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686B1 -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686B1
KR101467686B1 KR20130065201A KR20130065201A KR101467686B1 KR 101467686 B1 KR101467686 B1 KR 101467686B1 KR 20130065201 A KR20130065201 A KR 20130065201A KR 20130065201 A KR20130065201 A KR 20130065201A KR 101467686 B1 KR101467686 B1 KR 10146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et
neck
mesh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영
Original Assignee
최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영 filed Critical 최승영
Priority to KR2013006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6Wirespool suppo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성장유도장치는 농작물의 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농작물 성장유도장치에 있어서, 지면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에 걸어놓을 수 있는 걸이부가 상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파이프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에 걸어놓는 걸이구; 상기 걸이구의 파이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망권취파이프; 상기 망권취파이프에 권취되는 농작물성장유도망; 상기 망권취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되어 망권취파이프를 회전시키는 권취구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걸이구의 파이프지지부의 하측에는 상기 망권취파이프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폭으로 형성되는 망출입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걸이부와 파이프지지부를 금속선재로 절곡 형성하여 상기 망권취파이프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폭으로 형성되는 망출입틈이 상기 파이프지지부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와 파이프지지부 사이에 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목부를 잡아주는 목부죄임체가 상기 목부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권취구를 작동하여 망권취파이프를 회전시켜서 농작물성장유도망을 농작물의 상부에 근접시키기 때문에, 농작물성장유도망을 망권취파이프로부터 농작물 사이에서 오르내릴 수 있어 농작물이 농작물성장유도망을 따라 폭넓게 성장할 수 있으며, 농작물의 성장을 유도함에 따라 농작물의 수확량을 용이하게 증대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농작물 성장유도장치{NET LIFTER FOR RAISING CROPS}
본 발명은 농작물의 성장을 유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의 성장을 용이하게 유도하여 농작물의 수확량을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성장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이, 토마토, 호박 등과 같은 각종 줄기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소정길이의 지지대 또는 지지줄에 작물줄기를 매달아서 작물을 수확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렇게 작물줄기를 매달 때에는 빨래집게형태의 집게부가 구비된 줄기협지구로 줄기부분을 물리도록 한 상태로 매달게 되어 있으므로 집게부에 의해 작물줄기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작물의 성장에 지장을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작물성장과정에서 줄기부분의 매단위치를 변경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02675호로 출원된 기술이 있으나, 이러한 기술도 각종 줄기작물을 간편하게 매달 수 있으나, 농작물을 보다 넓게 성장시키기 못하므로 수확량을 증대시키기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작물성장유도망을 농산물의 상부로 오르내림으로써 농작물의 성장을 용이하게 유도하여 농작물의 수확량을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는 농작물 성장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작물의 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농작물 성장유도장치에 있어서, 지면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에 걸어놓을 수 있는 걸이부가 상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파이프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에 걸어놓는 걸이구; 상기 걸이구의 파이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망권취파이프; 상기 망권취파이프에 권취되는 농작물성장유도망; 상기 망권취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되어 망권취파이프를 회전시키는 권취구로 이루어지는 농작물 성장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걸이구의 파이프지지부의 하측에는 상기 망권취파이프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폭으로 형성되는 망출입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걸이부와 파이프지지부를 금속선재로 절곡 형성하여 상기 망권취파이프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폭으로 형성되는 망출입틈이 상기 파이프지지부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와 파이프지지부 사이에 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목부를 잡아주는 목부죄임체가 상기 목부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성장유도장치는 권취구를 작동하여 망권취파이프를 회전시켜서 농작물성장유도망을 농작물의 상부에 근접시키기 때문에, 농작물성장유도망을 망권취파이프로부터 농작물 사이에서 오르내릴 수 있어 농작물이 농작물성장유도망을 따라 폭넓게 성장할 수 있으며, 농작물의 성장을 유도함에 따라 농작물의 수확량을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성장유도장치를 나타내는 비닐하우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성장유도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발췌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성장유도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발췌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성장유도장치에 적용되는 걸이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성장유도장치에 적용되는 걸이구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성장유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성장유도장치에 적용되는 걸이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비닐하우스 또는 야외에 가로대(1)가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고, 상기 가로대(1)에 다수의 걸이구(2)가 걸어놓게 되며, 상기 걸이구(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망권취파이프(3)에 농작물성장유도망(4)을 권취되고, 상기 망권취파이프(3)를 회전시켜서 농작물성장유도망(4)을 승하강시키는 권취구(5)가 상기 망권취파이프(3)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로대(1)는 비닐하우스 또는 야외에 설치될 수 있는 바, 도 1과 같이 비닐하우스에 설치할 경우에는 비닐하우스의 골조(11)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고, 야외에 설치될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면에 세워져 설치된 지주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농작물의 성장에 맞추어서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된다.
