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653B1 -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653B1
KR101465653B1 KR1020130082935A KR20130082935A KR101465653B1 KR 101465653 B1 KR101465653 B1 KR 101465653B1 KR 1020130082935 A KR1020130082935 A KR 1020130082935A KR 20130082935 A KR20130082935 A KR 20130082935A KR 101465653 B1 KR101465653 B1 KR 101465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bar
tool bar
menu
touch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우
송승현
이다희
박영균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는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 사용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반투명의 제 1 툴바(tool bar)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툴바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따라서, 한 손가락만으로 간편히 조작할 수 있게 하여, 모바일 단말을 떨어뜨릴 수 있는 위험성을 낮추고, 기기 사용에 있어 보다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ING SEMITRANSPARENCY TOOLBAR}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의 한 손 조작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함에 있어 한 손으로 카메라 기능을 조작하는 데는 불편함이 많아 손가락에 무리가 가거나 기기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예로써, 한 손으로 모바일을 쥐고 줌을 조절하기 위해 멀티 터치입력을 하려는 경우, 모바일을 지탱하는 손을 비틀어야 하거나, 무리하게 손을 배치하여야 하여 이는 손에 무리를 줄 뿐만 아니라 떨어뜨릴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다른 기능들을 사용할 때도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 기기들은 볼륨 키 또는 음성으로 촬영을 하거나 볼륨 키로 줌을 조절하는 방법 등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 또한 주위환경 이나 모바일 기기의 사이즈에 따른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
도 1은 종래 모바일 기기(100)에서 화면 상의 촬영 아이콘(10) 및 볼륨 키(20)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기본적으로 멀티 터치 입력을 이용할 수 있다. 멀티 터치 입력이란,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이 동시에 터치 스크린 화면을 눌렀을 때, 이 두 개의 접촉점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멀티 터치 입력 이후, 나타나는 하나의 막대형 바를 이용하여 줌을 조절할 수도 있으나, 이 또한 멀티 터치 입력이 우선 행해져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한 손으로 조작하는 경우, 이러한 막대형 바를 이용한 줌 조절은 매우 불편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 화면 상에 위치한 촬영 아이콘(10)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통해 촬영할 수 있다. 촬영 아이콘(10)은 잡는 위치에 따라 화면 하단 또는 좌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촬영 아이콘(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데, 한 손으로 조작하는 경우 손가락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모바일 단말(100)의 측면에 위치한 볼륨 키(20)를 사용하여 카메라 줌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카메라의 설정에서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100)의 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멀티 터치 입력의 문제는 존재하지 않지만, 모바일 단말(100)의 크기가 큰 경우, 사용자의 손이 작은 경우, 모바일 단말(100)의 폰 케이스를 장착하는 경우 사용에 불편이 있을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음성 촬영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는 기존에 설정된 특정 소리(예컨대, 치즈, 스마일, 김치 등)를 감지하여 촬영 명령을 수신하는 것으로, 주변 환경이 시끄러운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인식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2는 종래의 모바일 단말(100)의 세부 설정 아이콘(30)과 사진첩 이동 아이콘(40)을 이용한 세부 설정 동작 및 사진첩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모바일 단말(100)의 경우, 단말을 이용한 카메라 기능 중 세부 설정 아이콘(30)을 통해 ISO 설정, 노출 정도 설정, 해상도 설정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세부 설정 아이콘(30)은 터치스크린 화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아 ISO, 노출, 해상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모바일 단말(100)은 사진첩 이동을 실행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받는 사진첩 이동 아이콘(4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세부 설정 아이콘(30)과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한 손으로 조작함에 있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어 무리한 동작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촬영 세부 설정과 사진첩 이동을 한 번씩 실행하려는 경우, 이 역시 어려운 동작임을 직접 체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 스마트폰과 같은 고가의 모바일 단말(100)을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다룰 수 있는 조작법이 필요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으로 모바일을 쥐고 카메라를 실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한 손가락으로 접근이 쉬운 영역에 직접 임의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을 주거나, 미리 설정해놓은 위치에 따라 반투명 툴바를 생성한 후, 이 툴바를 이용하여 대부분의 기능들을 조작 또는 실현시킴으로써 한 손 사용을 통한 카메라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는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 사용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반투명의 제 1 툴바(tool bar)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툴바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툴바는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 1 툴바는 원형이고, 특정 비율로 복수 개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을 입력받았을 때, 터치 입력의 중심부에 상기 제 1 툴바의 중심부를 위치시켜 상기 제 1 툴바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중심부에 상기 제 1 툴바의 중심부를 위치시켜 상기 제 1 툴바를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제 1 툴바가 상기 터치 스크린 경계와 겹치는 경우, 상기 제 1 툴바가 상기 터치 스크린 내에 전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툴바를 쉬프트(shift)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동작으로 판단하고,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곳이 상기 제 1 툴바가 위치한 영역 또는 상기 제 1 툴바의 중심에 위치한 동작원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1 툴바를 쉬프트 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툴바를 쉬프트시킬 때, 일정 범위 이상 쉬프트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툴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설정을 통해, i) 상기 제 1 툴바의 사용 여부의 선택, ii) 상기 제 1 툴바를 왼손 모드로 디스플레이할지 또는 오른손 모드로 디스플레이할지의 선택, iii) 상기 제 1 툴바의 메뉴, 상기 메뉴의 개수 및 상기 메뉴가 차지하는 비율의 선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택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툴바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좌우로 분할하는 가상의 분할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툴바가 상기 분할선의 우측에 생성된 경우, 상기 제 1 툴바보다 좌측에 뒤로 가기 패턴 - 뒤로 가기 패턴은 현재 단계에서 바로 이전 단계로 돌아가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패턴임 - 이 형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툴바가 상기 분할선의 좌측에 생성된 경우, 상기 제 1 툴바보다 좌우측에 뒤로 가기 패턴이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툴바를 통해 줌인/줌아웃 동작 수행시, 줌인/줌아웃을 위해 드래그된 터치 입력의 거리 길이, 상기 드래그된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 길이 및 상기 드래그된 터치 입력의 거리 길이 및 시간 길이의 조합된 양에 비례하는 만큼 줌인/줌아웃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툴바는 반투명의 제 2 툴바를 생성하도록 하는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 2 툴바 생성 메뉴와 관련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2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툴바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고,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제 2 툴바와 관련된 메뉴가 온/오프로 조절되도록 하는 툴바일 수 있다.
