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198B1 -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198B1
KR101474198B1 KR1020140059263A KR20140059263A KR101474198B1 KR 101474198 B1 KR101474198 B1 KR 101474198B1 KR 1020140059263 A KR1020140059263 A KR 1020140059263A KR 20140059263 A KR20140059263 A KR 20140059263A KR 101474198 B1 KR101474198 B1 KR 10147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onut fiber
fiber mat
mat
storiform
m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영
Original Assignee
이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영 filed Critical 이상영
Priority to KR1020140059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일정 길이와 폭의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 롤(10)을 경사면 위쪽에 배치하여 아래쪽으로 굴려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를 포설하는 단계:
인접하여 포설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들을 인접배치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의 측단부들과 길이방향 단부를 연속하여 잇도록 연결끈(3)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야자섬유멍석형 매트 연결 단계;
상기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 상면에 상토층(8)을 형성하는 단계: 및 식물 착상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에 따라,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는 자연부식되는 천연소재로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유기질비료로 보양이 되며, 비가 많이 와도 토사가 유실되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되며, 보습기능이 우수하여 지표면에 일정 습도를 유지하고 배수 및 보강기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시공 및 관리 유지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A METHO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GREENING SLOPES OF GROUND}
본 발명은 하천 호안이나 절개지의 경사면에서의 토양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 정비를 위한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면에 친환경적인 야자섬유 매트를 멍석형태로 인장력이 극대화되게 제작하여 매트를 포설 시공하고, 식생을 완성시켜는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 산업화 및 레저산업 등의 급격한 발전으로 막대한 면적의 토지를 필요로 함에 따라, 이와 같은 부지난을 덜기 위해 활발히 진행되는 야산의 절개지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하천 호안의 경사면을 정비하여 우천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 왔다.
종래 경사면 정비를 위한 기술로서, 돌망태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구축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즉, 하천이나 강의 제방 경사면에 돌망태의 내부에 잡석 등을 채워서 시공하거나, 돌망태를 펼쳐 놓은 상태에서 잡석 등을 채워놓고 그 철망덮개로 덮어서 시공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별도의 콘크리트 블럭을 제조하지 않고, 시공현장 또는 그 주변의 잡석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경우에도 역시 시공 이후에 풀이나 나무 등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다는 또는 채움 돌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오늘날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서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2007.04.16.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 제 10-0710406호에는 면섬유멍석형 매트층의 상부에 면섬유멍석형 매트층과 함께 토목섬유층이 일체로 고정되어 내구력을 제공하는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지오그리드망을 적층한 다층 구조의 적당한 크기의 식생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생블럭은 시공이 복잡하고, 많은 비가 올 때 토사가 유실될 수 있고, 식생블럭의 손상에 의한 보수유지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최근에는 식생멍석형 매트를 이용하여 식물의 착상 및 성장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공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식생멍석형 매트를 이용한 기술로서, 2011.07.08.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 제10-1049597호에에는 호안의 경사부에 제1부직포를 설치하는 단계와; 제1부직포 상단과 하단에 위치한 상층부과 하층부에 횡방향으로 상단경계부재와 하단경계부재를 각각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경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틀을 설치하는 단계와; 미끄럼방지틀 일측과 이에 경계되는 제1부직포 일측에 맞닿도록 제2부직포를 설치하고, 하단경계부재 일측과 이에 경계되는 제1부직포 일측에 맞닿도록 제2부직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경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수장치부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부직포 상부에 혼합토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토 상면에 식물 식생이 완료된 식생멍석형 매트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멍석형 매트를 이용한 사면 녹화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식생멍석형 매트는 주로 합성섬유로 된 부직포를 사용하여 환경친화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멍석형 매트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해야 하며, 시공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10406호 (2007.04.16.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1049597호 (2011.07.08.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경사면 정비를 위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자연적으로 부식되는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를 롤 형태로 경사면에서 굴려서 포설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슬립이 일어나지 않아 안정되고 시공 및 관리유지가 우수한 친환경적인 경사면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은, 미리 설정된 일정 길이와 폭의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 롤을 경사면 위쪽에 배치하여 아래쪽으로 굴려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를 포설하는 단계:
인접하여 포설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들을 인접배치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의 측단부들과 길이방향 단부를 연속하여 잇도록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야자섬유멍석형 매트 연결 단계;
상기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 상면에 상토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식물 착상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 연결 단계는 인접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들의 단부들을 x자 형태로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되거나, 인접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들의 단부들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착상 단계는 상기 상토층에 식물 씨앗을 살포하는 단계로 구성되거나,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에 형성된 다수의 홀들에 식물 모종의 포트를 심어 안착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상기 식물 착상 단계는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에 형성된 다수의 홀들에 식물 모종판에서 모종을 직접 옮겨 심는 단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는 자연부식되는 천연소재로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유기질비료로 보양이 되며, 비가 많이 와도 보습기능이 우수하여 토사가 유실되지 않고, 지표면에 일정 습도를 유지하며, 배수 및 보강기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는 인장력이 극대화되므로 유연성이 양호하여 굴곡이 있는 경사면에 설치하더라도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의 돌출된 부분들과 자중에 의해 지표면에 대한 양호한 부착성으로 경사면에서 안정되게 유지되며, 이로써 경사면에 포설되더라도 우천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의 슬립 현상이 없으며 위치 변동 또는 유실될 염려가 없어 경사면이 안정되게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에 의해 지표면의 잡초들의 성장이 억제되어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에서의 식물에 대한 잡초의 영향을 감소시켜 식물의 착상 및 생장 발육이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롤 형태의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를 경사면에서 굴려서 포설하고 인접한 멍석형 매트들의 측단부들을 용이하게 연결고정하여 간편하게 일체화할 수 있어서 시공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를 사용하여 경사면에 녹화를 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와 다른 방식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인접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를 연결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한 사용상태의 예로서, 경사면에 포설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 위에 상토를 하고 씨앗을 뿌려 싹이 나온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사용상태 단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다른 사용상태의 예로서, 포설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에 홀을 형성하고 그 홀에 포트를 이식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사용상태 단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 있어서, 본 발명의 경사면 녹화방법은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를 사용하며, 상기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는 천연소재의 야자섬유를 2가닥으로 일정 폭과 길이로 직조한 것으로,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되어 자연으로 환원되어 유기질 비료로 되어 식물의 성장에 이용되므로, 친환경적이다.
