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865B1 - cabin for driver seat of a veihcle crane - Google Patents

cabin for driver seat of a veihcle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865B1
KR101464865B1 KR1020130023701A KR20130023701A KR101464865B1 KR 101464865 B1 KR101464865 B1 KR 101464865B1 KR 1020130023701 A KR1020130023701 A KR 1020130023701A KR 20130023701 A KR20130023701 A KR 20130023701A KR 101464865 B1 KR101464865 B1 KR 101464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cockpit
frame
window
ca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9592A (en
Inventor
이동희
전민석
Original Assignee
이동희
전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전민석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102013002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865B1/en
Publication of KR20140109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5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8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6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에 관한 것으로서, 크레인 조종석의 조종석 받침판(8a)에 설치되어 상기 조종석 받침판(8a)의 좌우에 설치된 다수의 조종간(7)을 둘러싸고 붐대 실린더(6)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지되는 하부몸체(1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전단부에 힌지축(21a)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결합되어 이동시에 하부로 회전되어 상기 하부몸체(10)를 위에서 덮어 포개지는 상부몸체(2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전면에 결합되어 개방부(10a)를 폐쇄하는 전면 하부덮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0)는 좌측면 중간에 좌측으로 돌출된 돌출단(11a)이 형성되어 전면보다 후면이 하부몸체(10)의 좌측면 중간에서부터 돌출단(11a)만큼 더 커져 조종석의 측면에 설치된 다수의 좌측 조종간(7)은 돌출단(11a) 내부로 포함되어 구성되고, 붐대 실린더(6)는 돌출단 전에서 하부몸체(10)의 외부에 있게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크레인작업의 시야 확보를 위해 크레인의 붐대와 동일 또는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지만 도로교통법에 의한 차량의 총높이 제한을 만족할 수 있도록 상부캡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에 포개져서 캐빈의 높이가 대략 반으로 줄어들게 할 수 있고, 조종석 캐빈의 좌측면에 돌출단을 설치하여 조종석 측면에 붐대를 동작시키는 유압장치가 돌출되어 설치된 크레인에서도 조종석 캐빈을 설치할 수 있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rane cockpit cab, which is installed on a cockpit pedestal plate 8a of a crane cockpit and surrounds a large number of control posts 7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ockpit pedestal plate 8a, A lower body 10 installed and supported; An upper body 20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lower body 10 by a hinge shaft 21a and rotated downward when the lower body 10 is moved to cover the lower body 10; And a front lower lid 30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to close the opening 10a. The lower body 10 has a protruding end 11a protruding to the left in the middle of the left side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is larg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by the protruding end 11a from the middle of the left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A plurality of left control spaces 7 are included in the protruding end 11a and the boom cylinder 6 is disposed outside the lower body 10 at the protruding end so that a crane The upper cap may be folded so as to satisfy the total height limit of the vehicle by the road traffic law so that the upper body is superimposed on the lower body so that the height of the cabin can be reduced to about half And a cockpit cabin can be installed in a crane provided with a protruding end 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cockpit cabin so as to protrude a hydraulic device for operating the boom belt on the side of the cockpit.

Description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cabin for driver seat of a veihcle cra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in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하고 상부몸체를 하부몸체에 겹치도록 구성하여 크레인작업의 시야 확보를 위해 크레인의 붐대와 동일 또는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지만 상부몸체를 하부몸체에 겹치도록 하여 도로교통법에 의한 차량의 총높이 제한을 만족할 수 있고, 캐빈의 상부몸체를 접을 때 하부몸체의 좌측면의 돌출단이 상부몸체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창문부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rane cockpit cabi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obile crane cockpit cabin, which comprises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and an upper body is overlapped with a lower body so as to secure a view of a crane operation, The upper end of the cabin may be overlapped with the lower body to satisfy the total height lim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oad traffic law. When the upper body of the cabin is folded, the protruding end of the lower body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body. To a vehicle crane cockpit cabin that can prevent the vehicle from hitting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용 크레인은 트럭과 같은 운반차량의 선단 또는 후단에 장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것으로서, 고철운반용 또는 각종 중량물의 상, 하역작업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크레인은, 붐대의 선단에 버켓을 연결한 후, 작업자가 승차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Generally, a vehicle crane is mounted on a leading end or a rear end of a transportation vehicle such as a truck, and is operated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engine. The crane is used for the transportation of scrap metal or for loading and unloading various heavy objects. Such a vehicle crane is configured such that a worker can ride a bucket to perform various work after connecting a bucket to the tip of the boom.

도 1a는 종래의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케빈이 장착되어 있는 차량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vehicle crane cockpit kevin.

차량용 크레인(2)의 회전반(3) 상측으로 연결된 기둥(4)의 상측에는,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종석(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종석의 전방에 는 다수의 운전바가 설치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조종석에 앉은 자세로 각종 운전바를 동작시킴으로써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운전을 통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A, a cockpit 5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umn 4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rotary pan 3 of the vehicle crane 2. A plurality of operation bars So that the operator can operate various operation bars in a sitting position in the cockpit, thereby securing a wide field of view and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through the operation.