상기 제 2 툴바의 메뉴는 i) 온/오프로 동작하는 온/오프 메뉴, ii) 여러 값으로 선택될 수 있는 세부 설정 메뉴 및 iii) 타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는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툴바의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투명의 제 3 툴바를 생성하도록 하는 메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 3 툴바를 생성하도록 하는 메뉴와 관련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3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툴바, 제 2 툴바 및 제 3 툴바 중 어느 하나는 도넛 링 모양의 반투명 툴바이고, 상기 도넛 링의 특정 위치에 위치한 동작 바(bar)에 대한 터치 입력 이후, 상기 동작 바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상위 값으로 변경되고, 상기 동작 바를 왼쪽으로 돌리면 하위 값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툴바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은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 사용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반투명의 제 1 툴바(tool bar)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 1 툴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툴바는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을 입력받았을 때, 터치 입력의 중심부에 상기 제 1 툴바의 중심부를 위치시켜 상기 제 1 툴바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좌우로 분할하는 가상의 분할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툴바가 상기 분할선의 우측에 생성된 경우, 상기 제 1 툴바보다 좌측에 뒤로 가기 패턴 - 뒤로 가기 패턴은 현재 단계에서 바로 이전 단계로 돌아가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패턴임 - 이 형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툴바가 상기 분할선의 좌측에 생성된 경우, 상기 제 1 툴바보다 우측에 뒤로 가기 패턴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툴바는 반투명의 제 2 툴바를 생성하도록 하는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 2 툴바 생성 메뉴와 관련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2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툴바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고,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제 2 툴바와 관련된 메뉴가 온/오프로 조절되도록 하는 툴바일 수 있다.
상기 제 2 툴바의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투명의 제 3 툴바를 생성하도록 하는 메뉴이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 3 툴바를 생성하도록 하는 메뉴와 관련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3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툴바, 제 2 툴바 및 제 3 툴바 중 어느 하나는 도넛 링 모양의 반투명 툴바이고, 상기 도넛 링의 특정 위치에 위치한 동작 바(bar)에 대한 터치 입력 이후, 상기 동작 바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상위 값으로 변경되고, 상기 동작 바를 왼쪽으로 돌리면 하위 값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툴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에 따르면, 한 손가락만으로 간편히 조작할 수 있게 하여, 모바일 단말을 떨어뜨릴 수 있는 위험성을 낮추고, 기기 사용에 있어 보다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모바일 기기에서 화면 상의 촬영 아이콘 및 볼륨 키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모바일 단말의 세부 설정 아이콘과 사진첩 이동 아이콘을 이용한 세부 설정 동작 및 사진첩 이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제 2 및 제 3 반투명 툴바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반투명 툴바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가 제 1 툴바를 생성 및 제 1 툴바 관련 동작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
도 6은 제 1 툴바의 설정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7a, 7b 및 7c는 왼손/오른손 모드의 설정 및 왼손/오른손 모드에 따른 터치스크린 상에 제 1 툴바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a 및 8b는 터치스크린 상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제 1 툴바가 생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a는 제 1 툴바의 동작 바를 통해 제 1 툴바의 메뉴를 실행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b는 제 1 툴바 영역에서 동작 바를 제외한 부분 터치시 초점을 맞추는 동작이 실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반투명 툴바를 나타낸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가 제 2 툴바를 생성 및 제 2 툴바 관련 동작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반투명 툴바를 나타낸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가 제 3 툴바를 생성 및 제 3 툴바 관련 동작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
도 12는 제 3 툴바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인 셀룰러 폰(cellular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ata Assistant),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는 터치스크린부(310), 제어부(320) 및 카메라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부(310)는 디스플레이부(312) 및 터치 검출 센서(31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2)는 제어부(320)의 제어 신호를 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대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카메라 명령을 실행하면, 제어부(320)는 카메라 촬영 모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명령의 실행과 종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 화면에 분포되어 있는 터치 검출 센서(314)는 카메라 모드 실행시에는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동작을 인식하여,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아이콘 등이 표시되는 버튼 영역(미도시)(툴바 표시 영역 포함)은 실질적으로 카메라 관련 기능 실행에 관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영역으로서, 그 영역 아래에 위치한 터치 검출 센서(314)에 의해 입력되는 형태를 받아들여 제어부(320)로 보내어진다.
