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047B1 -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047B1
KR101469047B1 KR1020120156150A KR20120156150A KR101469047B1 KR 101469047 B1 KR101469047 B1 KR 101469047B1 KR 1020120156150 A KR1020120156150 A KR 1020120156150A KR 20120156150 A KR20120156150 A KR 20120156150A KR 101469047 B1 KR101469047 B1 KR 101469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
emitting device
red light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088A (ko
Inventor
오승현
민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2015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0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8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organised in strings and incorporating parallel shu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균일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위하여, 적색 발광소자, 청색 발광소자 및 녹색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상기 적색 발광소자에 제1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1구동소스; 및 상기 청색 발광소자 및 상기 녹색 발광소자에 제2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2구동소스;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소자는 전자장치,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발광소자는 발광 스펙트럼을 서로 달리하는 적색(red) 발광소자, 녹색(green) 발광소자 및 청색(blue)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백색광원을 구성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단색성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 발광소자, 녹색 발광소자 및 청색 발광소자를 근접 배치하고 이들을 통해 발생된 광을 확산 및 혼색시켜 백색광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는 온도 변화에 따른 휘도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적색 발광소자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휘도 변화는 백라이트 유닛의 성능 열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균일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적색 발광소자, 청색 발광소자 및 녹색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상기 적색 발광소자에 제1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1구동소스; 및 상기 청색 발광소자 및 상기 녹색 발광소자에 제2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2구동소스;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적색 발광소자의 온도 정보를 측정하는 온도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구동전압은 상기 온도 센싱부가 측정한 상기 적색 발광소자의 온도 정보에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소스와 상기 제2구동소스는 독립하여 서로 별개일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는, 리드프레임; 상기 리드프레임 상에 배치된 상기 적색 발광소자, 상기 청색 발광소자 및 상기 녹색 발광소자; 및 상기 리드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적색 발광소자, 상기 청색 발광소자 및 상기 녹색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방출될 개구를 갖는, 몰딩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적색 발광소자, 청색 발광소자 및 녹색 형광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상기 적색 발광소자에 제1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1구동소스; 및 상기 청색 발광소자에 제2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2구동소스;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적색 발광소자의 온도 정보를 측정하는 온도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구동전압은 상기 온도 센싱부가 측정한 상기 적색 발광소자의 온도 정보에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소스와 상기 제2구동소스는 독립하여 서로 별개일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는, 리드프레임; 상기 리드프레임 상에 배치된 상기 적색 발광소자 및 상기 청색 발광소자; 상기 리드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적색 발광소자 및 상기 청색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방출될 개구를 갖는, 몰딩재; 및 상기 녹색 형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를 충전하는 충전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균일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주위온도에 따른 색상별 광도(luminous intensity) 변화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주위온도 변화에 따른 색도 좌표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인 발광소자 패키지를 도해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인 발광소자 패키지를 도해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1), 데이터 구동회로(12), 게이트 구동회로(13), 타이밍 콘트롤러(14) 및 백라이트 유닛(15)을 구비한다.
액정패널(11)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액정패널(11)은 데이터라인들(DL)과 게이트라인들(GL)의 교차 구조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액정셀들(Clc)을 포함한다. 액정셀들(Clc)은 TFT에 접속되어 화소전극들(1)과 공통전극(2) 사이의 전계에 의해 구동된다. 액정패널(11)의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 각각에는 편광판, 배향막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4)로부터의 데이터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액정패널(11)의 데이터라인들(DL)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데이터전압이 공급될 액정패널(11)의 수평라인을 선택하는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4)는 시스템보드(미도시)로부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V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도트 클럭(D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GDC,DDC)을 발생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일 구성요소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고도 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15)은 적색 발광소자, 녹색 발광소자 및 청색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액정패널(11)에 백색광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15)은 적색 발광소자에 제1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1구동소스와 청색 발광소자 및 녹색 발광소자에 제2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2구동소스를 포함하는데, 제1구동소스와 제2구동소스는 독립하여 서로 별개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5)은 적색 발광소자, 청색 발광소자 및 녹색 형광체를 포함하여 액정패널(11)에 백색광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15)은 적색 발광소자에 제1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1구동소스와 청색 발광소자에 제2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2구동소스를 포함하는데, 제1구동소스와 제2구동소스는 독립하여 서로 별개이다. 이 경우, 녹색 형광체는 청색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는 광자(Photon)에 의해 여기(Excitation) 되어 녹색의 형광색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청색 발광소자로부터의 광량에 따라 그 광도(Luminous Intensity)만이 가변된다.