통상의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5)은 시야 확보를 위해 크레인의 붐대와 동일 또는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행 도로교통법상 차량의 총 높이가 4미터를 초과할 수 없게 되어있고, 이에 준하여 각종 난간 및 터널 등의 높이도 4미터 20센티미터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용 크레인의 조종석(5) 상부에는 추가적인 물건 또는 장치 등이 장착될 수 없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rdinary vehicle crane cockpit 5 is installed at the same or higher position as the boom zone of the crane for securing the view, but the total height of the vehicle can not exceed 4 meters under the current Road Traffic Act, The height of various railings and tunnels is limited to 4 meters and 20 centimeters, so that no additional objects or devices can be mounted on the cockpit 5 of the vehicle crane.

따라서, 겨울철이나 여름철에 작업하는 경우, 눈이나 비 또는 바람으로부터 작업자가 노출된 상태로 작업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Therefore, when working in the winter or summ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must work in an exposed state from snow, rain, or win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037948호 및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61439호 등에서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을 덮어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중에는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높이 제한 에 위반되지 않을 수 있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케빈(1)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37948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61439, etc., not only cover and protect the crane cockpit of a vehicle, but also can control the height during traveling, A vehicle crane cockpit 1, which may not be in violation of the restrictions, is installed and used as shown in Fig. 1A.

그러나, 최근 출시되는 크레인 차량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의 좌측면(조종석에 앉아서 볼때)에 붐대를 승강시키는 붐대 실린더(6)가 설치되어 조종석의 좌측 조종간(7)을 넘어 돌출되어 있어서 붐대 실린더(6)로부터 일정간격(예를 들면, 10㎝) 떨어져서 조종석 캐빈을 설치하면 조종석 캐빈이 차량의 백미러를 넘어 돌출되어 차량 운전자가 차량의 좌측 백미러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recent crane vehicles, as shown in Fig. 1B, a boom cylinder 6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oom frame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crane cockpit (when viewed in the cockpit) (For example, 10 cm) away from the boom cylinder 6, the cockpit cabin is protruded beyond the rearview mirror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not use the left rearview mirror of the vehicle.