터치 패턴이 입력되는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일정 영역에 대한 한 번 터치, 두 번 터치, 위에서 아래로, 아래서 위로, 또는 터치 후 일정 시간 터치를 유지하는 등의 터치를 인식하기 위해 프로그램은 가장 먼저 터치된 좌표를 원점 좌표로 인식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부분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추적하고 그 패턴 형태가 미리 저장된 이상적인 입력 패턴 형태와 비교하여 실제 입력으로 받아들인다. 반면, 스크롤 형태의 입력과 관련하여서는, 스크롤 관련 바(예컨대, 동작 바)를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원점 좌표에서 이동된 거리만큼 관련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수치의 증감을 처리할 때, 좌측으로 이동시 수치를 낮추고, 우측으로 이동시 수치를 올리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특정 패턴을 인식하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패턴을 인식할 수 있고, 또는 일정 길이 이상 터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기 패턴들이 복합된 것을 또 다른 패턴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제어부(320)는 툴바 제어부(322), 터치 스크린 제어부(324) 및 카메라 제어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툴바 제어부(322)는 툴바를 생성하고 툴바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툴바와 관련된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툴바 제어부(322)는 사용자 설정 관리부(321), 툴바 생성부(323), 툴바 동작 제어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관리부(321)는 툴바와 관련된 사용자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툴바의 사용 여부, 툴바의 개수, 툴바의 메뉴 및 메뉴의 개수 등과 관련된 사용자 설정을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툴바의 사용 여부와 관련하여, 툴바의 미사용을 선택한 경우, 카메라 모드를 실행하여도 툴바는 생성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툴바의 사용을 선택하고, 툴바의 개수를 3개를 선택한 경우, 최초 제 1 툴바가 디스플레이되고, 메뉴 선택에 따라 제 2 툴바, 제 3 툴바가 차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툴바 생성부(323)는 사용자 설정 관리부(321)의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툴바를 생성한다. 예컨대, 제 1 툴바에는 줌인/줌아웃 메뉴, 촬영 메뉴 등이 포함되도록 툴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툴바의 개수 설정을 기반으로 1개, 2개 및 그 이상의 툴바를 생성할 수 있다. 툴바 동작 제어부(325)는 해당 툴바의 메뉴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촬영 메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현재 카메라가 잡고 있는 구도로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줌인/줌아웃 메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카메라의 화면에 대한 줌인/줌아웃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터치스크린 제어부(324)는 터치스크린부(310)로부터의 센싱 신호(314)(예컨대, 터치 검출 센서(314)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관련 신호)를 수신하여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실제 입력을 파싱하고, 터치스크린부(310)의 디스플레이(312)에 디스플레이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카메라 관련 동작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의 동작(통화 관련 동작, 비디오/오디오 관련 동작, 애플리케이션 관련 동작 등)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326)는 카메라 모듈(330)을 제어한다. 카메라 제어부(326)는 카메라와 관련된 툴바 관련 제어 신호 이외의 다른 카메라 관련 동작(예컨대, 카메라 실행/종료 동작, 카메라 회전 동작 등)을 제어하는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30)은 카메라 렌즈(332), 줌모터(334), 셔터(336) 및 조리개(338)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렌즈(332)는 사진 촬영을 위한 렌즈로서, 경우에 따라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한다. 줌모터(334)는 줌인/줌아웃을 제어부(320)의 명령을 받아 수행할 수 있다. 셔터(336)는 필름 등의 감광 재료에 빛을 알맞게 주기 위해 조리개를 재빨리 여닫는 것이고, 조리개(338)는 렌즈 구멍의 크기를 넓히거나 좁혀서 렌즈로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제 2 및 제 3 반투명 툴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는 카메라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S410). 이때, 사용자 설정에 따라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제어부(320)는 제 1 반투명 툴바를 생성하여 제 1 반투명 툴바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S412). 여기서, 반투명 툴바를 사용하는 것은 카메라 화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툴바는 도 4b의 4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형태를 갖고, 특정 비율로 복수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좌우로 이등분하여, 툴바가 나타나지 않은 좌 또는 우 영역에는 뒤로 가기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뒤로 가기 패턴은 현재 단계 바로 이전 단계로 돌아가도록 하는 패턴이다.
도 4a로 돌아가서, 사용자의 접촉(터치 입력)을 감지하여(S414), 제 1 툴바와 관련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는 해당 메뉴를 실행한다(S416). 해당 메뉴와 관련된 설명은 이하 상세히 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툴바에서 뒤로 가기 패턴에 대해 일정 길이 이상 터치 입력을 하면, 제 1 툴바를 종료하게 된다(S420). 사용자 접촉이 제 2 툴바 생성과 관련된 메뉴에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제어부(320)는 제 2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418). 여기서, 도 4b의 4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툴바도 반투명 툴바일 수 있다. 제 2 툴바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고, 온/오프 동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a로 돌아가서, 제 2 툴바에 대한 사용자 접촉을 감지하여(S422), 제 2 툴바의 메뉴에 대한 사용자 접촉이 있는 경우, 온/오프 동작을 수행한다(S424). 또한, 제 3 툴바를 생성해야 하는 메뉴에 사용자 접촉이 있는 경우, 제 3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426). 여기서, 뒤로 가기 패턴에 사용자 접촉이 있으면, 제 1 툴바로 돌아가게 된다(S428). 제 1 툴바로 돌아간 후, 단계(S412)의 과정이 재수행된다. 도 4b의 4C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툴바 역시 반투명 툴바일 수 있고, 도넛 링 모양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수치로의 변경과 관련된 터치 입력이 수행될 수 있고, 예컨대, 링의 내부에는 해당 메뉴의 현재 수치(예컨대, 해상도 수치 등)가 표시되고, 링의 상단의 동작 바를 왼쪽으로 돌리면 수치가 내려가고, 오른쪽으로 돌리면 수치가 올라가도록 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320)는 상기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a로 돌아가서, 제 3 툴바를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 접촉을 감지하여(S430), 도넛 링의 상단 동작 바와 관련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해당 수치의 증가/감소 수행 후, 값을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432). 그리고, 계속하여 사용자 접촉을 감지하여(S430), 증가/감소 수행 및 제 2 툴바로의 귀한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뒤로 가기 패턴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제 2 툴바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S434). 제 2 툴바로 돌아간 후, 단계(S418)의 과정이 재수행된다.
한편, 도 4b의 4C와 같은 도넛 링 모양의 반투명 툴바는 반드시 제 3 툴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와 같은 특정 수치의 변경에 관계하여 제 1 툴바, 또는 제 2 툴바에도 마찬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반투명 툴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툴바는 카메라에서 툴바를 사용하는 경우, 처음으로 나타나는 원형의 반투명 툴바이다. 이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몇 가지 기능을 한손가락으로 손쉽게 조작하도록 하기 위한 툴바이다. 제 1 툴바와 관련된 세부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1) 사용자 설정을 통해 원형 반투명 툴바의 메뉴와 그 개수를 지정하고, 각 메뉴가 원형 툴바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2) 왼손잡이용과 오른손잡이용 반투명 툴바 모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 모드에 따라 원형 반투명 툴바의 메뉴가 상호 반대 위치로 바뀌도록 구성할 수 있다.
