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548B1 -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 - Google Patents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548B1
KR101472548B1 KR1020130045468A KR20130045468A KR101472548B1 KR 101472548 B1 KR101472548 B1 KR 101472548B1 KR 1020130045468 A KR1020130045468 A KR 1020130045468A KR 20130045468 A KR20130045468 A KR 20130045468A KR 101472548 B1 KR101472548 B1 KR 101472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t water
heat exchange
water boil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431A (ko
Inventor
이종선
김문기
백두성
조동현
Original Assignee
(주)비엔씨하이텍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엔씨하이텍,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비엔씨하이텍
Priority to KR1020130045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548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4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with liquid or gas distribu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세척기 제조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아울러 세척기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외기를 가열시켜 연료연소유닛부의 급기팬측으로 공급가능하므로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저면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시킬 수 있도록 연료연소유닛부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는 연소가스를 배출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외기를 배기가스의 열로 가열시켜 상기 연료연소유닛부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와, 상기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에 일단과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내설되되, 일단은 수도꼭지와 직결가능함에 따른 저압용 관으로 구비되어 연료연소유닛부의 구동에 대응되게 일단으로 유입된 냉수를 고온수로 열교환시켜 타단측으로 배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온수보일러부와, 상기 온수보일러부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온으로 열교환된 온수를 고압으로 배출가능하도록 케이스에 실장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압펌프와, 상기 고압펌프의 배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온 고압으로 열교환된 세척수를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분사노즐유닛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sher equipped with a payback period of the waste heat of the exhaust gases}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저장부를 배제시키고 고압펌프를 온수보일러부 후단에 배치시켜 세척기를 구성함으로써, 온수보일러부의 열교환용관을 저압용 관으로 구성할 수 있어 세척기 제조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아울러 세척기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외기를 가열시켜 연료연소유닛부의 급기팬측으로 공급가능하므로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세척기는 표면 또는 내부에 남아 있는 불순물이나 침전물 등의 필요없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씻어 청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세척장치는 가정용도로 옷 등의 세탁물을 세척하는 세탁기가 있으며, 상업적인 용도로는 자동차 세척 또는 건물의 내.외벽의 세척 또는 화학 공장의 반응조 내부 세척 및 중장비와 같은 기계부품의 기름때를 제거하는 장치 등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자동차 세척을 위한 일반적인 고온 고압 세척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 세척기(10)는, 냉수공급부(미도시함)와 연결된 공급호스(11)와 연결되어 냉수를 저장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냉수저장부(12)와, 상기 냉수저장부(12)의 출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어부(미도시함)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냉수저장부(12)에 저장된 냉수를 고압으로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압펌프(13)와, 상기 고압펌프(13)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배관된 냉수고압공급관(14)의 일단과 연결되는 열교환용관(15)을 다수번 권회시켜 내설시킴과 아울러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연료공급부(16)로부터 공급된 연료가 외기공급팬(17)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외기와 함께 공급되어 점화되는 것에 의해 고압으로 공급되는 냉수를 온수로 열교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일러부(18)와, 상기 보일러부(18)에 내설된 열교환용관(15)의 배출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온 고압으로 열교환된 세척수를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분사유닛(19)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 세척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일러부로 공급되는 냉수가 고압펌프에 의해 고압으로 공급되므로, 냉수고압공급관과 보일러부에 내설된 열교환용관이 고압을 견딜 수 있도록 고압용 관으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세척기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고 아울러 냉수고압공급관과 열교환용관이 고압용 관으로 구성됨에 따른 세척기 제조의 단가가 상승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 세척기의 열교환용관은 보일러부의 내부에 단순하게 다수번 권회되어 구비되므로, 열교환에 따른 표면적이 작아 열교환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 세척기는 외기를 직접 보일러부측으로 