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383B1 -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 Google Patents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383B1
KR101216383B1 KR1020090096267A KR20090096267A KR101216383B1 KR 101216383 B1 KR101216383 B1 KR 101216383B1 KR 1020090096267 A KR1020090096267 A KR 1020090096267A KR 20090096267 A KR20090096267 A KR 20090096267A KR 101216383 B1 KR101216383 B1 KR 101216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nd
artificial island
filter trap
pump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622A (ko
Inventor
우성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프
Priority to KR102009009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38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에 관한 것으로, 연못과, 상기 연못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조성되는 인공섬과, 상기 인공섬에 매립 형성되는 여과트랩과, 상기 여과트랩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펌프실과, 상기 펌프실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여과트랩을 관통하는 흡입관정이 결합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연못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화수 이송관을 포함하여, 상기 연못의 물이 상기 여과트랩에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다중, 다단계의 여과 시스템을 통해 정화된 후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정화수 이송관을 따라 상기 연못의 각 구역으로 배출됨으로써 수질을 개선하며, 조성 전체 면적에 대비되는 면적이 수경공원 녹지정화구역 인공섬으로 구축되어 그 상부에 여과트랩형 수경설비가 구비됨으로써 각종 수목 식재를 통한 수질정화 자연친화적 생물학적 여과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인공섬을 활용하여 각종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수변공간연출까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R1020090096267
연못, 인공섬, 여과트랩, 펌프, 토양층, 자연생태공원

Description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ECO-POND HAVING FILTRATION TRAP OF CREATING ARTIFICIAL ISLAND}
본 발명은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트랩을 인공섬으로 조성하여 가장 효과적인 여과면적을 확보하고, 조성 전체 면적에 대비되는 면적이 수경공원 녹지정화구역 인공섬으로 구축되어 그 상부에 여과트랩형 수경설비가 구비됨으로써 각종 수목 식재를 통한 수질정화 자연친화적 생물학적 여과가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인공섬을 활용하여 각종 건축물, 구조물, 상징물, 조형폭포, 분수, 생태수로 등의 다양한 시설을 설치함으로써 진정한 생태공원의 조성이 가능한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골프장, 유원지, 아파트 단지 등에는 조경 또는 생태학적 목적으로 연못을 시공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인공 담수조 제작형 연못이나, 조적, 콘크리트 등을 사용한 저수조 구조체식 연못 또는 담수 위주 목적의 폰드 공사에서 간단한 순환 설비 정도의 연못만이 시공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상술한 형태의 연못들은 물이 체계적으로 순환되지 않을 뿐 아니라 여과에 의한 수질 정화가 구체적이지 못하여 각종 불순물이나 오염물질에 의해 부패되어 악취가 발생하고, 결국 연못 공사를 실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못에 미생물 또는 화학 약품을 투입하여 정화하거나, 물을 빼고 청소하는 방법 등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환경을 파괴하고, 인력 및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연못에 여과장치를 설치하기도 하는데, 지금까지 개발된 여과장치는 고장이 잦고, 필터의 청소, 교체 등과 같은 유지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종래의 여과장치는 여과면적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저수량 대비 여과효율도 적절치 못해 대형 연못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여과장치는 별도의 설치 공간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수변구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주변의 녹지와도 어울리지 않아 유려한 경관미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인공섬의 전체 면적을 여과트랩화하여 대용량의 수질 정화를 실행할 수 있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못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여러 구역에 여과설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성된 인공섬 상부에 각종 수목 식재를 통한 수질정화 자연친화적 여과가 수행될 수 있도록 여과트랩형 수경설비가 구축되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공섬을 활용하여 각종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함으로써 수변공간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연못과; 상기 연못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조성되는 인공섬과; 