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643A -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643A
KR20150063643A KR1020130148225A KR20130148225A KR20150063643A KR 20150063643 A KR20150063643 A KR 20150063643A KR 1020130148225 A KR1020130148225 A KR 1020130148225A KR 20130148225 A KR20130148225 A KR 20130148225A KR 20150063643 A KR20150063643 A KR 20150063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drum
stopper
section
rotat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윤서
Original Assignee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3643A/ko
Publication of KR2015006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재배 또는 노지에서 과수의 가지를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유인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손으로 유인줄을 간헐적으로 잡아당기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간편하게 필요한 길이만큼을 인출할 수 있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 상단에 걸기 위한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양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축부로 이루어진 고정고리; 및 상기 고정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드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드럼은, 유인줄이 권취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의 양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판의 측면에는 상기 축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릴 경우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스톱퍼가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LENGTH OF CROP WIRE}
본 발명은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재배 또는 노지에서 과수의 가지를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유인줄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이, 호박, 가지, 토마토, 파프리카, 피망 등과 같은 작물 등을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에서 재배할 경우에는 시설 상부에 유인줄(Crop wire)을 설치하여 작물이 유인줄을 타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재배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유인줄은 과수원 등의 노지에서 과수를 재배할 경우 가지가 처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수의 주변에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 상단과 과수의 가지를 연결하여 과수를 지지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유인줄은 넝쿨식물의 넝쿨이 감아 오르며 자라거나, 줄기작물의 줄기가 쓰러지는 것, 작물이나 과수의 가지가 처지는 것 등을 방지함으로써 작물 등의 성장과 열매의 상품성 향상에 기여한다.
유인줄을 이용한 재배방법의 경우, 작물이 유인줄의 상부까지 성장하면 유인줄의 상부에서 작물 상호간에 엉킴이 발생할 수 있고, 줄기의 상단에 열매가 열릴 경우 작업자가 높은 곳의 열매를 수확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작물의 성장에 따라 작업자가 유인줄을 풀어 작물의 줄기와 유인줄을 동시에 하강시킴으로써 작물의 높이를 적절히 낮추어 주어야 한다.
한편, 유인줄을 묶거나 권취하여 고정,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021호(2011. 5. 19. 공개)에,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후크형상의 고리부와, 이 고리부 하부의 본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둘레가 폐쇄된 형태의 제1통공 및 제2 통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고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작물의 시설재배나 과수 재배의 경우 작물이나 과수의 성장에 따라 적게는 수십 개, 많게는 수백~수천 개에 이르는 유인줄의 길이를 매번 조정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힘든 작업이다. 또한, 유인줄의 고정고리는 재배시설 등의 상단, 예를 들어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천정 측에 가설된 로프나 골조 등의 설치대에 위치하므로 유인줄의 길이 조절을 위해 작업자가 사다리나 주행식 작업대를 사용해야만하고, 이 경우 작업 중 추락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인줄의 길이 조정 작업 간에 작물의 줄기나 열매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066008호(1998. 12. 5. 공개)에는 온실 등의 높은 위치에 걸어놓기 위한 걸고리(11)와, 이 걸고리(11)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축받이판(13, 14)을 가지는 본체(10)와, 본체(10)의 양측 축받이판(13, 14) 사이에 굴대설치되어 유인줄이 권취되는 권취릴(20)과, 일측 권취릴(20)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걸림돌기(27)와, 일측 축받이판과 권취릴(20) 일측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개의 걸림돌기(27)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권취릴(20)의 풀림을 규제하는 스토퍼(30)와, 스토퍼(30)를 구속위치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4)와, 스토퍼(30)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스토퍼(30)를 해제위치로 하강시키는 해제끈(35)을 가지는 풀림규제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 유인줄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도 1a 및 도 1b 참조).