3)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툴바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단말기 화면 경계와 겹치는 경우, 툴바의 위치를 쉬프트(shift)할 수 있다.
4) 제 1 툴바의 동작이 제 1 툴바 내의 동작 원(또는 동작 바)를 통해 실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5) 제 1 툴바에서 줌인/줌아웃을 실행시켰을 때, 동작 바가 끌려간 간격만큼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6) 제 1 툴바에서 줌 인/아웃 부분을 지속하여 터치한 시간에 비례하여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7) 뒤로 가기 패턴을 통해 제 1 툴바를 종료시킬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가 제 1 툴바를 생성 및 제 1 툴바 관련 동작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단말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카메라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S510). 여기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이 있는지 판단한다(S512). 여기서의 판단과 관련하여, 모바일 단말 장치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왼손/오른손 모드를 미리 설정하여 툴바를 생성할지,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을 일정시간 이상 누른 경우, 그 지점에 툴바를 생성할지 판단한다. 미리 설정된 왼손/오른손 모드를 따르는 경우, 설정된 왼손/오른손 모드에 따라 툴바 위치를 왼쪽/오른쪽에 지정하고, 툴 바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뒤로 가기 패턴을 생성한다(S514). 그리고, 상기 설정된 모드에 맞춰 지정된 위치에 제 1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22). 누른 지점에 툴바를 생성하는 경우, 화면 터치가 일정 시간(t)(이는 사용자 설정을 통해 결정할 수 있음)을 초과했는지 판단하여(S516), 일정 시간이 초과되는 경우, 툴바 생성시 화면 가장자리에 겹치는지 판단한다(S518). 일정 시간이 초과되지 않으면, 툴바 관련 동작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툴바를 실행시키지 않고 초점을 맞추는 기본적인 카메라 모드의 기능을 수행한다. 툴바가 화면의 가장자리에 겹치지 않으면, 사용자가 누른 지점에 제 1 툴바를 디스플레이하고(S522), 겹치는 경우, 제 1 툴바를 쉬프트시켜(S520), 화면 내에 툴바가 전부 들어오도록 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22). 이때, 너무 많이 쉬프트 되지 않도록 툴바의 크기를 다소 줄이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곳이 툴바가 위치한 영역 또는 특정 실시예에서는 툴바 내의 원(여기선, 툴바의 중심에 위치한 동작원(또는 동작바), 이하 툴바의 동작원(또는 동작바)이라 부른다)와 겹치는 경우, 제 1 툴바를 쉬프트 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1 툴바 표시 이후, 사용자 입력 및 사용자의 입력 위치를 감지하여(S524), 툴바의 동작원 외의 영역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 툴바 관련 동작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초점을 맞추는 동작을 수행한다(S526). 또한, 뒤로 가기 패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뒤로 가기 패턴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의 드래그(drag) 길이가 일정 길이(L)(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음) 이상인지 판단하여(S528), 일정 길이 이상이면, 뒤로 가기 패턴 실행 명령으로 인식하여 툴바를 종료한다(S530). 일정 길이 이상이 아니라면, 초점을 맞추는 동작이라 판단하여 초점을 맞추는 동작을 수행한다(S532).
사용자 입력이 툴바의 동작원 내의 영역에서 감지되는 경우, 이 동작원이 어디로 드래그되는지 사용자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S534), 촬영 메뉴 쪽으로 터치 입력이 드래그되는 경우, 촬영 동작을 수행하고(S536), 줌인/줌아웃 쪽으로 드래그되는 경우(S538), 끌어당긴 길이를 계산하여, 계산된 길이에 비례하는 만큼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한다(S544). 또 따른 실시예에서는 줌인/줌아웃 쪽으로 드래그되는 경우(S538), 툴바의 동작원이 드래그 동작을 위하여 터치된 때부터 터치를 떼기까지 터치가 지속된 시간 길이를 계산하여 이 시간 길이에 비례하는 만큼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544). 또는 상기의 끌어 당긴 길이와 상기의 시간 길이를 조합한 량에 비례하는 만큼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첩 이동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사진첩으로 이동하고(S540), 제 2 툴바 표시 메뉴로 드래그되는 경우, 제 2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42).
도 6은 제 1 툴바의 설정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툴바와 관련된 사용자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툴바에 나타나는 메뉴와 그 개수를 지정하고, 각 메뉴가 원형 툴바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도 6 좌측 도면에서, 1번 툴바 메뉴 조정 영역을 터치하면, 우측 도면과 같이 창이 열리고, 이때, 원형 툴바 영역(610)과 툴바 메뉴 블록 지정 표(62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블록 +"와 "블록 -"를 이용하여 블록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툴바 메뉴 블록을 4개 또는 5개로 지정할 수 있고(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의 시작점을 기반으로 해당 메뉴 블록이 차지하는 비율(각도 또는 퍼센트로 조절)을 조절할 수 있고, 해당 메뉴 블록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a, 7b 및 7c는 왼손/오른손 모드의 설정 및 왼손/오른손 모드에 따른 터치스크린 상에 제 1 툴바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왼손/오른손 모드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a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는 카메라 모드에서 사용자 설정을 통해 반투명 툴바를 생성시, 왼손 모드 또는 오른손 모드로 제 1 툴바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미리 사용자 설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설정에서 반투명 툴바를 on하고, 오른손 모드 또는 왼손 모드로 실행할지를 설정하면, 카메라 동작과 동시에 툴바가 각 위치에 맞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툴바 형성과 동시에 툴바 옆(좌 또는 우)에 툴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뒤로 가기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이는 오른손 모드, 왼손 모드 및 사용자 지정 위치 모드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뒤로 가기 패턴은 눈에 보이지 않게 처리될 수 있다.