그렇다고 해서 조종석 캐빈을 붐대 실린더(6)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서 백미러를 넘지 않도록 설치하면 조종석 캐빈의 폭이 너무 좁아 좌측 조종간이 조종석 캐빈의 내부에 들어오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cockpit cabin is installed so as not to exceed the rearview mirror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oom cylinder 6,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ckpit cabin is too narrow and the left cockpit does not enter the cockpit cabin.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을 새로운 크레인 차량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경우, 붐대를 상승시킬 때 붐대 실린더가 조종석 캐빈의 상부몸체와 충돌하게 되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when the conventional vehicle crane cockpit cabin is mounted on a new cran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om cylinder may collide with the upper body of the cockpit cabin when the boom bar is rais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작업의 시야 확보를 위해 크레인의 붐대와 동일 또는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지만 도로교통법에 의한 차량의 총높이 제한을 만족할 수 있도록 상부캡을 접을 수 있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ne for a crane, which is installed at the same or higher position as a crane boom, Which can be folded into a cabi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빈의 상부몸체를 접을 때 하부몸체의 좌측면의 돌출단이 상부몸체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창문부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rane cockpit cab which can prevent the protruding end of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lower body from colliding with a window formed 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upper body when the upper body of the cabin is fol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는 크레인 조종석의 조종석 받침판에 설치되어 상기 조종석 받침판의 좌우에 설치된 다수의 조종간을 둘러싸고 붐대 실린더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지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전단부에 힌지축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결합되어 이동시에 하부로 회전되어 상기 하부몸체를 위에서 덮어 포개지는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개방부를 폐쇄하는 전면 하부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rane cockpit cab for a vehicle, comprising: a lower body installed on a cockpit pedestal of a crane cockpit to surround a plurality of cockpit seats install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ckpit pedestal plate, ; An upper body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lower body by a hinge shaft and rotated downward when the lower body is moved to cover the lower body; And a front lower cover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lower body to close the open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하부몸체는 전방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하부프레임과; 우측면에 출입문에 의해 닫히거나 열리는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이어주는 다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ody includes a lower frame of a " C " An upper frame on the right side of which an opening is formed which is closed or opened by a door;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connecting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하부프레임은 상부 프레임에 비하여 면적이 60~70%이어서 둘 사이를 상하로 이어주는 지지프레임 중에서 전방과 중간에 설치되는 전방지지프레임과 중간 지지프레임은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지만, 후방 지지프레임은 일정한 각도 θ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frame has an area of 60 to 70% as compared with the upper frame, so that the front support frame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which are installed at the front and the middle, However, the rear support fram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ta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하부몸체는 좌측면 중간에 좌측으로 돌출된 돌출단이 형성되어 전면보다 후면이 하부몸체의 좌측면 중간에서부터 돌출단만큼 더 커져 조종석의 측면에 설치된 다수의 좌측 조종간은 돌출단 내부로 포함되어 구성되고, 붐대 실린더는 돌출단 전에서 하부몸체의 외부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ody has a protruding end protruding to the left in the middle of the left side,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body is larger than the middle of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lower body by the protruding end, And the boom bar cylinder is located outside the lower body at the protruding en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몸체는 측면에서 볼 때 후방이 둥글고 전방은 뾰족한 대략 부채꼴 형태이며 하부 프레임이 하부몸체의 상부 프레임을 외부에서 감싸면서 힌지축으로 작용하는 힌지축 볼트에 의해 전단부가 결합되고 후단부는 하부몸체의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걸림장치에 걸려 평상시에는 상부몸체는 하부몸체의 위에 설치되어 하부몸체의 윗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is formed by a hinge shaft bolt whose rear is round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whose front is sharp and has a generally sectorial shape and the lower frame functions as a hinge axis while wrapping the upper frame of the lower body from the outside. And the rear end portion is hooked on the hooking device provided on the upper frame of the lower body, so that the upper body is normally installed on the lower body to maintain the state of covering the upper body of the lower bod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하부덮개부는 계기판 박스를 포함하여 전면 하부덮개부의 개방부를 덮으면서 조종석 좌측면에 설치된 붐대 실린더에 충돌하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설치되면서 개방부를 덮기 위하여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박스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lower lid part includes the instrument panel box and covers the opening part of the front lower lid part. The front lower lid par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boom cylinder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ockpit, And is configured in a trapezoidal box shap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부몸체의 하부프레임은 하부몸체의 상부프레임을 에워싸면서 밀착되어 상부몸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몸체를 그 내부에 포함하면서 겹쳐질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종석 캐빈의 높이를 거의 절반정도로 낮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frame of the upper body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upper frame of the lower body so that the upper body rotates around the hinge axis so that the lower body can be overlapped while including the lower body, So that the height of the cockpit cabin can be reduced to about half.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몸체의 좌측면(조종석에서 앉아서 바라볼 때 방향임)에 중간 창문부의 창문을 상부창문과 하부창문으로 미닫이 문을 구성하여 하부몸체의 돌출단에 부딪히기 전에 상부창문과 하부창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상부몸체를 하부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ing window door is formed by an upper window and a lower window in a middle window portion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body (when the door is viewed from the cockpit) And the upper body can be rotated downward while the windows and the lower windows are open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중간 창문부의 창문을 유리나 플라스틱 합성수지가 아닌 고무재질의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구성하여 하부몸체의 돌출단에 부딪히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늘어남으로써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거나 자바라 창문을 사용하여 상부몸체를 회전하기 전에 중간 창문부의 창문을 열어 놓아 하부몸체의 돌출단이 창문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of the middle window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made of rubber rather than glass or plastic synthetic resin, and even if it bumps against the protruding end of the lower body,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being stretched by elastic force, The window of the intermediate window is opened before the upper body is rotated using the window so that the projecting end of the lower body can be prevented from hitting the window.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인작업의 시야 확보를 위해 크레인의 붐대와 동일 또는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지만 도로교통법에 의한 차량의 총높이 제한을 만족할 수 있도록 상부캡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에 포개져서 캐빈의 높이가 대략 반으로 줄어들게 할 수 있고, 조종석 캐빈의 좌측면에 돌출단을 설치하여 조종석 측면에 붐대를 동작시키는 유압장치가 돌출되어 설치된 크레인에서도 조종석 캐빈을 설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nsure the visibility of the crane operation, the upper cap may be folded so as to meet the limit of the total height of the vehicle by the road traffic method, The cabin height can be reduced by about half, and the cockpit cabin can be installed in the crane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end on the left side of the cockpit cabin so as to protrude and operate the boom bar on the side of the cockpit.

도 1a는 종래의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케빈이 장착되어 있는 차량을 나타낸 예시도,
도 1b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 조종석 캐빈을 조종석 받침판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 조종석 캐빈이 조종석 받침판에 설치된 상태의 내부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종석 캐빈을 접은 상태를 우측 뒷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종석 캐빈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할 때 하부몸체의 돌출단이 상부몸체의 좌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1A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vehicle crane cockpit kevin,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ne cockpit for a vehicle,
FIG.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rane cockpit of a vehicl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crane cockpit c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ane cockpit c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cockpit pedestal,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cockpit pedestal, in which the crane cockpit c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cockpit c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end of the lower body protrudes from the left side of the upper body when the cockpit ca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downward about the hinge axi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rane cockp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100)은 크레인 조종석의 조종석 받침판(8a)에 설치되어 상기 조종석 받침판(8a)의 좌우에 설치된 다수의 조종간(7)을 둘러싸고 붐대 실린더(6)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지되는 하부 몸체(1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전단부에 힌지축(21a)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결합되어 이동시에 하부로 회전되어 상기 하부몸체(10)를 위에서 덮어 포개지는 상부몸체(2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전면에 결합되어 개방부(10a)를 폐쇄하는 전면 하부덮개부(30)로 구성된다.
The vehicle crane cockpit cab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ockpit footboard 8a of the crane cockpit and surrounds a large number of control benches 7 install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ockpit pedestal 8a, A lower body 10 installed and supported; An upper body 20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lower body 10 by a hinge shaft 21a and rotated downward when the lower body 10 is moved to cover the lower body 10; And a front lower lid 30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to close the opening 10a.

