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535B1 -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535B1
KR101471535B1 KR1020130026899A KR20130026899A KR101471535B1 KR 101471535 B1 KR101471535 B1 KR 101471535B1 KR 1020130026899 A KR1020130026899 A KR 1020130026899A KR 20130026899 A KR20130026899 A KR 20130026899A KR 101471535 B1 KR101471535 B1 KR 101471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signal
search
lis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311A (ko
Inventor
임승준
고재호
한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두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두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두잇
Priority to KR102013002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53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3Testing, monitoring, correcting or calibrating of receiver elements
    • G01S19/235Calibration of receiver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5Constructional details or hardware or software details of the signal processing chain
    • G01S19/37Hardware or software details of the signal processing cha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위성의 위성탐색용 트랜스폰더(TP) 리스트의 복수개의 TP 정보 중 하나 및 안테나 장치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성신호가 탐색하고자 하는 위성(이하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제1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가 아니면, 상기 안테나 장치를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위성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의 각각에 대해, 수신하는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 {Antenna Apparatus having satellite-detecting module and method for detecting satelli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위성의 위성신호가 변경되어도 해당 위성을 탐색할 수 있는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성을 이용한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위성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위성 방송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위성 방송에서는 적도상공 약 36,000km의 고도에 위치하는 정지위성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캠핑이나 여행 중에도 위성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다양한 휴대용 안테나 장치가 개발되어 오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1은 종래기술의 휴대용 위성방송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위성방송 시스템은 안테나 장치(10), 셋탑박스(20), 및 텔레비전(TV)(30)으로 구성된다. 안테나 장치(10)는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고 안테나부(11)와 저 잡음변환 컨버터(LNB: 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12)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안테나부(11)는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으로 접시형 안테나 또는 평판형 안테나 등이 사용된다. LNB(12)는 수신한 위성신호의 증폭, 노이즈 제거,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위성에서 송신되는 위성신호는 전자기파의 일종이므로 수평편파 또는 수직편파와 같은 편파(Polarization)의 성질을 갖고 있는데, LNB(12)는 위성신호들 중 특정 종류의 편파만을 선택하여 수신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셋탑박스(20)는 수신한 위성신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즉, 주파수)을 선택하여 TV(30)로 전달하고, 선택된 채널의 방송이 TV(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종래 위성방송 시스템에서, 안테나 장치(10)가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지위성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최초 설치시 안테나부(11)의 위치를 결정하여 설치하면 되지만, 안테나 장치(10)가 휴대용인 경우 특정 장소에 안테나 장치(10)를 설치할 때마다 안테나부(11)가 목표로 하는 정지위성(이하 "목표 위성"이라 함)을 향하도록 안테나부(11)의 방향을 세팅해야 한다. 이와 같이 목표 위성을 탐색하여 안테나부(11) 방향을 세팅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2에서와 같은 위성 탐색용 트랜스폰더(TP) 정보를 각 위성마다 하나씩 대응시켜 미리 저장해놓은 뒤 이를 이용하고 있다.
트랜스폰더는 위성에 탑재된 전력증폭 중계기로, 지상의 방송국에서 수신한 전파를 증폭한 뒤 이를 지상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방송 위성은 수개 내지 수십개의 트랜스폰더를 탑재하고 있으며, 도2는 예컨대 "TP1"으로 지정된 어느 특정 트랜스폰더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안테나 장치(10)가 위성 탐색용 TP 정보로서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2에서, TP1의 위성신호는 주파수가 11747 MHz 이고, 21300의 심볼레이트(symbol rate)를 가지며, 수평(H) 편파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정보에서 NID는 위성의 네트워크 ID를 의미하며, 위성을 식별하기 위해 각 위성마다 할당된 고유 번호이다. 즉 도2의 정보에서 TP1의 위성신호는 NID가 173인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NID가 173인 위성을 목표 위성으로 찾고자 하는 경우, 안테나 장치(10)는 수신되는 위성신호를 도2의 위성 탐색용 TP 정보와 비교하고, 수신되는 위성신호가 도2의 모든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이 신호가 목표 위성임을 확인하게 된다.
