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196B1 -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pump - Google Patent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pu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196B1
KR101468196B1 KR1020130044102A KR20130044102A KR101468196B1 KR 101468196 B1 KR101468196 B1 KR 101468196B1 KR 1020130044102 A KR1020130044102 A KR 1020130044102A KR 20130044102 A KR20130044102 A KR 20130044102A KR 101468196 B1 KR101468196 B1 KR 10146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haft
vehicle
plate
pow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1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6061A (en
Inventor
정재평
Original Assignee
정재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평 filed Critical 정재평
Priority to KR102013004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196B1/en
Publication of KR20140126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1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엔진에 설치된 동력인출축에 일단부가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제1전달축과, 상기 제1전달축의 타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상기 제1전달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전달축과,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농업용 펌프에 상기 제2전달축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의 타단부와 상기 농업용 펌프 사이에 설치된 동력전달부와,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제2전달축에 추력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전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전달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필로우블럭이 마련된 추력방지유닛을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pu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pump, comprising a first transmission shaft having one end joined to a power take-off shaft provided in an engine by a universal joint, A second transmission shaft splin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and rotated by a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and a second transmission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by a fixed unit,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transmission shaft and the agricultural pump; and a power transmiss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transmission shaft and the agricultural pump to prevent the thrust from being generated i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by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pillow blocks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Description

펌프용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pump}[0001]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pump [0002]

본 발명은 펌프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차량 내에 장착된 농업용 펌프에 전달하는 펌프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pu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pump that transmits power generated from an engine of a vehicle to an agricultural pump installed in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액상의 제초제나 비료 등과 같은 약제는 트렉터나 트럭과 같은 견인 차량에 운반되면서 농지에 살포된다. 즉, 견인 차량은 약제를 운반하는 동시에 약제를 살포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6330호에는 트랙터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작동하는 제초제분무기가 개시되어 있다. In general, medicines such as liquid herbicides and fertilizers are sprayed on agricultural land while being transported to traction vehicles such as tractors and trucks. That is, the traction vehicle transports the medicines while spraying the medicines.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76330 discloses a herbicide sprayer powered by an engine of a tractor.

이때, 견인 차량에는 다량의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탱크와, 약제탱크에 수용된 약제를 펌핑하여 분무기로 공급하는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견인 차량의 동력전달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할 수 있도록 견인 차량의 하부 샤시에 고정용 브라켓에 의해 고정된다. 즉, 견인 차량의 동력전달축에 설치된 구동풀리와, 펌프의 구동입력축에 설치된 피동풀리와, 구동풀리 및 피동풀리에 설치된 전달벨트가 마련된 동력전달부에 의해 펌프는 견인차량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한다. At this time, the towing vehicle is provided with a medicine tank in which a large amount of medicine is contained, and a pump for pumping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medicine tank to supply it to the sprayer. Generally, the pump is fixed to the lower chassis of the towing vehicle by a fixing bracket so that the pump can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of the towing vehicle. That is, the pump receives the power from the towing vehicle and is operated by the driving pulley provided on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of the towing vehicle, the driven pulley provided on the driving input shaft of the pump, and the transmission belt provided on the driving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do.

그러나 종래의 동력전달축은 전달벨트로부터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발생된 추력에 의해 틀어짐이 발생되어 동력전달율이 떨어지며, 파손 및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ower transmission shaft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distorted by the thrust generated by the tension acting from the transmission belt, the power transmission rate is low, and the possibility of breakage and defect is hig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축에 추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력방지유닛이 마련된 펌프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pump provided with a thrust preventive unit for preventing a thrust from being generated on a transmission shaft that transmits power from an engine of a vehicle ha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 동력전달장치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에 설치된 동력인출축에 일단부가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제1전달축과, 상기 제1전달축의 타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상기 제1전달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전달축과,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농업용 펌프에 상기 제2전달축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의 타단부와 상기 농업용 펌프 사이에 설치된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제2전달축에 추력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전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전달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필로우블럭이 마련된 추력방지유닛을 구비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mission shaft having one end joined to a power take-off shaft provided in the engine by a universal joint, A second transmission shaft spline-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and rotated by a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and a second transmission shaft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xed unit to the agricultural pump installed in the vehicle,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and the agricultural pump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A plurality of pillow blocks installed in a frame of the vehicle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Provided with a power protection unit.

상기 추력방지유닛은 상기 제2전달축에 양단부에 각각 작용하는 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필로우블럭들 사이의 상기 차량의 프레임에 마련된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2전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전달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이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추력조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rust preventive unit is slidably install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along a rail portion provided in a frame of the vehicle between the pillow blocks so as to adjust a thrust force acting on both ends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And a thrust adjusting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is inserted to rotatably suppor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제2전달축이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틀어짐이 발생시 상기 제2전달축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을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필로우블럭의 상기 제2전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양측 중 어느 한 측에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필로우블럭의 단부에 각각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전달축의 회전중심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홀이 형성된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의 관통홀에 일단부가 관통되게 나사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필로우블럭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판에 대한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필로우블럭을 이동시키는 가압볼트를 구비한다. In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can be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Wherein the adjustment unit is fixed to a frame of the vehicle at a position adjacent to either one of opposite sides opposite to the second transmission axis of the pillow block, A pressure plat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each end of the pillow block so as to penetrat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rotation center line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a through hole having one end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pressure plate, The pillow block is rotatably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pillow block, and moves the pillow block according to a coupl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ressure plate And has a pressing bol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제2전달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전달축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제2전달축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로우블럭의 양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2전달축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필로우블럭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상기 필로우블럭의 중공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복수의 이탈방지판을 구비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preventing part installed o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to preven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from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transmission shaft installed a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at a position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pillow block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and inserted into the pillow block so as to penetrate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so as to interfere with the pillow block And a plurality of escape prevention plates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hollow.

