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414B1 -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414B1
KR101468414B1 KR20140035125A KR20140035125A KR101468414B1 KR 101468414 B1 KR101468414 B1 KR 101468414B1 KR 20140035125 A KR20140035125 A KR 20140035125A KR 20140035125 A KR20140035125 A KR 20140035125A KR 101468414 B1 KR101468414 B1 KR 101468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location
acoustic featur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이터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이터스퀘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이터스퀘어
Priority to KR2014003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8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특징을 가지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송출장치; 기 획득된 모바일 단말의 제1 위치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집되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의 특징에 상응하는 음향특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2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서버; 및 상기 결정된 제2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osition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모바일 단말로 해당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최근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운영체제가 적용된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단말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에서는 모바일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처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모바일 단말은 GPS 기능 등 해당 기기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및 서비스들이 나타나고 있다.
기존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GPS, 와이파이,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2차원 상의 대략적인 위치만을 확인할 수 있고, 오차가 많으며, 같은 건물 내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층수나 건물 내의 어느 공간에 있는지는 파악할 수가 없는 단점들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하는 차량 내에 있는 경우와 같이 위치가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공간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모바일 단말로 해당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특징을 가지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송출장치; 기 획득된 모바일 단말의 제1 위치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집되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의 특징에 상응하는 음향특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2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서버; 및 상기 결정된 제2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가청 대역의 음향의 특징은, 주파수, 송출 패턴, 및 그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정보는, GPS, 와이파이, 및 모바일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정보는 상기 제1 위치정보보다 더 높은 위치 정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수집되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음향특징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위치결정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검출된 음향특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정보, 각 제1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특징정보 및 각 음향특징정보에 대응하는 제2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획득된 제1 위치정보 및 음향특징정보를 상기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2 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상의 일정 구역을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 정보를 더 저장하고, 각 구역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특징정보가 대응되며, 상기 제2 위치정보는 상기 일정 구역 내의 일정 공간을 가리키는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정 공간은 층 또는 벽으로 분리된 실내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공간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공간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푸시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은, 미리 정해진 특징을 가지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송출하는 단계; 기 획득된 모바일 단말의 제1 위치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집되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의 특징에 상응하는 음향특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2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수집되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음향특징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검출된 음향특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정보, 각 제1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특징정보 및 각 음향특징정보에 대응하는 제2 위치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2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획득된 제1 위치정보 및 음향특징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2 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상의 일정 구역을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 정보가 더 저장되고, 각 구역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특징정보가 대응되며, 상기 제2 위치정보는 상기 일정 구역 내의 일정 공간을 가리키는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정 공간은 층 또는 벽으로 분리된 실내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모바일 단말로 해당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하거나 이동하는 공간, 예컨대 층 또는 벽으로 분리된 실내 공간에 따라 해당 공간에 상응하는 적절한 정보를 즉각적,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또는 주변 환경과 보다 밀접하게 관련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장소에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송출장치만 설치하면 되고 사용자가 별도의 장비를 소지할 필요가 없이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기존의 모바일 단말만으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설치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보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송출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200)에 설치되는 위치 인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400)에 구역 정보, 음향특징정보, 및 상세위치정보가 저장되는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각 사용자에게 각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에 상응하는 정보가 제공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음향송출장치(100), 모바일 단말(200), 