본 발명에 의한 하부몸체(10)는 전방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하부프레임(11)과; 우측면에 출입문(25)에 의해 닫히거나 열리는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12)과; 상기 하부프레임(11)과 상부 프레임(12)을 이어주는 다수의 지지프레임(13)으로 이루어진다.The lower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rame 11 of a " C " An upper frame 12 on the right side of which an opening is formed which is closed or opened by a door 25;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3 connecting the lower frame 11 and the upper frame 12.

하부프레임(11)은 상부 프레임(12)에 비하여 면적이 60∼70% 이어서 둘 사이를 상하로 이어주는 지지프레임(13) 중에서 전방과 중간에 설치되는 전방지지프레임(13a)과 중간 지지프레임(13b)은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지만, 후방 지지프레임(13c)은 일정한 각도 θ로 기울어져 설치된다.The lower frame 11 is 60 to 70% larger in area than the upper frame 12 so that the front support frame 13a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13b Are vertically erected, but the rear support frame 13c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따라서 상부 몸체(20)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1a)에 의해 하부몸체(10)에 결합되어 힌지축(21a)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할 때 상부몸체(20)의 하부 프레임(21)은 하부몸체(10)의 후방 지지프레임(13c)에 걸리지 않고 회전하여 상부몸체(20)가 하부몸체(10)를 내부에 포함하며 접혀질 수 있다. 즉 상부몸체(20)가 하부몸체(10)에 포개져서 높이가 대략 반으로 줄어들게 할 수 있다.2B, when the upper body 20 is coupled to the lower body 10 by the hinge shaft 21a and rotates downward about the hinge shaft 21a as shown in FIG. 2B, The upper body 20 rotates without being caught by the rear support frame 13c of the lower body 10 so that the upper body 20 can be folded including the lower body 10 therein. That is, the upper body 20 may be superposed on the lower body 10 so that the height thereof is reduced to about half.

또한 하부몸체(10)는 좌측면 중간에 좌측으로 돌출된 돌출단(11a)이 형성되어 전면보다 후면이 하부몸체(10)의 좌측면 중간에서부터 돌출단(11a)만큼 더 커져 조종석의 측면에 설치된 다수의 좌측 조종간(7)은 돌출단(11a) 내부로 포함되어 구성되고, 붐대 실린더(6)는 돌출단 전에서 하부몸체(10)의 외부에 있게 된다.The lower body 10 has a protruding end 11a protruded to the left in the middle of the left side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is larg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by the protruding end 11a from the middle of the left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A plurality of left control posts 7 are included and configured inside the protruding end 11a and the boom bar cylinder 6 is outside the lower body 10 at the protruding end.

다시 말하면 상기 붐대 실린더(6)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부몸체(10)는 좌측면에 붐대 실린더(6)와 좌측 조종간(7) 사이에 돌출단(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서 후면 사이의 좌측면 중간에서 돌출단(11a)이 돌출하기 전의 위치에 붐대 실린더(6)가 놓이고 돌출단(11a)이 돌출한 후의 위치에 좌측 조종간(6)이 놓여서 좌측 조종간(6)은 돌출단(11a) 내부에 포함되어 하부몸체(10)의 내부에 있게 되고, 붐대 실린더(6)는 돌출단(11a) 전의 위치에서 하부몸체(10)의 외부에 있게 된다.In other words, a protruding end 11a is formed between the boom cylinder 6 and the left control box 7 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so as not to contact the boom cylinder 6, The boom cylinder 6 is placed at a position before the projecting end 11a protrudes in the middle of the face and the left control rod 6 is placed at a position after the projecting end 11a has protruded so that the left control rod 6 is projected from the projecting end 11a And the boom bar cylinder 6 is located outside the lower body 10 at a position before the projecting end 11a.

