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094B1 - 수직 수경정원 - Google Patents

수직 수경정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094B1
KR101468094B1 KR1020140036065A KR20140036065A KR101468094B1 KR 101468094 B1 KR101468094 B1 KR 101468094B1 KR 1020140036065 A KR1020140036065 A KR 1020140036065A KR 20140036065 A KR20140036065 A KR 20140036065A KR 101468094 B1 KR101468094 B1 KR 10146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se
discharge
auxiliary water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원
Original Assignee
키즈허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즈허그 (주) filed Critical 키즈허그 (주)
Priority to KR102014003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코너에 용이하게 다 단으로 수직 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수직 수경정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을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중앙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의 고정돌기(104)를 구비하고 있는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와;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고정돌기(104)에 착탈 가능하게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됨과 아울러 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관통공(108)을 구비하고 있는 기둥관(110)과;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을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중앙에 돌기관(112)을 구비하고, 바닥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물구멍(114)을 구비하여 상기 기둥관(110)의 중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보조수조(116)와;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을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중앙에 돌기관(112)을 구비하고, 바닥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물구멍(114)을 구비하여 상기 기둥관(1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보조수조(118)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 수경정원{water garden}
본 발명은 수직 수경정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의 코너에 용이하게 다 단으로 수직 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수직 수경정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에는 관상이나 취미 생활 또는 정화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식재시설을 구비하며, 이러한 식재시설은 식물이 살 수 있도록 흙을 채워야 하는 특성상 일정하게 구획된 공간 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한 식재시설 뿐만 아니라 실내의 습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습기 외에 관상은 물론 취미 생활에도 부합될 수 있는 수중시설을 구비하게 되는데, 그 수중시설 중의 대표적인 것이 어류 등을 넣고 키우는 어항이 대표적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식재시설이나 수중시설은 각각 설치되어야 하는 조건상 좁은 실내공간에서 각각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면적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유지 및 관리 또한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최근에는 하나의 시설물에 식재시설과 수중시설이 합쳐진 자연생태정원이 구현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자연생태정원은 상부가 개방된 하나의 방수수조에 석재 등이 쌓여 경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 기준으로 일측은 솜, 모래 및 자갈로 이루어지는 바닥층이 구비되어 어류를 키울 수 있는 물이 수용되는 어항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여러 토질의 식재토가 적층되어 식재식물이 심어지는 식재부가 형성된다.
상기 식재토는 통상 여과재 역할을 하는 난석, 식물이 식재된 상토에서 흙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부직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상토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식재토를 구성하는 성분 중의 하나인 난석은 자체에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고, 상기 성분으로 구성된 식재토 만으로는 식물의 영양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식물의 성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1년 02월 10일자 출원번호 제10-2011-0012004호(발명의 명칭 :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로 특허청에 출원된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상부가 개방된 하나의 방수수조에 석재가 쌓여 경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를 기준으로 일측은 어류를 키울 수 있는 물이 수용되는 어항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식재토가 적층되어 식재식물이 심어지는 식재부가 형성된 자연생태 정원에 있어서, 상기 식재토는 여과 박테리아균이 배양된 제1난석층(10)과; 상기 제1난석층의 상부에 흙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층되는 흙 흘러내림 방지층(20)과;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식물에 영양을 공급하는 광합성 세균근이 배양된 제2난석층(30)과; 식물이 식재되기 위한 상토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생태정원. " 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은 건물 내부의 코너에 용이하게 다 단으로 수직 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내부의 코너에 용이하게 다 단으로 수직 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수직 수경정원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은,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을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중앙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의 고정돌기(104)를 구비하고 있는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와;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고정돌기(104)에 착탈 가능하게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됨과 아울러 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관통공(108)을 구비하고 있는 기둥관(110)과;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을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중앙에 돌기관(112)을 구비하고, 바닥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물구멍(114)을 구비하여 상기 기둥관(110)의 중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보조수조(116)와;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을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중앙에 돌기관(112)을 구비하고, 바닥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물구멍(114)을 구비하여 상기 