상기 인공섬에 매립 형성되는 여과트랩과; 상기 여과트랩의 상부에 설치되는 펌프실과; 상기 펌프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여과트랩을 관통하는 흡입관정이 결합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연못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화수 이송관;을 포함하여, 상기 연못의 물이 상기 여과트랩에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다중, 다단계의 여과 시스템을 통해 정화된 후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정화수 이송관을 따라 상기 연못의 각 구역으로 배출됨으로써 수질을 개선하며, 조성 전체 면적에 대비되는 면적이 수경공원 녹지정화구역 인공섬으로 구축되어 그 상부에 여과트랩형 수경설비가 구비됨으로써 각종 수목 식재를 통한 수질정화 자연친화적 생물학적 여과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인공섬을 활용하여 각종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수변공간연출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을 제공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트랩은, 상기 흡입관정을 중심으로 원뿔 형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여과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을 제공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여과재는, 최내층으로부터 최외층으로 차례로 적층되는, 활성탄, 분쇄석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여과재와; 맥반석, 제올라이트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 여과재와; 도석류, 운모석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3 여과재와; 고령토 또는 점토류의 인공경화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4 여과재와; 숯을 포함하는 제5 여과재; 및 분쇄석, 발파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6 여과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을 제공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은, 상기 여과트랩의 상부에 적층되는 토양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토양층에는 수목이 식재되어 상기 여과트랩에 뿌리를 내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을 제공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층은 하단으로부터 차례대로 적층되는 수경식재토, 마사 또는 모래, 식재토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을 제공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여과트랩의 하부까지 삽입 설치되는 제1 흡입관정 및 상기 펌프실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정화수 토출관과 결합되는 제1 건식펌프; 및 상기 제1 건식펌프와 병렬 설치되되, 상기 여과트랩의 하부까지 삽입 설치되는 제2 흡입관정 및 상기 정화수 이송관과 결합되는 제2 건식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을 제공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은, 상기 인공섬의 외주연으로부터 계단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습지조성정화층에 수생식물이 식재되되, 상기 수생식물의 하부에는 상기 연못의 만수수위선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을 제공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은, 상기 연못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여과트랩에 삽입되는 흡입관정과; 상기 연못의 바닥에 설치된 흡입관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정화수 이송관과; 상기 연못의 일측에 형성된 외부 수경녹지구역에 설치되는 펌프실과; 상기 수경녹지구역에 설치된 펌프실에 내설되어 상기 제1 정화수 이송관과 결합되는 건식펌프; 및 상기 수경녹지구역에 설치된 건식펌프에 결합되며, 배출구가 상기 연못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정화수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섬의 전체 면적을 여과트랩화하여 대용량의 수질 정화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못의 크기가 크고, 형태가 비정형적일 경우에는 인공섬을 다수개 조성하여 적소에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인 수질 정화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공섬을 활용하여 각종 구조물, 생태수로 등을 설비함으로써 경관미를 극대화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 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100)은 연못(10), 인공섬(20), 여과트랩(30), 펌프실(60), 펌프(70) 및 정화수 이송관(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못(10)은 공원, 유원지 등에 통상적인 공법을 이용하여 시공될 수 있으며, 이미 시공되어 오염된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인공섬(20)은 상기 연못(1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조성된다. 