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941B1 - Light control system for parking lot - Google Patents

Light control system for parking l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941B1
KR101463941B1 KR1020120149066A KR20120149066A KR101463941B1 KR 101463941 B1 KR101463941 B1 KR 101463941B1 KR 1020120149066 A KR1020120149066 A KR 1020120149066A KR 20120149066 A KR20120149066 A KR 20120149066A KR 101463941 B1 KR101463941 B1 KR 101463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zone
lighting
vehicle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9897A (en
Inventor
황현철
김관욱
이용석
강병우
Original Assignee
탑라이트 주식회사
주식회사 루미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라이트 주식회사, 주식회사 루미스마트 filed Critical 탑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941B1/en
Publication of KR20140079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8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9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LED 조명부(110), 복수의 LED 조명부(110) 중 하나를 제어하는 디밍 제어부(120),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31,132)를 포함하고, 감지 센서(131,132)를 이용하여 디밍 제어부(120)를 제어하는 디밍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램프 제어부(130) 및 램프 제어부(130)를 제어하는 조명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조명 제어부(140)를 포함한다.The parking lot illumination control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ED illumination units 110, a dimming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one of the plurality of LED illumination units 110, and detection sensors 131 and 132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vehicle A lamp control unit 130 for outputting a dimming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imming control unit 120 using the sensing sensors 131 and 132 and a lighting control unit 140 for outputting a lighting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lamp control unit 130 .

Description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LIGHT CONTROL SYSTEM FOR PARKING LOT}[0001] LIGHT CONTROL SYSTEM FOR PARKING LOT [0002]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주자창에 설치되는 LED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relates to a system for controlling LED lighting installed in a spearhead.

건물에 부속되는 지하주차장은 보행자나 차량의 출입을 위해 일정한 조명 설비가 배치된다. 다만 대부분 상시로 조명을 켜두거나 관리인의 관리에 의해 특정 시간에만 소등을 하는 체계를 갖는다.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ttached to the building, a certain lighting equipment is arranged for the access of pedestrians or vehicles. However, most of them have a system to turn on the lights at all times or turn off lights only at specific times by the management of the manager.

지하주차장의 이용자 입출을 검출하여 지하주차장의 전등 전체를 온/오프 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나아가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00190호에서는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특정 블록으로 안내하는 점등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기도 한다.Detecting the entrance / exit of the user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using the method of turning on / off the whole light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s mainly use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00190 discloses a lighting management system for recognizing a car number and for guiding it to a specific block.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주차장의 조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전력 낭비를 막고자 한다.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aims to efficiently manage the lighting of a parking lot to prevent power waste.

또한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주차장을 여러 개의 구역을 나누어 일괄제어하거나, 센서를 이용한 맞춤형 제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attempts to control a parking lot by dividing the parking lot into a plurality of zones, or to provide customized control using sensors.

또한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무선 통신과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주차장에 설치되는 조명 설비의 배선을 간소화하고자 한다.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is intended to simplify the wiring of the l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wire communication method.

또한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주차장에서 이동하는 차량을 센싱하는 센서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조명 설비의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attempts to minimize the cost of lighting equipment by efficiently arranging sensors that sense a moving vehicle in a parking lot.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s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below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LED 조명부, 복수의 LED 조명부 중 하나를 제어하는 디밍 제어부,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디밍 제어부를 제어하는 디밍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램프 제어부 및 램프 제어부를 제어하는 조명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명제어명령은 조명 제어부의 무선 통신 모듈에서 램프 제어부의 무선 통신 모듈로 전달되고, 디밍제어명령은 램프 제어부의 유선 통신 모듈에서 디밍 제어부의 유선 통신모듈로 전달된다.A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plurality of LED lighting units, a dimm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ne of the plurality of LED lighting units, and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wherein the dimming control unit A lamp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and a lighting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lighting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lamp control unit. Here, the illumination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ighting control un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amp control unit, and the dimming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from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amp control unit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dimming control unit.

램프 제어부는 주차장에서 기준 간격에 따라 배치되며, 하나의 램프 제어부는 복수의 디밍 제어부를 제어한다.The lamp control unit is arranged in the parking lot according to a reference interval, and one lamp control unit controls a plurality of dimming control units.

조명 제어부는 구역별 일괄 제어 모드 또는 자동 제어 모드로 LED 조명 제어부를 제어한다. The light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LED lighting control unit in a zone-by-zone control mode or an automatic control mode.

구역별 일괄 제어 모드 경우에 조명제어명령은 주차장 전체 구역, 주차장 층 구역, 주차장 층내 블럭 구역 또는 LED 조명 그룹 구역 중 하나의 구역 단위로 하나의 구역에 배치된다.In the case of the batch control mode for each zone, the lighting control command is arranged in one zone in the area of one of the parking lot whole area, the parking lot floor area, the parking lot floor block area, or the LED lighting group area.

자동 제어 모드 경우에 디밍제어명령은 램프 제어부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를 통해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고, 차량의 이동 경로 또는 예상되는 이동 경로에 배치는 LED 조명부를 제어한다.In the case of the automatic control mode, the dimming control command sense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the lamp control unit, and the LED lighting unit is controlled by the moving route of the vehicle or the expected travel route.

감지 센서는 일직선인 자동차 이동 경로의 한 방향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다른 반대 방향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한다.The sensing sensor senses a first sensor that senses a vehicle approaching in one direction of the straight motor vehicle path and a vehicle approach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감지 센서는 도플러센서를 포함하는 지향성 센서, 차량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RFID 리더 또는 이동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이다.The sensing sensor is at least one of a directional sensor including a Doppler sensor, an RFID reader for recognizing an RFID tag attached to a vehicle, or an image sensor for sensing a moving vehicle.