위치결정서버(300),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400), 정보제공서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바일 단말(200)은 이동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로, 어떤 운영체제를 가지며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고 각종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이 설치 가능한 여하한 형태의 단말을 포함하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기존에 널리 알려진 위치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200)은, GPS(10)를 이용하거나, 와이파이(20)를 이용하거나, 기지국(30)을 통한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렇게 얻어지는 위치정보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위치정보와 구별하기 위하여, '기본위치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모바일 단말(200)에서 얻어지는 기본위치정보는 예컨대, 위도 및 경도 좌표, 또는 행정구역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본위치정보는 통상적으로 상당한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송출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또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장소 또는 공간에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특징을 가지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송출한다. 가청 대역은 보통 20Hz ~ 20kHz 범위의 주파수대인 바, 음향송출장치(100)는 20kHz 이상의 음향, 예컨대 20kHz ~ 30kHz 주파수대의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향송출장치(100)에서 송출되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의 특징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특징은 예컨대, 주파수, 음향의 송출 패턴,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즉, 음향송출장치(100)는 해당 장소 또는 공간에 대응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범위), 또는 특정 반복 패턴, 또는 그 조합을 가지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음향송출장치(100)의 구체적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모바일 단말(200)은 음성통화 또는 녹음을 위한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데, 보통 이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는 가청 대역의 음향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비가청 대역의 음향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송출장치(100)에서 송출되는 음향이 도달되는 곳에 존재하는 모바일 단말(200)은,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향송출장치(100)에서 송출되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수집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이렇게 수집되는 음향을 분석하여, 수집된 음향으로부터 주파수 또는 송출 패턴에 해당하는 음향특징정보를 검출한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단말(200)에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수집하고 이로부터 음향특징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기능은 모바일 단말(200)에 기본적으로 탑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위한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음향송출장치(100)는 사용자(또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장소 또는 공간마다 각각 설치되며, 어떤 일정 구역 내에서 각 음향송출장치가 송출하는 음향의 특징이 서로 다르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A 공간에 설치된 제1 음향송출장치는 제1 패턴을 가지는 음향을 송출하고, B 공간에 설치된 제2 음향송출장치는 제2 패턴을 가지는 음향을 송출한다. 일반적으로 음향이 도달하는 거리는 한계가 있으므로, A 공간과 B 공간이 어느 정도 떨어져 있다면 A 공간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과 B 공간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에서는 각각 제1 패턴의 음향과 제2 패턴의 음향이 수집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와 같이 각 모바일 단말에서 수집된 음향의 특징을 이용하여 각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본위치정보'와 구별하기 위하여,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상세위치'라 칭하기로 한다. 음향송출장치는 이미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고, 일반적으로 음향이 도달하는 거리는 GPS, 와이파이,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인식되는 위치의 오차 범위보다 작으므로, 상세위치는 기본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 정밀도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음향의 세기 또는 에너지에 따라서 음향이 도달하는 거리가 달라지므로, 음향의 세기 또는 에너지를 조절하여 위치 정밀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음향은 층 또는 벽의 투과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어떤 복수의 공간들이 인접하여 있다고 하더라도 층 또는 벽으로 분리되어 있다면, 각 공간에 서로 다른 특징의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송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이 위치하는 공간을 구별할 수 있다. 예컨대, A 공간과 B 공간이 인접하여 있지만 서로 다른 층이거나 벽으로 분리되어 있다고 하자. A 공간에 제1 패턴을 가지는 음향을 송출하는 제1 음향송출장치를 설치하고, B 공간에 제2 패턴을 가지는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송출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A 공간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과 B 공간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에서는 각각 제1 패턴의 음향과 제2 패턴의 음향이 수집될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에서 수집되는 음향의 특징을 확인하면 해당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음향송출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음향의 음향특징정보가 검출되면, 현재 자신의 기본위치정보와 음향특징정보를 예컨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위치결정서버(300)로 전송한다. 기본위치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위도 및 경도 좌표, 또는 행정구역 등일 수 있으며, 음향특징정보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검출된 주파수, 음향의 송출 패턴,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위치결정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기본위치정보와 음향특징정보가 수신되면, 기본위치정보와 음향특징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단말(200)의 상세위치정보를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400)가 기본위치정보와 음향특징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상세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위치결정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얻은 기본위치정보와 음향특징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조회하여 상세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세위치정보는 일정 공간을 가리키는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세위치정보는, 어떤 건물의 몇층 몇호라든가, 어떤 건물의 어느 매장이라든가, 어떤 쇼핑몰의 어느 매장이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해당 공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송출장치가 설치된다. 