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585B1 -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 Google Patents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585B1
KR101469585B1 KR1020140104624A KR20140104624A KR101469585B1 KR 101469585 B1 KR101469585 B1 KR 101469585B1 KR 1020140104624 A KR1020140104624 A KR 1020140104624A KR 20140104624 A KR20140104624 A KR 20140104624A KR 101469585 B1 KR101469585 B1 KR 101469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crew
link
open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능로
Original Assignee
가능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능로 filed Critical 가능로
Priority to KR102014010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25B23/10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echanical gripping means
    • B25B23/103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echanical gripping means for gripping threaded stu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25B23/0035Connection means between socket or screwdriver bit and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25G3/20Locking and securing devices comprising clamping or contracting means acting concentrically on the handle or socket
    • B25G3/22Ch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 작업을 수행할 때에 상기 스크류 피스를 손으로 취부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나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선단에는 드라이버 비트(3)의 종단이 수용되는 수용 홈이 구비되며, 타 단에는 취부용 척(4)의 홈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선단에서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마련된 구획되는 작동구간을 가지는 몸체(5)와, 상기 몸체(5)의 작동구간에서 상기 몸체(5) 상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 피스(2)의 머리부위를 상기 드라이버 비트(3)와의 사이간격에 끼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버드라이 비트용 소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A socket for a screwdriver bit}
본 발명은, 스크류 피스(나사 못)을 목표물에 고정하는 나사 작업 시에 드라이버 비트를 고정하는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 작업을 수행할 때에 상기 스크류 피스를 손으로 취부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나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버드라이 비트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류 피스(나사)는 자동차나 항공기 또는 각종 기계장치 및 건축 토목공사 등에 사용되는 수많은 부품 중 체결요소의 가장 중요한 기본부품으로, 가령 상호 결합할 대상을 체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스크류 피스를 드릴 작업할 때, 상기 스크류 피스를 회전시켜 목표물에 삽입 고정할 때에는, 상기 스크류 피스의 나사머리 부위에 형성된 홈에 맞춤 되는 드라이버 비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키거나, 별도의 동력을 전달받은 전동드릴의 회전력을 통해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류 피스를 드라이버 작업을 할 때, 상기 드라이버 비트를 용이하게 취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소켓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드라이버 비트를 고정하는 소켓들 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45384호(명칭: 키레스 드릴척용 공구 비트)에 게재된 것이 있으며,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드릴척의 슬라이브에 드라이버 비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0-0008988호(명칭: 신형 드라이브 비트와 소켓)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크류 볼트와 드라이버 비트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소켓이 게재되어 있다.
근자에는, 상기 드라이버 비트에 자성을 부가하여 스크류 피스를 자력으로 고정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증대하도록 된 드라이버 비트 및 그 소켓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으로,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009-0009669호(명칭: 자화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전동공구)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변속하여 전달하는 전동부가 구비되고, 선단에는 상기 전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구와 일체로 회전되는 척이 구비되는 전동공구본체와, 상기 전동공구본체 상에 설치되며 자화대상물을 자화시키는 자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공구나 나사를 간단하게 자화시켜 고정하도록 된 것이 게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5358호(명칭: 자석을 구비한 전동공구)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손잡이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손잡이의 전면에 위치하고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작동버튼과, 드라이버 비트가 장착되어 상기 작동버튼을 누르면 회전하는 구동척으로 구성된 전동공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 소정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를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져, 스크류 피스를 자력으로 고정하도록 된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 피스를 자력으로 고정하도록 된 것들은, 특히 높고 좁은 공간에서 작업을 할 때, 스크류 피스를 손으로 잡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전도구를 손으로 잡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때 적용되어 작업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라이버 비트 및 그 소켓들은, 작업시 스크류 피스를 안정하게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순히 자력으로 스크류 피스를 접착시키어 고정함에 따라, 고정력이 약하여, 회전력이 인가될 때에는, 스크류 피스가 드라이버 비트에서 분리되어 튀거나 낙하하여 작업공간에 위험 상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스크류 피스와 직선상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크류 피스에 흔들림을 인가하여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 작업을 수행할 때에 상기 스크류 피스를 손으로 취부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나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은, 선단에는 드라이버 비트의 종단이 수용되는 수용 홈이 구비되며, 타 단에는 취부용 척의 홈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선단에서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마련된 구획되는 작동구간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작동구간에서 상기 몸체상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스크류 