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995B1 -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995B1
KR101469995B1 KR1020080058549A KR20080058549A KR101469995B1 KR 101469995 B1 KR101469995 B1 KR 101469995B1 KR 1020080058549 A KR1020080058549 A KR 1020080058549A KR 20080058549 A KR20080058549 A KR 20080058549A KR 101469995 B1 KR101469995 B1 KR 101469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surface
data
display data
electrophor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2989A (ko
Inventor
소이찌 모리야
쯔또무 미야모또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6067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92861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2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85Operation of cells; Circuit arrangements affecting the entire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2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ouble-sid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표리 양면에 화상 등의 표시를 하는 것이 가능한 얇고 저렴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는, 모두 광 투과성을 갖는 소자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전기 영동 표시층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표시 패널(11)의 제2 틀부(11B)에는, 제어 장치(50)와 가속도 센서(52)를 내설하고 있다. 제어 장치(50)는, 가속도 센서(52)가 검출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의 기울기 각도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1)의 위를 향하고 있는 면을 판정하고, 위를 향하고 있는 면을 화상 등이 표시되는 「표시면」으로서 특정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50)는, 「표시면」이 정면인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표시 패널(11)에 표시하고, 「표시면」이 배면인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를 좌우 및 흑백을 반전시킨 표시 데이터(반전 표시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표시 패널(11)에 표시한다.
화소 전극, 화소 기판, 대향 기판, 전기 영동 표시층, 전기 영동 표시 장치, 스위치, 회전축, 광 투과율, 표시 데이터

Description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 {METHOD OF DRIVING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페이퍼 등의 플렉시블성을 갖는 표시 디바이스로서, 플렉시블한 구조의 비발광형의 표시 디바이스가 이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비발광형의 표시 디바이스의 하나로서, 전기 영동 현상을 이용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가 있다. 여기에서, 전기 영동 현상이란, 예를 들면 액체 내(분산매)에 미립자(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킨 분산계에, 전계를 인가하였을 때에 미립자가 클롱 힘에 의해 영동하는 현상이다.
그리고, 플렉시블성을 갖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는, 박막 트랜지스터로서도 플렉시블성을 갖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유기 TFT)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즉, 유기 TFT를 화소용 트랜지스터에 이용한, 예를 들면 액티브 매트릭스 형식의 회로에 의해, 전기 영동 표시 장치가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액티브 매트릭스 형식의 회로로 구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은, 소자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킨 분산계를 갖는 전기 영동 표시 패널에서, 소자 기판에는 화소 전극, 주사선, 데이터선, 및 화소용 TFT가 형성되고, 대향 기판에는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자 기판에 화소용 TFT를 형성하는 공정과 공통의 공정에서, 주사선 구동 회로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를 구성하는 TFT도 형성함으로써, 제조 코스트가 저렴한 액티브 매트릭스 형식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이이면 종이의 표리 양면을 이용 가능하였지만,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표면만을 표시에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표리 양면에 화상 등을 표시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2는, 표시 장치의 정면에는, 공통 구동 전극층을 갖는 공통 기판과, 접지측 전극인 제1 대향 전극층을 갖는 제1 표시 기판과의 사이에 대전 입자를 갖는 제1 표시부가 설치된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의 배면에는, 표면과 공용되는 공통 기판과, 접지측 전극인 제2 대향 전극층을 갖는 제2 표시 기판과의 사이에 대전 입자를 갖는 제2 표시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또는 제2 대향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절환함으로써, 제1 또는 제2 표시부 중의 어느 하나에만 전계를 발생시켜, 제1 및 제2 표시부에 각각 개별적인 화상 등을 표시함으로써,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표리 양면에 화상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6919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21732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2는, 공통 구동 전극층을 제1 및 제2 표시부에서 공유함으로써 표리 양면 표시를 실현하고 있었지만, 대향 전극 및 전기 영동 표시층이 각각의 표시부마다 필요하여, 얇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나, 제조 코스트를 삭감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표리 양면에 화상 등의 표시를 하는 것이 가능한 얇고 저렴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리 양면 표시가 가능한 박형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투명한 화소 전극을 갖는 투명한 소자 기판과,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투명한 공통 전극을 갖는 투명한 대향 기판과,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협지된 전기 영동 표시층과, 상기 전기 영동 표시층의 표시면으로서,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중의 어느 한 쪽의 기판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 전극, 상기 소자 기판,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대향 기판이 투명하기 때문에, 선택 수단의 선택에 의해, 상기 소자 기판을 표시면으로 한 경우, 상기 대향 기판을 표시면으로 한 경우의 어느 경우에서도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층으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상측을 향하고 있는 면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측을 향하고 있는 면을 상기 표시면으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책상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이 상기 소자 기판인지 상기 대향 기판인지를 자동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표시하는 측을 지정하는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면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책상 등 이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을 사용자가 요구하는 측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 상기 표시면은, 초기 표시면으로서 상기 대향 기판이 선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면이 서로 다르면, 상기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면에 적합한 것으로 변환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상기 초기 표시면을 규정해 둠으로써, 기준으로 하는 상기 표시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는 대향 전극이 존재하는 측을 표시측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의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의 데이터의 이식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순서 매겨진 표시 데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표시면과 평행한 회전축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기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상기 표시 데이터의 다음으로 순서 매겨진 표시 데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표시면과 평행한 회전축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었을 때에,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기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상기 표시 데이터의 앞에 순서 매겨진 표시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투명한 화소 전극을 갖는 투명한 소자 기판과,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투명한 공통 전극을 갖는 투명한 대향 기판과,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협지된 전기 영동 표시층과, 상기 전기 영동 표시층의 표시면으로서,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중의 어느 한 쪽의 기판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표시면에 적합한 표시로 되도록 상기 전기 영동 표시층에 표시 데이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의 하나의 방법으로서, 미리 상기 대향 기판에 표시하는 제1 표시 데이터를 유지해 두고, 상기 대향 기판이 상기 표시면으로서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 데이터로 하고, 상기 소자 기판이 상기 표시면으로서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표시 데이터를 상기 소자 기판에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 데이터로 변환을 하여 상기 표시 데이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다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 