상기 걸이구(2)는 상기 가로대(1)와 망권취파이프(3) 사이에 설치되는 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구(2)의 상부에는 상기 가로대(1)에 걸어놓을 수 있는 걸이부(2a)가 상부에 형성되고, 이의 하부에는 파이프지지부(2b)가 형성되어 상기 망권취파이프(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망권취파이프(3)는 상기 걸이구(2)의 파이프지지부(2b) 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서 상기 권취구(5)에 의해 상기 걸이구(2)의 파이프지지부(2b)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망권취파이프(3)의 둘레면에는 상기 농작물성장유도망(4)이 권취되어 상기 망권취파이프(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농작물성장유도망(4)이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농작물성장유도망(4)는 농작물의 줄기가 상승하면서 줄기 등이 지그잭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할 정도의 망사로 형성되는 것이며, 일반적인 망사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권취구(5)는 상기 농작물성장유도망(4)과 농작물의 하중에 의하여 망권취파이프(3)가 회전되지 않을 정도의 감속 비율을 가진 기어열을 내장하거나 웜과 웜휠 등을 내장한 것이며,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체인 등과 같은 작동줄(5a)로 상기 권취구(5)를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지된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그 밖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걸이구(2)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걸이부(2a)와 파이프지지부(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금속을 절삭하여 제조하거나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더우기 상기 걸이구(2)의 파이프지지부(2b)의 하부에는 망출입틈(2c)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도 3과 같이 상기 망출입틈(2c)를 통하여 농작물성장유도망(4)가 원활하게 출입하게 한다.
즉 상기 걸이구(2)는 상기 가로대(1)에 걸어놓을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파이프지지부(2b)는 상기 걸이부(2a)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상기 망권취파이프(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며, 상기 망출입틈(2c)은 상기 파이프지지부(2b)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상기 망권취파이프(3)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지지부(2b)에 형성된 망출입틈(2c)를 통하여 망권취파이프(3)를 원활하게 설치하면서 망권취파이프(3)와 농작물의 하중에 의해 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2a)와 파이프지지부(2b) 사이에 목부(2d)가 형성되어 상기 목부(2d)를 잡아주는 목부죄임체(2e)가 상기 목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목부(2d)의 중앙부에 상기 파이프지지부(2b)로 연통되는 슬롯(2da)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 목부죄임체(2e)로 상기 목부(2d)를 죄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망출입틈(2c)를 통하여 망권취파이프(3)를 원활하게 설치하고, 상기 망권취파이프(3)을 파이프지지부(2d)에 배치한 뒤에 상기 목부죄임체(2e)로 상기 목부(2d)를 죄어놓으면 망권취파이프(3)와 농작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파이프지지부(2d)가 벌려져서 상기 망권취파이프(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목부죄임체(2e)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며, 하기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걸이구(2)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 재질의 걸이구(2)는 망권취파이프(3)의 하중에 의해 많은 개수로 망권취파이프(3)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어서, 보다 견고한 재질로 걸이구(2)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 6와 같이 상기 걸이구(2)를 철사와 같은 금속선재로 제조하게 되는 바, 이는 상기 걸이부(2a)와 파이프지지부(2b)를 금속선재로 절곡 형성하여 상기 망권취파이프(3)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폭으로 형성되는 망출입틈(2c)이 상기 파이프지지부(2b)의 아래쪽에 형성된다.