그런데 위성 사업자가 TP의 위성신호를 변경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TP의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경하거나 심볼레이트나 편파 등 다른 변수를 변경하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각 위성마다 하나씩만 위성 탐색용 TP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안테나 장치(10)는, 이 장치(10)에 저장된 해당 위성에 대한 탐색용 TP 정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므로, 이 위성에 대해서는 더 이상 탐색을 할 수가 없는 문제가 생기고, 사용자는 안테나 장치(10)를 제품 불량으로 인식하게 되고, 안테나 장치 제조사는 안테나 장치(10)를 전부 회수하여 각 장치마다 탐색용 TP 정보를 일일이 변경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성 탐색용 TP 정보로 저장된 TP의 위성신호가 변경되더라도 위성을 탐색할 수 있는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위성의 위성탐색용 트랜스폰더(TP) 리스트의 복수개의 TP 정보 중 하나 및 안테나 장치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성신호가 탐색하고자 하는 위성(이하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제1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가 아니면, 상기 안테나 장치를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위성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의 각각에 대해, 수신하는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위성을 탐색하는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성탐색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할 위성신호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부; 복수개의 위성의 각각에 대해 각 위성별로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트랜스폰더(TP) 정보를 갖는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탐색하고자 하는 위성(이하 "목표위성"이라 함)의 위성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목표위성의 복수개의 TP 정보의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이 TP 정보를 참조하여 위성신호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그리고 위성신호를 수신하면 이 위성신호가 상기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가 위성탐색용 TP 정보를 복수개 포함하는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각 위성에 대응하여 저장함으로써, 위성탐색용 TP 정보 중 하나가 사용불능이 되더라도 다른 TP 정보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성탐색용 TP 리스트 내의 복수개의 TP 정보 중 하나가 사용불능이 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안테나 장치가 자동으로 전체 주파수를 스캐닝하여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모든 위성탐색용 TP 정보가 한꺼번에 사용불능이 되는 상황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지속적인 위상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의 위성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종래기술에서 위성 탐색시 사용하는 위성탐색용 TP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성 탐색시 사용하는 예시적인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탐색 모듈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성을 탐색하는 예시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8은 도7의 방법에 의해 위성탐색용 TP 리스트가 변경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 시스템은 안테나 장치(100), 셋탑박스(20), 및 TV(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100)는 안테나부(110), 제1 및 제2 저잡음변환 컨버터(LNB)(120, 130), 구동부(150), 편파 설정부(170), 및 위성탐색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10)는 접시형 또는 평판형의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위성신호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안테나부(110)는 이 인공위성의 방향을 탐지하여 이 인공위성을 향하도록 위치하여야 한다. 예컨대 안테나 장치(100)가 휴대용인 경우, 안테나 장치(100)가 지면에 고정되고, 그 후 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특정 인공위성을 향하도록 안테나부(110)가 구동한다.
제1 및 제2 LNB(120,130)의 각각은 안테나부(110)로부터 받은 위성신호의 증폭, 노이즈 제거, 및/또는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LNB(120,130)의 각각은 위성신호들 중 특정 종류의 편파만을 선택하여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LNB(120)는 셋탑박스(20)와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제1 LNB(120)에서 출력되는 위성신호는 셋탑박스(20)로 전달된다. 제2 LNB(130)는 위성탐색 모듈(200)과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제2 LNB(130)에서 출력되는 위성신호는 위성탐색 모듈(200)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LNB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두 종류, 즉 수평편파와 수직편파 중 하나의 편파만을 수신할 수 있는 싱글 LNB, 및 수평편파와 수직편파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듀얼 LNB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1 및 제2 LNB(120,130)의 각각은 듀얼 혹은 단일 편파, 싱글 아웃풋 뿐 아니라 다중 아웃풋, Universal 혹은 단일 로컬 LNB 중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구동부(150)는 안테나부(110)가 특정 인공위성을 향하도록 안테나부(110)를 구동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부(150)는 위성탐색 모듈(200)로부터 안테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안테나부(110)를 구동시켜 안테나부(110)의 방위각, 앙각, 및/또는 편파각(스큐)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방위각은 안테나부(110)의 좌우 각도이고, 앙각은 안테나부(110)의 상하각도이고, 편파각(스큐)은 안테나부(110)의 회전각도를 각각 의미한다.
편파 설정부(170)는 제1 및 제2 LNB(120,130)의 각각이 위성신호의 특정 편파 및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1 및 제2 LNB(120,130)의 각각을 설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편파 설정부(170)는 위성탐색 모듈(200)로부터 편파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LNB(120,130)의 각각에 대해 수신할 편파 및 대역을 설정한다.
위성탐색 모듈(200)은 안테나부(110)가 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특정 인공위성을 탐색하여 안테나부(110)가 이 인공위성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이 특정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예컨대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특정 위성방송 채널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위성탐색 모듈(200)은 파라미터 설정부(210), NID 검출부(220), 제어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저장부(240)는 복수개의 위성의 각각에 대해 각 위성별로 위성탐색용 트랜스폰더(TP)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이하 간단히 “TP 리스트”라고도 함)는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이하 간단히 “TP 정보”라고도 함)를 포함하며, 예컨대 도4에 도시한 리스트가 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로서, 3개의 TP 정보, 즉 TP1, TP2, 및 TP3의 각각에 관한 TP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예시하고 있다.
각각의 TP에 대해 TP 정보는 주파수, 심볼레이트, 편파, 및 NID 정보를 포함한다. 도4에서 TP1의 위성신호는 주파수가 11747 MHz 이고, 심볼레이트는 21300이고, H 편파이며, NID가 173으로 특정되는 위성의 신호이다. 마찬가지로 TP2의 위성신호는 주파수가 11785 MHz 이고, 심볼레이트는 21300이고, H 편파이며, NID는 173이다. TP3의 위성신호는 주파수가 11938 MHz 이고, 심볼레이트는 21300이고, H 편파이며, NID는 173이다.
도4의 TP 리스트는 하나의 인공위성에 대한 TP 리스트이므로 모든 TP정보에 대해 일반적으로는 모두 동일한 NID를 가지나 어떤 특별한 TP의 경우에는 NID가 다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성신호의 NID는 모두 동일하다고 전제한다.