이용하고 있는 데이터의 이식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의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서, 상기 대향 기판을 상기 표시면으로 하는 경우의 제3 표시 데이터와, 상기 소자 기판을 상기 표시면으로 하는 경우의 제4 표시 데이터를 미리 준비해 두고,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표시면에 대응한 상기 제3 데이터 또는 상기 제4 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 데이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의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서, 미리 유지하고 있는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대향 기판 또는 상기 소자 기판 중의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제5 표시 데이터이며, 상기 제5 표시 데이터는, 어느 쪽의 기판을 표시면으로 하는 상기 표시 데이터인지를 나타내는 태그를 갖고,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표시면이 상기 태그가 나타내는 표시면일 때에는, 상기 제5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 데이터로 하고,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표시면이 상기 태그가 나타내는 표시면이 아닐 때에는, 상기 표시면에 표시하기 위한 제6 표시 데이터로 변환을 하여 상기 표시 데이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의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대향 기판을 표시면으로 하는 경우와, 상기 소자 기판을 표시면으로 하는 경우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표시면에 의해 상기 화소 전극의 순번을 바꾸어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데이터 변환을 행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하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 복수의 순서 매겨진 상기 표시 데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표시면과 평행한 회전축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기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상기 표시 데이터의 다음으로 순서 매겨진 표시 데이터가 구동되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표시면과 평행한 회전축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었을 때에,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기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상기 표시 데이터의 앞에 순서 매겨진 표시 데이터가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즉 얇고 저렴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표리 양면에 바람직하게 화상 등의 표시를 할 수 있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센서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면이 절환된 것을 판정하였다면, 상기 표시 데이터는 다른 표시 데이터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표시면」이 절환된 경우에 표시 데이터를 변경한다. 따라서, 센서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절환에 의해, 「표시면」에 표시되는 화상이 변경되기 때문에, 종이를 넘기는 조작에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화상을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전자 페이퍼나 전자 북 등으로서의 용도를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표시면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판측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표시면용으로 좌우 및 색이 반전된 표시 데이터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의하면, 상기 표시 데이터는 「표시면」이 미리 정해진 기판측이 아닌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의 좌우 및 색을 반전하여 표시 데이터로 한다. 따라서, 그대로의 표시 데이터로는 바람직한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미리 정해진 기판측이 아닌 기판측에도, 변환된 표시 데이터에 의해 바람직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전자 페이퍼나 전자 북 등으로서의 용도를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소자 기판과 대향 기판의 광 투과율이 동일하면 된다. 이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의하면, 소자 기판과 대향 기판의 광 투과율이 동일하기 때문에, 어느 쪽의 기판측이 「표시면」으로 판정되어 화상이 표시되어도, 마찬가지의 광 투과율하에서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화상이 표시된 것이 소자 기판측인지 대향 기판측인지에 의한, 화상의 차이, 예를 들면 농담 등의 차이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상기 센서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이어도 된다.
가속도 센서에 의해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인지 「반시계 방향」인지, 또는 「위」는 어느 쪽인지 등을 용이하게 검출하여, 제어 장치에서 판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특정 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여러가지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회전의 패턴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표시 장치)(10)의 전체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는 전기 영동 표시 패널(표시 패널)(11)을 구비하고, 표시 패널(11)의 하측에는 제1 틀부(11A)를 갖고, 표시 패널(11)의 좌측에는 제2 틀부(11B)를 갖고 있다.
제1 틀부(11A)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조작 버튼(111∼114)이 설치되어 있다. 각 조작 버튼(111∼114)은, 얇아서 가요성을 갖는, 예를 들면 멤브레인 스위치, 시트 형상의 키 스위치나, 압력 센서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 표시 패널(11)의 표리의 어느 쪽으로부터의 조작에도 반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틀부(11B)에는, 표시 장치(10)의 구동 전원으로서의 축전지(도시 생략)나 외부 접속 단자(도시 생략)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표시 패널(11)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3에서, 표시 패널(11)은, 소자 기판(12)과 대향 기판(13)을 가지며, 그 소자 기판(12)과 대향 기판(13) 사이에는, 전기 영동 표시층(1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향 기판(13)의 표면(도 3에서 상측)에는 정면(13a)이 갖추어지고, 소자 기 판(12)의 표면(도 3에서 하측)에는 배면(12a)이 갖추어져 있다. 즉, A 방향(정면 (13a)측)으로부터는 대향 기판(13)을 통하여, B 방향(배면(12a)측)으로부터는 소자 기판(12)을 통하여, 전기 영동 표시층(14)을 보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자 기판(12)은, 가요성 및 광 투과성을 갖는 배면 기판(15)을 구비하고, 그 일면(도 3에서의 상측)에는, 소자 형성층(16)이 형성되어 있다. 배면 기판(15)은, 가요성, 광 투과성 및 탄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자 형성층(16)에는 복수의 도전층,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유기 트랜지스터 Tr(도 4 참조), 화소 전극, 각종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도전층, 특히 화소 전극은, 광 투과성을 갖는 도전성의 재료, 예를 들면 인듐 주석 산화물 등, 혹은 폴리아닐린 등의 전자 도전성 고분자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층도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 투과성을 갖지 않는 부재로 형성되는 배선 등은, 그 굵기를 수 ㎛(마이크로미터)로 하거나, 혹은 그 두께를 10 nm(나노미터)로 하여, 광 투과율의 저감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p형 채널의 유기 트랜지스터 Tr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유기 트랜지스터의 구성은, n형 채널이나 그 밖의 형식의 유기 트랜지스터이어도 된다.
유기 트랜지스터 Tr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 기판(15)의 상면에, 소자 형성층(16)을 형성하는 절연층, 전극, 유기 반도체층이 각각 소정의 순번 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전계 효과형 트랜지스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극은, 도전성이 있는 재료이고 투명성이 낮은 재료, 예를 들면 금, 구리 혹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라면, 막 두께 100 nm 이하가 바람직하다. 100 nm 이상이면 가시광의 투과율이 저하하여, 한 쪽의 표시 특성이 저하한다. 또한, 폴리아닐린 등의 전자 도전성 고분자 등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막 두께 10 ㎛ 이하가 바람직하다. 10 ㎛ 이상이면 가시광의 투과율이 저하하여, 한 쪽의 표시 특성이 저하한다. 또한, 인듐 주석 산화물이나, 인듐 아연 산화물 등의 투명성을 갖는 산화물은, 가시광의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절연층은 절연성이 있는 재료, 예를 들면 에폭시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파라크실렌 및 그의 유도체, 폴리비닐페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대표되는 아크릴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스틸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 중의 1종의 재료,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조합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시광 영역에 흡수 파장을 갖지 않거나, 혹은 투과 계수가 큰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반도체층은, 예를 들면 나프탈렌, 안트라센, 테트라센, 펜타센, 헥사센, 프탈로시아닌, 페릴렌, 히드라존, 트리페닐메탄, 디페닐메탄, 스틸벤, 아릴비닐, 피라졸린, 트리페닐아민, 트리아릴아민, 올리고티오펜, 프탈로시아닌 또는 이들 유도체와 같은 저분자의 유기 반도체 재료나, 폴리-N-비닐카르바졸, 폴리비닐피렌, 폴리비닐안트라센, 폴리티오펜, 폴리헥실티오펜, 폴리(p-페닐렌비닐렌), 폴리티닐렌비닐렌, 폴리아릴아민, 피렌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틸카르바졸포름알데히드 수지, 플루오렌-비티오펜 공중합체, 플루오렌-아릴아민 공중합체 또는 이들 유도체와 같은 고분자의 유기 반도체 재료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 영역에 흡수 파장을 갖지 않거나, 혹은 투과 계수가 큰 재료가 바람직하다.