상부 몸체(20)는 측면에서 볼 때 후방이 둥글고 전방은 뾰족한 대략 부채꼴 형태이며 하부 프레임(21)이 하부몸체(10)의 상부 프레임(12)을 외부에서 감싸면서 힌지축(21a)으로 작용하는 힌지축 볼트에 의해 전단부가 결합되고 후단부는 하부몸체(10)의 상부 프레임(12)에 설치된 걸림장치(121)에 걸려 평상시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20)는 하부몸체(10)의 위에 설치되어 하부몸체(10)의 윗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upper body 20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with a rounded rear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a sharp front and a lower frame 21 functions as a hinge shaft 21a while enclosing the upper frame 12 of the lower body 10 from the outside The front end portion is engaged with the hinge shaft bolt and the rear end portion is hooked on the hooking device 121 provided on the upper frame 12 of the lower body 10 so that the upper body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body 1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is covered.

전면 하부덮개부(30)는 하부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결합되어 개방부(10a)를 덮어 폐쇄하며, 상기 개방부(10a)에 삽입되는 계기판 박스(8)를 덮고 전면에 작업 전조등(31)이 설치되어 야간에 작업시에 작업 대상체를 비출 수 있도록 한다.The front lower cover part 3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and covers and closes the opening part 10a and covers the instrument panel box 8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10a, 31) is installed so that the work object can be illuminated at the time of work at night.

전면 하부덮개부(30)는 계기판 박스(8)를 포함하여 전면 하부덮개부(30)의 개방부(10a)를 덮으면서 조종석 좌측면에 설치된 붐대 실린더(6)에 충돌하지 않도록 일정간격(예를 들면 10㎝)으로 떨어져 설치되면서 개방부(10a)를 덮기 위하여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박스 형태이다.The front lower lid unit 30 includes the instrument panel box 8 and covers the opening 10a of the front lower lid unit 30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boom cylinder 6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ockpit. For example, 10 cm, while the side end face is in the shape of a box having a trapezoidal shape in order to cover the opening portion 10a.

전면 하부덮개부(30)의 후면과 윗변은 개방되어 전면 하부덮개부(30)의 개방부(10a)에 맞추어 결합하여 하부몸체(10)의 전면을 밀폐시켜 밀폐공간을 형성한다.
The rear surface and the upper side of the front lower lid part 30 are opened to be engaged with the opening part 10a of the front lower lid part 30 to seal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to form a closed space.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 조종석 캐빈을 조종석 받침판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 조종석 캐빈이 조종석 받침판에 설치된 상태의 내부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된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ane cockpit c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cockpit floor board,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a cockpit cockp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 조종석 캐빈(100)은 조종석 받침판(8a)에 하부몸체(10)의 밑면이 지지되어 설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의 좌,우측 조종간(7)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설치되어 조종석에 앉은 작업자가 조종석 캐빈(100)의 내부에서 눈이나 비 또는 바람으로부터 작업자가 노출되지 않고 보호받으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밀폐공간을 형성한다.The crane cockpit cab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is supported by the cockpit foot plate 8a and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control rods 7 ar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s shown in FIG. So that the occupant seated in the cockpit can form an enclosed space inside the cockpit cabin 100 so that the operator can work while being protected without being exposed to snow, rain, or wind.

상부몸체(20)의 전면판(26)은 투명창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조종석에 앉아서 작업전방을 바라보며 조종간(7)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무더운 여름에는 전면판(26)을 열고 작업할 수 있도록 경첩과 공압 실린더 등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ront plate 26 of the upper body 20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window so that the operator can sit in the cockpit and manipulate the control space 7 while looking ahead of the work. In the hot summer, the front plate 26 is opened A hinge and a pneumatic cylinder.

상부몸체(20)의 하부프레임(21)은 하부몸체(10)의 상부프레임(12)을 에워싸면서 밀착되어 상부몸체(20)가 힌지축(21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몸체(10)를 그 내부에 포함하면서 겹쳐질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종석 캐빈(100)의 높이를 거의 절반정도로 낮춘다.The lower frame 21 of the upper body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frame 12 of the lower body 10 so that the upper body 20 rotates about the hinge shaft 21a, So that the height of the cockpit cabi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to about half.

도 5에 본 발명에 의한 조종석 캐빈을 접은 상태를 우측 뒷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ckpit ca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viewed from the right and rear sides.

본 발명에 의한 조종석 캐빈(100)은 차량에 의해 원거리 이동시에 현행 도로교통법상 차량의 총 높이(4미터)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부몸체(20)를 힌지축(21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종석 캐빈(100)의 높이를 대략 절반정도로 줄일 수 있다.The cockpit cabi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upper body 20 about the hinge shaft 21a so as not to exceed the total height of the vehicle (4 meters) The height of the cockpit cabin 100 can be reduced to about half as shown in FIG.

