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454B1 -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 - Google Patents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454B1
KR101473454B1 KR1020130056548A KR20130056548A KR101473454B1 KR 101473454 B1 KR101473454 B1 KR 101473454B1 KR 1020130056548 A KR1020130056548 A KR 1020130056548A KR 20130056548 A KR20130056548 A KR 20130056548A KR 101473454 B1 KR101473454 B1 KR 101473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ut
supporting means
type connect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247A (ko
Inventor
성기천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코리아
성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코리아, 성기천 filed Critical (주)엠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056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454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트형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일 측으로 파이프 지지수단을 수용하도록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을 구비하여 일 측으로 파이프를 형성한 볼트형 연결구와의 체결시 별도의 어댑터 없이 신속하고 용이한 체결을 이룸과 동시에 고압 발생시에도 견고한 결합과 확실한 기밀을 이루도록 하는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에 사용되는 볼트형 연결구와 이 볼트형 연결구와 체결되는 너트형 연결구로서, 내부 일 측에 체결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의 일 측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암나사의 지름에 비해 작은 지름을 갖는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와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 사이에는 수용되는 파이프 지지수단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링을 수용하는 커버 링 수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A nut type connectors assembling enhancements function}
본 발명은 너트형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일 측으로 파이프 지지수단을 수용하도록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을 구비하여 일 측으로 파이프를 형성한 볼트형 연결구와의 체결시 별도의 어댑터 없이 신속하고 용이한 체결을 이룸과 동시에 고압 발생시에도 견고한 결합과 확실한 기밀을 이루도록 하는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증발기 및 송풍 팬을 갖고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응축기 등이 탑재되어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는 냉매의 이송을 위하여 파이프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파이프와 실내기에 연결되는 파이프는 볼트형 연결구와 너트형 연결구 및 파이프 지지수단에 의해 상호 연통 되도록 연결된다.
한편, 종래의 너트형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형 연결구(1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체결을 위한 암나사(111)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111)의 일 측으로는 예컨대 실내기와 연결되는 파이프(P) 또는 실외기와 연결되는 파이프(P)를 삽입하기 위한 파이프 삽입구멍(112)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너트형 연결구(110)는 내부에 길이가 짧은 암나사(111)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 홀더(121)와 결속 부재(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지지수단(120)을 수용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일 측 외면에 상기 너트형 연결구(110)의 암나사(111)와 체결을 위한 수나사(121)와 용이한 접속을 위한 경사면(122)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결속 부재(131)와, 파이프 홀더(132) 및 밀폐 링(133)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130)을 수용하는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122)을 형성하는 볼트형 연결구(120)를 별도로 제작하여야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볼트형 연결구의 호환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122)이 없는 볼트형 연결구(120)의 경우에는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130)을 채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파이프(P)의 지지력이 약해 고압 발생시 냉매가스가 유출되거나 파이프(P)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파이프 지지수단(130)을 수용하는 공간이 없는 볼트형 연결구(120)와 너트형 연결구(110) 사이에는 내부에 체결을 위한 암나사(141)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141)의 일 측으로는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130)을 수용하는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142)이 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142)의 외면에 수나사(143)를 형성한 별도의 어댑터(140)를 형성하여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별도의 어댑터(140)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부품 개수와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조립시간이 증가하여 조립성이 저하되고, 또 어댑터(140)가 없을 경우에는 파이프 지지수단(130)을 이용한 연결이 불가능하여 고압 발생시 파이프(P)의 견고한 고정이 어렵기 때문에 냉매의 유출은 물론 파이프(P)의 이탈을 방지하지 못하여 공기조화기를 가동하지 못하는 큰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너트형 연결구(110)의 파이프 삽입구멍(112)을 통해 조립되는 파이프(P)의 선단은 볼트형 연결구(120)의 경사면(122)과 긴밀한 접속을 이루도록 확관부(flare)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어 조립작업이 지연되거나 확관부가 얇아져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과 커버 링 수용 홈에 의해 파이프 지지수단을 수용 고정하여 별도의 어댑터 없이 파이프를 형성한 볼트형 연결구와 너트형 연결구의 체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너트형 연결구와 호환성을 향상시키고, 고압 발생시에도 상기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며 확실한 기밀을 이루도록 하는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형 연결구를 통해 조립되는 파이프의 일단에 확관부(flare)를 형성하지 않고도 볼트형 연결구와 신속하고 긴밀한 체결로 확실한 기밀을 이룰 수 있는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에 사용되는 볼트형 연결구와 이 볼트형 연결구와 체결되는 너트형 연결구로서, 내부 일 측에 체결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의 일 측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암나사의 지름에 비해 작은 지름을 갖고 내면에 파이프 삽입구멍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과 결합을 위한 직선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 결합부의 일 측으로는 테이퍼진 경사 결합부가 형성된 결속 부재와, 상기 결속 부재와 결합 되며 일 측 끝 부분에는 링(ring) 형태의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상기 스파이크의 일 측으로는 외면이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파이프 홀더를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수단을 수용하는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와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 사이에는 일단에 외 측으로 경사진 외 측 경사면이 