이와 같이, 녹색 발광소자 및/또는 청색 발광소자와 별개로 적색 발광소자에 대하여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구동소스를 결합하는 이유를 살펴본다.
도 2는 주위온도에 따른 색상별 광도(luminous intensity) 변화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주위온도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색상별 광도 변화 결과를 살펴보면, 발광 다이오드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광도가 낮아지며 이에 따라 출력 휘도도 낮아진다. 또한 온도가 약 30℃를 기준으로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 발광소자의 광도가 역전되는 색상 쉬프트(color shift)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특히 적색 발광소자의 경우 그 변화폭이 녹색 발광소자나 청색 발광소자보다 현저하게 두드러지며, 녹색 발광소자나 청색 발광소자의 온도변화에 따른 광도 변화추이가 대략 비슷한 것과 달리 적색 발광소자의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광도 변화추이가 매우 상이하게 된다.
도 3은 주위온도 변화에 따른 색도 좌표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주위온도(ambient temperature) 변화가 CIE1931 색좌표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면, △x에 비해 △y의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x는 적색 색상의 변화량에 크게 의존하는 반면, △y는 녹색 색상의 변화량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적색 색상은 주위온도 변화에 따른 색도 좌표의 변화량에 기여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다.
이와 같이, 녹색 발광소자 및/또는 청색 발광소자와 별개로 적색 발광소자에 대하여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구동소스를 결합하는 이유는 주위온도 변화에 따른 광도 및 휘도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적색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아울러 주위온도 변화에 따른 광도 및 휘도 변화 추이가 적색에서 매우 상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적색 발광소자에 개별적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온도변화로 인한 색좌표의 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적색 발광소자에 개별적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인 발광소자 패키지를 도해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5)은 백라이트 제어부(151), 백라이트 구동부(152), 백라이트(153) 및 센싱부(154)를 구비한다. 백라이트(153)는 다수의 청색 발광소자들이 직렬 접속된 청색 발광소자 스트링(153a), 다수의 녹색 발광소자들이 직렬 접속된 녹색 발광소자 스트링(153b) 및 다수의 적색 발광소자들이 직렬 접속된 적색 발광소자 스트링(153c)을 포함하여 액정패널(11)에 백색광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구동부(152)는 적색 발광소자에 제1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1구동소스(152a) 및 녹색 발광소자 및 청색 발광소자에 제2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2구동소스(152b)를 포함한다. 특히, 제1구동소스(152a)는 주위온도변화에 따라 연동되는 구동조건(구동전압, 구동전류 레벨)을 발생하여 적색 발광소자 스트링(153c)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위온도 변화에 따른 광도 및 휘도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적색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또한 주위온도 변화에 따른 청색과 녹색의 휘도변화 추이가 대략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것과 달리 적색의 휘도변화 추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상이하기 때문에, 적색 발광소자에 구동전원을 온도에 연동하여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온도변화로 인한 색좌표의 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센싱부(154)는 온도 센싱부(154a)를 포함한다. 온도 센싱부(154a)는 백라이트(153)의 적색 발광소자 스트링(153c)의 온도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정보를 백라이트 제어부(151)에 제공하여 상기 제1구동전압에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온도 센싱부(154a)는 공지의 써미스터(Thermister)로 구현 가능하다. 물론 센싱부(154)는 필요에 따라 백라이트(153)로부터 발생되는 전체적인 광량이나 적색광, 청색광 및/또는 녹색광의 양을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백라이트 제어부(151)에 제공하는 광 센싱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백라이트 제어부(151)는 제어신호 생성부(151a), 알고리즘 처리부(151b), 비교부(151c) 및 타겟정보 저장부(151d)를 포함하여, 주위온도 변화에 따라 조절되는 가변 적색 제어신호(CS_R_variable), 가변 녹색 제어신호(CS_G_variable) 및 가변 청색 제어신호(CS_B_variable)를 발생한다.