이때 하부몸체(10)의 상부 프레임(12)은 상부몸체(20)의 하부프레임(21)에 거의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평상시 또는 작업시에는 걸림장치(121)에 의해 상부몸체(20)의 하부프레임(21)이 하부몸체(10)의 상부 프레임(12)에 걸려있게 됨으로써 상부몸체(20)의 하부프레임(21)은 하부몸체(10)의 상부 프레임(12)과 동일한 높이이거나 프레임의 두께만큼 더 높게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있다.At this time, the upper frame 12 of the lower body 10 is sized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frame 21 of the upper body 20 so that the upper frame 12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frame 21, The lower frame 21 of the upper body 20 is hooked to the upper frame 12 of the lower body 10 so that the lower frame 21 of the upper body 20 is the same as the upper frame 12 of the lower body 10 So as to maintain a state of being covered with a height or a height hig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rame.

하부몸체(10)의 하부프레임(11)과 상부 프레임(12)은 상부몸체(20)의 하부프레임(21)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지만 좌측면 중간에 좌측으로 돌출된 돌출단(11a)이 형성되어 상부몸체(20)의 하부프레임(21)과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하부몸체(10)의 외부 좌측면은 좌측면 중간에서 점차로 넓어져 돌출단(11a)까지 넓어지고 돌출단(11a)부터 후면까지 동일한 넓이로 형성된다.The lower frame 11 and the upper frame 12 of the lower body 10 are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lower frame 21 of the upper body 20 but the protruding ends 11a protruding to the left in the middle of the left side face And the outer left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is gradually widened in the middle of the left side surface to widen to the projecting end 11a and the projecting end 11a ) To the rear surface.

또한, 상부몸체(20)의 하부프레임(21)은 좌측면 중간에서 돌출단이 형성되지 않고 좌측면 중간에서 점차로 넓어져 하부몸체(10)의 돌출단(11a)에 접촉하는 지점부터 후면까지 동일한 넓이로 형성된다.The lower frame 21 of the upper body 20 is not formed with a protruding end in the middle of the left side face but gradually spreads from the middle of the left side face to the same position from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protruding end 11a of the lower body 10 to the rear face .

따라서 상부몸체(20)가 힌지축(21a)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할 때 하부몸체(10)의 돌출단(11a)이 상부몸체(20)의 좌측면(조종석에서 바라볼 때 방향임)이 하부몸체(10)의 돌출단(11a)에 부딪힐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pper body 20 rotates downward about the hinge shaft 21a, the protruding end 11a of the lower body 10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body 20 (when viewed from the cockpit) It is possible to hit the projecting end 11a of the lower body 10.

도 6에 본 발명에 의한 조종석 캐빈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할 때 하부몸체의 돌출단이 상부몸체의 좌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end of the lower body protrudes to the left side of the upper body when the cockpit ca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downward about the hinge axis.

상부몸체(20)가 힌지축(21a)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할 때 하부몸체(10)의 돌출단(11a)이 상부몸체(20)의 좌측면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몸체(20)의 좌측면(조종석에서 앉아서 바라볼 때 방향임)에 중간 창문부(22)의 창문을 상부창문(22a)과 하부창문(22b)으로 미닫이 문을 구성하여 하부몸체(10)의 돌출단(11a)에 부딪히기 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창문(22a)과 하부창문(22b)열어 놓은 상태에서 상부몸체(20)를 하부로 회전시켜 하부몸체(10)의 돌출단(11a)이 중간 창문부(22)를 통해 돌출하더라도 창문이 깨지거나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protruding end 11a of the lower body 10 from hitting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upper body 20 when the upper body 20 rotates downward about the hinge axis 21a, The upper window 22a and the lower window 22b constitute a sliding door by the window of the intermediate window 22 in the left side of the lower body 10 The upper body 20 is rotated downward while the upper window 22a and the lower window 22b are opened as shown in Figure 6 so that the projecting end 11a of the lower body 10 is in the middl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ndow from being broken or broken even if it protrudes through the window portion (22).

또 다른 실시예로서 중간 창문부(22)의 창문을 유리나 플라스틱 합성수지가 아닌 고무재질의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구성하여 하부몸체(10)의 돌출단(11a)에 부딪히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늘어남으로써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자바라 창문을 사용하여 상부몸체(20)를 회전하기 전에 중간 창문부(22)의 창문을 열어 놓아 하부몸체(10)의 돌출단(11a)이 창문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indow of the intermediate window 22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made of rubber rather than glass or plastic synthetic resin, so that even if the window hits the protruding end 11a of the lower body 10, And the window of the intermediate window portion 22 is opened before the upper body 20 is rotated using the bellows window to prevent the projecting end 11a of the lower body 10 from hitting the window .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하부몸체 11: 하부프레임
12: 상부 프레임 13: 지지프레임
20: 상부 몸체 21: 하부프레임
22: 중간창문 25: 출입문
26: 전면판 30: 전면 하부덮개부
31: 작업 전조등 100: 조종석 캐빈
10: Lower body 11: Lower frame
12: upper frame 13: support frame
20: upper body 21: lower frame
22: Middle window 25: Entrance
26: front plate 30: front lower cover part
31: Working light 100: Cockpit cabin

Claims (9)

