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210B1 -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210B1
KR101463210B1 KR1020130026065A KR20130026065A KR101463210B1 KR 101463210 B1 KR101463210 B1 KR 101463210B1 KR 1020130026065 A KR1020130026065 A KR 1020130026065A KR 20130026065 A KR20130026065 A KR 20130026065A KR 101463210 B1 KR101463210 B1 KR 101463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focused ultrasound
impedance
impedance measuring
intensity foc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770A (ko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to KR102013002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21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환자 별로 피부상태가 다른 점을 감안하여 시술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시술 시 밀착되는 피부 부위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고강도 집속 초음파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와, 몸체부에 내장되어, 몸체부 외부로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조사하는 집속 초음파 변환부와, 몸체부에 구비되어, 시술 부위인 피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와,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값을 피드백 하여, 집속 초음파 변환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 별로 피부상태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 시술 시 밀착되는 피부 부위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최적화된 고강도 집속 초음파로 시술할 수 있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는 초음파를 방출하는 트랜스듀서를 내장하여, 초음파를 설정된 초점으로 집속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까지 입증되면서, 종래의 침습적인 시술방법의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는 피부의 표피층에는 작용되지 않으며, 근육층의 일부인 근건막(Superficial Musculo Aponeurotic System, SMAS)에 응고 작용을 유도하며, 진피층의 깊은 부분까지 열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진피층의 콜라겐 재생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주름 제거 효과는 물론 피부탄력을 개선하는 효과까지 가져온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시술 방법에 따르면, 근건막 및 진피층의 깊은 부분까지 초음파 에너지의 감쇄 없이 열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요건이 된다.
그런데, 초음파 에너지의 감쇄는 조직의 단백함량에 비례하고 수분함량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초음파 주파수는 흡수계수 감쇄와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시술 대상이 되는 환자 별로 피부상태가 다른 점을 고려하지 않고서, 일정한 값의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술을 해 오고 있었다.
이에 따라, 환자의 피부상태에 비해 설정된 값의 초음파 에너지가 지나치게 세게 작용할 경우에는 피부 손상의 문제가 초래되었으며, 반대의 경우로서 환자의 피부상태에 비해 초음파 에너지가 미약하게 작용될 경우에는 시술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81384호(공개일, 2012년 7월 19일)이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주파수 변화를 이용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 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시술 대상(예: 환자) 별로 피부상태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 고강도 속 초음파를 이용한 시술 시 피부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피부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시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몸체부 외부로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조사하는 집속 초음파 변환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시술 부위인 피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 및 상기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값을 피드백 하여, 상기 집속 초음파 변환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는, 상기 피부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센서; 및 상기 임피던스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유/무선 통신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는 상기 피부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임피던스 측정센서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라인 타입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는 상기 피부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임피던스 측정센서는 상기 몸체의 하부면 모서리들에 배치된 포인트 타입 전극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로부터 전달받은 임피던스 측정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된 값의 대소 차 판별을 통해 상기 집속 초음파 변환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연결블록을 구비하는 핸드피스에 탈부착 되도록, 내측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블록이 삽입되는 결합 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는 상기 연결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장되며, 상기 집속 초음파 변환부에 의해 시술 중인 피부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술 대상(예: 환자) 별로 피부상태가 다른 점을 감안하여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시술 시 피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시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피부상태에 비해 시술 시 사용되는 초음파 에너지가 지나치게 세게 작용할 경우 나타나는 피부손상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로서, 환자의 피부상태에 비해 시술 시 사용되는 초음파 에너지가 미약하게 작용할 경우 시술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핸드피스에 탈부착 방식으로 결합되는 몸체부의 하부면 쪽에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를 배치시켜,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의 전체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의 몸체부가 핸드피스에 탈부착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을 결합 및 분리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에서 임피던스 측정센서가 부착된 두 가지 예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여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에 앞서, 의료 또는 미용 등의 분야에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는 초음파 시술의 특징에 관하여 간략히 소개하기로 한다.
첫째, 초음파는 투과 및 반사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조사된 초음파는 인체의 장기를 투과하면서 반사되는 시간 및 강도를 시각화하여 단면 영상을 획득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둘째, 초음파는 수술용 칼 등에 시술(특히, 절삭)을 위한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역학적 효과를 갖는다. 셋째, 초음파의 음압은 유체를 통과할 때, 유체 내에서 미세한 버블을 발생시키는 데, 이때 발생된 버블은 팽창과 파열됨에 따라 높은 압력 형태의 쇼크웨이브(shockwave)로 구현된다. 이는 강한 전단력(shearing force)을 수반한다. 넷째, 초음파는 조직 내에 전달되어 흡수되면서 열에너지 변환된다. 충분한 에너지를 갖는 초음파는 조직 내에 급격한 온도 상승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를 초음파의 열 효과라고 한다.
