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194B1 - 오폐수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폐수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194B1
KR101466194B1 KR1020140041349A KR20140041349A KR101466194B1 KR 101466194 B1 KR101466194 B1 KR 101466194B1 KR 1020140041349 A KR1020140041349 A KR 1020140041349A KR 20140041349 A KR20140041349 A KR 20140041349A KR 101466194 B1 KR101466194 B1 KR 101466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pipe
pipes
storage container
waste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환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최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환 filed Critical 최병환
Priority to KR1020140041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오폐수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폐수 배출 시스템은, 오폐수 유입구 및 개폐가능한 뚜껑을 포함하는 오폐수 저장용기;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배수펌프; 상기 적어도 2개의 배수펌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내에 배치하는 적어도 2개의 제1배관;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내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배관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하나의 배출구가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외부로 인출되는 제2배관; 및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의 뚜껑 개방 시에 외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배관과 제3배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시스템 유지보수를 위해 제1배관과 제3배관을 상호 연결 또는 결합이 가능한 배관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폐수 배출 시스템{A SYSTEM FOR EXHAUSTING A POLLUTION AND WASTE WATER}
본 발명은 오폐수 배출시스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공간절약이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편리한 오폐수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에 거주환경이 집중되고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가정이나 각종 시설물, 예를 들면 사람이 생활하는 주방, 화장실, 욕실 등에서 각종 액상 또는 고상 오물이 물에 혼합된 오폐수가 발생하고 있다. 빌딩과 같은 다중 이용시설물은 보통 지하에 오폐수를 수거 및 배수하는 오폐수 탱크를 설치하고, 지하 오폐수 탱크에 저장된 오폐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오폐수 배출 시스템이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폐수 배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오폐수 배출시스템은 오폐수를 저장하는 오폐수 저장탱크(10), 오폐수 저장탱크에 오폐수를 유입하는 유입배관(13), 오폐수 저장 탱크(10)에 저장된 오폐수를 강제 배출하는 제1 및 제2배수펌프(30,40), 상기 배수펌프(30,40)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 배출통로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배관(31,41), 및 상기 오폐수 저장탱크(10)의 외부에 위치한 배관(31,41)의 중간에 배치된 제1 및 제2체크밸브(33,43), 제1 및 제2수동개폐밸브(35,45) 및 상기 오폐수 저장탱크를 덮는 커버(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1)는 제1배관(31)이 관통하는 제1뚜껑(12) 및 제2배관(41)이 관통하는 제2뚜껑(15)을 포함하고 있다. 제1뚜껑(12) 및 제2뚜껑(15)은 볼트(17)에 의해 커버(11)에 고정되어 있다.
통상 오폐수 배출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의 지하는 오폐수 저장탱크(10), 오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관(31,41) 및 오폐수 유입배관(13)으로 인해 매우 복잡하고 불결한 환경을 초래하게 된다.