피스의 머리부위를 상기 드라이버 비트와의 사이 간격에 끼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작동구간에서 상기 몸체의 선단에서 이격되려는 탄성력을 가지는 복귀스프링이 게재된 상태로 관통되게 배치되어 왕복 이동되며 상기 몸체의 선단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종단에 상기 스크류 피스의 머리 부위를 걸어 지지하도록 된 걸이부를 가지는 가동링크가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된 관 형상의 이동관체와, 상기 이동관체의 외주면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왕복이동되며 상기 가동링크의 단부를 지지 및 해제하여 상기 가동링크의 걸이부가 상기 스크류 피스에서 무단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관 형상의 개폐관과, 상기 이동관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개폐관을 상기 가동링크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이 게재된 상태로 관통되게 배치되어 왕복이동되며 외주면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가동링크의 일단에 축 고정되어 상기 가동링크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된 작동링크가 구비된 관 형상의 작동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작동구간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서 선단측 부위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단턱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부위에 고정되는 스냅링의 사이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가동링크에서, 상기 이동관체에 축고정되는 축공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의 선단 측 방향으로 연장된 걸이부에 대향되는 방향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관의 측단부측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스톱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걸이부의 종단에는, 나사가 관통되게 체결되는 장공을 가지며 내측 단부에는 상기 스크류 피스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수용되는 요홈이 형성된 걸이간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개폐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의 선단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개폐링크가 구비되어 스크류 피스가 목표물에 나사 체결되는 중에 상기 개폐관을 상기 작동관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개폐링크의 선단에는, 목표물에 면접촉하도록 된 지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이동관체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개폐관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끼움되어 정자세로 왕복 이동되도록 된 안내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취부용 척은, 내부에 다수의 드라이버 비트를 수용하며 마개로 개폐되는 공간부를 가지고, 작업자가 손으로 취부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통 형상의 통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체의 길이방향에는 취부용 척의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가동링크와 상기 작동링크는 상기 몸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은, 상기 가동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이부가 스크류 피스를 상기 드라이버 비트와의 사이 간격에 끼움하여 지지 고정하도록 하여, 작업 중에 스크류 피스를 지지하므로 작업자가 안정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특히, 높고 좁은 공간에서 나사 작업을 수행할 때에 상기 스크류 피스를 손으로 취부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드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력에 의해 스크류 피스를 고정하지 않고 기구적인 압력을 통해 고정함에 따라, 고정 지지력이 높아 작업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을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 내지,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의 작용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에서 일 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1)은, 스크류 피스(2)의 나사 머리부위와 맞춤 끼움 된 후, 회전시켜 나사 결합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드라이버 비트(3)를 고정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도 14 내지,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드릴 또는 사용자가 손으로 취부하는 손잡이를 형성하는 통 체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드라이버 비트(3)를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소켓(1)은, 상기 드라이버 비트(3)에 스크류 피스(2)가 끼움 될 때, 상기 스크류 피스(2)를 고정 지지하도록 된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스크류 피스(2)를 취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나사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높고 좁은 공간에서 나사 작업을 수행할 때에 상기 스크류 피스(2)를 손으로 취부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드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켓(1)은, 선단에는 드라이버 비트(3)의 종단이 수용되는 수용 홈이 구비되며, 타 단에는 취부용 척(4)의 홈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선단에서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마련된 구획되는 작동구간을 가지는 몸체(5)를 가진다.
즉, 상기 몸체(5)의 선단에 드라이버 비트(3)를 고정하여 이를 통해 나사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에서 취부용 척(4)은,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취부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드릴에 구비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5)의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취부하는 도구 및 전동드릴의 도구에 각각 적용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켓(1)은, 상기 몸체(5)의 작동구간에서 상기 몸체(5) 상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 피스(2)의 머리부위를 상기 드라이버 비트(3)와의 사이간격에 끼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가진다.
즉,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스크류 피스(2)를 기구적인 압력으로 고정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별도로 자력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없고, 스크류 피스(2)에 대한 고정 지지력이 높아, 무단으로 스크류 피스(2)가 해제되지 않아 작업성과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켓(1)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5)의 작동구간에서 상기 몸체(5)의 선단에서 이격되려는 탄성력을 가지는 복귀스프링(6)이 게재된 상태로 관통되게 배치되어 왕복 이동되며 상기 몸체(5)의 선단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종단에 상기 스크류 피스(2)의 머리 부위를 걸어 지지하도록 된 걸이부(7)를 가지는 가동링크(8)가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된 관 형상의 이동관체(9)를 가진다.