도 2는 상기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하천의 호안이나 절개지 경사면의 녹화방법을 보여준다. 일정한 폭, 예를들어 1m의 폭으로 직조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를 녹화할 경사면의 길이를 감안하여 롤 형태로 시공장소로 운송되며, 포설단계로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 롤(10)을 경사면 위쪽에 배치하여 아래쪽으로 굴림으로써 포설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에 포설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들은, 연결단계로서, 인접배치된 측단부들과, 필요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이어지도록 길이방향 단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연결끈(3)을 이용하거나 와이어로 인접한 멍석형 매트들과 연결함으로써 전체 포설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들이 일체화되고, 직조될 때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가닥으로 가로줄과 세로줄이 번갈아 돌출된 형상이 형성되어 지면에 대하여 슬립되지 않아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1가닥 또는 3~4가닥으로 직조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인접하여 포설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의 측단부를 연결수단으로서 연결끈(3)으로 x자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일체화한다. 상기 연결방식은 변형예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일정 길이와 폭의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들은 측단부와 상하 단부들을 상기와 같은 연결방식으로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포설작업을 적은 인력으로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는 멍석형 매트의 측단부를 연결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동일한 연결방식으로 멍석형 매트들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는 두루마리 형태로 형성하는 대신에 일정한 가로세로 길이를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장방형의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는 필요에 따라 경사면에 포설된 멍석형 매트를 부분적으로 보수하는 경우에 특히 인접한 멍석형 매트 부분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는 인장력이 극대화되므로 유연성이 양호하여 굴곡이 있는 경사면에 설치하더라도,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의 돌출된 부분들과 자중에 의해 지표면에 대한 부착성이 양호하고 경사면에서 안정되게 유지되며, 이로써 경사면에 포설되더라도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의 슬립 현상이 없고, 우천시에도 위치 변동 또는 유실될 염려가 없다. 또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에 의해 지표면의 잡초들의 성장이 억제되어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에서의 식물에 대한 잡초의 영향을 감소시켜 식물의 착상 및 생장 발육이 좋게 된다.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의 착상 및 성장을 위한 상토층 형성단계로서, 경사면에 포설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 위에는 흙을 살포하여 상토층(8)을 형성하고, 식물 착상단계로서, 신속한 성장과 생명력이 강인한 식물종의 씨앗을 뿌리며, 식물 씨앗의 발아를 위해 물을 살포하여 흙이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의 가로줄과 세로줄 가닥들 사이의 틈새(7)로 침투하게 함과 함께 씨앗이 발아되게 한다. 그와 같이 발아된 씨앗은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를 통해 지면으로 뿌리를 내려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와 지면에 일체화되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자연 부식되는 야자섬유가 유기질 비료로 되어 식물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도 6과 7은 도 5에서 식물 착상 단계의 다른 실시 예로서, 식물 씨앗을 살포하는 대신에,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에 홀(9)들을 형성하고, 그 홀(9)들에 미리 농장에서 포트(10)에서 싹을 틔운 식물모종을 이식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식물의 착상 및 녹화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포트(11)는 생분해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져 포트 자체를 홀(9)에 넣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에 형성된 홀(9)들에 식물이 발아된 모종 포트(11)를 배치함으로써 모종 포트가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에 의해 보호되어 착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경사면 녹화를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종 포트를 이용하는 대신에 모종판의 식물 모종을 직접 상기 홀(9)에 옮겨 심을 수도 있다.