공급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해 연료 소모량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압펌프를 온수보일러부 후단에 배치시킴과 아울러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에 내설된 열교환용관의 표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세척기를 구성함으로써, 온수보일러부의 열교환용관을 저압용 관으로 구성할 수 있어 세척기 제조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아울러 세척기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외기를 가열시켜 연료연소유닛부의 급기팬측으로 공급가능하므로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에 있어서, 다수의 버튼을 갖는 제어부가 설치된 케이스에 실장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저면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시킬 수 있도록 연료연소유닛부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는 연소가스를 배출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외기를 배기가스의 열로 가열시켜 상기 연료연소유닛부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와, 상기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에 일단과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내설되되, 일단은 수도꼭지와 직결가능함에 따른 저압용 관으로 구비되어 연료연소유닛부의 구동에 대응되게 일단으로 유입된 냉수를 고온수로 열교환시켜 타단측으로 배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온수보일러부와, 상기 온수보일러부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온으로 열교환된 온수를 고압으로 배출가능하도록 케이스에 실장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압펌프와, 상기 고압펌프의 배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온 고압으로 열교환된 세척수를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분사노즐유닛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는, 케이스에 내설되어 내부에 상기 온수보일러부를 실장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내측 상부에는 열교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외기열교환용격판이 설치되고, 저면 중앙부에는 연료연소유닛부의 일단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 양측으로는 온수보일러부의 일단과 타단을 배관시킬 수 있도록 유입 및 배출배관용홀이 천공됨과 아울러 상면에는 일단이 외기열교환용격판을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어 연소에 따른 배기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기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 일측에는 외기를 열교환용공간부측으로 유입킬 수 있도록 외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외주면 상부에는 가열공기로 열교환된 가열공기를 연료연소유닛부의 급기팬측과 연결된 가열공기급기관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열교환용공간부와 연통된 가열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온수보일러부는,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에 내설되되, 일단은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의 저면 일측에 수도꼭지와 냉수공급연결관을 통하여 직결가능하도록 설치된 냉수유입구와 연결되어 다수번 권회되는 제1열교환용관과, 상기 제1열교환용관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이 제1열교환용관의 내측으로 다수번 권회되게 연장 형성되고 타단은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의 저면 타측에 설치된 온수배출구와 연결되는 제2열교환용관으로 구성된 열교환용관과, 상기 열교환용관의 제1,2열교환용관 표면에 일단이 각각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 설치되어 연료연소유닛부가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연료고 연소됨에 따른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교환용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에 따르면, 고압펌프를 온수보일러부 후단에 배치시킴과 아울러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에 내설된 열교환용관의 표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세척기를 구성함으로써, 온수보일러부의 열교환용관을 저압용 관으로 구성할 수 있어 세척기 제조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아울러 세척기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외기를 가열시켜 연료연소유닛부의 급기팬측으로 공급가능하므로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자동차 세척을 위한 일반적인 고온 고압 세척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는 냉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냉수를 보일러부에 내설된 온수보일러부의 입구측과 직접 연결시키고, 고압펌프를 온수보일러부의 출구측과 분사노즐유닛 사이에 연결시키고 또한 온수보일러부의 표면에 다수의 열교환용핀을 형성하여 구성함으써, 보일러부에 내설된 온수보일러부를 저압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관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료 연소에 따른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버튼을 갖는 제어부(미도시함)가 설치된 케이스(110)에 실장가능하도록 기둥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저면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시킬 수 있도록 연료연소유닛부(120)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는 연소가스를 배출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외기를 배기가스의 열로 가열시켜 상기 연료연소유닛부(120)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와, 상기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에 일단과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내설되되, 일단은 수도꼭지와 직결가능함에 따른 저압용 관으로 구비되어 연료연소유닛부(120)의 구동에 대응되게 일단으로 유입된 냉수를 고온수로 열교환시켜 타단측으로 배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온수보일러부(140)와, 