저장부(240)는 이러한 TP 리스트를 각 위성별로 하나씩 저장하고 있으며, 각각의 TP 리스트는 도4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TP 정보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저장부(240)가 각 위성마다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위성탐색 모듈(200)은 이러한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이용하여 목표로 하는 위성("목표 위성")을 탐색할 수 있다.
파라미터 설정부(210)는 제어부(230)에 의해 인공위성 신호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수신한 인공위성 신호 중 이 설정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인공위성 신호의 파라미터는 상기 TP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라미터는 위성신호의 주파수, 심볼레이트, 및 편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파라미터 설정부(210)에 의해 임의의 파라미터들이 설정되면, 안테나부(110) 및 제2 LNB(130)를 통과한 위성신호 중 상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신호만이 파라미터 설정부(210)를 통과할 수 있다.
NID 검출부(220)는 수신한 위성신호로부터 위성 식별번호(NID)를 검출한다. NID 검출부(220)는 이 검출한 NID를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제어부(230)는 파라미터 설정부(210), 안테나 구동부(150), 및 편파 설정부(170)를 제어하여 목표위성을 탐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부(230)는 안테나부(110)가 목표위성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원하는 편파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편파 설정부(170)를 제어하고, 원하는 소정 주파수와 심볼레이트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파라미터 설정부(210)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부(110)를 통해 인공위성 신호가 수신되면 이 신호를 저장부(240)에 저장된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와 비교하여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30)는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업데이트)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참조하여 위성신호를 분석하였으나 이 참조된 TP 리스트에 대응하는 위성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230)는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230)가 임의의 목표위성을 탐색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이거나 또는 안테나 장치(100)의 전원의 On-Off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이면 이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 수도 있다.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하기 위해, 제어부(230)는 소정 수파수 대역에 걸쳐서 이 목표위성의 위성신호를 스캐닝하고, 스캐닝에 의해 수신된 복수개의 위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TP 정보를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TP 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3에 도시한 것처럼 안테나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리모콘(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모콘(40)은 탐색가능한 인공위성 중 하나를 목표위성으로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특정 인공위성을 탐색하고자 이 위성을 선택하면 선택신호가 위성탐색 모듈(200)로 전달되고, 위성탐색 모듈(200)의 제어부(230)는 이 선택된 위성을 목표위성으로서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도3의 실시예에서 안테나 장치(100)는 셋탑박스(20)와 연결되어 있다. 셋탑박스(20)는 제1 LNB(120)에서 출력된 위성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고, 사용자는 셋탑박스(20)를 조작하여 위성방송을 TV(3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셋탑박스(20)는 위성탐색 모듈(200)과 통신할 수도 있다. 셋탑박스(20)와 위성탐색 모듈(200) 사이의 통신은, 예컨대 도3에 점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셋탑박스(20)와 위성탐색 모듈(200) 사이에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직접 통신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셋탑박스(20)와 리모콘(40) 사이에 통신이 가능한 경우 셋탑박스(20)와 위성탐색 모듈(200)이 리모콘(40)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셋탑박스(20)와 위성탐색 모듈(200)이 통신가능한 실시예에서,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위성방송 채널을 선택한 경우 이 채널의 위성신호의 편파가 현재 수신중인 위성신호의 편파와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위성탐색 모듈(200)은 선택된 위성방송 채널의 신호의 편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편파 설정부(170)를 제어하여 제1 LNB(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셋탑박스(20)가 위성탐색 모듈(200)을 거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제1 LNB(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LNB(120)와 셋탑박스(20) 사이에 위성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 또는 도3에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신호선을 통해 셋탑박스(20)가 제1 LNB(120)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위성방송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편파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셋탑박스(20)로부터의 편파 설정에 관한 제어신호가 이러한 신호선을 통해 제1 LNB(120)로 전송되어 제1 LNB(120)의 편파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위성탐색 모듈(200)은 셋탑박스(20)로부터 수신받는 사용자 명령이나 사용자 선택 신호에 따라 안테나부(110)를 구동할 수도 있고, 저장부(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셋탑박스(20)로 전달하거나 셋탑박스(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도3의 실시예에서 편파 설정부(170)를 위성탐색 모듈(200)과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도시하였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편파 설정부(170)가 위성탐색 모듈(200)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편파 설정부(170)가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탐색 모듈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위성탐색 모듈(300)은 튜너부(311), 심볼레이트 설정부(313), 및 NID 검출부(315), 및 제어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311)는 수신할 위성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고, 심볼레이트 설정부(313)는 수신할 위성신호의 심볼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될 위성신호의 주파수와 심볼레이트는 제어유닛(320)에 의해 결정되어 설정된다. 즉 제어유닛(320)이 튜너부(311) 및 심볼레이트 설정부(313)에 각각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튜너부(311)와 심볼레이트 설정부(313)의 각각은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의해 위성신호의 주파수 및 심볼레이트를 설정한다.