나아가서, 음향송출장치(100)는 고정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중인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음향송출장치(100)는 기차 또는 지하철의 특정 칸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세위치정보는 어떤 기차 또는 지하철의 어느 칸이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음향송출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이면 어디든 해당 공간이 사용자의 상세위치로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음향송출장치(100)에서 송출되는 음향의 구별될 수 있는 특징은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즉, 주파수 범위, 주파수 대역, 송출 패턴, 또는 그 조합의 개수는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음향송출장치의 음향 특징을 결정함에 있어서, 2차원 지도를 일정 구역으로 나누어, 동일한 구역 내에 설치되는 음향송출장치의 음향 특징은 서로 다르도록 하지만 서로 다른 구역 내에 설치되는 음향송출장치의 음향 특징은 중복이 가능하도록 한다. 2차원 지도를 일정 구역으로 나누는 것은, 기본위치정보, 예컨대 위도 및 경도 좌표, 또는 행정구역 등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200)에서 얻어진 기본위치정보는 2차원 상의 일정 구역에 포함될 수 있고, 어떤 일정 구역을 가리키는 구역 정보와 직접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200)에서 얻어진 기본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어떤 구역에 있는지 식별되고, 해당 구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상세위치가 음향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도 4는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400)에 구역 정보, 음향특징정보, 및 상세위치정보가 저장되는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구역 1, 구역 2 등으로 표시된 구역 정보는 각 구역에 해당하는 위도 및 경도 좌표의 범위, 또는 행정구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각 구역에는 해당 구역에 속한 음향특징정보와 해당 음향특징정보가 가리키는 공간 정보의 목록이 매칭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역 내의 음향특징정보는 상이하나, 서로 다른 구역 간에는 음향특징정보가 중복될 수 있다. 예컨대, 음향특징 1-1과 음향특징 2-2는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200)의 기본위치정보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200)이 구역 1에 있는지 구역 2에 있는지 이미 식별되었으므로, 공간 A와 공간 Y가 혼동될 염려는 크지 않다. 다만 모바일 단말(200)에서 얻어지는 기본위치정보에 어느 정도 오차가 있는 점을 감안하여, 서로 인접한 구역 간에는 음향특징정보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고, 서로 인접하지 않는 구역에 한하여 음향특징정보가 중복이 되게 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위치결정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얻어진 기본위치정보와 음향특징정보를 가지고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400)를 조회하여, 기본위치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단말(200)이 어느 구역에 위치하는지 파악하고, 음향특징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단말(200)이 해당 구역의 어느 공간에 있는지를 파악하여, 모바일 단말(200)의 상세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의 상세위치정보가 결정되면, 위치결정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의 식별정보와 상세위치정보를 정보제공서버(500)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위치결정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의 상세위치정보를 모바일 단말(20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 또는 공간을 명확히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200)의 식별정보와 상세위치를 전달받은 정보제공서버(500)는 해당 모바일 단말(200)로 그 상세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정보제공서버(500)는 해당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로 푸시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자 측에 푸시 서버가 더 구비되거나 정보제공서버(500)가 푸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세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상세위치가 특정 음식점일 경우 해당 음식점의 메뉴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상세위치가 특정 매장일 경우, 해당 매장의 할인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상세위치가 지하철 내일 경우 해당 차량이 정차할 지하철역의 환승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상세위치가 특정 병원일 경우, 현재의 대기환자수 및 대기예상시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위치가 특정 영화관일 경우, 해당 영화관의 상영영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처럼 정보제공서버(500)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에 상응하는 정보라면 어떤 정보든 제공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공되는 정보의 형태나 인식되는 공간의 유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치결정서버(300) 또는 정보제공서버(500) 측에, 각 모바일 단말의 식별정보와 위치결정서버(300)를 통하여 확인된 각 모바일 단말의 상세위치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상세위치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 상세위치 데이터베이스는 각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정보제공서버(500)를 통하여 각 사용자에게 제공된 정보의 내역 등의 부가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누적 저장된 정보들은 각 사용자에게 공간 맞춤형 및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송출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음향송출장치(100)는 전원장치(110), 음향 생성부(120), 및 스피커(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원장치(110)는 음향송출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 소스는 110V 또는 220V의 일반 전원일 수도 있고,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전지일 수도 있다. 음향 생성부(120)는 미리 정해진 특징, 예컨대 특정 주파수 또는 특정 패턴의 음향을 생성한다. 음향 생성부(120)는 전류의 파형을 통하여 특정 주파수 또는 특정 패턴의 음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전류의 세기를 통하여 음향의 세기 또는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음향 생성부(120)는 예컨대 수정과 같은 발진자를 구비할 수 있다. 스피커(130)는 음향 생성부(120)에서 생성되는 음향을 공간으로 송출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음향송출장치(100)에서 송출되는 음향이 도달하는 거리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자 하는 공간이 비교적 큰 경우라면, 해당 공간에 동일한 특징의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송출장치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200)에 설치되는 위치 인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구체적인 구성으로,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210), 음향 분석 모듈(220), 위치 및 음향정보 제공 모듈(230), 위치 정보 저장 모듈(240), 및 위치기반 정보 수신 모듈(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모바일 단말(200)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음성통화 또는 녹음을 위한 마이크일 수 있다. 다만, 위치 인식을 위한 별도의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요구될 수 있다.
음향 분석 모듈(220)은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210)를 통하여 들어오는 음향에서 필터링을 통하여 위치 인식에 사용되는 비가청 대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비가?? 대역의 음향을 분석하여 주파수 또는 패턴과 같은 음향특징정보를 검출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음향 분석 모듈(220)은 검출된 음향특징정보가 유의미한 값인지 검증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음향 분석 모듈(220)은 음향특징정보가 유의미한 값이 되기 위한 주파수나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미리 보유할 수 있다.