즉, 소자 기판(12)은,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범위는 소정의 개구율을 갖는 등에 의해, 소정의 광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13)은, 이것도 가요성 및 광 투과성을 갖는 투명 기판(17)을 구비하고, 그 일면(도 3에서의 하측)에는, 공통 전극(18)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 기판(17)은, 가요성, 광 투과성 및 탄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18)은, 전술한 전극과 마찬가지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 기판(17)은, 배면 기판(15)과 동일한 부재에 의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됨과 함께, 공통 전극(18)은, 소자 형성층(16)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어, 소자 기판(12)과 대향 기판(13)의 각각의 광 투과율이 가까운 값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는, 양면의 가시 영역에서의 광의 투과율이 동일하게 되도록, 기판의 막 두께나 상관 절연층의 막 두께를 조정하여 형성하고 있다.
또한, 소자 형성층(16)의 절연층에, 유기 트랜지스터를 덮는 차광성의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서의 화소 전극(26)을 개구부로 한 격자 형상의 블랙 매트릭스(도시하지 않음)를 전체 화소(표시 영역)에 걸쳐서 형성하고, 유기 트랜지스터 Tr를 평면에서 보아 블랙 매트릭스와 겹치도록 배치 한다. 예를 들면, 유기 트랜지스터 Tr을 데이터선 Lxm과 주사선 Lyn의 교차점 근방에서의 화소 전극의 외측에 배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면 기판(15)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이, 유기 트랜지스터 Tr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해당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를 투명 기판(17)에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는, 각 화소(전극)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소마다의 계조를 눈에 띄게 하는 작용이 있어,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정면측 및 배면측에서의 표시 품질을 균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전기 영동 표시층(14)은, 바인더(19)에 의해 일체화된 다수의 마이크로 캡슐(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 캡슐(20)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산계로서의 전기 영동 분산매(34)와, 전기 영동 입자(35)가 봉입되어 있다. 전기 영동 입자(35)는, 플러스 혹은 마이너스로 대전된 백색 입자(35w), 및 그 백색 입자(35w)와는 다른 극성으로 대전된 흑색 입자(35b)로 이루어지고, 각각 마이크로 캡슐(20)에 인가된 전계의 방향에 따라서 전기 영동 분산매(34) 내를 영동한다.
마이크로 캡슐(20)은, 예를 들면 아라비아 고무ㆍ젤라틴계 화합물, 우레탄계 화합물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전기 영동 분산매(34)는,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기 영동 입자(35)는, 예를 들면 아닐린 블랙, 카본 블랙, 이산화티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영동 표시층(14)에 전기 영동 입자(35)에 의 해 표시된 화상 등이, A 방향으로부터 대향 기판(13)을 통하여도, B 방향으로부터 소자 기판(12)을 통하여도, 마찬가지의 광 투과율하에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소자 기판(12)에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틀부(11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주사선 구동 회로(23)가 설치되어 있고, 제2 틀부(11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표시 제어 회로(22), 데이터선 구동 회로(24), 제어 장치(50) 및 가속도 센서(52)가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10)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 즉 제2 틀부(11B)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소자 기판(12)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n개의 가로 방향(도 2에서 상하 방향) 대략 전폭에 걸치는 주사선 Ly1, Ly2, …, Lyn(n은 자연수)이 배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m개의 세로 방향(도 2에서 좌우 방향) 대략 전폭에 걸치는 데이터선 Lx1, Lx2, …, Lxm(m은 자연수)이 배열 형성되어 있다.
각 주사선 Ly1∼Lyn과 각 데이터선 Lx1∼Lxm이 교차하는 각각의 위치에는, 각각 대응하는 주사선 Ly1∼Lyn 및 데이터선 Lx1∼Lxm에 접속된 화소(26)가 배치되어 있다. 즉, 화소(26)는, 소자 기판(12)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화소(26)에는, 각각 유기 트랜지스터 Tr 등의 제어 소자나, 투명 도전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 투과성의 화소 전극(27)(도 6 참조)이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m번째」의 데이터선 Lxm과 「n번째」의 주사선 Lyn의 교차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화소(26)의 등가 회로이다. 화소(26)는, 1개의 유기 트랜지스터 Tr 과, 화소 전극(27)에 대응한 넓이의 전기 영동 표시층(14)과, 공통 전극(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기 트랜지스터 Tr은, 그 게이트 전극(46)이 「n번째」의 주사선 Lyn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그 소스 전극(42)이 「m번째」의 데이터선 Lxm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기 트랜지스터 Tr은, 그 드레인 전극(43)이 화소 전극(27)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화소 전극(27)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전기 영동 표시층(14)을 통하여 공통 전극(18)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18)은, 공통 단자 COM에 접속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의 제2 틀부(11B)에는, 가속도 센서(52)가 내설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52)는, 표시 패널(11)의 X 방향에 방향이 일치하는 X 방향 검출 축(52x), 표시 패널(11)의 Y 방향에 방향이 일치하는 Y 방향 검출 축(52y) 및 표시 패널(11)의 Z 방향에 방향이 일치하는 Z 방향 검출 축(52z)을 갖고 있다.
상술하면, 도 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 방향 검출 축(52x)은, 수평선 Lx에 대한 기울기 각도 ΔX를 검출하는 축이다. Y 방향 검출 축(52y)은, 수평선 Ly에 대한 기울기 각도 ΔY를 검출하는 축이다. Z 방향 검출 축(52z)은 반중력 방향 -g에 대한 기울기 각도 ΔZ를 검출하는 축이다.