기둥관(1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보조수조(118)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은 건물 내부의 코너에 다 단으로 수직 하게 설치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환경 아름답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수직 수경정원의 요부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이 건물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에 꽃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제1보조수조 및 제2보조수조의 난석층, 부직포,제1마사층, 제2마사층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직 수경정원의 요부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100)은,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을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중앙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의 고정돌기(104)를 구비하고 있는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와;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고정돌기(104)에 착탈 가능하게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됨과 아울러 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관통공(108)을 구비하고 있는 기둥관(110)과;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을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중앙에 돌기관(112)을 구비하고, 바닥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물구멍(114)을 구비하여 상기 기둥관(110)의 중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와;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을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중앙에 돌기관(112)을 구비하고, 바닥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물구멍(114)을 구비하여 상기 기둥관(1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와;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제어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내부 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내부에 있는 물을 펌핑하여 공급호스로 보내는 수중모터(122)와;
상기 수중모터(122)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기둥관(110)의 내부를 따라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기둥관(110)의 관통공(108)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수중모터(122)로부터 보내져온 물을 제1토출호스로 보내는 공급호스(124)와;
상기 공급호스(124)의 일단에 연결되되, 상기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 고정됨과 아울러 몸체에 다 수개의 토출공(126)을 구비하여 상기 공급호스(124)로부터 보내져온 물을 상기 토출공(126)을 통해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로 보내는 제1토출호스(128)와;
상기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와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의 물구멍(114)에 연결되어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의 내부에 있는 물을 제2토출호스로 보내는 제1연결호스(130)와;
상기 제1연결호스(130)의 일단에 연결되되, 상기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 고정됨과 아울러 몸체에 다 수개의 토출공(126)을 구비하여 상기 제1연결호스(130)로부터 보내져온 물을 상기 토출공(126)을 통해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로 보내는 제2토출호스(132)와;
상기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와 호형상의 메인수조(106)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의 물구멍(114)에 연결되어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의 내부에 있는 물을 제3토출호스로 보내는 제2연결호스(134)와;
상기 제2연결호스(134)의 일단에 연결되되,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 고정됨과 아울러 몸체에 다 수개의 토출공(126)을 구비하여 상기 제2연결호스(134)로부터 보내져온 물을 상기 토출공(126)을 통해 호형상의 메인수조(106)로 보내는 제3토출호스(13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내부에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호스(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의 조립과정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상단부 및 하단부에 관통공(108)을 구비하고 있는 기둥관(11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기둥관(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공(108)을 통해 관속으로 공급호스(124)를 넣은 후, 상기 기둥관(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관통공(108)으로 공급호스(124)를 빼낸다.
그리고,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과 고정돌기(104)를 구비하고 있는 호형상의 메인수조(106)를 위치시킨 후, 상기 기둥관(110)의 관속으로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고정돌기(104)를 억지 끼움한다.
여기서, 상기 기둥관(110)과 고정돌기(104)는 일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과 돌기관(112)과 물구멍(114)을 구비하고 있는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의 돌기관(112)으로 기둥관(110)을 억지 끼움 한 후, 상기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를 기둥관(110)의 중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기둥관(110)으로부터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수단(도시는 생략함)을 이용하여 기둥관(110)에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과 돌기관(112)과 물구멍(114)을 구비하고 있는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의 돌기관(112)으로 기둥관(110)을 억지 끼움 한 후, 상기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를 기둥관(110)의 상단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기둥관(110)으로부터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수단(도시는 생략함)을 이용하여 기둥관(110)에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를 고정한다.
그리고, 다 수개의 토출공(126)을 구비하고 있는 제1토출호스(128)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1토출호스(128)를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 고정한 후, 상기 공급호스(124)의 일단에 제1토출호스(128)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1연결호스(13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의 물구멍(114)에 제1연결호스(130)를 연결한다.
그리고, 다 수개의 토출공(126)을 구비하고 있는 제2토출호스(132)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2토출호스(132)를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 고정한 후, 상기 제1연결호스(130)의 일단에 제2토출호스(132)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2연결호스(134)를 위치시킨 후, 상기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의 물구멍(114)에 제2연결호스(134)를 연결한다.