위치 및 음향정보 제공 모듈(230)은 음향 분석 모듈(220)에서 검출된 음향특징정보(또는 유의미한 값으로 검증된 음향특징정보)를 모바일 단말(200)에서 이미 획득된 기본위치정보와 함께 위치결정서버(300)로 예컨대 모바일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전송한다.
위치 정보 저장 모듈(240)은 위치결정서버(300)로부터 상세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세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상세위치정보는 누적되는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과거에 저장된 정보는 삭제될 수 있다. 필요 또는 설정에 따라서, 수신된 상세위치정보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출될 수 있다.
위치기반 정보 수신 모듈(250)은 정보제공서버(250)로부터 전송되는 상세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필요 또는 설정에 따라서, 수신된 정보는 모바일 단말(200)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정보제공서버(25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출될 수 있다.
전술한 위치 인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전부 또는 일부의 모듈들은 모바일 단말(200)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모듈로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위치 인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200)에서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주기적, 계속적으로 음향을 수집하다가, 유의미한 값의 음향특징정보가 검출될 경우 이를 기본위치정보와 함께 위치결정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단말(200)의 상세위치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위치 인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200)에서 포어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되거나, 다른 포어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실행 명령 또는 다른 포어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에 응해서, 음향을 수집하여 유의미한 값의 음향특징정보가 검출될 경우 이를 기본위치정보와 함께 위치결정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단말(200)의 상세위치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각 사용자(모바일 단말)에게 각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에 상응하는 정보가 제공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 A, B, C는 모두 한 건물에 있으며, 방 A와 방 B는 1층에 있고 벽을 통하여 서로 구분되고, 방 C는 2층에 있어서 방 A 및 B와 층을 통하여 구분된다.
방 A, B, 및 C 각각에 마련되는 음향송출장치들(100-1, 100-2, 및 100-3)은 각각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는 음향들, 예컨대, 패턴 1, 패턴 2, 및 패턴 3의 음향을 송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400)에는 패턴 1, 패턴 2 및 패턴 3에 대응하여 방 A, 방 B, 방 C를 각각 나타내는 공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방 A에 있는 모바일 단말(200-1)에서는 음향송출장치(100-1)가 송출하는 음향이 수집되고, 패턴 1에 해당하는 음향특징정보가 검출된다. 검출된 음향특징정보가 위치결정서버(300)로 전송되면, 위치결정서버(300)는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400)를 조회하여 모바일 단말(200-1)의 상세위치를 '방 A'로 결정한다. '방 A'에 해당하는 상세위치정보가 정보제공서버(500)로 전달되면, 정보제공서버(500)는 방 A에 상응하는 정보를 선별하여 모바일 단말(200-1)로 전송한다.
방 B에 있는 모바일 단말(200-2)에서는 음향송출장치(100-2)가 송출하는 음향이 수집되고, 패턴 2에 해당하는 음향특징정보가 검출된다. 검출된 음향특징정보가 위치결정서버(300)로 전송되면, 위치결정서버(300)는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400)를 조회하여 모바일 단말(200-2)의 상세위치를 '방 B'로 결정한다. '방 B'에 해당하는 상세위치정보가 정보제공서버(500)로 전달되면, 정보제공서버(500)는 방 B에 상응하는 정보를 선별하여 모바일 단말(200-1)로 전송한다.
방 C에 있는 모바일 단말(200-3)에서는 음향송출장치(100-3)가 송출하는 음향이 수집되고, 패턴 3에 해당하는 음향특징정보가 검출된다. 검출된 음향특징정보가 위치결정서버(300)로 전송되면, 위치결정서버(300)는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400)를 조회하여 모바일 단말(200-3)의 상세위치를 '방 C'로 결정한다. '방 C'에 해당하는 상세위치정보가 정보제공서버(500)로 전달되면, 정보제공서버(500)는 방 C에 상응하는 정보를 선별하여 모바일 단말(200-1)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전술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에도 적용된다.
610단계에서, 음향송출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특징을 가지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송출한다.
62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음향을 수집한다.
63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수집된 음향을 분석하여 음향특징정보를 검출한다.
64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GPS 또는 와이파이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획득된 기본위치정보와 630단계를 통하여 검출된 음향특징정보를 위치결정서버(300)로 전송한다.
650단계에서, 위치결정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받은 기본위치정보와 음향특징정보를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조회하여, 모바일 단말(200)의 상세위치를 결정한다.
