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615A -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615A
KR20140098615A KR1020130011498A KR20130011498A KR20140098615A KR 20140098615 A KR20140098615 A KR 20140098615A KR 1020130011498 A KR1020130011498 A KR 1020130011498A KR 20130011498 A KR20130011498 A KR 20130011498A KR 20140098615 A KR20140098615 A KR 20140098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itting parameter
server
parameter model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412B1 (ko
Inventor
김유나
김양욱
김익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412B1/ko
Priority to US14/085,234 priority patent/US9439009B2/en
Priority to AU2013377215A priority patent/AU2013377215B2/en
Priority to CN201380072081.XA priority patent/CN104969580B/zh
Priority to EP13873235.9A priority patent/EP2952020B1/en
Priority to PCT/KR2013/011889 priority patent/WO2014119845A1/en
Publication of KR20140098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7Use of position data from wide-area or local-area positioning systems in hearing devices, e.g. program or information sel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응답하여,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보청기에 설정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Method for fitting hearing aid connected to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향 기기의 사용, 노인 인구 비중의 증가, 및 소음 환경의 증대로 인하여 난청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난청 인구의 증가에 따른 보청기의 수요 증가와 디지털 보청기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의 일상 생활의 다양한 상황과 환경에 맞게 피팅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고성능의 보청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상기 연결된 보청기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보청기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는 보청기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맵핑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해당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연결된 보청기에 상기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에 기재된 바에 의하면,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맞게 피팅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최적화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로 피팅된 보청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은 위치 특성 및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피팅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로, 보청기는 사용자의 일상 생활의 다양한 상황과 다양한 환경에 맞게 피팅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에 맞게 피팅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보청기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보청기를 피팅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각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각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피팅 모드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자동 피팅 모드에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자동 피팅 모드에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자동 피팅 모드에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자동 피팅 모드에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보청기 사용자에게 에러 지역임을 알려주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보청기의 이상이 발생한 에러 지역을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수동 피팅 모드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보청기를 피팅하고, 위치 정보와 함께 피팅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서버에 업로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보청기를 피팅하고, 위치 정보와 함께 피팅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서버에 업로드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버에서 제공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보청기에 피팅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버로부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테스트 사운드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보청기를 피팅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에서 GPS를 이용하여 보청기(300)를 피팅하는 환경은 이동 단말기(100), 서버(200) 및 보청기(300)로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는 하나의 이동 단말기(100)와 하나의 서버(200)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이동 단말기(100)들이 다수의 서버(200)들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보청기(30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에 제공하고, 서버(200)로부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한다. 또, 이동 단말기(100)는 탐색을 통해 연결된 보청기(300)를 제어하여 원하는 피팅 파라미터 값을 보청기(300)에 설정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보청기(300)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성을 갖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구성과 관련해서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서버(20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200)는 위치 별로 맵핑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청력 특성과 함께 저장한다. 또한, 서버(200)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의 상황 정보와 테스트 사운드, 만족도 평가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버(200)는 위치 별로 보청기의 이상이 발생한 이력 및 에러 지역(error zone)을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서버(200)는 각각에 마련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유,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직렬 통신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network)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보청기(300)는 청력 손실로 인하여 사용자가 잘 들을 수 없는 소리에 대해서 사용자가 잘 들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보청기(300)는 사용자 주변 소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소리를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값들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는 소리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3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로 피팅 파라미터 값들이 설정되고,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따라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보청기(300)에 피팅된 일련의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값들을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라고 한다. 피팅 파라미터 값들은 각 채널 별, 각 주파수 별로 결정될 수 있다. 피팅 파라미터 값들은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값들로,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는 소리를 출력하기 위해서 조정된 값들을 나타낸다.
사용자의 청력 특성은 어느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어느 정도의 크기까지 들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가리킨다. 보청기(300)가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가장 잘 보상하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피팅 파라미터 값들은 사용자의 청력 특성 및 사용 환경 등에 기초하여 세밀하게 피팅된 값들로 결정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페어링을 통해서 보청기(300)를 탐색하고 탐색된 보청기(300)에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보청기(300)는 각각에 마련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FD(Wi-Fi Direc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각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각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제공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A, B, C, D는 GPS(110)를 이용하여 서버(200)로부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 B, C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경우, 사용자 A, B, C의 각각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획득되는 위치 정보는 동일할 것이다. 사용자 A, B가 동일한 청력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 C는 사용자 A, B와 다른 청력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서버(200)는 사용자 A, B가 동일한 위치 정보 및 동일한 청력 특성을 가지므로, 사용자 A, B에 동일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 #1을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C는 서버(200)으로부터 다른 피팅 파라미터 모델 #2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A가 수신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 #1에 불편함을 느끼고, 사용자 A의 이동 단말기의 피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A의 보청기의 피팅을 다시 수행하고, 피팅 결과 획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 #3를 서버(20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B는 이전에 수신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 #1 대신에 서버(200)로부터 동일한 청력 특성의 사용자 A가 업로드 한 더 정확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 #3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사용자 A로부터 업로드 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이전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과 비교하여 해당 지역에서 저주파 대역의 소리가 잘 안 들리는 사실을 분석하여, 서버(200)에 저장된 피팅 파리미터 모델 #2에서 저주파 대역의 소리의 강도를 수정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 #4를 생성하고, 사용자 C에 피팅 파라미터 모델 #4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사용자들은 GPS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위치 특성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서버(200)에 등록하고, 등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서버(200)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지역이 야구장인 경우, 서버(200)는 야구장의 위치 특성이 고려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지역이 콘서트장인 경우, 서버(200)는 콘서트장의 위치 특성이 고려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러한 해당 지역의 위치 특성이 고려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다른 사용자들과 서버(200)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D는 사용자 A, B, C와 다른 지역에 있고, 해당 지역에서 보청기(300)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사실을 확인하고, 사용자 D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D로부터 신고된 보청기의 이상이 발생한 지역을 에러 지역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A, B, C가 현재 사용자 D의 위치에 진입할 때, 해당 위치가 에러 지역에 해당함을 경고해주는 메시지를 사용자 A, B, C의 단말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보청기 제조사 별로 서버(200, 210)를 운영하여, 해당 사용자의 보청기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기록 매체와 관련된 실시예들은 도 2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실시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GPS(110), 통신 인터페이스부(120), 설정부(130), 프로세서(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및 메모리(16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상황 정보 획득부(170) 또는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획득하는 이동 정보 획득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1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GPS(110)는 복수 개의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대상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획득되는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고도, 속도, 방위각과 같은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GPS(110)는 위치 정보를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한 하나의 좌표의 형태로 획득하고, 이동 단말기(100)는 좌표의 형태로 획득된 위치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GPS(110)는 GPS(110)의 위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위치 정보로 더 이용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이외에 사용자의 청력 특성, 사용자의 상황 정보 또는 이동 정보 등을 더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 또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 또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직접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거나, 또 다른 서버를 통해 청력 특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6c를 참조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보청기(300)의 피팅을 수행하고, 피팅한 위치 정보 및 피팅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서버(200)로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서버(200)로 피팅 시의 상황 정보를 더 업로드 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서버(200)로부터 피팅 파라미터 모델 또는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대응되는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 또는 보청기의 이상이 발생한 이력이 있는 에러 지역(error zone)임을 알려주는 경고 메시지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유,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직렬 통신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network)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보청기(300)를 탐색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보청기(30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FD(Wi-Fi Direc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다.
