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768B1 -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및 약액흡입기 - Google Patents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및 약액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768B1
KR101466768B1 KR20130021400A KR20130021400A KR101466768B1 KR 101466768 B1 KR101466768 B1 KR 101466768B1 KR 20130021400 A KR20130021400 A KR 20130021400A KR 20130021400 A KR20130021400 A KR 20130021400A KR 101466768 B1 KR101466768 B1 KR 101466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mesh
chemical
inhaler
low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985A (ko
Inventor
허재만
Original Assignee
케이티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티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티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2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768B1/ko
Priority to PCT/KR2014/001186 priority patent/WO2014133273A1/ko
Publication of KR2014010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5Inhalator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5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insensitive to tilting or inclination, e.g. spill-over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38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spray being produced by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rough a pl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orifices
    • B05B17/0646Vibrating plates, i.e. plates being directly subjected to the vibrations, e.g. having a piezoelectric transducer attached thereto

Abstract

약액흡입기를 일정 각도 이상 기울여도 약액 분무가 가능한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및 약액흡입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는, 상부에 형성된 상부 개구부와, 하단 일측면에 바이브레이션 메시가 부착되는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한다. 몸체는 적어도 일 부분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액흡입기를 기울여도 일정 각도까지는 분무동작에 제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하부 개구부 주변 부위가 하부 개구부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홈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액이 표면장력에 의해 메시에 붙어있게 되므로, 일시적으로 약액흡입기를 90도 이상으로 기울여도 분무가 된다.