660단계에서, 위치결정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 식별정보와 상세위치정보를 정보제공서버(500)에 전달한다.
670단계에서, 정보제공서버(500)는 모바일 단말(200)의 상세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획득 또는 선별한다.
680단계에서, 정보제공서버(500)는 모바일 단말(200)의 상세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한다.
69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정보제공서버(5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출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특징을 가지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송출장치;
    GPS, 와이파이, 및 모바일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 획득된 모바일 단말의 제1 위치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집되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의 특징에 상응하는 음향특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2 위치정보-여기서, 상기 제2 위치정보는 상기 제1 위치정보보다 더 높은 위치 정밀도를 가짐-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서버;
    복수 개의 제1 위치정보들,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치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음향특징정보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음향특징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2 위치정보들-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치정보들 중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제1 위치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음향특징정보는 동일함-을 저장하는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결정된 제2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제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획득된 제1 위치정보 및 음향특징정보를 상기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2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청 대역의 음향의 특징은, 주파수, 송출 패턴, 및 그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수집되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음향특징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위치결정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검출된 음향특징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상의 일정 구역을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 정보를 더 저장하고, 각 구역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특징정보가 대응되며, 상기 제2 위치정보는 상기 일정 구역 내의 일정 공간을 가리키는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공간은 층 또는 벽으로 분리된 실내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공간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공간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푸시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1.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특징을 가지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송출하는 단계;
    GPS, 와이파이, 및 모바일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 획득된 모바일 단말의 제1 위치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집되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의 특징에 상응하는 음향특징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2 위치정보-여기서, 상기 제2 위치정보는 상기 제1 위치정보보다 더 높은 위치 정밀도를 가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제1 위치정보들,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치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음향특징정보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음향특징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2 위치정보들-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치정보들 중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제1 위치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음향특징정보는 동일함-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2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획득된 제1 위치정보 및 음향특징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2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수집되는 비가청 대역의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음향특징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검출된 음향특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상의 일정 구역을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 정보가 더 저장되고, 각 구역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특징정보가 대응되며, 상기 제2 위치정보는 상기 일정 구역 내의 일정 공간을 가리키는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공간은 층 또는 벽으로 분리된 실내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KR20140035125A 2014-03-26 2014-03-26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6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5125A KR101468414B1 (ko) 2014-03-26 2014-03-26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5125A KR101468414B1 (ko) 2014-03-26 2014-03-26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414B1 true KR101468414B1 (ko) 2014-12-15

Family

ID=5267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5125A KR101468414B1 (ko) 2014-03-26 2014-03-26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4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704A (ko) * 2011-12-07 2013-06-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음파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704A (ko) * 2011-12-07 2013-06-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음파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5936A1 (en) Server for grouping devices based on sounds collected and method therefor
US95094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via a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RF communication devices and modulated beacon light sources
KR10225130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 설치 장치 및 방법
JP6692881B2 (ja) ビーコンネットワーク及びその使用方法
US9277524B2 (en) Cooperative localiz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1452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mobile wireless unit position in a localized area
KR20140068809A (ko) 위치 결정 시스템 및 방법과, 계산 장치 어플리케이션들의 위치 기반 수정
KR20140098615A (ko)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KR20230073169A (ko)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장치, 초음파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1034285B (zh) 具有从移动设备获得的位置坐标的电子设备
CN105277936A (zh) 一种基于手机的测距系统和方法
KR101429222B1 (ko) 그룹 이탈자 인지 시스템 및 방법
EP2653881B1 (en) Cooperative localiz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468414B1 (ko)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899194B2 (ja) 端末、ネットワーク装置、該端末と該ネットワーク装置とからなるネットワーク装置検索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装置検索方法
KR101228749B1 (ko) 가청 주파수를 이용한 위치 감지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 매체
KR101188538B1 (ko) 위치 기반의 알람 시스템, 위치 기반의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 및 위치 기반의 알람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514659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音響信号出力装置、コンピュータ用プログラム、携帯機器用プログラム、データ伝送方法及び情報取得方法
KR102250572B1 (ko)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323845B2 (en) Reverse-beacon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existing detection fields
CN108872938B (zh) 用于定位的方法和具有用于定位的装置的定位系统
KR20150122368A (ko)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는 카드 혜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553191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위치인식 시스템 및 방법
JP5969937B2 (ja) 複数の信号出力装置を管理するためのサーバー装置及び携帯機器用プログラム
KR101697145B1 (ko) 유선 통신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