예상되는 이동 경로는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차량의 이동 경로 및 램프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LED 조명 그룹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The expected travel rou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sensing sensor and the LED lighting group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f the lamp control unit.

무선 통신 모듈은 3G 데이터 통신, 4G 데이터 통신, WiFi 통신, Zigbee 통신 또는 무선 LAN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조명제어명령을 전달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lighting control command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thod of 3G data communication, 4G data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or wireless LAN communication.

조명 제어부는 차량이 주차장의 제1 구역과 제1 구역에 인접한 제2 구역을 지나가는 경우, 제1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디밍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1 램프 제어부와 제1 구역에 인접한 제2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디밍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2 램프 제어부를 하나의 구역으로 인식하고 서로 연동하여 제어한다.The lighting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lamp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imming control units disposed in the first zone and a second lamp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mming control unit in the second zone adjacent to the first zone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djacent to the first zone, And a second lamp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imming control units arranged is recognized as one zone and controlle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조명제어명령은 제1 구역과 제2 구역이 서로 인접한 구역을 하나의 구역으로 설정하여, 제1 램프 제어부와 제2 램프 제어부가 하나의 구역에 배치된 LED 조명부를 제어한다.The illumination control command sets a zone in which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s one zone, and controls the LED illumination unit in which the first lamp control unit and the second lamp control unit are arranged in one zone.

복수의 조명 제어부를 제어하는 중앙 관제부를 더 포함하되, 복수의 조명 제어부 중 하나의 조명 제어부는 주차장 각 층 또는 주차장 건물 전체를 제어한다.Further comprising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ing control units,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control units controls each of the parking lot floor or the parking lot building.

디밍 제어부는 LED 조명부가 소비하는 전력을 측정하여 중앙 관제부에 전달하고, 중앙 관제부는 소비 전력을 기준으로 LED 조명부의 수명을 모니터링한다.The dimming control unit measures the power consumed by the LED lighting unit and transmits the measured power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monitors the lifetime of the LED lighting unit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주차장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램프제어기에 배치하고, 조명 제어부가 LED 조명을 제어하는 중간 제어기인 램프 제어부에 제어 명령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한다. 이를 통해 주차장 조명 설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전체적은 시스템의 비용도 줄어든다. 나아가 사전에 설정한 다양한 구역별로 조명 제어를 수행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어 방식을 제공한다.In 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sensors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re arranged in a lamp controller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parking lot, and a lighting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lamp control unit, which is an intermedia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ED light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This makes it easier to install parking lot lighting equipment, and overall the system cost is also reduced. Furthermore, various kinds of control methods are provided by performing lighting control for various preset areas.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techniques described below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의 배치를 도시한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3은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차량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가 램프 제어부에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 램프 제어부가 제어하는 구역과 제2 램프 제어부를 제어하는 구역을 지나가는 차량의 이동 경로에 대한 조명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다른 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2 is a system structur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3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ensor for detecting vehicle movement in a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is disposed in a lamp control unit.
Fig. 4 shows an example of illumination control for a moving path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zone controlled by the first ramp control unit and a zone controlling the second ramp control unit.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example of a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but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 includ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terms" comprises & ,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 따른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도 1과는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Before describing the drawings in detail, it is to be clarified that the division of constituent parts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 division by main functions of each constituent part.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par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part, or one constituent par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unctions according to functions that are more subdivided. In addition, each of the constituent units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nstituent uni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of the constituent units themselves, and that some of the main functions, And may be carried out in a dedicated manner. Therefore, the existence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functionally interpreted, and for this reas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clear that within the limit, it can be different from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Hereinafter, 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100. Fig.

본 발명의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LED 조명부(110), 복수의 LED 조명부(110) 중 하나를 제어하는 디밍 제어부(120),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31,132)를 포함하고, 감지 센서(131,132)를 이용하여 디밍 제어부(120)를 제어하는 디밍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램프 제어부(130) 및 램프 제어부(130)를 제어하는 조명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조명 제어부(140)를 포함한다.The parking lot illumination control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ED illumination units 110, a dimming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one of the plurality of LED illumination units 110, and detection sensors 131 and 132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vehicle A lamp control unit 130 for outputting a dimming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imming control unit 120 using the sensing sensors 131 and 132 and a lighting control unit 140 for outputting a lighting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lamp control unit 130 .

