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657B1 -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무선 장치 - Google Patents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무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657B1
KR101470657B1 KR1020097001997A KR20097001997A KR101470657B1 KR 101470657 B1 KR101470657 B1 KR 101470657B1 KR 1020097001997 A KR1020097001997 A KR 1020097001997A KR 20097001997 A KR20097001997 A KR 20097001997A KR 101470657 B1 KR101470657 B1 KR 101470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packet
connection
request packet
connec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690A (ko
Inventor
아비쉑 아비쉑
후이 셴
지안동 루안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35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Abstract

제1 무선 장치는 연결 요청 패킷을 이전에-발견된 제2 무선 장치에 송신함에 의해 제2 무선 장치와의 연계를 확립한다. 제2 무선 장치는 수신된 패킷들을 연결 요청으로서 식별하고 연결 응답 패킷으로 응답함으로써, 제1 무선 장치와 제2 무선 장치 간의 연계를 확립한다. 이로써, 무선 장치들은, 예를 들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애드 혹 네트워크, 연결 요청 패킷, 연결 응답 패킷, 네트워크 어드레스, 데이터 송수신

Description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무선 장치{MANAGING ASSOCIATIONS IN AD HOC NETWORKS}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근접해 있는 무선 장치들의 애드 혹(ad hoc)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하나 이상의 무선 장치들이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공통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연관된다. 무선 장치들 간의 통신은 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다. 이런 동작은 기반구조 동작 모드로 알려져 있다.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s)의 IEEE 802.11 표준은 무선 장치들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서로 직접 통신하는 애드 혹 동작 모드를 제공한다. 그러나, 무선 장치들의 애드 혹 네트워크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무선 장치들은 근접해 있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들에 연관 또는 연결하는 메커니즘을 필요로 한다. 이런 메커니즘은 전력 소모가 적어야 하고, 제한적인 무선 간섭을 창출해야 하고,높은 처리량을 가져야 한다.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무선 장치들 간의 연계(association)를 확립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무선 장치는 연결 요청 패킷을 이전에 발견된 제2 무선 장치에 송신함에 의해 제2 무선 장치와의 연계를 확립한다. 제2 무선 장치는 수신된 패킷을 연결 요청으로서 식별하고 연결 응답 패킷에 응답함으로써, 제1 무선 장치와 제2 무선 장치 간의 연계를 확립한다. 그래서, 무선 장치들은, 예를 들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장치들 간의 연계를 종료시키는 방법 및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두 무선 장치들이 연결 요청들을 서로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를 다루는 방법도 제공한다. 이 경우에는, 대규모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 장치의 연결 요청은 처리되고, 소규모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 장치의 연결 요청은 취소된다. 소규모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 장치의 연결 요청이 처리되고, 대규모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 장치의 연결 요청은 취소되도록 기준들(criteria)을 바꿀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연결 호(connect call)에 응답하여 제1 무선 장치의 라디오를 켜는 단계; 제1 무선 장치로부터 제2 무선 장치로 연결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시간 만료 기간 내에 제1 무선 장치가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면, 제2 무선 장치로의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및 시간 만료 기간 내에 제1 무선 장치가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연결 실패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무선 장치가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제1 무선 장치가 연결 요청 패킷을 유효 연결 요청으로서 식별하면, 연결 요청 패킷을 제2 무선 장치에 송신하여 확립된 연결로 기록하는 단계; 및 제1 무선 장치가 연결 요청 패킷을 유효 연결 요청으로서 식별하지 않으면, 기존 상태로 남겨두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무선 장치는 컴퓨팅 장치; 라디오; 및 컴퓨팅 장치 및 라디오에 논리적으로 연결된 무선 모듈을 포함하며, 무선 모듈은 연결 호에 응답하여 라디오를 켜고; 제2 무선 장치로 연결 요청 패킷을 송신하고; 시간 만료 기간 내에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면, 제2 무선 장치로의 연결을 확립하고; 시간 만료 기간 내에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연결 실패를 나타내도록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로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도 1은 애드 혹 무선 네트워크의 단순화된 블록도.
도 2는 애드 혹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적합한 무선 장치의 단순화된 블록도.
도 3은 제2 무선 장치로의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제1 무선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들(operations)의 흐름도.
도 4는 제1 무선 장치로의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제2 무선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들의 흐름도.
도 5는 두 무선 장치에 의해 동시성 연결 요청이 송신될 때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의 흐름도.
도 6은 제2 무선 장치로의 연결을 종료하기 위해 제1 무선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들의 흐름도.
도 7은 제1 무선 장치로의 연결을 종료하기 위해 제2 무선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들의 흐름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무선 장치가 또 다른 무선 장치와의 연계 또는 연결을 확립하도록 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예들은 무선 장치들 간의 연계를 종료시키는 메커니즘 및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제1 무선 장치를 분리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들 메커니즘은 무선 장치들에서의 소프트웨어에 관련된다. 이들 메커니즘은 또한 무선 장치의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이들 메커니즘을 갖는 무선 장치들이 통신을 하게 해주며 애드 혹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해준다.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무선 장치들 간의 통신은 이들 메커니즘을 지원하지 않는 다른 무선 장치들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에는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10)의 일례가 도시된다. 무선 장치(12, 14 및 16)는 무선 링크들에 의해 서로 통신한다. 무선 장치들은 후술될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각 무선 장치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무선 장치의 무선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한다.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무선 장치들 전부가 무선 범위 내에 있을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14 및 16)는 무선 장치(12)와 직접 통신할 수 있지만,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단지 일례로, 무선 장치(12, 14 및 16)는 랩톱 컴퓨터, 이동 전화, 이동 데이터 장치,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가정용 스테레오, 무선 스피커, 또는 후술될 바와 같이 호환가능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이들 장치의 결합일 수 있다.
