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348B1 -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 - Google Patents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4348B1 KR101474348B1 KR20140095953A KR20140095953A KR101474348B1 KR 101474348 B1 KR101474348 B1 KR 101474348B1 KR 20140095953 A KR20140095953 A KR 20140095953A KR 20140095953 A KR20140095953 A KR 20140095953A KR 101474348 B1 KR101474348 B1 KR 1014743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yarn
- cotton
- hemp
- andong
- cotton yar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3/00—Making discontinuous sheets of paper, pulpboard or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board production
- D21F13/02—Making hand-made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은, 대마를 수확하여 삼 찌기, 삼 말리기, 삼 불리기, 삼 벗기기, 삼 삼기를 거친 후 만들어져 0.5 - 1.5mm의 굵기를 갖는 무삼실과, 밭에 수확한 목화에서 씨를 제거한 후 목화실 제조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목화실을 이용하여 4 - 6 새로 직조하되, 날실 2 - 8 올마다, 날실로서 목화실 1올을 각각 배치하여 직조한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의복으로서, 폭 변화가 없는 상기 안동 삼베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4개의 판으로 형성한 후, 상의로 제조될 경우에, 2개의 판을 길이방향으로 재봉질하거나 바느질로 연결하여 뒷판을 형성하고, 2개의 판으로 앞판을 각각 형성한 후, 상기 뒷판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 일부와, 상기 뒷판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와 접한 각 앞판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일부를 재봉하거나 바느질하여 결합하며, 어깨에 해당하는 상기 뒷판과 각 앞판의 서로 접하는 단부를 재봉하거나 바느질하여 결합하고, 상기 앞판과 뒷판의 시접 부분은 의복의 바깥으로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름용 한 계절 의상에서 벗어나 봄이나 가을에도 착용할 수 있는 의복이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삼베를 이루는 무삼실과 목화실이 기존의 삼베실에 비하여 굵게 형성되어 직조 됨으로써, 삼베가 두껍게 직조되고, 이로 인하여 방추성이 높아질 수 있고, 안동 삼베가 대마와 목화로부터 얻어진 실로 제조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전통직물이 배합되는 것이며, 삼베의 폭을 자르지 않고, 삼베 자체를 그대로 사용하여 의복을 만듦으로써 삼베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의복의 시접 부분과 솔기 부분을 바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착용시 피부와의 접촉이 부드럽게 되고, 시접 부분과 솔기 부분을 파이핑 처리함으로써, 시접 선이나 솔기 선을 현대적 감각으로 연출할 수 있고, 의복을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어서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름뿐만 아니라, 늦봄이나 초가을에도 의복으로 제작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보온기능은 물론, 방추기능, 내구성 및 통풍성 등을 갖는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베는, 베·대마포라고도 하며, 삼은 삼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온대와 열대지방에서 자란다. 주로 섬유를 목적으로 재배하는데, 구석기시대부터 세계 각지에서 애용하였으며 한국에서는 고조선 때부터 의복이나 침구 재료로 사용해왔다.
삼베는 삼 껍질의 안쪽에 있는 인피섬유(靭皮纖維)를 이용하는데, 수분을 빨리 흡수·배출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며 곰팡이를 억제하는 항균성과 항독성의 기능을 갖다. 또한 견고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직물용 이외에 로프·그물·타이어 등을 만드는 데도 사용한다.
특히 안동 삼베는, 2월 하순 씨를 뿌려 6월 하순에서 7월 초순에 수확한 뒤 올올이 세수에 맞추어 찢은 다음 하나하나 이어서 삼고 메는 과정을 13번 거쳐야 비로소 옷감으로 만들어진다. 생냉이삼[大麻]이라 하여 속껍질만 가지고 삼베를 짜며 생냉이삼의 겉껍질은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거(익냉이 잿물로 겉껍질을 제거)한다. 생냉이삼이어야 8새와 9새 같은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다.
이러한 안동 삼베는, 안동삼베는 생산 과정에서 화학 처리를 전혀 하지 않은 자연 상태로 짠 무공해 천연섬유 직물로 마찰에 대한 내구성이 커서 질기고 수명이 길다. 또한 천년을 두어도 변질되지 않으며 좀이 슬지 않으며, 통기성이 좋아 여름철 옷감으로 아주 적격이다.