건물 지하에 설치되는 오폐수 저장탱크의 크기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종래의 오폐수 배출 시스템은 계속하여 오폐수를 배출하기 위해 오폐수 저장탱크(10) 내에 2개의 배수펌프(30,40)가 배치되고 오폐수 배출용 배관(31,41)도 2개가 배치될 수밖에 없다. 이때 2개의 오폐수 배출용 배관(31,41)은 각각 오폐수 저장탱크(10)로부터 수직으로 길게 연장하기 때문에 더욱 시공이 복잡하고 복잡한 난이도 환경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오폐수 배출시스템은 하나의 배수펌프(30)가 가동 중일 때 다른 배수펌프(40)의 수리나 교체를 위해 오폐수 저장탱크(10) 밖으로 꺼낼 수 있어야 한다. 이때 배수 펌프(40)를 꺼내기 위해서는 커버(11)에 배치된 제2뚜껑(15)의 볼트(17)를 풀어 제2뚜껑(15)을 분리하고, 배관(41)에 연결된 체크밸브(40)를 강제 분리하여야 한다. 이때, 체크밸브(40)를 분리하더라도 배관(41)이 연결된 배수 펌프(40)는 체크밸브(40)와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놓여 있기 때문에 쉽게 분리되지 않고 강제로 배관(41)을 철거 또는 분해시켜서 분리해야 한다. 따라서, 분리시 배관(41)은 변형될 가능성 매우 높고 분리에 상당한 시간과 공수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체크밸브(40)의 분리에 의해 배관(41)이 분리되었지만, 제2뚜껑(15)은 관통하는 배관(41)에 끼워진 상태이고 배수 펌프(40)를 외부로 꺼내는데에 상당한 시간과 점검 보수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오폐수 저장 탱크(10)에 배치된 배수 펌프(30,40)나 내부 배관(31,41)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커버의 제1뚜껑(12)이나 제2뚜껑(15)을 분리한 후 제1뚜껑(12)이나 제2뚜껑(16)을 배관(31,41)을 따라 인양하여야 하는데, 작업자는 제1뚜껑(12)이나 제2뚜껑(16)에 의해 확인작업 환경에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오폐수 배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지보수를 위해 배수펌프 및 배관을 점검보수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오폐수 배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 펌프나 배관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오폐수 배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원재활용이 적합한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오폐수 배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폐수 저장 탱크에 유입되는 부유물이나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오폐수 배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오폐수 배출 시스템은, 오폐수 유입구 및 개폐가능한 뚜껑을 포함하는 오폐수 저장용기;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내에 배치되어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내의 오폐수를 펌핑하는 적어도 2개의 배수펌프; 상기 적어도 2개의 배수펌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제1배관;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내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배관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하나의 배출구가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외부로 인출되는 제2배관; 및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의 뚜껑 개방 시에 외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배관과 제3배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시스템 유지보수를 위해 제1배관과 제3배관을 상호 연결 또는 결합이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배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배관은 각각 오폐수 저장용기 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수직배관 및 상기 제1수직배관으로부터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1수평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관은 상기 제1배관의 제1수평배관과 연결되는 제2수평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관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배관의 제2수평배관들을 하나로 통합하는 통합부 및 상기 통합부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오폐수 저장용기 외부로 연장하는 제2수직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연결부는 상기 제1수평배관과 제2수평배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연결부는 URF(Union Rubber Ring Fitting) 타입 또는 DRF(Dual Join Rubber Ring Fitting)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연결부는 역류방지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폐수 배출 시스템은 오폐수 유입구에 연결된 오폐수 유입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폐수 유입배관은 URF(Union Rubber Ring Fitting) 타입 또는 DRF(Dual Join Rubber Ring Fitting)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폐수 배출 시스템은 유입되는 오폐수를 상기 배수 펌프 근처로 안내하는 오폐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배관 및 전원 코드가 통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은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배출 시스템은 2개의 배수펌프가 사용되더라도 오폐수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관이 하나이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구조이고 설치공간의 절약이 가능하다.
또한, 오폐수 저장탱크로부터 나오는 배관이 하나밖에 없어 미관이 우수하다.
또한, 유지보수를 위한 뚜껑에는 배관이 통과하지 않고, 배관 및 배수 펌브를 수평으로 분리하기 때문에 편리하게 배수 펌프들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오폐수 저장탱크를 조립형으로 제작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비 반입 및 설치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뚜껑에 배관이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편리하게 오폐수 저장 탱크 내부의 배수펌프와 배관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오폐수 저장탱크 내에 유입되는 오폐수에 포함된 슬러지나 퇴적물을 분쇄하여 배수펌프의 드레인 측으로 안내하도록 하여 오폐수 저장탱크 내에 슬러지나 퇴적물이 축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폐수 저장용기가 열가소성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로 제작되어 재사용이 가능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폐수 저장탱크의 뚜껑 또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을 배치하여 오폐수 저장탱크 내의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폐수 배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도 1의 커버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배출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도 4는 도 3의 오폐수 배출시스템의 오폐수 저장 탱크 뚜껑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도 3의 오폐수 배출시스템을 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및
도 6은 도 3의 A-A선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본 오폐수 배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오폐수 배출 시스템(100)을 나타낸 것으로, 오폐수 배출 시스템(100)은 오폐수 저장용기(110), 2개의 배수펌프(120,130), 2개의 제1배관(121-123)(131-133), 제2배관(140,141), 및 2개의 배관연결부(150,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오폐수 저장탱크(110)는 건물이나 시설물에서 사용하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 유입구(191)를 포함할 수 있다. 오폐수 유입구(191)에는 오폐수 유입관(193)에 연결된 URF(Union Rubber Ring Fitting) 타입 또는 DRF(Dual Join Rubber Ring Fitting) 타입의 유입관연결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탈부착 가능하다.