도 7b는 오른손 모드로 설정한 경우의 툴바 위치를 나타낸다. 오른손 모드는 오른손잡이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오른손잡이 맞춤 위치에 툴바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모드로서, 화면을 4 분할하였을 때, 제 4 사분면, 즉 우측 아래에 툴바가 생성되는 모드이다. 이때, 뒤로 가기 패턴은 툴바의 옆 방향에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툴바의 좌측, 즉 제 3 사분면에 나타나게 된다. 즉, 제 3 사분면에 나타난 뒤로 가기 패턴 영역에서 손으로 터치한 후, 떼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길이(L) 이상 좌측으로 밀어주거나 일정 시간 이상 터치를 유지하는, 또는 이의 복합 동작의 경우 뒤로 가지 패턴 동작이 수행되고, 실행 결과, 1번 툴바를 종료하게 된다.
도 7c는 왼손 모드로 설정한 경우의 툴바 위치를 나타낸다. 왼손 모드는 왼잡이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왼손잡이 맞춤 위치에 툴바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모드로서, 화면을 4 분할 하였을 때, 제 3 사분면, 즉 좌측 아래에 툴바가 생성되는 모드이다. 이때, 뒤로 가기 패턴은 툴바의 옆 방향에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툴바의 우측, 즉 제 4 사분면에 나타나게 된다. 제 4 사분면에 나타난 뒤로 가기 패턴 영역에서 손으로 터치한 후, 떼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길이(L) 이상 우측으로 밀어주거나 일정 시간 이상 터치를 유지하는, 또는 이의 복합 동작의 경우 뒤로 가지 패턴 동작이 수행되고, 실행 결과, 1번 툴바를 종료하게 된다.
도 8a 및 8b는 터치스크린 상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제 1 툴바가 생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사용자 지정 위치 툴바 생성 모드를 설정하고 적절한 위치에서 툴바 생성을 수행하는 경우의 제 1 툴바 생성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설정을 통해 툴바 생성 방법을 왼손/오른손 모드가 아닌 사용자 지정 위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툴바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 화면을 좌우로 분할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우측 영역의 특정 부분을 일정 시간(t) 이상 누른 경우, 화면의 우측의 사용자가 누른 부분 중심에 제 1 툴바가 형성된다. 이때, 누른 지점의 중심이 제 1 툴바의 중심이 되도록 제 1 툴바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툴바가 화면의 우측에 생성되면 뒤로 가기 패턴은 자동으로 화면 툴바보다 좌측에 좌측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좌측 영역에 대해 임의 시간 이상 누른 경우, 화면 좌측의 누른 부분 중심에 툴바가 형성되고, 툴바 우측에 우측방향으로 뒤로 가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일정 시간 터치를 지속하지 않고 뗀 경우, 툴바를 생성하라는 명령으로 인식하지 않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카메라 모드로 동작한다.
도 8b는 사용자 지정 위치 툴바 생성 모드를 설정하고 화면 경계에 겹치도록 툴바가 생성되는 경우의 처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직접 툴바를 생성함에 있어서, 누른 지점을 중심으로 툴바 생성시 툴바가 단말기의 화면과 겹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툴바를 화면과 겹치지 않는 곳까지 쉬프트시켜 생성한다. 예컨대, 도 8b에 도시된 같이, 사용자가 화면의 좌측 하단 가장자리에 가깝게 툴바를 생성하라고 터치 입력을 제공하면, 단말은 툴바가 화면과 겹치지 않게, 화면 내에 전부 디스플레이되도록 쉬프트시켜 툴바를 생성한다. 이때, 너무 많이 쉬프트 되지 않도록 툴바의 크기를 다소 줄이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곳이 툴바가 위치한 영역 또는 특정 실시예에서는 툴바 내의 동작원과 겹치는 경우, 제 1 툴바를 쉬프트 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a는 제 1 툴바의 동작 바(910)를 통해 제 1 툴바의 메뉴를 실행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 1 툴바의 중심에는 동작 바(910)(또는 동작 원)이 존재할 수 있다. 제 1 툴바에서 동작 바(910)로 툴바를 조작함에 있어, 동작 바(910)를 터치한 후, 손을 떼지 않고 원하는 실행 메뉴 방향으로 밀어주면 해당 메뉴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바(910)를 터치한 후, 좌측 촬영 메뉴 쪽으로 밀어주게 되면,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촬영 메뉴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고,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도 9b는 제 1 툴바 영역에서 동작 바(910)를 제외한 부분 터치시 초점을 맞추는 동작이 실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은 제 1 툴바에서 동작 바(910)를 제외한 부분에 터치 입력을 주었을 때는 메뉴를 실행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바(910)의 우측 상단의 원 부분을 누른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은 툴바에 있는 메뉴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 카메라 모드처럼 초점(Focus)을 맞추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원형의 반투명 툴바 영역에서 동작 바(910)를 제외한 부분을 터치한 경우는 모두 카메라 모드에서 화면을 터치했을 때처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설정에 따라 툴바 영역 내의 메뉴 블록을 터치시 해당 메뉴가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바(910) 이외의 메뉴 블록을 터치하면 해당 메뉴가 실행될 수 있다. 이 기능은, 해당 메뉴를 터치하는 시간길이가 일정길이 이상의 경우에만 해당 메뉴가 실행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나머지 경우는 원래 카메라 모드처럼 초점(Focus)을 맞추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다시 5a로 돌아가서, 제 1 툴바에서 줌인/줌아웃을 실행시키는 방법으로는 동작 바(910)를 Z_IN으로 끌거나 또는 Z_OUT으로 끄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이 확대 또는 축소된다. 이때 동작 바(910)로부터 끈 길이 만큼 특정 간격(I)으로 확대 또는 축소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Z_IN으로 동작 바(910)를 조금만 끈 경우(예컨대, 0.1cm), 0.1x의 간격으로 점점 확대되고, 동작 바(910)를 많이 끌면(예컨대, 0.5cm), 0.5x의 간격만큼 점점 확대될 수 있다. Z_OUT도 Z_IN의 원리와 같고, 두 경우 모두 제 3 툴바로 넘어가지 않고 줌을 바로 조절할 수 있다.