타겟정보 저장부(151d)는 주위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최적의 화이트 목표 색좌표값 및 화이트 휘도값을 갖는 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도록 온도별 최적 적색량 정보, 최적 녹색량 정보 및 최적 청색량 정보를 저장한다. 온도별 최적 색상량 정보는 반복적인 실험 과정을 통해 미리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비교부(151c)는 온도 센싱부(154a)로부터의 온도 정보를 리드 어드레스로 하여 타겟정보 저장부(151d)로부터 그 온도에 대한 적색량 정보, 녹색량 정보 및 청색량 정보를 독출한다. 그리고 비교부(151c)는 독출된 녹색량 정보와 청색량 정보를 적색량 정보와 비교하여 주위온도변화로 인한 적색량 정보에 대한 오차량 정보(Error)를 산출한다.
알고리즘 처리부(151b)는 비교부(151c)로부터 오차량 정보(Error)를 입력받고, 이 오차량 정보(Error)에 포함된 차이값을 보상하기 위해 내장된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적색 발광소자, 녹색 발광소자 및 청색 발광소자에 인가될 구동조건(구동전압 및 구동전류)의 특성값을 연산한다. 예를 들어, 구동전류의 특성값은 발광소자의 PWM 듀티값 및/또는 구동전류 진폭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부(151a)는 알고리즘 처리부(151b)에서 연산된 구동조건에 기반하여 가변 적색 제어신호(CS_R_variable), 가변 녹색 제어신호(CS_G_variable) 및 가변 청색 제어신호(CS_B_variable)를 생성한다. 이러한 가변 제어신호는 발광소자의 구동전압, PWM 듀티비 및/또는 구동전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백라이트 구동부(152)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5)은 녹색 발광소자 및 청색 발광소자에 결합되는 구동소스와 별개로 적색 발광소자에 결합되는 또 다른 구동소스를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적색 발광소자의 휘도 감소를 보충할 수 있어 CIE1931 색좌표상에서 화이트 컬러 색좌표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온도 센싱부가 적색 발광소자의 온도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정보는 적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구동조건에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온도변화에 따른 휘도 감소가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온도변화에 따른 휘도 변화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녹색 발광소자 및 청색 발광소자는 하나의 구동소스에 연결되므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5)은 액정패널(11)의 측면 외곽에 발광소자를 배치하고 투명한 도광판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액정패널(11) 전면(全面)으로 입사시키는 에지형 방식, 액정패널의 배면(背面)에 광원을 배치하여 액정패널의 전면(全面)을 직접 조광하는 직하형 방식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인 발광소자 패키지를 살펴보면, 리드프레임(33) 상에 배치된 적색 발광소자(LED), 청색 발광소자(LED) 및 녹색 발광소자(LED)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20)는 화합물 반도체의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발광소자(2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불릴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화합물 반도체의 물질에 따라서 적색, 녹색 및 청색 등의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나아가, 리드프레임(33)에 결합되고, 상기 적색 발광소자, 상기 청색 발광소자 및 상기 녹색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방출될 개구를 갖는, 몰딩재(31, 32)가 제공된다. 발광소자들을 외부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몰딩재(32)에 의해 정된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에 발광소자들을 덮는 투광성 충전재(充塡材, 38)가 필요에 따라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적색 발광소자, 청색 발광소자 및 녹색 발광소자는 각 소자별로 패키지화될 수도 있다. 즉,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인 발광소자 패키지는, 적색 발광소자 패키지, 청색 발광소자 패키지 및 녹색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며, 각 발광소자 패키지는 개별적인 몰딩재와 리드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것과 같이 청색 발광소자 패키지와 녹색 발광소자 패키지를 구동하는 제2구동소스와 적색 발광소자 패키지를 구동하는 제1구동소스는 상호 분리된 개별적인 것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인 발광소자 패키지를 도해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5)은 백라이트 제어부(251), 백라이트 구동부(252), 백라이트(253), 및 센싱부(254)를 구비한다.