Description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및 약액흡입기{Nebulizer and housing for nebulizer}
본 발명은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및 약액흡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액흡입기를 일정 각도 이상 기울여도 약액 분무가 가능한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및 약액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약액흡입기는 약액을 분무(mist) 형태로 분사시킴으로써 환자가 호흡기를 통해 약액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약액흡입기는 등의 분무 장치에는 약액용기에 담긴 약액을 바이브레이션 메시 등의 진동자의 진동면에 닿게 하여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약액을 분무 형태로 변환시켜 분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약액흡입기를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도 많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약액흡입기로는 특허공개 제2001-0083956호, 특허공개 제2012-0096524호, 특허공개 제2012-0115278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형 약액흡입기는 약액용기에 약액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약액흡입기를 일정 각도 이상 기울이면 진동자에 약액이 제대로 닿지 않아서 약액분무 동작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약액용기에 약액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약액흡입기를 기울여도 약액분무가 되는 약액흡입기 및 이러한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는, 상부에 형성된 상부 개구부와, 하단 일측면에 바이브레이션 메시가 부착되는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한다. 몸체는 적어도 일 부분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흡입기는, 약액을 진동시켜서 분무형태로 변환시키는 바이브레이션 메시와, 상기 바이브레이션 메시를 진동시키기 위한 발진자를 포함하는 발진부와, 상부에 형성된 상부 개구부와 하단 일측면에 바이브레이션 메시가 부착되는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약액용기와, 상기 하부 개구부에 상기 메시를 고정시키기 위한 메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몸체는 적어도 일 부분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몸체의 상기 바이브레이션 메시가 부착되는 측면의 벽은 수직으로 형성되며, 그 맞은편 측면의 상기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부분은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75도이다.
몸체의 하부 개구부 주변 부위는 홈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통 형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하부 개구부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홈통 형상부의 끝단에서 상기 뚜껑까지 완만하게 이어지는 상부측벽을 구비하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몸체의 상기 바이브레이션 메시가 부착되는 측면의 벽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 맞은편 측면의 상기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부분은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져 형성되므로 약액흡입기를 기울여도 일정 각도까지는 분무동작에 제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하부 개구부 주변 부위가 하부 개구부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홈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액이 표면장력에 의해 메시에 붙어있게 되므로, 일시적으로 약액흡입기를 90도 이상으로 기울여도 분무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흡입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용기 및 메시 고정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약액용기가 수직으로 서 있을 때 약액이 담겨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약액용기가 75도 기울여져 있을 때 약액이 담겨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약액용기가 도 4와는 반대 방향으로 75도 기울여져 있을 때 약액이 담겨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용기 및 메시 고정수단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흡입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의 약물흡입기는 뚜껑(10)와, 내부에 약액용기가 수용되는 상부 몸통부(20), 그리고 배터리, 전기회로 등이 내부에 수용되는 하부 몸통부(30)를 구비한다. 하부 몸통부(30)에는 약물흡입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 몸통부(20)에는 분무 상태로 약액이 분출되는 개구부(H)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용기 및 메시 고정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약액용기의 몸체는 약물흡입기의 상부 몸통부(20) 내에 수용되고, 뚜껑(10)은 약물흡입기의 상부에 노출된다.
약액용기는 상부에 형성된 상부 개구부와, 하단 일측면에 바이브레이션 메시(25)가 부착되는 하부 개구부(H)가 형성된 몸체와,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10)을 포함한다. 몸체는 적어도 일 부분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약물흡입기의 뚜껑(10)은 레버(11)를 이용하여 열어서 위로 올리면 힌지(12)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뚜껑(10)과 몸체와의 접촉 부위에는 약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등의 재질로 된 패킹(22)이 구비된다.
바이브레이션 메시(25)는 메시 고정수단(26)에 의해 몸체에 고정된다. 바이브레이션 메시(25)가 부착되는 몸체 측면의 일부 벽(24)은 수직으로 형성되며, 그 맞은편 측면 벽의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부분(23b)은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75도이다.
몸체의 하부 개구부(H) 주변 부위는 상대적으로 좁은 원통형의 홈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통 형상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부 개구부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홈통 형상부에서는 약액을 많이 수용할 수 없다. 따라서, 약액용기 몸체의 상부에는 홈통 형상부의 끝단에서 몸체 상단부까지 완만하게 이어지는 상부측벽(23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약액용기의 기울기에 따른 약액이 담기는 모습을 설명한다. 도 3은 약액용기가 수직으로 서 있을 때 약액이 담겨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약액용기가 75도 기울여져 있을 때 약액이 담겨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약액용기가 도 4와는 반대 방향으로 75도 기울여져 있을 때 약액이 담겨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약액용기가 수직으로 서 있을 때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약액의 양이 줄더라도 약액(L)이 바이브레이션 메시(25)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약액 분무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약액용기가 뒤로 75도 정도 기울여져 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약액흡입기에서는 약액의 일부만이 바이브레이션 메시에 접촉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약액용기에서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약액(L)이 바이브레이션 메시(25)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약액 분무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몸체의 하부 개구부 주변 부위가 하부 개구부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홈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액이 표면장력에 의해 메시에 붙어있게 되어, 일시적으로 약액흡입기를 90도 이상으로 기울여도 분무가 가능하다.
약액용기가 앞으로 75도 정도 기울여져 있는 경우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약액(L)이 바이브레이션 메시(25)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약액 분무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용기 및 메시 고정수단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에서 도면부호 1은 전면 메시 케이스(mesh case front)로서, 바이브레이션 메시를 고정하기 위한 앞쪽 외장이며, 2는 메시 전면 패드(mesh front pad)로서 메시 진동과 방수를 위한 앞쪽 실리콘 개스킷이다. 도면부호 3은 제1 메시 제어판으로서 메시의 전극 연결을 위한 앞쪽 단자이고, 도면부호 5는 제2 메시 제어판으로서, 메시의 전극 연결을 위한 뒤쪽 단자이다. 도면 부호 4는 바이브레이션 메시로서, 고주파수로 진동함으로써 메시 망을 통하여 약액을 미세 입자로 분무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6은 메시 후면 패드(mesh rear pad)로서 메시 진동과 방수를 위한 뒤쪽 실리콘 개스킷이며, 7은 메시 연결핀으로서 본체와의 전극 연결을 위한 핀 단자이다. 도면부호 8은 후면 메시 케이스(mesh case rear)로서 바이브레이션 메시를 내장하기 위한 뒤쪽 외장이다. 도면부호 9는 메시 케이스 후면 패드로서도면부호 1~8의 메시 조립체와 약액용기 몸체(21)를 연결하는 실리콘 개스킷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것처럼 약액용기 몸체(21) 위에는 뚜껑(10)이 탑재된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도면부호 1 내지 3 및 5 내지 9가 바이브레이션 메시(4)를 약액용기 몸체(2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형성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뚜껑, 20 상부 몸통부,
21 약액용기 몸체, 22 패킹,
25 바이브레이션 메시, 26 메시 고정수단,
30 하부 몸통부, 31 조작부.

Claims (10)