도 2에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통신에 관련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한 무선 장치(200)의 단순화된 블록도가 도시된다. 무선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장치(12, 14 및 16)에 대응할 수 있다. 상위 계층 장치인 CPU(21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키패드 또는 키보드, 포인팅 장치, 디스크 유닛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저장 유닛과 같은 무선 장치에 존재하는 주변 컴포넌트들 및 그 장치의 임의 다른 주변 컴포넌트들과 인터페이스한다. 장치 CPU(210)는 장치 운영 체제(212) 및 무선 드라이버(214)를 포함한다. 무선 드라이버(214)는 무선 모듈 소프트웨어(222)를 포함하는 제2 계층의 무선 모듈 CPU(220)과 통신한다. 무선 모듈 소프트웨어(222)는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라디오와 통신하는 하위 계층의 무선 RF 인터페이스(230)와 인터페이스한다.
무선 장치(200)는 핸드헬드형 및 이동 또는 고정일 수 있는 각종의 여러 장치들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장치들의 예로는,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이동 데이터 장치, 이동 전화, 스테레오 시스템 및 무선 스피커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무선 장치들과의 연계를 확립함에 있어 각 무선 장치의 동작에 대해 후술하기로 한다. 동작은 IEEE 802.11 표준에 관련하여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802.11 표준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Ultra Wide Band 및 WiNet 등의 다른 무선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후술될 동작들은 단지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후술할 연계들을 확립하기 전에, 각 무선 장치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다른 무선 장치들을 발견한다. 무선 장치들을 발견하기 위한 바람직한 기술들은 위에서 참조한 관련 출원들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발견 기술들도 이용될 수 있다. 연계가 확립된 후, 데이터는 연관된 무선 장치에 의해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무선 장치와의 연계 확립
도 3에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제1 무선 장치가 제2 무선 장치와의 연계를 확립하기 위해 수행하는 동작들의 흐름이 도시된다.
무선 장치가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다른 장치와의 연계를 확립하길 원할 경우에는, 이 무선 장치가 연계 요청자가 되어 다음의 것을 행한다. 즉,
1) 이하의 설정들을 확립한다:
(애드 혹 네트워크의) 채널 번호 또는 주파수
(연계될 대상 애드 혹 네트워크의) 원하는 SSID
(연계될 대상 애드 혹 네트워크의) 원하는 BSSID, 및
(연계될 대상 장치의) Mac 어드레스.
2) 무선 서비스는 무선 모듈에 대해 연결 호를 발행한다(단계 300).
위에서 구성된 Mac 어드레스 및 BSSID/SSID를 갖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소정의 장치에 연계하도록) 연결
3) 상위 계층으로부터 연결 호를 수신할 시, 무선 모듈은 이하의 것을 행한다:
채널/주파수가 다를 경우, 채널 또는 주파수를 애드 혹 네트워크가 동작 중인 것으로 전환(단계 302).
이하의 정보, 즉
수신기 어드레스: 대상 장치의 MAC 어드레스
BSSID: 애드 혹 네트워크의 BSSID
BSS 유형: 애드 혹
SSID: (옵션)
특수 IE:(옵션)
동작 유형 - 가상 연계 요청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 등과 같은, 다른 옵션 구성 및 기능 정보
를 포함할 수 있는 연결 요청 패킷을 송출(단계 304).
패킷 포맷과 내용이 일치되고 무선 장치가 이해한다면, 무선 장치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또는 인증 패킷을 이용하여 연결 요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4) 연결 요청 패킷을 송신한 후, 무선 모듈은 연결 응답 패킷을 대기한다(단계 306).
무선 장치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연결 응답 패킷을 이용하여 연계를 확립하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무선 장치는 상이한 방법으로 그렇게 할 수 있는 데, 그 경우는 연계 프로세스에 관여하는 장치들이 방법을 서로 동의한 경우이다. 여기 몇몇 예가 있다:
a. 직접 프로브 응답 패킷을 연결 응답의 의향을 상술하는 특수 IE( 정보 엘리먼트)에 매칭. 패킷은 이하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패킷 유형: 직접(유니캐스트) 프로브 응답 패킷
수신기 어드레스: 연계 요청의 MAC 어드레스에 매칭
BSSID: 애드 혹 네트워크의 BSSID에 매칭
BSS 유형: 애드 혹
특수 IE:
동작 유형 - 가상 연계 요청
가상 연계 상태 - IEEE 802.11 상태 코드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 등의, 다른 옵션 구성 및 기능 정보
b. 연결 응답 패킷을 일치되고 무선 장치가 이해하는 패킷 패턴에 매칭. 이 패킷을 수신하는 것은 연계 응답자로부터의 연계 요청의 수락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매칭된 패킷 패턴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패킷 유형: 직접(유니캐스트) 인증 패킷
수신기 어드레스: 연계 요청의 MAC 어드레스에 매칭
BSSID: 애드 혹 네트워크의 BSSID에 매칭
BSS 유형: 애드 혹
SSID: 애드 혹 네트워크의 SSID에 매칭
특수 IE: (옵션)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 등의, 구성 및 기능 정보
5) 무선 모듈은 시간 만료값이 만료될 때까지(단계 312), 그러한 연결 응답 패킷을 대기한다(단계 308). 이 시간 만료값은 기본값을 가질 수 있으며, 구성가능하다. 연결 응답 패킷이 수신되고 연결이 성공적이면(단계 310), 무선 모듈은 대상 무선 장치에 연관될 그 내부 상태를 갱신한다.
