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506B1 - 원두커피 부산물의 유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두커피 부산물의 유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506B1
KR101465506B1 KR1020120117092A KR20120117092A KR101465506B1 KR 101465506 B1 KR101465506 B1 KR 101465506B1 KR 1020120117092 A KR1020120117092 A KR 1020120117092A KR 20120117092 A KR20120117092 A KR 20120117092A KR 101465506 B1 KR101465506 B1 KR 10146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ean
weight
product
extract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814A (ko
Inventor
박근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바이오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바이오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바이오위드
Priority to KR1020120117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5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두커피 부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추출물,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 중량%, 정제수로 이루어진 수상과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2.0 중량%, 콜레스테롤 0.6 중량%, 세라마이드(ceramide) 0.8 중량%, 팔미트산(palmitic acid) 0.5 중량%, 에탄올(ethanol) 10.0 중량%로 이루어진 유상을 혼합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수상을 킬레이팅제와 70℃까지 가온하고, 상기 유상을 70℃까지 완전 용해하여 분산기로 1차 유화한 후 고압균질기의 압력을 500bar로 하여 균질화 처리된 다중 층상 리포좀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두커피 부산물의 유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COSMETIC CONTAINING EFFECTIVE EXTRACS FROM COFFEE REMNAN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유효 성분을 이용한 화장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유효 성분을 이용하여 로션 등의 크림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커피나무 열매의 씨를 볶아서 만든 원두나 가루를 원료로 한 음료로서, 커피나무 열매가 붉게 익으면 과육이 벌어지면서 푸른빛을 띤 생두가 나오는데, 이것을 말려서 볶은 뒤 가루로 내어 사용한다.
커피 속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은 녹차나 홍차 등에도 포함되는 쓴맛의 성분이다. 종래에, 카페인은 졸음, 권태감, 신장성 부종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서, 경구로 복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카페인에 암세포의 세포주기를 멈추는 작용이 있는 것을 찾아내어 피부암의 예방에 유효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학계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커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을 스킨로션 형태로 만들어 피부에 바르면 피부암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커피의 인체 유효성분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조성물 연구개발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커피는 그 고유의 맛과 향으로 인하여 사람들이 기호 식품으로 많이 찾는 대표적인 음료로 자리를 잡았다. 이에 우리 나라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커피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커피의 생산량이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커피의 제조 후에 생기는 원두커피 부산물의 양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남는 부산물인 커피 찌꺼기는 대부분 폐기처분되므로,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유효한 성분을 추출하는 연구개발을 통해 다양한 천연물 및 바이오 유래의 신소재 개발 등, 효능 및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신소재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1045310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2011-0077722 일본 특허공개공보 1997-29593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원두커피 부산물에서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항염증 효과를 갖는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피부친화성 화장품과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두커피의 소비로 폐기되는 부산물(찌꺼기)를 활용하여 친환경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두커피 부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은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추출물,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 중량%, 정제수로 이루어진 수상과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2.0 중량%, 콜레스테롤 0.6 중량%, 세라마이드(ceramide) 0.8 중량%, 팔미트산(palmitic acid) 0.5 중량%, 에탄올(ethanol) 10.0 중량%로 이루어진 유상을 혼합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수상을 킬레이팅제와 70℃까지 가온하고, 상기 유상을 70℃까지 완전 용해하여 분산기로 1차 유화한 후 고압균질기의 압력을 500bar로 하여 균질화 처리된 다중 층상 리포좀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원두커피 부산물 100 중량부에 증류수를 1000 중량부를 첨가하여 85℃에서 3시간 환류냉각 추출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3회 반복 추출하여,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여과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원두커피 부산물 100 중량부에 1000중량부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추출하여,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여과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과단계는 0.8 내지 1.2㎛ 기공 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0.4 내지 0.5㎛ 기공 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2차 여과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핸드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물로서 처분되는 원두커피 부산물을 재활용하여 항산화 효과, 미백효과 등을 갖는 유효 성분을 이용하여 화장품 소재로의 부가가치 상승과, 폐자원의 자원화를 통한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이하, 원두커피 추출물과 원두커피 부산물의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한 도면,