상기 고정유닛은 탈착부에 의해 상기 차량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된 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탈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차량의 샤시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된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상기 샤시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차량의 중심에 인접하는 일단부의 반대편인 상기 안착판의 타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샤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연장부재와, 상기 각 연장부재의 상단부에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제1관통구이 형성된 제1결합부재가 마련된 브라켓과, 상기 연장부재들 사이의 상기 샤시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샤시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과, 상기 샤시의 일측면에 인접한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형성된 간섭판과, 상기 샤시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타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안착판에 형성된 관통홈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판이 마련된 보강부재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판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안착바와, 상기 샤시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차량의 중심에 인접되는 일단부의 반대편인 상기 안착바의 타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간섭판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연장부재들의 이격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샤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연장바와, 상기 각 연장바의 하단에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관통구에 대응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결합부재가 마련된 결합체와, 상기 제1 및 제2관통구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 및 결합체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너트와, 상기 관통판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Wherein the fixed unit includes a base plate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hicle by a detachable portion, and a support unit provided on the base plate and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pump is mounted, A seating plate hav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a chassis of the vehicle is mounted, the seating plate hav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an upper surface of the chassis is seated, and an opposite side of the one en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so as to abut one side surface of the chassis, A plurality of extension members extending upward at the other end of the seat plat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ssis; a plurality of extension members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hicle at an upp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s, A bracket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member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thereon, An interfacing plat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chassis, the interfacing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ssis; A reinforcement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and provided with a penetration plate inserted through a through groove formed in the seating plate; a seating bar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plate; The length of the chassis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distance of the extension members so that a space for inserting the interference plate is provided, and the length of the chassis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spacing distance of the extension members so as to be downwardly extended to the other end of the seating bar opposite to one en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A plurality of extension bar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A fixing bolt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penetrating plate and the base plate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 동력전달장치는 추력방지유닛에 의해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펌프로 전달하는 전달축에 추력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전달축에 뒤틀림 발생을 차단한다. 또한, 동력인출축과 전달축이 유니버셜 조인트로 연결되므로 엔진에 의해 동력인출축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더라도 용이하게 동력을 전달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 In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ust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 a transmission shaft for transmitting power from the engine of the vehicle to the pump by the thrust preventive unit, thereby preventing the transmission shaft from being twisted. Further, since the power take-off shaft and the transmission shaft are connected by the universal joint, even if the power take-off shaft vibrates in the up-down direction by the engine, the power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shaf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용 동력전달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펌프용 동력전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펌프용 동력전달장치의 고정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펌프용 동력전달장치의 고정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펌프용 동력전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펌프용 동력전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power transmission for a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pump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unit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pump of FIG. 1,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xed unit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pump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pu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pu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펌프용 동력전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pum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용 동력전달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1 to 4 show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for a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펌프용 동력전달장치(100)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에 설치된 동력인출축(105)에 일단부가 제1유니버셜 조인트(131)에 의해 결합되는 제1전달축(130)과, 상기 제1전달축(130)의 타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상기 제1전달축(13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전달축(140)과,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농업용 펌프에 상기 제2전달축(14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140)의 타단부와 상기 농업용 펌프 사이에 설치된 동력전달부(150)와, 상기 동력전달부(150)에 의해 상기 제2전달축(140)에 추력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차량의 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전달축(1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필로우블럭(420)이 마련된 추력방지유닛(40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for a pump is coupled to a power take-off shaft 105 provided in the engine by a first universal joint 131 at one end thereof, A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splin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and rotat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A power transmission unit 150 install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nd the agricultural pump so a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the agricultural pump installed in the vehicle by the fixed unit, , And a frame (410) of the vehicle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prevent thrust from being generated o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by the power transmission par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rotatably supported And a thrust preventing unit 40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llow blocks 420.

제1전달축(130)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타단부는 제2유니버셜 조인트(132)에 의해 제2전달축(140)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1전달축(130)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제2전달축(140)에 스플라인 결합되도록 축과 보스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by the second universal joint 132.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is made up of a shaft and a boss so as to be splin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제2전달축(140)은 추력방지유닛(4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제2전달축(140)은 전단부가 제2유니버셜 조인트(132)에 의해 제1전달축(130)의 후단부가 결합된다.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thrust preventing unit 400 and is formed in a round bar shape extend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rear end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is coupled with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by the second universal joint 132.

동력전달부(150)는 제2전달축(14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고정유닛에 의해 차량에 설치된 펌프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제2전달축(140)의 후단부에 체결된 구동풀리(151)와, 펌프의 회전축에 체결된 피동풀리(152)와, 구동풀리(151) 및 피동풀리(152)에 결합되어 제2전달축(140)의 회전력을 펌프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전달벨트(153)를 구비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50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the pump installed in the vehicle by the fixed unit and includes a drive pulley 151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 transmission belt 153 coupled to the drive pulley 151 and the driven pulley 152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pump, Respectively.

이때, 고정유닛은 탈착부(220)에 의해 차량의 샤시(1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동력전달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펌프(150)가 장착되는 장착부(340)가 마련된 지지유닛(300)을 구비한다. The fixed unit includes a base plate 200 detachably mounted on the chassis 110 of the vehicle by a detachable unit 220 and a base plate 200 installed on the base plate 200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of the vehicle And a support unit 300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340 on which a pump 150 to be received and operated is mounted.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차량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장착부(340)에 설치된 펌프(15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스틸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탈착부(220)에 의해 차량의 하부 샤시(1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base plate 2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base plate 200 is preferably made of a steel material so as to firmly support the pump 150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340. The base plate 200 is detachably attached to a lower chassis 110 of a vehicle by a detachable unit 220.

탈착부(220)는 샤시(11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바(115)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브라켓(210), 보강부재(510), 결합체(230), 고정볼트(241), 고정너트 및 고정부재(520)를 구비한다. The detachable part 22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hassis 110 and is fixed to a fixing bar 115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bracket 210, a reinforcing member 510, a coupling body 230, 241), a fixing nut and a fixing member (520).

브라켓(210)은 차량의 프레임(410) 중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차량의 샤시(110)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안착판(221), 연장부재(222), 제1결합부재(223) 및 보조판(224)을 구비한다. The bracket 21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chassis 110 of the vehicl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frame 410 and includes a seating plate 221, an extension member 222, a first engagement member 223, And an auxiliary plate 224.

안착판(221)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단부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해 직교하도록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안착판(221)은 상면에 상기 샤시(110)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면(225)이 마련될 수 있도록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이때, 안착판(221)은 좌우폭이 상기 샤시(110)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착판(221)은 차량의 중심에 인접되는 일단부 상면에 보강부재(510)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The seating plate 221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hicle at an upper end of the base plate 20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se plate 200. The seat plate 221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seating surface 225 o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chassis 110 is seate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plate 221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chassis 110. At this time, the seating plate 221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penetrat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so that the reinforcing member 510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one en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연장부재(222)는 차량의 중심에 인접된 안착판(221) 일단부의 반대편인 안착판(221)의 타단부에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연장부재(222)는 2개가 상기 안착판(221)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연장부재(222)는 안착판(221)에 샤시(110)가 안착시 샤시(110)의 일측면에 접하여 상기 샤시(110)를 지지한다. The extending member 222 is formed to extend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ther end of the seat plate 221, which is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seat plate 221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Two extension members 222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221. The extension member 222 supports the chassis 110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hassis 110 when the chassis 110 is seated on the seating plate 221.

제1결합부재(223)는 복수개가 각 연장부재(222)의 상단부에, 연장부재(222)에 직교하도록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결합부재(223)는 고정볼트(241)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관통구(226)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members 223 extend toward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extending members 222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hicle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members 222. The first engagement member 223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hole 226 so as to penetrate the fixing bolt 241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therethrough.