튜너부(311)와 심볼레이트 설정부(313)에 소정의 주파수 및 심볼레이트가 설정되면, 위성탐색 모듈(300)이 제2 LNB(130)를 통해 전달받은 위성신호 중, 튜너부(311)에 설정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위성신호만이 튜너부(311)를 통과하고, 또한 튜너부(311)를 통과한 위성신호 중 심볼레이트 설정부(313)에 설정된 심볼레이트에 해당하는 위성신호만이 심볼레이트 설정부(313)를 통과할 수 있다. 이렇게 튜너부(311)와 심볼레이트 설정부(313)를 통과한 위성신호는 NID 검출부(315)로 입력되고, NID 검출부(315)는 위성신호로부터 위성 식별번호(NID)를 검출한다. NID 검출부(315)는 이 검출한 NID를 제어유닛(320)으로 전달한다.
제어유닛(320)은 목표위성을 탐색하기 위해 튜너부(311), 심볼레이트 설정부(313), 구동부(150), 및 편파 설정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320)은 안테나부(110)가 목표위성을 향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수신한 위성신호 중 원하는 편파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편파 설정부(170)를 제어하고, 원하는 소정 주파수와 심볼레이트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튜너부(311)와 심볼레이트 설정부(313)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320)은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업데이트)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형태에 따라 제어유닛(320)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5에 예시한 것처럼, 하나의 제어유닛(320)의 칩 안에 중앙처리장치(CPU)(321), 메모리(323), 및 저장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CPU(321)는 메모리(323)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안테나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323)는 저장장치(325)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로딩되는 공간으로 예컨대 랜덤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장치(325)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로서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의 저장장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위성탐색 기능 및/또는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업데이트 기능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저장장치(325) 또는 제어유닛(320)의 외부에 위치하는 임의의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고, 이 프로그램이 메모리(323)에 로딩되어 CPU(32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위성탐색 및/또는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업데이트가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저장장치(325)는 도4에 도시한 것과 같은 각 인공위성에 대한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도 저장할 수 있고, 위성탐색시 또는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업데이트시 필요한 소정 TP 리스트가 메모리(323)에 로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저장장치(325)는 각 위성에 대한 위성탐색용 TP 리스트 뿐만 아니라 각 위성이 제공하는 위성방송 채널에 대한 TP 리스트(이하 "위성방송용 TP 리스트"라고도 함)를 저장할 수도 있다. 위성방송용 TP 리스트는 도4에 도시한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와 동일한 TP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위성에 대한 위성방송용 TP 리스트는 이 위성이 제공하는 모든 위성방송 채널의 TP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이 위성이 10개의 위성방송 채널을 제공한다면 이 위성의 위성방송용 TP 리스트는 10개의 TP에 대한 TP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TP 정보는 도4에서와 마찬가지로 주파수, 심볼레이트, 편파, 및 N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에 속하는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는 위성방송용 TP 리스트 내의 위성방송용 TP 정보들 중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10개의 위성방송용 채널을 갖는 인공위성에 대한 위성방송용 TP 리스트는 10개의 위성방송용 TP 정보를 포함하며, 이 10개의 위성방송용 TP 정보 중에서 복수개의 TP 정보가 위성탐색용 TP 정보로서 선택되어 도4에서와 같은 위성탐색용 TP 리스트가 생성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위성용 TP 리스트 내의 일부의 TP 정보가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위성방송용 TP 리스트 내의 TP 정보 중에서 일부를 위성탐색용 TP 정보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준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강도가 큰 TP 정보를 위성탐색용 TP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형태에 따라 다른 기준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위성방송용 TP 리스트가 위성탐색 모듈(300)의 저장장치(325)에만 저장될 수도 있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저장장치(325)와 셋탑박스(20)의 저장수단(미도시)에 동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장치(325) 및 셋탑박스(20)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위성방송용 TP 리스트가 동기화되어야 하므로, 위성탐색 모듈(300)이 셋탑박스(20)의 위성방송용 TP 리스트를 일정 주기마다 수신하여 자신이 저장한 위성방송용 TP 리스트와 비교하거나 또는 셋탑박스(20)가 위성탐색 모듈(300)의 위성방송용 TP 리스트를 일정 주기마다 수신하여 자신이 저장한 것과 비교함으로써 동기화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위성방송용 TP 리스트가 셋탑박스(20)에만 저장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위성탐색 모듈(300)은 필요시 위성방송용 TP 리스트를 셋탑박스(2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3과 도5를 비교할 때, 도5의 튜너부(311)와 심볼레이트 설정부(313)가 도3의 파라미터 설정부(210)를 구체화한 일 실시예라고 볼 수 있고, 도5의 제어유닛(320)이 도3의 제어부(230) 및 저장부(240)를 구체화한 일 실시예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도3의 위성탐색 모듈(200)은 도5에 도시한 위성탐색 모듈(300)로 구체화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다른 구조의 위성탐색 모듈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5의 실시예에서 튜너부(311), 심볼레이트 설정부(313), 및 NID 검출부(315)는 각기 다른 IC 칩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둘 이상의 기능부가 통합하여 하나의 IC 칩에 구현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제어유닛(320)까지 포함하여 위성탐색 모듈(300) 전체가 하나의 IC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3 또는 도5에 도시한 위성탐색 모듈(200,300)은 모듈을 기능적으로 표현한 것일 뿐이고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하드웨어 조합으로 위성탐색 모듈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성을 탐색하는 예시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단계(S110)에서 안테나 장치(100)는 안테나 장치의 위치정보 및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정보를 참조하여 안테나 장치(100)를 설정한다.