도 2는 원두커피 추출물과 원두커피 부산물의 추출물에 대한 미백효과를 비교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커피 부산물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기술을 감안하여 연구한 결과, 가공 전 원두커피에서의 피부 생리활성 검증과 원두커피 가공 후 폐기처분되는 부산물(찌꺼기)에서의 효능을 비교실험을 통하여 원두커피의 부산물에 카페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페룰린산(ferulic acid), 카페익산(caffeic acid), 나이아신(niacin), 폴리페놀(polyphenol), 타닉산(tannic acid) 및 칼륨 등과 같은 성분들을 추출할 수 있음을 찾아내어 원두커피 부산물에서 화장품 소재로서의 적합성 여부를 검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고, 이러한 비교실험예를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원두커피의 추출물과 원두커피 부산물의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한 도면이고, 도 2는 원두커피 추출물과 원두커피 부산물의 추출물에 대한 미백효과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DPPH의 전자공여능을 비교한 도면으로서, 원두커피의 추출물과 원두커피 부산물의 에탄올 추출물 500ppm 및 1000ppm에서 녹차 정제물인 EGCG(카테킨)과 유사한 DPPH 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로부터 원두커피 부산물을 분리정제하는 경우에 더욱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기대할 수 있음을 찾아냈다.
도 1b는 ABTS 라디컬 소거능을 비교한 도면으로서, 원두커피의 추출물과 원두커피 부산물의 에탄올 추출물 100ppm에서 녹차 정제물인 EGCG(카테킨)과 유사한 ABTS 라디컬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이로부터 원두커피 부산물을 분리정제하는 경우에 더욱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기대할 수 있음을 찾아냈다.
도 1c는 superoxide 라디컬 소거능을 비교한 도면으로서, 원두커피의 추출물과 원두커피 부산물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녹차 정제물인 EGCG(카테킨)보다 우수한 superoxide 라디컬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이로부터 이로부터 원두커피 부산물을 분리정제하는 경우에 더욱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기대할 수 있음을 찾아냈다.
또한, 도 2는 tyrosinase 억제능의 비교 데이터를 도시한 것으로, 원두커피의 추출물과 원두커피 부산물의 에탄올 추출물 1000ppm에서 Vit-C와 유사한 억제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의해 원두커피 부산물을 분리정제하는 경우에 더욱 우수한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찾아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커피 부산물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두커피 부산물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은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추출물,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 중량%, 정제수로 이루어진 수상과 포스파티딜콜린 (phosphatidylcholine) 2.0 중량%, 콜레스테롤 0.6 중량%, 세라마이드(ceramide) 0.8 중량%, 팔미트산(palmitic acid) 0.5 중량%, 에탄올(ethanol) 10.0 중량%로 이루어진 유상을 혼합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수상을 킬레이팅제와 70℃까지 가온하고, 상기 유상을 70℃까지 완전 용해하여 분산기로 1차 유화한 후 고압균질기의 압력을 500bar로 하여 균질화 처리된 다중 층상 리포좀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이하, 이러한 비교실험예를 바탕으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일반적으로 폐기처분되는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특히 핸드크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원두커피 부산물의 열수추출물 제조
먼저, 준비한 원두커피 부산물 100g에 증류수를 1000㎖ 정도 가하여 85℃에서 3시간 환류냉각 추출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3회 반복 추출하여,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0.8 내지 1.2㎛ 기공 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0.4 내지 0.5㎛ 기공 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2차 여과하여 원두커피 부산물의 열수추출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2: 원두커피 부산물의 알코올 추출물 제조
우선 원두커피 부산물을 준비한다. 원두커피 부산물은 소정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원두커피 부산물을 알코올과 섞은 다음 소정의 추출 공정을 수행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얻는다. 알코올은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량의 원두커피 부산물의 10배 양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추출하는 방식으로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0.8 내지 1.2㎛ 기공 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0.4 내지 0.5㎛ 기공 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2차 여과하여 원두커피 부산물의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의한 추출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1. 원두커피 부산물에 포함된 폴리페놀(클로로겐산) 함량 측정
녹색 반응을 이용한 클로로겐산 함량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클로로겐산 20 ul를 농도별(10, 30, 100 및 10 mM)로 10 mM NaHCO3/Na2CO3 완충용액(pH 9.5) 및 10 mM 글라이신 용액 180ul를 혼합하여 96 웰플레이트(well plate)에서 총량이 200 ul이 되도록 혼합한 다음,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흡광도 655 nm에서 측정하였다.