보조판(224)은 연장부재(222)에 대향되는 안착판(221)의 일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안착판(221)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보조판(224)은 안착판(221)에 샤시(110)가 안착시 샤시(110)의 타측면에 접하여 상기 샤시(110)를 지지한다.The auxiliary plate 224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t one end of the seating plate 221 opposed to the extending member 222 and ext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parallel with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221. The support plate 224 supports the chassis 110 by contacting the other side of the chassis 110 when the chassis 110 is seated on the seating plate 221.

보강부재(510)는 상기 연장부재들 사이의 상기 샤시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샤시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511)과, 상기 샤시의 일측면에 인접한 상기 지지판(511)의 일단에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형성된 간섭판(512)과, 상기 샤시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지지판(511)의 타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안착판에 형성된 관통홈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판(513)이 마련되어 있다. The reinforcing member 510 includes a support plate 511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ssis between the extending members and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ssis and the support plate 511 adjacent to one side of the chassis, An intervening plate 512 extending downward at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511 and extending downwar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511 so as to abut the other side of the chassis, And a through plate 513 is provided.

결합체(230)는 샤시(110)의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볼트(241) 및 너트에 의해 상기 브라켓(2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안착바(231), 복수의 연장바(232) 및 복수의 제2결합부재(233)를 구비한다. The assembly 23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ssis 110 and is fixed to the bracket 210 by a fixing bolt 241 and a nut. The assembly 230 includes a seating bar 231, a plurality of extension bars 232, 2 engaging member 233.

안착바(231)는 지지판(511)의 상면에 안착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고,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연장바(232)는 차량의 중심에 인접한 안착바(231) 일단부의 반대편인 안착바(231)의 타단부에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연장바(232)들은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연장부재(222)들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다. The seating bar 23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11,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extension bar 232 is extend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other end of the seat bar 231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seat bar 231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The extension bars 2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ut spaced apart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distance of the extension members 222.

제2결합부재(233)는 연장바(232)들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되,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결합부재(233)는 고정볼트(241)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2관통구(234)가 형성된다. The second engaging members 233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extension bars 232 and exten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vehicle. The second engaging member 233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234 so that the fixing bolt 241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고정볼트(241)는 제1 및 제2관통구(226,234)에 관통되게 삽입되고, 단부 외주면에는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너트(242)는 제1 및 제2관통구(226,234)에 관통된 고정볼트(241)의 단부에 체결되어 브라켓(210) 및 결합체(230)를 상호 고정시킨다. The fixing bolt 241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226 and 234, and a plurality of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The fixing nut 242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fixing bolt 241 penetrating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226 and 234 to fix the bracket 210 and the coupling body 230 to each other.

고정부재(520)는 안착판의 관통홈을 통해 관통된 관통판(513)의 하단부와, 상기 관통판(513)의 하단부에 대향되는 위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통되게 설치된 관통볼트(521)와, 관통볼트(521)의 단부에 체결되어 관통판(513)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호 고정시키는 결속너트(522)를 구비한다. The fixing member 520 includes a through bolt 521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eating plate and penetrating through the base plat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plate 513, And a binding nut 522 fastened to an end of the through bolt 521 to fix the through plate 513 and the base plate to each other.

지지유닛(300)은 결합플레이트(310), 지지플레이트(320), 각도한정부(330), 장착부(340) 및 펌프지지부(360)를 구비한다. The support unit 300 includes a coupling plate 310, a support plate 320, an angled portion 330, a mounting portion 340, and a pump support portion 360.

결합플레이트(3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또한, 결합플레이트(310)는 각도한정부(33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coupling plate 3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Further, the coupling plate 3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plate 2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y the angular portion 330.

지지플레이트(320)는 결합플레이트(310)의 하단부에 연장되되, 결합플레이트(310)에 대해 직교하여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플레이트(3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320)의 상면에는 장착부(340)가 설치된다. 결합플레이트(310) 및 지지플레이트(320)는 견고하게 펌프(1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틸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plate 320 extends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late 310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plate 310 and away from the vehicle. The support plate 3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mounting portion 34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20. The coupling plate 310 and the support plate 320 are preferably formed of a stee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so as to firmly support the pump 150.

각도한정부(33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한 결합플레이트(310)를 회동시켜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한 지지플레이트(3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결합볼트(331,332), 제1 및 제2결합너트(333,334), 조절부(335)를 구비한다. The angled portion 330 adjust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320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00 by rotating the engagement plate 310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00.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bolts 331, 332, first and second coupling nuts 333, 334, and a regulating portion 335.

제1결합볼트(331)는 차량의 중심에 인접한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일측면의 반대편인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타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결합볼트(331)는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플레이트(310)에는 상기 제1결합볼트(331)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고정구(33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oupling bolt 331 protrud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200 which is opposite to one side of the base plate 200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The first coupling bolt 331 is formed into a round bar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nd a plurality of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fixing hole 336 is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310 so that the first coupling bolt 331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제2결합볼트(332)는 상기 제1결합볼트(33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 타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제2결합볼트(332)를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The second coupling bolt 332 is protru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200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from the first coupling bolt 331. The second coupling bolt 332 is formed into a round bar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nd a plurality of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때, 결합플레이트(310)에는 상기 제2결합볼트(332)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고정구(336)로부터 제1 및 제2결합볼트(331,332)의 상호 이격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2고정구(337)가 형성되는 데, 상기 제2고정구(337)는 상기 결합플레이트(310)가 제1결합볼트(331)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구(336)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결합볼트(331,332)의 상호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the coupling plate 310,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olts 331 and 3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mutual spacing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olts 331 and 332 from the first fixing hole 336 so that the second coupling bolt 332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The second fixing member 337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336 with reference to the first fixing member 336 so that the coupling plate 310 can be rotated about the first coupling bolt 331. [ 1 and the second coupling bolts 331, 332, respectively.

제1 및 제2결합너트(333,334)는 제1 및 제2결합볼트(331,332)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플레이트(310)를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고정시킨다. 지지플레이트(3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경우, 제1 및 제2결합볼트(331,332)로부터 제1 및 제2결합너트(333,334)를 푼 다음,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해 소정각도만큼 결합플레이트(310)를 기울리고, 다시 제1 및 제2결합볼트(331,332)에 제1 및 제2결합너트(333,334)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nuts 333 and 334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lts 331 and 332 to fix the coupling plate 310 to the base plate 200.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320 is adjuste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nuts 333 and 334 are loosen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lts 331 and 332, 310,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nuts 333, 334 are fastened and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lts 331, 332 again.