다시 5a로 돌아가서, 제 1 툴바에서 줌인/줌아웃을 실행시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동작 바(910)를 Z_IN으로 끌거나 또는 Z_OUT으로 끄는 경우, 동작바(910)를 끄는 드래그 동작을 위하여 터치된 때부터 터치를 떼기까지 터치가 지속된 시간 길이를 계산하여 이 시간 길이에 비례하는 만큼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동작 바(910)를 끈 길이와 상기의 시간 길이를 조합한 량에 비례하는 만큼 확대/축소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뒤로 가기 패턴과 관련하여, 뒤로 가기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툴바 형성과 동시에 툴바 옆(좌 또는 우) 위치에 툴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성될 수 있다. 뒤로 가기 패턴은 경우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손으로 뒤로 가기 패턴 영역을 터치한 후, 떼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길이(L) 이상 밀어주면 동작하고, 제 1 툴바에서 뒤로 가기를 실행하면 툴바가 종료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반투명 툴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툴바는 단말기 카메라에서 툴바를 사용하는 경우, 첫 번째 툴바(제 1 툴바)에서 호출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두번째 반투명 툴바이다. 이는 카메라 모드에서 우리가 종종 사용하는 세부 설정을 손쉽게 조작하기 위한 툴바이다. 제 2 툴바의 실행은 제 1 툴바에서 M(Menu) 항목으로 동작 바(910)를 끄는 경우 실행될 수 있다. 제 2 툴바의 경우도, 사용자가 종종 사용하는 세부 설정을 지정해 두고 사용할 수 있다. 제 2 툴바와 관련된 세부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1) 제 2 툴바의 제 1 메뉴(현재 on 상태인 메뉴)를 터치하는 경우, 현재 on 상태를 off 상태로, 제 2 메뉴(현재 off 상태인 메뉴)를 터치하는 경우, 현재 off 상태를 on 상태로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2) 제 3 메뉴를 터치하는 경우, 제 3 툴바를 호출한다.
3) 제 4 메뉴는 사진첩 이동 메뉴에만 적용될 수 있다.
4) 제 1 툴바와 마찬가지로, 뒤로 가기 패턴을 형성하고, 뒤로 가기 패턴을 통해 제 2 툴바를 종료시키고, 제 1 툴바로 돌아갈 수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가 제 2 툴바를 생성 및 제 2 툴바 관련 동작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먼저, 제 1 툴바에서 M 항목을 선택하면, 제 2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010). 제 2 툴바는 반투명 툴바일 수 있고, 온/오프로 조절되도록 하는 툴바일 수 있다. 그리고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누른 지점을 감지하여(S1012), 뒤로 가기 패턴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드래그 길이가 일정 길이(L) 이상인지 체크하여(S1014), 일정 길이 이상이면 제 1 툴바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S1016), 그렇지 않으면, 일반 카메라 모드에서의 터치로 인식하여 초점을 맞추는 동작을 수행한다(S1018).
만약, 사용자 입력 감지 결과, 제 2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 2 메뉴가 제 1 메뉴가 되도록 제어한다(S1020). 이는 현재 OFF 상태인 메뉴가 ON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현재 사용하지 않는 메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동작이다.
제 1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 1 메뉴가 제 2 메뉴가 되도록 제어한다(S1022). 이는 현재 ON 상태인 메뉴가 OFF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현재 사용 중인 메뉴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동작이다.
그리고, 제 3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 3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026). 제 3 메뉴는 온/오프 동작이 아니기 때문에 터치시 다른 툴바를 통해 제어되어야 하는 메뉴로, 제 3 메뉴를 선택하면 다른 툴바(제 3 툴바)를 호출한다.
마지막으로, 제 4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사진첩으로 이동하게 된다(S1028).