형성되고, 대향 하는 타 일단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내측 경사면이 형성되는 테프론 재질의 커버 링을 수용하는 커버 링 수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 부재의 직선 결합부 일단에는 커버 링의 일단 외 측으로 형성된 외 측 경사면과 긴밀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의 일 측에는 너트형 연결구의 체결시 낮은 마찰계수로 파이프 지지수단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렬이 흐트러지거나 마찰로 인한 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테프론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받침 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너트형 연결구의 내부에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을 형성하여 종래의 너트형 연결구와 호환성을 이루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함은 물론, 별도의 어댑터나, 내부에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볼트형 연결구를 제작하지 않고도 파이프 지지수단으로 파이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파이프 지지수단이 너트형 연결구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취급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신속하고 용이한 체결작업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형 연결구와 너트형 연결구의 체결시, 파이프 지지수단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바르게 정렬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품질향상과 연결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체의 누설을 확실하게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볼트형 연결구와 파이프 지지수단 및 너트형 연결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볼트형 연결구와 어댑터, 파이프 지지수단 및 너트형 연결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형 연결구와, 받침 링, 파이프 지지수단, 커버 링 및 파이프의 구조와 조립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형 연결구와, 받침 링, 파이프 지지수단, 커버 링 및 파이프를 조립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형 연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너트형 연결구와 도 6의 볼트형 연결구의 초기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단면도로서 파이프 지지수단이 파이프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 링, 파이프 지지수단, 커버 링 및 파이프를 조립한 너트형 연결구와 볼트형 연결구를 깊이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요부 단면도로서 파이프 지지수단이 파이프를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형 연결구와 분기관에 형성된 볼트형 연결구와의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 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너트형 연결구(310)는, 내부 일 측에 체결을 위한 암나사(311)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311)의 일 측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암나사(311)의 지름에 비해 작은 지름을 갖는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313)이 형성된다.
또, 상기 암나사(311)와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313) 사이에는 수용되는 파이프 지지수단(330)의 흔들림이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링 수용 홈(3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313)의 지름을 상기 암나사(311)의 지름에 비해 작게 형성하는 것은 추후 설명할 파이프 지지수단(330)의 외경 두께를 불필요하게 두껍게 제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330)을 구성하는 결속 부재(331)와 파이프 홀더(332)의 내부 지름(내경)은 에어컨의 실내기 또는 실외기와 연결되는 파이프(P)의 외면과 밀착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파이프(P)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313)을 상기 암나사(311)의 지름에 비해 크게 할 경우에는 이에 적합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330)의 결속 부재(331)와 파이프 홀더(332)의 바깥쪽 두께를 두껍게 할 수밖에 없어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두꺼워진 두께로 인해 조작성이 나빠지게 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313)의 지름을 상기 암나사(311)의 지름에 비해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311)와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313) 사이에 형성된 커버 링 수용 홈(312)에는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313)으로 파이프 지지수단(330)을 형성하는 결속 부재(331)와 파이프 홀더(332)를 순서대로 삽입한 후 커버 링(350)을 끼워 설치함으로써, 파이프 지지수단(330)이 바르고 견고하게 지지 되어 흔들리거나 너트형 연결구(3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형 연결구(320)와 너트형 연결구(310)의 체결시 파이프 지지수단(330)이 흔들려 흐트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바로 잡기 위해 발생하는 작업시간의 지연 현상을 예방함과 동시에 신속하고 용이한 연결 작업으로 조립품질 향상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링(350)은 일단이 외 측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외 측 경사면(351)이 형성되고, 대향 하는 타 일단에는 내측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내측 경사면(3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커버 링(350)에 의해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330)의 결속 부재(331) 직선 결합부(331a)의 일단으로 형성된 경사면(331c)과, 볼트형 연결구(320)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322)과 긴밀하고 견고한 접촉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너트형 연결구(310)와 볼트형 연결구(320)와의 체결시 체결력에 의해 커버 링(350)의 일단 외 측으로 형성된 외 측 경사면(351)은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330)의 결속 부재(331) 직선 결합부(331a) 일단에 형성된 경사면(331c)과 긴밀하고 견고하게 접촉하고, 타 일단 내측으로 형성된 내측 경사면(352)은 상기 볼트형 연결구(320)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322)과 긴밀하고 견고하게 접촉하면서 압축 및 외 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연결부의 빈틈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므로 냉매가스와 같은 유체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파이프(P)의 일단에 확관부(flare)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너트형 연결구(310)와 볼트형 연결구(320)의 긴밀한 체결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확관부 형성으로 인한 작업시간 단축과 확관부 형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313)의 타 일 측으로는 파이프 삽입구멍(314)이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삽입구멍(314)은 파이프(P)와 접촉되는 면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삽입되는 파이프(P)의 지지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330)은, 결속 부재(331)와 파이프 홀더(3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 부재(331)는, 내면 일 측에 상기 파이프 삽입구멍(314)으로 삽입되는 파이프(P)의 외면과 결합을 위한 직선 결합부(331a)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 결합부(331a)의 일 측으로는 테이퍼진 경사 결합부(331b)가 형성된다.