오폐수 저장탱크(110)는 재사용이 가능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폐수 저장탱크(110)는 상부용기(110-1) 및 하부용기(110-2)를 별도로 제작하여 설로 결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부용기(110-1) 및 하부용기(110-2)의 결합은 용접, 접착제 또는 중간에 실링부재(119)를 개재시킨 후 볼트/너트(111)로 가압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부용기(110-1) 및 하부용기(110-2)는 점검유지 보수 시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사용하는 볼트/너트(111)는 내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SUS 304 볼트 및 진동 풀림 방지기능이 있는 로크(locked)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실링부재(119)는 내식성이 우수한 네오플랜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오폐수 저장탱크(110)는 저장되는 오폐수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는 오폐수 수위 검출부(172) 및 상기 검출된 수위를 제어부(180)에 전달하는 플루트(floot) 스위치(170)가 배치되어 있다. 즉, 오폐수 저장탱크(110) 내의 오폐수 수위가 사전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플루트(floot) 스위치(170)가 신호선(185)를 통하여 수위 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하여 배수펌프(120,13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물론 소정 수위로 낮아지면 이를 제어부(180)가 배수펌프(120,13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오폐수 수위에 따른 자동조작으로 배수펌프(120,130)을 동작시킬 수 있다.
2개의 배수펌프(120)는 오폐수 저장탱크(110) 내에 배치되어, 동시에 또는 교대로 작동하여 오폐수 저장탱크(110) 내의 오폐수를 펌핑(pumping)할 수 있다. 2개의 배수펌프(120) 중 하나가 고장이면, 경보 또는 경고등 표시를 통해 고장나지 않은 펌프가 가동할 수 있다. 2개의 배수펌프(120,130)는 오폐수뿐만 아니라 함께 유입된 고형물을 분쇄(그라인드)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된 오폐수는 배관(121-123,131-133, 140-1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펌프(120,130)는 오폐수 저장탱크(110)내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방수 가능하여야 한다.
오폐수 저장탱크(110) 내의 상부에는 가스나 냄새를 배출하는 배기관(200) 및 배기 팬(Fan)(20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배기 팬(202)은 무동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관(200) 및 배기 팬(Fan)(202)은 악취 및 유독가스를 외부의 대기로 완전 방출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오폐수 저장탱크(110) 내의 하부에는 오폐수 유입구(191)에서 유입되어 떨어지는 오폐수를 배수펌프(120,130) 측으로 안내하는 오폐수 가이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오폐수 가이드부(220)는 오폐수 유입구(191)의 하측 일정 높이에서 배수 펌프(120,130) 근처를 향해 예를 들면 45°하향 경사진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폐수 가이드부(220)는 배수 펌프(120,130) 근처를 향해 연장하는 홈부(223) 및 상기 홈부(223)에 의해 분리된 제1, 제2분리부(222,22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홈부(223) 대신에 예를 들면 삼각 단면의 돌출부(미도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폐수 가이드부(220)는 오폐수 저장탱크(110)의 바닥에 접촉하는 좌우 부분, 즉 오폐수 가이드되는 중앙부분을 벗어난 부분에 개구(225)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225)는 배수 펌프(120,130) 측으로 안내되어 온 오폐수가 통과하여 오폐수 가이드부(220) 하부에 채워지도록 하여 오폐수 저장탱크(110)의 저장용량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폐수 가이드부(220)나 그 하측 공간의 관리할 수 있도록 오폐수 가이드부(220)는 오폐수 저장탱크(110)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폐수 가이드부(220)는 오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고형물이 낙차 순간에 홈부(223) 및 제1,2분리부(222,224)에 의해 분쇄한 후 배수 펌프(120,130)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배수 펌프(120,130)는 모인 오폐수뿐만 아니라 분쇄된 고형물을 바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폐수 가이드부(220)는 배수펌프(120,130) 측 부근을 오수 집수정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고, 오폐수 유입구(191)의 하측 바닥에 퇴적물 및 슬러지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배출 시스템(100)은 2개의 배수 펌프(120,130)에 각각 연결된 2개의 제1배관(121-123, 131-133) 및 1개의 제2배관(140,141)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배관(121-123, 131-133)은 오폐수 저장탱크(110)의 바닥에 설치된 배수펌프(120,130)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배관(121,131), 상기 수직배관(121,131)으로부터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1수평배관(122,132) 및 제2수평배관(123,133)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배관(122,132) 및 제2수평배관(123,133) 사이에는 배관연결부(150,160)이 개재되어 있다.
