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461A -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 Google Patents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461A
KR20120056461A KR1020100118015A KR20100118015A KR20120056461A KR 20120056461 A KR20120056461 A KR 20120056461A KR 1020100118015 A KR1020100118015 A KR 1020100118015A KR 20100118015 A KR20100118015 A KR 20100118015A KR 20120056461 A KR20120056461 A KR 20120056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bivalve
hatching
shells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416B1 (ko
Inventor
임승묵
이상민
이충열
강준범
한경식
김근환
하귀희
임진나
배기민
Original Assignee
임승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묵 filed Critical 임승묵
Priority to KR1020100118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4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적으로 수정된 수정란을 이매패류의 새강에 삽입하여 상기 이매패류 내에서 어류가 부화되어 나오도록 하는 관상용 이매패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가 부화하는 관상용 이매패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기존 가정에서 쉽게 볼 수 없었던 생명의 탄생을 보여주는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매패류 내에서 부화되는 어류가 관상용 어류로써 가치가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통한 인테리어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Bivalves for hatch of fishes, and h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명의 탄생을 보여줄 수 있어 교육적이고, 부화한 어류의 관상적 가치가 뛰어나 인테리어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폐사율이 낮고 부화율이 높아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배송이 편리하여 경제적인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우리 주변에서 아름답고 다양한 자연환경과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 디지털 세상에 적응해 가면서 자연환경을 접할 기회가 절대적으로 부족해지고 있으며, 현재 아이들의 취미생활 대부분은 가상현실(컴퓨터, 게임) 등에 국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정서 불안과 대인기피 등의 사회적 문제점들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 생활을 하면서도 생명의 소중함을 느끼고 감성을 순화시킬 수 있도록 자연에 대한 간접체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으며, 일 예로서 동물성플랑크톤을 가루화하여 적정량의 물과 혼합하여 플랑크톤이 부화하는 것을 보여주는 알테미아 제품 등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동물성플랑크톤은 관상적 가치가 비교적 떨어지고 수명이 짧아 부화하는 것을 잠시 관찰하는데 그치며, 자연에서의 부화방법이 아닌 인위적인 부화방식을 사용하므로 교육적 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류의 치어는 폐사율이 높고 배송이 어려우며 관상용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 어류의 치어를 직접 구입할 수는 없으며, 일정기간 사육을 통해 성어가 된 후에만 구입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매패류를 통해 안전하게 배송 및 부화가 가능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치어를 직접 구입 및 부화시킬 수 있고, 성어가 될 때까지 따로 사육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교육적인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관상적인 측면까지 고려한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치어를 안전하게 판매할 수 있어 폐사율이 낮고 부화율이 높은 치어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폐사율이 낮고 부화율이 높아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송이 편리하며 치어를 사육하기 위한 시설이 따로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인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어류의 난과 정자를 채취하여 외부에서 인공수정시키는 단계, 상기 인공수정된 수정란을 이매패류(bivalves)의 새강(branchial cavity) 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새강 내에 삽입된 수정란이 부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부화된 자어가 이매패류 밖으로 나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에 의하면, 인공적으로 수정된 수정란을 이매패류의 새강에 삽입하여 상기 이매패류 내에서 어류가 부화되어 나오도록 함으로써 기존 가정에서 쉽게 볼 수 없었던 생명의 탄생을 보여주는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육용 치어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어, 폐사율이 낮고 부화율이 높아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송이 편리하며 치어를 사육하기 위한 시설이 따로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관상용 