또, 상기 직선 결합부(331a)의 일단에는 상기 커버 링(350)의 일단 외 측으로 형성된 외 측 경사면(351)과 긴밀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한 경사면(331c)이 형성된다.
따라서, 더욱더 긴밀하고 견고한 결합을 이루어 연결부의 밀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 결합부(331a)의 지름은 상기 파이프(P)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형 연결구(310)의 파이프 삽입구멍(314)을 통해 삽입되는 파이프(P)는 직선 결합부(331a)와 부드럽고 긴밀한 결합 상태를 이루게 되어 결속 부재(331) 밖으로 파이프(P)가 쉽게 이탈되지 않아 볼트형 연결구(320)와 너트형 연결구(310)의 체결작업을 더욱더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직선 결합부(331a)는 파이프(P)를 긴밀하고 견고하게 수용, 지지하여 조립 동작시 파이프(P)가 헐거워 빠지거나 찌그러지는 등의 불필요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파이프(P)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스패너와 같은 공구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원활한 연결작업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홀더(332)는 상기 결속 부재(331)와 결합 되며, 일 측 끝 부분에는 링(ring) 형태의 스파이크(332b)가 형성되고, 상기 스파이크(332b)의 일 측으로는 외면이 테이퍼진 경사면(33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332a)은 상기 결속 부재(331)의 경사 결합부(331b)와 대응되는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 홀더(332)는 상기 볼트형 연결구(320)와 너트형 연결구(310)의 체결시, 체결력에 의해 결속 부재(331)의 경사 결합부(331b)로 깊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 홀더(332)의 선단에 형성된 스파이크(332b)가 압축 변형되면서 상기 너트형 연결구(310)의 파이프 삽입구멍(314)을 통해 삽입된 파이프(P)의 원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파이크(332b)가 파이프(P)의 외면으로 파고들어 견고한 지지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결속 부재(331)와 파이프 홀더(332)의 결합시, 이 파이프 홀더(332)가 결속 부재(331)의 경사 결합부(331b) 내로 전진 이동하게 되면서 경사면(332a)의 일 측으로 형성된 스파이크(332b)도 상기 경사 결합부(331b)를 통해 압축 변형되면서 원 중심 방향으로 오므려 들어 파이프(P)의 외면을 용이하게 파고들어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 상기 스파이크(332b)는 선단 원둘레 면에 상기 파이프(P)의 외면을 보다 용이하게 파고들어 견고한 고정을 이루도록 경사 날(332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형 연결구(320)와 너트형 연결구(310)의 체결시, 체결력에 의해 상기 스파이크(332b)는 파이프(P)의 원 중심방향으로 압축 변형되면서 이동시, 경사 날(332c)이 파이프(P)의 외면을 좀 더 용이하게 파고들어 더욱 견고한 지지력을 이루게 되어 고압력 발생시에도 파이프(P)가 밀리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 날(332c)은 너무 급격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하면 선단 면이 날카로워 결합 되는 파이프(P)의 외면을 깎아 내거나 구멍을 낼 수도 있으므로 안되며, 또 너무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면 선단 면이 무뎌 결합 되는 파이프의 외면을 파고들기가 어려우므로 개략 3°∼ 45°정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313)의 일단 면에는 수용되는 파이프 홀더(332)를 받침 지지하는 테프론으로 이루어지는 받침 링(340)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형 연결구(310)와 볼트형 연결구(320)의 체결시 파이프 지지수단(330)이 중심 축을 기준으로 정렬이 비틀려지거나 과도한 마찰로 인한 틈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받침 링(340)이 형성됨에 따라 볼트형 연결구(320)와 너트형 연결구(310)의 체결시,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330)의 파이프 홀더(332)는 받침 링(340) 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313)과 직접 접촉되지 않고 받침 링(340)과 접촉되어 낮은 마찰계수를 부여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형 연결구(3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파이프 지지수단(330)은 받침 링(340)에 의해 지지 되므로, 마찰력이 높은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313)의 일단 면과 직접 접촉되지 않아 마찰력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되어, 중심 축을 기준으로 정렬이 비틀려지거나 마찰로 인한 틈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조립성과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형 연결구(320)는 일 측에 에어컨의 실내기 또는 실외기와 연결되는 파이프(P)가 일체로 형성되고, 외면 일 측으로는 상기 너트형 연결구(310)의 암나사(311)와 체결을 위한 수나사(321)가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321)가 형성된 선단에는 상기 너트형 연결구(310)와 체결시 결합력과 기밀성 향상을 위한 경사면(322)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형 연결구(320)에 형성되는 파이프(P)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링(350)과 