이 단계(S110)에서 안테나 장치(10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안테나부(110)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장치(100)는 자신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지표면 상에서 자신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고, 자신의 현재 위치와 목표위성의 위치를 이용하여 안테나부(110)의 앙각 및 편파각(스큐)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안테나 장치(100)의 제어부(230)가 안테나 장치(100)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부(110)의 앙각과 스큐를 계산한 뒤 구동부(15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구동부(150)는 이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안테나부(110)가 소정 앙각과 스큐를 갖도록 안테나부(110)를 구동한다.
그런데 안테나 장치(100)가 휴대용 안테나 장치인 경우 사용자가 안테나 장치(100)를 임의의 방향을 향하도록 한 채 안테나 장치(100)를 지표면에 고정하게 되므로 안테나 장치(100)는 자신이 배치된 방향을 알 수 없고, 그러므로 이 단계(S110)에서 안테나부(110)의 방위각까지 설정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만일 안테나 장치(100)가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안테나 장치(100)는 지표면에 배치된 방향도 알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제어부(230)는 안테나부(110)의 앙각과 스큐 뿐만 아니라 방위각도 계산하여 안테나부(110)가 목표위성을 향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이 단계(S110)에서 안테나 장치(100)는 저장부(240)(또는, 저장장치(325) 또는 임의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위성탐색용 TP 정보를 참조하여 파라미터 설정부(210)에서 위성신호의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임의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에 포함된 위성신호의 주파수, 심볼레이트, 및 편파 정보를 참조하여 제2 LNB(130), 튜너부(311), 및 심볼레이트 설정부(313)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TP 정보 중 편파 정보를 참조하여 편파 설정부(17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편파 설정부(170)는 이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 LNB(130)를 설정하고, TP 정보 중 주파수 및 심볼레이트 정보를 각각 참조하여 튜너부(311)와 심볼레이트 설정부(313)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튜너부(311)와 심볼레이트 설정부(313)는 이 제어신호에 각각 기초하여 수신받고자 하는 위성신호의 주파수와 심볼레이트를 각각 설정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이 단계(S110)에서 참조되는 임의의 위성탐색용 TP 정보로서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 내에 있는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중 하나의 TP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단계(S120)에서 안테나 장치(100)는 위성신호를 수신한다. 즉 안테나 장치(100)의 안테나부(110)가 임의의 위성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안테나부(110)는 방위각이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지만, 이 단계(S120)에서 아직 목표위성과 안테나 장치(100) 사이의 정확한 방위각 간격을 알지 못하므로, 바람직하게는 방위각을 조금씩 변경하면서(예컨대 안테나부(110)를 동쪽에서 서쪽으로 회전시키면서) 위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0)에서 안테나 장치(100)는 수신한 위성신호가 전체 위성탐색용 TP 리스트 내의 어느 TP 정보에 대응하는지 확인하여 이 수신한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수신된 임의의 위성신호가 제2 LNB(130)를 통해 위성탐색 모듈(200)로 전달되었고 이 전달된 위성신호가 튜너부(311)와 심볼레이트 설정부(313)를 통과하였다고 하면, 제어부(230)는 이 위성신호가 단계(S110)에서 설정한 주파수, 심볼레이트, 및 편파를 갖는 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심볼레이트 설정부(313)를 통과한 위성신호가 NID 검출부(220,315)에 전달되고 NID 검출부(220,315)는 이 신호의 NID를 확인하여 제어부(230)로 통지한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수신된 위성신호의 파라미터, 즉 주파수, 심볼레이트, 편파, 및 NID에 관한 정보를 모두 획득할 수 있고, 이 획득된 위성신호의 파라미터를 저장부(240,325)에 기저장된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TP 정보와 비교하여 이 수신된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때 획득된 위성신호의 파라미터와 비교할 TP 정보로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기저장된 모든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모든 TP 정보를 상기 파라미터와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안테나 장치(100)가 총 8개의 위성에 대한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고 각각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가 3개씩의 위성탐색용 TP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전체 TP 정보는 24개이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획득된 위성신호의 파라미터를 이 24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와 각각 비교하면서 대응되는 TP 정보가 있는지 판정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저장된 전체 TP 정보 중 일부의 TP 정보에 대해서만 획득된 위성신호의 파라미터와 비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수신한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 만약 이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라고 판정되면(S140_Y), 이것은 상기 단계(S110)에서 목표위성을 향해 안테나 장치(100)의 방위각, 앙각, 및 스큐를 정확히 설정한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단계(S150)로 진행하여 안테나 장치(100)는 안테나부(110)의 배치를 그대로 유지한 채 사용자로부터의 위성방송 시청 요청에 따라 소정의 위성방송 채널의 신호를 수신한다.