이와 같은 삼베를 이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한 예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2-0068447호(공개일 : 2002.08.27)호에는 삼베 모시 닥나무 수의 옷감 제조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3-0055199호(공개일 : 2003.07.02)에는 삼을 이용한 삼베종이와 수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삼베는, 주로 수의로 사용되거나, 통상 여름 의류나 침구류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안동 삼베 자체가 통기성이 우수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삼베 자체의 통기성이 너무 우수하기 때문에, 한여름을 제외한 늦봄이나 초여름, 늦여름이나 초가을 또는 봄이나 가을에는 의복으로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안동 삼베 자체가 통기성이 우수한 대신에 보온 기능이 다른 직물에 비하여 떨어졌기 때문에 여름 이외의 계절에 착용할 수 있는 의류의 옷감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동 삼베를 이용한 침구류, 예를 들면, 이불이나 패드와 같은 제품의 경우에도 통기성이 우수하여 주로 여름에만 사용할 수 있었고, 봄이나 가을용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동 삼베를 여름뿐만 아니라, 봄이나 가을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를 제공하고, 이러한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대마를 수확하여 삼 찌기, 삼 말리기, 삼 불리기, 삼 벗기기, 삼 삼기를 거친 후 만들어져 0.5 - 1.5mm의 굵기를 갖는 무삼실과, 밭에 수확한 목화에서 씨를 제거한 후 목화실 제조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목화실을 이용하여 4 - 6 새로 직조하되, 날실 2 - 8 올마다, 날실로서 목화실 1올을 각각 배치하여 직조한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의복으로서, 폭 변화가 없는 상기 안동 삼베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4개의 판으로 형성한 후, 상의로 제조될 경우에, 2개의 판을 길이방향으로 재봉질하거나 바느질로 연결하여 뒷판을 형성하고, 2개의 판으로 앞판을 각각 형성한 후, 상기 뒷판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 일부와, 상기 뒷판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와 접한 각 앞판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일부를 재봉하거나 바느질하여 결합하며, 어깨에 해당하는 상기 뒷판과 각 앞판의 서로 접하는 단부를 재봉하거나 바느질하여 결합하고, 상기 앞판과 뒷판의 시접 부분은 의복의 바깥으로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시접 부분에는, 상기 안동 삼베와 다른 색상의 마감천으로 파이핑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를 이용하여 여름용 한 계절 의상에서 벗어나 봄이나 가을에도 착용할 수 있는 의복을 만들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삼베를 이루는 무삼실과 목화실이 기존의 삼베실에 비하여 굵게 형성되어 직조 됨으로써, 삼베가 두껍게 직조되고, 이로 인하여 방추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안동 삼베가 대마와 목화로부터 얻어진 실로 제조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전통직물이 배합되는 것이고, 따라서 전통문화의 멋을 간직할 수 있다.
또한, 무삼실과 목화실로 제조된 삼베의 폭을 자르지 않고, 삼베 자체를 그대로 사용하여 의복을 만듦으로써, 삼베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의복의 시접 부분과 솔기 부분을 바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착용시 피부와의 접촉이 부드럽게 되고, 시접 부분과 솔기 부분을 파이핑 처리함으로써, 시접 선이나 솔기 선을 현대적 감각으로 연출할 수 있고, 의복을 양면으로 착용할 수 있어서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삼실과 목화실로 제조된 안동 삼베가 4 - 6 새로 직조됨으로써, 일반 삼베에 비하여 원단이 두꺼워 높은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을 이루는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의 직조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작된 의복을 도시한 정면 사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복의 배면 사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의복의 측면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작된 의복을 도시한 정면 사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복의 배면 사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의복의 측면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복(100)을 이루는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10)는, 대마로부터 얻어진 무삼실(50)로 된 날실 2 - 8 올마다, 날실(30)로서 목화로부터 얻어진 목화실(40) 1올을 각각 배치하여 직조한 것이다.
즉, 날실(30)들을 세로로 배치한 후, 서로 교차 되는 날실(30)들 사이로 씨실(20)을 통과시켜 안동 삼베(10) 원단을 얻는 것으로, 날실(3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배치하되, 날실(30) 2 - 8 올마다, 날실(30)로서 목화실(40)을 1올을 각각 배치하여 직조한 것이다.