2. 원두커피 부산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검증
1) DPPH 전자공여능 검증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2 ㎖에 0.2 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1㎖를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2) ABTS radical 소거능 검증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은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7 mM의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와 2.4 mM potassium persulfate를 최종 농도로 혼합하여 실온인 암실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을 형성시킨 후 phoaphate buffer saline으로 희석하여 ABTS+ 100㎕를 가하여 1분 동안 방치한 후 7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3)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검증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은 nitroblue tetrazolium(NBT) 환원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0.1 mL와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5) 0.4 mL에 Xanthine(0.4mM)과 NBT(0.24 mM)를 녹인 기질액 1 mL을 첨가하고 xanthine oxidase (0.2 U/mL) 1mL를 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1 N HCl 1 mL을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반응액 중에 생성된 superoxide anion radical의 양을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4) SOD 유사활성 측정
SOD 유사활성은 Marklund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0.2 ㎖에 Tris-HCl 완충용액(50 mM tris+10 mM EDTA, pH 8.5) 2.6 ㎖와 7.2 mM pyrogallol 0.2 ㎖를 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 M HCl 0.1 ㎖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반응액 중 산화된 pyrogallol의 양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3. 원두커피 부산물 추출물의 피부재생 효과 검증
1)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 저해능 검증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능 측정은 Cannell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기질로서 N-succinyl-(L-Ala)3-p-nitroanilide를 사용하여 37℃에서 20분간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445 nm에서 측정하였다. 즉, 각 시험용액을 일정 농도가 되도록 제조하여 0.5 ㎖씩 시험관에 취하고, 50 mM tris-HCl buffer(pH 8.6)에 녹인 porcine pancreas elastase(2.5 U/㎖)용액 0.5 ㎖을 가한 후 기질로 50 mM tris-HCl buffer(pH 8.6)에 녹인 N-succinyl-(L-Ala)3-p-nitroanilide (0.5 mg/㎖)을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시켜 측정한다. 엘라스테이즈 활성 저해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2) Collagenase 활성 저해능 검증
collagenase 활성 저해능 측정은 빈스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0.1 M tris-HCl buffer(pH 7.5)에 4 mM CaCl2를 첨가하여,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0.3 mg/㎖)를 녹인 기질액 0.25 ㎖ 및 시료용액 0.1 ㎖의 혼합액에 collagenase(0.2mg/㎖) 0.15㎖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6% citric acid 0.5㎖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ethyl acetate 1.5㎖을 첨가하여 3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llagenase 활성 저해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3) 콜라겐 생합성량 측정
콜라겐 생합성량의 측정은 procollagen type Ⅰ C-peptide(PCIP) ELSA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DMEM으로 계대 배양된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여 24well에 2×105개로 분주하여, 24시간 후에 시료용액을 농도별로 넣은 후 무혈청 배양액으로 교환하여 24시간 처리하고, 세포 배양액을 채취한 뒤 각 웰(well)에서 세포 배양액을 PCIP collagen 키트를 이용하여 콜라겐 생합성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겐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69-웰 플레이트에 채취한 세포 배양액 0.02㎖을 넣고, 항원/항체 반응을 37℃ 항온조에서 광차단하여 3시간 반응시킨 후 인산완충용액으로 4회 세척한 다음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키트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 유발물질을 넣어서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 M의 황산을 넣어 발색을 중지시킨 후 이를 ELSIA reader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기타
원두커피 부산물 추출물의 피부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산화질소 (nitric oxide) 활성 저해능 측정 및 피부 항염증 메카니즘을 검증하는 시험을 수행하였고, 원두커피 부산물 추출물의 피부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저해능 검증 및 피부미백 메카니즘 검증을 실행하여 아래와 같은 소정의 결과를 얻었다.