설정부(130)는 연결된 보청기(300)에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 보청기(300)는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프로세서(140)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부(130)와 프로세서(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프로세서로 동작할 수도 있으나, 프로세서(140)에 포함된 형태로 한 개의 프로세서로 동작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된 피팅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피팅 모드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알림 모드의 온/오프 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알림 모드의 설정에 따라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자동 피팅 모드에서 현재 설정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자동으로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한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서버(200)와의 통신, 보청기(300)의 제어, 데이터 통신, 음성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140)는 이동 단말기(100)는 GPS(110), 통신 인터페이스부(120), 설정부(130), 프로세서(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및 메모리(160), 상황 정보 획득부(170) 및 이동 정보 획득부(18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출력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H/W 버튼 등의 입력 장치, 터치 화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의 출력 장치 및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가 결합된 형태의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통상적인 저장매체로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과 사용자의 청력 특성 등과 같은 데이터 또는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값들을 설정하는 피팅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6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및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DD)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황 정보 획득부(170)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상황 정보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surroundings), 경우(occasion) 및 상황(situation)을 나타내는 정보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마이크(172) 또는 카메라(171)를 통해서 획득되거나, 보청기(300)의 마이크로폰(미도시)을 통해서 획득되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카메라(171)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71)는 화상을 획득하는 촬영 장치 및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획득된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72)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획득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처리한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의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172)는 외부 음향을 획득하는 마이크로폰 및 잡음(noise)을 제거하고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보청기(300)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양이 보청기를 이용하여 상황 정보를 좌측, 우측 각각 분리하여 획득된 소리를 얻을 수 있다.
이동 정보 획득부(180)는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획득한다. 이동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이동 방향 등의 사용자의 이동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도 센서(181) 또는 지자기 센서(182)를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81)는 이동 단말기(100)에 가해지는 진동, 충격이나, 이동 단말기(100)의 속도의 변화 등을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이동 상태나 운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82)는 지자기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410 단계에서 GPS(1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획득되는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고도, 속도, 방위각과 같은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GPS(110)는 위치 정보를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한 하나의 좌표의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420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이외에 사용자의 청력 특성, 사용자의 상황 정보, 또는 사용자의 이동 정보 등을 더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한다.
430 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정된 피팅 모드가 자동 피팅 모드인지 수동 피팅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피팅 모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자동으로 변경할 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 설정된 피팅 모드가 자동 피팅 모드인 경우, 340 단계로 진행하고, 수동 피팅 모드인 경우, 370 단계로 진행한다.
440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한다. 이때, 서버(200)는 위치 별로 맵핑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청력 특성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청력 특성 이외에 상황 정보나 만족도 평가 등과 함께 더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8 내지 도 20을 참조한다.
450 단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대응하여, 설정부(130)는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연결된 보청기(300)에 설정한다.
자동 피팅 모드에서는 이상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자동으로 변경된다.
460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470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수동 피팅 모드일 경우,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설정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개입이 요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피팅 모드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화면(510)은 사용자가 보청기(300)의 수동 피팅 모드와 자동 피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피팅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화면(510)에서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자동 피팅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피팅 모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자동으로 변경할 지 여부를 나타낸다. 즉, 자동 피팅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자동으로 변경되고, 수동 피팅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스스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 지 여부를 선택하고, 변경할 피팅 파라미터 모델도 직접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자동 피팅 모드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고,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보청기(300)에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수동 피팅 모드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표시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하나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고, 이동 단말기(100)에 선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보청기(300)에 적용할 것을 요청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변경된다. 수동 피팅 모드에서는 알림 온 모드와 알림 오프 모드를 더 설정할 수 있다.
화면(520)은 수동 피팅 모드에서 사용자가 알림 온 모드와 알림 오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화면(520)에서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수동 피팅 모드의 알림 온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알림 모드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대응되는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수신할 지 여부를 나타낸다. 즉, 알림 온 모드에서는 서버(2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대응되는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알림 온 모드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대응되는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선택하고,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고,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를 보청기(3000에 설정함으로써,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변경될 수 있다.
