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931B1 -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931B1
KR101469931B1 KR1020120158420A KR20120158420A KR101469931B1 KR 101469931 B1 KR101469931 B1 KR 101469931B1 KR 1020120158420 A KR1020120158420 A KR 1020120158420A KR 20120158420 A KR20120158420 A KR 20120158420A KR 101469931 B1 KR101469931 B1 KR 10146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frame
dra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783A (ko
Inventor
윤승오
Original Assignee
갑을오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갑을오토텍(주) filed Critical 갑을오토텍(주)
Priority to KR1020120158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93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18Air-conditioning means, i.e. combining at least two of the following ways of treating or supplying air, namely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동성을 향상시킨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냉난방기가 장착되고, 저면에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프레임와, 상기 배수구(1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원형 단면을 이루고, 그 중심부가 상기 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개폐부재(100)와, 상기 프레임(10)에 접촉되는 상기 개폐부재(10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11)를 따라 함몰된 유입홈(101)로 구성됨으로써, 응축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DRAINING DEVICE OF AIR COOLING AND HEAT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 냉난방지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철도차량 냉난방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수장치를 이루는 개폐부재의 형상을 개선하여 내구성과 기밀성이 향상되고 교체가 용이한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는 개실 내의 냉방과 난방을 위한 냉방기와 히터가 설치된다. 냉방기는 주로 객실의 상부면에 형성된 외부공기 유동로상에 설치되어 객실을 냉방시키고, 히터는 따뜻한 공기가 객실내로 유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냉방기와 히터는 철도차량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동로상에 일체로 설치되고도 한다.
이러한 종래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의 냉난방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양측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이격 설치되는 증발기코일(20)과, 증발기코일(20)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전기히터(30)와, 프레임(10) 내측에 마련된 구동모터(40)에 의해 구동 연결되는 증발기팬(50)이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10) 내부에는 원심형 팬(70)을 둘러싸는 원형응축기(60)가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10)의 하단면에는 냉난방 과정 중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13)가 장공 형상을 이루도록 관통되고, 배수구(13)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개폐부재(11)가 복개된다. 개폐부재(11)는 판 형상을 이루고, 일측에 리벳(12)이 장착되어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개폐부재(11)는 오랜 시간 사용되면 중력에 의해 쳐짐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밀폐성이 저하되어 프레임(10) 안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리벳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교체에 불편함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2-0137432호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중력에 의한 처짐을 저감하고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는 내부에 냉난방기가 장착되고, 저면에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배수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원형 단면을 이루고, 그 중심부가 상기 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개폐부재; 상기 프레임에 접촉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를 따라 함몰된 유입홈;을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구는 상기 개폐부재 장착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호 형상을 이루는 장공으로 형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홈은 상기 배수구 보다 넓고, 상기 개폐부재의 둘레면에 접촉되지 않고 단턱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개폐부재를 둘러싸도록 상기 개폐부재 보다 높게 돌출되는 보호벽이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개폐부재를 관통하도록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된 너트와, 상기 개폐부재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관통한 후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개폐부재에는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과 맞닿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의 끝단과 상기 개폐부재의 하단은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는 개폐부재의 형상을 개선하여 중력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고 밀폐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냉난방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는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구조의 철도차량 냉난방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 구조의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을 인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는 내부에 증발기, 전기히터, 구동모터, 증발기팬 등이 설치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저면에 형성되는 배수구(11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0)와, 개폐부재(100)에 형성되는 유입홈(101)로 구성된다.
프레임(10)은 내부 수용공간이 구비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배수구(111)가 형성된다. 배수구(111)를 통해 냉난방중 발생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구(111)는 개폐부재(100)가 장착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호 형상을 이루는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배수구(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장공형상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100)는 원형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에 접촉되는 일측면에는 배수구(111)를 따라 함몰되는 유입홈(101)이 형성된다. 유입홈(101)은 배수구(111) 보다 넓게 형성된다. 유입홈(101)은 개폐부재(100)의 둘레면에 접촉되지 않고 그 경계가 단턱(102)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개폐부재(100)의 중앙에는 볼트(b)가 삽입되는 관통공(103)이 형성된다. 볼트(b)에는 개폐부재(10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04)이 장착된다. 지지판(104)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름은 유입홈(101) 형성된 지점을 넘어서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판(104)은 개폐부재(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개폐부재(100)의 탄성력보다 강한 탄성강도를 가져야 하며, 철판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0)과 개폐부재(100)를 관통하도록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n1)가 형성된 너트(n)가 볼트(b)에 체결된다. 프레임(10)과 개폐부재(100)에는 연장부(n1)의 외주면과 맞닿는 관통공(10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장부(n1)의 끝단은 지지판(104)에 접촉된다. 즉, 연장부(n1)의 끝단과 개폐부재(100)의 하단은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프레임(10)에는 개폐부재(100)를 둘러싸도록 보호벽(105)이 돌출된다. 보호벽(105)은 개폐부재(100)의 둘레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보호벽(105)은 개폐부재(100)의 두께보다 높게 돌출된다. 보호벽(105)은 개폐부재(100)와 볼트(b)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개폐부재(100)는 냉방기의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해 배수구(111)를 개폐한다.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은 배수구(111)를 통해 유입홈(101)에 고인다. 유입홈(101)에 고인 응축수는 표면장력에 의해 밀폐도가 향상된다. 유입홈(101)에 일정량 이상의 응축수가 고이게 되면 중력에 의해 개폐부재(100)가 젖혀지게 되고, 이때 응축수는 단턱(102)을 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너트(n)에 연장부(n1)이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이 과하게 작용하여 개폐부재(100)가 파손되거나 내구성이 감소할 수 있는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다. 즉, 지지판(104)을 통해 전달되는 결합력이 연장부(n1)의 하단에만 전달될 뿐 개폐부재(100)에는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체결작업 중 개폐부재(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견고하게 고정력을 유지하기위해 연장부(n1)의 길이는 프레임(10)의 두께와 개폐부재(100)의 두께를 합친 값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프레임 100 : 개폐부재
101 : 유입홈 102 : 단턱
103 : 관통공 104 : 지지판
105 : 보호벽 111 : 배수구