그리고, 다 수개의 토출공(126)을 구비하고 있는 제3토출호스(136)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3토출호스(136)를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 고정한 후, 상기 제2연결호스(130)의 일단에 제3토출호스(136)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내부 측면 일측에 수중모터(122)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수중모터(122)의 일측에 공급호스(124)의 일단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외면 일측에 제어부(120)를 설치한 후, 상기 제어부(120)에 수중모터(1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수경정원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수직 수경정원(100)을 건물의 내부의 코너에 설치한다.
그리고,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바닥면 상에 숯과 자갈이 혼합된 제1혼합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1혼합층의 상면에 자갈과 모래가 혼합된 제2혼합층을 형성시킨 후, 상기 제2혼합층의 상면에 식물을 심는다.
그리고,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와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의 바닥면 상에 난석을 이용하여 난석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난석층의 상면에 부직포를 놓으며,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 마사를 이용하여 제1마사층을 형성시킨 후, 식물을 심고, 마지막으로 마사를 이용하여 제2마사층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로 물을 넣은 후, 제어부(120)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물의 일부는 제1혼합층, 제2혼합층으로 스며들고, 나머지 물은 일측에 고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중모터(122)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수중모터(122)는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에 고인 물을 여과호스(200)를 통해 여과된 물을 펌핑하고, 펌핑된 물을 공급호스(124)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공급호스(124)는 물을 다 수개의 토출공(126)이 구비된 제1토출호스(128)로 보낸다.
상기 제1토출호스(128)는 토출공(126)을 통해 물을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로 보낸다. 여기서, 물의 일부는 난석층, 부직포, 제1마사층, 제2마사층으로 스며든다.
그리고, 나머지 물은 상기 삼각형상의 제2보조수조(118)에 형성된 물구멍(114)을 통해 제1연결호스(130)로 보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호스(130)는 물을 다 수개의 토출공(126)이 구비된 제2토출호스(132)로 보낸다.
상기 제2토출호스(132)는 토출공(126)을 통해 물을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로 보낸다. 여기서, 물의 일부는 난석층, 부직포, 제1마사층, 제2마사층으로 스며든다.
그리고, 나머지 물은 상기 삼각형상의 제1보조수조(116)에 형성된 물구멍(114)을 통해 제2연결호스(134)로 보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호스(134)는 물을 다 수개의 토출공(126)이 구비된 제3토출호스(136)로 보낸다.
상기 제3토출호스(136)는 토출공(126)을 통해 물을 호형상의 메인수조(106)로 보낸다. 여기서, 물의 일부는 제1혼합층, 제2혼합층으로 스며들고, 나머지 물은 일측에 고인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상의 보조수조 대신에 사각형상의 보조수조를 사용할 수 있고, 호형상의 메인수조 대신에 사각형상의 메인수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수직 수경정원
102 : 수용홈
104 : 고정돌기
106 : 호형상의 메인수조
108 : 관통공
110 : 기둥관
112 : 돌기관
114 : 물구멍
116 : 제1보조수조
118 : 제2보조수조

Claims (4)

  1.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을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중앙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의 고정돌기(104)를 구비하고 있는 호형상의 메인수조(106)를 포함한 수직 수경정원에 있어서,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고정돌기(104)에 착탈 가능하게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됨과 아울러 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관통공(108)을 구비하고 있는 기둥관(110)과;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을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중앙에 돌기관(112)을 구비하고, 바닥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물구멍(114)을 구비하여 상기 기둥관(110)의 중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보조수조(116)와;
    상면이 개구되어 있되, 수용홈(102)을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중앙에 돌기관(112)을 구비하고, 바닥면의 가장자리 일측에 물구멍(114)을 구비하여 상기 기둥관(1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보조수조(118)와;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제어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내부 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내부에 있는 물을 펌핑하여 공급호스로 보내는 수중모터(122)와;