기울기 각도 ΔX는, X 방향 검출 축(52x)이 수평선 Lx와 평행한 경우에는 「0도」로서, 중력 방향 g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90도」로서, 반중력 방향 -g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90도」로서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울기 각도 ΔY는, Y 방향 검출 축(52y)이 수평선 Ly와 평행한 경우에는 「0도」로서, 중력 방향 g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90도」로서, 반중력 방향 -g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90도」로서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울기 각도 ΔZ는, Z 방향 검출 축(52z)이 반중력 방향 -g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0도」로서, 수평인 경우에는 「90도」로서, 중력 방향 g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180도」로서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의 전기적 구성에 대하여 도 9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9에서, 선택 수단으로서의 제어 장치(50)에는, CPU, ROM, RAM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50)는, ROM이나 RAM 등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 및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표시 제어 회로(22)를 통하여 표시 패널(11)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50)에는, 입력 장치(51), 가속도 센서(52), 스위치로서의 조작 버튼(111∼114) 및 표시 제어 회로(22)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 장치(51)는, 외부 접속 단자를 통하여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입력 장치(51)는 제어 장치(50)(표시 장치(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어, 필요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입력 장치(51)는, 제어 장치(50)에 화상 데이터 BD나 각종 프로그램 등을 제어 장치(50)에 입력함과 함께,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축전지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 BD는, 예를 들면 책 한 권분 데이터로서, 책 전체 페이지분의 표시 내 용에 상당하는 화상을 페이지마다의 단락 정보와 함께 합쳐서 생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어 장치(50)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 BD를 RAM에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50)는, 표시 패널(11)에 표시시키는 소정의 페이지를 선택하여, 화상 데이터 BD로부터 페이지 단락 정보에 기초하여 구획된 1 페이지분의 제1 표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표시 데이터 PD를 생성하여, 표시 제어 회로(22)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0)의 정면(13a)이 기준의 표시면(초기 표시면)으로서 설정되어 있고, 상기 표시 데이터 PD는, 초기 표시면으로서의 정면(13a)에 문자 등을 표시하도록 생성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표시 데이터 PD에 기초하여,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정면(13a)측에 1 페이지분의 문자(화상) 「ABC」가 표시된다. 이 때, 소자 기판(12)은, 투명하기 때문에, 배면(12a)측에도, 문자(화상) 「ABC」가 반전된 반전 문자(반전 화상)가 표시된다.
환언하면, 정면(13a)측에는 「ABC」의 포지티브 화상이 표시되고, 배면(12a)측에는 「ABC」의 반전 네가티브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또한, 표시 장치(10)는, 반사형의 표시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정면(13a)측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배면(12a)측의 표시가 관찰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위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한 전기 영동 분산매(34)가, 백과 흑의 중간색(예를 들면, 그레이)임과 함께, 반투광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정면(13a)측으로부터 관찰하고 있을 때 에, 배면(12a)으로부터 입사해 오는 광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계조 표시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정면(13a)측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백 입자가 공통 전극(18)에 밀착하고 있을 때에는 「백」표시로 되고, 공통 전극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전기 영동 분산매(34)를 투과하여 백 입자에서 반사하는 광이 서서히 감쇠하기 때문에 「연한 그레이」로 되며, 백 입자가 전기 영동 표시층의 두께의 중간 정도에 오면 해당 분산매의 색조인 「그레이」로 된다. 또한, 백 입자가 더 가라앉는, 즉 소자 기판(12)측에 근접하면, 「짙은 그레이」로 된다. 또한, 이 때, 백 입자와 교체로 흑 입자가 공통 전극(18)측에 근접하게 되고, 백 입자가 완전히 가라앉아, 소자 형성층(16)에 밀착한 경우, 공통 전극(18)에는 흑 입자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정면(13a)측에는 「흑」이 관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에 의하면, 공통 전극(18)과 소자 형성층(16)(화소 전극(26)) 사이에 인가하는 전위차를 제어함으로써, 백 입자, 흑 입자의 전기 영동 표시층의 두께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하여,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정면(13a)측에 표시되는 문자 「ABC」는, 전기 영동 분산매(34) 내를 분산하고 있는 전기 영동 입자(35)의 흑색 입자(35b)가 정면(13a)측에 모이기 때문에,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흑색으로 표시된다. 이에 대하여, 표시 장치(10)의 배면(12a)측에 표시되는 반전 문자는, 전기 영동 입자(35)의 백색 입자(35w)가 배면(12a)에 모이기 때문에,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면(13a)측 또는 배면(12a)측 중, 원하는 화상이 올바르게 표시되는 면측을 「표시면」으로 한다.
즉, 제어 장치(50)는, 「표시면」이 정면(13a)측인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 PD를 화상 데이터 BD로부터 판독한 1 페이지분의 표시 데이터 PD로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표시면」이 배면(12a)측인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 PD를 화상 데이터 BD로부터 판독한 1 페이지분의 표시 데이터 PD로부터, 그 표시 데이터 PD의 좌우 및 흑백을 모두 반전시킨 제2 표시 데이터를 구성하는 표시 데이터 PD(반전 표시 데이터)로서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50)에는, 가속도 센서(52)로부터 기울기 각도 ΔX를 나타내는 X축 각도 신호 AX와, 기울기 각도 ΔY를 나타내는 Y축 각도 신호 AY와, 기울기 각도 ΔZ를 나타내는 Z축 각도 신호 AZ가 각각 입력된다.