초음파 시술은 이러한 초음파의 열적 효과를 이용한 의료기기에 해당된다. 그 중에서도 고강도 집속 초음파(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는, 초음파 트랜스듀서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일정한 초점으로 집속하여 강도를 강화시킨 형태인 것이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는 피부의 표피층에는 직접적으로 작용되지 않으며, 근육층의 일부인 근건막(Superficial Musculo Aponeurotic System, SMAS)에 응고 작용을 유도함은 물론, 진피층의 깊은 부분까지 열을 전달하여, 주름 제거는 물론 피부탄력을 개선한다.
하지만, 시술 대상(예: 환자) 별로 피부상태는 다르다. 즉, 환자 별로 피부상태가 부드럽거나 거칠거나, 또는 표피층이 두껍거나 얇거나, 수분이 많거나 적거나, 지방이 많거나 적거나 등과 같은 차이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행해지고 있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시술의 경우, 이러한 피부상태의 차이를 무시한 채 정해진 값의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술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유에 따라, 만일 환자의 피부상태에 비해 초음파 에너지가 지나치게 세게 작용할 경우에는 피부손상 등의 문제가 나타났으며, 반대로 환자의 피부상태에 비해 초음파 에너지가 미약하게 작용할 경우에는 시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이하에서 설명될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는 상기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장치로서, 시술 대상 별로 피부상태가 다른 점을 적극 고려하여,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술하는 과정 중에 실시간으로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시술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장치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술 장비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술 장비는, 장비 본체(10), 본체의 상, 하 쪽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 및 조작 패널(23), 본체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핸드피스(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는 시술 대상의 피부 속 지점의 이미지를 모니터링 해 주거나, 또는 피부 임피던스 측정값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조작 패널(23)은 후술될 집속 초음파 변환부의 전원 온/오프 및 출력을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의 핸드피스에 몸체부가 탈부착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시된 핸드피스(30)의 전방으로는 연결블록(32)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 연결블록(32)은 몸체부(110)의 내측에 마련된 결합 공(110a)을 통해 관통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핸드피스(30) 쪽으로 몸체부(110)는 카트리지 방식으로 탈부착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블록(32)의 내측에는 이미지 획득부(190)가 내장되는데, 상기 이미지 획득부(190)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2의 (b) 참조하면, 핸드피스(30)에 몸체부(110)가 장착된 모습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의 일측에는 초음파 트랜스듀서가 이동하는 거리를 눈금을 통해 시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이동표시부(I)가 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의 개념도이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100)는 몸체부(110),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도 2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핸드피스(도 2의 도면부호 30)에 카트리지 방식으로 탈부착 되며,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를 내장하는 동시에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150)를 구비하는 외장 하우징 부재이다.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는 핸드피스의 연장블록(도 2의 32)이 관통 삽입되기 위한 결합 공(110a)이 연장블록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내측 상부에는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선형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어,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의 전후 이송을 안내한다. 이러한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의 이송 메커니즘은, 관용적으로 널리 알려진 리니어 모터, 연결 조인트 및 다수의 기어 등과 같은 구성을 통해 구현해 낼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10) 내부에는, 미도시 된 선형가이드와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대(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는 몸체부(110)에 내장되어 시술 부위의 설정된 초점(F)을 향해 고강도로 집속 된 초음파를 조사하는 장치이다.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는 일명 트랜스듀서(transducer)라고 통칭된다. 그 단면구조는 오목한(concave)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이러한 오목한 단면의 곡률반경 중심으로 초음파가 집속 되는 초점(F)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는 밀폐 형성된 몸체부(110)의 내측에서 하방을 향해 배치되며, 이때 밀폐된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으로는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이렇게 채워진 물은,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에서 조사된 초음파가 시술 대상의 피부까지 전달되기 위한 매질로서 작용을 하며, 나아가 고강도 집속 초음파에 의해 발생된 열을 적정 수준까지 냉각해주는 작용도 한다.
또한, 몸체부(110)의 하측 개방 부위에는 투과창(111)이 구비되어, 상기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에서 조사된 초음파가 초점(F) 쪽으로 집속 되도록 해준다.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150)는 시술 부위인 피부와 밀착되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 면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술을 실시하는 도중에 피부의 임피던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 측정센서(151)와, 임피던스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임피던스 값을 제어부(170)로 피드백 하여 전달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인터페이스 디바이스(153)를 포함한다.
종전까지 행해지고 있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시술에 따르면, 시술 대상(예: 환자)마다 피부상태가 차이가 있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설정된 값의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생성하여 피부에 조사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환자별로 피부상태는 많이 차이가 난다. 즉, 환자 별로 피부상태가 부드럽거나 거칠거나, 또는 표피층이 두껍거나 얇거나, 또는 수분이 많거나 적거나, 또는 지방이 많거나 적거나 등과 같은 차이가 그것이다.