이매패류의 제조방법이고, 상기 어류는 납자루아과(Acheilognathinae) 어류 또는 잉어과의 납지리(flat bitte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매패류 내에서 부화되는 어류가 관상용 어류로써 가치가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관상용 이매패류의 제조방법이고, 상기 수정란을 인공수정 후 척추가 생기는 1~2일 후에 이매패류의 새강 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이매패류의 출수공으로 삽입된 난과 입수공으로 들어간 정자가 새강 내에서 수정되는 자연 수정시보다 수정란의 부화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관상용 이매패류의 제조방법이고, 상기 이매패류의 새강 내에 삽입된 수정란이 3~4일 후 부화하고, 부화된 자어가 20~30일 후에 이매패류 밖으로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에 관한 것이고, 어류의 난과 정자를 채취하여 인공수정시킨 수정란을 새강 내에 삽입하여 자어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를 사용하면, 인공적으로 수정된 수정란을 이매패류의 새강에 삽입하여 상기 이매패류 내에서 어류가 부화되어 나오도록 함으로써 기존 가정에서 쉽게 볼 수 없었던 생명의 탄생을 보여주는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육용 치어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어, 폐사율이 적고 부화율이 높아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송이 편리하며 치어를 사육하기 위한 시설이 따로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이고, 상기 어류는 납자루아과(Acheilognathinae) 어류 또는 잉어과의 납지리(flat bitte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매패류 내에서 부화되는 어류가 관상용 어류로써 가치가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이고, 상기 수정란을 인공수정 후 척추가 생기는 1~2일 후에 새강 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이매패류의 출수공으로 삽입된 난과 입수공으로 들어간 정자가 새강 내에서 수정되는 자연 수정시보다 수정란의 부화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이고, 상기 새강 내에 삽입된 수정란이 3~4일 후 부화하고, 부화된 자어가 20~30일 후에 이매패류 밖으로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가 부화하는 관상용 이매패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인공적으로 수정된 수정란을 이매패류의 새강에 삽입하여 상기 이매패류 내에서 어류가 부화되어 나오도록 함으로써 기존 가정에서 쉽게 볼 수 없었던 생명의 탄생을 보여주는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매패류 내에서 부화되는 어류가 관상용 어류로써 가치가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통한 인테리어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가 부화하는 관상용 이매패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치어를 안전하게 판매할 수 있어 폐사율이 낮고 부화율이 높은 치어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배송이 편리하며 치어를 사육하기 위한 시설이 따로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정란이 삽입되는 이매패류의 내부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은, 어류의 난과 정자를 채취하여 외부에서 인공수정시키는 단계, 상기 인공수정된 수정란을 이매패류(bivalves)의 새강(branchial cavity) 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새강 내에 삽입된 수정란이 부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부화된 자어가 이매패류 밖으로 나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는 어류의 난과 정자를 채취하여 인공수정시킨 수정란을 새강 내에 삽입하여 자어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인공적으로 수정된 수정란을 이매패류의 새강에 삽입하여 상기 이매패류 내에서 어류가 부화되도록 함으로써 사육용 치어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어, 폐사율이 낮고 부화율이 높아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송이 편리하며 치어를 사육하기 위한 시설이 따로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다.
상기 어류는 관상용 이매패류 내에서 부화할 수 있는 어류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납자루아과(Acheilognathinae) 어류 또는 잉어과의 납지리(flat bittering)가 사용된다. 상기 어류들을 관상용 이매패류 내에서 부화시킴으로써, 기존 가정에서 쉽게 볼 수 없었던 생명의 탄생을 보여주는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매패류 내에서 부화되는 어류가 관상용 어류로써 가치가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통한 인테리어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이매패류에는 입수공과 출수공이 있으며, 입수공으로 물을 흡입한 후 아가미를 거쳐 출수공으로 물을 뱉으며 플랑크톤 등을 필터링하여 영양분을 섭취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에서의 납자루아과 어류나 잉어과의 납지리 등은 암컷이 상기 출수공을 통하여 이매패류의 새강(아가미) 내부에 산란관이라는 긴 관(약2cm)을 통해 난을 삽입하고, 수컷이 뿌린 정자가 입수공을 통해 들어가 아가미에 걸려있던 난을 만나 수정을 하게된다. 수정된 수정란은 새강 내부에서 지속적인 공기공급을 받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를 받으며 안전하게 부화할 수 있게 된다.