그러나 상기 유인줄 공급장치는 다수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가 높으며, 유인줄을 풀어내야 할 경우에는 스토퍼 해제끈을 당긴 상태에서 동시에 유인줄을 당겨야 권취릴로부터 유인줄이 풀리고 스토퍼 해제끈을 놓아야만 권취릴이 정지하므로 작업자가 양 손을 동시에 사용하여야만 작업이 가능하여 사다리나 주행식 작업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락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그 작업 또한 여전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인줄을 유인고리에 매듭을 지어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 없으며, 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유인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유인고리와 유인줄의 결속 해제 및 연결 작업을 반복할 필요가 없는 간단한 구조의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인줄의 길이 조절을 위해 작업자가 사다리나 주행식 작업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으며, 간헐적으로 유인줄을 잡아당기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간단하고 편리하게 유인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 작업 간에 과수, 작물 등의 가지나 줄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 상단에 걸기 위한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양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축부로 이루어진 고정고리; 및 상기 고정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드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드럼은, 유인줄이 권취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의 양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판의 측면에는 상기 축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릴 경우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스톱퍼가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홈은 비원형의 폐곡선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축부는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폐곡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폐곡선 경로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스톱퍼에 걸린 경우 상기 축부가 위치하는 멈춤부,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톱퍼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탈할 경우에 상기 축부가 이동하는 경로인 제1 이동구간 및 상기 제1 이동구간의 종단과 상기 멈춤부를 반원호(半圓弧) 형태로 연결하는 제2 이동구간이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폐곡선 경로에는, 상기 제1 이동구간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제2 이동구간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열호(劣弧) 형태의 왕복구간이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드럼은 자중(自重)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편심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드럼이 1 회전할 때마다 상기 걸림부가 상기 스톱퍼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는 회전드럼의 권취부에 미리 유인줄을 권취하여 둔 후 유인줄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작업자가 유인줄에 걸린 장력을 해제한 후 일정한 힘으로 유인줄을 잡아 당겨 쉽게 원하는 길이만큼 늘여 작물이나 과수의 가지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인줄을 유인고리에 매듭을 지어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 없으며, 작물이나 과수가 성장함에 따라 유인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매번 유인고리와 유인줄의 결속 해제 및 연결 작업을 반복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인줄의 길이 조절을 위해 작업자가 사다리나 주행식 작업대를 사용할 필요 없이 지상에서 한 손으로 간단하게 유인줄을 간헐적으로 잡아당기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필요한 길이만큼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 간에 작물 등의 가지나 줄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발생 가능성이 낮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유인줄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및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고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드럼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홈에 형성된 축부의 이동경로를 예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의 작동상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100)는, 고정고리(1)와 회전드럼(2)으로 구성된다.
고정고리(1)는 양 변이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걸이부(11)와, 상기 걸이부(11)의 양 단부로부터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걸림부(12)와, 상기 걸림부(12)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수직부(13)와, 상기 수직부(13)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축부(14)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이부(11)는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천정 측에 가설된 로프나 골조 등의 설치대(3) 또는 노지의 과수 주변에 설치된 지주(支柱)의 상단 설치대(3)에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100)를 걸어 설치하는 부분이다. 걸이부(11)는 설치대(3)에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대략 “V”자형이나 “U”자형 등으로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걸림부(12)는 걸이부(11)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고정고리(1)의 대략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걸림부(12)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11)의 절곡 각도에 따라 고정고리(1)의 외측 수평방향(a) 또는 내측 수평방향(b)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걸림부(12)는 이하에서 설명할 회전드럼(2)의 스톱퍼(24)와 상호작용하여 유인줄(W)이 회전드럼(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부(13)는 걸림부(12)로부터 걸림부(12)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각각 하향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축부(14)는 수직부(13)의 단부로부터 각각 고정고리(1)의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12)와 축부(14)는 대략적으로 평행한 상태로 형성된다. 수직부(13)는 이하에서 설명할 회전드럼(2)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12)와 축부(14)가 적절히 이격될 수 있는 길이를 가져야 하는데, 대략 가이드판(22)의 반경보다는 크고 직경보다는 작은 범위의 길이로 형성한다.
축부(14)는 이하에서 설명할 회전드럼(2)의 가이드홈(23)에 삽입되어 회전드럼(2)의 회전축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고리(1)는 금속 와이어를 일체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와이어를 연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재질이 금속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회전드럼(2)은 고정고리(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유인줄(W)이 권취되는 권취부(21)와 권취부(21)의 양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판(22)으로 이루어진다.