이 단계(S150)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셋탑박스(20)를 조작하여 목표위성에서 제공하는 위성방송 채널 중 특정 채널을 시청하고자 선택하면, 셋탑박스(20)가 제1 LNB(120) 및 셋탑박스(20) 내의 파라미터 설정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이 특정 채널에 대응하는 위성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이 특정 채널의 위성신호를 수신하고 TV(30)를 통해 방송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셋탑박스(20)가 제1 LNB(120)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 도3에 도시한 것처럼 제어신호가 위성탐색 모듈(200)을 거쳐서 편파 설정부(170)로 전달되어 편파 설정부(170)에서 제1 LNB(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만일 단계(S140)에서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이 아닌 다른 위성의 신호라고 판정되면(S140_N), 안테나 장치(100)를 재설정한다.
안테나 장치(100)의 재설정을 위해, 우선 단계(S120)에서 수신한 위성신호에 기초하여 목표위성의 위치를 계산한다(S160). 즉 수신한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이 아닌 다른 위성의 신호라고 판정되었으므로, 제어부(230)는 이 다른 위성과 목표위성의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여 안테나부(110)의 방위각을 얼마만큼 변경할지 알 수 있다. 그 후 단계(S170)에서 제어부(230)는 안테나부(110)를 구동하여 목표위성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필요에 따라 제어부(230)는 방위각 뿐만 아니라 앙각 또는 스큐, 또는 위성신호의 파라미터(주파수, 심볼레이트, 및/또는 편파)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계(S110)에서 목표위성이 아닌 다른 위성의 TP 정보를 참조하여 안테나를 설정한 경우, 상기 단계(S170)에서는 목표위성의 TP 정보를 참조하여 안테나부(110)의 방위각, 앙각, 또는 스큐를 설정하고 또한 위성신호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S160 및 S170)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의 재설정 후, 단계(S200)에서 안테나 장치(100)는 목표위성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의 각각에 대해, 수신하는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우선 단계(S110) 또는 단계(S170)에서 참조된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TP 정보에 대해, 수신한 위성신호의 파라미터가 이 TP 정보에 대응하는지 확인한다(단계 S220). 수신한 위성신호의 파라미터가 이 TP 정보에 대응한다면(S230_Y) 안테나 장치(100)가 목표위성을 정확히 탐색하였음을 의미하므로, 단계(S150)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위성방송 시청 요청에 따라 소정의 위성방송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만일 위성신호의 파라미터가 이 TP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다면(S230_N), 이것은 목표위성이 이 TP 정보에 대응하는 위성신호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230)는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 중 두 번째 TP 정보를 참조하여 파라미터 설정부(210)를 통해 파라미터(즉 주파수, 심볼레이트, 및 편파)를 설정한다(단계 S260). 이 때 필요에 따라 편파 설정부(170)를 제어하여 제2 LNB(130)도 다시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230)는 다시 단계(S220)를 수행하여, 두 번째로 참조된 위성탐색용 TP 정보에 대해, 수신한 위성신호의 파라미터가 이 TP 정보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고 대응 여부에 따라 단계(S150) 또는 단계(S240)로 진행함으로써, 목표위성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복수개의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의 각각에 대해 상기 단계(S220, S230, S260)를 반복한다. 이 때 도6에서 N은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에 포함된 TP 정보의 개수이다.
경우에 따라,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모든(N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에 대해 상기 판정하는 단계(S200)를 실행하여도 상기 목표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즉, S240_Y인 경우)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목표위성이 안테나 장치(100)가 갖고 있는 목표위성의 복수개(N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에 대응하는 위성신호를 하나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렇게 되면 안테나 장치(100)는 더 이상 목표위성을 탐색할 수 없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경우(S240_Y) 제어부(230)는 예외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S180). 이 예외처리는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외처리로서 안테나 장치(100)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업데이트)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단계(S310)에서 제어부(230)는 저장부(240) 또는 임의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30)는 다음과 같은 경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i) 제어부(230)가 도6의 판정하는 단계(S200)를 실행하는 도중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임의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에 대해 이 TP 정보에 대응하는 위성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이다. 예컨대, 판정하는 단계(S200)를 반복 실행한 결과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첫번째 TP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두번째 TP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뒤 단계(S150)로 진행한 경우, 제어부(230)는 목표위성이 첫번째 TP 정보에 대응하는 위성신호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ii) 제어부(230)가 도6의 판정하는 단계(S200)를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모든(N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에 대해 실행하였으나 위성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즉 S240_Y의 경우)이다. 즉 목표위성의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위성신호를 목표위성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고, 제어부(230)는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iii) 소정 시간이나 탐색 횟수에 따라 제어부(230)가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가 목표위성을 탐색한 횟수가 기설정된 값이 되거나, 안테나 장치(100)의 전원을 On-Off한 횟수가 기설정된 값이 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주기가 경과할 때마다, 제어부(230)는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판단 결과 TP 리스트를 변경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S320_Y) 제어부(230)는 단계(S330)로 진행한다. TP 리스트를 변경하는 일 예로서, 단계(S330)에서 제어부(230)는 목표위성의 위성신호를 소정 수파수 대역에 걸쳐서 스캐닝한다. 예를 들어 인공위성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11700MHz에서 12750MHz까지라고 하면, 제어부(230)는 튜너부(311)의 주파수 설정 및 심볼레이트 설정부(313)의 심볼레이트 설정을 변경시키면서 이 주파수 대역 전체에 걸쳐 위성신호를 스캐닝한다.