수정란 삽입시의 수온은 상기 어류가 납자루아과 어류인 경우,24~26℃이고, 잉어과의 납지리인 경우, 16~18℃이다. 이는 각 어종의 산란 수온에 맞춘 것으로서, 이를 통하여 상기 이매패류 내에 삽입된 수정란의 부화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란은 인공수정 후 척추가 생기는 1~2일 후에 이매패류의 새강 내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공수정 후 1~2일 지난 수정란을 이매패류의 새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자연 수정시보다 수정란의 부화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외부에서 인공수정시킨 수정란은 자연에서의 암컷과 같은 방식으로 일회용 피펫을 이용하여 이매패류에 삽입하게 되며, 이때 이매패류의 입은 수중에서 벌리고 있을 때 기구를 삽입하여 벌린다. 현미경 관찰을 통해 인공수정 후 척추가 생기는 약 1~2일 후에 삽입을 하게 되는데, 삽입된 수정란은 약 3~4일후에 부화하며 부화된 자어는 난황을 먹으며 약 20-30일 후에 이매패류 밖으로 나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를 통하여, 교육적 효과와 인테리어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어를 안전하게 판매할 수 있어 폐사율이 낮고 부화율이 높은 치어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8)

  1. 어류의 난과 정자를 채취하여 외부에서 인공수정시키는 단계, 상기 인공수정된 수정란을 이매패류(bivalves)의 새강(branchial cavity) 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새강 내에 삽입된 수정란이 부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부화된 자어가 이매패류 밖으로 나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가 납자루아과(Acheilognathinae) 어류 또는 잉어과의 납지리(flat bitte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란을 인공수정 후 척추가 생기는 1~2일 후에 이매패류의 새강 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매패류의 새강 내에 삽입된 수정란이 3~4일 후 부화하고, 부화된 자어가 20~30일 후에 이매패류 밖으로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5. 어류의 난과 정자를 채취하여 인공수정시킨 수정란을 새강 내에 삽입하여 자어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가 납자루아과(Acheilognathinae) 어류 또는 잉어과의 납지리(flat bitte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란을 인공수정 후 척추가 생기는 1~2일 후에 새강 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새강 내에 삽입된 수정란이 3~4일 후 부화하고, 부화된 자어가 20~30일 후에 밖으로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KR1020100118015A 2010-11-25 2010-11-25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KR101240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15A KR101240416B1 (ko) 2010-11-25 2010-11-25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15A KR101240416B1 (ko) 2010-11-25 2010-11-25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461A true KR20120056461A (ko) 2012-06-04
KR101240416B1 KR101240416B1 (ko) 2013-03-11

Family

ID=4660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015A KR101240416B1 (ko) 2010-11-25 2010-11-25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4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407B1 (ko) * 2014-09-02 2014-12-24 (주)한국생물보전연구소 떡납줄갱이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종묘생산 방법
CN110367157A (zh) * 2019-09-02 2019-10-25 吉林省水产科学研究院 杂色杜父鱼人工繁殖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9068B (zh) * 2017-08-25 2021-07-02 江苏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提高文蛤孵化率的装置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407B1 (ko) * 2014-09-02 2014-12-24 (주)한국생물보전연구소 떡납줄갱이 성숙유도를 통한 대량종묘생산 방법
CN110367157A (zh) * 2019-09-02 2019-10-25 吉林省水产科学研究院 杂色杜父鱼人工繁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416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03824B (zh) 引进印度蓝孔雀的人工繁养方法
Uriarte et al. Current status and bottle neck of octopod aquaculture: the case of American species
KR100856855B1 (ko) 황소개구리 유체를 동물의 먹이로 이용하는 방법
CN103141426B (zh) 一种三疣梭子蟹高效养殖的方法
Xu et al. First studies of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Coilia nasus (Engraulidae) under controlled conditions
Avise Evolutionary perspectives on pregnancy
Archambeault et al. Reproduction, larviculture and early development of the Bluebanded goby, Lythrypnus dalli, an emerging model organism for studies in evolutionary developmental biology and sexual plasticity
KR101465586B1 (ko)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CN103120139A (zh) 一种大蚝的人工繁育方法
CN102934625A (zh) 大鲵原生态繁殖的方法
Zhang et al. Ontogeny of the digestive tract in mud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larvae
CN102669021B (zh) 一种长蛸暂养、产卵和护卵的方法及所用装置
CN108967278A (zh) 一种金钱鱼的人工繁殖方法
Lichak et al. Care and use of Siamese fighting fish (Betta Splendens) for Research
CN107494450A (zh) 蝎子快速生长喂养技术
Pedrazzani et al. Reproductive behavior, embryonic and early larval development of the red head goby, Elacatinus puncticulatus
KR101240416B1 (ko) 어류 부화용 이매패류 및 이매패류를 이용한 어류 부화 방법
Çelik et al.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serpae tetra Hyphessobrycon eques (Steindachner, 1882)
Habashy On the breeding behaviour and reproduction of the freshwater prawn, M acrobrachium rosenbergii (de Man 1879)(D ecapoda‐C rustacea) under laboratory conditions
CN105284682A (zh) 一种海马人工繁殖亲体的培育方法
Lumpkin et al. Rabbits: The animal answer guide
Le François et al. Spotted wolffish broodstock management and egg production: retrospective, current status, and research priorities
JP5522395B2 (ja) 魚類の飼育方法
Castro A primer on shark reproduction for aquarists
Zhu et al.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topmouth gudgeon, Pseudorasbora parva (Teleostei: Cyprinid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