권취부(2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데, 권취부(21)에는 유인줄(W)을 권취부(21)에 감을 때 유인줄(W)의 처음을 묶어 유인줄(W)의 권취를 용이하게 하는 줄고정부(212)가 구비된다. 줄고정부(212)는 고리나 관통홀 등의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판(22)은 원통 형상의 권취부(21)의 양 단부에 각각 대략 원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권취된 유인줄(W)이 권취부(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권취부(21)보다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한다. 가이드판(22)은 권취부(21)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드럼(2)은 일체로 형성하거나 직경방향으로 이분하여 대칭되는 형상(1/2의 권취부와 1개의 가이드판)을 갖는 2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가이드판(22)의 측면에는 고정고리(1)의 축부(14)가 삽입되어 회전드럼(2)의 회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홈(23)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3)은 한 쌍의 가이드판(22)에 각각 형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가이드판(22)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홈(23)이 한 쌍의 가이드판(22)에 각각 형성될 경우에는 회전드럼(2)의 회전 시에 각 축부(14)가 동일한 경로를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 가이드홈(23)이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대략 원반 형상을 갖는 가이드판(22)의 외주면에는 고정고리(1)의 걸림부(12)와 상호작용을 하여 회전드럼(2)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스톱퍼(24)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스톱퍼(24)에는 걸림부(12)가 삽입될 수 있는 스톱퍼홈(242)이 움푹하게 파여 일체로 형성되는데, 회전드럼(2)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유인줄(W)이 풀리는 회전방향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톱퍼(24)의 형상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곡면의 ‘ㄱ’자형을 이루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22)의 판면으로부터 외측가이드(235)와 내측가이드(236)가 간격을 이루며 일정한 높이로 돌출하여 그 사이에 축부(14)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축부(14)의 이동경로인 가이드홈(23)을 형성한다. 가이드홈(23)은 대략 비원형의 폐곡선 형태의 경로이다.
작업자가 회전드럼(2)에 권취된 유인줄(W)을 잡아당기면 축부(14)가 가이드홈(23)의 폐곡선 경로(축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드럼(2)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홈(23)의 폐곡선 경로는 도 5에 예시된다. 걸림부(12)가 스톱퍼(24)의 스톱퍼홈(242)에 삽입되어 걸린 경우에 축부(14)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인 멈춤부(231)와, 회전드럼(2)이 유인줄(W)이 풀리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스톱퍼(24)가 고정고리(1)의 걸림부(12)로부터 이탈하게 되는데, 이때 축부(14)가 멈춤부(231)로부터 벗어나 이동하는 대략 직선 경로인 제1 이동구간(232)과, 제1 이동구간(232)의 종단(232a, 멈춤부의 반대 부분)과 멈춤부(231)를 반원호(半圓弧)의 곡선 형태로 연결하는 제2 이동구간(234)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폐곡선 경로에는 제1 이동구간(232)의 종단(232a)으로부터 제2 이동구간(234)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열호(劣弧) 형태의 곡선 왕복구간(233)이 추가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예시한다.
유인줄(W)을 작물에 결속한 상태에서는 유인줄(W)에 연결된 작물의 줄기나 가지의 무게에 의해 유인줄(W)이 아래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한 유인줄(W)에 걸린 장력(T)에 의해 회전드럼(2)은 유인줄(W)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회전모멘트를 받게 되나, 스톱퍼(24)가 고정고리(1)의 걸림부(12)에 걸린 상태이므로 회전드럼(2)은 회전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유인줄(W)은 풀리지 않게 된다((A) 참조).
