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290B1 -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290B1
KR101470290B1 KR20140122735A KR20140122735A KR101470290B1 KR 101470290 B1 KR101470290 B1 KR 101470290B1 KR 20140122735 A KR20140122735 A KR 20140122735A KR 20140122735 A KR20140122735 A KR 20140122735A KR 101470290 B1 KR101470290 B1 KR 10147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wheel group
bleacher
grandstan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2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to KR20140122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04H3/123Telescopic grand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은, 제1 기준바퀴군이 구비된 제1 기준 관람석단으로부터 제1 가동바퀴군이 각각 구비되어 단차진 수개의 제1 가동 관람석단들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가동 관람석단들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준바퀴군과 상기 제1 가동바퀴군들이 제1 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제1 기준 관람석단으로부터 상기 제1 가동 관람석단들이 인출되도록 제1 가동바퀴군들를 제2 위치로 이동시켜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되는 제1 접철식 관람석; 상기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된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의 상기 제1 기준 관람석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관람석배치부; 및 제2-1 기준바퀴군 및 제2-2 기준바퀴군이 구비된 제2 기준 관람석단으로부터 제2-1 가동바퀴군들 및 제2-2 가동바퀴군들이 각각 구비되어 단차진 수개의 제2 가동 관람석단들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들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2-1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2 기준바퀴군과 상기 제2-1 가동바퀴군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이 상기 관람석배치부의 제3 위치에 안착된 후 상기 제2 기준 관람석단으로부터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들이 인출되도록 상기 제2-1 가동바퀴군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을 상기 관람석배치부 상에서 제4 위치로 이동시켜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되는 제2 접철석 관람석;를 포함하며, 상기 관람석배치부는,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의 제2 가동 관람석단들 중 최하단의 가동 관람석단이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의 제1 기준 관람석단보다 높은 관람석단이 되도록 하며, 상기 제2-1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1 가동바퀴군들이 안착되는 제1 관람석배치부 및 상기 제2-2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이 안착되는 제2 관람석배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Mult-steped seat placement system}
본 발명은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한정된 다단을 구비한 접철식 관람석을 복수개 이용하여 한정된 다단을 초과한 다단 관람석을 구현하도록 하는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철식 관람석은 기준 관람석단 및 상기 기준 관람석에 복수의 가동 관람석단이 접철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관람석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접철식 관람석은 주로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다수의 가동 관람석단이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으며, 접혀진 경우에는 접혀진 공간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펼쳐 놓은 경우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다단으로 앉을 수 있는 공간과 좌석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접철식 관람석은 한정된 다단수를 구비하고 있으며, 한정된 다단수보다 큰 다단수의 관람석의 설치를 요하는 경우, 한정된 다단 이상의 다단을 구성하는 접철식 관람석을 소정 높이부터 단이 시작되도록 구성을 변경하여 이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원하는 다단수를 구현하는 경우 특정 접철식 관람석의 구조를 변경해야 하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설치 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 및 설치 이후에 해체하는 경우 해체 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설치 및 해체 시간의 증가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동시에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도 유발되었다.