크레인 조종석의 조종석 받침판(8a)에 설치되어 상기 조종석 받침판(8a)의 좌우에 설치된 다수의 조종간(7)을 둘러싸고 붐대 실린더(6)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지되는 하부몸체(1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전단부에 힌지축(21a)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결합되어 이동시에 하부로 회전되어 상기 하부몸체(10)를 위에서 덮어 포개지는 상부몸체(2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전면에 결합되어 개방부(10a)를 폐쇄하는 전면 하부덮개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10)의 좌측면 중간에는, 상기 하부몸체(10)의 좌측으로 돌출된 돌출단(11a)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10)의 전면보다 후면이 상기 하부몸체(10)의 좌측면 중간에서부터 상기 돌출단(11a)만큼 더 크고, 조종석의 측면에 설치된 다수의 좌측 조종간(7)은 상기 돌출단(11a) 내부에 포함되고, 붐대 실린더(6)는 상기 돌출단 전에서 상기 하부몸체(10)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몸체(20)의 좌측면(조종석에서 앉아서 바라볼 때 방향임)에 형성된 중간 창문부(22)를 구성하는 상부창문(22a)과 하부창문(22b)이 미닫이 문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창문(22a)과 하부창문(22b)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20)를 하부로 회전시켜, 상기 상부몸체(20)가 상기 돌출단(11a)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A lower body 10 installed on the cockpit pedestal 8a of the crane cockpit to surround and support a plurality of cockpit 7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ckpit pedestal 8a and spaced apart from the boom cylinder 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upper body 20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lower body 10 by a hinge shaft 21a and rotated downward when the lower body 10 is moved to cover the lower body 10;
And a front lower cover part (30)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to close the opening part (10a)
A protruding end 11a protruding to the left of the lower body 10 is formed at the middle of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faces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 A large number of left control posts 7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ckpit are included in the protruding end 11a from the center of the left side surface and the boom cylinder 6 is larger than the protruding end 11a in the protruding end Is disposed outside the lower body (10)
An upper window 22a and a lower window 22b constituting an intermediate window portion 22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body 20 (in a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cockpit) are composed of sliding doors, The upper body 20 is rotated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window 22a and the lower window 22b are opened so that the upper body 20 does not hit the projecting end 11a, Cockpit cab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0)는 전방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하부프레임(11)과; 우측면에 출입문(25)에 의해 닫히거나 열리는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12)과; 상기 하부프레임(11)과 상부 프레임(12)을 이어주는 다수의 지지프레임(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body 10 includes a lower frame 11 of a " C " An upper frame 12 on the right side of which an opening is formed which is closed or opened by a door 25;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3) connecting the lower frame (11) and the upper frame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1)은 상부 프레임(12)에 비하여 면적이 60~70% 이어서 둘 사이를 상하로 이어주는 지지프레임(13) 중에서 전방과 중간에 설치되는 전방지지프레임(13a)과 중간 지지프레임(13b)은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지만, 후방 지지프레임(13c)은 일정한 각도 θ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frame 11 has an area of 60 to 70% as compared with the upper frame 12 so that a front supporting frame 13a and a middle supporting frame 13a, 13b are vertically erected, but the rear support frame 13c is inclined at a constant angle < RTI ID = 0.0 > A. < / RTI >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20)는 측면에서 볼 때 후방이 둥글고 전방은 뾰족한 부채꼴 형태이며 하부 프레임(21)이 하부몸체(10)의 상부 프레임(12)을 외부에서 감싸면서 힌지축(21a)으로 작용하는 힌지축 볼트에 의해 전단부가 결합되고 후단부는 하부몸체(10)의 상부 프레임(12)에 설치된 걸림장치(121)에 걸려 평상시에는 상부몸체(20)는 하부몸체(10)의 위에 설치되어 하부몸체(10)의 윗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upper body 20 has a circular shape with a rounded rear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has a pointed oblique shape at the front and the lower frame 21 acts as a hinge shaft 21a while enclosing the upper frame 12 of the lower body 10 from the outside A front end portion of the lower body 10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12 by a hinge shaft bolt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upper body 20 is hooked by a latching device 121 provided on the upper frame 12 of the lower body 1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 (10) is cover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하부덮개부(30)는 계기판 박스(8)를 포함하여 전면 하부덮개부(30)의 개방부(10a)를 덮으면서 조종석 좌측면에 설치된 붐대 실린더(6)에 충돌하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설치되면서 개방부(10a)를 덮기 위하여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박스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ront lower lid unit 30 includes the instrument panel box 8 and covers the opening 10a of the front lower lid unit 30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boom cylinder 6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ockpit, And the side end face is formed in a box shape in a trapezoidal shape so as to cover the opening portion (10a)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cabi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0)의 하부프레임(21)은 하부몸체(10)의 상부프레임(12)을 에워싸면서 밀착되어 상부몸체(20)가 힌지축(21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몸체(10)를 그 내부에 포함하면서 겹쳐질 수 있도록 하여 조종석 캐빈(100)의 높이를 절반으로 낮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wer frame 21 of the upper body 20 closely contacts the upper frame 12 of the lower body 10 so that the upper body 20 rotates about the hinge shaft 21a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body 10 So that the height of the cockpit cabin 100 can be reduced by half.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창문부(22)의 창문을 유리나 플라스틱 합성수지가 아닌 고무재질의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구성하여 하부몸체(10)의 돌출단(11a)에 부딪히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늘어남으로써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거나 자바라 창문을 사용하여 상부몸체(20)를 회전하기 전에 중간 창문부(22)의 창문을 열어 놓아 하부몸체(10)의 돌출단(11a)이 창문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ow of the intermediate window part 22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a translucent body made of rubber rather than glass or plastic synthetic resin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being stretched by the elastic force even if it hits the protruding end 11a of the lower body 10 Or the window of the intermediate window part 22 is opened before the upper body 20 is rotated using the bellows window so as to prevent the projecting end 11a of the lower body 10 from hitting the window Car Cranes Cockpit Cabin.
KR1020130023701A 2013-03-06 2013-03-06 cabin for driver seat of a veihcle crane KR1014648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701A KR101464865B1 (en) 2013-03-06 2013-03-06 cabin for driver seat of a veihcle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701A KR101464865B1 (en) 2013-03-06 2013-03-06 cabin for driver seat of a veihcle c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592A KR20140109592A (en) 2014-09-16
KR101464865B1 true KR101464865B1 (en) 2014-11-24