배관연결부(150,160)는 예를 들면 URF(Union Rubber Ring Fitting) 타입 또는 DRF(Dual Join Rubber Ring Fitting)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관연결부(150,160)의 양측은 제1수평배관(122,132)과 제2수평배관(123,133)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배관연결부(150,160)와 제1수평배관(122,132)과 제2수평배관(123,133)은 링타입 회전레버를 나사진행 방향 또는 나사진행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 또는 분리상태로 될 수 있다. 물론 배관연결부(150,160)의 형태는 이러한 형태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를 위해 배관연결부(150,160)는 제1수평배관(122,132)과 제2수평배관(123,133)을 편리하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부(150,160)는 제1수평배관(122,132)과 제2수평배관(123,133)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분리시 수직배관(121,131)과 제1수평배관(122,132)이 결합된 배수펌프(120,130)를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게 배수펌프(120,130)를 분리하여 꺼낼 수 있다.
배관연결부(150,160)에는 수평개폐레버(152,162) 및 역류방지밸브(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는 교대로 배수펌프(120,130)를 작동시킬 때 동작하지 않는 배수펌프 측으로 배수되는 오폐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펌프(120)에 속한 제2수평배관(123)은 제1수평배관(122)의 연장방향으로 진행하다가 꺾인 상태로 다른 배수펌프(130)의 제2수평배관(133)을 향해 연장한다. 배수펌프(130)에 속한 제2수평배관(133)은 제1수평배관(132)의 연장방향으로 진행하다가 꺾인 상태로 다른 배수펌프(120)의 제2수평배관(123)을 향해 연장한다.
제2배관(140,141)은 상기 2개의 제2수평배관(123,133)을 하나로 통합하는 예를 들면 'T'자형 배관(140)과 상기 T자형 배관(140)의 출구에 연결되어 오폐수 저장탱크(110)의 외부로 연장하는 배출배관(1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배출 시스템(100)은 오폐수 저장탱크(110)로부터 하나의 배출배관(141)만이 인출되어 건물 또는 시설물 외부로 보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폐수 저장탱크(110)에서 배출배관(141)을 인출하는 개공(117)은 하나이기 때문에 조립, 설치 및 제작이 편리하다. 특히, 외부 배출배관(141)이 하나이면, 오폐수 배출 시스템(100)을 설치하는 환경 조건이 상대적으로 좋고, 설치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배관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설치조건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직연장 배관에서 수평연장배관을 단일의 형태로 제작하거나, 'ㄱ' 자 형태의 엘보관을 이용하여 DRF타입으로 연결할 수도 있고, 종래의 배출배관(141)을 오폐수 저장탱크(110)의 커버(112)를 향해 수직으로 인출하는 대신에 오폐수 저장탱크(110) 내에서 수평으로 분해하여 인출할 수도 있다. 또한, 오폐수 저장탱크(110) 내에 2개의 배수펌프(120,130)를 가진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현장설치 조건에 따라 3개 이상의 배수펌프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오폐수 저장탱크(110)의 커버(112)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커버(112)는 다수의 체결볼트(114)에 의해 결합 또는 해체가 가능한 뚜껑(113), 상기 배출배관(141)을 인출하는 개공(117), 오폐수 저장탱크(110) 내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플루트(floot) 스위치(170), 및 배수펌프(120,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 통과공(115,1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12)는 오폐수 저장탱크(110) 내의 가스나 냄새를 배출하는 배기관(200)이 통과하는 연결공(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펌프(120,130)나 배관들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볼트/너트(114)를 해체하고 뚜껑(113)을 개방시킨다. 이때 볼트/너트(114)는 내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SUS 304 볼트 및 진동 풀림 방지기능이 있는 로크(locked)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뚜껑(113)에는 배관(141)들이나 전원코드가 전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단일의 뚜껑(113)을 분리해 낼 수 있다. 이때, 뚜껑(113)은 뚜껑(113)을 분리한 상태에서 오폐수 저장탱크(110)의 내부를 보면 배관연결부(150,160)가 노출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뚜껑(113)은 2개의 배수펌프(120,130) 중 적어도 하나가 인출될 수 있고, 배관연결부(150,160)를 조작하여 연결상태를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는 정도로 노출되면 충분하다.