반면, 알림 오프 모드에서는 서버(200)로부터 메시지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지 않고, 사용자는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보청기(300)에 설정함으로써,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에 도시된 순서도에서 자동 피팅 모드인 경우 수행되는 방법들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602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보청기(300)에 연결을 요청한다. 이와 같은 연결 요청은 이동 단말기(100)의 탐색을 통해서 보청기(300)를 검색하고, 검색된 보청기(300)에 연결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604 단계에서 보청기(30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보청기(300)는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 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 등을 이용하여 보청기(300)를 탐색하고, 연결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와 보청기(300)가 한번 연결되면, 전원의 오프와 같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이상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602 단계와 604 단계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미리 수행되어, 이동 단말기(100)와 보청기(300)가 연결된 상태임을 가정하고 이하의 실시예들을 기술한다.
61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GPS(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62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630 단계에서 서버(200)는 수신된 위치 정보,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결정한다. 이때, 서버(200)는 위치 별로 맵핑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청력 특성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더 적합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청력 특성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서버(2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실시예는 도 6b를 참조한다. 또는, 서버(200)와 다른 제 2 서버로부터 서버(2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실시예는 도 6c를 참조한다.
640 단계에서 서버(200)는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전송한다.
650 단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대응하여 보청기(300)는 이동 단말기(100)는 연결된 보청기(300)에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설정한다.
660 단계에서 보청기(300)는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따라, 보청기(300)는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때, 도 6b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서버(200)로 전송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61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GPS(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62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전송한다.
630 단계에서 서버(200)는 수신된 위치 정보, 수신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결정한다. 이때, 서버(200)는 위치 별로 맵핑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청력 특성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더 적합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640 단계에서 서버(200)는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전송한다.
650 단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대응하여 보청기(300)는 이동 단말기(100)는 연결된 보청기(300)에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설정한다.
660 단계에서 보청기(300)는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따라, 보청기(300)는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때, 도 6c는 서버(200)와 다른 제 2 서버(2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서버(200)로 전송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서버(200)와 제 2 서버(210)로 나타낸다.
61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GPS(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622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서버(200)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624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서버(210)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 1 서버(200)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바로 전송하지 않고, 제 2 서버(210)를 통해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이 제 1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한다.
626 단계에서 제 2 서버(21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한다. 이때, 제 2 서버(21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한다. 사용자의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ID, PW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628 단계에서 제 2 서버(210)는 제 1 서버(200)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전송한다.
630 단계에서 제 1 서버(200)는 수신된 위치 정보,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결정한다. 이때, 제 1 서버(200)는 위치 별로 맵핑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청력 특성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더 적합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640 단계에서 제 1 서버(200)는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전송한다.
650 단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대응하여 보청기(300)는 이동 단말기(100)는 연결된 보청기(300)에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설정한다.
660 단계에서 보청기(300)는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따라, 보청기(300)는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서버(200)와 제 2 서버(210)를 구별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과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과 비교하여, 도 7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서버(200)에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고, 서버(200)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더 참고하여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제공한다.
711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GPS(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712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713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황 정보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surroundings), 경우(occasion) 및 상황(situation)을 나타내는 정보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마이크(172) 또는 카메라(171)를 통해서 획득되거나, 보청기(300)의 마이크로폰(미도시)을 통해서 획득되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된 것일 수 있다.
714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로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전송한다.
715 단계에서 서버(200)는 수신된 위치 정보,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결정한다.
이때, 서버(200)는 위치 별로 맵핑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청력 특성 및 상황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더 참고하여 사용자의 위치 특성, 주변 환경 및 상황에 더 적합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동일한 소극장에서 악기 연주와 강연을 차례로 듣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동일한 상태에서 시간 간격을 두고, 사용자의 상황 정보가 변경된다. 도 6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는 소극장이 위치한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수신한 위치 정보에 따라 소극장의 위치적 특성에 맞게 피팅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맞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하나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악기 연주와 강연의 경우, 발생하는 소리의 여러 가지 특성이 다르므로, 각각의 상황에 더 적합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은 다를 수 있다.
반면, 도 7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가 마이크로폰이나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황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는 경우, 서버(200)는 동일한 위치 정보에도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더 적합한 피팅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716 단계에서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로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전송한다.
717 단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보청기(300)에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설정한다.
718 단계에서 보청기(300)는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따라 동작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이동 단말기(100)의 자동 피팅 모드에서 프로세서(140)가 현재 설정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자동으로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들을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100)의 자동 피팅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설정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자동으로 변경된다. 현재 설정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대해서 미리 지정해 두어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자동으로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자동 피팅 모드에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의 830 내지 840 단계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440 내지 450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810 단계에서 이동 정보 획득부(180)는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이동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이동 방향 등의 사용자의 이동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181) 또는 지자기 센서(18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820 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자동 피팅 모드에서 사용자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40)가 사용자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830 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40)가 현재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프로세서(140)는 보청기(300)에 현재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유지하도록 보청기(30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다.
830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해당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한다.
840 단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대응하여, 설정부(130)는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연결된 보청기(300)에 설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자동 피팅 모드에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의 930 내지 940 단계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440 내지 450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910 단계에서 이동 정보 획득부(180)는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획득된 이동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포함한다.
920 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자동 피팅 모드에서 사용자의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한다. 이때, 이동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이면, 현재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즉, 사용자의 이동 거리가 크지 않으면 이동 거리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동일하거나 또는 매우 유사하므로, 이동 단말기(100)는 새로운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여 보청기(300)에 재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보청기(300)에 현재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유지하도록 보청기(300)를 제어한다.
반대로, 이동 거리가 소정 거리를 초과하면, 현재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930 단계로 진행한다.
930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해당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한다.
940 단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대응하여, 설정부(130)는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연결된 보청기(300)에 설정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자동 피팅 모드에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의 1030 내지 1040 단계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440 내지 450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1010 단계에서 이동 정보 획득부(180)는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획득된 이동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포함한다.