이와 같이, 안동 삼베(10)가 주로 무삼실(50)로 이루어진 날실(30) 중에서 목화실(40)이 2번째 내지 8번째 올마다 배치되어 씨실(20)에 의해 직조됨으로써, 통상의 삼베에 비하여 두껍게 직조되어 높은 내구성을 갖고, 보온성, 방추성 등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목화실(40)이 날실(30) 중에서 2번째마다 배치될 경우에, 즉 무삼실(50)과 목화실(40)이 교대로 배치되어 안동 삼베(10) 원단이 직조 될 경우에, 보온성이 높아지게 되므로, 주로 봄이나 가을에 착용할 수 있는 의복의 제작에 사용하고, 목화실(40)이 날실(30) 중에서 5번째마다 배치될 경우에, 보온성은 목화실(40)이 2번째 마다 배치되는 원단에 비하여 낮아지고, 대신에 통기성이 높아지므로, 주로 늦봄이나 초가을에 착용할 수 있는 의복의 제작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목화실(40)이 날실(30) 중에서 8번째마다 배치될 경우에, 보온성이 목화실(40)이 2번째 마다 배치되는 원단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아지고, 대신에 통기성은 매우 높아지므로, 주로 여름에 착용할 수 있는 의복의 제작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온성이 우수한 목화실(40)을 사용계절에 부합되도록 배치 비율을 높이거나 낮추는 등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계절에 착용하기 적합한 안동 삼베(10) 원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삼베는 전통적으로, 10 새 또는 11 새로 직조된다. 여기서, 1 새는 80올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략 날실이 800올 또는 880올인 것이다. 즉, 폭이 35 - 36cm 인 원단의 날실이 800올이나 880올로 이루어진 것으로, 각각의 올이 매우 가늘게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의복(100)에 사용되는 안동 삼베(10)는 4 - 6 새 바람직하게는 5 새로 직조 된 것이다. 즉, 35 - 36cm의 폭에, 400올의 날실(30)이 세로로 배치되어 씨실(20)에 의해 직조 된 것으로, 일반적인 10 새 내지 11 세의 삼베 원단을 이루는 날실들에 비하여 굵은 실이 사용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동 삼베(10)에 사용되는 무삼실(50)과 목화실(40)은 그 지름이 대략 0.5 - 1.5mm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0.78mm정도의 굵기로 형성된다. 만약, 0.5mm 이하의 지름을 갖는 무삼실(50)과 목화실(40)이 사용될 경우에, 안동 삼베(10) 원단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고, 1mm 내지 1.5mm의 지름을 갖는 무삼실(50)과 목화실(40)이 사용될 경우에는 안동 삼베(10)의 원단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35 - 36cm의 폭을 갖는 안동 삼베(10)의 날실(30)들은 대략 0.78mm의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만약 4 새로 직조될 경우에는, 최종원단의 씨실(20)과 날실(30)이 치밀하지 못하고, 6 새 이상으로 직조될 경우에는, 씨실(20)과 날실(30)의 굵기가 가늘어지게 되므로, 원단 자체의 두께가 얇아진다. 따라서, 바람직하기로는 5 새로 직조된다.
이와 같은 안동 삼베(10)를 이루는 무삼실(50)과 목화실(40)의 제조과정과, 안동 삼베(10)의 제조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무삼실(50)을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삼삼기를 마친 무삼을 찬물에 담근 후 물기를 제거한 후 실을 물레에 잣는다.
이어서, 전술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도뱅이를 돌것에 올려 도뱅이를 돌려가면서 풀어 삼실 타래를 만든다.
삼실 타래가 만들어지면, 삼실 타래를 돌것에서 벗겨서 양잿물에 60분 침지시킨 후 건져서 그늘에서 물기는 뺀다.
양잿물을 뺀 삼실 타래를 30- 40℃의 온돌방에서 익힌 후, 가마솥에 양잿물과 함께 실을 넣어 30 - 40분간 끓이고, 삼실 타래를 건진 후 청수로 세척하여 겉껍질을 제거한다.
이어서, 양잿물이 제거되고 겉껍질이 제거된 삼실 타래를 쌀등겨를 공급하여 혼합한 후, 건조하고 방망이로 두들겨 삼실을 연화시킨다.
그리고, 연화된 삼실 타래를 돌것에 올린 후 바구니에 한줄씩 내려 무삼실(50)을 만드는 것이다.
한편, 목화실(40)을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수확된 목화를 햇볕에 바짝 말린다.
쎄기장치(씨 빼는 장치)에 목화열매를 하나씩 넣어 씨를 제거한다.
씨를 뺀 목화를 활에 턴다. 이 과정으로 덩어리진 목화가 풀어진다.
이어서, 수수대를 꺽어서 목화를 비셔서 꼬치를 만들고, 꼬치를 만든 것을 물레에 잣 는다. 이 과정은 실을 만드는 과정이다.
이어서, 풀을 쑨 가마솥에 전술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목화실을 넣어 삶는다.
삶은 목화실을 돌것에 올리고, 목화실을 바구니에 한줄씩 손으로 내려 목화실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 무삼실(50)과 목화실(40)을 이용하여 안동 삼베(10)의 원단을 직조한다.
먼저, 날줄(30)로서 무삼실(50)과 목화실(40)을 5 새(400올)로 맞춰 세로로 배치하되, 2올 내지 8올마다 목화실(40)을 배치한다.