따라서, 한정된 다단수를 구비하는 접철식 관람석을 이용하여 한정된 다단 이상의 다단을 구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설치 및 해체 시간의 최소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정된 다단수를 구비하는 복수의 접철식 관람석을 이용하여 별도의 구조적 변경 없이 한정된 다단 이상의 다단을 구비하는 관람석을 구현하도록 하는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은, 제1 기준바퀴군이 구비된 제1 기준 관람석단으로부터 제1 가동바퀴군이 각각 구비되어 단차진 수개의 제1 가동 관람석단들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가동 관람석단들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준바퀴군과 상기 제1 가동바퀴군들이 제1 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제1 기준 관람석단으로부터 상기 제1 가동 관람석단들이 인출되도록 제1 가동바퀴군들를 제2 위치로 이동시켜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되는 제1 접철식 관람석; 상기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된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의 상기 제1 기준 관람석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관람석배치부; 및 제2-1 기준바퀴군 및 제2-2 기준바퀴군이 구비된 제2 기준 관람석단으로부터 제2-1 가동바퀴군들 및 제2-2 가동바퀴군들이 각각 구비되어 단차진 수개의 제2 가동 관람석단들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들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2-1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2 기준바퀴군과 상기 제2-1 가동바퀴군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이 상기 관람석배치부의 제3 위치에 안착된 후 상기 제2 기준 관람석단으로부터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들이 인출되도록 상기 제2-1 가동바퀴군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을 상기 관람석배치부 상에서 제4 위치로 이동시켜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되는 제2 접철석 관람석;를 포함하며, 상기 관람석배치부는,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의 제2 가동 관람석단들 중 최하단의 가동 관람석단이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의 제1 기준 관람석단보다 높은 관람석단이 되도록 하며, 상기 제2-1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1 가동바퀴군들이 안착되는 제1 관람석배치부 및 상기 제2-2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이 안착되는 제2 관람석배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의 상기 제1 관람석배치부 및 상기 제2 관람석배치부는, 제2-1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1 가동바퀴군들과 상기 제2-2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 사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은,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을 지지하는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제1 관람석배치부 및 상기 제2 관람석배치부를 서로 평행한 상태로 연결하는 안정성향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의 상기 관람석배치부는, 상기 제2-1 기준바퀴군과 상기 제2-2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1 가동바퀴군들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안착부에 연결된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2-1 가동바퀴군들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1 가동바퀴군들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을 상기 제3 위치에 안착시키는 경우 상기 제3 위치로의 안착을 안내하도록 후방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에 의하면, 한정된 다단수를 구비하는 복수의 접철식 관람석을 이용하여 별도의 구조적 변경 없이 한정된 다단 이상의 다단을 구비하는 관람석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접철식 관람석의 폭이 변경되는 경우라도 그에 대응하여 폭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의 접철식 관람석에 적용가능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에 제공되는 제1 접철식 관람석 및 제2 접철식 관람석이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에 제공되는 제1 접철식 관람석 및 제2 접철식 관람석이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100)은,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되는 제1 접철식 관람석(110), 제2 접철식 관람석(120), 그리고,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이 배치되는 관람석배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110)과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이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110)보다 폭이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110)과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이 동일한 구성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1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은, 예를 들어 5단의 관람석을 구현할 수 있는 접철식 관람석일 수 있으며, 제2 기준 관람석단(122) 및 복수의 제2 가동 관람석단(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관람석단(122)은 상기 복수의 제2 가동 관람석(124)들의 인출 시 기준이 되는 관람석단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에서 가장 높은 단의 관람석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은 제2-1 기준바퀴군(126a) 및 제2-2 기준바퀴군(126b)이 구비된 제2 기준 관람석단(122)으로부터 제2-1 가동바퀴군(128a)들 및 제2-2 가동바퀴군(128b)들이 각각 구비되어 단차진 수개의 제2 가동 관람석단(124)들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관람석단(122)은 제2-1 기준바퀴군(126a) 및 제2-2 기준바퀴군(126b)을 포함하는 기준바퀴군을 한 쌍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124) 각각은 제2-1 가동바퀴군(128a)들 및 제2-2 가동바퀴군(128b)들을 포함하는 가동바퀴군을 한 쌍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준바퀴군 및 상기 가동바퀴군은 반드시 한 쌍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2-1 기준바퀴군(126a), 상기 제2-2 기준바퀴군(126b), 상기 제2-1 가동바퀴군(128a)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128b)은 각각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서는 편의상 4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124)은 상기 제2 기준 관람석단(122)을 기준으로 인출되어 다단, 즉, 5단의 관람석단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접철된 경우에는 접철된 공간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배치되는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인출된 경우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다단으로 앉을 수 있는 공간과 좌석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가동 관람석단(114)은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124)과 폭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관람석배치부(130)는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의 제2 가동 관람석단(124)들 중 최하단의 가동 관람석단이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110)의 제1 기준 관람석단(112)보다 높은 관람석단이 되도록 하는 일종의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의 높이 조절 받침대일 수 있으며, 