상기 온수보일러부(14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온으로 열교환된 온수를 고압으로 배출가능하도록 케이스(110)에 실장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압펌프(150)와, 상기 고압펌프(150)의 배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온 고압으로 열교환된 세척수를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분사노즐유닛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100)의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온수보일러부(140)를 실장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저면에는 연료연소유닛부(120)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면에는 연소가스 배출 및 연료연소유닛부(120)의 구동에 따른 가열공기가 연료연소유닛부(120)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는 케이스(110)에 내설되어 내부에 상기 온수보일러부(140)를 실장시킬 수 있도록 기둥체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 상부에는 열교환용공간부(131a)가 형성되도록 외기열교환용격판(131)이 설치되고, 저면 중앙부에는 연료연소유닛부(120)의 일단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 양측으로는 온수보일러부(140)의 일단과 타단을 배관시킬 수 있도록 유입 및 배출배관용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됨과 아울러 상면에는 일단이 외기열교환용격판(131)을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어 연소에 따른 배기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기구(132)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의 배기구(132) 일측에는 외기를 열교환용공간부(131a)측으로 유입킬 수 있도록 외기유입구(133)가 형성되고, 외주면 상부에는 가열공기로 열교환된 가열공기를 연료연소유닛부(120)의 급기팬(121)측과 연결된 가열공기급기관(122)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열교환용공간부(131a)와 연통된 가열공기배출구(134)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연료연소유닛부(120)는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급기팬(121) 및 연료저장부(170)에 저장된 연료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된 연료공급용펌프(123)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의 저면측으로 가열공기와 연료를 분사시켜 점화에 따른 연소가능하도록 구성되는바, 이러한 구성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일반적인 보일러의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으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온수보일러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에 일단과 타단이 저면으로 노출되게 실장되되, 일단은 수도꼭지와 직결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른 저압용 관으로 구성할 수 있어 세척기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온수보일러부(140)는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에 내설되되, 일단은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의 저면 일측에 수도꼭지와 냉수공급연결관(180)을 통하여 직결가능하도록 설치된 냉수유입구(143)와 연결되어 다수번 권회되는 제1열교환용관(141a)과, 상기 제1열교환용관(141a)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이 제1열교환용관(141a)의 내측으로 다수번 권회되게 연장되는 것에 이중의 용수철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의 저면 타측에 설치된 온수배출구(144)와 연결되는 제2열교환용관(141b)으로 구성된 열교환용관(141)과, 상기 열교환용관(141)의 제1,2열교환용관(141a,141b) 표면에 일단이 각각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 설치되어 연료연소유닛부(120)가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연료고 연소됨에 따른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교환용핀(14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열교환용관(141)의 제1,2열교환용관(141a,141b)과 외기열교환용격판(131) 사이에는 유입되는 냉수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켜 온수를 공급가능하도록 다수의 고정브라켓(195)을 매개로 외기열교환용격판(131)내측면에 고정되되, 저면은 제1열교환용관(141a)의 타단과 연결되고, 외주면에는 제2열교환용관(141b)의 일단과 연결되는 도넛 형상의 단면을 갖는 열교환저장부(19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냉수유입구(143)는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에 실장되어 케이스(110)에 내설시 냉수공급연결관(180)과 연결가능하도록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고압펌프(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보일러부(140)의 열교환용관(141) 타단 즉, 온수배출구(144)와 온수배출관(151)을 매개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온수를 분사노즐유닛부(16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분사노즐유닛부(160)는 고압펌프(150)의 배출측에 분사용호스(161)를 통하여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분사노즐(162)이 갖추어져 고온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고온 고압으로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의 저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일단은 열교환용관(141)의 제1열교환용관과 연결되어 타단이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된 냉수유입구(143)에 냉수공급부 즉, 수도꼭지와 연결된 냉수공급연결관(180)을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냉수유입구(143)에 냉수공급연결관(180)이 연결되면,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작동버튼을 누름시킨다.
상기 작동버튼의 누름으로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의 저면에 일단이 고정된 연료연소유닛부(120)가 작동 즉, 급기팬(121)과 연료공급용펌프(123)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연료가 점화되어 연소하게 된다.