이 스캐닝 단계(S330)에 의해 목표위성으로부터 복수개의 위성신호를 수신하면, 단계(S340)에서 제어부(230)는 이 목표위성에 대한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TP 정보와 상기 스캐닝된 위성신호들의 각각의 파라미터들을 비교하여, 위성탐색 TP 리스트 내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TP 정보가 있다면 이를 삭제하고, 수신한 위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TP 정보를 이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에 추가한다. 이 때 복수개의 수신한 위성신호 중 어느 신호에 대응하는 TP 정보를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에 추가할지에 대한 선택기준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강도가 큰 TP 정보를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으며, 실시 형태에 따라 다른 기준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8은 위성탐색용 TP 리스트가 변경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가 도4의 리스트라고 하고, 제어부(230)가 판정하는 단계(S200)를 반복 실행한 결과 이 TP 리스트의 첫번째 TP (TP1)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두번째 TP (TP2)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 뒤 단계(S150)로 진행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하기로 판단하고 단계(S330)에서 스캐닝을 실행한 결과 주파수가 11900MHz이고 심볼레이트가 21300인 H편파의 위성신호가 신호세기가 가장 크다고 판단하고, 이 신호의 파라미터를 도8에서와 같이 첫번째 TP (TP1)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이 상술한 단계(S310 내지 S340)는 도6의 흐름도 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추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의 (i)의 상황이라면 단계(S230)에서 단계(S150)로 진행하는 동안 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단계 S310 및 S320), 따라서 안테나 장치(100)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셋탑박스(20)에 제공하는 동안(즉 단계 S150 동안) 상술한 단계(S330 및 S340)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위의 (ii)의 상황이라면 단계(S240)에서 단계(S180)로 진행하는 동안 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단계 S310 및 S320), 따라서 예외처리를 수행하는 동안(즉 단계 S180 동안) 상술한 단계(S330 및 S340)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 실시예에서, 예외처리 단계(S180) 자체가 단계(S310 내지 S340)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위의 (iii)의 상황은 소정 시간주기나 탐색 횟수에 따른 것이므로, 도6의 흐름도와 무관하게 단계(S310 내지 S340)가 실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3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 실시예에서는 위성탐색 모듈(600)이 안테나 장치(400)가 아니라 리모콘(500) 내에 장착되어 있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위성탐색 모듈(600)이 반드시 안테나 장치(400)에 구현될 필요가 없고, 실시 형태에 따라 리모콘(500) 내에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안테나 장치(400) 외부의 임의의 장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실시예에 따라 편파 설정부(170)를 위성탐색 모듈(200) 내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도9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편파 설정부(605)를 위성탐색 모듈(600)의 일 구성요소로 구현하였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9에서의 안테나 장치(400) 및 위성탐색 모듈(600)의 각 구성요소들은 도3의 안테나 장치(100)와 위성탐색 모듈(200)의 각 구성요소와 모두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안테나 장치 110: 안테나부
120, 130: LNB 150: 구동부
170: 편파 설정부 200,300: 위성탐색 모듈
210: 파라미터 설정부 220,315: NID 검출부
230: 제어부 240: 저장부
311: 튜너부 313: 심볼레이트 설정부
320: 제어유닛 321: CPU
323: 메모리

Claims (21)

  1.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위성의 위성탐색용 트랜스폰더(TP) 리스트의 복수개의 TP 정보 중 하나 및 안테나 장치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S110);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20); 및
    상기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20)에서 수신한 위성 신호(이하, '제1 위성신호')가 탐색하고자 하는 위성(이하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130,S140);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제1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가 아니면,
    상기 안테나 장치를 재설정하는 단계(S160,S170); 및
    상기 목표위성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의 각각에 대해, 수신하는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130)는, 제1 위성신호를 안테나 장치가 탐색가능한 위성들의 전체 위성탐색용 TP 리스트 내의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의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성신호에 기초하여 목표위성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S160); 및
    상기 계산 결과에 따라, 안테나의 방위각, 앙각, 또는 스큐, 또는 위성신호의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변경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신호의 파라미터는 위성신호의 주파수, 심볼레이트, 및 편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의 각각에 대해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200)는,
    위성탐색용 TP 정보를 참조하여 위성신호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S170,S260); 및
    위성신호를 수신하면, 이 위성신호가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위성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판정하는 단계(S200)를 실행한 이후에,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310); 및
    이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하는 단계(S330,S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310)는,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임의의 위성탐색용 TP 정보에 대해 상기 판정하는 단계(S200)를 실행하였으나 이 TP 정보에 대응하는 위성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하기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310)는, 상기 목표위성을 탐색한 횟수가 기설정된 값이 되면, 상기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하기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모든 위성탐색용 TP 정보에 대해 상기 판정하는 단계(S200)를 실행하여도 상기 목표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S240-Y),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테나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신호를 소정 수파수 대역에 걸쳐서 스캐닝하는 단계(S330); 및
    상기 스캐닝에 의해 수신된 복수개의 위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TP 정보를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S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타네 장치의 인공위성 탐색 방법.