조명제어명령은 조명 제어부(140)의 무선 통신 모듈(145)에서 램프 제어부(130)의 무선 통신 모듈(135)로 전달되고, 디밍제어명령은 램프 제어부(130)의 유선 통신 모듈에서 디밍 제어부(120)의 유선 통신모듈로 전달된다.The illumination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5 of 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35 of the lamp control unit 130 and the dimming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from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amp control unit 130 to the dimming control unit 120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LED 조명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수가 존재하며, 이러한 LED 조명부(110)는 사무실, 백화점과 같은 대형 건물의 내부 또는 지하 주차장에 위치할 수 있다. LED 조명부(110)는 각각을 구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자를 가지며, 이러한 식별자로는 IP 주소가 사용될 수 있다. LED 조명부(110)는 LED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사용되는 주차장의 크기 및 환경에 따라 적절한 개수가 배치된다. LED 드라이버에 공급되는 전원은 2상 교류 또는 직류전원이 사용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LED lighting unit 110 is present, and the LED lighting unit 110 may be located in a large building such as an office, a department store, 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e LED lighting unit 110 has a unique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each of them, and an IP address can be used as such an identifier. The LED lighting unit 110 includes an LED driver, and an appropriate number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size and environment of the parking lot used. The power supplied to the LED driver may be a two-phase alternating current or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디밍 제어부(120)는 LED 조명부(110)를 직접 제어한다. 디밍 제어부(120)는 LED 조명부(110)의 조명을 온(on) 또는 오프(off) 할 수 있고, 나아가 LED 조명부(110)에서 발생하는 빛의 조도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디밍 제어부(120)는 하나의 LED 조명부(1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LED 조명부(110)를 그룹 단위로 제어할 수도 있다.The dimming control unit 120 directly controls the LED illumination unit 110. [ The dimming control unit 120 can turn on or off the illumination of the LED illumination unit 110 and further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illumination intensity generated by the LED illumination unit 110. [ The dimming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one LED lighting unit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D lighting units 110 may be controlled on a group basis.

디밍 제어부(120)는 LED 조명부(110)와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 유선으로 연결된다.The dimming control unit 120 is preferably located at a distance close to the LED lighting unit 110, and is generally connected by a wire.

램프 제어부(130)는 LED 조명부(110)를 제어하는 디밍 제어부(120)를 제어한다. 다만 램프 제어부(130)는 복수의 디밍 제어부(120)를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램프 제어부(130)는 각 디밍 제어부(120)에 개별적으로 LED 조명을 켜는 명령, 끄는 명령 또는 조도를 조절하는 명령을 전달한다. 램프 제어부(130)에서 디밍 제어부(120)로 전달되는 명령인 디밍제어명령은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된다. 유선 통신은 전기 또는 광신호로 변환한 정보를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의 통신 선로를 전송 매체로 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적 신호, 데이터 패킷 신호 등을 전달한다.The lamp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mming control unit 120 that controls the LED lighting unit 110. However, the lamp control unit 130 generally controls a plurality of dimming control units 120. The lamp control unit 130 transmits to each dimming control unit 120 individually a command to turn on or off the LED illumination, or a command to adjust the illumination. The dimming control command, which is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lamp control unit 130 to the dimming control unit 120, is transmitted using wired communication. Wired communication refers to a method in which information converted into electrical or optical signals is transmitted using a communication line such as a pair cable, a coaxial cable, or an optical fiber cable as a transmission medium.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a data packet signal, and the like through the cable or the like.

본 발명의 램프 제어부(130)에는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31,132)가 배치된다. 램프 제어부(130)는 차량의 이동 경로에 따라 일정한 간격(기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감지 센서(131,132)에서 감지되는 차량 이동 정보에 따라 램프 제어부(130)가 직접 디밍 제어부(120)를 제어하기도 하고, 차량 이동 정보를 상위 제어부인 조명 제어부(140)에 전달하기도 한다.In the lamp control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ion sensors 131 and 132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re disposed. The lamp control unit 130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reference intervals) according to the moving path of the vehicle. The lamp control unit 130 directly controls the dimming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th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s 131 and 132 and also transmits the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to 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as the upper control unit.

조명 제어부(140)는 복수의 램프 제어부(130)를 제어하는 상위 제어부이다. 예컨대, 조명 제어부(140)는 주차장 전체 또는 주차장 하나의 층 전체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대규모 건물 같은 경우 하나의 층의 일부 구역을 제어할 수도 있다. 조명 제어부(140)의 주된 역할은 복수의 램프 제어부(130)를 연동되게 제어하는 것이다.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140 is a high-leve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amp control units 130. For example, 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entire parking lot or a whole of a parking lot. Furthermore, in the case of large buildings, some areas of one floor may be controlled. The main function of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140 is to control the plurality of lamp control units 130 in a linked manner.

조명 제어부(140)에서 램프 제어부(130)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명령은 조명 제어부(140)의 무선 통신 모듈(145)과 램프 제어부(130)의 무선 통신 모듈(135)을 통해 전달된다. 무선 통신 모듈(135, 145)은 3G 데이터 통신, 4G 데이터 통신, WiFi 통신, Zigbee 통신 또는 무선 LAN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조명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 방식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무선 방식을 통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illumination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lamp control unit 130 in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140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5 of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14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35 of the lamp control unit 130.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35 and 145 may transmit the lighting control command using at least one of a 3G data communication, a 4G data communication, a WiFi communication, a Zigbee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it is obvious that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using the wireless method can be used.

도 2는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의 각 구성의 배치를 도시한 시스템 구조도이다. LED 조명부(110)는 지하주차장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바닥면에 설치된다. 도 2에서, LED 조명부(110)는 지하주차장 내부를 조명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Fig. 2 is a system structur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100. Fig. The LED illumination unit 110 is installed on a ceiling, a wall surface, or a floor surface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In FIG. 2, the LED lighting units 11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디밍 제어부(120)는 각 LED 조명부(110)에 근접한 위치에 하나씩 배치되고, 램프 제어부(130)는 복수의 디밍 제어부(120)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조명 제어부(140)는 복수의 램프 제어부(13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지하주차장과 같은 공간에서 조명 제어부(140)와 램프 제어부(130)가 무선 통신으로 제어신호를 주고 받게 되면, 공간적으로 효율적인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너무 많은 배선을 사용하면 시스템 설치 자체가 어렵고, 외관도 좋지 않기 때문이다.The dimming control unit 120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each of the LED illumination units 110. The lamp control unit 13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mming control units 120 by wire, 130 and are connec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If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140 and the lamp control unit 130 transmit and receive control signals in a space like an underground parking lot by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patially efficient system. If too much wiring is used, the system installation itself is difficult and the appearance is not good.