백라이트(253)는 다수의 적색 발광소자들이 직렬 접속된 적색 발광소자 스트링(253c), 다수의 청색 발광소자들이 직렬 접속된 청색 발광소자 스트링(253a) 및 이들 (253a,253c) 상에 배치되는 녹색 형광체(Phosphor)(253b)를 포함하여 액정패널(11)에 백색광을 조사한다. 녹색 형광체(253b)는 청색 발광소자들로부터 발생되는 광자(Photon)에 의해 여기(Excitation)되어 녹색의 형광색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청색 발광소자들로부터의 광량에 따라 그 광도(Luminous Intensity)가 결정된다. 한편, 녹색 형광체(253b)는 발광소자들과 함께 단일한 패키지로 형성되지 않고, 발광소자 패키지와는 별개로 도광판(에지형 방식) 표면 또는 확산판(에지형 방식 또는 직하형 방식) 표면 등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 구동부(252)는 적색 발광소자에 제1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1구동소스(252a) 및 청색 발광소자에 제2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2구동소스(252b)를 포함한다. 특히, 제1구동소스(252a)는 주위온도변화에 따라 연동되는 구동조건(구동전압, 구동전류 레벨)을 발생하여 적색 발광소자 스트링(253c)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위온도 변화에 따른 광도 및 휘도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적색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아울러 주위온도 변화에 따른 휘도 변화 추이가 청색과 녹색에 비해 적색에서 상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적색 발광소자에 구동전원을 온도에 연동하여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온도변화로 인한 색좌표의 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센싱부(254)는 온도 센싱부(254a)를 포함한다. 온도 센싱부(254a)는 백라이트(253)의 적색 발광소자 스트링(253c)의 온도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정보를 백라이트 제어부(251)에 제공하여 상기 제1구동전압에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온도 센싱부(254a)는 공지의 써미스터(Thermister)로 구현 가능하다. 물론 센싱부(254)는 필요에 따라 백라이트(253)로부터 발생되는 전체적인 광량이나 적색광, 청색광 및/또는 녹색광의 양을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백라이트 제어부(251)에 제공하는 광 센싱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백라이트 제어부(251)는 도 4에서 개시한 백라이트 제어부(151)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5)은 청색 발광소자에 결합되는 구동소스와 별개로 적색 발광소자에 결합되는 또 다른 구동소스를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적색 발광소자의 휘도 감소를 보충할 수 있어 CIE1931 색좌표상에서 화이트 컬러 색좌표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온도 센싱부가 적색 발광소자의 온도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정보는 적색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구동조건에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인 발광소자 패키지를 살펴보면, 리드프레임(33) 상에 배치된 적색 발광소자(LED) 및 청색 발광소자(LED)가 개시된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는 화합물 반도체의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발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로 불릴 수 있다. 나아가, 리드프레임(33)에 결합되고, 상기 적색 발광소자 및 상기 청색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방출될 개구를 갖는, 몰딩재(31, 32)가 제공된다. 발광소자들을 외부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몰딩재(32)에 의해 정된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에 발광소자들을 덮으며 녹색 형광체가 함유된 투광성 충전재(充塡材, 39)가 제공된다. 상기 녹색 형광체는 청색 발광소자들로부터 발생되는 광자(Photon)에 의해 여기(Excitation)되어 녹색의 형광색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청색 발광소자들로부터의 광량에 따라 그 광도(Luminous Intensity)가 결정된다.