조절부(335)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한 결합플레이트(310)의 회동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제한플레이트(338a)와 제한볼트(339)를 구비한다. The adjusting portion 335 has a limiting plate 338a and a limiting bolt 339 for finel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oupling plate 310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00. [

제한플레이트(338a)는 제1결합볼트(331) 하측의 베이스 플레이트(200) 전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지지부재(338b)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해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지지된다. 제한플레이트(338a)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타측면에 대해 직교하여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제한플레이트(338a)는 제한볼트(339)가 관통되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마련된 체결홀(338c)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체결홀(338c)은 결합플레이트(310)의 전단부에 대향되는 위치의 제한플레이트(338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striction plate 338a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base plate 200 below the first coupling bolt 331 and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by the support member 338b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00. [ The restriction plate 338a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base plate 20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hicle. The restriction plate 338a is penetr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limiting bolt 339 can be screwed in so as to penetrate therethrough, and a fastening hole 338c having a femal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hole 338c is formed in the restriction plate 338a facing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plate 310. [

제한볼트(339)는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338c)에 관통되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제한볼트(339)는 상기 체결홀(338c)에 관통되어 일단이 결합플레이트(310)의 전단부에 접한다. 이때, 제한볼트(339)의 타단부에는 사용자가 육각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제한볼트(339)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단면을 갖는 헤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The limiting bolt 339 is formed in a round bar shape extend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mal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screwed into the coupling hole 338c. The limiting bolt 339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338c and has one end abutting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plate 310. [ At this time, a head portion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limiting bolt 339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limiting bolt 339 using a tool such as a hexagon wrench.

지지플레이트(3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경우, 제1 및 제2결합볼트(331,332)로부터 제1 및 제2결합너트(333,334)를 푼 다음, 제한볼트(339)를 일단부가 결합플레이트(31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시킨다. 결합플레이트(310)가 제한볼트(339)에 의해 소정각도 회동되면 다시 제1 및 제2결합볼트(331,332)에 제1 및 제2결합너트(333,334)를 체결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결합플레이트(310)를 고정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체결홀(338c)에 나사결합된 제한볼트(339)를 통해 결합플레이트(310)를 회동시키므로 미세하게 결합플레이트(31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nuts 333 and 334 are disassembl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lts 331 and 332 and the limiting bolt 339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late 310 at one end, As shown in Fig. When the coupling plate 31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limiting bolt 339,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nuts 333 and 334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lts 331 and 332,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upling plate 310 is rotated through the limiting bolt 339 screwed to the coupling hole 338c, the rotation angle of the coupling plate 310 can be finely adjusted.

장착부(340)는 지지플레이트(320)의 상면에 설치되며, 펌프(150)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체결볼트(341,342), 제1고정판(343), 제3 및 제4체결볼트(344,345), 제2고정판(346) 및 다수의 체결너트(347)를 구비한다. The mounting portion 3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20 and is mounted with the pump 150. The mounting portion 340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fastening bolts 341 and 342, a first fastening plate 343, 344, 345, a second fixing plate 346, and a plurality of locking nuts 347.

제1 및 제2체결볼트(341,342)는 지지플레이트(320)의 전방측 상면에 형성되며, 지지플레이트(3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체결볼트(341,342)는 상방으로 돌출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수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bolts 341 and 342 are form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20 and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20.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bolts 341 and 342 are formed as a round bar protruding upward and a plurality of male thread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1고정판(343)은 지지플레이트(32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지지플레이트(320)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된다. 제1고정판(343)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체결볼트(341,342)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체결구(351,352)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체결구(351,352)는 제1 및 제2체결볼트(341,342)의 상호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제1고정판(343)이 지지플레이트(320)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fixing plate 343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20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20. First and second fasteners 351 and 35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ixing plate 34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bolts 341 and 342 can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fastening plate 343.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351 and 35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mutual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bolts 341 and 342,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제1고정판(343)은 펌프(155)의 전방측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고정브라켓(157)을 관통한 제1장착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1관통홈(353)이 형성된다. 제1관통홈(353)들은 상기 제1고정브라켓(157)들의 상호 이격거리가 다양한 펌프(155)들이 제1고정판(343)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제1고정판(3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fixing plate 34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fixing bolts 157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mounting bolts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fixing brackets 157 formed on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pump 155 can be inserted, 1 through grooves 353 are formed. The first through holes 35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late 343 so that the pumps 155 having the mutually different distances of the first fixing brackets 157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first fixing plate 343 And is formed to extend along a predetermined length.

이때, 지지플레이트(320)는 제1관통홈(353)을 통과한 제1장착볼트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홈(35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연통홈(354)이 형성된다. 제1연통홈(354)은 결합플레이트(310)에 인접한 제1관통홈(353)의 일단부터 결합플레이트(310)로부터 최외측에 위치한 제1관통홈(353)의 타단부까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제1 및 제2체결구(351,352)의 연장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1연통홈(354)이 연장되게 형성되므로 펌프(150)의 크기에 따라 제1고정판(343)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제1관통홈(353)을 통과한 제1장착볼트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communication groove 35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hole 353 so that the first mounting bolt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353 can be inserted through the support plate 320 do. The first communication groove 354 is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first through hole 353 adjacent to the coupling plate 310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through hole 353 located at the outermost position from the coupling plate 310 And exten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351 and 352. Even if the position of the first fixing plate 343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ump 150, the first mounting bolt 354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353, Can be inserted easily.

펌프(155)의 제1고정브라켓(157)에 관통되게 설치된 제1장착볼트는 제1관통홈(353) 및 제1연통홈(354)에 삽입되고, 단부에 제1장착너트가 체결되어 제1고정판(343)에 고정된다. The first mounting bolt provided to penetrate the first fixing bracket 157 of the pump 155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groove 353 and the first communication groove 354 and the first mounting nut is fastened to the end, 1 fixing plate 343.

제3 및 제4체결볼트(344,345)는 지지플레이트(320)의 후방측 상면에 형성되며, 지지플레이트(3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3 및 제4체결볼트(344,345)는 상방으로 돌출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수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다. The third and fourth fastening bolts 344 and 345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plate 320 and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20. The third and fourth fastening bolts 344 and 345 are formed as a round bar protruding upward, and a plurality of male thread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2고정판(346)은 지지플레이트(32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지지플레이트(320)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된다. 제2고정판(346)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체결볼트(341,342)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및 제4체결구(355,356)가 형성된다. 이때, 제3 및 제4체결구(355,356)는 제3 및 제4체결볼트(344,345)의 상호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제2고정판(346)이 지지플레이트(320)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fixing plate 346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20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20. Third and fourth fasteners 355 and 356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fixing plate 346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bolts 341 and 342 can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bolts 341 and 34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third and fourth fasteners 355 and 35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mutual distance of the third and fourth fastening bolts 344 and 345,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34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t is preferable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제2고정판(346)은 펌프(150)의 후방측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고정브라켓(161)을 관통한 제2장착볼트(16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2관통홈(357)이 형성된다. 이때, 제2관통홈(357)들은 상기 제2고정브라켓(161)들의 상호 이격거리가 다양한 펌프(150)들이 제2고정판(346)에 용이하게 설치도리 수 있도록 제2고정판(3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fixing plate 346 i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mounting bolts 162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fixing brackets 16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pump 150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grooves 357 are formed. The second through grooves 357 are formed in the second fixing plate 346 so that the pumps 150 having the mutual spacing distances of the second fixing brackets 161 can easily be installed on the second fixing plate 346 It is preferable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direction.