도 10a로 돌아가면, 제 2 툴바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8개의 메뉴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툴바는 플래시, 손떨림 보정, 음성으로 사진 촬영, 야외 자동 밝기 조절, 자동 대비, 안내선 표시와 같은 온/오프로 조작되는 세부 설정들과 관련된 메뉴를 포함한다. 이는 제 1 메뉴 및 제 2 메뉴로 나타내어진다. 즉, 제 1 메뉴는 제 2 툴바에서 현재 ON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터치하는 순간 제 2 메뉴로 바뀌게 된다. 제 1 메뉴는 디스플레이 상 초록 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터치로 인해 제 2 메뉴로 바뀌게 되면 회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 2 메뉴는 제 2 툴바에서 현재 OFF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터치하는 순간 제 1 메뉴로 바뀌게 된다. 제 2 메뉴는 디스플레이 상 회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터치로 인해 제 1 메뉴로 바뀌게 되면 초록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제 1 메뉴와 제 2 메뉴는 하나의 쌍(pair)을 이루어 동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제 2 툴바에서 제 3 메뉴(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음)를 터치할 수 있다. 제 3 메뉴는 하나의 설정에서 여러 가지의 값을 선택할 수 있을 때 사용되는 메뉴 항목으로, 터치하는 경우, 제 3 툴바를 호출하게 된다. 예컨대, 제 3 메뉴는 여러 개의 값을 선택할 수 있는 세부 메뉴인 촬영 모드(일반 촬영 모드, 베스트 포토 모드, 베스트 페이스 모드, 얼굴 인식 모드 등), 노출 정도 설정, 해상도 설정, ISO 설정, 측광 방식 설정, 화질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툴바에서 제 4 메뉴(빨간 색으로 표시될 수 있음)는 카메라 모드 상태를 벗어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되는 항목을 나타내는 메뉴이다. 예컨대, 사진첩으로 이동, 사진 공유 등의 메뉴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제 2 툴바 실행의 경우에도, 제 1 툴바와 마찬가지로, 뒤로 가기 패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뒤로 가기 패턴과 관련하여, 뒤로 가기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툴바 형성과 동시에 툴바 옆(좌 또는 우) 위치에 툴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성될 수 있다. 뒤로 가기 패턴은 경우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손으로 뒤로 가기 패턴 영역을 터치한 후, 떼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길이(L) 이상 밀어주면 동작하고, 제 2 툴바에서 뒤로 가기를 실행하면 제 1 툴바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반투명 툴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툴바는 카메라 단말기에서 툴바를 사용하는 경우, 제 2 툴바에서 호출하는 경우(예컨대, 제 3 메뉴를 터치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도넛 링(1150) 모양의 반투명 툴바이다. 이는 여러 개의 값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보다 쉽게 조작하기 위한 툴바이다. 제 3 툴바의 동작은 도넛 링(1150) 모양의 툴바에서 동작 바(1160)를 누른(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돌리면 상위(+)로 설정 값이 변경되고, 왼쪽으로 돌리면 하위(-)로 설정 값이 변경되도록 동작한다. 이는 설정에 따라 반대로 할 수 있다. 제 3 툴바와 관련된 세부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1) 동작 바(1160)를 이용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려 툴바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2) 제 1 및 제 2 툴바와 마찬가지로, 뒤로 가기 패턴을 형성하고, 뒤로 가기 패턴을 통해 제 3 툴바를 종료시키고, 제 2 툴바로 돌아갈 수 있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가 제 3 툴바를 생성 및 제 3 툴바 관련 동작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이다.
도 11b를 참조하면, 먼저, 제 2 툴바에서 제 3 메뉴(여러 값을 선택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제 3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110). 제 3 툴바는 반투명 툴바일 수 있고, 도넛 링(1150) 모양의 툴바로 좌우측으로 돌려 값을 조절하도록 하는 툴바일 수 있다. 그리고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누른 지점을 감지하여(S1112), 동작 바(1160) 이외의 영역에 대한 입력이 감지된 경우, 일반 카메라 모드의 터치로 인식하여 초점을 맞추는 동작을 수행한다(S1114). 만약, 뒤로 가기 패턴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드래그 길이가 일정 길이(L) 이상인지 체크하여(S1116), 일정 길이 이상이면 제 2 툴바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118).
만약, 사용자 입력 감지 결과, 동작 바(1160)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돌리는 방향이 오른쪽인지 왼쪽인지 판단한다(S1122). 판단 결과, 왼쪽인 경우, 돌린 길이에 비례하여 설정 값을 하위(-)로 변경하고 값을 표시한다(S1124). 만약, 오른쪽으로 돌린 경우, 돌린 길이에 비례하여 설정 값을 상위(+)로 변경하고 값을 표시한다(S1126).
도 12는 제 3 툴바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넛 링(1150) 모양의 제 3 툴바의 상단에 위치한 동작 바(1160)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돌리는 경우, 상위 값으로 설정 값이 변경된다. 예컨대, ISO 메뉴를 선택한 경우, 도넛 링(1150)의 내부 공간(1152)에 현재 ISO 수치, 640이 표시되고, 상기 동작 바(1160)를 오른쪽으로 돌리는 경우, 돌려진 길이에 비례하여 640에서 상위로 변경되어 예컨대, 840으로 변경될 수 있다. 반대로, 동작 바(1160)를 터치한 상태에서 왼쪽으로 돌리는 경우, 하위 값으로 설정 값이 변경된다. 예컨대, ISO 메뉴를 선택하고 현재 ISO 수치가 640일 때, 동작 바(1160)를 왼쪽으로 돌리면 돌려진 길이에 비례하여 640에서 하위로 설정 값이 변경되고, 440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바(1160)를 도넛 링(1150)의 절반 또는 1/4 만큼 돌린 경우, 설정 값이 한 단계 바뀔 수 있다. 예컨대,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제 3 툴바가 호출된 경우, 도넛 링 내부 공간(1152)에는 현재 촬영 모드인 일반 촬영 모드가 표시될 수 있고, 이때, 도넛 링(1150)을 터치한 후, 절반만큼 왼쪽으로 돌리면 이전 촬영 모드인 베스트 포토 모드로 촬영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절반만큼 오른쪽으로 돌리면 다음 촬영 모드인 얼굴 인식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촬영 모드의 변경 기준을 절반으로 할지, 1/4로 할지의 선택은 사용자 설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변경된 설정 값은 터치 화면의 상단 또는 도넛 링의 내부 공간(1152)에 표시될 수 있다.