상기 제2-1 기준바퀴군(126a) 및 상기 제2-1 가동바퀴군(128a)들이 안착되는 제1 관람석배치부(132) 및 상기 제2-2 기준바퀴군(126b)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128b)들이 안착되는 제2 관람석배치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람석배치부(130)는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된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110)의 상기 제1 기준 관람석단(1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관람석배치부(130)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110)은 상기 제1 가동 관람석단(114)들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준바퀴군(116a)과 상기 제1 가동바퀴군(118a)들이 제1 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제1 기준 관람석단(112)으로부터 상기 제1 가동 관람석단(114)들이 인출되도록 제1 가동바퀴군(118a)들를 제2 위치로 이동시켜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제1 가동 관람석단(114)들이 상기 제1 기준 관람석단(112)에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관람석배치부(130)의 전방에 위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기준 관람석단(112)이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가동 관람석단(114)이 상기 제1 기준 관람석단(112)으로부터 인출되어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되도록 위치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은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124)들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2-1 기준바퀴군(126a) 및 상기 제2-2 기준바퀴군(126b)과 상기 제2-1 가동바퀴군(128a)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128b)들이 상기 관람석배치부(130)의 제3 위치에 안착된 후 상기 제2 기준 관람석단(122)으로부터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124)들이 인출되도록 상기 제2-1 가동바퀴군(128a)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128b)들을 상기 관람석배치부(130) 상에서 제4 위치로 이동시켜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124)들이 상기 제2 기준 관람석단(122)에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관람석배치부(130) 상에 위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제2 기준 관람석단(122)이 제3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124)이 상기 제2 기준 관람석단(122)으로부터 인출되어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되도록 위치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관람석배치부(130)는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이 인출되어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된 경우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람석배치부(130)의 상기 제1 관람석배치부(132) 및 상기 제2 관람석배치부(134)는 제2-1 기준바퀴군(126a) 및 상기 제2-1 가동바퀴군(128a)들과 상기 제2-2 기준바퀴군(126b)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128b)들 사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1 기준바퀴군(126a)과 상기 제2-2 기준바퀴군(126b) 및 상기 제2-1 가동바퀴군(128a)들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128b)들이 안착되는 안착부(135) 및 상기 안착부(135)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안착부(135)에 연결된 지지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6)는 상기 안착부(135)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 및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에 착석한 사용자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다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35)는 상기 제2-1 가동바퀴군(128a)들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128b)들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1 가동바퀴군(128a)들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128b)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137)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137)는 상기 안착부(135)의 양측단을 규정하는 일종의 벽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35)는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을 상기 제3 위치에 안착시키는 경우 상기 제3 위치로의 안착을 안내하도록 후방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내부(13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부(138)는 상기 안착부(135)의 후방측을 규정하는 일종의 벽일 수 있다.
상기 안내부(138)는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의 제2 가동 관람석단(124)을 상기 제2 기준 관람석단(122)에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위치에 안착시키는 경우 상기 제3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 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차단벽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안내부(138)에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을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3 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137)는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의 제2 가동 관람석단(124)을 상기 제2 기준 관람석단(122)에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위치에 안착된 후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124)을 인출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배치부(132)와 상기 제2 관람석배치부(134)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아 상기 제2-1 가동바퀴군(128a)들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128b)들 적어도 하나가 상기 안착부(135)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제2-1 가동바퀴군(128a)들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128b)들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일종의 차단벽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이탈방지부(137)에 의해 상기 제1 관람석배치부(132)와 상기 제2 관람석배치부(134)의 비이상적인 배치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안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100)은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제1 관람석배치부(132) 및 상기 제2 관람석배치부(134)를 서로 평행한 상태로 연결하는 안정성향상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성향상부(170)는 일종의 강선 또는 강성을 구비하는 프레임일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 형태로 상기 제1 관람석배치부(132) 및 상기 제2 관람석배치부(134)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안정성향상부(140)는 X자 형태로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관람석배치부(132) 및 상기 제2 관람석배치부(134)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다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설명한다.
