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470B1 - 핸드믹서기용 분쇄통 - Google Patents

핸드믹서기용 분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470B1
KR101464470B1 KR1020130109593A KR20130109593A KR101464470B1 KR 101464470 B1 KR101464470 B1 KR 101464470B1 KR 1020130109593 A KR1020130109593 A KR 1020130109593A KR 20130109593 A KR20130109593 A KR 20130109593A KR 101464470 B1 KR101464470 B1 KR 10146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haft
packing
wash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김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원생활가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원생활가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원생활가전
Priority to KR102013010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믹서기의 하부에 구성되는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분쇄날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야채, 과일, 견과와 같은 피분쇄물을 분쇄시에 피분쇄물을 수용하는 핸드믹서기용 분쇄통에 있어서, 상기 피분쇄물의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수용공간부의 내측 하단부 중앙에 원형 형태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제1관통공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결합구가 연장형성되는 몸통; 상기 몸통의 수용공간부 내측면 둘레를 따라 하단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형태로 다수 형성되어 피분쇄물이 분쇄시 혼합을 도모하는 교반돌기부; 상기 몸통의 제1관통공 상부측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핸드믹서기에 의해 회전하는 분쇄날을 지지 및 회전을 도모하는 회전축부; 상기 몸통의 결합구 내경에 설치되어 제1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분쇄물 또는 액체가 누출되지 않게 방지 및 회전축부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도모하는 밀폐수단; 상기 몸통의 상단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뚜껑; 상기 몸통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드믹서기용 분쇄통{Pulverizing-drum for hand mixer}
본 발명은 핸드믹서기용 분쇄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믹서기의 하부에 구성되는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분쇄날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야채, 과일, 견과와 같은 피분쇄물을 수용하여 분쇄시 피분쇄물이 파형으로 와류되어 혼합 및 분쇄력이 증가하고, 분쇄날을 지지 및 회전을 도모하는 회전축부와 그 하부로 밀폐수단이 구성되어 분쇄날의 회전성 및 회전 안정성을 향상됨은 물론, 회전축부의 결합부위를 통해 피분쇄물 또는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방지하는 핸드믹서기용 분쇄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 과일, 견과와 같은 피분쇄물을 분쇄시에 피분쇄물을 수용하는 분쇄통과, 분쇄통에 수용된 피분쇄물을 분쇄하는 분쇄날이 장착된 뚜껑을 결합하고, 뚜껑의 상부에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핸드믹서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31240호의“핸드 믹서기용 분쇄용기”를 살펴보면, 투명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본체와 뚜껑을 분리 성형하되 뚜껑에는 다단의 결합홈을 형성하여 그 내면에 수개의 걸림편을 형성하고, 결합홈 아래에 연장 형성된 지지관에는 밀폐고무가 외면을 감싸고 있는 부싱을 삽입 설치하고, 부싱 내부에는 피동축을 회전 가능케 끼워 설치하여 그 상단 연결대를 연결 고정하고 하단에는 고정 설치되는 분쇄날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드 믹서기용 분쇄용기에서는 혼합 및 분쇄되는 피분쇄물이 원심력에 의해 본체 내주면을 따라 회류함에 있어, 일률적이고 단순한 형태로 원형을 그리며 회류하게 되므로, 피분쇄물의 혼합율이 떨어지고, 분쇄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쇄날이 뚜껑에 영구 고정된 상태이므로 분쇄날이 무디어지면 교체가 불가능하여 상기 뚜껑을 함께 교체하게 되어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31240호(1998. 09. 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몸통의 내부에 다수의 교반돌기부를 형성하여 피분쇄물이 분쇄시 파형으로 와류되어 혼합 및 분쇄력이 증가하고, 몸통 내측 하부에 회전축부를 구성하여 회전축부에 핸드믹서기의 하부에 구성되는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분쇄날이 탈부착되게 결합되어 교체가 용이하며, 회전축부가 분쇄날을 지지 및 회전을 도모하여 분쇄날의 회전성 및 회전 안정성를 향상되도록 회전축부의 하부에 밀폐수단을 구성하여 회전축부의 고정 및 원활한 회전을 도모함은 물론, 회전축부의 결합부위를 통해 피분쇄물 또는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방지하는 핸드믹서기용 분쇄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핸드믹서기의 하부에 구성되는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분쇄날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야채, 과일, 견과와 같은 피분쇄물을 분쇄시에 피분쇄물을 수용하는 핸드믹서기용 분쇄통에 있어서, 상기 피분쇄물의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수용공간부의 내측 하단부 중앙에 원형 