제어 장치(50)는, 가속도 센서(52)로부터의 Z축 각도 신호 AZ를 받아, Z축 각도 신호 AZ가 각도 「0도」이상 「90도」미만을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에는, 표시 패널(11)의 정면(13a)이 위를 향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50)는, 가속도 센서(52)로부터의 Z축 각도 신호 AZ를 받아, Z축 각도 신호 AZ가 각도 「90도」이상 「180도」까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에는, 표시 패널(11)의 배면(12a)이 위를 향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50)는, 초기 설정이나 전원 투입 후 등에서는, 정면(13a)과 배면(12a) 중의 어느 쪽의 면이 위를 향하고 있는 면인지를 판정하고, 화상 등을 표시시키는 「표시면」으로서 특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 장치(50)는, Z축 각도 신호 AZ가 각도 「0도」이상 「90도」미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정면(13a)측을 「표시면」으로서 검출하고, Z축 각도 신호 AZ가 각도 「90도」이상 「180도」까지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배면(12a)측을 「표시면」으로서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50)는,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가 중심선 C1을 회전 이동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60)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 것,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것을 X축 각도 신호 AX로부터 검출하면, 표시 장치(10)가 「순회전」하였다고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50)는, 「표시면」이 정면(13a)측인 경우에는, 기울기 각도 ΔX가 「0도」에서부터 「90도」를 통과하여 「180도」를 향하는 회전이나, 「표시면」이 배면(12a)측인 경우에는, 기울기 각도 ΔX가 「180도」에서부터 「-90도」를 통과하여 「0도」를 향하는 회전을 「순회전」으로 판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50)는,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가 중심선 C1을 회전 이동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6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 것,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것을 X축 각도 신호 AX로부터 검출하면, 표시 장치(10)가 「역회전」하였다고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50)는, 「표시면」이 정면(13a)측인 경우에는, 기울기 각도 ΔX가 「0도 」에서부터 「-90도」를 통과하여 「180도」를 향하는 회전이나, 「표시면」이 배면(12a)측인 경우에는, 기울기 각도 ΔX가 「180도」에서부터 「90도」를 통과하여 「0도」를 향하는 경우를 「역회전」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50)는, 표시 장치(10)가 「순회전」한 경우에는, 페이지 를 다음으로 진행시키는 것으로 판정하여, 화상 데이터 BD로부터 판독하는 데이터를 다음의 1 페이지분의 표시 데이터 PD로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50)는, 표시 장치(10)이 「역회전」한 경우에는, 페이지를 되돌리는 것으로 판정하여, 화상 데이터 BD로부터 판독하는 데이터를 앞의 1 페이지분의 표시 데이터 PD로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제어 장치(50)는, 전원 투입 후에 표시 패널(11)에 표시시키는 페이지로서, RAM에 새로운 화상 데이터 BD가 저장된 직후이면 최초의 1 페이지를 판독하고, 그 이외는 전회와 동일한 페이지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50)는, 조작 버튼(111∼114)으로부터는, 온 조작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버튼 신호 B1∼B4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50)는, 버튼 신호 B1∼B4에 응답하여, 각 버튼 신호 B1∼B4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조작 버튼(111∼114)으로부터의 각 버튼 신호 B1∼B4는, RAM이나 ROM에 저장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에 의해 용도가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버튼(111)은 전원을 통전 차단하는 「전원」 버튼에, 조작 버튼(112)은 앞의 페이지로 이동하는 「전 페이지」 버튼에, 조작 버튼(113)은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다음 페이지」버튼에, 조작 버튼(114)은 「표시면」을 절환하는 「표시면 절환」 버튼에 각각 할당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외에, 표시의 포지티브ㆍ네가티브를 절환하는 조작 버튼이나, 표시의 계조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표시 제어 회로(22)는, 주사선 구동 회로(23)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2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표시 제어 회로(22)는, 주사선 구동 회로(23)에 수직 동기 신호 SC를 출력하고, 데이터선 구동 회로(24)에 데이터 타이밍 신호 VD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 장치(50)로부터 1 페이지분의 표시 데이터 PD를 받아, 표시 데이터 PD를 데이터 타이밍 신호 VD에 동기하여 데이터선 구동 회로(24)에 공급한다. 그리고, 표시 패널(11)에 화상 등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주사선 구동 회로(23)는, 표시 제어 회로(22)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동기 신호 SC에 기초하여, 소자 기판(12)에 설치된 상기 n개의 주사선 Lyn 중, 1개의 주사선을, Ly1, Ly2, …, Lyn-1, Lyn의 순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주사선 구동 회로(23)는, 그 선택된 주사선에 대응하는 주사 신호 SC1∼SCn(n은 자연수)을 출력한다. 그리고, 이들 주사 신호 SC1∼SCn에 의해, 데이터선 구동 회로(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 VD1∼VDm을, 선택된 주사선 상의 화소(26)에 대하여 공급하는 타이밍이 제어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24)는, 표시 데이터 PD에 대응한 데이터 신호 VD1∼VDm을 작성하여, 대응하는 데이터선 Lx1∼Lxm을 통하여 각각의 화소(26)에 공급한다. 즉, 주사선 구동 회로(23)로부터의 주사 신호 SC1∼SCn에 의해 선택된 각 화소(26)의 유기 트랜지스터 Tr이 각각 온 상태로 설정되어, 각각의 화소(26)에 공급된 데이터 신호 VD1∼VDm이 유기 트랜지스터 Tr을 통하여 화소 전극(27)에 공급된다. 즉, 전기 영동 표시층(14)을 통하여 대향하는 화소 전극(27)과 공통 전극(18)의 사이에, 각 데이터 신호 VD1∼VDm의 전압에 기초한 전계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화 소 전극(27)과 공통 전극(18) 사이에 생긴 전계에 기초하여, 전기 영동 입자(35)로서의 백색 입자(35w) 및 흑색 입자(35b)가 각각의 대전에 대응하는 전위를 갖는 화소 전극(27) 혹은 공통 전극(18) 중의 어느 한 쪽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 패널(11)의 표면에 백색 혹은 흑색을 기본으로 한 화상 등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도 11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의 편의상, 표시 장치(10)의 제어 장치(50)에는, 복수 페이지분의 화상을 포함하는 새로운 화상 데이터 BD가 RAM에 저장되고, 그 화상 데이터 BD의 1 페이지째의 화상이 흰 바탕에 검은 「ABC」의 글자를 나타낸 포지티브 화상, 2 페이지째의 화상이 흰 바탕에 검은 「DEF」의 글자를 나타낸 포지티브 화상으로 한다.
우선, 「전원」버튼으로서의 조작 버튼(111)을 조작하여, 표시 장치(10)의 전원을 넣는다. 그러면, 제어 장치(50)는, 위(천정측)를 향하고 있는 표시 패널(11)의 정면(13a)측을 「표시면」으로 판정하여, 도 11의 (a)와 같이 정면(13a)측에 「ABC」를 나타낸 화상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표시 장치(10)를, 중심선 C1을 회전 이동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60)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어 장치(50)는, 가속도 센서(52)로부터 입력되는 Z축 각도 신호 AZ로부터 표시 장치(10)가 「순회전」되었다고 판정한다.
표시 장치(10)가 「순회전」하여, 「표시면」이 배면(12a)측으로 절환되었다 고 판정하면, 제어 장치(50)는, 페이지를 다음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화상 데이터 BD로부터 2 페이지째의 표시 데이터 PD를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50)는, 「표시면」이 배면(12a)측이기 때문에, 그 2 페이지째의 표시 데이터 PD에 기초하는 화상을 좌우, 및 흑백을 모두 반전시키는 표시 데이터 PD(반전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 제어 회로(22)에 입력한다. 그러면, 표시 장치(10)의 「표시면」으로 된 배면(12a)측에는,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흰 바탕에 검은 「DEF」의 글자가 나타내어진 화상이 표시된다.