즉, 상기 가동링크(8)를 통해 상기 스크류 피스(2)를 고정 지지함과 아울러, 해제함에 따라, 나사작업시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상기한 작동구간은, 상기 몸체(5)의 길이방향에서 선단측 부위에 형성된 단턱(10)과 상기 단턱(10)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부위에 고정되는 스냅링(11)의 사이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소켓(1)은, 상기 이동관체(9)의 외주면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왕복 이동되며 상기 가동링크(8)의 단부를 지지 및 해제하여 상기 가동링크(8)의 걸이부(7)가 상기 스크류 피스(2)에서 무단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관 형상의 개폐관(12)을 가진다.
즉, 상기 이동관체(9)에서 상기 개폐관(12)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가동링크(8)를 지지 및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가동링크(8)에서, 상기 이동관체(9)에 축고정되는 축공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5)의 선단 측 방향으로 연장된 걸이부(7)에 대향되는 방향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관(12)의 측단부측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스톱돌기(1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톱돌기(13)가 상기 개폐관(12)의 측 단부에 배치될 때에는, 상기 가동링크(8)에서 상기 걸이부(7)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스톱돌기(13)가 상기 개폐관(12)의 외주면에 지지되게 배치될 때에는, 상기 가동링크(8)에서 상기 걸이부(7)가 벌어지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7)가 스크류 피스(2)를 걸어 고정한 상태가 확고히 유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소켓(1)은, 상기 이동관체(9)의 외주면에서 상기 개폐관(12)을 상기 가동링크(8)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14)이 게재된 상태로 관통되게 배치되어 왕복 이동되며 외주면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가동링크의 일단에 축 고정되어 상기 가동링크(8)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된 작동링크(15)가 구비된 관 형상의 작동관(16)을 가진다.
즉, 상기 작동관(16)이 상기 가압스프링(14)에 가압되는 상태로 상기 작동링크(15)가 상기 가동링크(8)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어, 상기 가동링크(8)에서 걸이부(7)가 벌어지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관(12)이 상기 스톱돌기(13)를 해제한 상태가 되면 상기 가동링크(8)를 회전시켜 상기 걸이부(7)가 스크류 피스(2)에서 이탈되어 자동으로 해제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걸이부(7)의 종단에는,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가 관통되게 체결되는 장공을 가지며 내측 단부에는 상기 스크류 피스(2)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수용되는 요홈이 형성된 걸이간(17)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걸이간(17)의 위치를 가변시켜 조절함으로써, 스크류 피스(2)의 크기에 적합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스크류 피스(2)들 각각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나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소켓(1)에서, 상기 개폐관(12)의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5)의 선단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개폐링크(18)가 구비되어 스크류 피스(2)가 목표물에 나사 체결되는 중에 상기 개폐관(12)을 상기 작동관(16) 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개폐링크(18)의 단부가 목표물이 밀착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가압이 이루어지면, 상기 이동관체(9)가 진행하는 중에 상기 개폐관(12)은 위치를 고수함으로써, 상기 이동관체(9)에 대한 상기 개폐관(12)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가동링크(8)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스톱돌기(13)가 상기 개폐관(12)의 외주면에서 이탈됨에 따라,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링크(15)의 당김 압력에 의에 상기 가동링크(8)가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걸이부(7)가 벌어지는 형태의 회전운동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7)가 스크류 피스(2)에서 이탈되어 자동으로 해제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개폐링크(18)의 선단에는, 목표물에 면접촉하도록 된 지지판(19)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켓(1)에서, 상기 이동관체(9)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개폐관(12) 및 상기 작동관(16)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끼움되어 정자세로 왕복 이동되도록 된 안내돌부(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관체(9) 상에서 상기 개폐관(12) 및 상기 작동관(16)이 회전되지 않고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안정적인 운동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소켓(1)에서, 상기 취부용 척(4)은, 내부에 다수의 드라이버 비트(2)를 수용하며 마개로 개폐되는 공간부를 가지고, 작업자가 손으로 취부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통 형상의 통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체의 길이방향에는 취부용 척(4)의 홈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 비트(3)의 방향의 원하는 형태로 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의 효용성이 더욱 증대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소켓(1)에서, 상기 가동링크(8)와 상기 작동링크(15)는, 상기 몸체(5)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동링크(8)와 상기 작동링크(15)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의 2개 1조로 이루어져, 서로 오므려지거나 펼쳐지는 운동을 하여 스크류 피스(2)를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소켓(1)을 적용하여 스크류 피스(2)를 나사작업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5)의 수용홈에 드라이버 비트(3)를 끼움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부를 취부용 척(4)에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링크(8)의 스톱돌기(13)가 상기 개폐관(12)의 측단면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이부(7)가 벌어진 상태에서, 작업하고자 하는 스크류 피스(2)를 상기 드라이버 비트(3)에 끼운다.