도 2에서 램프 제어부(130) L1은 3 개의 디밍 제어부(120) LED a, LED b 및 LED c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램프 제어부(130) L2는 2개의 디밍 제어에 연결된 예를 도시한다.In FIG. 2, the lamp control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LEDs a, b, and c of the three dimming control units 120 by wire, and the lamp control unit 130 is connected to two dimming controls.

도 2는 좌측 하단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장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주차장 조명 시스템은 램프 제어부(130)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131,132)가 차량의 이동을 감지한다. 램프 제어부(130)에는 감지 센서(131,132)가 2개 배치되며, 각 감지 센서(131,132)는 하나의 방향으로부터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한다. 즉 감지 센서(131,132)는 도플러센서를 포함하는 지향성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향성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램프 제어부(130)에 배치되는 2개의 센서는 차량의 이동 경로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면, 제1 감지 센서(131)는 평행한 방향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2 감지 센서(132)는 상기 일단의 반대 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2 shows a scene in which the vehicle enters at the lower left. In the parking lot ligh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sensors 131 and 132 disposed in the lamp control unit 130 detect movement of the vehicle. In the lamp control unit 130, two detection sensors 131 and 132 are arranged, and each of the detection sensors 131 and 132 detects a vehicle approaching from one direction. That is, the sensing sensors 131 and 132 preferably use a directional sensor including a Doppler sensor. When the directivity sensor is used, if the two sensors disposed in the lamp control unit 130 are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ing path of the vehicle, the first sensor 131 is disposed at one end in the parallel direction, The detection sensor 132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one end.

마이크로파의 방사원과 대상물체의 사이에 상대운동이 있는 경우에는, 정지한 경우와 비해서 마이크로파의 파장이 다르게 관측된다. 이 현상이 마이크로파의 도플러 효과이고, 이 원리를 응용한 센서를 마이크로파 도플러 센서라 한다. 이 센서는 이동물체의 속도 계측에 사용된다.When there is a relative motion between the radiation source of the microwave and the object, the wavelength of the microwave is observed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ase where it is stopped. This phenomenon is the Doppler effect of microwave, and the sensor applying this principle is called microwave Doppler sensor. This sensor is used to measure the speed of a moving object.

감지 센서(131,132)는 반드시 도플러 센서와 같은 지향성 센서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차량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RFID 리더 및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동하는 차량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카메라) 등을 사용하여 출력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의 이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The sensing sensors 131 and 132 do not necessarily use directional sensors such as a Doppler sensor. For example, an RFID reader and an antenna that recognize an RFID tag attached to a vehicle may be used, or an image sensor (camera) that outputs an image of a moving vehicle may be used to analyze the output image to detect movement of the vehicle have.

도 2에서 램프 제어부(130) L1에 배치된 제1 감지 센서(131)가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면, 램프 제어부(130)는 차량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LED 조명부(110)를 켜기 위한 디밍 제어 명령을 각 디밍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도 2에서는 LED a와 LED b가 켜진 상태이고, 차량이 지나가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LED a, LED b가 순서대로 꺼지도록 제어된다.2, when the first sensing sensor 131 disposed in the lamp control unit 130 detects movement of the vehicle, the lamp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mming control for turning on the LED lighting unit 110, Command to each dimming control unit 120. [ In FIG. 2, the LED a and the LED b are turned on, and when the vehicle passes, the LED a and the LED b are controlled to turn off in order as time elapses.

도 3은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에서 차량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31,132)가 램프 제어부(130)에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사용되는 감지 센서(131,132)는 지향성 센서라고 전제한다.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detection sensors 131 and 132 for detecting the vehicle movement in 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100 are disposed in the lamp control unit 130. [ The sensing sensors 131 and 132 used in FIG. 3 are assumed to be a directional sensor.

도 3 좌측에서 접근하는 차량은 램프 제어부(130) L1에 배치된 제1 감지 센서(131)가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에 따라 차량의 이동 경로에 배치된 LED 조명부(110)의 조명을 켜기위한 디밍 제어 명령을 각 디밍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도 3에서는 램프 제어부(130) L1의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제어부(140) LED a 및 LED b가 켜진 상태이다. 도 3 우측에 접근하는 차량은 램프 제어부(130) L2에 배치된 제2 감지 센서(132)가 감지하고, 램프 제어부(130) L2는 조명 제어부(140) LED e가 켜지도록 디밍 제어부(120)를 제어한 상태이다.The vehicle approaching from the left side of FIG. 3 is detected by the first sensing sensor 131 disposed in the lamp control unit 130 and illuminates the LED lighting unit 110 disposed in the moving path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ensed position And transmits the dimming control command to each dimming control unit 120. [ In FIG. 3, the LED a and the LED b of 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dimming control command of the lamp control unit 130 (L1). The vehicle approaching the right side of FIG. 3 is sensed by the second sensing sensor 132 disposed in the lamp control unit 130 and the lamp control unit 130 is controlled by the dimming control unit 120 so that the LED e of 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is turned on. Respectively.