받침 링(340)은 냉매가스와 같은 유체로부터 부식을 방지하도록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차가운 냉매가스와 같은 유체와 접촉할 경우에도 특성이 변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후성(耐候性 : 재료가 빛, 풍우, 습기, 공기 중의 기체 등 자연환경의 작용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이 좋고 비점착성으로 마찰계수가 작은 폴리불화에틸렌계 합성섬유의 하나인 테프론(Teflon)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고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너트형 연결구와 볼트형 연결구의 체결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형 연결구(310)의 내부에 형성된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313)의 일단 면으로 받침 링(340)을 삽입 안착시키고, 상기 받침 링(340)의 상면으로는 파이프 홀더(332)가 위치하도록 삽입하며, 상기 파이프 홀더(332)의 경사면(332a)으로는 결속 부재(331)의 경사 결합부(331b)가 결합 되도록 삽입한다.
다음, 상기 너트형 연결구(310)에 형성된 커버 링 수용 홈(312)으로 커버 링(350)을 삽입, 고정한다.
이때, 상기 커버 링(350)에 의해 파이프 지지수단(330)은 흔들리거나 이탈이 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 상기 너트형 연결구(310)의 일 측면으로 형성된 파이프 삽입구멍(3141)으로 파이프(P)를 삽입하여 선단이 상기 커버 링(350)을 관통하도록 전진시킨다.
이때, 상기 파이프(P)는 파이프 홀더(332)와 결속 부재(331) 및 커버 링(350)의 내면을 통과하여 부드러운 억지 끼움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밖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너트형 연결구(310)의 취급이 더욱더 원활하고 용이하여 질 수 있다.
다음, 상기 너트형 연결구(310)의 암나사(311)를 볼트형 연결구(320)의 수나사(321)와 체결한 후,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돌려 죄어 볼트형 연결구(320)와 견고하게 체결한다.
이때, 상기 너트형 연결구(310)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311)를 볼트형 연결구(320)의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321)와 깊이 체결시킴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홀더(332)의 경사면(332a)이 결속 부재(331)의 경사 결합부(331b) 안쪽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스파이크(332b)가 파이프(P)의 원 중심 방향으로 가압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 홀더(332)의 일단 부분에 형성된 스파이크(332b)가 압착 변형으로 오므려 들면서 파이프(P)의 외면을 파고들어 지지하므로 견고한 체결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커버 링(350)의 일단 외 측으로 형성된 외 측 경사면(351)이 상기 결속 부재(331)의 직선 결합부(331a) 일단에 형성된 경사면(331c)과 긴밀하고 견고하게 접촉하고, 타 일단 내측으로 형성된 내측 경사면(352)은 상기 볼트형 연결구(320)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322)과 긴밀하고 견고하게 접촉하면서 압축 및 외 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연결부의 빈틈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므로 냉매가스와 같은 유체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볼트형 연결구(320)와 너트형 연결구(310)의 체결에 의해 에어컨의 실내기와 연결되는 파이프(P)와 실외기와 연결되는 파이프(P)의 연결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견고한 고정을 이루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압력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이송을 위한 파이프뿐만 아니라, 고압력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이송을 위한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통을 위한 연결부분에서 파이프가 느슨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의 원활한 이송과 기밀성 향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을 신속하고 견고하며 용이하게 이루어 작업성 향상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310 : 너트형 연결구 311 : 암나사
312 : 커버 링 수용 홈 313 :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
314 : 파이프 삽입구멍 320 : 볼트형 연결구
321 : 수나사 322 : 경사면
330 : 파이프 지지수단 331 : 결속 부재
331a : 직선 결합부 331b : 경사 결합부
331c : 경사면 332 : 파이프 홀더
332a : 경사면 332b : 스파이크
332c : 경사날 340 : 받침 링
350 : 커버 링 351 : 외 측 경사면
352 : 내측 경사면 P : 파이프

Claims (7)

  1.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에 사용되는 볼트형 연결구와 이 볼트형 연결구와 체결되는 너트형 연결구로서,