  1.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로서,
    상부에 형성된 상부 개구부와, 하단 일측면에 바이브레이션 메시가 부착되는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
    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적어도 일 부분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바이브레이션 메시가 부착되는 측면의 벽은 수직으로 형성되며, 그 맞은편 측면의 상기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부분은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는 7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하부 개구부 주변 부위는 홈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통 형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 개구부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홈통 형상부의 끝단에서 상기 뚜껑까지 완만하게 이어지는 상부측벽을 구비하는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6. 약액을 진동시켜서 분무형태로 변환시키는 바이브레이션 메시와,
    상기 바이브레이션 메시를 진동시키기 위한 발진자를 포함하는 발진부와,
    상부에 형성된 상부 개구부와 하단 일측면에 바이브레이션 메시가 부착되는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약액용기와,
    상기 하부 개구부에 상기 메시를 고정시키기 위한 메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적어도 일 부분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약액흡입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바이브레이션 메시가 부착되는 측면의 벽은 수직으로 형성되며, 그 맞은편 측면의 상기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부분은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흡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는 7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흡입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하부 개구부 주변 부위는 홈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통 형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 개구부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흡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홈통 형상부의 끝단에서 상기 뚜껑까지 완만하게 이어지는 상부측벽을 구비하는 약액흡입기.
KR20130021400A 2013-02-27 2013-02-27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및 약액흡입기 KR101466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1400A KR101466768B1 (ko) 2013-02-27 2013-02-27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및 약액흡입기
PCT/KR2014/001186 WO2014133273A1 (ko) 2013-02-27 2014-02-13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및 약액흡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1400A KR101466768B1 (ko) 2013-02-27 2013-02-27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및 약액흡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985A KR20140106985A (ko) 2014-09-04
KR101466768B1 true KR101466768B1 (ko) 2014-11-28

Family

ID=5142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1400A KR101466768B1 (ko) 2013-02-27 2013-02-27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및 약액흡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6768B1 (ko)
WO (1) WO2014133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5930B (zh) * 2014-06-25 2017-08-21 達爾生技股份有限公司 霧化裝置及霧化模組
EP3002524B1 (en) 2014-10-01 2020-02-26 Condair Group AG Device for producing water droplets for air humidification and a humidification system with such devices
FR3026646B1 (fr) * 2014-10-06 2019-11-01 La Diffusion Technique Francaise Dispositif de nebulisation a tamis fixe
CN105214183A (zh) * 2015-11-06 2016-01-06 厦门唯科健康科技有限公司 医用雾化器
KR102552776B1 (ko) 2015-11-30 2023-07-10 (주)아모레퍼시픽 miRNA를 포함하는 흑색종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982798B1 (ko) * 2018-07-27 2019-05-28 케이티메드 주식회사 휴대용 고분자 용액 분무기
WO2021191163A1 (en) 2020-03-24 2021-09-30 Stamford Devices Limited A vibrating aperture plate nebuliz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877A (ja) * 1995-11-14 1997-05-27 Toshio Shimizu 洗浄器
JP3821095B2 (ja) * 2000-10-05 2006-09-1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液体噴霧装置
JP2008023026A (ja) 2006-07-20 2008-02-07 Alfresa Pharma Corp 噴霧機及び噴霧機の洗浄方法
KR20120023668A (ko) * 2009-04-23 2012-03-13 니코메드 게엠베하 큰 부피의 건조 분말의 분무를 위한 개선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877A (ja) * 1995-11-14 1997-05-27 Toshio Shimizu 洗浄器
JP3821095B2 (ja) * 2000-10-05 2006-09-1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液体噴霧装置
JP2008023026A (ja) 2006-07-20 2008-02-07 Alfresa Pharma Corp 噴霧機及び噴霧機の洗浄方法
KR20120023668A (ko) * 2009-04-23 2012-03-13 니코메드 게엠베하 큰 부피의 건조 분말의 분무를 위한 개선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3273A1 (ko) 2014-09-04
KR20140106985A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768B1 (ko) 약액흡입기용 약액용기 및 약액흡입기
EP3560604B1 (en) Aerosol generator and atomizing module
US20150164142A1 (en) Electronic cigarette, atomizing device, power pole and charger connector
US7891352B2 (en) Aerosol generating means for inhalation therapy devices
CN106102808B (zh) 吸入器和吸入器组
EP3560603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or
KR20180023621A (ko) 휴대용 약액흡입기
ITMI951717A1 (it) Apparecchio aerosol ad ultrasuoni
TWI652123B (zh) Washer
US10758685B2 (en) Ultrasonic nebulizer
JP2021016388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の制御方法、及び、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の制御プログラム
TWI429146B (zh) 電子裝置及其防水元件
CN105903106A (zh) 药杯组件及医用雾化器
WO2015003319A1 (zh) 一种手机镜头放大器
JP2005006171A (ja) 表面実装水晶発振器
WO2015013931A1 (zh) 一种电子计步器
JP2003007275A5 (ko)
CN208589970U (zh) 一种抗冲击石英晶体谐振器
KR20220124596A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4563696B2 (ja) 霧化システム
KR20150146379A (ko) 분무 어셈블리 및 그에 의해 형성된 분무기
JP2021060192A5 (ko)
KR101982798B1 (ko) 휴대용 고분자 용액 분무기
KR102481500B1 (ko) 가습기
CN209608620U (zh) 一种便携组合式石英晶体谐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