형태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제1관통공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결합구가 연장형성되는 몸통; 상기 몸통의 수용공간부 내측면 둘레를 따라 하단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형태로 다수 형성되어 피분쇄물이 분쇄시 혼합을 도모하는 교반돌기부; 상기 몸통의 제1관통공 상부측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핸드믹서기에 의해 회전하는 분쇄날을 지지 및 회전을 도모하는 회전축부; 상기 몸통의 결합구 내경에 설치되어 제1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분쇄물 또는 액체가 누출되지 않게 방지 및 회전축부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도모하는 밀폐수단; 상기 몸통의 상단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뚜껑; 상기 몸통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기용 분쇄통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믹서기용 분쇄통은 몸통 내부의 몸통의 내부에 다수의 교반돌기부를 형성하여 피분쇄물이 분쇄시 파형으로 와류되어 혼합 및 분쇄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통 내측 하부에 회전축부를 구성하여 회전축부에 핸드믹서기의 하부에 구성되는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분쇄날이 탈부착되게 결합되어 교체가 용이하고, 회전축부가 분쇄날을 지지 및 회전을 도모하여 분쇄날의 회전성 및 회전 안정성를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의 하부에 밀폐수단을 구성하여 회전축부의 고정 및 원활한 회전을 도모하며, 회전축부의 결합부위를 통해 피분쇄물 또는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믹서기용 분쇄통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해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뚜껑의 사시도 및 분해 저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핸드믹서기용 분쇄통은 몸통(10), 교반돌기부(20), 회전축부(30), 밀폐수단(40), 뚜껑(50) 및 받침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통(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의 형성되는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원형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내부로 피분쇄물의 수용되도록 수용공간부(11)가 형성되고, 수용공간부(11)의 내측 하단부 중앙에 원형 형태의 제1관통공(12)이 형성되며, 제1관통공(12)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결합구(13)가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10)의 수용공간부(11) 내측면 둘레를 따라 하단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형태로 다수의 교반돌기부(20)가 형성되고, 교반돌기부(20)의 양측부는 상부측으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지게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날(5)의 회전에 의해 피분쇄물을 분쇄시 피분쇄물이 원심력에 의해 수용공간부(11)의 내측면을 따라 회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통(10)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교반돌기부(20)로 인해 피분쇄물이 파형으로 와류하게 됨으로써, 혼합 및 분쇄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교반돌기부(20)의 양측부를 각각 30°(D)이하로 경사지게 형성할 경우 경사각이 낮아 수용공간부(11)의 내측면을 따라 회류하는 피분쇄물이 파형으로 와류되지 않고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교반돌기부(20)의 양측부를 각각 45°(D)이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경우 경사각이 높아 수용공간부(11)의 내측면을 따라 회류하는 피분쇄물이 교반돌기부(20)에 걸림되어 회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반돌기부(20)의 양측부를 각각 30 ~ 45°(D)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통(10)의 제1관통공(12)에 수용 안착되게 회전축부(30)를 설치하여 핸드믹서기(2)에 의해 회전하는 분쇄날(5)을 지지 및 회전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쇄날(5)이 회전축부(30)에 탈부착됨으로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부(30)는 분쇄날(5)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공(6)에 삽입되어 지지토록 지지축(31)이 형성되고, 지지축(31)의 상부 둘레에 수용공(6) 내경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6a)가 끼움되어 결합되도록 상호대응되는 다수의 제1끼움홈(3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축(31) 하단부에 원판 형태로 몸통(10)의 제1관통공(12) 상부측에 안착되어 걸림되도록 제1걸림부(33)가 형성되며, 제1걸림부(33)의 하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몸통(10)의 제1관통공(12) 내경에 삽입되는 수용축(34)이 연장형성되고, 수용축(34) 하단부에 제2걸림부(3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35)의 하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결합축(36)이 연장형성되고, 결합축(36)의 하부 둘레에 제2끼움홈(3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10)의 제1관통공(12)에 설치되는 회전축부(30)의 하부가 돌출되는 몸통(10)의 결합구(13) 내경에 회전축부(30)의 고정 및 원활한 회전을 도모함은 물론, 상기 회전축부(30)가 설치되는 제1관통공(12)으로부터 피분쇄물 또는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방지하는 밀폐수단(40)이 구성된다.