이 경우, 상기 인공섬(20)의 하부에는 상기 여과트랩(30)이 매립 형성되고, 상부에는 각종 건축물, 구조물, 조형물, 상징물, 폭포, 분수, 생태수로(96)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공섬(20) 자체를 여과트랩화하여 상기 연못(10)의 수질 정화를 위한 여과면적을 최대로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인공섬(20)의 면적을 다용도로 활용함으로써 진정한 생태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여과트랩(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섬(20)에 매립되어 상기 연못(10)의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여과재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여과재는 상기 인공섬(20)의 지형적 특성과 적층이 용이하게 원뿔 형상으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공섬(20)은 상기 연못(10)의 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상기 여과트랩(30)은 사방으로부터 유입된 물에 잠기게 된다. 한편, 상기 펌프(70)의 하부에는 정화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정(61)이 상기 여과트랩(30)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흡입관정(61)은 수위가 낮을 경우에도 정화수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못(10)의 바닥 근방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처럼 상기 다수의 여과재를 원뿔 형상으로 적층하게 되면, 상기 연못(10)의 물이 상기 다수의 여과재를 가장 효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흡입관정(61)에 모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관정(61)에는 불순물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관정망(63)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여과재는, 활성탄, 분쇄석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여과재(31)와, 맥반석, 제올라이트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 여과재(32)와, 도석류, 운모석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3 여과재(33)와, 고령토 또는 점토류의 인공경화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4 여과재(34)와, 숯을 포함하는 제5 여과재(35) 및 분쇄석, 발파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6 여과재(36)를 최내층으로부터 최외층으로 순차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6 여과재(36)는 상기 인공섬(20)을 매립할 수 있도록 상기 인공섬(20) 면적의 70% ~ 80% 범위로 매립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6 여과재(31, 32, 33, 34, 35, 36)로 천연 소재를 사용하여 천연 소재 자체의 물성에 따른 수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 내지 제6 여과재(31, 32, 33, 34, 35, 36)는 다수의 미세 공극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다수의 미세 공극에서 생성 및 증식되는 여과 박테리아를 이용하면 미생물 여과를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트랩(30)이 상기 제1 내지 제6 여과재(31, 32, 33, 34, 35, 36)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못의 수질이나 여과 조건에 따라 상기 여과재의 종류, 개수, 적층순서 등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계속하여, 상기 여과트랩(30)의 상부에는 수경녹지 형성을 위한 토양층(40)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토양층(40)은 하단으로부터 차례대로 적층되는 수경식재토(41), 마사 또는 모래(42), 식재토양(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재식물의 성장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수경식재토(41)의 하부는 물에 잠기게 하여 수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토양층(40)에 식재되는 각종 조경수(44)는 양질의 식생환경을 제공받아 왕성하게 성장하여 수경녹지를 형성할 수 있다.
수경녹지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조경수(44)의 뿌리는 토양층 뿌리로 생장을 거듭하다 상기 수경식재토(41)에 이르러 수경화 뿌리로 변환되어 더욱 왕성하게 생장한다. 이 경우, 상기 수경화 뿌리는 상기 여과트랩(30) 내에 부유하는 각종 유기물을 생장 호흡 작용에 의해 흡수 및 분해하여 상기 조경수(44)에 자양분으 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여과트랩(30)이 자정 및 수질 정화 작용을 함으로써 수경녹지가 더욱 활성화된다.
한편, 상기 토양층(40)은 경관미를 해치지 않도록 상기 펌프실(60)의 몸체 부분을 매립할 정도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의 펌프실과 펌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펌프실(60)은 상기 여과트랩(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토양층(40)에 의해 매립된다. 상기 펌프실(60)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70)가 설치되어 정화수를 흡입 및 배출한다. 