이후, 배관연결부(150,160)를 분리한 상태에서, 수직배관(121,131)과 제1수평배관(122,132)이 연결된 배수펌프(120,130)를 제1수평배관(122,132)의 연장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어떤 방해도 없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뚜껑(113)은 적어도 일부에 점검 투시창(미도시)이 배치됨으로써 오폐수 저장탱크(110) 내부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점검 투시창은 오폐수 유입상태, 배관이나 배기팬 이상유무, 고형물에 의한 슬러지 퇴적, 및 그라인더 수중 배수펌프(120,130)를 육안으로 점검하여 고장방지를 위한 예방점검 및 유지보수 목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뚜껑(113) 전체를 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점검 투시창은 뚜껑(113)에 배치되지 않고, 상부용기(110-1) 및 하부용기(110-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펌프(120,130)의 전원코드 통과공(115,116)은 뚜껑(113)과 커버(112) 경계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수직배관(121,131)과 제1수평배관(122,132)이 연결된 배수펌프(120,130)를 오폐수 저장 탱크(110) 내에 꺼낼 때 전원코드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펌프 전원코드(181-1,181-2, 182-1,18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제어패널)(180)로부터 연장하여 커버(112)의 전원코드 통과공(115,116)을 통과해 배수펌프(120,130)에 연결된다. 배수펌프 전원코드(181-1,181-2, 182-1,182-2)는 제1코드(181-1,182-2) 및 제2코드(181-2,182-2)로 분리한 후 전원연결부(183,184)를 통해 연결 및 분리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원연결부(183,184)를 분리하면, 수직배관(121,131)과 제1수평배관(122,132)이 연결된 배수펌프(120,130)를 오폐수 저장 탱크(110) 내에 꺼낼 때 배수펌프 전원코드(181-1,181-2, 182-1,182-2)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오폐수 저장탱크(110) 내부에 배관연결부를 위치시키고,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배관(141)을 하나로 줄이고, 배수펌프(120,130)와 배관 유지보수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뚜껑(113)과 전원코드(181-1,181-2,182-1,182-2)를 설계한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오폐수 배출 시스템
110: 오폐수 저장탱크
120,130: 배수펌프
121-123, 131-133: 제1배관
140,141: 제2배관
150,160: 배관연결부
170: 플루트 스위치
180: 제어부
191,192,193: 오폐수 유입부

Claims (11)

  1. 오폐수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오폐수 유입구 및 개폐가능한 뚜껑을 포함하는 오폐수 저장용기;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내에 배치되어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내의 오폐수를 펌핑하는 적어도 2개의 배수펌프; 상기 적어도 2개의 배수펌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제1배관;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내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배관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하나의 배출구가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외부로 인출되는 제2배관; 및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의 뚜껑 개방 시에 외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배관과 제2배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시스템 유지보수를 위해 제1배관과 제2배관을 상호 연결 또는 결합이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배관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배관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배관의 제2수평배관들을 하나로 통합하는 통합부 및 상기 통합부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오폐수 저장용기 외부로 연장하는 제2수직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배관은 각각 오폐수 저장용기 내에서 상기 배수펌프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배관 및 상기 수직배관으로부터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하는 수평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배관은 상기 수직배관에 연결되는 제1수평배관과 상기 제2배관에 연결되는 제2수평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연결부는 상기 제1수평배관과 제2수평배관을 서로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하며,