  11. 인공위성을 탐색하는 위성탐색 모듈을 구비한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성탐색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할 위성신호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부(210);
    복수개의 위성의 각각에 대해 각 위성별로 복수개의 위성탐색용 트랜스폰더(TP) 정보를 갖는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230); 및
    탐색하고자 하는 위성(이하 "목표위성"이라 함)의 위성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목표위성의 복수개의 TP 정보의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가 상기 TP 정보를 참조하여 위성신호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그리고 위성신호를 수신하면 이 위성신호가 상기 목표위성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1 제어신호에 의해 안테나의 방위각, 앙각, 및 스큐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구동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에서 수신한 위성신호를 전달받는 제1 및 제2 저 잡음변환 컨버터(LNB)(120,130); 및
    상기 제어부의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위성신호 중 특정 편파의 신호만을 수신하도록 제1 또는 제2 LNB를 설정하는 편파 설정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NB(120)에서 출력되는 위성신호는 셋탑박스로 전달되고,
    상기 제2 LNB(130)에서 출력되는 위성신호는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210)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신할 위성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튜너부(311);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신할 위성신호의 심볼레이트를 설정하는 심볼레이트 설정부(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탐색 모듈(200)은,
    수신한 위성신호로부터 위성 식별번호(NID)를 검출하는 NID 검출부(3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임의의 위성탐색용 TP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210)가 파라미터를 설정하였으나 이 참조된 TP 정보에 대응하는 위성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전원의 On-Off 횟수가 기설정된 값이 되면,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목표위성을 탐색한 횟수가 기설정된 값이 되면,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의 변경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소정 수파수 대역에 걸쳐서 상기 목표위성으로부터의 위성신호를 스캐닝하고, 상기 스캐닝에 의해 수신된 복수개의 위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위성신호에 대응하는 TP 정보를 상기 목표위성의 위성탐색용 TP 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 외부에 상기 안테나 장치와 통신가능한 외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성탐색 모듈이 상기 외부장치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KR1020130026899A 2013-03-13 2013-03-13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 KR101471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899A KR101471535B1 (ko) 2013-03-13 2013-03-13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899A KR101471535B1 (ko) 2013-03-13 2013-03-13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311A KR20140112311A (ko) 2014-09-23
KR101471535B1 true KR101471535B1 (ko) 2014-12-11

Family

ID=5175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899A KR101471535B1 (ko) 2013-03-13 2013-03-13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2792A (zh) * 2019-05-21 2019-08-02 中信海洋(舟山)卫星通信有限公司 低成本船载卫星天线摇摆测试平台
KR102402396B1 (ko) * 2021-01-11 2022-05-26 주식회사 이노링크 위성과 지상파 및 공공 와이파이 멀티수신이 가능한 차량용 위성안테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196A (ja) * 1998-03-16 1999-09-28 Sony Corp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1507443A (ja) * 1996-04-05 2001-06-05 ディスコビジョン アソシエイツ 位置探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2344906A (ja) * 2001-05-15 2002-11-29 Sony Corp 放送システム、放送装置、受信装置
JP2012209624A (ja) * 2011-03-29 2012-10-25 Sony Corp 衛星放送受信装置、および衛星放送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7443A (ja) * 1996-04-05 2001-06-05 ディスコビジョン アソシエイツ 位置探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H11266196A (ja) * 1998-03-16 1999-09-28 Sony Corp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2344906A (ja) * 2001-05-15 2002-11-29 Sony Corp 放送システム、放送装置、受信装置
JP2012209624A (ja) * 2011-03-29 2012-10-25 Sony Corp 衛星放送受信装置、および衛星放送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311A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6195B2 (en) Satellite television antenna system
US201703311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mobile application (app) that assists with aiming or aligning a satellite dish or antenna
US7509666B2 (e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signal receiver
US7352733B2 (en) Implementing location awareness in WLAN devices
US11394474B2 (en) Satellite tracking antenna system in a plurality of satellite environments and satellite track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3516677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関連する方法
KR101471535B1 (ko)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
EP1802008A2 (en) Search algorithm for phased array antenna
US8407754B2 (en) Efficient mobile receiver autoprogramming
US20060253877A1 (en) Method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satellite to lock onto
US8760346B2 (en) 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s with intelligent antennas
KR101471537B1 (ko)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
KR20140113124A (ko)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
KR20150124524A (ko)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
KR20150124525A (ko) 위성탐색 모듈을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성탐색 방법
US20100058399A1 (en) Method and antenna system for satellite lock-on by channel selection
JP2006333180A (ja) 現在地域検出装置、移動体用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移動体用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41560B1 (ko) 복수 개의 튜너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튜너지정 방법 및 그 디지털 방송 수신기
US8290424B2 (en) Antenna system for satellite lock-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90036073A1 (en) Small signal identification device
KR20210097403A (ko) 자동 위성추적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선택 방법
KR100751399B1 (ko) 스마트 안테나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NZ762912A (en) Satellite tracking antenna system in a plurality of satellite environments and satellite track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6128960A (ja) 放送受信端末及びその選局方式
JP2008135807A (ja) 地上波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