1020 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자동 피팅 모드에서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한다. 이때, 이동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이면, 현재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 즉, 사용자가 차량 등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라면, 획득된 위치 정보는 사용자가 스쳐 지나가는 지점에 해당하므로, 이동 단말기(100)는 새로운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여 보청기(300)에 재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보청기(300)에 현재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유지하도록 보청기(300)를 제어한다.
반대로, 이동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이면, 현재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1030 단계로 진행한다.
1030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해당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한다.
1040 단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대응하여, 설정부(130)는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연결된 보청기(300)에 설정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자동 피팅 모드에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의 1130 내지 1140 단계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440 내지 450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1110 단계에서 상황 정보 획득부(170)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황 정보는 보청기(300)를 피팅할 당시의 사용자의 주변의 소리 또는 주변의 장면(scene)에 기초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주변 환경(surroundings), 경우(occasion) 및 상황(situation)을 나타내는 정보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 정보는 보청기(300)의 마이크로폰(미도시), 이동 단말기(100)의 마이크(172) 또는 카메라(171)를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1120 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자동 피팅 모드에서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40)가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1130 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40)가 현재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프로세서(140)는 보청기(300)에 현재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유지하도록 보청기(30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통화 중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설정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1130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해당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한다.
1140 단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대응하여, 설정부(130)는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연결된 보청기(300)에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 피팅 모드에서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는 것만 기술하였으나,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동시에 고려하여 현재 설정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변경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보청기 사용자에게 에러 지역임을 알려주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210 단계 및 122O 단계는 도 7에 도시된 711 내지 712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121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GPS(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122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1230 단계에서 서버(200)는 수신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서버(200)에 등록된 에러 지역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에러 지역(error zone)은 보청기(300)의 이상이 발생한 이력이 있는 지역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위치 별로 보청기의 이상이 발생한 이력을 저장하고, 발생한 이력에 기초하여 저장된 에러 지역(error zone)을 등록한다.
1240 단계에서 서버(200)가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서버(200)에 등록된 에러 지역에 해당함을 확인하면, 이동 단말기(100)로 에러 지역임을 알려주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미리 해당 위치가 에러 지역임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청기(300)의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보청기의 이상이 발생한 에러 지역을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31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보청기(300)의 이상 발생을 입력 받는다. 즉, 사용자는 보청기(300)의 이상이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보청기(300)의 이상이 발생했음을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한다. 이때, 보청기(300)의 이상은 전파 방해 등의 원인으로 보청기(300)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132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GPS(110)를 이용하여 보청기(300)의 이상이 발생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133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보청기(300)의 이상이 발생한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1340 단계에서 서버(200)는 보청기(300)의 이상이 발생한 위치 정보를 에러 지역으로 등록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보청기(300)의 이상이 발생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계 낸 후, 일시적인 이상이 아님이 판단되는 경우, 에러 지역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당 위치의 위치적 특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보청기(300) 이상의 경우, GPS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미리 등록해놓고, 이를 보청기(300)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보청기(300)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의 1411 내지 1412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410 내지 420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1411 단계에서 GPS(11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1412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1413 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수동 피팅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림 모드가 온인지 오프인지를 판단한다. 이동 단말기(100)에 설정된 알림 모드가 온인 경우, 1414 단계로 진행하고, 오프인 경우, 1419 단계로 진행한다.
1414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맵핑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나타낸다.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는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과 관련된 간단한 정보를 나타낸다.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0을 참조한다.
1415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15의 화면(1520)을 참조한다.
1416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어느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선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에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한다.
1417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한다.
1418 단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대응하여, 설정부(130)는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보청기(300)에 설정한다.
알림 모드가 온으로 설정된 수동 피팅 모드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먼저 수신한 후,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아래는 알림 모드가 오프로 설정된 수동 피팅 모드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나타낸다.
1419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15의 화면(1510)을 참조한다.
1420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표시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어느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선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에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한다.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1417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보청기(300)에 설정한다.
이와 같이, 알림 모드가 오프로 설정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메모리(160)에 저장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이용하여 보청기(300)를 피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수동 피팅 모드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면(1510)은 수동 피팅 모드에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알려주는 알림을 오프 하였을 때, 이동 단말기(100)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피팅 모드가 수동 피팅 모드일 때, 프로세서(140)는 서버(200)로부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지 않도록 결정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수동 피팅 모드에서 사용자가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알려주는 알림을 오프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서버(200)로부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도록 결정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수동 피팅 모드에서 알림이 오프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메모리(160)에 저장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표시한다. 메모리(160)에 저장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은 화면(1510)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60)에 저장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이 9 개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화면(1510)과 같이 저장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각각 대응되는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메모리(1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 중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1510)에 표시된 9 개의 숫자들 중 사용자는 설정하기를 원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번호를 선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선택한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입력되면, 설정부(130)는 입력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 보청기(300)에 설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보청기(300)를 원하는 피팅 모델로 손쉽게 피팅 할 수 있다.
화면(1520)은 수동 피팅 모드에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알려주는 알림을 온하였을 때, 이동 단말기(100)가 서버(200)로부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피팅 모드가 수동 피팅 모드일 때, 프로세서(140)는 서버(200)로부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여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보청기(300)에 자동으로 설정하지 않도록 결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알려주는 알림을 온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서버(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결정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수동 피팅 모드에서 알림이 온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서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대응되는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수신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화면(1520)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에서 검색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3 개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화면(1520)과 같이 3 개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만을 수신한 것으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수신한 것은 아니다. 자동 피팅 모드와 달리 수동 피팅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표시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 중 어느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입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1520)에 표시된 것과 같이 추천 피팅 파리미터 모델들 중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해 '적용'을 선택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선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1520)에 표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서버(200)로부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테스트 사운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9를 참조한다.