이것이 연관되는 제1 장치이면, 무선 모듈은 네트워크 스택에 대한 미디어 연결된 이벤트를 나타낸다.
무선 모듈은 포트 업(port up) 이벤트 등의 통지를 송신함에 의해 네트워크 스택에 새로운 연계가 피어 장치에 대해 확립된 것을 선택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6) 연결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고(단계 308), 시간이 만료되면(단계 312), 연결은 성공적이 않아(단계 314), 무선 모듈은 그 원래 상태로 남아 있는다.
도 4에는 제1 무선 장치에 의해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시 제2 무선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들의 흐름이 도시된다.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한 무선 장치가 다른 무선 장치(연계 요청자)로부터 유니캐스트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면(단계 400), 그 무선 장치가 연계 응답자가 되어 이하의 것을 행한다:
1)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여 연계를 확립하는 것을 확인. 무선 장치는 여러 방법으로 그렇게 할 수 있는 데, 그 경우는 연계 프로세스에 관여하는 장치들이 방법을 서로 동의한 경우이다. 여기 몇몇 예가 있다:
a. 직접 프로브 응답 패킷을 연결 응답의 의향을 상술하는 특수 IE에 매칭. 특수 IE의 포맷은 무선 장치에 의해 이해되며, 이하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패킷 유형: 직접(유니캐스트) 프로브 응답 패킷
수신기 어드레스: 연계 요청의 MAC 어드레스에 매칭
BSSID: 애드 혹 네트워크의 BSSID에 매칭
BSS 유형: 애드 혹
특수 IE:
동작 유형 - 가상 연계 요청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 등의, 다른 옵션 구성 및 기능 정보
b. 연결 요청 패킷을 일치되고 무선 장치가 이해하는 패킷 패턴에 매칭. 이 패킷을 수신하는 것은 연계 요청자로부터의 연계 요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매칭된 패킷 패턴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패킷 유형: 직접(유니캐스트) 인증 요청
수신기 어드레스: 연계 응답자의 MAC 어드레스에 매칭
BSSID: 애드 혹 네트워크의 BSSID에 매칭
BSS 유형: 애드 혹
SSID: 애드 혹 네트워크의 SSID에 매칭
특수 IE: (옵션)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 등의, 구성 및 기능 정보
2) 무선 모듈은 연계를 수락할지를 결정하고(단계 402), 이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연결 응답 패킷을 송출한다(단계 406):
수신기 어드레스: 연계 개시자의 MAC 어드레스
BSSID: 애드 혹 네트워크의 BSSID
BSS 유형: 애드 혹
SSID: (옵션)
특수 IE: (옵션)
동작 유형 - 가상 연계 응답
가상 연계 상태 - IEEE 802.11 상태 코드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 등의, 다른 옵션 구성 및 기능 정보
패킷 포맷과 내용이 일치되고 무선 장치가 이해한다면, 무선 장치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또는 인증 패킷을 이용하여 연결 요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3) 연계가 수락되면, 연계 응답자는 이하의 것을 행한다:
연계 요청자가 무선 장치에 연관된 제1 무선 장치이면, 무선 모듈은 네트워크 스택에 대한 미디어 연결된 이벤트를 나타낸다(단계 408).
무선 모듈은 포트 업 이벤트 등의 통지를 네트워크 스택에 송신함에 의해 새로운 가입자가 연계를 확립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나타낸다.
4) 연계가 수락되지 않으면(단계 402), 연계 응답자는 그 초기 상태로 남아 있는다(단계 404).
두 무선 장치가 동일한 애드 혹 네트워크에 있고 네트워크 스택에 대한 미디어 연결된 및/또는 포트 업을 나타내면, 무선 연결이 확립된다. 무선 장치는 피어 장치들에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 및 피어 장치들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한다.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두 무선 장치 간의 동시성 연계 요청들을 취급
도 5에는 두 무선 장치들이 서로에 대해 연결 요청을 동시에 송신할 경우 제1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흐름이 도시된다.
두 무선 장치 A 및 B가 서로에 대해 동시에 연결 요청을 송출하고 다른 한 장치로부터 연결 응답을 대기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두 무선 장치는 서로에 대해 두 연계를 확립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장치(A)가 다른 장치(B)에 연결 요청을 송출하고(단계 500), 장치 A가 시간 만료 기간 내에 동일한 장치 B로부터 연결 응답을 수신하기 전에 장치 A가 장치 B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한 후(단계 502), 장치 A는 이하의 것을 행한다:
1) 장치 B의 MAC 어드레스 값이 장치 A의 MAC 어드레스 값보다 작을 경우(단계 504), 장치 A는 장치 B의 연결 요청을 무시한다(단계 506).