물론 도 7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적색 발광소자와 청색 발광소자는 각 소자별로 패키지화될 수도 있다. 즉,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인 발광소자 패키지는, 적색 발광소자 패키지와 청색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며, 각 발광소자 패키지는 개별적인 몰딩재와 리드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청색 발광소자 패키지는 청색 발광소자를 덮는 충전재에 녹색 형광체가 혼입되도록 하여, 청색과 녹색이 섞인 광이 최종적으로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것과 같이 청색 발광소자 패키지를 구동하는 제2구동소스와 적색 발광소자 패키지를 구동하는 제1구동소스는 상호 분리된 개별적인 것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 액정패널
15 : 백라이트 유닛
151, 251 : 백라이트 제어부
152, 252 : 백라이트 구동부
153, 253 : 백라이트
154, 254 : 센싱부

Claims (8)

  1. 적색 발광소자, 청색 발광소자 및 녹색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상기 적색 발광소자에 제1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1구동소스; 및
    상기 청색 발광소자 및 상기 녹색 발광소자에 제2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2구동소스;
    를 구비하고,
    상기 적색 발광소자의 온도 정보를 측정하는 온도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전압은 상기 온도 센싱부가 측정한 상기 적색 발광소자의 온도 정보에 연동되는, 백라이트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소스와 상기 제2구동소스는 독립하여 서로 별개인, 백라이트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는,
    리드프레임;
    상기 리드프레임 상에 배치된 상기 적색 발광소자, 상기 청색 발광소자 및 상기 녹색 발광소자; 및
    상기 리드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적색 발광소자, 상기 청색 발광소자 및 상기 녹색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방출될 개구를 갖는, 몰딩재;
    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적색 발광소자, 청색 발광소자 및 녹색 형광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상기 적색 발광소자에 제1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1구동소스; 및
    상기 청색 발광소자에 제2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2구동소스;
    를 구비하고,
    상기 적색 발광소자의 온도 정보를 측정하는 온도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전압은 상기 온도 센싱부가 측정한 상기 적색 발광소자의 온도 정보에 연동되는, 백라이트 유닛.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소스와 상기 제2구동소스는 독립하여 서로 별개인, 백라이트 유닛.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는,
    리드프레임;
    상기 리드프레임 상에 배치된 상기 적색 발광소자 및 상기 청색 발광소자;
    상기 리드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적색 발광소자 및 상기 청색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방출될 개구를 갖는, 몰딩재; 및
    상기 녹색 형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를 충전하는 충전재;
    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20156150A 2012-12-28 2012-12-28 백라이트 유닛 KR101469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150A KR101469047B1 (ko) 2012-12-28 2012-12-28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150A KR101469047B1 (ko) 2012-12-28 2012-12-28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088A KR20140086088A (ko) 2014-07-08
KR101469047B1 true KR101469047B1 (ko) 2014-12-04

Family

ID=5173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150A KR101469047B1 (ko) 2012-12-28 2012-12-28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0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0764A (ja) * 2005-09-30 2009-03-12 ソウ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光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lcdバックライト
KR20090028124A (ko) * 2007-09-14 200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구동방법
JP2009528566A (ja) * 2006-03-02 2009-08-06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駆動方法
KR101146097B1 (ko) * 2011-02-21 2012-05-16 주식회사 루멘스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0764A (ja) * 2005-09-30 2009-03-12 ソウ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光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lcdバックライト
JP2009528566A (ja) * 2006-03-02 2009-08-06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駆動方法
KR20090028124A (ko) * 2007-09-14 200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구동방법
KR101146097B1 (ko) * 2011-02-21 2012-05-16 주식회사 루멘스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088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466B1 (ko)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및 이의 구동방법
US10466534B2 (en)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1432817B1 (ko) 액정 표시 장치
TWI393100B (zh)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521098B1 (ko) 광원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JP4720782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9053687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0067596A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20090053372A (ko)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9350959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10235551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30026387A (ko) 광원장치
US7145529B2 (en) Method and drive means for color correction in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8400394B2 (en) Backlight unit assembly,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dimming method thereof
WO2016189997A1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20140111876A (ko) 표시 장치
KR10144138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00027895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989958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ontrol substrate configured to control drive of display pixels
US978838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for an optical display system
KR101469047B1 (ko) 백라이트 유닛
US20160180778A1 (en) Light genera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90004016A (ko)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JP2008078410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1022360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