하기의 표 1은 상술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 항목 시험 결과
피부재생 효과 엘라스테이즈 활성 저해능 측정
collagenase 활성 저해능 측정
콜라겐 생합성량 측정시험
기준물질(adenosine)의 저해효과 80% 이상
피부항염증 효과 산화질소 활성 저해능 측정
피부 항염증 메카니즘 검증
기준물질(ursolic acid)의 저해효과 60% 이상
피부미백 효과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 측정
피부미백 메카니즘 검즘
기준물질(albitin)의 저해효과 30% 이상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유효 성분은 피부재생효과, 피부항염증 효과 및 피부미백효과 등에 탁월한 성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 제형
이하, 원두커피 부산물에서 분리한 유효 성분을 안정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다중 층상 리포좀(multiple lamella liposome) 제형이 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중 층상 리포좀의 제조에 있어서, 수상은 킬레이팅제와 70℃까지 가온하여 만들고, 유상은 레시친,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지방산과 용매로 에탄올을 이용하여 70℃까지 완전 용해하여 Homo mixer로 1차 유화 후 고압균질기(micro-fludizer)를 500bar의 압력으로 3회 통과시켜 균일한 나노 리포좀을 제조한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유효 성분을 함유한 다중 층상 리포좀화 핸드크림의 제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유효 성분을 함유한 다중 층상 리포좀화 핸드크림의 제형
성분 함량(%)
A
A
A
A
A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콜레스테롤(cholesterol)
세라마이드(ceramide)
팔미트산(palmitic acid)
에탄올(ethanol)
2.00
0.60
0.80
0.50
10.0
B
B
B
원두커피 부산물의 추출물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정제수
Q.S
0.01
Q.S
전체 100.00
이와 같이 제조된 다중 층상 리포좀화 핸드크림은 피부 침투율이 상당히 우수하다.
이와같이 제조된 다중 층상 리포좀 제형을 소정의 온도, 예를 들어, 0℃, 25℃, 및 40℃에 보관하여 조성물의 분리, 석출, 변색, 점성도, pH 등을 평가한 결과, 모든 부분에서 양호하였다.
또한, 원두커피 부산물의 추출물이 함유된 다중 증상 리포좀 제형 화장품을 용기에 담아 -15℃, -10℃, -5℃, 0℃, 5℃, 10℃, 15℃, 25℃, 37.5℃, 40℃에서 각각 24시간 보관한 후 이를 1사이클로하여 10회 반복 시행하여 온도 순환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Claims (5)

  1.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추출물,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 중량%, 정제수로 이루어진 수상과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2.0 중량%, 콜레스테롤 0.6 중량%, 세라마이드(ceramide) 0.8 중량%, 팔미트산(palmitic acid) 0.5 중량%, 에탄올(ethanol) 10.0 중량%로 이루어진 유상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수상을 킬레이팅제와 70℃까지 가온하고, 상기 유상을 70℃까지 완전 용해하여 분산기로 1차 유화한 후 고압균질기의 압력을 500bar로 하여 균질화 처리된 다중 층상 리포좀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원두커피 부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원두커피 부산물 100 중량부에 증류수를 1000 중량부를 첨가하여 85℃에서 3시간 환류냉각 추출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3회 반복 추출하여,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여과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원두커피 부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커피 부산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원두커피 부산물 100 중량부에 1000중량부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추출하여,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여과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원두커피 부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단계는 0.8 내지 1.2㎛ 기공 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0.4 내지 0.5㎛ 기공 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2차 여과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원두커피 부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따라서 제조된 핸드크림.