Family

ID=5175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701A KR101464865B1 (en) 2013-03-06 2013-03-06 cabin for driver seat of a veihcle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8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660A (en) 2022-10-05 2024-04-12 박인석 plunging shaft helical serration molding apparatus of drive shaft for automobile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1013B (en) * 2018-09-06 2024-01-23 辽宁工业大学 Intelligent variable-height truck-mounted crane operating room
CN110422088A (en) * 2019-08-29 2019-11-08 天地科技股份有限公司上海分公司 Coalcutter driver driving seat and low seam mining machinery with the driver's sea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39Y1 (en) * 2001-10-29 2002-01-23 강태구 a control seat cover crane and tongs equipment of a crane and tongs car
KR20050046312A (en) * 2003-11-13 2005-05-18 호봉식 Work chair safety cover for crane
KR20060013595A (en) * 2004-08-07 2006-02-13 박일훈 A cover for operating-seat on cargo crane
KR101037948B1 (en) * 2010-08-13 2011-05-30 김석곤 Cabin of drivers seat for vehicle cra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39Y1 (en) * 2001-10-29 2002-01-23 강태구 a control seat cover crane and tongs equipment of a crane and tongs car
KR20050046312A (en) * 2003-11-13 2005-05-18 호봉식 Work chair safety cover for crane
KR20060013595A (en) * 2004-08-07 2006-02-13 박일훈 A cover for operating-seat on cargo crane
KR101037948B1 (en) * 2010-08-13 2011-05-30 김석곤 Cabin of drivers seat for vehicle cra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660A (en) 2022-10-05 2024-04-12 박인석 plunging shaft helical serration molding apparatus of drive shaft for automobile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592A (en)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187373T3 (en) SELF-RUNNING WORKING MACHINE
JP5639618B2 (en) Vehicle with tailgate
US20170341566A1 (en) Aerial lif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KR101037948B1 (en) Cabin of drivers seat for vehicle crane
KR101464865B1 (en) cabin for driver seat of a veihcle crane
US10780823B2 (en) Safety sign device with modular dual signs and related methods
KR101571885B1 (en) Sliding type cover for common duct of tunnel
JPH10121767A (en) Lock type parking space
US10343598B2 (en) Safety sign device with modular dual signs and related methods
US11875712B2 (en) Safety sign device with hinge and related methods
KR102165367B1 (en) Collision prevention system, and door protection aparatus including the same
DE10117374A1 (en)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signals in vehicles, is movable between not-in-use position in roof opening and in-use position in which it protrudes at least partly above vehicle roof
KR102415050B1 (en) Mobile protective device for road construction
JP3144571B2 (en) Car door structure
CN211195791U (en) Windshield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102508386B1 (en) Movable auxiliary apparatus for road construcion
CN201183940Y (en) Roadblock mechanism
JPS59199346A (en) Danger preventing apparatus of large-sized vehicle
KR200374521Y1 (en) The barricade device for a railway crossing
KR101218039B1 (en) Underground barricade for vehicle having barrier
CN207747857U (en) A kind of tractor vehicle body protection anti-theft device
CN109424286B (en) Turnover mechanism, escape window and vehicle
CN207015498U (en) The closing closure assembly of cart
KR200233085Y1 (en) A operation seat protection device of cargo crane with ascent and descent device
CN105082963A (en) Hinge type car protective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