이때, 지지플레이트(320)는 제2관통홈(357)을 통과한 제2장착볼트(162)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2관통홈(357)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연통홈(358)이 형성된다. 제2연통홈(358)은 결합플레이트(310)에 인접한 제2관통홈(357)의 일단부부터 결합플레이트(310)로부터 최외측에 위치한 제2관통홈(357)의 타단부까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제3 및 제4체결구(355,356)의 연장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2연통홈(358)이 연장되게 형성되므로 펌프(150)의 크기에 따라 제2고정판(346)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제2관통홈(357)을 통과한 제2장착볼트(16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펌프(150)의 제2고정브라켓(161)에 관통되게 설치된 제2장착볼트(162)는 제2관통홈(357) 및 제2연통홈(358)에 삽입되고, 단부에 제2장착너트(163)가 체결되어 제2고정판(346)에 고정된다. The support plate 320 has a second communication groove 358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hole 357 so that the second mounting bolt 162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Is formed. The second communication groove 358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cond through groove 357 adjacent to the coupling plate 310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hrough groove 357 located at the outermost position from the coupling plate 310, And exten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length of the third and fourth fasteners 355 and 356. [ Even if the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plate 346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ump 150,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358 is formed to be extended from the second mounting bolt 357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The first protrusion 162 can be easily inserted. The second mounting bolt 162 provided to penetrate the second fixing bracket 161 of the pump 1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groove 357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groove 358 and the second mounting nut 162 163 are fasten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346.

체결너트(347)들은 제1 내지 제4체결볼트(341,342,344,345)에 각각 체결되어 지지플레이트(320)에 대해 제1 및 제2고정판(343,346)을 고정시킨다. 제1 및 제2고정판(343,346)의 상호 이격거리를 조정할 경우, 제1 내지 제4체결볼트(341,342,344,345)로부터 체결너트(347)들을 푼 다음, 제1 및 제2고정판(343,346)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 이격거리의 조절을 완료하면, 제1 내지 제4체결볼트(341,342,344,345)에 체결너트(347)를 체결하여 제1 및 제2고정판(343,346)은 지지플레이트(320)에 고정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펌프(150)의 제1 및 제2고정브라켓(151,161)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판(343,346)이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지지플레이트(320)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크기의 펌프(150)를 장착부(340)에 설치할 수 있다. The fastening nuts 347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to fourth fastening bolts 341, 342, 344 and 345 to fix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343 and 346 to the support plate 320. When the mutual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343 and 346 is adjusted, the fastening nuts 347 are loosened from the first to fourth fastening bolts 341, 342, 344 and 345,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343 and 346 342, 344 and 345 are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bolts 341 and 342 to fast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lates 343 and 346 to the support plate 320. Sinc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343 and 346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151 and 161 of the pump 150 are fixed slide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pump 150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340. [

펌프지지부(360)는 펌프(150)가 차량의 동력전달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시 펌프(150)가 차량의 동력전달축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150)에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김력을 인가하는 것으로, 후크부재(361), 장력볼트(362), 장력플레이트(363) 및 장력너트(364)를 구비한다. The pump support unit 360 is installed in the pump 150 to prevent the pump 150 from being moved in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of the vehicle when the pump 15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of the vehicle, Tensioning bolt 362, tension plate 363, and tension nut 364 by applying a pulling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hicle.

후크부재(36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양단부 하면이 각각 제1 및 제2고정판(343,346)의 하면에 안착되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또한, 후크부재(361)는 양단부가 장착부(340)에 고정된 펌프(155)의 제1고정브라켓(157)들 사이 및 제2고정브라켓(16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후크부재(361)는 제1 및 제2고정브라켓(151,161)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제1 및 제2고정브라켓(151,161)에 대향되는 위치의 단부에 각각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The hook member 361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that the lower surfaces of the hook members 361 are seat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343 and 346, respectively. The hook member 361 is installed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ixing brackets 157 of the pump 155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340 and between the second fixing brackets 161. [ The hook member 361 is formed with an inlet groove at an end of the hook member 361 opposite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151 and 161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151 and 161 can be inserted and engaged.

장력볼트(362)는 지지플레이트(320)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장력볼트(362)는 일단이 후크부재(361)의 중심부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장력플레이트(363)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The tension bolt 362 is formed in a round bar shape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20, and a large number of 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e end of the tension bolt 362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hook member 361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tension plate 363.

장력플레이트(363)는 결합플레이트(310)에 대향되는 지지플레이트(320)의 단부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장력볼트(362)의 타단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365)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공(365)은 장착부(340)에 설치되는 펌프(150)의 크기에 따라 후크부재(361)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The tension plate 363 extends upward at an end of the support plate 320 facing the coupling plate 310 and a through hole 365 is form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bolt 362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365 is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ook member 361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ump 150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340.

장력너트(364)는 관통공(365)을 관통하는 장력볼트(362)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장력볼트(362)에 대한 체결위치에 따라 펌프(150)에 당김력이 인가된다. 이때, 장력너트(364)는 관통공(365)의 상하 폭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ension nut 364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bolt 362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65 so that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pump 150 according to the fasten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ension bolt 362.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on nut 364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through hole 365.

본 발명에 따른 추력방지유닛(400)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thrust preventive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추력방지유닛(400)은 제2전달축(140) 하방의 차량 샤시에 고정된 프레임(410)에 설치된 다수의 필로우블럭(420)을 구비한다. 필로우블럭(420)은 제2전달축(140)이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중공이 마련된 본체(421)와, 본체(42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결합볼트(424)에 의해 프레임(410)에 고정되는 플랜지부재(423)를 구비한다. The thrust preventive unit 400 has a plurality of pillow blocks 420 installed on the frame 410 fixed to the vehicle chassis below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e pillow block 420 includes a main body 421 having a hollow for inser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so as to penetrate the main body 421 and a fixing bolt 42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421 and fixed to the frame 410 by the coupling bolt 424 And a flange member 423.

본체(421)는 제2전달축(140)에 대한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중공 내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에 의해 제2전달축(140)은 본체(4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main body 421 is provided with a bearing in the hollow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421 by the bearing.