KR1020120117092A 2012-10-22 2012-10-22 원두커피 부산물의 유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092A KR101465506B1 (ko) 2012-10-22 2012-10-22 원두커피 부산물의 유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092A KR101465506B1 (ko) 2012-10-22 2012-10-22 원두커피 부산물의 유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814A KR20140050814A (ko) 2014-04-30
KR101465506B1 true KR101465506B1 (ko) 2014-11-26

Family

ID=5065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092A KR101465506B1 (ko) 2012-10-22 2012-10-22 원두커피 부산물의 유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5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8973A (zh) * 2017-01-24 2018-07-31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脂质体的制备方法
KR101988646B1 (ko) 2018-05-09 2019-09-30 이종도 관능성 및 보존성이 개선된 투명 커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736B1 (ko) * 2017-02-22 2020-01-2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171B1 (ko) 2018-12-03 2019-10-23 배주연 클린징 제품 제작 장치
KR102347212B1 (ko) * 2020-01-21 2022-01-03 김윤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816B1 (ko) * 1985-09-26 1993-05-13 크라프트 제너럴 후드스, 인크. 커피의 가수분해 및 오일 추출을 동시에 행하는 방법
KR930011903A (ko) * 1991-12-27 1993-07-20 유영학 영양 강화 음료의 제조 방법
US5972409A (en) * 1995-02-08 1999-10-26 Nestec S.A. Soluble instant coffee prepared from extract obtained from green coffe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816B1 (ko) * 1985-09-26 1993-05-13 크라프트 제너럴 후드스, 인크. 커피의 가수분해 및 오일 추출을 동시에 행하는 방법
KR930011903A (ko) * 1991-12-27 1993-07-20 유영학 영양 강화 음료의 제조 방법
US5972409A (en) * 1995-02-08 1999-10-26 Nestec S.A. Soluble instant coffee prepared from extract obtained from green coffe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8973A (zh) * 2017-01-24 2018-07-31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脂质体的制备方法
CN108338973B (zh) * 2017-01-24 2022-06-21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脂质体的制备方法
KR101988646B1 (ko) 2018-05-09 2019-09-30 이종도 관능성 및 보존성이 개선된 투명 커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814A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Qingzhuan brick tea
KR101465506B1 (ko) 원두커피 부산물의 유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Sava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lanic pigments derived from tea and tea polyphenols
Roesler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Caryocar brasiliense (pequi) and characterization of components by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JPS59219384A (ja) 天然抗酸化剤の製造方法
Mondal et al.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Diospyros malabarica Kostel bark
Ko et al. Protective effect of a novel antioxidative peptide purified from a marine Chlorella ellipsoidea protein against free radical-induced oxidative stress
Megala et al. Free radical-scavenging and H+, K+-ATPase inhibition activities of Pithecellobium dulce
EP1787970A1 (fr) Procede d'obtention d'extraits polyphenoliques de feves de cacao , les extraits obtenus et leurs applications
Lonni et al. Statistical mixture design selective extraction of compounds with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from Trichilia catigua
Wu et al. Functionality analysis of spent coffee ground extracts obtained by the hydrothermal method
KR100667448B1 (ko) 돌외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Saha et al. Assessment of haemolytic, cytotoxic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an underutilized fruit, Baccaurea ramiflora Lour.(Roxb.) Muell. Arg.
CN105267268B (zh) 人参叶提取物制造方法及包含其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Zebua et al. Hypoglicemic activity of gambier (Uncaria gambir robx.) drinks in alloxan-induced mice
WO2001095865A1 (fr) Cosmetiques huileux
KR20110060857A (ko) 차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수득된 차수
KR101966755B1 (ko) 동백나무 유래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ei et al. Characterisation of phenols and antioxidant and hypolipidaemic activities of Lethariella cladonioides
JP2860494B2 (ja) 老化制御即席粉末茶およびその製造法
KR20190062674A (ko) 비타민나무 열매 탈색소 착즙 분말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탈색소 착즙 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210003583A (ko) 원두커피 부산물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TWI433690B (zh) 牡丹皮萃取物及其製造方法暨其抗氧化之應用
Ying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nine selected culinary spices from China
JP5991877B2 (ja) ヤブツバキの若葉抽出液を含有す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