상기 밀폐수단(4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회전축부(30)의 수용축(34)이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1패킹(41)이 몸통(10)의 결합구(13) 내경 상부측에 구비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1패킹(41)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돌출된 회전축부(30)의 수용축(34)이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원판 형태로 하단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수용홈(42a)이 형성되는 제2패킹(42)이 몸통(10)의 결합구(13) 내경 삽입되어 제1패킹(41)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패킹(42)의 중앙부에 삽입된 회전축부(30)의 수용축(34)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결합축(36)이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1와셔(43)가 회전축부(30)의 제2걸림부(35)에 걸림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와셔(43)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돌출된 회전축부(30)의 결합축(36)이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원형 관 형태로 형성되는 부싱(44)이 제2패킹(42)의 수용홈(42a)에 삽입되어 제1와셔(43)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그런 다음 상기 부싱(44)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돌출된 회전축부(30)의 결합축(36)이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2와셔(45)가 부싱(44)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와셔(45)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돌출된 회전축부(30)의 결합축(36) 하부 둘레에 형성되는 제2끼움홈(37)에 몸통(10)의 결합구(13) 내경 삽입되는 제1패킹(41), 제2패킹(42), 제1와셔(43), 부싱(44) 및 제2와셔(45)를 고정시키도록 고정링(4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46)에 의해 몸통(10)의 결합구(13) 내경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패킹(41), 제2패킹(42), 제1와셔(43), 부싱(44) 및 제2와셔(45)를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몸통(10)의 결합구(13)의 하단부에 보호커버(47)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몸통(10)의 상단부에 개폐가능하도록 뚜껑(50)이 설치된다. 상기 뚜껑(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상부측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핸드믹서기(2)의 하부에 구성되는 구동부(3)가 결합되도록 결합홈(5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51)에 결합되는 핸드믹서기(2)의 구동부(3)가 작동시 고정되도록 구동부(3) 하부에 구비되는 보호구(4)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홈부(4a)와 결합 고정되게 홈부(4a)와 상호대응되는 형태로 돌출부(51a)가 결합홈(51)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51)의 하측단부 중앙에 원형 형태로 관통되어 분쇄날(5)의 상부가 돌출되어 핸드믹서기(2)의 구동부(3)와 연결되도록 제2관통공(52)이 형성되고, 뚜껑(50)이 몸통(10)의 상단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시 몸통(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1)의 내측 상부에 끼움되어 수용공간부(11)를 밀폐시키는 밀폐패킹(53)이 뚜껑(50)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몸통(10)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받침부(60)가 연장형성되며, 받침부(60)의 하단부 내측에 받침부(60)가 형성된 몸통(10)이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패드(6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몸통(10)의 수용공간부(11)에 수용되는 피분쇄물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공간부(11)에 수용되는 피분쇄물의 량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몸통(10) 외측면에 다수의 눈금을 더 형성할 수 있다.
10 : 몸통 20 : 교반돌기부
30 : 회전축부 40 : 밀폐수단
50 : 뚜껑 60 : 받침부

Claims (5)

  1. 핸드믹서기(2)의 하부에 구성되는 구동부(3)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분쇄날(5)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야채, 과일, 견과와 같은 피분쇄물을 분쇄시에 피분쇄물을 수용하는 핸드믹서기용 분쇄통에 있어서,
    상기 피분쇄물의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부(11)가 형성되고, 수용공간부(11)의 내측 하단부 중앙에 원형 형태의 제1관통공(12)이 형성되며, 제1관통공(12)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결합구(13)가 연장형성되는 몸통(10);
    상기 몸통(10)의 수용공간부(11) 내측면 둘레를 따라 하단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형태로 다수 형성되어 피분쇄물이 분쇄시 혼합을 도모하는 교반돌기부(20);
    상기 몸통(10)의 제1관통공(12) 상부측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핸드믹서기(2)에 의해 회전하는 분쇄날(5)을 지지 및 회전을 도모하는 회전축부(30);
    상기 몸통(10)의 결합구(13) 내경에 설치되어 제1관통공(12)을 통해 외부로 분쇄물 또는 액체가 누출되지 않게 방지 및 회전축부(3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도모하는 밀폐수단(40);
    상기 몸통(10)의 상단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뚜껑(50);
    상기 몸통(10)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받침부(60);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기용 분쇄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돌기부(20)의 양측부는 각각 30 ~ 45°(D)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기용 분쇄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30)는 분쇄날(5)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공(6)에 삽입되어 지지토록 지지축(3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31)의 상부 둘레에 수용공(6) 내경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6a)가 끼움되어 결합되도록 상호대응되는 다수의 제1끼움홈(3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31) 하단부에 원판 형태로 몸통(10)의 제1관통공(12) 상부측에 안착되어 걸림되도록 제1걸림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33)의 하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몸통(10)의 제1관통공(12) 내경에 삽입되는 수용축(34)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수용축(34) 하단부에 제2걸림부(35)가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부(35)의 하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결합축(36)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축(36)의 하부 둘레에 제2끼움홈(3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기용 분쇄통.