이 경우 회전드럼(2)의 무게중심이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 있다면 유인줄(W)을 약간 위로 추켜올려 유인줄(W)에 걸린 장력(T)을 해제하더라도 회전드럼(2)은 유인줄(W)이 풀리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도 6 및 도 7의 (A)의 예시와 같이, 회전드럼(2)의 무게중심을 축방향 중앙을 지나는 직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편심되게 형성(예를 들어 ‘G’ 부분을 상대적으로 더 무겁게 형성)하면, (B)와 같이 유인줄(W)을 위 방향으로 추켜올려 유인줄(W)에 걸린 장력(T)을 해제할 경우에는 회전드럼(2)이 자중(自重)에 의해 유인줄(W)이 풀리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부(12)로부터 스톱퍼(24)가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인줄(W)에 걸린 장력(T)이 해제되면 회전드럼(2)이 자중(自重)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톱퍼(24)가 걸림부(12)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회전드럼(2)의 무게중심을 회전드럼(2)의 축방향 중앙을 지나는 직선으로부터 일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편심되게 형성한다.
무게중심을 편심 시키기 위해서는 회전드럼(2)의 권취부(21) 및/또는 가이드판(22)의 내부 일부를 채우고 다른 부분을 비우거나, 권취부(21) 및/또는 가이드판(22)에 별도의 중량부재(미도시)를 결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2)로부터 스톱퍼(24)가 이탈하게 되면 회전드럼(2)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므로 고정고리(1)의 축부(14)는 멈춤부(231)로부터 이탈하여 (C)와 같이 제1 이동구간(232)을 경유하여 제1 이동구간(232)의 종단(232a)까지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유인줄(W)에 다시 장력이 걸리면((D) 참조), 즉 작업자가 유인줄(W)을 다시 잡아당기면, 축부(14)는 제1 이동구간(232)의 종단(231a)으로부터 반원호 형태의 제2 이동구간(234)을 따라 이동하여 다시 멈춤부(231)까지 이동하게 된다((E), (F) 참조).
이후, 유인줄(W)을 더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유인줄(W)을 추켜올렸다가(유인줄에 걸린 장력(T)을 해제하였다가) 잡아당기는 동작을 반복하여 회전드럼(2)의 1 회전에 해당하는 길이만큼씩 유인줄(W)을 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축부(14)는, 걸림부(12)가 스톱퍼(24)에 걸린 경우 축부(14)가 위치하는 멈춤부(231)와, 회전드럼(2)의 자중에 의한 회전에 따라 스톱퍼(24)가 걸림부(12)로부터 이탈할 경우에 축부(14)가 이동하는 대략 직선 경로인 제1 이동구간(232)과, 제1 이동구간(232)의 종단(232a)과 멈춤부(231)를 반원호 형태로 연결하는 제2 이동구간(234)이 연결된 대략 ‘D’자 형태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100)의 다른 작동상태를 예시한다.
도 7의 (A), (B) 및 (C)에 대한 설명은 도 6에서와 같다. 즉 걸림부(12)로부터 스톱퍼(24)가 이탈하게 되면 회전드럼(2)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므로 고정고리(1)의 축부(14)는 멈춤부(231)로부터 이탈하여 (C)와 같이 제1 이동구간(232)을 경유하여 제1 이동구간(232)의 종단(232a)까지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후 회전드럼(2)에서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부분(‘G’)이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치우칠 때까지 회전드럼(2)은 자중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축부(14)는 왕복구간(233)을 따라 이동하여 왕복구간의 종단(233a)에 위치하게 된다((D) 참조).