    내부 일 측에 체결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의 일 측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암나사의 지름에 비해 작은 지름을 갖고 내면에 파이프 삽입구멍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과 결합을 위한 직선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 결합부의 일 측으로는 테이퍼진 경사 결합부가 형성된 결속 부재와, 상기 결속 부재와 결합 되며 일 측 끝 부분에는 링(ring) 형태의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상기 스파이크의 일 측으로는 외면이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파이프 홀더를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수단을 수용하는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와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 사이에는 일단에 외 측으로 경사진 외 측 경사면이 형성되고, 대향 하는 타 일단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내측 경사면이 형성되는 테프론 재질의 커버 링을 수용하는 커버 링 수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부재의 직선 결합부 일단에는 커버 링의 일단 외 측으로 형성된 외 측 경사면과 긴밀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지지수단 수용 공간의 일 측에는 너트형 연결구의 체결시 낮은 마찰계수로 파이프 지지수단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렬이 흐트러지거나 마찰로 인한 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테프론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받침 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
  6. 삭제
  7. 삭제
KR1020130056548A 2013-05-20 2013-05-20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 KR101473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548A KR101473454B1 (ko) 2013-05-20 2013-05-20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548A KR101473454B1 (ko) 2013-05-20 2013-05-20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247A KR20140136247A (ko) 2014-11-28
KR101473454B1 true KR101473454B1 (ko) 2014-12-18

Family

ID=5245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548A KR101473454B1 (ko) 2013-05-20 2013-05-20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01504A4 (en) * 2019-02-15 2022-08-03 Daikin Industries, Ltd. ARTICULATING ELEMENT AND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6103A1 (en) * 2011-11-02 2013-05-02 Tylok International, Inc. Face seal conduit fit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6103A1 (en) * 2011-11-02 2013-05-02 Tylok International, Inc. Face seal conduit fit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01504A4 (en) * 2019-02-15 2022-08-03 Daikin Industries, Ltd. ARTICULATING ELEMENT AND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247A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9947B1 (en) Method for connecting refrigerant pipe to a refrigerant pipe connection part
US9797532B2 (en) Pipe joint, air conditioner, method for producing connecting pipe, connecting pipe, and connection method
KR200232262Y1 (ko) 튜브 커플러
JP3235129U (ja) ブロック継手
KR101281743B1 (ko) 조립성과 기밀성 향상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방법
US8789852B2 (en) Hose repair clamp
US6986533B2 (en) Pipe coupling
KR100983157B1 (ko) 플레어리스관 접속 구조, 플레어리스관 접속 방법, 및 현지배관 접속 방법
CN100353114C (zh) 管接头
KR101161499B1 (ko) 양용 관이음매, 이 양용 관이음매용의 전용 공구, 이 양용 관이음매를 이용한 냉동 장치, 및 분리형 공기 조화기
CN209960045U (zh) 连接管件
GB2510175A (en) Ventilation duct coupling
KR20170090085A (ko) 배관 연결장치
JP3939311B2 (ja) 管継手
US20110108753A1 (en) Bite type pipe connection structure, valve, bite type pipe joint, and freezing device
CN201875330U (zh) 一种塑料管道的快速连接结构
KR101473454B1 (ko) 조립성 향상 기능을 갖는 너트형 연결구
KR101407491B1 (ko) 매립박스 배관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
KR101723205B1 (ko) 냉매관 연결구
KR101723372B1 (ko) 냉매관 연결구
US20030197378A1 (en) Sealing compression ferrule for plumbing connection fitting
JP2007218300A (ja) 管継手、冷凍装置、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及び給水配管
JP2018146027A (ja) 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空調システム
CN203757235U (zh) 一种卡套快速接头
KR101563419B1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