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40)은 회전축부(30)의 수용축(34)이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1패킹(41)이 몸통(10)의 결합구(13) 내경 상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패킹(41)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돌출된 회전축부(30)의 수용축(34)이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원판 형태로 하단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수용홈(42a)이 형성되는 제2패킹(42)이 몸통(10)의 결합구(13) 내경 삽입되어 제1패킹(41)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패킹(42)의 중앙부에 삽입된 회전축부(30)의 수용축(34)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결합축(36)이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1와셔(43)가 회전축부(30)의 제2걸림부(35)에 걸림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와셔(43)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돌출된 회전축부(30)의 결합축(36)이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원형 관 형태로 형성되는 부싱(44)이 제2패킹(42)의 수용홈(42a)에 삽입되어 제1와셔(43)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부싱(44)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돌출된 회전축부(30)의 결합축(36)이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2와셔(45)가 부싱(44)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와셔(45)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돌출된 회전축부(30)의 결합축(36) 하부 둘레에 형성되는 제2끼움홈(37)에 몸통(10)의 결합구(13) 내경 삽입되는 제1패킹(41), 제2패킹(42), 제1와셔(43), 부싱(44) 및 제2와셔(45)를 고정시키도록 고정링(46)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링(46)에 의해 몸통(10)의 결합구(13) 내경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패킹(41), 제2패킹(42), 제1와셔(43), 부싱(44) 및 제2와셔(45)를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몸통(10)의 결합구(13)의 하단부에 보호커버(47)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기용 분쇄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50)은 중앙 상부측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핸드믹서기(2)의 하부에 구성되는 구동부(3)가 결합되도록 결합홈(5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51)의 하측단부 중앙에 원형 형태로 관통되어 분쇄날(5)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하는 제2관통공(52)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50)이 몸통(10)의 상단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시 몸통(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1)의 내측 상부에 끼움되어 수용공간부(11)를 밀폐시키는 밀폐패킹(53)이 뚜껑(50)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믹서기용 분쇄통.
KR1020130109593A 2013-09-12 2013-09-12 핸드믹서기용 분쇄통 KR10146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593A KR101464470B1 (ko) 2013-09-12 2013-09-12 핸드믹서기용 분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593A KR101464470B1 (ko) 2013-09-12 2013-09-12 핸드믹서기용 분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470B1 true KR101464470B1 (ko) 2014-11-27

Family

ID=5229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593A KR101464470B1 (ko) 2013-09-12 2013-09-12 핸드믹서기용 분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1032A1 (fr) * 2014-12-29 2016-07-01 Hameur Appareil de preparation culinaire
KR101984406B1 (ko) 2017-11-24 2019-05-30 최재웅 부피 조절이 가능한 믹서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6845A (ja) * 2003-08-06 2005-03-03 Patent Treuhand Ges Elektr Gluehlamp Mbh 紫外線放射器
CN103222812A (zh) * 2013-05-09 2013-07-31 青岛乐康电子有限公司 一种搅拌式食品粉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6845A (ja) * 2003-08-06 2005-03-03 Patent Treuhand Ges Elektr Gluehlamp Mbh 紫外線放射器
CN103222812A (zh) * 2013-05-09 2013-07-31 青岛乐康电子有限公司 一种搅拌式食品粉碎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1032A1 (fr) * 2014-12-29 2016-07-01 Hameur Appareil de preparation culinaire
WO2016107810A1 (fr) * 2014-12-29 2016-07-07 Hameur Appareil de préparation culinaire
KR101984406B1 (ko) 2017-11-24 2019-05-30 최재웅 부피 조절이 가능한 믹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2126A (ja) 細断アクセサリ、細断ユニット及び細断用家庭内器具
KR101464470B1 (ko) 핸드믹서기용 분쇄통
US20140299692A1 (en) Food processor having removable feed tube
KR101364333B1 (ko) 교반기구를 구비하는 소형 블렌더
KR101628633B1 (ko) 얼음분쇄겸용 음식물 믹서기
KR20080090220A (ko) 전기 믹서기의 볼타입 배출장치
WO2015029380A1 (ja) 混合器ユニットとハンドブレンダ
KR200277694Y1 (ko) 믹서기
KR101632395B1 (ko) 믹서기용 칼날 연결구
KR101476975B1 (ko) 핸드믹서기의 결합구조
CN204765209U (zh) 一种家用调料研磨器
CN104874435A (zh) 一种家用型芝麻粉碎装置
KR101504688B1 (ko) 핸드믹서기용 분쇄통의 분쇄날
KR101175917B1 (ko) 빙삭기
JP2000201838A (ja) 電動調理機
KR101464467B1 (ko) 핸드믹서기의 결합구조
KR200448756Y1 (ko) 믹서기
KR100428951B1 (ko) 믹서 겸용 분쇄기의 연동축 방수부재
KR20180091611A (ko) 교반 장치
CN105689061A (zh) 一种自动控制搅拌粉碎机
KR200349323Y1 (ko) 믹서기의 혼합물 유출방지 구조
JP3184727U (ja) 研磨器の構造
KR102515901B1 (ko) 전동 맷돌
KR200380639Y1 (ko) 전기 믹서기
KR100500789B1 (ko) 믹서기의 혼합물 유출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