    상기 오폐수 저장용기 내의 하부에는 상기 오폐수 유입구에서 상기 배수펌프 방향으로 경사지게 판상으로 형성된 오폐수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오폐수 유입구에서 유입되어 떨어지는 오폐수를 배수펌프 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오폐수 가이드부와 오폐수 저장탱크의 바닥이 접촉하는 부분에는 개구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폐수 가이드부는 상기 배수펌프를 향해 연장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에 의해 분리된 제1,2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배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41349A 2014-04-07 2014-04-07 오폐수 배출 시스템 KR101466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349A KR101466194B1 (ko) 2014-04-07 2014-04-07 오폐수 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349A KR101466194B1 (ko) 2014-04-07 2014-04-07 오폐수 배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194B1 true KR101466194B1 (ko) 2014-11-28

Family

ID=5229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349A KR101466194B1 (ko) 2014-04-07 2014-04-07 오폐수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811B1 (ko) 2017-10-24 2019-08-27 최대섭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유체배수펌프 제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981A (ja) * 1999-05-10 2000-11-21 Shin Meiwa Ind Co Ltd 汚水槽用スカム除去装置
KR200380233Y1 (ko) * 2005-01-04 2005-03-29 이정기 오수처리용 탱크
JP2005296887A (ja) * 2004-04-15 2005-10-27 Kohtoku:Kk 硫酸ピッチのオンサイト処理方法
KR20120012547A (ko) * 2010-08-02 2012-02-10 윌택시스템 주식회사 지하 오수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981A (ja) * 1999-05-10 2000-11-21 Shin Meiwa Ind Co Ltd 汚水槽用スカム除去装置
JP2005296887A (ja) * 2004-04-15 2005-10-27 Kohtoku:Kk 硫酸ピッチのオンサイト処理方法
KR200380233Y1 (ko) * 2005-01-04 2005-03-29 이정기 오수처리용 탱크
KR20120012547A (ko) * 2010-08-02 2012-02-10 윌택시스템 주식회사 지하 오수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811B1 (ko) 2017-10-24 2019-08-27 최대섭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유체배수펌프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3794A (en) Sewage handling system
US8561633B2 (en) Steel-reinforced HDPE rain harvesting system
US20120107137A1 (en) Portable steel-reinforced hdpe pump station
US7362230B1 (en) Leak detection apparatus
KR101466194B1 (ko) 오폐수 배출 시스템
KR20160092734A (ko)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CN202936829U (zh) 一种全自动自清洁式地下污水提升排放设备
CN103968229A (zh) 具有信息反馈功能的自动排液装置
CN203834644U (zh) 可快速检修的污水提升设备
JP2018145609A (ja) 汚水排水設備
CN104594479A (zh) 真空便器系统的自动排出装置
CN205369511U (zh) 一种污水收集与自动排放井
CN205206021U (zh) 一种污水一体化智能提升设备
KR102708738B1 (ko) 오배수 자동처리 시스템
JP6937601B2 (ja) ポンプ装置、悪臭防止型排水設備、ポンプ
CN208329143U (zh) 排污工作站
JP2008128155A (ja) 屋内燃料タンクを備えたエンジン発電装置
CN109020100A (zh) 一种污水处理用的碳滤器
KR20120012547A (ko) 지하 오수 배출장치
CN217557128U (zh) 一种多接口下水管地漏
CN208777412U (zh) 玻璃钢模块化真空收集器
CN202577568U (zh) 一种便拆式污水提升设备
GB2496729A (en) Rainwater harvesting system
KR101081986B1 (ko) 오배수장치
JP3183824U (ja) 高所送水用frp製濾過装置における亀裂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REEX Re-examin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