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691A - 보일러폐열회수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폐열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691A
KR20120111691A KR1020110030332A KR20110030332A KR20120111691A KR 20120111691 A KR20120111691 A KR 20120111691A KR 1020110030332 A KR1020110030332 A KR 1020110030332A KR 20110030332 A KR20110030332 A KR 20110030332A KR 20120111691 A KR20120111691 A KR 20120111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ste heat
boiler
storage tank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수
Original Assignee
김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수 filed Critical 김관수
Priority to KR102011003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691A/ko
Publication of KR2012011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일러 본체와 연통 연결부를 갖는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연통 연결부에 체결되며 내부 중앙에 제 1온수저장탱크가 형성된 제 1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온수저장탱크의 하측에 제 1유입관과 상측에 제 1유출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일러 폐열회수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코일형 파이프를 이용한 폐열회수장치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온수를 온수저장탱크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 폐열 발생시 온수를 생산하여 바로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도 많은 양의 폐열을 회수할 수 있어 열효율이 좋고, 폐열 발생 후 상당시간이 흐른 후에도 보일러의 가동이 필요없이 저장된 온수를 바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온수저장탱크의 경우 원통형 형상 등으로 제작되어 코일형 파이프의 경우보다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보일러폐열회수장치{APPARATUS FOR REUSING WASTE HEAT OF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일러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보일러는 석유, 가스, 연탄, 나무 등 연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보일러 내부에서 난방 또는 온수공급을 위해 사용하고 남은 폐열이 고온의 배기가스의 형태로 보일러 연통을 통해 배출된다. 종래의 보일러는 연통으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아무런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보일러의 효율을 떨어뜨려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보일러 연통 폐열을 회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장치가 고려되었으며, 그 중 하나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연통 내부 또는 연통 외부에 물이 공급되는 코일형 파이프(21)를 삽입 또는 부착하여 연통으로부터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회수장치(20)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 폐열회수장치(20)는 유입관(22)으로 공급되어 코일형 파이프(21)를 통과하는 물을 연통의 폐열로 가열하여 그 온수를 유출관(23)로 배출하는 형태이다. 이때 코일형 파이프(21)는 온수의 저장공간이 작으므로 폐열의 발생시 온수를 생산하여 바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경우에는 작은 양의 온수를 생산하는데에만 보일러 폐열이 이용되고 나머지 폐열은 공기 중으로 흘려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일러 연통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하고 상기의 온수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보일러 연통의 폐열로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의 보일러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폐열회수장치는, 보일러 본체와 연통 연결부를 갖는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연통 연결부에 체결되며 내부 중앙에 제 1온수저장탱크가 형성된 제 1연통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온수저장탱크의 하측에 제 1유입관과 상측에 제 1유출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일러 폐열회수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코일형 파이프를 이용한 폐열회수장치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온수를 온수저장탱크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 폐열 발생시 온수를 생산하여 바로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도 많은 양의 폐열을 회수할 수 있어 열효율이 좋고, 폐열 발생 후 상당시간이 흐른 후에도 보일러의 가동이 필요없이 저장된 온수를 바로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온수저장탱크의 경우 원통형 형상 등으로 제작되어 코일형 파이프의 경우보다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 폐열회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폐열회수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폐열회수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폐열회수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실시예에 의한 보일러 폐열회수장치(30)는 보일러 본체(11)와 연통 연결부(12)를 갖는 보일러(10)에 있어서, 상기 연통 연결부(12)에 체결되며 내부 중앙에 제 1온수저장탱크(31)가 형성된 제 1연통(34)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온수저장탱크(31)의 하측에 제 1유입관(32)과 상측에 제 1유출관(33)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 1실시예의 보일러 폐열회수장치(30)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보일러(10)는 석유, 가스, 연탄, 나무 등을 연료원으로 이용하며, 보일러 본체(11)의 연소실(미도시)에서 상기 연료원의 연소 후 배기가스가 발생한다. 이 때 종래의 폐열회수장치(20)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제 1연통(34) 내부 중앙부분에 상기의 제 1온수저장탱크(31)가 설치된다. 제 1연통(34)의 하측은 보일러(10)의 연통 연결부(12)에 삽입되며 그 결합부위는 배기가스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패킹되어야 한다.
한편, 연소실(미도시)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제 1연통(34)을 통해 배출되며 이 때 배기가스는 고온으로서 난방 또는 온수공급 등에 쓰이지 못하고 버려지는 폐열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폐열이 제 1유입관(32)을 통해 제 1온수저장탱크(31)에 저장된 물에 전달되어 온수가 생성되며, 상기 온수는 제 1유출관(33)을 통해 배출된다.
종래의 폐열회수장치(20)는 상기 코일형 파이프(21)의 온수저장공간이 협소하여 폐열의 발생시 생산된 온수를 바로 사용하지 않고 저장해 두는 경우에는 일부의 폐열만이 온수의 생산에 사용되고 나머지 폐열은 그대로 흘려버릴 수밖에 없었으나, 제 1온수저장탱크(31)의 경우에는 그 온수저장공간이 넓어서 폐열의 발생시 많은 양의 온수를 생산해 두었다가 후에 이를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폐열의 회수가 가능하다. 또한 제 1온수저장탱크(31)의 경우 원통형 형상 등으로 제작되어 코일형 파이프(21)의 경우보다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폐열회수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2실시예의 경우 제 1실시예의 보일러 폐열회수장치(30)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제 1연통(34) 상측에 체결되며 외측에 제 2온수저장탱크(51)가 형성된 제 2연통(54)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온수저장탱크(51)의 하측에 상기 제 1유출관(33)과 연결관(40)으로 연결되는 제 2유입관(52)과 상측에 제 2유출관(53)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 2실시예의 보일러 폐열회수장치(50)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연통(54)의 하측은 상기 제 1연통(34)의 상측과 대응되는 형태를 갖고 있어 삽입가능하며, 그 결합부위는 배기가스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패킹되어야 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폐열회수장치(50)는 제 1실시예와는 달리 제 2연통(54)의 외측에 제 2온수저장탱크(51)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온수저장탱크(51) 하측에 제 2유입관(52)이 연결되고, 상기 제 2유입관(52)은 상기 제 1유출관(33)과 연결관(40)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유출관(33)에서 배출된 온수는 제 2유입관(52)을 통해 제 2온수저장탱크(51)로 유입된다. 또한 제 2온수저장탱크(51)에서 배기가스의 폐열에 의해 재가열된 온수는 제 2온수저장탱크(51) 상측에 연결된 상기 제 2유출관(53)을 통해 배출되어 난방 또는 온수공급에 이용된다.
여기서 제 2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 2온수저장탱크(51)가 상기 제 2연통(54)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상기 제 1온수저장탱크(31)를 통과할 때 배기가스는 열 에너지를 제 1온수저장탱크(31)에 저장된 물에 전달하여 냉각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제 2온수저장탱크(51)와 접하는 배기가스의 표면적을 넓혀 주기 위하여 제 2온수저장탱크(51)를 제 2연통(54) 외측에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보일러의 폐열량, 사용환경 등에 따라 열효율을 높여주기 위하여 제 1연통(34)만을 복수개 삽입하거나 제 1연통(34) 위에 복수개의 제 1연통(34) 및 제 2연통(54)을 조합하여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회수장치도 제작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보일러
11 : 보일러 본체 12: 연통 연결부
20 : 종래 폐열회수장치
21 : 코일형 파이프
22 : 유입관 23 : 유출관
30, 50 : 보일러 폐열회수장치
31 : 제 1온수저장탱크
32 : 제 1유입관 33 : 제 1유출관
34 : 제 1연통
40 : 연결관
51 : 제 2온수저장탱크
52 : 제 2유입관 53 : 제 2유출관
54 : 제 2연통