    상기 수중모터(122)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기둥관(110)의 내부를 따라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기둥관(110)의 관통공(108)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수중모터(122)로부터 보내져온 물을 제1토출호스로 보내는 공급호스(124)와;
    상기 공급호스(124)의 일단에 연결되되, 상기 제2보조수조(118)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 고정됨과 아울러 몸체에 다 수개의 토출공(126)을 구비하여 상기 공급호스(124)로부터 보내져온 물을 상기 토출공(126)을 통해 제2보조수조(118)로 보내는 제1토출호스(128)와;
    상기 제1보조수조(116)와 제2보조수조(118)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2보조수조(118)의 물구멍(114)에 연결되어 제2보조수조(118)의 내부에 있는 물을 제2토출호스로 보내는 제1연결호스(130)와;
    상기 제1연결호스(130)의 일단에 연결되되, 상기 제1보조수조(116)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 고정됨과 아울러 몸체에 다 수개의 토출공(126)을 구비하여 상기 제1연결호스(130)로부터 보내져온 물을 상기 토출공(126)을 통해 제1보조수조(116)로 보내는 제2토출호스(132)와;
    상기 제1보조수조(116)와 호형상의 메인수조(106)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1보조수조(116)의 물구멍(114)에 연결되어 제1보조수조(116)의 내부에 있는 물을 제3토출호스로 보내는 제2연결호스(134)와;
    상기 제2연결호스(134)의 일단에 연결되되,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 고정됨과 아울러 몸체에 다 수개의 토출공(126)을 구비하여 상기 제2연결호스(134)로부터 보내져온 물을 상기 토출공(126)을 통해 호형상의 메인수조(106)로 보내는 제3토출호스(136)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수조(116)와 제2보조수조(118)의 바닥면 상에 난석을 이용하여 난석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난석층의 상면에 부직포를 놓으며,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 마사를 이용하여 제1마사층을 형성시킨 후, 식물을 심고, 마지막으로 마사를 이용하여 제2마사층을 형성시키며,
    상기 호형상의 메인수조(106)와 기둥관(1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수경정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36065A 2014-03-27 2014-03-27 수직 수경정원 KR10146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065A KR101468094B1 (ko) 2014-03-27 2014-03-27 수직 수경정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065A KR101468094B1 (ko) 2014-03-27 2014-03-27 수직 수경정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094B1 true KR101468094B1 (ko) 2014-12-15

Family

ID=5267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065A KR101468094B1 (ko) 2014-03-27 2014-03-27 수직 수경정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0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267A (ko) * 2001-10-17 2003-04-26 이재학 베란다용 입체조립식 채소재배장치
KR101102733B1 (ko) * 2009-10-30 2012-01-05 황용수 가정용 식물 재배 장치
KR20120025696A (ko) * 2010-09-08 2012-03-16 (주) 두두에너텍 엘이디를 이용한 가정용 식물배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267A (ko) * 2001-10-17 2003-04-26 이재학 베란다용 입체조립식 채소재배장치
KR101102733B1 (ko) * 2009-10-30 2012-01-05 황용수 가정용 식물 재배 장치
KR20120025696A (ko) * 2010-09-08 2012-03-16 (주) 두두에너텍 엘이디를 이용한 가정용 식물배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4208C (en) Pressurized growing air system for vertical and horizontal planting systems
KR101350394B1 (ko) 수로가 형성된 재배플레이트를 가지는 수경재배장치
EP2734034A2 (en) Apparatus for the growing of plants and a growing device
WO2015123725A1 (en)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KR200476518Y1 (ko)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CN201919384U (zh) 立体植物栽培装置
KR101652488B1 (ko) 실내 조경용 수경 재배기의 바디
CN2916029Y (zh) 生态墙
KR101986795B1 (ko) 친환경형 생태관
KR101551748B1 (ko) 식물재배장치 및 그 작동방법
US20210251162A1 (en) Closed loop self-watering sub-irrigation planter
JP2017099362A (ja) 池のろ過装置
KR101468094B1 (ko) 수직 수경정원
KR101216383B1 (ko)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CN206851474U (zh) 海绵体花盆及盆栽系统
CN206932894U (zh) 一种基于植物净化的栽培装置
KR102320687B1 (ko) 식물재배를 이용한 수족관 물 정화시스템을 갖춘 관상용 파티션구조물
TWM473049U (zh) 直立式魚菜共生裝置
CN103070036B (zh) 一种城市立体绿化体构建方法
KR20150120195A (ko) 다단식 수경 재배기
CN105660223A (zh) 一种植物墙
TWM530331U (zh) 水耕植栽磚及其植栽牆
KR200363412Y1 (ko) 화초 및 수족관을 구비한 실내조경물
KR20150115406A (ko) 실내 벽면 조경용 수경재배장치
KR101576540B1 (ko) 화분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