우선, 5단의 관람석을 구현할 수 있는 제1 접철식 관람석(110) 및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을 이용하여 총 10 단의 관람석을 구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110)을 접철된 상태로 관람석배치부(130)의 전방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을 접철된 상태로 상기 관람석배치부(130)의 안착부(135) 상에 배치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110)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이며,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은 제3 위치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을 상기 제3 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우 안내부(138)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관람석배치부(130)의 제1 관람석배치부(132) 및 제2 관람석배치부(134)는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의 제2-1 기준바퀴군(126a) 및 상기 제2-1 가동바퀴군(128a)들과 상기 제2-2 기준바퀴군(126b)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128b)들 사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채 고정되도록 안정성향상부(14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110) 및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을 각각 제1 위치 및 제3 위치에 배치시키고 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최하단 관람석단에 장착된 구동모터(150, 160), 즉, 감속모터를 동작시켜 각각 5단의 관람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인출이 완료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10단의 관람석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단의 다단 관람석이 요청되는 경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관람석배치부(130) 없이 이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단의 제1 접철식 관람석(110) 또는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을 원하는 길이만큼 복수개 연결하여 5단의 다단 관람석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저단의 다단 관람석에서 고단의 다단 관람석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관람석배치부(130)를 배치시킨 후 적어도 일부의 5단의 제1 접철식 관람석(110) 또는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을 상기 관람석배치부(130) 상에 배치시킴으로써 10단의 다단 관람석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100)은 육상이나 조정경기 등의 관람을 위해 저단의 다단 관람석을 구현한 이후 역도, 레슬링, 권투 등의 관람을 위해 고단의 다단 관람석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관람석배치부(130) 상에 제1 접철식 관람석(110) 또는 제2 접철식 관람석(120)의 일부를 배치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관람석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110: 제1 접철식 관람석
120: 제2 접철식 관람석
130: 관람석배치부
140: 안정성향상부
150, 160: 구동모터

Claims (5)

  1. 제1 기준바퀴군이 구비된 제1 기준 관람석단으로부터 제1 가동바퀴군이 각각 구비되어 단차진 수개의 제1 가동 관람석단들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가동 관람석단들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준바퀴군과 상기 제1 가동바퀴군들이 제1 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제1 기준 관람석단으로부터 상기 제1 가동 관람석단들이 인출되도록 제1 가동바퀴군들를 제2 위치로 이동시켜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되는 제1 접철식 관람석;
    상기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된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의 상기 제1 기준 관람석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관람석배치부; 및
    제2-1 기준바퀴군 및 제2-2 기준바퀴군이 구비된 제2 기준 관람석단으로부터 제2-1 가동바퀴군들 및 제2-2 가동바퀴군들이 각각 구비되어 단차진 수개의 제2 가동 관람석단들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들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2-1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2 기준바퀴군과 상기 제2-1 가동바퀴군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이 상기 관람석배치부의 제3 위치에 안착된 후 상기 제2 기준 관람석단으로부터 상기 제2 가동 관람석단들이 인출되도록 상기 제2-1 가동바퀴군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을 상기 관람석배치부 상에서 제4 위치로 이동시켜 다단의 관람석이 구현되는 제2 접철석 관람석;를 포함하며,
    상기 관람석배치부는,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의 제2 가동 관람석단들 중 최하단의 가동 관람석단이 상기 제1 접철식 관람석의 제1 기준 관람석단보다 높은 관람석단이 되도록 하며, 상기 제2-1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1 가동바퀴군들이 안착되는 제1 관람석배치부 및 상기 제2-2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이 안착되는 제2 관람석배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람석배치부 및 상기 제2 관람석배치부는,