상기 연료의 연소로 인해 외기유입구(133)로 유입된 외기는 외기열교환용격판(131)이 구비되므로 인해 형성된 열교환용공간부(131a)를 지나는 중에 가열공기로 열교환되어 가열공기배출구(134)와 이의 가열공기배출구(134)와 연결된 가열공기급기관(122)을 통하여 급기팬(121)측으로 유입되므로 연료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료 연소로 외주면에 다수의 열교환용핀(142)이 형성된 열교환용관(141)의 제1열교환용관(141a)을 지나는 냉수는 열교환되어 열교환저장부(190)로 유입되고, 상기 열교환저장부(190)로 유입된 온수는 다시 한 번 열교환되면서 배출되며, 열교환저장부(190)로부터 열교환되어 배출된 온수는 외주면에 다수의 열교환용핀(142)이 형성된 제2열교환용관(141b)을 지나면서 또 다시 열교환되므로 인해 고온의 온수로 열교환되어 온수배출구(144)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동일한 양의 연료를 사용하면서도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온수배출구(144)측으로 배출된 온수는 고압펌프(150)의 구동에 의해 분사노즐유닛부(160)측으로 고압으로 공급되므로 온수로 자동차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100)는 고압펌프를 온수보일러부(140)와 분사노즐유닛부(160) 사이에 설치하므로 인해 온수보일러부(140)의 열교환용관(141)을 저압용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관으로 구성할 수 있어 세척기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
110 ; 케이스
120 ; 연료연소유닛부
130 ;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
140 ; 온수보일러부
150 ; 고압펌프
160 ; 분사노즐유닛부
170 ; 연료저장부
180 ; 냉수공급연결관
190 ; 열교환저장부

Claims (4)

  1.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에 있어서,
    다수의 버튼을 갖는 제어부가 설치된 케이스(110)에 실장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저면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시킬 수 있도록 연료연소유닛부(120)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는 연소가스를 배출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외기를 배기가스의 열로 가열시켜 상기 연료연소유닛부(120)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와;
    상기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에 일단과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내설되되, 일단은 수도꼭지와 직결가능함에 따른 저압용 관으로 구비되어 연료연소유닛부(120)의 구동에 대응되게 일단으로 유입된 냉수를 고온수로 열교환시켜 타단측으로 배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온수보일러부(140)와;
    상기 온수보일러부(14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온으로 열교환된 온수를 고압으로 배출가능하도록 케이스(110)에 실장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압펌프(150)와;
    상기 고압펌프(150)의 배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온 고압으로 열교환된 세척수를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분사노즐유닛부(160)를 포함하되,
    상기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는, 케이스(110)에 내설되어 내부에 상기 온수보일러부(140)를 실장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내측 상부에는 열교환용공간부(131a)가 형성되도록 외기열교환용격판(131)이 설치되고, 저면 중앙부에는 연료연소유닛부(120)의 일단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 양측으로는 온수보일러부(140)의 일단과 타단을 배관시킬 수 있도록 유입 및 배출배관용홀이 천공됨과 아울러 상면에는 일단이 외기열교환용격판(131)을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어 연소에 따른 배기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기구(1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132) 일측에는 외기를 열교환용공간부(131a)측으로 유입킬 수 있도록 외기유입구(133)가 형성되고, 외주면 상부에는 가열공기로 열교환된 가열공기를 연료연소유닛부(120)의 급기팬(121)측과 연결된 가열공기급기관(122)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열교환용공간부(131a)와 연통된 가열공기배출구(134)가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
  2. 삭제
  3.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에 있어서,
    다수의 버튼을 갖는 제어부가 설치된 케이스(110)에 실장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저면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시킬 수 있도록 연료연소유닛부(120)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는 연소가스를 배출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외기를 배기가스의 열로 가열시켜 상기 연료연소유닛부(120)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와;