그리고 금속선재의 직경에 따라 망출입틈(2c)을 벌려서 망권취파이프(3)를 삽입 착탈하기가 어려워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걸이부(2a)와 파이프지지부(2b) 사이에 목부(2d)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망권취파이프(3)가 상기 파이프지지부(2b)에 설치된 상태에서 망권취파이프(3)의 하중에 의해 파이프지지부(2b)의 직경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목부(2d)를 잡아주는 목부죄임체(2e)가 상기 목부(2d)에 설치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목부죄임체(2e)는 도 6과 같이 금속 재질의 클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목부(2d)를 감싸서 권선되는 철사(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목보죄임체(2e)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목부(2d)에서 오르내릴 수 있는 금속 판상체로 구성되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망권취파이프(3)를 파이프지지부(2b)로 삽입 설치할 수 있으나, 상기 망권취파이프(3)를 설치할 때 상기 망출입틈(2c)을 벌려서 상기 망출입틈(2c)를 통하여 그대로 밀어넣을 수 있으며, 상기 망권취파이프(3)에 권취된 농작물성장유도망(4)이 승하강하면서 상기 망출입틈(2c) 부위에서 걸릴 수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망출입틈(2c)를 통하여 망권취파이프(3)를 편리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망출입틈(2c) 부위에서 농작물성장유도망(4)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망출입틈(2c)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벌려지는 연장부(2f)가 상기 파이프지지부(2b)의 하측에 일체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걸이구(2)는 금속선재를 절곡하여 걸이부(2a)와 파이프지지부(2b), 망출입틈(2c), 목부(2d), 연장부(2f)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나, 각각의 구성요소 또는 일부의 구성요소를 분리 형성하여 용접 등으로 상호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성장유도장치는 작업자가 권취구(5)를 작동하여 농작물의 상부에 농작물성장유도망(4)의 하부를 근접시킨다.
즉 권취구(5)를 작동하여 망권취파이프(3)를 회전시키고, 상기 망권취파이프(3)이 회전함에 따라 농작물성장유도망(4)의 하부가 농작물의 상부에 근접하게 된다.
물론 도 2와 같은 걸이구(2)를 사용할 경우에는 걸이구(2)와 걸이구(2) 사이에 농작물성장유도망(4)이 각각 배치되는 것이며, 망권취파이프(3)에 권취된 농작물성장유도망(4) 상에서 걸이구(2)로 망권취파이프(2)를 지지할 경우에는 도 3 내지 도 7의 걸이구(2)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구(2)에 망출입틈(2)을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망권취파이프(3)의 회전에 따라 망출입틈(2c)을 통하여 망권취파이프(3)에 권취된 농상물성장유도망(4)이 원활하게 승하강하게 된다.
아무튼 상기 걸이구(2)의 걸이부(2a)가 가로대(1)에 걸리고, 상기 걸이구(2)의 파이프지지부(2b)가 망권취파이프(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고, 상기 망권취파이프(3)에 권취된 농산물성장유도망(4)이 상기 걸이구(2)의 망출입틈(2c)를 통하여 승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망권취파이프(3)의 단부에 설치된 권취구(5)를 회전시켜서 상기 농산물성장유도망(4)을 농산물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오이, 토마토, 호박 등과 같은 각종 줄기작물인 농산물이 성장하면서 농산물성장유도망(4)을 따라 상승하면서 지그잭으로 성장할 수 있어, 농산물의 원줄기에서 갈라진 줄기가 상기 농산물성장유도망(4)에서 폭넓게 걸려서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농산물의 원줄기가 감당할 정도의 열매만을 시설 재배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농산물의 원줄기에서 갈라진 줄기에서 맺는 열매의 하중에 관계없이 농산물을 성장시킬 수 있어 농산물의 수확량을 증대할 수 있으며, 높은 위치에 맺은 열매도 권취구(5)에 의해 작동되는 망권취파이프(3)를 회전시켜서 농산물성장유도망(4)을 아래로 위치시켜서 높은 위치의 열매도 쉽게 수확할 수 있는 것이다.