그리고, 200올씩 교차시키면서 무삼실(50)로 이루어진 씨실(20)을 통과시켜 안동 삼베(10) 원단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목화실(40)을 함유하여 제작된 안동 삼베(10) 원단을 이용하여 의복(100)을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로서 코트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폭을 재단하지 않고, 즉 원단의 폭을 자르지 않고 원래 상태의 안동 삼베(10) 원단 자체를 소정의 길이, 예를 들면,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맞춰 4개의 판으로 형성한다. 각각의 판 중에서 2개는 의복(100)의 앞판(110)을 이루고, 2개는 뒷판(120)을 이루게 된다.
이어서, 한 쌍의 뒷판(120)과 한 쌍의 앞판(110)을 앞쪽과 뒷쪽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치한 후 서로 재봉질하거나 바느질한다. 다시 설명하면, 2개의 판을 길이방향으로 재봉질하거나 바느질로 연결하여 뒷판(120)을 형성하고, 2개의 판으로 앞판(110)을 각각 형성한 후, 뒷판(120)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 일부와, 뒷판(120)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와 접한 각 앞판(11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일부를 재봉하거나 바느질하여 결합하며, 어깨에 해당하는 뒷판(120)과 각 앞판(110)의 서로 접하는 단부를 재봉하거나 바느질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뒷판(120)의 서로 접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재봉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에서 앞판(110)과 뒷판(120)의 서로 접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재봉한다.
한편, 앞판(110)과 뒷판(120)의 서로 접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일부를 재봉하거나 바느질하여 양 팔이 빠지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어깨 부분에서 접하는 뒷판(120)과 앞판(110)을 재봉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판(110)의 서로 접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중에서 한쪽에는 단추(130)나 매듭을 설치하고, 대응되는 다른 쪽에는 단추(130)나 매듭이 걸리는 걸이부(14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각 앞판(110)들과 뒷판(120)들의 시접 부분(16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복(100)의 바깥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시접 부분(160)이 의복(100)의 바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시접 부분(160)이나 솔기 들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되어 피부 접촉이 부드럽게 된다.
그리고, 각 시접 부분(160)에는, 안동 삼베(100)와 다른 색상의 마감천(170)으로 파이핑 처리한다.
이와 같이, 안동 삼베(100)와 다른 색상의 마감천(170)으로 파이핑 처리됨으로써,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접 선을 현대적 감각의 디자인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의복(100)의 디자인적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삼실(50)과 목화실(40)로 직조된 안동 삼베(10) 원단으로 코트와 같은 의복(100)을 제작함으로써, 삼베의 여름용 한 철 의상에서 벗어나 다양한 계절, 즉 봄에서 가을까지 착용할 수 있고, 원단이 두껍게 직조됨으로써 방추성 및 보온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목화와 삼베가 배합됨으로써,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10)만의 독특한 패턴을 얻을 수 있어서 자연친화적이면서 현대적 감각의 디자인에 확용될 수 있게 된다. 즉, 삼베와 목화, 전통과 현대, 이중계절활용 등 다중적 활용이 가능한 의복(100)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접 부분(160)이 의복(100)의 바깥으로 향하고, 마감천(170)으로 파이핑(마감처리)처리 됨으로써, 양면의복을 이룰 수 있어서 1벌이 2벌의 역할을 하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안동 삼베 20 : 씨실
30 : 날실 40 : 목화실
50 : 무삼실 100 : 의복
110 : 앞판 120 : 뒷판
130 : 단추 140 : 걸이부
160 : 시접 부분 170 : 마감천
30 : 날실 40 : 목화실
50 : 무삼실 100 : 의복
110 : 앞판 120 : 뒷판
130 : 단추 140 : 걸이부
160 : 시접 부분 170 : 마감천
Claims (2)
- 대마를 수확하여 삼 찌기, 삼 말리기, 삼 불리기, 삼 벗기기, 삼 삼기를 거친 후 만들어져 0.5 - 1.5mm의 굵기를 갖는 무삼실과, 밭에 수확한 목화에서 씨를 제거한 후 목화실 제조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목화실을 이용하여 4 - 6 새로 직조하되, 날실 2 - 8 올마다, 날실로서 목화실 1올을 각각 배치하여 직조한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이루어진 의복으로서,
폭 변화가 없는 상기 안동 삼베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4개의 판으로 형성한 후, 상의로 제조될 경우에,