도 3에서 좌측에서 이동하는 차량과 우측에서 이동하는 차량이 중첩되는 구간에서는 각각의 램프 제어부(130)의 제어를 받는 구간별로 제어가 수행된다. 즉, LED a, LED b 및 LED c는 램프 제어부(130) L1이 제어하게 되고, LED d 및 LED e는 램프 제어부(130) L2가 각각 제어한다. 이와 같이 각 램프 제어부(130)가 효율적으로 LED 조명부(110)의 켜짐 또는 꺼짐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램프 제어부(130)가 주차장에서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감지 센서(131,132)를 각 디밍 제어부(120)에 배치하지 않고, 적절한 간격에 배치된 램프 제어부(130)에 배치하여 전체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의 설치 및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3, control is performed for each section under the control of each lamp controller 130 in a section where the vehicle moving from the left side and the vehicle moving from the right side overlap each other. That is, the LED a, the LED b, and the LED c are controlled by the lamp control unit 130, and the LED d and the LED e are controlled by the lamp control unit 130, respectively. In order for the lamp controller 130 to efficiently turn on or off the LED lighting unit 110, the lamp controller 130 must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interval in the parking lo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cost of the entir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100 by disposing the detection sensors 131 and 132 in the lamp control unit 130 disposed at appropriate intervals without disposing them in each dimming control unit 120. [

도 4는 제1 램프 제어부(130)가 제어하는 구역과 제2 램프 제어부(130)를 제어하는 구역을 지나가는 차량의 이동 경로에 대한 조명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스템과 같이 LED a, LED b 및 LED c는 램프 제어부(130) L1이 제어하게 되고, LED d 및 LED e는 램프 제어부(130) L2가 각각 제어하는 구조이다.FIG. 4 shows an example of illumination control for a moving path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zone controlled by the first ramp control unit 130 and a zone controlling the second ramp control unit 130. FIG. FIG. 4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lamp control unit 130 L1 controls the LED a, the LED b and the LED c, and the lamp control unit 130 L2 controls the LED d and the LED e, respectively.

도 4(a)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차량이 현재 램프 제어부(130) L1이 제어하는 S1 구역에 위치하고 있고, 도 4(b)는 차량이 S1 구역을 벗어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4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moving from the left to the right is located in the area S1 controlled by the lamp control unit 130, and FIG. 4 (b) shows a state just before the vehicle leaves the area S1.

만약 램프 제어부(130) L2가 램프 제어부(130) L1와 근접하여서 이동하는 차량을 감지 센서(131,132)로 곧바로 인식한다면 S2 구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인식하여 곧바로 LED a를 켤 수 있을 것이다.If the lamp control unit 130 L2 recognizes the moving vehicle near the lamp control unit 130 immediately by the detection sensors 131 and 132, it can recognize the vehicle entering the S2 zone and turn on the LED a immediately.

그러나 본 발명의 주차장 조명 시스템은 차량의 이동 경로뿐만 아니라 차량의 예상되는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LED 조명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이 이동하는 경로를 예상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구역에 배치된 LED 조명부(110)를 제어하는 것이다. 예컨대, 주차장의 차량 이동로가 일직선 형태라면 일직선 방향의 다음 구역에 차량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하여 다음 구역에 배치된 LED 조명부(110)를 켤 수 있고,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경로가 있다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경로를 포함한 구역에 배치된 LED 조명부(110)를 켤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전체적으로 ┣, ┫ 또는 ╋ 형태의 구역이 될 것이다. However, the parking lot ligh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LED lighting unit 110 disposed in the expected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LED lighting unit 110 disposed in a predetermined area is controlled in anticipation of the traveling path of the vehicle. For example, if the vehicle travel path of the parking lot is a straight line, it is possible to turn on the LED lighting unit 110 disposed in the next area in anticipation of the vehicle moving to the next area in the straight line direction, The LED lighting unit 110 disposed in the area including the rotatable path can be turned on. In the latter case, the area will be ┣, ┫, or 전체 in its entirety.

예상되는 이동 경로는 감지 센서(131,132)를 통해 감지되는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부(140)에서 판단한다. 기술적으로는 램프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와 조명 제어부(140)의 메모리에 저장된 주차장의 차량 이동로 주변의 구역 정보를 이용할 것이다. 차량의 예상되는 이동 경로의 주변 구역에 배치된 LED 조명부(110)를 점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구역에 배치된 LED 조명부(110)를 LED 조명 그룹이라고 명명한다. 조명 제어부(140)는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바탕으로 예상되는 이동 경로에 위치한 LED 조명 그룹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The expected travel route is determined by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140 using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sensed through the sensors 131 and 132. Technically, the rou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ransmitted from the lamp control unit 130 and the information of the area around the vehicle travel path of the parking lot stored in the memory of 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will be used. It is general to light up the LED lighting unit 110 disposed in the peripheral zone of the anticipated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The LED lighting unit 110 disposed in this area is referred to as an LED lighting group. 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performs control on the LED lighting group located on the expected traveling path based on the traveling path information of the vehicle.