1 : 가로대 2 : 걸이구
2a : 걸이부 2b : 파이프지지부
2c : 망출입틈 2d : 목부
2da : 슬롯 2e : 목부죄임체
2f : 연장부
3 : 망권취파이프 4 : 농작물성장유도망
5 : 권취구 5a : 작동줄
11 : 골조

Claims (5)

  1. 농작물의 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농작물 성장유도장치에 있어서,
    지면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에 걸어놓을 수 있는 걸이부가 상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파이프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에 걸어놓는 걸이구; 상기 걸이구의 파이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망권취파이프; 상기 망권취파이프에 권취되는 농작물성장유도망; 그리고 상기 망권취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되어 망권취파이프를 회전시키는 권취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권취구에 의해 상기 망권취파이프가 회전되면서 상기 농작물성장유도망이 상기 망권취파이프에 권취되거나 풀려서 승하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의 파이프지지부의 하측에는 상기 망권취파이프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폭으로 형성되는 망출입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의 걸이부와 파이프지지부 사이에 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목부의 중앙부에 상기 파이프지지부로 연통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목부를 잡아주는 목부죄임체가 상기 목부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와 파이프지지부가 금속선재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망권취파이프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폭으로 형성되는 망출입틈이 상기 파이프지지부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와 파이프지지부 사이에 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목부를 잡아주는 목부죄임체가 상기 목부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출입틈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벌려지는 연장부가 상기 파이프지지부의 하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KR20130065201A 2013-06-07 2013-06-07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KR10146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201A KR101467686B1 (ko) 2013-06-07 2013-06-07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201A KR101467686B1 (ko) 2013-06-07 2013-06-07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686B1 true KR101467686B1 (ko) 2014-12-01

Family

ID=5267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5201A KR101467686B1 (ko) 2013-06-07 2013-06-07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253U (ko) 2020-11-25 2022-06-02 김창현 덩굴식물의 줄기 유인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091B1 (ko) 2009-10-01 2010-01-15 홍경환 넝쿨작물재배용 유인줄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091B1 (ko) 2009-10-01 2010-01-15 홍경환 넝쿨작물재배용 유인줄 권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253U (ko) 2020-11-25 2022-06-02 김창현 덩굴식물의 줄기 유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4740B2 (ja) 農作物の枝固定支持具
KR20170021148A (ko) 비가림시공이 가능한 농작물 가지걸침지지구
AU2014259078B2 (en) Device for fastening and adjusting the carrying wires on a row of plants
KR101467686B1 (ko)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US20050252076A1 (en) Trellis system
KR101057968B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JPH04365430A (ja) 農作物のつる下し装置
KR101706056B1 (ko) 작물 줄기 유인 장치
KR101693401B1 (ko) 가지 처짐 방지용 유인줄 연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과일 재배 방법
KR200460435Y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KR20150063643A (ko)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KR101490025B1 (ko) 농작물 성장유도 망 내림용 걸이구
KR101806853B1 (ko) 넝쿨작물용 다중유인재배장치
KR101741476B1 (ko)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KR200476475Y1 (ko) 구조가 간편하고 회수가 용이한 줄기작물용 가지 받침대
KR100937091B1 (ko) 넝쿨작물재배용 유인줄 권취장치
KR200490531Y1 (ko) 작물열매 보호를 위한 열매가지 지지장치
KR200474452Y1 (ko) 가지유인용 유인줄 구조
CA2805432A1 (en) Stable cable system and method
KR102440292B1 (ko) 내림재배용 줄기 지지장치
JP2000324955A (ja) つる巻付け紐支持具
CN207604285U (zh) 一种防鸟网
JPH0529012Y2 (ko)
KR102264496B1 (ko) 넝쿨작물용 유인 재배장치
CN213755923U (zh) 一种黄瓜落蔓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