2) 장치 B의 MAC 어드레스 값이 장치 A의 MAC 어드레스 값보다 클 경우(단계 504), 장치 A는 연결 응답을 송신함에 의해 장치 B의 연결 요청에 응답한다(단계 508). 한편, 장치 A는 또한 그 자신의 상태 및 장치 A가 장치 B에 송신한 연결 요청에 대한 동작을 취소한다.
작은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 장치의 연결 요청은 처리되고 큰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갖는 무선 장치의 연결 요청은 취소되도록 기준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연계 모니터링
무선 장치는 연관된 무선 장치들 목록을 내부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연관된 피어 장치들로부터의 패킷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무선 장치가 일정 시간 동안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연관된 무선 장치로부터 임의 인(in)-IBSS 패킷들을 수신하지 않으면, 그 무선 장치는 연관된 무선 장치와 분리될 수 있다.
패킷이 애드 혹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것에 매칭되는 BSSID를 가지면 또한 갖기만 하면, 패킷은 인-IBSS로 여겨진다.
애드 혹 네트워크의 무선 장치와의 연계를 종료
도 6에 또 다른 무선 장치와의 연계를 종료하기 위해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의 흐름이 도시된다.
무선 장치가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또 다른 장치와의 연계를 종료하기로 결정하면, 무선 장치는 이하의 것을 행한다:
1) 이하의 설정들을 확립한다:
(분리할 대상 애드 혹 네트워크의) 원하는 SSID
(분리할 대상 애드 혹 네트워크의) 원하는 BSSID, 및
(분리할 대상 장치의) Mac 어드레스.
2) 무선 모듈에 대해 연결해제 호를 발행한다(단계 600).
(위에서 구성된 Mac 어드레스 및 BSSID/SSID를 갖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소정의 장치를 분리하도록) 연결해제
3) 연결해제 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무선 모듈이 상술한 노후화 작용으로 인해 또 다른 무선 장치로부터 분리하기로 결정하면, 무선 모듈은 이하의 것을 행한다:
그 장치에 대한 내부 연관된 무선 장치 목록을 검색.
이러한 연관된 장치를 발견할 수 없으면, 적절한 에러를 반환.
그렇지 않으면, 이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연결해제 요청 패킷을 송출(단계 602):
수신기 어드레스: 대상 장치의 MAC 어드레스
BSSID: 애드 혹 네트워크의 BSSID
BSS 유형: 애드 혹
SSID: (옵션)
특수 IE:(옵션)
동작 유형 - 가상 연계 요청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 등과 같은, 다른 옵션 구성 및 기능 정보
패킷 포맷과 내용이 일치되고 무선 장치가 이해한다면, 무선 장치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또는 인증-해제 패킷을 이용하여 연결해제 요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4) 연결해제 요청 패킷을 송신한 후, 무선 모듈은 그 연관된 장치 목록에서 그 장치를 즉시 제거할 수 있다(단계 604). 무선 장치는 임의 데이터 패킷들을 분리된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중지하고, 그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폐기한다.
분리된 장치가 연관된 장치 목록 중의 최종 것이면, 무선 장치는 네트워크 스택에 대해 미디어 연결해제된 이벤트를 나타내고, 그 자체가 애드 혹 네트워크를 떠난 것으로 간주한다.
무선 장치는 피어 장치와의 연계가 포트 다운(port down) 이벤트 등의 통지를 네트워크 스택에 송신함에 의해 제거된 것을 선택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7에 연결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의 흐름이 도시된다.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무선 장치가 도 다른 무선 장치로부터 유니캐스트 연결해제 요청 패킷을 수신하면(단계 700), 그 무선 장치는 이하의 것을 행한다:
1) 무선 장치가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연계를 종료하기 위해 이용되는 연결해제 요청 패킷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단계 702). 무선 장치는 상이한 방법으로 그렇게 할 수 있는 데, 그 경우는 연계 프로세스에 관여하는 장치들이 방법을 서로 동의하여 이해한 경우이다. 여기 몇몇 예가 있다:
a. 연결해제 요청의 의향을 상술하는 직접 프로브 요청 패킷 내의 특수 IE에 매칭. 특수 IE의 포맷은 무선 장치에 의해 이해되고, 이하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패킷 유형: 직접(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수신기 어드레스: 연계 요청의 MAC 어드레스에 매칭
BSSID: 애드 혹 네트워크의 BSSID에 매칭
BSS 유형: 애드 혹
특수 IE:
동작 유형 - 가상 연계 요청
b. 연결 요청 패킷을 일치되고 무선 장치가 이해하는 패킷 패턴에 매칭. 이 패킷을 수신하는 것은 분리 요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매칭된 패킷 패턴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패킷 유형: 직접(유니캐스트) 인증-해제 요청
수신기 어드레스: 연계 응답자의 MAC 어드레스에 매칭
BSSID: 애드 혹 네트워크의 BSSID에 매칭
BSS 유형: 애드 혹
SSID: 애드 혹 네트워크의 SSID에 매칭
2) 연결해제 요청 패킷을 수신한 후, 무선 장치는 이하의 것을 행한다:
장치의 내부 연관된 무선 장치 목록을 검색
이런 연관된 장치를 발견할 수 없으면, 연결해제 요청 패킷을 무시한다(단계 704).
그렇지 않으면, 무선 장치는 그 연관된 장치 목록에서 장치를 즉시 제거할 수 있다(단계 706). 무선 장치는 분리된 무선 장치에 임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고, 그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폐기한다.
