 43~5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4284A (zh) * 2017-05-10 2017-09-01 临沂大学 一种鳑鲏鱼卵采集孵化装置
CN112471015A (zh) * 2020-11-25 2021-03-12 安徽水韵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蚶形无齿蚌的规模化繁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27808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sh reproduction, hatching and larval culture
CN101317552B (zh) 一年两茬曼氏无针乌贼工厂化养殖方法
CN103141426B (zh) 一种三疣梭子蟹高效养殖的方法
CN110771536B (zh) 一种全雌黄姑鱼的规模化培育方法
CN102379254A (zh) 一种红螯光壳螯虾可控化同步抱卵繁育方法
CN101755699B (zh) 细鳞鲑苗种培育方法
CN106922583A (zh) 一种罗氏沼虾spf(无病毒)苗种繁育方法
CN102986564A (zh) 一种小龙虾水泥池繁育方法
CN100370896C (zh) 半滑舌鳎的亲鱼培育方法
CN102283153B (zh) 一种秀丽白虾工厂化育苗方法
CN102919186B (zh) 一种多鳞鱚的人工繁育方法
KR101474407B1 (ko) 떡납줄갱이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종묘생산 방법
CN106386607A (zh) 一种克氏原螯虾分级池塘多茬养殖方法
JP5522395B2 (ja) 魚類の飼育方法
CN104430082A (zh) 一种泥鳅人工养殖技术
CN101971783B (zh) 江鳕全人工生态模拟养殖技术
CN104304136A (zh) 一种泥鳅苗的人工培育方法
CN112136738A (zh) 一种高抱卵量红螯螯虾亲本筛选及繁育方法
US11310999B2 (en) Aquaculture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almon eggs
CN103478032B (zh) 双须骨舌鱼自然产卵和孵化的养殖方法
CN114831060A (zh) 加州鲈鱼一年内两次性腺成熟的培育方法
Kutty et al. Culture of the Oriental riv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RU2614644C1 (ru) Способ интенсивного когортного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акарций (морских каланоидных копепод)
CN108719139B (zh) 一种短蛸世代工厂化养殖的方法
CN1235470C (zh) 翘嘴红鲌的人工提早繁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