플랜지부재(423)는 본체(421)의 하단부에 제2전달축(140)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연장형성되며, 결합볼트(424)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입구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전달축(140)에 대한 본체(421)의 지지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전달축(140)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410)을 관통되게 설치된 결합볼트(424)는 플랜지부재(423)의 인입구에 관통되며, 인입구에 관통된 결합볼트(424)의 단부에 결합너트(425)가 체결되어 프레임(410)에 필로우블럭(420)이 고정된다. The flange member 423 is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421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n inlet port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coupling bolt 424 in a vertical direction hav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let may be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so as to adjust the suppor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421 with respect to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e coupling bolt 424 penetrating through the frame 410 penetrates through the inlet of the flange member 423 and the coupling nut 425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coupling bolt 424 passing through the inlet port, The pillow block 420 is fixed.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필로우블럭(420)들은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제2전달축(1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동력전달부(150)의 전달벨트(153)의 장력에 의해 제2전달축(140)의 후단부에 외력이 작용하거나 제1 및 제2전달축(130,140)의 회전중심선이 상호 어긋남에 의해 제2전달축(140)의 전단부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필로우블럭(420)들이 제2전달축(140)을 다단으로 지지하므로 제2전달축(140)이 회동되려는 추력의 발생을 감소시켜 제2전달축(140)에 틀어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pillow blocks 42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re mounted on the frame 4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nd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rear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due to the tension of the transmission belt 153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50 and the rotation center lines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e pillow blocks 420 suppor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n multiple stages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reduce the generation of the thrust force to rotate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from being deformed.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펌프용 동력전달장치(600)가 도시되어 있다. 5 shows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600 for a pu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previous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 동력전달장치(600)는 제2전달축(140)이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틀어짐이 발생시 상기 제2전달축(140)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2전달축(140)을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유닛(610)과, 제2전달축(140)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전달축(14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620)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600 for a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A second transfer shaft 140 installed on the second transfer shaft 140 to move the second transfer shaft 1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fer shaft 140; And a movement preventing portion 620 for preventing movement along the guide portion 620.

조절유닛(610)은 제2전달축(140)의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플랜지부재(423)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 설치된 조절판(611)과, 상기 조절판(611)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410)에 설치되는 가압판(612)과, 상기 조절판(6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판(612)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볼트(613)를 구비한다. The adjusting unit 610 includes a throttle plate 611 disposed at one end of the flange member 423 opposite to the second throttle shaft 140 with respect to the second throttle shaft 140, A pressure plate 612 installed on the frame 410 and a pressing bolt 613 rotatably installed on the adjusting plate 611 and screwed to the pressing plate 612.

조절판(611)은 상기 플랜지부재(423)의 일단부에, 결합볼트(424)가 결합된 인입구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된다. 가압판(612)은 프레임(410)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조절판(611)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614)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볼트(613)는 가압판(612)의 관통홀(614)에 일단부가 관통되게 나사결합되며, 타단부는 조절판(6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판(612)에 대한 결합위치에 따라 필로우블럭(420)을 이동시킨다. The throttle plate 61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lange member 423 so as to extend upwardly at a position opposed to the inlet where the coupling bolt 424 is engaged. The pressure plate 612 is extend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frame 410 and penetr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t a position opposed to the throttle plate 611, A through hole 614 is formed. One end of the pressing bolt 613 is screwed into the through hole 614 of the pressing plate 612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bolt 61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adjusting plate 611, (420).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조절유닛(610)은 각 필로우블럭(420)들의 인접된 위치의 프레임(410)에 설치된다. 상기 조절유닛(610)에 의해 제2전달축(14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제2전달축(140)에 뒤틀림이 발생할 경우, 조절 대상 필로우블럭(420)에 결합된 결합볼트(424)로부터 결합너트(425)를 풀고, 가압볼트(613)를 회전시켜 필로우블럭(420)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다시 결합볼트(424)에 결합너트(425)를 체결하여 필로우블럭(420)을 프레임(410)에 고정시킨다. A control unit 6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frame 410 at an adjacent location of each pillow block 420. Whe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twisted by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by the adjustment unit 610, the coupling bolt 424 coupled to the adjustment target pillow block 420 The position of the pillow block 420 is adjusted by rotating the pressing bolt 613 and then the coupling nut 425 is fastened to the coupling bolt 424 again to unlock the pillow block 420. [ (Not shown).

이동방지부(620)는 상기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로우블럭(420)의 전후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2전달축(140)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필로우블럭(420)에 간섭될 수 있도록 본체(421)의 중공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복수의 이탈방지판을 구비한다.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620 is installed o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illow block 42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nd a plurality of escape prevention plates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hollow of the body 421 so as to be able to interfere with the block 420.

이탈방지판은 제2전달축(140)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구가 마련된 고정통(622)과, 필로우블럭(420)에 인접된 고정통(622)의 단부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방지부재(623)가 형성된다. 고정통(622)은 외주면에 구속볼트가 관통되어 제2전달축(14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속홈이 형성되어 있다. 방지부재(623)는 필로우블럭(420)에 간섭될 수 있도록 제2전달축(140)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본체(421)의 중공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eparture prevention plate includes a fixed body 622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inserted so as to penetrate and an extension portion 622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ed body 622 adjacent to the pillow block 420 is extended The formed preventing member 623 is formed. The fixed cylinder 622 is formed with a restraining groove such that the restraining bolt passe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an be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e blocking member 623 may be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hollow of the body 421 through which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inserted so as to be interfered with the pillow block 420. [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방지부(620)는 제2전달축(140)이 전후방향으로 외력을 받더라도 이탈방지판이 필로우블럭(420)에 간섭되어 제2전달축(14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Although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62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nterferes with the pillow block 420 when the second transfer shaft 140 receives an external forc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transfer shaft 140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추력방지유닛(650)이 도시되어 있다.6 shows a thrust preventing unit 6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추력방지유닛(650)은 상기 제2전달축(140)에 양단부에 각각 작용하는 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필로우블럭(420)들 사이의 상기 차량의 프레임(410)에 마련된 레일부(660)를 따라 상기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전달축(1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140)이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추력조절부재(651)를 더 구비한다. 이때, 레일부(660)는 제2전달축(140) 하측의 프레임(410)에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며,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The thrust preventive unit 650 includes a pair of pillow blocks 420 disposed on the frame 410 of the vehicle so as to control a thrust acting on both ends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long a portion 660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so tha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rotatably supported And a thrust adjusting member 651 having a penetrating hole formed therein. At this time, the rail 66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to the frame 410 below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nd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추력조절부재(651)는 제2전달축(140)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마련된 지지블럭(652)과, 상기 지지블럭(652)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일부(660)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재(653)를 구비한다. The thrust adjusting member 651 includes a support block 652 having a through hole so tha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and a downwardly extending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652, And a guide member 653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653.

지지블럭(652)은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며, 중앙부분에 제2전달축(140)이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가이드부재(653)는 지지블럭(652)의 하부 중앙부분에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하단부 좌우측면에는 좌우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이탈방지돌기(65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레일부(660)의 좌우 내측면에는 각각 가이드부재(65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탈방지돌기(6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이탈방지홈(661)들이 형성되어 있다. The support block 652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nd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passes. The guide member 653 extends downwar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652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left and right side projections 654 protruding from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portion, respectively. In order to prevent the guide member 65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rail 660 at the left and right inner sides of the rail 660, Release preventing grooves 661 are formed.