조명 제어부(140)는 차량이 주차장의 제1 구역과 제1 구역에 인접한 제2 구역을 지나가는 경우, 제1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디밍 제어부(120)를 제어하는 제1 램프 제어부(130)와 제1 구역에 인접한 제2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디밍 제어부(120)를 제어하는 제2 램프 제어부(130)를 하나의 구역으로 인식하고 서로 연동하여 제어한다.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includes a first lamp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imming control units 120 disposed in the first zone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first zone of the car park and the second zone adjacent to the first zone, The second lamp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imming control units 120 disposed in the second zone adjacent to the first zone is recognized as one zone and controlle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제어부(140)는 램프 제어부(130) L1으로부터 차량의 이동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램프 제어부(130) L2로 조명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를 통해 S1 구역과 S2 구역이 인접한 구역을 새로운 S3 구역으로 설정하여 S3 구역에 배치된 디밍 제어부(120)에 LED c 및 LED d의 조명을 켠다. 이때 조명제어명령은 제1 구역과 제2 구역이 서로 인접한 구역을 하나의 구역으로 설정하여, 제1 램프 제어부(130)와 제2 램프 제어부(130)가 하나의 구역에 배치된 LED 조명부(110)를 제어하는 것이다. S3 구역은 상시 설정되는 구역은 아니며 잠시 동안 설정되는 일종의 가상 구역이라고 할 것이다.As shown in FIG. 4B, 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receives a signal of movement of the vehicle from the lamp control unit 130, and transmits a lighting control command to the lamp control unit 130 (L2). Thereby, the area adjacent to the S1 zone and the S2 zone is set as the new S3 zone, and the LED c and the LED d are turned on in the dimming control unit 120 disposed in the S3 zone. At this time, the illumination control command sets the area where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s one zone, and the first lamp control unit 130 and the second lamp control unit 130 are connected to the LED lighting unit 110 ). The S3 zone is not a regularly set zone, but rather a virtual zone that is set for a while.

도플러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차량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여 예상되는 이동 경로를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하여 효과적으로 LED 조명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Doppler sensor is used,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can be measured, and the expected traveling path can be relatively accurately estimated to control the LED lighting unit 110 effectively.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은 이동하는 차량을 감지 센서(131,132)로 센싱하는 방식으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은 특정 구역에 대한 LED 조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전자의 방식을 자동 제어 모드라고 하고, 후자의 방식을 구역별 일괄 제어 모드라고 명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lighting in such a manner that the moving vehicle is sensed by the sensing sensors 131 and 132. Further, 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llectively control LED lighting for a specific area. The former method is called the automatic control mode, and the latter method is called the first batch control mode.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조명 제어부(140)를 통해 관리자가 스위치 또는 컴퓨터 장치 등과 같은 특정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조명 제어부(140)를 관리하는 건물 전체의 중앙 관제부(150)를 통해 제어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mode may be made by the manager via the lighting control 140 through a specific interface means such as a switch or a computer device. Furthermore, the control mode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of the entire building that manages 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구역별 일괄 제어 모드 경우에 조명제어명령은 주차장 전체 구역, 주차장 층 구역, 주차장 층내 블록 구역 또는 LED 조명 그룹 구역 중 하나의 구역 단위로 하나의 구역에 배치된 LED 조명부(110)를 제어하는 명령일 것이다. 주차장 층 구역을 제어하는 방식은 건물의 하나의 층에 해당하는 구역에 대한 LED 조명을 제어하는 방식이고, 주차장 층내 블록 구역을 제어하는 방식은 하나의 층에서 LED 조명이 배치된 특정한 블록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층내 블록은 면적에 따라 일괄적으로 나누어진 구역일 수도 있고, 건물의 크기 또는 차량의 이동로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누어진 구역일 수도 있다. LED 조명 그룹 구역은 전술한 자동 제어 모드에서 사용한 구역을 의미한다. LED 조명 그룹 구역은 기본적으로 차량의 이동로를 기준으로 나누어진 구역이다. In the case of the zone-by-zone control mode, the illumination control command is a command to control the LED lighting unit 110 arranged in one zone in one of the parking lot entire area, the parking lot floor area, the block area within the parking lot floor, will be.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parking lot floor area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ED lighting for the area corresponding to one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block area within the parking lot floor controls the specific block in which the LED light is arranged in one floor Method. The in-floor block may be a zon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ccording to the area, or may be a zone divided into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uilding or the shape of the vehicle. The LED lighting group zone means the zone used in the automatic control mode described above. The LED lighting group area is basically a divided area based on the moving path of the vehicle.

도 5는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의 다른 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중앙 관제부(150)는 A 구역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140) 및 B 구역을 담당하는 조명 제어부(140)를 제어한다. 도 5는 중복된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고, B 구역의 조명 제어부(140)과 무선 통신하는 램프 제어부(130)만을 도시하였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xample of 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100. As shown in Fig.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 A zone and 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for the B zone. 5 shows only the lamp control unit 130 which does not overlap the configuration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140 of the B zone.

도 5에 도시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조명 제어부(140)를 제어하는 중앙 관제부(150)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조명 제어부(140) 중 하나의 조명 제어부(140)는 주차장 각 층 또는 주차장 건물 전체를 제어할 수 있다. 중앙 관제부(150)는 건물의 냉난방 제어, 조명 제어, 환기 제어, 화재 경보 제어 등 건물에 배치된 각종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100 shown in Fig. 5 further includes a central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ing control units 140. [ One lighting control unit 140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control units 140 can control each of the parking lots or the entire parking lot building.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generally controls various devices installed in the building such as heating / cooling control, lighting control, ventilation control, and fire alarm control of buildings.