이와 같이, 스크류 피스(2)가 위치되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링크(8)를 회전시켜 상기 걸이부(7)가 상기 스크류 피스(2)의 외주면을 수용하여 고정하게 하면 되는 바, 이때에는 상기 이동관체(9)가 상기 복귀스프링(6)의 가압력을 상쇄하면서 스크류 피스(2) 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관(16)이 상기 작동링크(15)에 의해 상기 이동관체(9)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5)의 선단으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가압스프링(14)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관(12)이 가압되어 상기 몸체(5)의 선단으로 이동되며, 상기 가동링크(8)의 스톱돌기(13)의 단면이 상기 개폐관(12)의 외주면에 면접촉하여 벌어지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7)에 의해 스크류 피스(2)가 고정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 피스(2)가 상기 걸이부(7)와 상기 드라이버 피트(3)의 사이 간격에서 끼움 고정되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물로 상기 스크류 피스(2)를 나사 작업하면 되고, 상기 목표물에 나사작업이 소정 깊이로 진행하는 중에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물에 상기 개폐링크(18)의 단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지속적인 나사작업이 진행되면,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관(12)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관체(9) 및 상기 작동관(16)은 지속적으로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개폐관(12)에서 상기 스톱돌기(13)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관(16)이 후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작동링크(15)가 상기 가동링크(8)를 잡아당기면서 회전시켜, 상기 걸이부(7)가 벌어지는 회전을 하게 되어 스크류 피스(2)를 해제한다.
이때에는, 스크류 피스(2)가 목표물에 나사결합이 거의 진행되어 있음에 따라, 스크류 피스(2)는 그 자세 및 위치를 확고히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이부(7)가 상기 스크류 피스(2)를 해제하면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귀스프링(6)이 상기 이동관체(9)를 가압하여 원위치시키며, 상기 개폐관(12) 및 상기 작동관(16)이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 상태에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스크류 피스(2)를 목표물에 완전히 고정한다.
그런 후,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피스(2)에서 드라이버 비트(3)를 분리하면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스크류 피스(2)의 나사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은, 선단에는 드라이버 비트의 종단이 수용되는 수용 홈이 구비되며, 타 단에는 취부용 척의 홈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선단에서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마련된 구획되는 작동구간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작동구간에서 상기 몸체 상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 피스의 머리부위를 상기 드라이버 비트와의 사이간격에 끼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통해. 나사작업 중에 스크류 피스를 지지하므로 작업자가 안정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소켓 2 : 스크류 피스
3 : 드라이버 비트 4 : 취부용 척
5 : 몸체 6 : 복귀스프링
7 : 걸이부 8 : 가동링크
9 : 이동관체 10 : 단턱
11 : 스냅링 12 : 개폐관
13 : 스톱돌기 14 : 가압스프링
15 : 작동링크 16 : 작동관
17 : 걸이간 18 : 개폐링크
19 : 지지판 20 : 안내돌부

Claims (9)

  1. 선단에는 드라이버 비트의 종단이 수용되는 수용 홈이 구비되며, 타 단에는 취부용 척의 홈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선단에서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마련된 구획되는 작동구간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작동구간에서 상기 몸체 상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스크류 피스의 머리부위를 상기 드라이버 비트와의 사이간격에 끼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작동구간에서 상기 몸체의 선단에서 이격되려는 탄성력을 가지는 복귀스프링이 게재된 상태로 관통되게 배치되어 왕복 이동되며 상기 몸체의 선단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종단에 상기 스크류 피스의 머리 부위를 걸어 지지하도록 된 걸이부를 가지는 가동링크가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된 관 형상의 이동관체와;
    상기 이동관체의 외주면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왕복이동되며 상기 가동링크의 단부를 지지 및 해제하여 상기 가동링크의 걸이부가 상기 스크류 피스에서 무단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관 형상의 개폐관과;
    상기 이동관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개폐관을 상기 가동링크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이 게재된 상태로 관통되게 배치되어 왕복이동되며 외주면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가동링크의 일단에 축 고정되어 상기 가동링크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된 작동링크가 구비된 관 형상의 작동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구간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서 선단측 부위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단턱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부위에 고정되는 스냅링의 사이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링크에서,