서버(200)로부터 어느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수신되면, 설정부(130)는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 보청기(300)에 설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보청기(300)를 원하는 피팅 모델로 손쉽게 피팅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보청기를 피팅하고, 위치 정보와 함께 피팅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서버에 업로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61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맞게 보청기의 피팅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청기(300)의 피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프로그램은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자 않으며, 서버(200)에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프로그램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은 주파수 대역 별 청취 역치를 이용하여 피팅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들을 포함을 이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1620 단계에서 1610 단계에서 수행된 보청기(300)의 피팅에 따라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값들은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610 단계와 1620 단계를 구분하여 기술하였으나,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값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보청기(300)의 피팅과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1630 단계에서 보청기(300)는 보청기(300)에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값들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피팅 파라미터 모델은 보청기(300)의 사용자의 청력 특성 및 피팅한 소정의 위치의 특성에 맞게 피팅된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값들을 나타낸다.
164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보청기(300)로부터 전송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한다.
165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GPS(110)를 이용하여 보청기(300)를 피팅한 소정의 위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166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 및 피팅한 위치 정보와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서버(200)에 업로드한다. 이때,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다른 정보들과 함께 업로드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청력 특성은 업로드하지 않고, 도 6c에서 설명한 바와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저장한 제 2 서버(210)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청력 특성을 업로드할 수 있다.
1670 단계에서 서버(20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청력 특성과 함께 저장한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데이터 베이스에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위치 별로 맵핑하여 청력 특성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함으로써,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에 각 위치 별로 맵핑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보청기를 피팅하고, 위치 정보와 함께 피팅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서버에 업로드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의 1710 내지 1750 단계는 도 16에 도시된 1610 내지 1650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171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맞게 보청기의 피팅을 수행한다.
1720 단계에서 1610 단계에서 수행된 보청기(300)의 피팅에 따라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값들은 설정된다.
1730 단계에서 보청기(300)는 보청기(300)에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값들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174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보청기(300)로부터 전송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한다.
175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GPS(110)를 이용하여 보청기(300)를 피팅한 소정의 위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176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황 정보 획득부(170)를 이용하여 보청기(300)를 피팅할 때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황 정보는 보청기(300)를 피팅할 당시의 사용자의 주변의 소리 또는 주변의 장면(scene)에 기초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주변 환경(surroundings), 경우(occasion) 및 상황(situation)을 나타내는 정보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 정보는 보청기(300)의 마이크로폰(미도시), 이동 단말기(100)의 마이크(172) 또는 카메라(171)를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177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 피팅한 위치 정보, 피팅 시의 상황 정보 및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서버(200)에 업로드한다. 이때,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다른 정보들과 함께 업로드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청력 특성은 업로드하지 않고, 도 6c에서 설명한 바와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저장한 제 2 서버(210)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청력 특성을 업로드할 수 있다.
1780 단계에서 서버(20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청력 특성 및 상황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데이터 베이스에 보청기(300)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위치 별로 맵핑하여 청력 특성 및 상황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에 각 위치 별로 맵핑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상황 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의 환경에 더 적합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버에서 제공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보청기에 피팅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811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GPS(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1812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1813 단계에서 서버(200)는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검색한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각 위치 별로 맵핑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에서 수신된 청력 특성에 대응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찾는다. 서버(200)는 검색 결과,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된다.
1814 단계에서 서버(200)는 1813 단계에서 검색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1815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수신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3 개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이 있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3 개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1816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표시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어느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한다. 위의 예에서,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3 개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어느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선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될 수 있다.
1817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전송을 요청한다.
1818 단계에서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수동 피팅 모드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에서 검색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바로 수신하는 대신,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먼저 수신한 후, 사용자가 설정하기를 원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설정을 원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만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가 서버(200)로부터 3 개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3 개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만을 수신할 수 있다.
1819 단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연결된 보청기(300)에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설정한다.
1820 단계에서 보청기(300)는 설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따라 동작한다.
알림 온 모드가 설정된 수동 피팅 모드에서는 이상의 단계들에 따라 서버(200)에서 제공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보청기(300)에 피팅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버로부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테스트 사운드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의 1911 내지 1915 단계는 도 18에 도시된 1811 내지 1815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1911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GPS(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1912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1913 단계에서 서버(200)는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검색한다.
1914 단계에서 서버(200)는 1913 단계에서 검색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1915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수신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1916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사용자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테스트 사운드 요청을 수신한다. 수동 피팅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에서 검색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먼저 수신한 후, 사용자가 설정을 원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만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선택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테스트 사운드를 들어보고, 서버(200)로부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는 3 개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3 개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어느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선택하고, 선택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테스트 사운드의 미리 들어보기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테스트 사운드에 대한 요청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될 수 있다.
1917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에 접속한다.
1918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에 선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테스트 사운드를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서버(200)에 구비된 응용 프로그램 등을 통해서 이동 단말기(100)에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테스트 사운드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919 단계에서 서버(200)는 해당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테스트 사운드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의 테스트 사운드를 저장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테스트 사운드의 요청에 대응하여, 서버(20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테스트 사운드를 검색할 수 있다.
1920 단계에서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에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테스트 사운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의 테스트 사운드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에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테스트 사운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921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 테스트 사운드를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스피커, 이어폰 등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00)를 이용하여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테스트 사운드를 함께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201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입력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를 수신한다.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는 사용자가 도 1 내지 도 19에 개시된 서버(200)로부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는 방법들로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보청기(300)에 적용하여 사용한 후,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만족도 평가는 피팅 파라미터에 모델의 만족도에 대하여 평점을 매기는 방식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만족도 평가는 만족도에 대하여 사용자의 코멘트를 서술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2020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서 서버(200)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를 전송한다.