이 상태에서 유인줄(W)에 다시 장력이 걸리면((E) 참조), 즉 작업자가 유인줄(W)을 다시 잡아당기면 축부(14)는 왕복구간의 종단(233a)으로부터 왕복구간(233)을 따라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E) 참조), 이후 반원호 형태의 제2 이동구간(234)을 경유하여 다시 멈춤부(231)까지 이동하게 된다((F), (G) 참조). 이에 따라 회전드럼(2)은 유인줄(W)이 풀리는 방향으로 1 회전하게 되고, 회전드럼(2)의 스톱퍼(24)는 다시 고정고리(1)의 걸림부(12)에 걸려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후, 유인줄(W)을 더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유인줄(W)을 추켜올렸다가(유인줄에 걸린 장력(T)을 해제하였다가) 잡아당기는 동작을 반복하여 회전드럼(2)의 1 회전에 해당하는 길이만큼씩 유인줄(W)을 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축부(14)는, 걸림부(12)가 스톱퍼(24)에 걸린 경우 축부(14)가 위치하는 멈춤부(231)와, 회전드럼(2)의 자중에 의한 회전에 따라 스톱퍼(24)가 걸림부(12)로부터 이탈할 경우에 축부(14)가 이동하는 대략 직선 경로인 제1 이동구간(232)과, 제1 이동구간(232)의 종단(232a)으로부터 유인줄(W)이 풀리는 회전드럼(2)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된 열호 형태의 왕복구간(233)과, 제1 이동구간(232)의 종단(232a)과 멈춤부(231)를 반원호 형태로 연결하는 제2 이동구간(234)이 연결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100)는 회전드럼(2)이 1 회전할 때마다 고정고리(1)의 걸림부(12)가 스톱퍼(24)에 걸려 회전이 멈추게 되어 더 이상 풀리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100)는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천정에 가설된 줄이나 골조 파이프 등의 설치대(3) 또는 과수의 주변에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 상단의 설치대(3)에 고정고리(1)를 걸어서 설치하고, 회전드럼(2)에 권취되어 있는 유인줄(W)의 끝단을 인출하여 작물 등의 줄기나 가지에 바로 결속하거나 또는 줄기나 가지에 설치된 다른 끈이나 클립 등의 다른 구조물에 결속하여 사용한다.
유인줄(W)을 작물에 결속한 상태에서는 유인줄(W)에 걸린 장력에도 불구하고 스톱퍼(24)가 고정고리(1)의 걸림부(12)에 걸린 상태이므로 유인줄(W)은 풀리지 않게 된다.
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유인줄(W)을 풀어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유인줄(W)을 위 방향으로 추켜올려 유인줄(W)에 걸린 장력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무게중심이 편심된 회전드럼(2)이 자중(自重)에 의해 유인줄(W)이 풀리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부(12)로부터 스톱퍼(24)가 이탈하게 되고 회전드럼(2)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작업자가 유인줄(W)을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유인줄(W)은 회전드럼(2)의 1 회전만큼 풀리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유인줄(W)에 걸린 장력을 해제하였다가 다시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다시 회전드럼(2)의 1 회전만큼 유인줄(W)이 더 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유인줄(W)을 간헐적으로 잡아당기는 동작, 즉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긴 후 위 방향으로 들었다 다시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을 원하는 만큼 반복하면 회전드럼(2)으로부터 유인줄(W)을 필요한 만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유인줄(W)이 적절한 길이로 인출된 경우에는 작물에 유인줄(W)을 결속하면 유인줄(W)에 연결된 작물의 줄기나 가지의 무게에 의해 유인줄(W)이 아래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드럼(2)의 무게중심 편심에 의한 회전모멘트에도 불구하고 스톱퍼(24)가 걸림부(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인줄(W)은 더 이상 풀리지 않고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100)는 회전드럼(2)의 권취부(21)에 미리 유인줄(W)을 권취하여 둔 후 작물의 성장에 따라 유인줄(W)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작업자가 유인줄(W)에 걸린 장력을 해제한 후 일정한 힘으로 유인줄(W)을 잡아당겨 쉽게 원하는 길이만큼 늘여 작물의 위치(높이)를 다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유인고리를 이용하는 경우와 달리 유인줄을 유인고리에 매듭을 지어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 없으며, 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유인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매번 유인고리와 유인줄의 결속 해제 및 연결 작업을 반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유인줄의 길이 조절을 위해 작업자가 지상에서 한 손으로 간단하게 유인줄을 잡아당겨 필요한 길이만큼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높은 곳에서의 작업을 위해 사다리나 주행식 작업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유인줄의 길이 조절 작업 간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다.