여기서, 정화수의 흡입 및 배출은 상기 펌프(70)에 결합된 상기 정화수 이송관(90)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펌프(70)로는 건식 타입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실(60)의 내측 하부에 제1 건식펌프(71)와 제2 건식펌프(72)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제1 건식펌프(71)에는 제1 흡입관정(73) 및 정화수 토출관(77)을 결합하고, 상기 제2 건식펌프(72)에는 제2 흡입관정(74) 및 상기 정화수 이송관(90)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2 흡입관정(73, 74)은 상기 여과트랩(30)의 하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정화수 토출관(77)은 상기 펌프실(6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정화수 토출관(77)의 단부에는 생태수로(96), 인공폭포,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제2 흡입관정(73, 74)의 흡입구에는 관정망(75, 76)을 결합하여 돌과 같은 불순물이 상기 제1, 제2 건식펌프(71, 72)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건식펌프(71, 72)는 정화수를 직접 흡입하기 때문에 펌프의 교환 및 수리시 상기 제1, 제2 흡입관정(73, 74), 상기 정화수 토출관(77) 및 상기 정화수 이송관(90)에 역류 방지 밸브(94)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93은 분리 조인트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펌프(70)를 가동하면, 상기 여과트랩(30)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상기 제1, 제2 흡입관정(73, 74)을 통해 흡입되고, 흡입된 정화수는 상기 정화수 토출관(77)과 상기 정화수 이송관(90)을 통해 상기 연못(10) 또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정화수 이송관(90)의 토출구(93)는 상기 연못(10)의 심해층에 배치되어 정화수를 목적하는 구역으로 이송, 배출함으로써 정화된 물을 순환시킨다. 상기 토출구(93)에는 필요에 따라 폭기구, 분수 등을 결합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폭기구를 결합하면 상기 연못(10)의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토출구(93) 주위에는 자연석(11)을 쌓아 정화수의 배출 압력으로 상기 연못(10)의 바닥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정화수의 순환을 위한 시설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못(10)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여과트랩(30)에 흡입관정(62)을 삽입하여 설치하고, 상기 연못(10)의 녹지에는 펌프실(95)과 건식펌프(78)를 설치한 후 제1 정화수 이송관(91)으로 상기 흡입관정(62)과 상기 건식펌프(78)를 연결한다. 계속하여, 상기 건식펌프(78)에는 제2 정화수 이송관(92)을 결합하되, 상기 제2 정화수 이송관(92)의 배출구는 상기 연못(10)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흡입관정(62)에는 불순물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관정망(79)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흡입관정(62)을 통해 흡입된 정화수를 상기 건식펌프(78)에 의해 상기 연못(10)으로 배출함으로써 추가적인 정화수 순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의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100)은 습지정화구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공섬(20)의 외주연에 계단 형상으로 습지조성정화층(50)을 형성하여 각종 수생식물(51)을 식재할 수 있다. 상기 습지조성정화층(50)은 수경식재토, 다용도 활성토로 구성된 하부층(52)과 마사, 모래로 구성된 상부층(53)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수생식물(51)의 하부에는 상기 연못(10)의 만수수위선(M)이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수생식물(51) 에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인공섬(20)의 외측에는 다수개의 자연 경계석(45, 46)을 쌓아 상기 토양층(40)과 상기 여과트랩(30)의 적층 형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존하고, 유입되는 물의 양과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여과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연못(10)의 물이 유속에 의해 상기 여과트랩(30)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된다. 유입된 물은 상기 여과트랩(30)을 통과하면서 각종 광석의 성분 작용에 따라 정화되는데, 이 경우, 여과 박테리아의 생성 및 증식에 의한 수질개선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양층(40)에서의 토양 박테리아와 상기 여과트랩(30)에서 증식된 수중 박테리아가 상호 작용하여 호기성 박테리아 활성화에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물에 함유된 각종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분해하며, 적채되는 잔존 각종 유기물은 상기 조경수(44)의 자양분으로 공급되어 녹지를 활성화시킨다.
계속하여, 상기 여과트랩(30)을 통과한 정화수는 상기 펌프(70)에 의해 상기 연못(10)으로 재공급되고, 재공급된 정화수에 의해 정화되지 않은 물이 밀려 상기 여과트랩(30)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완전한 순환 시스템에 의해 여과 박테리아를 상기 연못(10)으로 확대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연못(10) 내의 낙엽, 물고기 배설물, 사료 퇴적물과 같은 각종 침전 오염 물질과 부산 생성물, 슬러지, 유기물 등을 녹여 분해하고, 상기 여과트랩(30)은 끊임없는 활성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섬(20)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상기 여과트랩(30)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순환을 위한 정화수와 자연생태수로, 분수 등 각종 구조물에 공급하기 위한 정화수를 각각 따로 여과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의 펌프실과 펌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못 11 : 자연석
20 : 인공섬 30 : 여과트랩
31, 32, 33, 34, 35, 36 :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여과재
40 : 토양층 41 : 수경식재토
42 : 마사 또는 모래 43 : 식재토양
44 : 조경수 45, 46 : 자연 경계석
50 : 습지조성정화층 51 : 수생식물
52 : 습지조성정화층의 하부층 53 : 습지조성정화층의 상부층