2030 단계에서 서버(200)는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각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를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2040 단계에서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에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정보 제공 시, 해당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만족도 평가는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때, 사용자가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선택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해당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공유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피팅 파라미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매체(예를 들면,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이동 단말기
110: GPS
120: 통신 인터페이스부
130: 설정부
140: 프로세서
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60: 메모리
170: 상황정보 획득부
171: 카메라
172: 마이크
180: 이동정보 획득부
181: 가속도 센서
182: 지자기 센서
200: 서버
300: 보청기

Claims (38)

  1.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하는 방법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상기 연결된 보청기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에 맵핑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해당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위치 별로 맵핑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청력 특성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로 상기 보청기를 설정한 후, 상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로 결정된 경우,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이동 중이라고 결정된 경우,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상기 보청기에 설정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소리 또는 주변의 장면(scene)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주변 환경(surroundings), 경우(occasion) 및 상황(situation)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상기 서버에 등록된 에러 지역(error zone)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보청기의 이상이 발생한 이력이 있는 에러 지역(error zone)임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위치 별로 보청기의 이상이 발생한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발생한 이력에 기초하여 저장된 에러 지역(error zone)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상기 획득된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소리 또는 주변의 장면(scene)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주변 환경(surroundings), 경우(occasion) 및 상황(situation)을 나타내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 및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피팅된 상기 사용자의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GPS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를 피팅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피팅한 위치 정보 및 상기 피팅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의 피팅 시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소리 또는 주변의 장면(scene)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주변 환경(surroundings), 경우(occasion) 및 상황(situation)을 나타내고,
    상기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피팅 시의 상황 정보를 더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은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서버와 다른 제 2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상기 서버와 다른 제 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청력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 2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보청기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은 상기 위치 정보에 맵핑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위치 별로 맵핑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을 청력 특성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적용된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만족도 평가(satisfaction evaluation)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만족도 평가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관한 정보는 상기 만족도 평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별 피팅 파라미터 모델과 함께 대응되는 만족도 평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상기 획득된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소리 또는 주변의 장면(scene)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주변 환경(surroundings), 경우(occasion) 및 상황(situation)을 나타내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 및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상기 서버에 등록된 에러 지역(error zone)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보청기의 이상이 발생한 이력이 있는 에러 지역(error zone)임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피팅된 상기 사용자의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GPS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를 피팅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피팅한 위치 정보 및 상기 피팅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8. 보청기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맵핑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들 중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해당하는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연결된 보청기에 상기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수동 피팅 모드와 자동 피팅 모드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피팅 모드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된 피팅 모드에 따라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피팅 모드가 자동 피팅 모드일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상기 보청기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피팅 모드가 수동 피팅 모드일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 대신,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2. 제 2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된 피팅 모드가 수동 피팅 모드일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지 않도록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입력 받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수신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상기 연결된 보청기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3. 제 28 항에 있어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수신하는 알림 온 모드와 알림 오프 모드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모드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된 모드에 따라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된 모드가 알림 온 모드일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 대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대한 만족도 평가(satisfaction evaluation)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수신된 만족도 평가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이 관한 정보는 상기 만족도 평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상황 정보 획득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획득된 상황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하고,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 및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피팅 파라미터 모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소리 또는 주변의 장면(scene)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주변 환경(surroundings), 경우(occasion) 및 상황(situation)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6.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획득하는 이동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팅 파라미터 모델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7.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상기 서버에 등록된 에러 지역(error zone)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보청기의 이상이 발생한 이력이 있는 에러 지역(error zone)임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경고 메시지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8.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피팅된 상기 사용자의 보청기의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획득하는 피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GPS는 상기 보청기를 피팅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피팅한 위치 정보 및 상기 피팅된 피팅 파라미터 모델을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0011498A 2013-01-31 2013-01-31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37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498A KR102037412B1 (ko) 2013-01-31 2013-01-31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US14/085,234 US9439009B2 (en) 2013-01-31 2013-11-20 Method of fitting hearing aid connected to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AU2013377215A AU2013377215B2 (en) 2013-01-31 2013-12-19 Method of fitting hearing aid connected to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CN201380072081.XA CN104969580B (zh) 2013-01-31 2013-12-19 对连接到移动终端的助听器进行适配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移动终端
EP13873235.9A EP2952020B1 (en) 2013-01-31 2013-12-19 Method of fitting hearing aid connected to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PCT/KR2013/011889 WO2014119845A1 (en) 2013-01-31 2013-12-19 Method of fitting hearing aid connected to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498A KR102037412B1 (ko) 2013-01-31 2013-01-31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615A true KR20140098615A (ko) 2014-08-08
KR102037412B1 KR102037412B1 (ko) 2019-11-26

Family

ID=5122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498A KR102037412B1 (ko) 2013-01-31 2013-01-31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39009B2 (ko)
EP (1) EP2952020B1 (ko)
KR (1) KR102037412B1 (ko)
CN (1) CN104969580B (ko)
AU (1) AU2013377215B2 (ko)
WO (1) WO2014119845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362A (ko) * 2015-11-27 2017-06-07 한국전기연구원 사용자 환경 기반의 청력 보조 장치 피팅 시스템 및 방법
WO2018131916A1 (ko) * 2017-01-12 2018-07-19 올리브유니온(주) 보청기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외부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스마트 히어링 디바이스
KR101991425B1 (ko) 2018-12-17 2019-06-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
KR102055082B1 (ko) 2019-02-15 2019-12-11 주식회사 포커스테크 난청자 가청주파수 개별 맞춤 피팅 방법.