분리된 장치가 연관된 장치 목록 중 최종 것이면, 무선 장치는 네트워크 스택에 대해 미디어 연결해제된 이벤트를 나타내고, 그 자체가 애드 혹 네트워크를 떠나는 것으로 간주한다.
무선 장치는 포트 다운 이벤트 등의 통지를 네트워크 스택에 송신함에 의해 연계가 피어 장치에서 제거되었음을 선택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연결해제
무선 장치가 애드 혹 네트워크를 떠나기로 결정하면, 무선 장치는 이하의 것을 행한다:
1) 무선 모듈에 대해 연결해제 호를 발행
2) 상위 계층으로부터 연결해제 호를 수신한 후, 무선 모듈은 애드 혹 네트워크를 떠나기 위해 이하의 것을 행한다:
네트워크 스택에 대해 미디어 연결해제 이벤트를 나타냄.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장치에 임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고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폐기.
연관된 무선 장치들의 내 목록(internal list)을 클린-업
다른 내부 상태들을 클린-업
특수 정보 엘리먼트
정보 엘리먼트(IE)는 가변 길이 정보를 반송하는 데 이용되는 유형-길이-값 객체이다. 무선 장치는 선택적으로 연계들을 관리하는 정보를 반송하는 특수 정보 엘리먼트에 의존할 수 있다.
특수 IE는 그 자체를 식별하기 위해 고유 OUI 및 OUI 유형 결합을 갖는 고객 IE ID(예컨대, IEEE 802.11 표준에서 정의된 값 221), 또는 고유 IE ID를 이용할 수 있다.
IE ID(1바이트) 길이(1바이트) OUI(3바이트) OUI 유형(1바이트) 다른 결합(0-249바이트)
221 8..253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00-50-F2) 동일 OUI를 갖는 고유값 연계를 위한 다른 정보
특수 정보 엘리먼트는 연계를 관리하기 위한 이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유형
-가상 연계 요청
-가상 연계 응답
-가상 분리 요청
다른 정보(옵션)
-데이터 레이트
-기능 정보
상기 기술은 패킷 파라미터 등의 각종 파라미터 값에 대한 예들을 제공한 것이다. 이들 값은 단지 일례로 제공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시키려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실시예의 여러 측면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여러 변형, 수정 및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런 변형, 수정 및 개선은 본 기재의 일부로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일례에 불과하다는 것에 주지해야 한다.

Claims (20)

  1.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연결 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라디오를 켜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장치로부터의 연결 요청 패킷을 이전에 발견된 제2 무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은 IEEE 802.11 표준에 따른 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또는 유니캐스트 인증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또는 상기 유니캐스트 인증 패킷은 상기 이전에 발견된 제2 무선 장치의 MAC 어드레스 및 동작 유형을 가상 연계 요청으로 식별하는 특수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장치는 상기 이전에 발견된 제2 무선 장치의 상기 MAC 어드레스 및 상기 특수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또는 상기 유니캐스트 인증 패킷을 상기 연결 요청 패킷으로 인식함 -,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시간 만료 기간 내에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2 무선 장치에 대해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시간 만료 기간 내에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연결 실패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유효 연결 요청으로 식별하면, 상기 제2 무선 장치에 연결 응답 패킷을 송신하고, 확립된 연결을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유효 연결 요청으로 식별하지 않으면, 기존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응답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대한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에 연결 응답 패킷을 송신하고 그 자신의 연결 요청을 취소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대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을 무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호에 응답하여 상기 라디오를 애드 혹 네트워크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연관된 무선 장치로부터의 패킷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연관된 무선 장치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연관된 무선 장치에서 분리되는 단계, 및 그렇지 않으면 상기 연관된 무선 장치와의 연계를 계속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연결해제 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장치로부터의 연결해제 요청 패킷을 상기 제2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연결된 장치 목록에서 상기 제2 무선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해제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해제 요청 패킷이 상기 제1 무선 장치에 의해 식별되면, 연결된 장치 목록에서 상기 제2 무선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해제 요청 패킷이 상기 제1 무선 장치에 의해 식별되지 않으면, 상기 연결해제 요청 패킷을 무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8.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이전에 발견된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은 IEEE 802.11 표준에 따른 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또는 유니캐스트 인증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또는 상기 유니캐스트 인증 패킷은 상기 이전에 발견된 제2 무선 장치의 MAC 어드레스 및 동작 유형을 가상 연계 요청으로 식별하는 특수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선 장치는 상기 이전에 발견된 제2 무선 장치의 상기 MAC 어드레스 및 상기 특수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또는 상기 유니캐스트 인증 패킷을 상기 연결 요청 패킷으로 인식함 -,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유효 연결 요청으로 식별하면, 상기 제2 무선 장치에 연결 응답 패킷을 송신하고, 확립된 연결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유효 연결 요청으로 식별하지 않으면, 기존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연결 요청 패킷을 상기 제2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응답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대한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에 연결 응답 패킷을 송신하고 그 자신의 연결 요청을 취소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대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을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직접 프로브 요청 패킷을 상기 연결 요청을 기술하는 특수 정보 엘리먼트에 매칭시킴에 의해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소정의 패킷 패턴에 매칭시킴에 의해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연관된 무선 장치로부터의 패킷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연관된 무선 장치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연관된 무선 장치에서 분리되는 단계, 및 그렇지 않으면 상기 연관된 무선 장치와의 연계를 계속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연결해제 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장치로부터의 연결해제 요청 패킷을 상기 제2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연결된 장치 목록에서 상기 제2 무선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해제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해제 요청 패킷이 상기 제1 무선 장치에 의해 식별되면, 연결된 장치 목록에서 상기 제2 무선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해제 요청 패킷이 상기 제1 무선 장치에 의해 식별되지 않으면, 상기 연결해제 요청 패킷을 무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15. 무선 장치로서,
    컴퓨팅 장치,
    라디오, 및
    상기 컴퓨팅 장치 및 상기 라디오에 논리적으로 연결된 무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모듈은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의 연결 호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장치의 라디오를 켜고,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의 연결 요청 패킷을 이전에 발견된 제2 무선 장치로 송신하고 -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은 IEEE 802.11 표준에 따른 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또는 유니캐스트 인증 패킷을 포함하고, 상기 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또는 상기 유니캐스트 인증 패킷은 상기 이전에 발견된 제2 무선 장치의 MAC 어드레스 및 동작 유형을 가상 연계 요청으로 식별하는 특수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장치는 상기 이전에 발견된 제2 무선 장치의 상기 MAC 어드레스 및 상기 특수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유니캐스트 프로브 요청 패킷 또는 상기 유니캐스트 인증 패킷을 상기 연결 요청 패킷으로 인식함 - ,