2개의 판을 길이방향으로 재봉질하거나 바느질로 연결하여 뒷판을 형성하고, 2개의 판으로 앞판을 각각 형성한 후, 상기 뒷판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 일부와, 상기 뒷판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와 접한 각 앞판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일부를 재봉하거나 바느질하여 결합하며, 어깨에 해당하는 상기 뒷판과 각 앞판의 서로 접하는 단부를 재봉하거나 바느질하여 결합하고,
상기 앞판과 뒷판의 시접 부분은 의복의 바깥으로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접 부분에는,
상기 안동 삼베와 다른 색상의 마감천으로 파이핑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95953A KR101474348B1 (ko) | 2014-07-28 | 2014-07-28 |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95953A KR101474348B1 (ko) | 2014-07-28 | 2014-07-28 |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3482A Division KR101474347B1 (ko) | 2013-06-26 | 2013-06-26 |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4348B1 true KR101474348B1 (ko) | 2014-12-18 |
Family
ID=5267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95953A KR101474348B1 (ko) | 2014-07-28 | 2014-07-28 |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434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0728B1 (ko) * | 2017-07-13 | 2018-08-22 | 주식회사 씨앤에이컴바인 | 피케셔츠 |
KR102185434B1 (ko) | 2019-07-30 | 2020-12-01 | 권민정 | 효소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친환경 삼베 섬유 제조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5185B1 (ko) | 2002-11-11 | 2004-01-24 | 이종분 | 삼을 이용한 삼베한지와 수의 |
KR100576120B1 (ko) | 2004-03-25 | 2006-05-08 | 박현철 | 수의 및 그 제조방법 |
KR100609639B1 (ko) | 2004-01-29 | 2006-08-10 | 유관순 | 니트조직을 활용한 한산모시의 의복구성 방법 |
-
2014
- 2014-07-28 KR KR20140095953A patent/KR1014743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5185B1 (ko) | 2002-11-11 | 2004-01-24 | 이종분 | 삼을 이용한 삼베한지와 수의 |
KR100609639B1 (ko) | 2004-01-29 | 2006-08-10 | 유관순 | 니트조직을 활용한 한산모시의 의복구성 방법 |
KR100576120B1 (ko) | 2004-03-25 | 2006-05-08 | 박현철 | 수의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0728B1 (ko) * | 2017-07-13 | 2018-08-22 | 주식회사 씨앤에이컴바인 | 피케셔츠 |
KR102185434B1 (ko) | 2019-07-30 | 2020-12-01 | 권민정 | 효소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친환경 삼베 섬유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278422B (zh) | 多功能异机能汉麻弹性针织面料制造方法 | |
CN106222836A (zh) | 一种具有针织物效果的有机棉牛仔布及其工艺 | |
CN203137148U (zh) | 一种保健泳衣面料 | |
CN104313776B (zh) | 一种具有保健功能的无缝针织内衣的生产方法 | |
CN103334314A (zh) | 内衣用竹炭纤维面料及其加工方法 | |
KR101146685B1 (ko) | 실크와모시 복합방적사를 이용한 구김방지 및 물세탁이 가능한 한복지를 제조하는 방법 | |
KR101474348B1 (ko) |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로 제조된 의복 | |
CN103046218B (zh) | 抗菌耐磨罗布麻纤维的蕾丝花边的制备工艺 | |
CN104294579B (zh) | 一种用于女性内裤的保健面料 | |
CN201762519U (zh) | 一种木代尔纤维与棉纤维混纺和棉纤维交织的家纺面料 | |
CN202954214U (zh) | 一种用于瑜伽服的网眼布面料 | |
KR101474347B1 (ko) | 목화실을 함유한 안동 삼베 및 그 제조방법 | |
CN114369891A (zh) | 一种天然抗菌婴儿包被及其生产工艺 | |
CN111588104A (zh) | 一种纯天然原料罩杯文胸及其制备方法 | |
CN206396403U (zh) | 一种防断裂抗起球双面摇粒绒面料 | |
CN105077610A (zh) | 一种抗菌复合纤维袜子制作工艺 | |
US2180770A (en) | Plural-ply woven fabrics | |
CN205378885U (zh) | 一种抗皱抑菌水晶超柔面料 | |
CN103395258A (zh) | 防水珊瑚绒面料及其生产方法 | |
CN212223229U (zh) | 一种亲肤柔软仿麻面料 | |
KR102680649B1 (ko) | 리사이클링 원단을 활용한 친환경 청바지 의류의 워싱 가공 및 제조 방법 | |
CN208602002U (zh) | 一种保暖磨毛面料 | |
CN217677967U (zh) | 一种板蓝根纤维抗菌盖毯 | |
CN107988689A (zh) | 一种速干针织面料及其制造方法 | |
CN218558170U (zh) | 一种火山岩内衣面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