KR102080100B1 (ko) * 2018-10-05 2020-02-24 주식회사 이엠텍 청음 보조 장치와 이를 위한 충전 장치
KR20210062427A (ko) 2019-11-21 2021-05-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청음자 키 보정시스템, 상기 청음자 키 보정시스템을 포함하는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표준방음부스
US11218813B2 (en) 2015-09-09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4731B2 (en) 2014-04-08 2016-12-20 Doppler Labs, Inc. Active acoustic filter with location-based filter characteristics
US9825598B2 (en) 2014-04-08 2017-11-21 Doppler Labs, Inc. Real-time combination of ambient audio and a secondary audio source
US9648436B2 (en) 2014-04-08 2017-05-09 Doppler Labs, Inc. Augmented reality sound system
US9557960B2 (en) 2014-04-08 2017-01-31 Doppler Labs, Inc. Active acoustic filter with automatic selection of filter parameters based on ambient sound
US9736264B2 (en) * 2014-04-08 2017-08-15 Doppler Labs, Inc. Personal audio system using processing parameters learned from user feedback
US9560437B2 (en) 2014-04-08 2017-01-31 Doppler Labs, Inc. Time heuristic audio control
US11240608B2 (en) * 2014-08-29 2022-02-01 Gn Hearing A/S Device for providing a hearing aid user guide and related method
TWI565287B (zh) * 2014-11-07 2017-01-01 xiu-wen Zhang To achieve the smart phone in the remote microphone hearing aid system and its use
DK3032845T3 (da) * 2014-12-12 2020-05-04 Gn Hearing As Hearing device with service mode and related method
US10785578B2 (en) 2014-12-12 2020-09-22 Gn Hearing A/S Hearing device with service mode and related method
US10477325B2 (en) 2015-04-10 2019-11-12 Cochlear Limited Systems and method for adjusting auditory prostheses settings
US9723415B2 (en) 2015-06-19 2017-08-01 Gn Hearing A/S Performance based in situ optimization of hearing aids
WO2015132419A2 (en) * 2015-06-30 2015-09-11 Sonova Ag Method of fitting a hearing assistance device
FR3038485B1 (fr) * 2015-07-02 2018-10-12 Swiss Acoustic Laboratoire De Correction Auditive Procede et systeme permettant de fournir une assistance auditive
DK201570433A1 (en) 2015-07-02 2017-01-30 Gn Hearing As Hearing device with model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s
DE102015212613B3 (de) * 2015-07-06 2016-12-08 Sivantos Pte. Lt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örgerätesystems und Hörgerätesystem
US9654618B2 (en) 2015-07-08 2017-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justing a volume level of a phone for a detected hearing aid
US10348891B2 (en) * 2015-09-06 2019-07-09 Deborah M. Manchester System for real time, remote access to and adjustment of patient hearing aid with patient in normal life environment
US10623564B2 (en) 2015-09-06 2020-04-14 Deborah M. Manchester System for real time, remote access to and adjustment of patient hearing aid with patient in normal life environment
US10097937B2 (en) * 2015-09-15 2018-10-09 Starkey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loading hearing instrument parameters
CN105204042A (zh) * 2015-10-20 2015-12-30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高精度gps/bds船载接收机
US9678709B1 (en) * 2015-11-25 2017-06-13 Doppler Labs, Inc. Processing sound using collective feedforward
US9584899B1 (en) 2015-11-25 2017-02-28 Doppler Labs, Inc. Sharing of custom audio processing parameters
US11145320B2 (en) 2015-11-25 2021-10-12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Privacy protection in collective feedforward
US9703524B2 (en) 2015-11-25 2017-07-11 Doppler Labs, Inc. Privacy protection in collective feedforward
US10853025B2 (en) 2015-11-25 2020-12-0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haring of custom audio processing parameters
US10284998B2 (en) * 2016-02-08 2019-05-07 K/S Himpp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750293B2 (en) 2016-02-08 2020-08-18 Hearing Instrument Manufacture Patent Partnership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341791B2 (en) 2016-02-08 2019-07-02 K/S Himpp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433074B2 (en) * 2016-02-08 2019-10-01 K/S Himpp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390155B2 (en) 2016-02-08 2019-08-20 K/S Himpp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EP3866491A1 (en) 2016-12-08 2021-08-18 GN Hearing A/S Fitting devices, server devices and methods of remote configuration of a hearing device
DK3334185T3 (da) 2016-12-08 2021-09-13 Gn Hearing As Hearing system, devices and method of securing communication for a user application
WO2018126048A1 (en) * 2016-12-30 2018-07-05 Starkey Laboratories, Inc. Improved listening experiences for smart environments using hearing devices
CN106851511A (zh) * 2017-03-26 2017-06-13 天津大学 一种基于智能手机的快速纯音测听方法
EP3468227B1 (en) 2017-10-03 2023-05-03 GN Hearing A/S A system with a computing program and a server for hearing device service requests
CN107911528A (zh) * 2017-12-15 2018-04-13 刘方辉 一种基于智能手机的听力补偿系统及其自助验配方法
EP3621316A1 (en) * 2018-09-07 2020-03-11 GN Hearing A/S Methods for controlling a hearing device based on environment parameter, related accessory devices and related hearing systems
CN112367599B (zh) * 2020-11-04 2023-03-24 深圳市亿鑫鑫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云端后台支持的助听器系统
DE102020214914A1 (de) 2020-11-27 2022-06-02 Sivantos Pte. Ltd.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Nutzers eines Hörgerätes, Hörgerät und Computerprogrammprodukt
EP4068806A1 (en) * 2021-03-31 2022-10-05 Oticon A/s A method and system of fitting a hearing device
CN117480787A (zh) * 2021-09-24 2024-01-30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个性化音频增强的方法和电子装置
US20240129679A1 (en) * 2022-09-29 2024-04-18 Gn Hearing A/S Fitting agent with user model initialization for a hear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7994A1 (en) * 2005-05-03 2009-02-19 Oticon A/S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network resources between hearing devices