상기 추력조절부재(651)는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2전달축(140)의 양단부에 작용되는 추력을 조절한다. 즉, 제2전달축(140)의 전후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 다른 타단부보다 더 큰 외력이 작용할 경우, 제2전달축(140)의 일단부에 인접되도록 추력조절부재(651)를 이동시킨다. 이때, 제2전달축(140)의 중앙부분에 지지하여 회동중심을 이루는 추력조절부재(651)의 이동으로 제2전달축(140)의 일단부와 추력조절부재(651) 사이의 길이가 짧아져서 제2전달축(140)에 작용하는 추력이 감소된다. The thrust adjusting member 651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adjust a thrust appli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at is, when a greater external force acts on one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a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e thrust regulating member 651 is moved so as to be adjacent to one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 At this time, the length between the one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nd the thrust adjusting member 651 is shorten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thrust adjusting member 651, which is support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nd the thrust acting o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reduc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펌프용 동력전달장치
105: 동력인출축
130: 제1전달축
140: 제2전달축
150: 동력전달부
151: 구동풀리
152: 피동풀리
153: 전달벨트
400: 추력방지유닛
410: 프레임
420: 필로우블럭
421: 본체
423: 플랜지부재
100: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pumps
105: Power take-off shaft
130: first transmission shaft
140: second transmission axis
150: Power transmission unit
151: Driving pulley
152: driven pulley
153: transmission belt
400: Thrust prevention unit
410: frame
420: pillow block
421:
423: flange member

Claims (5)

삭제delete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에 설치된 동력인출축(105)에 일단부가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제1전달축(130)과;
상기 제1전달축(130)의 타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상기 제1전달축(13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전달축(140)과;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농업용 펌프(155)에 상기 제2전달축(14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140)의 타단부와 상기 농업용 펌프(155) 사이에 설치된 동력전달부(150)와;
상기 동력전달부(150)에 의해 상기 제2전달축(140)에 추력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차량의 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전달축(1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필로우블럭(420)이 마련된 추력방지유닛(650);을 구비하고,
상기 추력방지유닛(650)은
상기 제2전달축(140)에 양단부에 각각 작용하는 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필로우블럭(420)들 사이의 상기 차량의 프레임(410)에 마련된 레일부(660)를 따라 상기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전달축(1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140)이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추력조절부재(65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 동력전달장치.
A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having one end coupled to a power take-off shaft (105) provided in the engine by a universal joint so as to be able to receive power from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rotate;
A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splin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and rotat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the agricultural pump 155 is transmitted to the agricultural pump 155 installed in the vehicle by the fixed unit, A transfer unit 150;
The frame 410 of the vehicl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preven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from generating thrust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50. [ And a plurality of pillow blocks (420) installed on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40)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e thrust preventing unit 650 includes:
Along the rail portion 660 provided in the frame 410 of the vehicle between the pillow blocks 420 so as to adjust the thrust acting on both ends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 thrust adjusting member 651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40 and hav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inserted to rotatably suppor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Further comprising: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the pump.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에 설치된 동력인출축(105)에 일단부가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제1전달축(130)과;
상기 제1전달축(130)의 타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상기 제1전달축(13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전달축(140)과;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농업용 펌프(155)에 상기 제2전달축(14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140)의 타단부와 상기 농업용 펌프(155) 사이에 설치된 동력전달부(150)와;
상기 동력전달부(150)에 의해 상기 제2전달축(140)에 추력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차량의 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전달축(1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필로우블럭(420)이 마련된 추력방지유닛(400)과,
상기 제2전달축(140)이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틀어짐이 발생시 상기 제2전달축(140)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140)을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유닛(610);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유닛(610)은
상기 필로우블럭(420)의 상기 제2전달축(14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양측 중 어느 한 측에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차량의 프레임(410)에 고정되며, 상기 필로우블럭(420)의 단부에 각각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전달축(140)의 회전중심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홀(614)이 형성된 가압판(612)과,
상기 가압판(612)의 관통홀(614)에 일단부가 관통되게 나사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필로우블럭(42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판(612)에 대한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필로우블럭(420)을 이동시키는 가압볼트(6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 동력전달장치.
A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having one end coupled to a power take-off shaft (105) provided in the engine by a universal joint so as to be able to receive power from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rotate;
A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splin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and rotat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the agricultural pump 155 is transmitted to the agricultural pump 155 installed in the vehicle by the fixed unit, A transfer unit 150;
The frame 410 of the vehicl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preven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from generating thrust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50. [ And a plurality of pillow blocks (420)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Whe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move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the initial position (610) for moving the recording medium
The control unit 610
(410) of the vehicle at a position adjacent to either side of the pillow block (420)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e end of the pillow block A pressure plate 612 having a through hole 614 form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shafts 140 and 142 so as to penetrat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rotation center line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pillow block 420. The other end of the pillow block 4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pillow block 420 according to a position of engagement with the pressing plate 612 And a pushing bolt (613) for moving the pillow block (420).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에 설치된 동력인출축(105)에 일단부가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제1전달축(130)과;
상기 제1전달축(130)의 타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상기 제1전달축(13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전달축(140)과;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농업용 펌프(155)에 상기 제2전달축(14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140)의 타단부와 상기 농업용 펌프(155) 사이에 설치된 동력전달부(150)와;
상기 동력전달부(150)에 의해 상기 제2전달축(140)에 추력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차량의 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전달축(1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필로우블럭(420)이 마련된 추력방지유닛(400)과;
상기 제2전달축(140)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전달축(14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620);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방지부(620)는
상기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로우블럭(420)의 양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2전달축(140)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필로우블럭(420)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140)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상기 필로우블럭(420)의 중공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복수의 이탈방지판(6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 동력전달장치.
A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having one end coupled to a power take-off shaft (105) provided in the engine by a universal joint so as to be able to receive power from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rotate;
A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splin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and rotat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the agricultural pump 155 is transmitted to the agricultural pump 155 installed in the vehicle by the fixed unit, A transfer unit 150;
The frame 410 of the vehicl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preven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from generating thrust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50. [ And a plurality of pillow blocks (420) installed to the second transfer shaft (140)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nd a movement preventing part (620) installed o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preven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from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620
The pillow block 420 is installed on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t positions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pillow block 42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And a plurality of detent plates (621)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hollow of the pillow block (420) inserted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so tha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is inserted therethrough.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에 설치된 동력인출축(105)에 일단부가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제1전달축(130)과;
상기 제1전달축(130)의 타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상기 제1전달축(13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전달축(140)과;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농업용 펌프(155)에 상기 제2전달축(14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달축(140)의 타단부와 상기 농업용 펌프(155) 사이에 설치된 동력전달부(150)와;
상기 동력전달부(150)에 의해 상기 제2전달축(140)에 추력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전달축(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차량의 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전달축(1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필로우블럭(420)이 마련된 추력방지유닛(40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탈착부(220)에 의해 상기 차량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155)가 장착되는 장착부(340)가 마련된 지지유닛(300)을 구비하고,
상기 탈착부(2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차량의 샤시(100)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된 안착판(221)과, 상기 안착판(221)에 안착된 상기 샤시(100)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차량의 중심에 인접하는 일단부의 반대편인 상기 안착판(221)의 타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샤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연장부재(222)와, 상기 각 연장부재(222)의 상단부에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제1관통구(226)가 형성된 제1결합부재(223)가 마련된 브라켓(220)과,
상기 연장부재(222)들 사이의 상기 샤시(100)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샤시(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511)과, 상기 샤시(100)의 일측면에 인접한 상기 지지판(511)의 일단에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형성된 간섭판(512)과, 상기 샤시(100)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지지판(511)의 타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안착판(221)에 형성된 관통홈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판(513)이 마련된 보강부재(510)와,
상기 지지판(511)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판(511)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안착바(231)와, 상기 샤시(100)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차량의 중심에 인접되는 일단부의 반대편인 상기 안착바(231)의 타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간섭판(512)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연장부재(222)들의 이격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샤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연장바(232)와, 상기 각 연장바(232)의 하단에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관통구에 대응하는 제2관통구(233)이 형성된 제2결합부재(233)가 마련된 결합체(230)와,
상기 제1 및 제2관통구(233)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고정볼트(241)와,
상기 고정볼트(241)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220) 및 결합체(230)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너트(242)와,
상기 관통판(513)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 동력전달장치.
A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having one end coupled to a power take-off shaft (105) provided in the engine by a universal joint so as to be able to receive power from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rotate;
A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splin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and rotat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130;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the agricultural pump 155 is transmitted to the agricultural pump 155 installed in the vehicle by the fixed unit, A transfer unit 150;
The frame 410 of the vehicl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o prevent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from generating thrust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50. [ And a plurality of pillow blocks (420) installed on the first transmission shaft (40)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mission shaft (140)
The fixed unit
A base plate 200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hicle by a detachable unit 220,
And a support unit 300 installed on the base plate 200 and having a mounting portion 340 on which the pump 155 is mounted,
The detachable portion 220
A seating plate 221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base plate 200 and provided with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chassis 100 of the vehicle is extended and which is exten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is formed to extend upward at the other end of the seat plate 221 opposite to one en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so as to abut one side surface of the chassis 100 a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ssis 100 A first engaging member 223 formed o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extending members 222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hicle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226 penetrat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 bracket 220 provided,
A support plate 511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ssis 100 between the extending members 222 and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ssis 100, An interference plate 512 extending upwardly from one end of the adjacent support plate 511 and extending downwar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511 so as to abut the other side of the chassis 100, A reinforcing member 510 provided with a penetration plate 513 to be inserted into a through groove formed in the through hole 221,
A seating bar 231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11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plate 511 and a support bar 511 which is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chassis 100, And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ating bar 231 and extends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ssis 1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spacing distance of the extension members 222 so as to provide a space into which the interference plate 512 is inserted. A plurality of extension bars 232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econd through hole 233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hicle at a lower end of each of the extension bars 232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s, 2 coupling member 233,
A fixing bolt 241 inser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233,
A fixing nut 242 fastened to an end of the fixing bolt 241 to fix the bracket 220 and the coupling body 230 to each other,
And a fixing member (520)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plate (513) and the base plate (200) to each other.
KR1020130044102A 2013-04-22 2013-04-22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pump KR1014681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102A KR101468196B1 (en) 2013-04-22 2013-04-22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pu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102A KR101468196B1 (en) 2013-04-22 2013-04-22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p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61A KR20140126061A (en) 2014-10-30
KR101468196B1 true KR101468196B1 (en) 2014-12-12