    상기 무선 장치가 시간 만료 기간 내에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2 무선 장치에 대해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무선 장치가 시간 만료 기간 내에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연결 실패를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로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무선 장치가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유효 연결 요청으로 식별하면, 상기 제2 무선 장치에 연결 응답 패킷을 송신하고 확립된 연결을 기록하고,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유효 연결 요청으로 식별하지 않으면, 기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응답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대한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에 연결 응답 패킷을 송신하고 그 자신의 연결 요청을 취소하고,
    상기 제2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상기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대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을 무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직접 프로브 요청 패킷을 상기 연결 요청을 기술하는 특수 정보 엘리먼트에 매칭시킴에 의해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식별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소정의 패킷 패턴에 매칭시킴에 의해 상기 연결 요청 패킷을 식별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연관된 무선 장치로부터의 패킷들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연 관된 무선 장치로부터 소정 기간 동안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연관된 무선 장치에서 분리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연관된 무선 장치와의 연계를 지속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장치.
KR1020097001997A 2006-08-04 2007-08-06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무선 장치 KR101470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561406P 2006-08-04 2006-08-04
US60/835,614 2006-08-04
US11/541,351 US9596585B2 (en) 2006-08-04 2006-09-29 Managing associations in ad hoc networks
US11/541,351 2006-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690A KR20090035690A (ko) 2009-04-10
KR101470657B1 true KR101470657B1 (ko) 2014-12-08

Family

ID=3902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997A KR101470657B1 (ko) 2006-08-04 2007-08-06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무선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596585B2 (ko)
EP (1) EP2047639B1 (ko)
JP (1) JP5237947B2 (ko)
KR (1) KR101470657B1 (ko)
CN (1) CN101496351B (ko)
AU (1) AU2007281909B2 (ko)
BR (1) BRPI0714118A2 (ko)
CA (1) CA2656445C (ko)
MX (1) MX2009000587A (ko)
NO (1) NO341060B1 (ko)
RU (1) RU2456755C2 (ko)
WO (1) WO2008019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1208A1 (en) * 2006-08-04 2008-02-07 Microsoft Corporation Synchroniz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while saving power
US7860038B2 (en) * 2006-08-04 2010-12-28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support for portable media player devices
US8958743B2 (en) * 2006-08-23 2015-02-17 Google Inc. Form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based on movement direction of nodes
US9060325B2 (en) * 2006-12-04 2015-06-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connecting to an ad hoc wireless cell
KR101146893B1 (ko) 2007-09-18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다이렉트 링크 설정 절차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US9270681B2 (en) * 2007-10-02 2016-02-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etwork access and profile control
EP2272185B1 (en) 2008-05-01 2017-09-06 LG Electronics Inc. Direct link setup method in tunneled direct link setup wireless network and station supporting the method
KR101511386B1 (ko) * 2008-10-15 2015-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다이렉트 링크 설정 절차
JP5213757B2 (ja) * 2009-02-24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2087078A2 (ko) * 2010-12-24 2012-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서의 컨텐트 보호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2632071A1 (en) * 2012-02-21 2013-08-28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assessing quality of a radio transmission channel, and residential gateway using the method
US9292864B2 (en) * 2012-06-20 2016-03-22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synched distributed advertisement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US10193933B2 (en) * 2012-09-17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ost-discovery communication within a neighborhood-aware network
JP6128844B2 (ja) * 2012-12-28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746244B2 (ja) * 2013-03-06 2015-07-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操作端末、撮像システム、撮像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469827B (zh) * 2013-09-25 2018-09-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无线链路失败的处理方法及装置
US9386004B2 (en) * 2013-10-23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Peer based authentication
US9602343B1 (en) 2013-12-30 2017-03-21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 with network controller
JP5822989B2 (ja) * 2014-07-01 2015-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771498B1 (en) * 2015-06-10 2020-09-08 Marvell Asia Pte., Ltd. Validating de-authentication requests
US9979711B2 (en) * 2015-06-26 2018-05-22 Cisco Technology, Inc. Authentication for VLAN tunnel endpoint (VTEP)
JP6272286B2 (ja) * 2015-10-07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243974B2 (en) * 2016-02-19 2019-03-26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Detecting deauthentication and disassociation attack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10448314B2 (en) * 2017-12-07 2019-10-15 Symbo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itigating connection impact on network infra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8709A (ja) * 2002-09-30 2004-04-22 Toshiba Corp 主通信装置、従属通信装置、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5027280A (ja) * 2003-06-12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luetoothマスタ選択方法、Bluetoothマスタ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Bluetooth装置