US20110200213A1 (en) * 2010-02-12 2011-08-18 Audiotoniq, Inc. Hearing aid with an accelerometer-based user input
US20110293123A1 (en) * 2010-05-25 2011-12-01 Audiotoniq, Inc. Data Storage System, Hearing Aid,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ound Filters
WO2012066149A1 (en) * 2010-11-19 2012-05-24 Jacoti Bvb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with hearing suppor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8465A (ja) * 1995-09-29 1997-04-08 Nec Corp 携帯無線電話制御法及び携帯無線電話機
US6868163B1 (en) * 1998-09-22 2005-03-15 Becs Technology, Inc. Hearing aids based on models of cochlear compression
EP1252799B2 (en) 2000-01-20 2022-11-02 Starkey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tting hearing aids
DE102005006660B3 (de) * 2005-02-14 2006-11-16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s Hörhilfsgeräts, Hörhilfsgerät und mobile Ansteuervorrichtung zur Einstellung eines Hörhilfsgeräts sowie Verfahren zur automatischen Einstellung
US7986790B2 (en) 2006-03-14 2011-07-26 Starkey Laboratories, Inc. System for evaluating hearing assistance device settings using detected sound environment
DE602006017448D1 (de) 2006-08-08 2010-11-18 Phonak Ag Auf hörgeräte bezogene verfahren und geräte, insbesondere für die wartung von hörgeräten sowie für die bereitstellung von zugehörigen verbrauchsartikeln
US8412495B2 (en) 2007-08-29 2013-04-02 Phonak Ag Fitting procedure for hearing devices and corresponding hearing device
US8285344B2 (en) * 2008-05-21 2012-10-09 DP Techn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udio for a user environment
US20120183164A1 (en) 2011-01-19 2012-07-19 Apple Inc. Social network for sharing a hearing aid setting
US8965017B2 (en) * 2012-01-06 2015-02-24 Audiotoniq,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hearing aid profile update
US20130177188A1 (en) * 2012-01-06 2013-07-11 Audiotoniq,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hearing aid adjustment and hearing testing by a hearing health professional
EP2549397A1 (en) 2012-07-02 2013-01-23 Oticon A/s Method for customizing a hearing ai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7994A1 (en) * 2005-05-03 2009-02-19 Oticon A/S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network resources between hearing devices
US20110200213A1 (en) * 2010-02-12 2011-08-18 Audiotoniq, Inc. Hearing aid with an accelerometer-based user input
US20110293123A1 (en) * 2010-05-25 2011-12-01 Audiotoniq, Inc. Data Storage System, Hearing Aid,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ound Filters
WO2012066149A1 (en) * 2010-11-19 2012-05-24 Jacoti Bvb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with hearing suppor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8813B2 (en) 2015-09-09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KR20170062362A (ko) * 2015-11-27 2017-06-07 한국전기연구원 사용자 환경 기반의 청력 보조 장치 피팅 시스템 및 방법
WO2018026083A1 (ko) * 2015-11-27 2018-02-08 한국전기연구원 사용자 환경 기반의 청력 보조 장치 피팅 시스템 및 방법
WO2018131916A1 (ko) * 2017-01-12 2018-07-19 올리브유니온(주) 보청기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외부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스마트 히어링 디바이스
US10820118B2 (en) 2017-01-12 2020-10-27 Olive Union, Inc. Smart hearing device which uses external processor in order to reduce cost of hearing aid
KR102080100B1 (ko) * 2018-10-05 2020-02-24 주식회사 이엠텍 청음 보조 장치와 이를 위한 충전 장치
KR101991425B1 (ko) 2018-12-17 2019-06-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
KR102055082B1 (ko) 2019-02-15 2019-12-11 주식회사 포커스테크 난청자 가청주파수 개별 맞춤 피팅 방법.
KR20210062427A (ko) 2019-11-21 2021-05-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청음자 키 보정시스템, 상기 청음자 키 보정시스템을 포함하는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음장검사시스템이 설치된 표준방음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2020B1 (en) 2018-09-26
US20140211972A1 (en) 2014-07-31
AU2013377215B2 (en) 2017-06-29
EP2952020A4 (en) 2016-08-17
EP2952020A1 (en) 2015-12-09
US9439009B2 (en) 2016-09-06
WO2014119845A1 (en) 2014-08-07
CN104969580B (zh) 2019-07-09
AU2013377215A1 (en) 2015-06-11
KR102037412B1 (ko) 2019-11-26
CN104969580A (zh)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412B1 (ko)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보청기를 피팅(fitting)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US11051105B2 (en) Locating wireless devices
CN109684249B (zh) 用于使用电子附件连接的连接属性促进定位附件的主设备
US9699579B2 (en) Networked speaker system with follow me
US113400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807601B2 (en) Geo-fencing based functions
US8704657B2 (en) Method for reminding objects being away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ing the same method
KR101373007B1 (ko) 주변 기기 식별 방법 및 장치
NL2006997C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ound data.
US9332392B1 (en) Remotely activating a combination of mobile device functions
US20150358079A1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10123194B2 (en) Handling bluetooth low energy messages of radio tags for position determination
KR2019003803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지오펜스 관리 방법
KR20140018038A (ko)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
US20200084580A1 (en) Loca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US9966087B1 (en) Companion device for personal camera
JPWO2018088450A1 (ja) 音声提供装置、音声再生装置、音声提供方法及び音声再生方法
US202401764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beling and prioritization of sensory events in sensory environments
WO2022070337A1 (ja) 情報処理装置、ユーザ端末、制御方法、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6408965B (zh) 智能路牌、服务器、路线显示系统及方法
KR20150124055A (ko) 차량용 단말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장치
EP4059237A1 (en) Loca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JP2022178286A (ja) 位置推定装置、位置推定システム、端末、位置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461938A (zh) 信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