나아가, 유인줄을 간헐적으로 잡아당기는 간단하고 반복적인 한 가지 동작에 의해 효과적으로 유인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작업 간에 작물의 가지나 줄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발생 가능성이 낮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고정고리
11: 걸이부 12: 걸림부
13: 수직부 14: 축부
2: 회전드럼
21: 권취부 212: 줄고정부
22: 가이드판 23: 가이드홈
231: 멈춤부 232: 제1 이동구간
233: 왕복구간 234: 제2 이동구간
235: 외측가이드 236: 내측가이드
24: 스톱퍼 242: 스톱퍼홈
3: 설치대

Claims (6)

  1. 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 상단에 걸기 위한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양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축부로 이루어진 고정고리; 및
    상기 고정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드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드럼은, 유인줄이 권취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의 양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판의 측면에는 상기 축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릴 경우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스톱퍼가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비원형의 폐곡선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축부는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폐곡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 경로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스톱퍼에 걸린 경우 상기 축부가 위치하는 멈춤부,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톱퍼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탈할 경우에 상기 축부가 이동하는 경로인 제1 이동구간 및 상기 제1 이동구간의 종단과 상기 멈춤부를 반원호(半圓弧) 형태로 연결하는 제2 이동구간이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 경로에는, 상기 제1 이동구간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제2 이동구간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열호(劣弧) 형태의 왕복구간이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자중(自重)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편심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이 1 회전할 때마다 상기 걸림부가 상기 스톱퍼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KR1020130148225A 2013-12-02 2013-12-02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KR20150063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225A KR20150063643A (ko) 2013-12-02 2013-12-02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225A KR20150063643A (ko) 2013-12-02 2013-12-02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643A true KR20150063643A (ko) 2015-06-10

Family

ID=5350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225A KR20150063643A (ko) 2013-12-02 2013-12-02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36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047B1 (ko) * 2018-04-13 2019-06-04 김홍민 넝쿨작물용 간편유인재배장치
KR20200027613A (ko) * 2018-09-04 2020-03-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넝쿨작물 자중에 의한 유인줄 자동 길이조절장치
CN111480510A (zh) * 2020-04-24 2020-08-04 陈玲聪 一种可调式园林树木用固定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047B1 (ko) * 2018-04-13 2019-06-04 김홍민 넝쿨작물용 간편유인재배장치
KR20200027613A (ko) * 2018-09-04 2020-03-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넝쿨작물 자중에 의한 유인줄 자동 길이조절장치
CN111480510A (zh) * 2020-04-24 2020-08-04 陈玲聪 一种可调式园林树木用固定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104B1 (ko) 넝쿨작물 재배장치
KR20150082772A (ko) 넝쿨작물의 성장 안내 장치
KR200472367Y1 (ko) 농작물 가지 고정지지구
KR101107732B1 (ko) 넝쿨작물의 성장 안내기
KR20150063643A (ko) 유인줄 길이 조절장치
KR101986047B1 (ko) 넝쿨작물용 간편유인재배장치
KR101332951B1 (ko) 과수 지지 및 유인구
JP4361957B2 (ja) トマト栽培誘引装置およびトマトの栽培方法
KR101706056B1 (ko) 작물 줄기 유인 장치
KR200388595Y1 (ko) 덩굴 식물 재배 장치
JP5568587B2 (ja) 植物誘引紐用吊り具
KR20110081693A (ko) 넝쿨식물 줄기유인 장치
JP4293306B2 (ja) 誘引紐用結束具
KR200157887Y1 (ko) 식물재배용 유인끈 케이스
CN110679349A (zh) 一种温室自动落蔓装置
KR101393792B1 (ko) 넝쿨작물의 성장 안내 장치
KR100937091B1 (ko) 넝쿨작물재배용 유인줄 권취장치
RU2159538C2 (ru) Шпалера для высокорослых и лиановидных растений
ES2246678A1 (es) Devanadora suspendida, en particular para cultivos.
JP2001275496A (ja) 誘引栽培装置
KR101467686B1 (ko) 농작물 성장유도장치
RU195295U1 (ru) Катушка для приспускания тепличных растений
KR20110081716A (ko) 넝쿨식물 줄기유인 장치
KR102264496B1 (ko) 넝쿨작물용 유인 재배장치
KR101493929B1 (ko) 농작물 고정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