KR20050086056A (ko) * 2004-02-24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직렬포트를 이용한 그룹 네트워크 형성 시스템및 방법
KR20060049450A (ko) * 2004-06-01 2006-05-19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시스템,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9593A (en) * 1997-01-17 2000-04-11 Acampora; Anthony Hybrid universal broadband telecommunications using small radio cells interconnected by free-space optical links
US6757286B1 (en) * 1997-03-24 2004-06-29 Alcatel Self-configuring communication network
JP3141820B2 (ja) 1997-07-18 2001-03-07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ドホック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
JP3430057B2 (ja) 1999-02-03 2003-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6892230B1 (en) 1999-06-11 2005-05-10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self-configuration for ad hoc peer networking using mark-up language formated description messages
US6779042B1 (en) 1999-09-10 2004-08-17 Ianywhere Solutions,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abling on-device servers, offline forms, and dynamic ad tracking on mobile devices
US7327683B2 (en) 2000-03-16 2008-02-05 Sri Internationa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eminating topology information and for discovering new neighboring nodes
US6791949B1 (en) 2000-04-28 2004-09-14 Raytheon Company Network protocol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US6865371B2 (en) 2000-12-29 2005-03-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devices via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120129B2 (en) 2001-03-13 2006-10-1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zero-configuration wireless computing and computing device incorporating same
US6842460B1 (en) 2001-06-27 2005-01-11 Nokia Corporation Ad hoc network discovery menu
AU2002313823B2 (en) 2001-08-25 2008-01-1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free transmission scheduling using neighborhood information and advertised transmission times
JP3994707B2 (ja) * 2001-09-17 2007-10-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課金方法および端末装置
US7194263B2 (en) 2001-09-17 2007-03-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current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in two disjoint wireless networks
RU2273956C2 (ru) 2001-11-16 2006-04-10 Нокиа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экономии мощности в радиочастотном (рч) приемнике и рч приемник
US7471667B2 (en) 2002-01-09 2008-12-30 Nxp B.V. Coexistence of modulation schemes in a WLAN
RU2231930C2 (ru) 2002-07-30 2004-06-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горитм"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в гибридной сети и маршрутизатор гибридной сети
US6950628B1 (en) 2002-08-02 2005-09-2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grouping 802.11 stations into authorized service sets to differentiate network access and services
KR100433556B1 (ko) * 2002-08-08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애드혹 네트워크상의 링크 상태 동기화 방법, 장치 및데이터구조
TWI324309B (en) 2002-08-26 2010-05-01 Interdigital Tech Corp Communication circuit
US6907238B2 (en) 2002-08-30 2005-06-14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for locating and tracking wireless terminals
US6763013B2 (en) 2002-09-04 2004-07-13 Harris Corporation Intelligent communication node object beacon framework including neighbor discovery in a mobile ad hoc network
US7006481B2 (en) * 2002-10-10 2006-02-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WLAN and 3G
GB0224753D0 (en) 2002-10-24 2002-12-04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Beacon channel for frequency hopping wireless devices
US7280801B2 (en) 2002-12-02 2007-10-09 Agere Systems Inc.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sharing a common wireless transmission medium
AU2003288648A1 (en) 2003-01-10 2004-08-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network formation for wireless adhoc networks
EP1589677B1 (en) 2003-01-31 2011-12-21 Fujitsu Limited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JP4507623B2 (ja) 2003-03-05 2010-07-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
US20040203385A1 (en) 2003-03-14 2004-10-14 Sathya Narayanan Session endpoint management method for ad-hoc networks
US8248968B2 (en) 2003-10-03 2012-08-21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inter-mesh communication points in a multi-level wireless mesh network
JP4125172B2 (ja) 2003-04-23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RU2295830C2 (ru) 2003-04-30 2007-03-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ходом из состояния в состояние в спящем режиме и активном режиме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широкополосным беспроводным доступом
KR20060007419A (ko) 2003-05-01 2006-01-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ad-hoc 네트워크, 네트워크 장치 및 ad-hoc네트워크에 대한 구성 관리 방법
RU2292123C2 (ru) 2003-05-06 2007-01-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маршрута во временно создаваемой сети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KR100489956B1 (ko) 2003-05-12 2005-05-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Dcf 기반 무선망에서의 소비전력 개선 방법
TWI264196B (en) 2003-05-14 2006-10-11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management using periodic measurements of indications
US7412265B2 (en) 2003-06-12 2008-08-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power-sav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286515B2 (en) 2003-07-28 2007-10-2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pparatus, and software product for detecting rogue access points in a wireless network
US7545941B2 (en) 2003-09-16 2009-06-09 Nokia Corporation Method of initializing and using a security association for middleware based on physical proximity
KR100962647B1 (ko) 2003-10-27 201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41227A (ko) 2003-10-30 2005-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근거리개인영역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패킷에러율에따른 전력제어 방법