예컨대, 중앙 관제부(150)는 LED 조명부(110)의 수명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디밍 제어부(120)에 전력 측정부(121)를 배치하여 각 LED 조명부(110)가 소비하는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한 전력량을 램프 제어부(130) 및 조명 제어부(140)를 거쳐 중앙 관제부(150)에 전달한다. 중앙 관제부(150)에서는 각 LED 조명부(110) 별로 누적된 전력량을 기준으로 특정 LED 조명부(110)의 교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력 측정부(121)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력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may monitor the lifetime of the LED lighting unit 110. [ The power measuring unit 121 is disposed in the dimming control unit 120 to measure the power consumed by each LED lighting unit 110 and transmit the measured amount of power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30 via the lamp control unit 130 and the lighting control unit 140 150). The central control unit 15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LED lighting unit 110 needs to be replaced based on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accumulated for each LED lighting unit 110. [ The power measuring unit 121 can use various power meters or the like that can be us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which ma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110 : LED 조명부 120 : 디밍 제어부
121 : 전력 측정부 130 : 램프 제어부
131 : 제1 감지 센서 132 : 제2 감지 센서
135 : 무선 통신 모듈 140 : 조명 제어부
145 : 무선 통신 모듈 150 : 중앙 관제부
100: Parking light control system
110: LED lighting unit 120: dimming control unit
121: Power measurement unit 130: Lamp control unit
131: first detection sensor 132: second detection sensor
135: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145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central control unit

Claims (13)

복수의 LED 조명부;
상기 복수의 LED 조명부 중 하나를 제어하는 디밍 제어부;
각각 차량의 양방향 이동을 감지하는 2개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밍 제어부를 제어하는 디밍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램프 제어부; 및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른 정보 또는 상기 디밍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고,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에 따라 상기 램프 제어부를 제어하는 조명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제어명령은 상기 조명 제어부의 무선 통신 모듈에서 상기 램프 제어부의 무선 통신 모듈로 전달되고, 상기 디밍제어명령은 상기 램프 제어부의 유선 통신 모듈에서 상기 디밍 제어부의 유선 통신모듈로 전달되고,
상기 LED 조명부 및 상기 디밍 제어부는 주차장의 특정 구역마다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램프 제어부는 상기 특정 구역마다 하나가 배치되어 상기 디밍 제어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상하여 서로 다른 특정 구역을 지나가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특정 구역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가 상기 서로 다른 특정 구역에서 인접한 LED 조명부를 제어하는 디밍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 연속하여 조명을 디밍할 수 있도록 조명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A plurality of LED illumination units;
A dimm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ne of the plurality of LED illumination units;
A lamp control unit including two detection sensors for sensing bi-directional movement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dimming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imming control unit using the detection sensor; And
And a lighting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or the dimming control command to analyze the moving path of the vehicle and generating a lighting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lamp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moving path of the vehicle,
The dimming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from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amp control unit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dimming control unit, and the dimming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lamp control unit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dimming control unit,
Wherein the LED lighting unit and the dimming control unit are disposed in a plurality of specific areas of the parking lot, and the lamp control unit controls one of the dimming control units,
Wherein the dimm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LED lighting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different specific areas when the lighting control unit passes the different specific zones in anticipation of the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To generate a lighting control command so that the lighting can be dimmed continuously in accordance with the lighting condi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부는 주차장에서 기준 간격에 따라 배치되며, 하나의 램프 제어부는 복수의 디밍 제어부를 제어하는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mp control unit is arranged in a parking lot according to a reference interval, and one lamp control unit controls a plurality of dimming control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구역별 일괄 제어 모드 또는 자동 제어 모드로 상기 LED 조명 제어부를 제어하는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LED lighting control unit in a zone-by-zone control mode or an automatic control mo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별 일괄 제어 모드 경우에
상기 조명제어명령은 주차장 전체 구역, 주차장 층 구역, 주차장 층내 블록 구역 또는 LED 조명 그룹 구역 중 하나의 구역 단위로 상기 하나의 구역에 배치된 상기 LED 조명부를 제어하는 명령인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case of the batch control mode for each zone
Wherein the lighting control command is an instruction to control the LED lighting unit disposed in the one zone of one of the parking lot entire area, the parking lot floor area, the parking lot floor block area, or the LED lighting group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제어 모드 경우에
상기 디밍제어명령은 상기 램프 제어부에 배치되는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 또는 예상되는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상기 LED 조명부를 제어하는 명령인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control mode
Wherein the dimming control command is an instruction to detect moveme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the lamp control unit and to control the LED illumination unit disposed in a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or an expected movement pa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일직선인 차량 이동 경로의 한 방향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다른 반대 방향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제2 센서인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nsing sensor is a second sensor that senses a vehicle approach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a first sensor that senses a vehicle approaching in one direction of a straight-line vehicle travel pa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도플러센서를 포함하는 지향성 센서, 차량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RFID 리더 또는 이동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etection sensor is at least one of a directional sensor including a Doppler sensor, an RFID reader that recognizes an RFID tag attached to a vehicle, or an image sensor that detects a moving vehic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되는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상기 LED 조명부는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 및 상기 램프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LED 조명 그룹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ED illumination unit arranged in the expected movement path
And the LED lighting group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f the lamp control unit, and the travel path of the vehicle sensed through the sensing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3G 데이터 통신, 4G 데이터 통신, WiFi 통신, Zigbee 통신 또는 무선 LAN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조명제어명령을 전달하는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lighting control command through at least one of a 3G data communication, a 4G data communication, a WiFi communication, a Zigbee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차량이 주차장의 제1 구역과 상기 제1 구역에 인접한 제2 구역을 지나가는 경우, 상기 제1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디밍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1 램프 제어부와 제1 구역에 인접한 제2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디밍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2 램프 제어부를 하나의 구역으로 인식하고 서로 연동하여 제어하는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A first ramp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imming control portions disposed in the first zone and a second ramp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a second zone adjacent to the first zone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a first zone of the car park and a second zone adjacent to the first zone, And a second lamp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imming control units, which are connected to the first lamp control unit, as one zone and controlling them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제어명령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이 서로 인접한 구역을 하나의 구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 램프 제어부와 상기 제2 램프 제어부가 상기 하나의 구역에 배치된 상기 LED 조명부를 제어하는 명령인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llumination control command
Wherein the first lamp control unit and the second lamp control unit set a zone where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s one zone,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명 제어부를 제어하는 중앙 관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조명 제어부 중 하나의 조명 제어부는 주차장 각 층 또는 주차장 건물 전체를 제어하는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ing control units,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control units controls each of the parking lot floors or the entire parking lot build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 제어부는 상기 LED 조명부가 소비하는 전력을 측정하여 상기 중앙 관제부에 전달하고, 상기 중앙 관제부는 상기 소비 전력을 기준으로 상기 LED 조명부의 수명을 모니터링하는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imming control unit measures power consumed by the LED lighting unit and transmits the measured power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monitors the lifetime of the LED lighting unit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KR1020120149066A 2012-12-20 2012-12-20 Light control system for parking lot KR1014639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066A KR101463941B1 (en) 2012-12-20 2012-12-20 Light control system for parking l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066A KR101463941B1 (en) 2012-12-20 2012-12-20 Light control system for parking l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897A KR20140079897A (en) 2014-06-30
KR101463941B1 true KR101463941B1 (en) 2014-11-26