이후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50)는, 표시 장치(10)가 「순회전」되어, 「표시면」이 정면(13a)측으로 절환된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 BD로부터의 다음 페이지의 표시 데이터 PD를 판독하고, 그 표시 데이터 PD를 표시 제어 회로(22)에 입력한다. 또한, 제어 장치(50)는, 표시 장치(10)가 「순회전」되어, 「표시면」이 배면(12a)측으로 된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 BD로부터 다음 페이지의 표시 데이터 PD를 판독하고, 그 표시 데이터 PD의 화상의 좌우, 및 흑백을 모두 반전시킨 표시 데이터 PD(반전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 제어 회로(22)에 입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장치(10)에 연속하여 순차적으로 각 페이지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b)와 같이 2 페이지째의 화상인 「DEF」를 배면(12a)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표시 장치(10)를, 중심선 C1을 회전 이동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61)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어 장치(50)는, 가속도 센서(52)로부터 입력되는 Z축 각도 신호 AZ로부터 표시 장치(10)가 「역회전」되었다 고 검출한다.
표시 장치(10)가 「역회전」 하여, 「표시면」이 정면(13a)측으로 절환되었다고 판정하면, 제어 장치(50)는, 페이지를 되돌리기 위해, 화상 데이터 BD로부터 1 페이지째의 표시 데이터 PD를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50)는, 「표시면」이 정면(13a)이기 때문에, 그 1 페이지째의 표시 데이터 PD를 그대로 표시 제어 회로(22)에 입력한다. 그러면, 표시 장치(10)의 「표시면」으로 된 정면(13a)에는,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흰 바탕에 검은 「ABC」의 글자가 나타내어진 화상이 표시된다.
이후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50)는, 표시 장치(10)가 「역회전」 되어, 「표시면」이 정면(13a)으로 절환된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 BD로부터의 앞의 페이지의 표시 데이터 PD를 판독하여 표시 제어 회로(22)에 입력한다. 또한, 제어 장치(50)는, 표시 장치(10)가 「역회전」 되어, 「표시면」이 배면(12a)으로 된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 BD로부터 앞의 페이지의 표시 데이터 PD를 판독하여, 판독한 표시 데이터 PD에 기초하여 그 화상의 좌우, 및 흑백을 모두 반전시킨 표시 데이터 PD(반전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 제어 회로(22)에 입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장치(10)에 연속하여 각 페이지의 앞의 페이지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를 「순회전」 혹은 「역회전」시킴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정면(13a)측 혹은 배면(12a)의 「표시면」에, 페이지를 진행시키거나 혹은 되돌리도록 하여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표리 양면에 화상 등의 표시를 하는 것이 가능한 얇고 저렴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의하면, 이하에 열기하는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자 기판(12)과 대향 기판(13)이 광 투과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소자 형성층(16)도 광 투과성을 갖는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의 정면(13a)측에 부가하여, 소자 기판(12)의 표면인 배면(12a)측으로부터도 전기 영동 표시층(14)에 표시된 화상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는, 1개의 전기 영동 표시층(14)을 소자 기판(12)과 대향 기판(13) 사이에서 협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전기 영동 표시층이 표리의 표시부마다 2개(2층) 필요하였던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보다도, 얇게 구성할 수 있다.
(2)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 기판(17)은, 배면 기판(15)과 동일한 부재에 의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공통 전극(18)은, 소자 형성층(16)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소자 기판(12)과 대향 기판(13)의 광 투과율이 근접하도록 형성되었다. 따라서, 전기 영동 표시층(14)에 표시된 화상 등은, A 방향으로부터 대향 기판(13)을 통하여도, B 방향으로부터 소자 기판(12)을 통하여도, 마찬가지의 광 투과율하에서 표시된다. 그 결과, 동일한 화상을 「표시면」을 정면(13a)측으로 하여 표시시켜도, 「표시면」을 배면(12a)측으로 하여 표시시켜도, 마찬가지의 광 투과율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즉, 화상이 표시된 것이 정면(13a)측인지 배면(12a)측인지에 의한, 화상의 차이, 예를 들면 농담 등의 차이를 적게 할 수 있다.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데이터 BD는, 예를 들면 책 한 권분 데이터이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를 한 권의 책에 대응시킬 수 있었다.
(4)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50)는, 「표시면」이 표시 패널(11)의 정면(13a)인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 PD를 화상 데이터 BD로부터 선택한 표시 데이터 PD로부터 생성하였다. 또한, 「표시면」이 표시 패널(11)의 배면(12a)인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 PD를 화상 데이터 BD로부터 판독한 표시 데이터 PD의 좌우 및 흑백을 모두 반전시킨 표시 데이터 PD(반전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따라서, 표시 장치(10)에는, 화상 데이터 BD에 기초한 화상을, 정면(13a)과 배면(12a)의 어느 쪽에도 표시할 수 있다.
(5)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0)는, 가속도 센서(52)을 구비하였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52)에 의해, 표시 장치(10)의 기울기 각도 ΔX, 기울기 각도 ΔY, 및 기울기 각도 ΔZ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고, 그 검출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10)의 회전 방향 등을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6)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속도 센서(52)로부터 표시 장치(10)는 「순회전」한 것인지 「역회전」한 것인지를 검출하였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를 「순회전」시킴으로써 페이지를 다음으로 진행시킬 수 있고, 「역회전」시킴으로써 페이지를 되돌릴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10)는, 책이나 팜플렛을 넘기는 조작으로 표시하는 화상을 변경할 수 있다.