US7298716B2 (en) 2003-11-06 2007-11-20 Lucent Technologies Inc. Clustering based load adaptive sleeping protocol for ad hoc networks
US6973052B2 (en) 2003-12-19 2005-12-06 Motorola, Inc. Hybrid power save delivery method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r real time communication
US7836189B2 (en) * 2004-01-26 2010-11-16 Avaya Inc. Multiple simultaneous wireless connection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050186949A1 (en) 2004-02-05 2005-08-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stination discovery in a wireless network
US7809835B2 (en) 2004-02-06 2010-10-05 Reunamaeki Jukka De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establishment for ad hoc networks
JP4322702B2 (ja) 2004-02-24 2009-09-02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省電力無線lanシステム、その省電力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436790B2 (en) 2004-03-25 2008-10-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reless access point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cost
JP4033302B2 (ja) 2004-05-07 2008-01-16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インタフェース装置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参加方法
JP3698711B1 (ja) 2004-05-07 2005-09-2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ネットワーク識別子設定方法、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端末装置
JP4421955B2 (ja) 2004-06-24 2010-02-24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無線装置
US7656847B2 (en) 2004-06-29 2010-02-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bluetooth for WLAN service authentication and discovery
US7385958B2 (en) 2004-06-30 2008-06-10 Intel Corporation Ad hoc mode of operation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US7860923B2 (en) 2004-08-18 2010-12-28 Time Warner Inc. Method and device for the wireless exchange of media content between mobile devices based on user information
JP4456966B2 (ja) 2004-09-17 2010-04-2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端末
US20060094476A1 (en) * 2004-11-01 2006-05-04 Wey-Yi Guy Fast synchronization functionality for wireless access points
US7949358B2 (en) * 2004-12-23 2011-05-24 Xocyst Transfer A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discovery
US20060155836A1 (en) 2004-12-30 2006-07-13 Arcadyan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of configuring network device
JP5198247B2 (ja) 2005-03-14 2013-05-15 オズ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lanネットワークとの共存を強化するオーバレイプロトコルを使用して無線panネットワーク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装置
WO2006118497A1 (en) * 2005-04-29 2006-11-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perator shop selection
US7814322B2 (en) * 2005-05-03 2010-10-12 Sri International Discovery and authentication scheme for wireless mesh networks
US20060285528A1 (en) 2005-06-21 2006-12-21 Xia Gao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beacon generation of wireless networks in ad hoc mode
US9401934B2 (en) * 2005-06-22 2016-07-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stablishing sessions with defined quality of service
US8738013B2 (en) 2006-04-24 2014-05-27 Marvell World Trade Ltd. 802.11 mesh architecture
US7761087B2 (en) * 2006-07-21 2010-07-20 Kyocer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through a multi-mode wireless terminal device
US7860038B2 (en) 2006-08-04 2010-12-28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support for portable media player devices
US20080031208A1 (en) 2006-08-04 2008-02-07 Microsoft Corporation Synchroniz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while saving power
US8958743B2 (en) 2006-08-23 2015-02-17 Google Inc. Form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based on movement direction of no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8709A (ja) * 2002-09-30 2004-04-22 Toshiba Corp 主通信装置、従属通信装置、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5027280A (ja) * 2003-06-12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luetoothマスタ選択方法、Bluetoothマスタ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Bluetooth装置
KR20050086056A (ko) * 2004-02-24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직렬포트를 이용한 그룹 네트워크 형성 시스템및 방법
KR20060049450A (ko) * 2004-06-01 2006-05-19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시스템,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9000587A (es) 2009-01-27
RU2009103630A (ru) 2010-08-10
NO20090015L (no) 2009-01-30
RU2456755C2 (ru) 2012-07-20
CA2656445A1 (en) 2008-02-14
AU2007281909A1 (en) 2008-02-14
AU2007281909B2 (en) 2011-07-07
BRPI0714118A2 (pt) 2013-01-01
US20080031209A1 (en) 2008-02-07
JP2009545936A (ja) 2009-12-24
EP2047639B1 (en) 2017-03-01
JP5237947B2 (ja) 2013-07-17
KR20090035690A (ko) 2009-04-10
WO2008019137A1 (en) 2008-02-14
CA2656445C (en) 2017-01-10
EP2047639A1 (en) 2009-04-15
CN101496351B (zh) 2013-11-13
NO341060B1 (no) 2017-08-14
EP2047639A4 (en) 2011-09-07
US9596585B2 (en) 2017-03-14
CN101496351A (zh)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657B1 (ko) 애드 혹 네트워크 내의 제1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무선 장치
KR101344190B1 (ko)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무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무선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JP6529186B2 (ja) 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端末
US88486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to-peer connection us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2701313A1 (en) Method for pairing bluetooth accessory with bluetooth device, and bluetooth accessory
US108635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02028022A2 (en) Method and system for name discovery in a wireless network
US201300957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 switching between a plurality of wireless connections for wireless transmissions
JP2007189658A (ja) 無線セキュリティーの設定方法
WO2023142787A1 (zh) 功率放大器pa故障隔离的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EP2957134B1 (en) Systems and method for bt amp and wlan concurrency
CN112351461A (zh) WiFi网络切换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6659042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