    상기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에 일단과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내설되되, 일단은 수도꼭지와 직결가능함에 따른 저압용 관으로 구비되어 연료연소유닛부(120)의 구동에 대응되게 일단으로 유입된 냉수를 고온수로 열교환시켜 타단측으로 배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온수보일러부(140)와;
    상기 온수보일러부(14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온으로 열교환된 온수를 고압으로 배출가능하도록 케이스(110)에 실장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압펌프(150)와;
    상기 고압펌프(150)의 배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온 고압으로 열교환된 세척수를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분사노즐유닛부(160)를 포함하되,
    상기 온수보일러부(140)는,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에 내설되되, 일단은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의 저면 일측에 수도꼭지와 냉수공급연결관(180)을 통하여 직결가능하도록 설치된 냉수유입구(143)와 연결되어 다수번 권회되는 제1열교환용관(141a)과, 상기 제1열교환용관(141a)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이 제1열교환용관(141a)의 내측으로 다수번 권회되게 연장 형성되고 타단은 온수보일러용케이스부(130)의 저면 타측에 설치된 온수배출구(144)와 연결되는 제2열교환용관(141b)으로 구성된 열교환용관(141)과, 상기 열교환용관(141)의 제1,2열교환용관(141a,141b) 표면에 일단이 각각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 설치되어 연료연소유닛부(120)가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연료고 연소됨에 따른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교환용핀(1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관(141)의 제1,2열교환용관(141a,141b)과 외기열교환용격판(131) 사이에는, 유입되는 냉수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켜 온수를 공급가능하도록 다수의 고정브라켓(195)을 매개로 외기열교환용격판(131)내측면에 고정되되, 저면은 제1열교환용관(141a)의 타단과 연결되고, 외주면에는 제2열교환용관(141b)의 일단과 연결되는 열교환저장부(19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
KR1020130045468A 2013-04-24 2013-04-24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 KR101472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468A KR101472548B1 (ko) 2013-04-24 2013-04-24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468A KR101472548B1 (ko) 2013-04-24 2013-04-24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431A KR20140127431A (ko) 2014-11-04
KR101472548B1 true KR101472548B1 (ko) 2014-12-17

Family

ID=5245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468A KR101472548B1 (ko) 2013-04-24 2013-04-24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8647B (zh) * 2019-02-20 2020-06-12 徐旭义 一种无人驾驶汽车清洗烘干装置
CN111672437A (zh) * 2020-05-26 2020-09-18 盐城艾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冷却装置的反应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431A (ko)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547B1 (ko) 온수분사가 가능한 고온·고압세척기
KR101444798B1 (ko) 온수분사가 가능한 하이브리드식 고온·고압세척기
KR101472548B1 (ko) 배기가스의 폐열회수기를 구비한 고온·고압세척기
KR20120015898A (ko) 보일러용 폐열 회수기
CN206572752U (zh) 一种高效环保供热设备
KR101868671B1 (ko) 식기세척기를 이용한 온수 공급장치
KR200272697Y1 (ko) 세차기의 스팀 및 온수보일러
KR100689145B1 (ko) 보일러의 열교환장치
KR100340239B1 (ko) 노통 수관식 온수보일러
KR200265150Y1 (ko) 스팀보일러
CN111412769A (zh) 锅炉烟气回收加热器
KR20120111691A (ko) 보일러폐열회수장치
CN203443094U (zh) 一种常压热水炉
CN103383142B (zh) 一种常压热水炉
CN113798242B (zh) 一种高温高压清洗机
CN102062470B (zh) 节能热水炉
CN215198494U (zh) 一种喷射加热装置
CN107166453B (zh) 一种燃气灶废热回收方法及装置
KR200407567Y1 (ko) 이중 자켓을 갖는 보일러 장치
KR200282397Y1 (ko) 온수기를 겸한 온풍 발생기
CN106568071A (zh) 一种回燃锅炉及蒸汽洗车机
KR100452473B1 (ko) 온수 보일러
KR200312509Y1 (ko) 스팀 기능을 갖는 온수 보일러
KR200206394Y1 (ko) 소형보일러의 폐열온수기
KR20000016028U (ko) 스팀 보일러의 스케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