Family

ID=5113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066A KR101463941B1 (en) 2012-12-20 2012-12-20 Light control system for parking l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94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741A (en) 2017-01-13 2018-07-23 (주)코러싱 Indoor car park lighting system
KR20190105325A (en) 2018-03-05 2019-09-17 탑라이트 주식회사 Light control system of parking lot with display device for driving direction of vehicle
KR102093290B1 (en) 2019-07-31 2020-05-29 탑라이트 주식회사 Light control system of based on big data and method for guiding exit way of parking lot using the same
KR20200127570A (en) 2019-05-03 2020-11-11 (주)코러싱 Solar lighting system for crosswalk capable of dimming control by battery remainning and illuminating the pedestrians and wait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4328B (en) * 2017-04-11 2023-10-27 浙江三杰工艺品有限公司 Wireless LED colored lamp controller with timing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235523B (en) * 2018-02-28 2024-02-13 刘通 Node controller and lamp control system u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102A (en) * 2000-06-07 2001-12-17 이희원 Intellig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illumination and electrical equipment
JP2005146665A (en) * 2003-11-17 2005-06-09 Koito Ind Ltd Zebra crossing lighting system and pedestrian identification device
KR20110114144A (en) * 2010-04-13 2011-10-19 주식회사썬링크 Light control system
KR101165364B1 (en) * 2011-09-16 2012-08-2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Rf control management system for equipment of apartment b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102A (en) * 2000-06-07 2001-12-17 이희원 Intellig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illumination and electrical equipment
JP2005146665A (en) * 2003-11-17 2005-06-09 Koito Ind Ltd Zebra crossing lighting system and pedestrian identification device
KR20110114144A (en) * 2010-04-13 2011-10-19 주식회사썬링크 Light control system
KR101165364B1 (en) * 2011-09-16 2012-08-2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Rf control management system for equipment of apartment b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741A (en) 2017-01-13 2018-07-23 (주)코러싱 Indoor car park lighting system
KR20190105325A (en) 2018-03-05 2019-09-17 탑라이트 주식회사 Light control system of parking lot with display device for driving direction of vehicle
KR20200127570A (en) 2019-05-03 2020-11-11 (주)코러싱 Solar lighting system for crosswalk capable of dimming control by battery remainning and illuminating the pedestrians and waitings
KR102093290B1 (en) 2019-07-31 2020-05-29 탑라이트 주식회사 Light control system of based on big data and method for guiding exit way of parking lo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897A (en)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941B1 (en) Light control system for parking lot
CN103345851B (en) Integrative system for garage ventilation and illumination and parking place guidance and control method of system
CN105070064B (en) A kind of garage garage guides intelligent park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EP302003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cking a vehicle's position using a plurality of light sensors
KR1012372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management of parking lot
KR101204374B1 (en) Parking place management system using PLC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454104B1 (en) Projection type lighting device for parking guiding,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100713B1 (en) System for unified parking control using ultrasonic sensor and rfid
KR101160124B1 (en)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by parking guidance System
KR102045837B1 (en) Light control system of parking lot with display device for driving direction of vehicle
CN102378434A (en) Guiding lighting system
KR101463139B1 (en) System for guiding a parking area being capable of controlling lights efficiently
KR101442750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1165364B1 (en) Rf control management system for equipment of apartment by
KR201500952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by Group based on Wireless network
KR101677365B1 (e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automatically street lighting
KR20140122507A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djacent light without central controlling system
KR20170019575A (en) Smart street lighting system
CN111243286B (en) Parking lot automatic control an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ZigBee and cloud server
KR101488571B1 (en) Parking Guide System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Parking Guide Method Using The Same
KR101651368B1 (en) Underground parking control method
KR101673799B1 (en) Underground parking multiple illumination system
KR20100102843A (en)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by parking guidance system
KR102093290B1 (en) Light control system of based on big data and method for guiding exit way of parking lot using the same
JP7246168B2 (en) Vehicle detection guid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