상기 홀은 멍석형 매트(1)에 형성하는 홀은 폭과 길이에 따라 25~40구/m2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멍석형 매트의 폭은 운송을 감안하여 1~3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는 4~5년 정도 경과되면 자연적으로 부식되어 유기질 비료가 되므로 식물 성장에 도움이 되고, 우천시 빗물을 수용하여 자중이 증가되므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중과 지면에 대한 양호한 부착성으로 슬립 현상도 방지되어 안정되게 유지되며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자연적으로 부식되어 지면과 일체화된다.
본 발명은 절개지나 하천 호안 경사면에 포설하여 지표면의 유실을 방지하고, 식물의 착생 및 성장에 도움을 주어 친환경적인 녹화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 :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 3 : 연결끈
8 : 상토층 9 : 홀
10 : 롤 11 : 포트

Claims (6)

  1. 미리 설정된 일정 길이와 폭의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 롤(10)을 경사면 위쪽에 배치하여 아래쪽으로 굴려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를 포설하는 단계:
    인접하여 포설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들을 인접배치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의 측단부들과 길이방향 단부를 연속하여 잇도록 연결끈(3)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야자섬유멍석형 매트 연결 단계;
    상기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 상면에 상토층(8)을 형성하는 단계;
    식물 착상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 연결 단계는 인접한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들의 단부들을 x자 형태로 개별적으로 연결하거나,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착상 단계는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에 형성된 다수의 홀(9)들에 식물 모종의 포트(11)를 심어 안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착상 단계는 야자섬유 멍석형 매트(1)에 형성된 다수의 홀(9)들에 식물 모종판에서 모종을 직접 옮겨 심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
KR1020140059263A 2014-05-16 2014-05-16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 KR101474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263A KR101474198B1 (ko) 2014-05-16 2014-05-16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263A KR101474198B1 (ko) 2014-05-16 2014-05-16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198B1 true KR101474198B1 (ko) 2014-12-18

Family

ID=5267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263A KR101474198B1 (ko) 2014-05-16 2014-05-16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1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5932A (zh) * 2022-08-26 2023-01-13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Cn) 河湖库岸坡生态防治装置及施工方法
CN116897754A (zh) * 2023-07-11 2023-10-20 中国电建集团重庆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疏花水柏枝的消落带植被恢复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805Y1 (ko) 1998-09-14 2000-02-15 인왕산업주식회사 토목공사용 경사면 보호용 볏짚 매트
JP2003027486A (ja) * 2001-07-18 2003-01-29 Taisei Ryokka Kogyo:Kk 法面の緑化工法
JP2007014284A (ja) 2005-07-08 2007-01-25 Kanesada Kosan Kk 植生芝マ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805Y1 (ko) 1998-09-14 2000-02-15 인왕산업주식회사 토목공사용 경사면 보호용 볏짚 매트
JP2003027486A (ja) * 2001-07-18 2003-01-29 Taisei Ryokka Kogyo:Kk 法面の緑化工法
JP2007014284A (ja) 2005-07-08 2007-01-25 Kanesada Kosan Kk 植生芝マ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5932A (zh) * 2022-08-26 2023-01-13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Cn) 河湖库岸坡生态防治装置及施工方法
CN115595932B (zh) * 2022-08-26 2023-10-27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河湖库岸坡生态防治装置及施工方法
CN116897754A (zh) * 2023-07-11 2023-10-20 中国电建集团重庆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疏花水柏枝的消落带植被恢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8499B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系统及该系统的实施方法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CN109315200A (zh) 青海高原地区公路边坡植被修复方法
KR101273514B1 (ko) 암비탈면의 녹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47372Y1 (ko) 사면녹화를 위한 식생매트
KR101157531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잔디식재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2409686A (zh) 垃圾山生态护坡方法及采用该方法的垃圾山绿化坡面
CN106638630A (zh) 柔性陶粒板边坡生态绿化装置及其绿化方法
KR101111138B1 (ko)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00478B1 (ko) 고정바를 갖는 식생매트 및 시공방법
KR20080026407A (ko) 식생매트와 식생매트 설치방법
KR101474198B1 (ko) 친환경 경사면 녹화방법
CN112942017B (zh) 一种足球场锚固式混合草坪及其施工方法
KR100953305B1 (ko) 녹화용 식생 매트와 그 제조방법,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
CZ301388B6 (cs) Vegetacní strecha, zejména sklonitá a zpusob její výroby
KR20100100509A (ko)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JP4703776B1 (ja) 遮水緑化シート
KR101482203B1 (ko) 사면 녹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6581275U (zh) 用于边坡生态修复的植物纤维编织网结构
KR20170076342A (ko) 생분해성 pla 망을 이용한 친환경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80092594A (ko) 다공질물질과 식생매트를 사용한 사면녹화공법
CN212983901U (zh) 一种岩石创面生态修复植生装置
CN114164844A (zh) 一种方格网式有机材护坡结构施工方法
KR101967181B1 (ko) 하이브리드 잔디 조성용 지지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조성방법
CN114086507A (zh) 一种高水土保持力的生态驳岸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