Claims (7)

  1. 내부에 냉난방기가 장착되고, 저면에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배수구(111)가 형성된 프레임(10);
    상기 배수구(1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그 중심부가 상기 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개폐부재(100);
    상기 프레임(10)에 접촉되는 상기 개폐부재(10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11)를 따라 함몰된 유입홈(101); 및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개폐부재(100)를 관통하도록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n1)가 형성된 너트(n)와, 상기 개폐부재(10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04)을 관통한 후 상기 너트(n)에 체결되는 볼트(b)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100)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배수구(111)는 상기 개폐부재(100)가 장착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호 형상을 이루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101)은
    상기 배수구(111) 보다 넓고, 상기 개폐부재(100)의 둘레면에 접촉되지 않고 단턱(102)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개폐부재(100)를 둘러싸도록 상기 개폐부재(100) 보다 높게 돌출되는 보호벽(105)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개폐부재(100)에는 상기 연장부(n1)의 외주면과 맞닿는 관통공(10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n1)의 끝단과 상기 개폐부재(100)의 하단은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KR1020120158420A 2012-12-31 2012-12-31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KR10146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420A KR101469931B1 (ko) 2012-12-31 2012-12-31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420A KR101469931B1 (ko) 2012-12-31 2012-12-31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783A KR20140087783A (ko) 2014-07-09
KR101469931B1 true KR101469931B1 (ko) 2014-12-08

Family

ID=5173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420A KR101469931B1 (ko) 2012-12-31 2012-12-31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725B1 (ko) 2020-05-26 2022-01-26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냉방장치용 증발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970Y1 (ko) * 2000-01-31 2000-06-15 주식회사라이스트 무동력 에어컨 응축수 배수장치
KR20010001968U (ko) * 1999-06-30 2001-01-26 윤종용 천정형 에어컨의 배수구조
KR20020088810A (ko) * 2001-05-21 2002-1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968U (ko) * 1999-06-30 2001-01-26 윤종용 천정형 에어컨의 배수구조
KR200185970Y1 (ko) * 2000-01-31 2000-06-15 주식회사라이스트 무동력 에어컨 응축수 배수장치
KR20020088810A (ko) * 2001-05-21 2002-1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783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6151T3 (es) Unidad interior de aire acondicionado
ES2788177T3 (es) Acondicionador de aire
EP2977689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device
JP3960348B1 (ja) 空気調和装置
KR101536656B1 (ko) 공동배기 연도용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소장치
EP2921792A1 (en) Integrated type air conditioner with piping member support structure
CN105180562A (zh) 冰箱及其风道板
KR101469931B1 (ko) 철도차량 냉난방기의 배수장치
ES2415885T3 (es) Vehículo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guía y de evacuación del agua
CN109677245A (zh) 防雨水汽车车门保护装置
CN108006838A (zh) 空调室内机的壳体组件及空调室内机
JP201803594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6797307B2 (ja) 圧縮機のカバー、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060111974A (ko) 응축수 드레인 구조
KR20130057563A (ko) 차량용 공조장치
NL2023739B1 (en) Device arranged for attaching a utility apparatus and a building comprising the device
KR20150099912A (ko) 루프형 차량용 공조 장치
JP201028146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05239068U (zh) 具有s形出水端的汽车空调排水管路
US20150250029A1 (en) High-frequency heating cooker
KR10213908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RU2463532C2 (ru) Корпус холоди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KR101233489B1 (ko) 별도의 끼움부재를 갖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송풍기 모터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를 이용한 송풍기 모터 고정방법
JP5511414B2 (ja) 給湯室外機
CN105172897A (zh) 卡车侧围总成及卡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