(7)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버튼(112)은 앞의 페이지로 이동하는 버튼에, 조작 버튼(113)은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버튼에, 조작 버튼(114)은 표시면을 절환하는 버튼에 각각 할당하였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를 참조하는 자세에 맞추어 표시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속도 센서(52)로부터, 표시 장치(10)는 「순회전」한 것인지 「역회전」한 것인지를 검출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속도 센서(52)로부터, 표시 장치(10)가 점 C2를 회전 이동 중심으로 「가로 회전」한 것을 검출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 C2를 중심으로 90도 만큼 「가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표시면」이 가로로 길어진 것을 검출하여 2 페이지분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표시 장치(10)가 점 C2를 회전 이동 중심으로 180도 만큼 「가로 회전」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표시하는 화상의 상하를 교체하도록 하여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장치(51)로부터 화상 데이터 BD를 제어 장치(50)에 입력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 장치(50)에 무선 통신 기능을 부가하여, 무선 통신에 의해 화상 데이터 BD의 전송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제어 장치(50)에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 장치의 접속 단자를 설치하여, 메모리 카드 등으로부터 화상 데이터 BD를 공급하도록 하여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0)는, 내장된 축전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만,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도 된다. 그렇게 하면, 전원이 있는 장소에서는 축전지의 전기의 잔량에 관계없이 표시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로부터 축전지를 제거함으로써 표시 장치(10)를 경량화할 수 있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틀부(11A)에 조작 버튼(111∼114)을 설치하였지만, 조작 버튼(111∼l14)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조작 버튼(111∼114)은, 대체로 되는 것으로 치환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의 표면에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터치 센서가 검출하는 접촉된 것과, 표시 장치(10)에 표시된 화상을 대조하여, 특정한 조작이 된 것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속도 센서(52)를 제2 틀부(11B)에 설치하였지만, 가속도 센서(52)를 설치하는 위치는, 표리면에서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는 장소이면,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의 어느 부위이어도 상관없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속도 센서(52)에 의해 「표시면」을 검출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광 센서나 터치 센서에 의해 「표시면」을 검출하여도 된다. 광 센서를 이용한 경우에는, 검출되는 광도에 기초하여 「표시면」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센서를 이용한 경우에는, 파지되고 있는 면적의 차로부터 「표시면」을 검출할 수 있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0)에는 1 페이지분의 화상을 표시하였지만, 표시 장치(10)에는, 복수의 페이지분의 화상, 예를 들면 4 페이지분의 화상 등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0)는, 색은 백과 흑으로 하였다. 그러 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백과 흑은, 그 밖의 색이어도 되고, 복수의 계조로서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공통 전극(18)과 투명 기판(17) 사이, 및 소자 형성층(16)과 소자 기판(12) 사이에, 컬러 필터를 설치하여, 표리 양면에서 컬러 표시를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이 적, 녹, 청색의 컬러 필터를 구비한 3개의 화소를 1개의 컬러 화소로서 구성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0)를 전자 페이퍼로 하였지만,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북(70)으로서 이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바인더(71)에 설치한 링(72)에 복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A)를 철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A)에는, 링(72)을 통하여, 화상 데이터 BD의 입력이나 전원의 공급을 행하면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틀부(11A)와 제2 틀부(11B)를 설치하였지만, 제1 틀부(11A), 제2 틀부(11B) 모두 없어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면 기판(15)과 투명 기판(17)을 동일 부재, 동일 두께로 하고, 소자 형성층(16)과 공통 전극(18)을 동일한 두께로 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부재는 동일하지 않아도 되고, 두께도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요컨대, 소자 기판(12)과 대향 기판(13)의 광 투과율을 마찬가지로 하는 것이 가능하면 된다. 또한, 소자 기판(12)과 대향 기판(13)의 광 투과율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광 투과율을 일치시키는 부재 등을 광 투과율이 높은 쪽에 부가하여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데이터 BD에는, 1 페이지마다 1개의 표시 데 이터 PD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데이터 BD에는, 1 페이지에 대하여, 대향 기판(13)측을 「표시면」으로 하는 제3 표시 데이터와, 소자 기판(12)측을 「표시면」으로 하는 제4 표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하여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데이터 BD에는, 대향 기판(13)측을 「표시면」으로 하는 표시 데이터 PD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데이터 BD에는, 대응하는 「표시면」을 특정할 수 있는 태그를 갖는 제5 표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표시면」이 태그와 일치한 경우에는 그대로 제5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고, 「표시면」이 태그와 다른 경우에는, 제5 표시 데이터를 변환한 제6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0)는, 대향 기판(13)측(정면(13a))을 초기 표시면으로 하여 설정되었지만, 소자 기판(12)측(배면(12a))을 초기 표시면으로 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영동 입자를 구비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한 그 전체의 평면도.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평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의 표시 패널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 2의 3-3선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의 표시 패널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의 소자 기판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의 화소 부분의 등가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의 가속도 센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의 가속도 센서의 기울기 각도의 검출을 설명하는 측면도로서, (a)는 수평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b)은 기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 면도.
도 9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a)는 표시면에 표시된 화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표시면의 반대측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상기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a)는 표시면(정면)에 1 페이지째의 화상을 표시한 평면도, (b)는 표시면(배면)에 2 페이지째의 화상을 표시한 평면도.
도 12는, 다른 예에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그 밖의 다른 예에서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 북의 평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 중력 방향
-g: 반중력 방향
AX: X축 각도 신호
AY: Y축 각도 신호
AZ: Z축 각도 신호
BD: 화상 데이터
C1: 중심선
C2: 점
Lx, Ly: 수평선
PD: 표시 데이터
SC: 수직 동기 신호
Tr: 유기 트랜지스터
VD: 데이터 타이밍 신호
COM: 공통 단자
Lx1, Lx2∼Lxm: 데이터선
Ly1, Ly2∼Lyn-1, Lyn: 주사선
B1, B2, B3, B4: 버튼 신호
SC1∼SCn: 주사 신호
VD1∼VDm: 데이터 신호
10: 전기 영동 표시 장치(표시 장치)
10A: 전기 영동 표시 장치
11: 전기 영동 표시 패널(표시 패널)
11A: 제1 틀부
11B: 제2 틀부
12: 소자 기판
12a: 배면
13: 대향 기판
13a: 정면
14: 전기 영동 표시층
15: 배면 기판
16: 소자 형성층
17: 투명 기판
18: 공통 전극
19: 바인더
20: 마이크로 캡슐
22: 표시 제어 회로
23: 주사선 구동 회로
24: 데이터선 구동 회로
26: 화소
27: 화소 전극
34: 전기 영동 분산매
35: 전기 영동 입자
35b: 흑색 입자
35w: 백색 입자
42: 소스 전극
43: 드레인 전극
46: 게이트 전극
50: 제어 장치
51: 입력 장치
52: 가속도 센서
52x: X 방향 검출 축
52y: Y 방향 검출 축
52z: Z 방향 검출 축
70: 전자 북
71: 바인더
111∼114: 조작 버튼

Claims (13)

  1. 투명한 화소 전극을 갖는 투명한 소자 기판과,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투명한 공통 전극을 갖는 투명한 대향 기판과,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배치된 전기 영동 표시층과,
    광 센서와,
    상기 전기 영동 표시층의 표시면으로서,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중의 어느 한 쪽의 기판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광 센서가 검출하는 광도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면을 선택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2. 투명한 화소 전극을 갖는 투명한 소자 기판과,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투명한 공통 전극을 갖는 투명한 대향 기판과,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배치된 전기 영동 표시층과,
    터치 센서와,
    상기 전기 영동 표시층의 표시면으로서,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중의 어느 한 쪽의 기판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터치 센서가 검출하는 파지되고 있는 면적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면을 선택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표시하는 측을 지정하는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면을 선택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은, 초기 표시면으로서 상기 대향 기판이 선택되어 있는 전기 영 동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순서 매겨진 표시 데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표시면과 평행한 회전축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기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상기 표시 데이터의 다음으로 순서 매겨진 표시 데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표시면과 평행한 회전축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었을 때에,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기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상기 표시 데이터의 앞에 순서 매겨진 표시 데이터가 표시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기판의 광 투과율과 상기 대향 기판의 광 투과율이 동일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