제 3 툴바 실행의 경우에도, 제 1 및 제 2 툴바와 마찬가지로, 뒤로 가기 패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뒤로 가기 패턴과 관련하여, 뒤로 가기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툴바 형성과 동시에 툴바 옆(좌 또는 우) 위치에 툴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성될 수 있다. 뒤로 가기 패턴은 경우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손으로 뒤로 가기 패턴 영역을 터치한 후, 떼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길이(L) 이상 밀어주면 동작하고, 제 3 툴바에서 뒤로 가기를 실행하면 제 2 툴바가 표시될 수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3)

  1.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 사용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반투명의 제 1 툴바(tool bar)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툴바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을 입력받았을 때, 터치 입력의 중심부에 상기 제 1 툴바의 중심부를 위치시켜 상기 제 1 툴바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툴바는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툴바는 원형이고, 특정 비율로 복수 개의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중심부에 상기 제 1 툴바의 중심부를 위치시켜 상기 제 1 툴바를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제 1 툴바가 상기 터치 스크린 경계와 겹치는 경우, 상기 제 1 툴바가 상기 터치 스크린 내에 전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툴바를 시프트(shift)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동작으로 판단하고,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곳이 상기 제 1 툴바가 위치한 영역 또는 상기 제 1 툴바의 중심에 위치한 동작원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1 툴바를 쉬프트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툴바를 쉬프트시킬 때, 일정 범위 이상 쉬프트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툴바의 크기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설정을 통해, i) 상기 제 1 툴바의 사용 여부의 선택, ii) 상기 제 1 툴바를 왼손 모드로 디스플레이할지 또는 오른손 모드로 디스플레이할지의 선택, iii) 상기 제 1 툴바의 메뉴, 상기 메뉴의 개수 및 상기 메뉴가 차지하는 비율의 선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택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툴바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9.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 사용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반투명의 제 1 툴바(tool bar)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툴바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좌우로 분할하는 가상의 분할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툴바가 상기 분할선의 우측에 생성된 경우, 상기 제 1 툴바보다 좌측에 뒤로 가기 패턴 - 뒤로 가기 패턴은 현재 단계에서 바로 이전 단계로 돌아가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패턴임 - 이 형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툴바가 상기 분할선의 좌측에 생성된 경우, 상기 제 1 툴바보다 우측에 뒤로 가기 패턴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툴바를 통해 줌인/줌아웃 동작 수행시, 줌인/줌아웃을 위해 드래그된 터치 입력의 거리 길이, 상기 드래그된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 길이 및 상기 드래그된 터치 입력의 거리 길이 및 시간 길이의 조합된 양에 비례하는 만큼 줌인/줌아웃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11.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 사용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반투명의 제 1 툴바(tool bar)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툴바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툴바는 반투명의 제 2 툴바를 생성하도록 하는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 2 툴바 생성 메뉴와 관련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2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툴바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고,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제 2 툴바와 관련된 메뉴가 온/오프로 조절되도록 하는 툴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툴바의 메뉴는 i) 온/오프로 동작하는 온/오프 메뉴, ii) 여러 값으로 선택될 수 있는 세부 설정 메뉴 및 iii) 타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는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툴바의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투명의 제 3 툴바를 생성하도록 하는 메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 3 툴바를 생성하도록 하는 메뉴와 관련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3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15. 제 1 항, 제 12 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사용되는 반투명 툴바 중 하나는 도넛 링 모양의 반투명 툴바이고, 상기 도넛 링의 특정 위치에 위치한 동작 바(bar)에 대한 터치 입력 이후, 상기 동작 바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상위 값으로 변경되고, 상기 동작 바를 왼쪽으로 돌리면 하위 값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툴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16.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 사용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반투명의 제 1 툴바(tool bar)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 1 툴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을 입력받았을 때, 터치 입력의 중심부에 상기 1 툴바의 중심부를 위치시켜 상기 제 1 툴바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툴바는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8. 삭제
  19.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 사용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반투명의 제 1 툴바(tool bar)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 1 툴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좌우로 분할하는 가상의 분할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툴바가 상기 분할선의 우측에 생성된 경우, 상기 제 1 툴바보다 좌측에 뒤로 가기 패턴 - 뒤로 가기 패턴은 현재 단계에서 바로 이전 단계로 돌아가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패턴임 - 이 형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툴바가 상기 분할선의 좌측에 생성된 경우, 상기 제 1 툴바보다 우측에 뒤로 가기 패턴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
  20.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 사용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반투명의 제 1 툴바(tool bar)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 1 툴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 1 툴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툴바는 반투명의 제 2 툴바를 생성하도록 하는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 2 툴바 생성 메뉴와 관련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2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툴바는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고,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제 2 툴바와 관련된 메뉴가 온/오프로 조절되도록 하는 툴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툴바의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투명의 제 3 툴바를 생성하도록 하는 메뉴이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 3 툴바를 생성하도록 하는 메뉴와 관련된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 3 툴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
  23. 제 16 항, 제 21 항 및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사용되는 반투명 툴바 중 하나는 도넛 링 모양의 반투명 툴바이고, 상기 도넛 링의 특정 위치에 위치한 동작 바(bar)에 대한 터치 입력 이후, 상기 동작 바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상위 값으로 변경되고, 상기 동작 바를 왼쪽으로 돌리면 하위 값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툴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제어 방법.

KR1020130082935A 2013-07-15 2013-07-15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46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935A KR101465653B1 (ko) 2013-07-15 2013-07-15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935A KR101465653B1 (ko) 2013-07-15 2013-07-15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653B1 true KR101465653B1 (ko) 2014-11-27

Family

ID=5229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935A KR101465653B1 (ko) 2013-07-15 2013-07-15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6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149A (ko) * 2008-03-07 2009-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13914A (ko) * 2007-02-28 2009-11-02 노키아 코포레이션 멀티-스테이트 통합 파이 유저 인터페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914A (ko) * 2007-02-28 2009-11-02 노키아 코포레이션 멀티-스테이트 통합 파이 유저 인터페이스
KR20090096149A (ko) * 2008-03-07 2009-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044B2 (en) Electronic apparatus, image sen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multiple types of user interfaces
US1007997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graphical user interface of camera application
KR101860571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포착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저장 장치
EP2701051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152883A1 (en) Image capturing device with touch screen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CN109144388A (zh) 用户界面调节方法
JP6667294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4042164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10029000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873830B2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92196A (ko) 카메라 셔터키 표시 장치 및 방법
CN106961545B (zh) 显示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TWI474266B (zh) 觸控方法及手持裝置
JP2021086585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210165562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8032075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176439A (ja) マルチメディア装置、マルチメディア装置の制御方法、及びマルチメディア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808408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465653B1 (ko) 반투명 툴바를 사용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JP7023621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80072634A (ko) 유아이 조절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
JPWO2018056010A1 (ja) カメラ、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17174029A (ja) 画像表示装置
JP6525734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200243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