Family

ID=5199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102A KR101468196B1 (en) 2013-04-22 2013-04-22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pu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1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681A (en) 2015-08-10 2017-02-20 김문수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sprayer of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590B1 (en) * 2015-11-19 2016-08-19 주식회사 영동테크 Power take off un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958U (en) * 1997-11-05 1999-06-05 정몽규 Tension control device of power transmission chain of solar car
KR100539116B1 (en) * 2005-03-23 2005-12-26 이텍산업 주식회사 Power take off of multipurpose supervision car
KR20060040840A (en) * 2004-11-05 2006-05-11 전홍익 Propulsion device
KR20120032240A (en) * 2010-09-28 2012-04-05 타타대우상용차 주식회사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for cooling apparatus of tru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958U (en) * 1997-11-05 1999-06-05 정몽규 Tension control device of power transmission chain of solar car
KR20060040840A (en) * 2004-11-05 2006-05-11 전홍익 Propulsion device
KR100539116B1 (en) * 2005-03-23 2005-12-26 이텍산업 주식회사 Power take off of multipurpose supervision car
KR20120032240A (en) * 2010-09-28 2012-04-05 타타대우상용차 주식회사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for cooling apparatus of tru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681A (en) 2015-08-10 2017-02-20 김문수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sprayer of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61A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683B1 (en) Spray device mountable to cultivationg tractor
KR101760173B1 (en) Tractor connect a device with a position variable working machine solidarity device
KR101468196B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pump
KR20100056082A (en) Rice-transplanter
KR101295343B1 (en) Pump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
US10024026B2 (en) Front loader frame, front loader equipped with front loader frame, and work vehicle equipped with front loader
KR101595552B1 (en) Pump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
EP2775814A1 (en) Force-transmitting unit
US11470755B2 (en) Adjustable rolling basket assembly
CN106998647B (en) Quick-acting hitch assembly
KR102563068B1 (en) Holder of agricultural machine for vehicle
JP2012171511A (en) Crawler traveling device
US11148491B2 (en) Drawbar bracket and work vehicle
JP3891951B2 (en) Rice fertilizer application equipment
KR20220167475A (en) Holder of agricultural machine for vehicle
JP2007267615A (en) Agricultural feeding device
JP3833065B2 (en) Walking type work machine
KR200496699Y1 (en) Holder of agricultural machine for vehicle
KR102614284B1 (en) Agricultural Vehicle
KR20120003608U (en) Noise reduction structure of cabin type tractor
KR100658803B1 (en) Handling part for oil pressure transmission
WO1998040264A1 (en) Drive system for a belt driven work machine
KR20190016703A (en) Maintain steering apparatus for riding type cultivator
GB2551319A (en) Hitch assembly for articulated machine
KR20220040326A (en) Steering device of passenge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