  7. 투명한 화소 전극을 갖는 투명한 소자 기판과,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투명한 공통 전극을 갖는 투명한 대향 기판과,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배치된 전기 영동 표시층과,
    광 센서와
    상기 전기 영동 표시층의 표시면으로서,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중의 어느 한 쪽의 기판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광 센서가 검출하는 광도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시면에 포지티브 화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전기 영동 표시층에 표시 데이터를 구동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8. 투명한 화소 전극을 갖는 소자 기판과,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투명한 공통 전극을 갖는 투명한 대향 기판과,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배치된 전기 영동 표시층과,
    터치 센서와,
    상기 전기 영동 표시층의 표시면으로서, 상기 소자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중의 어느 한 쪽의 기판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가 검출하는 파지되고 있는 면적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시면에 포지티브 화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전기 영동 표시층에 표시 데이터를 구동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미리 상기 대향 기판에 표시하는 제1 표시 데이터를 유지해 두고,
    상기 대향 기판이 상기 표시면으로서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 데이터로 하고,
    상기 소자 기판이 상기 표시면으로서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표시 데이터를 상기 소자 기판에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 데이터로 변환을 하여 상기 표시 데이터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기판을 상기 표시면으로 하는 경우의 제3 표시 데이터와,
    상기 소자 기판을 상기 표시면으로 하는 경우의 제4 표시 데이터를 미리 준비해 두고,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표시면에 대응한 상기 제3 데이터 또는 상기 제4 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 데이터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미리 유지하고 있는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대향 기판 또는 상기 소자 기판 중의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제5 표시 데이터이며,
    상기 제5 표시 데이터는, 어느 쪽의 기판을 표시면으로 하는 상기 표시 데이터인지를 나타내는 태그를 갖고,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표시면이 상기 태그가 나타내는 표시면일 때에는, 상기 제5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 데이터로 하고,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표시면이 상기 태그가 나타내는 표시면이 아닐 때에는, 상기 표시면에 표시하기 위한 제6 표시 데이터로 변환을 하여 상기 표시 데이터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대향 기판을 표시면으로 하는 경우와, 상기 소자 기판을 표시면으로 하는 경우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이용하고,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표시면에 의해 상기 화소 전극의 순번을 바꾸어 구동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순서 매겨진 상기 표시 데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표시면과 평행한 회전축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기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상기 표시 데이터의 다음으로 순서 매겨진 표시 데이터가 구동되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표시면과 평행한 회전축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었을 때에, 상기 표시면이 절환되기 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상기 표시 데이터의 앞에 순서 매겨진 표시 데이터가 구동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80058549A 2007-06-22 2008-06-20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 KR101469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4684 2007-06-22
JPJP-P-2007-00164684 2007-06-22
JPJP-P-2008-00060672 2008-03-11
JP2008060672A JP5292861B2 (ja) 2007-06-22 2008-03-11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気泳動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989A KR20080112989A (ko) 2008-12-26
KR101469995B1 true KR101469995B1 (ko) 2014-12-05

Family

ID=4013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549A KR101469995B1 (ko) 2007-06-22 2008-06-20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70418B2 (ko)
KR (1) KR101469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172B1 (ko) * 2008-07-18 2013-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소자
KR101602643B1 (ko) 2009-08-19 2016-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종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4888538B2 (ja) * 2009-09-16 2012-02-2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409749B (zh) * 2009-12-11 2013-09-21 Au Optronics Corp 電泳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US8791898B2 (en) * 2010-01-20 2014-07-29 Apple Inc. Motion controllable dual display portable media device
US20120032783A1 (en) * 2010-08-09 2012-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reader system with external display interfa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2697685A2 (en) * 2011-04-13 2014-02-19 Creator Technology B.V. A display structure comprising opposed viewing surfaces
US9514669B2 (en) 2012-03-26 2016-12-06 Beijing Lenovo Software Ltd.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4102061B (zh) * 2014-06-17 2017-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显示方法、显示装置
KR102656456B1 (ko) * 2016-05-27 2024-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방법
KR101981269B1 (ko) * 2017-08-29 2019-05-22 김지용 디스플레이에서 번-인 감소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426A (ja) * 2001-12-14 2003-07-04 Minolta Co Ltd 表裏両面で表示を行う表示装置
JP2005107246A (ja) * 2003-09-30 2005-04-21 Seiko Epson Corp 反射型表示装置
JP2007220109A (ja) * 2006-02-14 2007-08-3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リバーシブル・ディスプレイ・インターフェース機構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6476B1 (en) * 1999-05-18 2005-04-0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3925080B2 (ja) 2000-12-01 2007-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ブック、それに用いる電子ペーパの製造方法
JP4613514B2 (ja) 2004-05-11 2011-01-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6235013A (ja) * 2005-02-23 2006-09-07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80086378A1 (en) * 2006-10-10 2008-04-10 Reddy Venkateshwara N Electronic checkout counter sepa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426A (ja) * 2001-12-14 2003-07-04 Minolta Co Ltd 表裏両面で表示を行う表示装置
JP2005107246A (ja) * 2003-09-30 2005-04-21 Seiko Epson Corp 反射型表示装置
JP2007220109A (ja) * 2006-02-14 2007-08-3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リバーシブル・ディスプレイ・インターフェース機構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16581A1 (en) 2008-12-25
KR20080112989A (ko) 2008-12-26
US7570418B2 (en)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995B1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
JP5292861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気泳動表示装置
US8766946B2 (en) Sensing circuit,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11134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light-sensing thin film transistor disposed at a pixel region
JP4590340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を用いたイメージセンシング方法
KR101345025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10001638B2 (e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US7995026B2 (en)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ensor
KR20190042788A (ko) 표시 장치
CN100443969C (zh)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US8564567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using photo sensor
KR20150021467A (ko) 표시 장치
TW201219950A (en) Electric field driving display device
CN104914602A (zh) 显示装置和阵列基板
KR20050109068A (ko) 전기 영동 다중 칼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2086473A (zh) 包括光电传感器单元的显示设备
CN114930441A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操作方法
CN109031823B (zh) 显示屏、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10107591A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P3651005B1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US10001640B1 (en) Relocating common connector pads in display devices
KR20100009213A (ko)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어레이 기판
US20170322412A1 (en) Electrowetting display element with radiation filter
KR20070000913A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074320B1 (en) Sub-pixel region spacer for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