60 : 펌프실 61, 62 : 흡입관정
63 : 관정망 70 : 펌프
71 : 제1 건식펌프 72 : 제2 건식펌프
73 : 제1 흡입관정 74 : 제2 흡입관정
75, 76 : 관정망 77 : 정화수 토출관
78 : 건식펌프 79 : 관정망
90 : 정화수 이송관 91 : 제1 정화수 이송관
92 : 제2 정화수 이송관 93 : 분리 조인트
94 : 역류 방지 밸브 95 : 펌프실
96 : 생태수로
100 :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Claims (8)

  1. 삭제
  2. 연못과, 상기 연못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조성되는 인공섬 및 상기 인공섬에 매립 형성되는 여과트랩을 포함하는 자연생태연못에 있어서,
    상기 연못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여과트랩의 최저면 중심부에 삽입되는 흡입관정과;
    상기 흡입관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정화수 이송관과;
    상기 제1 정화수 이송관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와;
    상기 펌프가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못의 일측 녹지구역에 설치되는 펌프실; 및
    상기 펌프에 결합되며, 배출구가 상기 연못의 타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정화수 이송관;
    을 포함하되,
    상기 인공섬은 수질정화의 목적으로 통수성을 가져 상기 연못의 물이 자연스럽게 유입되고, 상기 여과트랩은 상기 흡입관정을 중심으로 원뿔 형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여과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은,
    상기 인공섬의 외주연으로부터 계단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습지조성정화층에 수생식물이 식재되되, 상기 수생식물의 하부에는 상기 연못의 만수수위선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8. 삭제
KR1020090096267A 2009-10-09 2009-10-09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KR101216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267A KR101216383B1 (ko) 2009-10-09 2009-10-09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267A KR101216383B1 (ko) 2009-10-09 2009-10-09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622A KR20090112622A (ko) 2009-10-28
KR101216383B1 true KR101216383B1 (ko) 2012-12-28

Family

ID=4155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267A KR101216383B1 (ko) 2009-10-09 2009-10-09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332B1 (ko) * 2019-09-09 2019-12-26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수질 정화기능 및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구비하는 친환경 수경공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09B1 (ko) * 2012-09-11 2013-04-02 (주)대성그린테크 부영양화 유발물질의 처리와 녹조방지를 위한 수처리용 인공식물섬
CN110606630B (zh) * 2019-10-24 2021-09-28 苏州淳和环境科技有限公司 基于人工生态岛的浅窄河道生态治理系统及其构建方法
US11795646B2 (en) * 2019-11-27 2023-10-24 Ironclad Siege, LLC System for reducing contaminants in a body of w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332B1 (ko) * 2019-09-09 2019-12-26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수질 정화기능 및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구비하는 친환경 수경공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622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560B1 (ko) 수질정화 폭기처리 인공식물섬
KR101295313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JP3207213U (ja) 統合水産養殖システム
KR100825893B1 (ko) 연못의 수질정화장치
KR101034132B1 (ko) 물순환 및 조경기능을 갖는 다기능 생태정화 식물섬
KR100818912B1 (ko) 수생초목을 이용한 오수의 자연고도 정화장치
CN103960193B (zh) 模拟自然生态环境的松江鲈鱼繁养水处理系统及运作管理方法
KR20090086181A (ko) 수질, 생물다양성, 기후까지 회복되도록 습지를 이용한 하수 등의 정화방법 및 장치
KR101175306B1 (ko) 섬유필터를 구비한 인공 수초섬
CN104355402B (zh) 一种保温曝气生化浮箱
KR101216383B1 (ko) 수경공원 인공섬 조성식 여과트랩을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CN107364973B (zh) 一种污水处理系统及其应用和污水处理方法
KR101115183B1 (ko) 여과설비를 구비한 자연생태연못
KR200417720Y1 (ko) 습지를 이용한 완충 저류시설
CN108218131A (zh) 一种滨海滩涂水产养殖源水处理的生态沟渠
KR100574171B1 (ko) 생태연못의 수(水) 처리장치
KR200414780Y1 (ko) 인공 조성된 생태 연못
CN213739060U (zh) 一种景观水体水质自净池
KR100784634B1 (ko) 수생식물을 이용한 연못물의 여과방법
KR101359437B1 (ko) 역세척 정화블럭이 구비된 자연친화적인 생태연못조성
KR101554715B1 (ko)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JP2003112191A (ja) 水質浄化システム
KR101088385B1 (ko) 자연형 연못 정수 시스템
CN204377728U (zh) 一种仿自然水循环牛蛙养殖系统
KR100899596B1 (ko) 나선형 여과탑을 가진 인공수중생태환경조성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