    제2-1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1 가동바퀴군들과 상기 제2-2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 사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을 지지하는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제1 관람석배치부 및 상기 제2 관람석배치부를 서로 평행한 상태로 연결하는 안정성향상부;를 더 포함하는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석배치부는,
    상기 제2-1 기준바퀴군과 상기 제2-2 기준바퀴군 및 상기 제2-1 가동바퀴군들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안착부에 연결된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2-1 가동바퀴군들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1 가동바퀴군들 및 상기 제2-2 가동바퀴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2 접철식 관람석을 상기 제3 위치에 안착시키는 경우 상기 제3 위치로의 안착을 안내하도록 후방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KR20140122735A 2014-09-16 2014-09-16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KR101470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2735A KR101470290B1 (ko) 2014-09-16 2014-09-16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2735A KR101470290B1 (ko) 2014-09-16 2014-09-16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876A Division KR20160032651A (ko) 2014-11-14 2014-11-14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290B1 true KR101470290B1 (ko) 2014-12-26

Family

ID=5267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2735A KR101470290B1 (ko) 2014-09-16 2014-09-16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340B1 (ko) * 2015-02-10 2015-05-06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접철식 관람석 배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070A (ko) * 2003-03-26 2004-10-06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수납식 관람석
KR20060020341A (ko) * 2004-08-31 2006-03-06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보조관람석단을 갖는 수납식 관람석
KR100675372B1 (ko) * 2005-11-15 2007-01-30 일진씨앤에이(주) 수납식 관람석의 접이식 의자 지지장치
KR101176630B1 (ko) * 2012-02-13 2012-08-23 (주)가온시스템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및 수납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070A (ko) * 2003-03-26 2004-10-06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수납식 관람석
KR20060020341A (ko) * 2004-08-31 2006-03-06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보조관람석단을 갖는 수납식 관람석
KR100675372B1 (ko) * 2005-11-15 2007-01-30 일진씨앤에이(주) 수납식 관람석의 접이식 의자 지지장치
KR101176630B1 (ko) * 2012-02-13 2012-08-23 (주)가온시스템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및 수납 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340B1 (ko) * 2015-02-10 2015-05-06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접철식 관람석 배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0611B2 (en) Privacy screen table connection mechanism
US20180082523A1 (en) Gaming machine with improved cabinet
KR101989051B1 (ko)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JP2015504495A (ja) 映画館構造および映画館構造を建設するための方法
RU2761944C2 (ru) Компоновка кинозалов в многозальных кинотеатрах и кинозал для многоэкранного кинотеатра
MX2014005985A (es) Sala de cine de multiples niveles y una sola pantalla teniendo secciones de clases de servicio separadas.
CN104066359A (zh) 带有整合的桌子功能的座椅家具
KR101470290B1 (ko)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KR20160032651A (ko) 다단 관람석 배치 시스템
US20110298256A1 (en) Floor track for seating system
KR101517340B1 (ko) 접철식 관람석 배치 시스템
KR101530705B1 (ko) 관람용 의자 조립체
US3394505A (en) Theater construction with movable seats
KR200432342Y1 (ko) 특수효과 체감용 의자
KR101758694B1 (ko) 관람석 시트 부착용 휴대 테이블
KR200447896Y1 (ko) 수납식 관람석의 가동 안내장치
JPH0321775A (ja) 段差移動床集合体における個別床のフリーロ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7375293B2 (ja) 重なった欄干が保管される側面組立体、ベース組立体をカバーする後側カバー組立体およびこれらを含む多段観覧席
DE202005005198U1 (de) Veranstaltungssaal für Multimedia-Events als temporäres Gebäude
KR101693452B1 (ko) 관람석단 구획 시스템
JP2020139281A (ja) 観客席の座席変更方法
KR101445031B1 (ko) 공연장 간이좌석
JP6425488B2 (ja) 観客席構造
JP3479786B2 (ja) 伸縮式階段状観覧席構造
DE10147506B4 (de) Präsentationsan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