Claims (2)

  1. 보일러 본체와 연통 연결부를 갖는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연통 연결부에 체결되며 내부 중앙에 제 1온수저장탱크가 형성된 제 1연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온수저장탱크의 하측에 제 1유입관과 상측에 제 1유출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회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통부 상측에 체결되며 외측에 제 2온수저장탱크가 형성된 제 2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온수저장탱크의 하측에 상기 제 1온수저장탱크의 제 1유출관과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제 2유입관과 상측에 제 2유출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폐열회수장치.



KR1020110030332A 2011-04-01 2011-04-01 보일러폐열회수장치 KR20120111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32A KR20120111691A (ko) 2011-04-01 2011-04-01 보일러폐열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32A KR20120111691A (ko) 2011-04-01 2011-04-01 보일러폐열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691A true KR20120111691A (ko) 2012-10-10

Family

ID=4728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332A KR20120111691A (ko) 2011-04-01 2011-04-01 보일러폐열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6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7412A (zh) * 2018-06-29 2018-11-30 河南玉发磨料有限公司 一种白刚玉块余热利用系统
CN110319588A (zh) * 2019-04-19 2019-10-11 广州市欧树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水垢功能的节能型燃煤锅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7412A (zh) * 2018-06-29 2018-11-30 河南玉发磨料有限公司 一种白刚玉块余热利用系统
CN110319588A (zh) * 2019-04-19 2019-10-11 广州市欧树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水垢功能的节能型燃煤锅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33271B (zh) 一种高效余热回收利用系统
CN106123315A (zh) 一种余热回收节能锅炉
RU2016114849A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а дымовых газов
KR101292015B1 (ko) 수직수관형 관류 증기보일러
KR20120015898A (ko) 보일러용 폐열 회수기
KR20120111691A (ko) 보일러폐열회수장치
CN202648150U (zh) 锅炉余热回收装置
CN204372879U (zh) 一种双介质余热锅炉
KR20070078624A (ko) 수관식 스팀 및 온수 보일러
CN104406144A (zh) 双介质余热锅炉
CN102374516B (zh) 一种高温尾气的热量回收节能装置
CN203744223U (zh) 一种临机加热系统
CN105115150A (zh) 一种燃气发生装置
KR200465654Y1 (ko) 화목 보일러
CN202792545U (zh) 一种带废热回收装置的燃气热水器
CN105650663A (zh) 利用排烟余热加热的热水器
CN106369588B (zh) 燃气锅炉
CN104165349A (zh) 锅炉余热利用装置
CN205842616U (zh) 一种废气燃油组合锅炉
CN205065683U (zh) 一种启动锅炉排污水热量回收系统
CN204943862U (zh) 一种燃气发生装置
CN103604216A (zh) 一种导热油炉余热利用装置
CN203534272U (zh) 一种锅炉余热热水系统
KR101965756B1 (ko) 증기보일러의 폐열 회수장치
CN203824083U (zh) 负压电磁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