    상기 이동관체에 축고정되는 축공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의 선단 측 방향으로 연장된 걸이부에 대향되는 방향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관의 측단부측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스톱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이부의 종단에는,
    나사가 관통되게 체결되는 장공을 가지며 내측 단부에는 상기 스크류 피스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수용되는 요홈이 형성된 걸이간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폐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의 선단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개폐링크가 구비되어 스크류 피스가 목표물에 나사 체결되는 중에 상기 개폐관을 상기 작동관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폐링크의 선단에는,
    목표물에 면접촉하도록 된 지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관체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개폐관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끼움되어 정자세로 왕복 이동되도록 된 안내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취부용 척은,
    내부에 다수의 드라이브 비트를 수용하며 마개로 개폐되는 공간부를 가지고, 작업자가 손으로 취부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통 형상의 통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체의 길이방향에는,
    취부용 척의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링크와 상기 작동링크는,
    상기 몸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KR1020140104624A 2014-08-12 2014-08-12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KR101469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624A KR101469585B1 (ko) 2014-08-12 2014-08-12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624A KR101469585B1 (ko) 2014-08-12 2014-08-12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585B1 true KR101469585B1 (ko) 2014-12-05

Family

ID=5267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624A KR101469585B1 (ko) 2014-08-12 2014-08-12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5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836A (ja) * 1995-02-28 1996-09-10 Yoshiyuki Matsunaga ねじ固定器
KR970008366U (ko) * 1995-08-17 1997-03-27 최석영 나사 집게가 부설된 드라이버
JP2003181775A (ja) * 2001-12-14 2003-07-02 Tetsuji Tatsuoka 締結具締付機アタッチメント及び締結具締付機
KR20110075793A (ko) * 2009-12-29 2011-07-06 상 호 최 나사 체결작업이 용이한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을 포함하는 나사드라이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836A (ja) * 1995-02-28 1996-09-10 Yoshiyuki Matsunaga ねじ固定器
KR970008366U (ko) * 1995-08-17 1997-03-27 최석영 나사 집게가 부설된 드라이버
JP2003181775A (ja) * 2001-12-14 2003-07-02 Tetsuji Tatsuoka 締結具締付機アタッチメント及び締結具締付機
KR20110075793A (ko) * 2009-12-29 2011-07-06 상 호 최 나사 체결작업이 용이한 나사드라이버 비트 및 그것을 포함하는 나사드라이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1653B2 (en) Wrench quick release apparatus and wrench quick release handle
RU2011132129A (ru) Переносный ручной приводной инструмент
JP6321406B2 (ja) Oリング取付装置および方法
JP2015196220A (ja) クランプ装置
RU2013105617A (ru)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орштанги машины для расточки лёток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борштанги
CN203628169U (zh) 快速定位角度调节装置
US20150306754A1 (en) Disc positioning attachment for a fastener driving tool
JP5183334B2 (ja) 電線被覆剥離工具
JP2006334775A (ja) ファスナ供給装置
KR101469585B1 (ko) 드라이버 비트용 소켓
KR101955954B1 (ko) 일체형 통합 드라이버
KR20120136079A (ko) 나사파지용 바이스를 구비한 드라이버
RU137499U1 (ru) Съемная насадка для отверточного наконечника и отверточный наконечник, снабженный такой насадкой
US20130075442A1 (en) Snap installation tool adaptor
CN205021486U (zh) 一种锁螺丝夹头及含有该锁螺丝夹头的自动锁螺丝机
KR100359284B1 (ko) 드라이버용 나사파지장치
CN208374792U (zh) 锁定机构及具有其的夹具
JP3193709U (ja) 操作工具用補助具
JP4428365B2 (ja) ねじ締付け装置
KR200488958Y1 (ko) 라쳇핸들 지그
KR20150105507A (ko) 드라이버
CN207358942U (zh) 一种可衬托式六角扳手
CN114700909B (zh) 一种用于安装r销的装置
CN204413312U (zh) 一种大型齿轮切割设备半自动定位锁紧装置
CN212265098U (zh) 磁铁件装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