따라서,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시술 시 피부 손상을 막고, 시술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시술 대상의 피부상태에 대한 확인 점검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150)는 시술 대상의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피부 내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다. 즉, 이를 통해 피부상태를 시술 전 또는 도중에 확인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센서(151)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에 의해 시술 중인 피부의 임피던스 값을 실시간(또는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측정하는 센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임피던스 측정센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하부면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 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라인 타입 전극(151a, 151b)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임피던스 측정센서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하부면 각 모서리마다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는 포인트 타입 전극(151c)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수의 피부 임피던스 측정 부위 또는 지점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값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데, 이때 측정된 임피던스 값은 유/무선 통신인터페이스 디바이스(153)를 이용하여 제어부(170)로 전달된다.
제어부(170)는 전술한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값을 피드백 하여 집속 초음파 변환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피부 임피던스 값이 제어부(170)로 전달되면, 제어부(170)에서는 기 설정된 기준값과 전달받은 실시간 측정값을 비교하여, 그 대소 차를 판별하여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의 출력 강약을 제어한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170)와 별도로 장비 본체(도 1의 도면부호 10)에 마련된 조작 패널(23)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직접 초음파 변환부(130)의 출력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값을 장비 본체 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도 1의 도면부호 21)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모니터링 함으로써, 고강도 집속 초음파의 출력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100)에 따르면, 앞서, 도 2를 통해 살펴본 핸드피스(도 2의 도면부호 30)와, 몸체부(110) 간의 탈부착을 위해 제공되는 연결블록(32) 내에 이미지 획득부(190)를 내장한다.
이미지 획득부(190)는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의 출력 제어를 통해, 시술을 실시하는 도중에 피부의 이미지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화상입력장치이다.
이러한 이미지 획득부(190)에서 검출된 이미지 정보는 장비 본체(도 1의 도면부호 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도 1의 도면부호 21)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전달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의 작용 효과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 대상의 피부(S) 쪽으로 몸체부(110)를 밀착시키게 되면, 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임피던스 측정센서(151)에서는 접촉하는 피부의 임피던스 측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측정된 피부 임피던스 값은 피부 내 수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로서, 이 같은 측정값은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3)를 통해 유/무선 방식으로 전송 가능한 신호(ⓢ)로 출력된다.
상기 출력된 신호(ⓢ)가 제어부(170)에 피드백 되어 전달되면, 임피던스 측정센서(151)를 통해 측정된 피부 임피던스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 간의 비교를 통해 그 대소 차이를 판별해 낸다.
여기서, '기준값'은 일반인의 평균적인 피부 임피던스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데, 이를 더 세분화하여 성별에 따라 남녀 간에 구분을 두고 서로 다른 기준값을 설정해 둘 수도 있으며, 나이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값을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의 기준값을 통한 판별에 따라 시술 대상의 피부상태를 파악해 낼 수 있다. 그 결과, 해당 피부에 맞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집속 초음파 변환부(130) 쪽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같은 피부 임피던스 값의 측정을 통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의 출력 제어에 따라, 시술 대상의 피부에 맞는 효과적인 시술을 수행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시술대상의 피부상태에 비해 집속 초음파의 출력이 세게 작용된다고 판단할 경우, 피부 손상 등을 방지하도록 출력을 약하게 제어해 줄 수 있다. 또한, 반대의 경우로서, 시술대상의 피부상태에 비해 집속 초음파의 출력이 미약하다고 판단할 경우, 시술 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출력을 강하게 제어해 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출력이 제어된 고강도 집속 초음파는, 시술 대상의 피부(S) 표면에 대해 일정 깊이(d)로 침투하여 단일의 초점(F)에 집속 된다. 여기서, 초점이 형성되는 깊이(d)는 시술 목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마, 예시적으로 2.0 ~ 4.5mm 정도가 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제시된 깊이(d)의 범위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술 대상인 환자 별로 피부상태가 다른 점을 감안하여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시술 시 실시간으로 피부 임피던스 측정을 수행하여 시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드피스에 카트리지 방식으로 탈부착 되는 몸체부의 하부면으로 피부 임피던스 측정이 가능한 전극을 배치하여, 장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와 별도로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장치를 구매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 및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F: 초점
10: 본체
2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3: 조작 패널
30: 핸드피스 32: 연결블록
100: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110: 몸체부 110a: 결합 공
111: 투과창 113: 지지대
130: 집속 초음파 변환부
150: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 151: 임피던스 측정센서
151a, 151b, 151c: 전극 153: 통신인터페이스 디바이스
170: 제어부
190: 이미지 획득부

Claims (6)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몸체부 외부로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조사하는 집속 초음파 변환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시술 부위인 피부 내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피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 및
    상기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에 의해 확인된 상기 피부 상태에 따라 상기 집속 초음파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는, 상기 피부 내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피부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임피던스 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대소 차를 판별하며, 판별된 대소 차를 기초로 상기 집속 초음파 변환부의 출력 걍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유/무선 통신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측정센서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라인 타입 전극을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측정센서는, 상기 몸체의 하부면 모서리들에 배치된 포인트 타입 전극을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연결블록을 구비하는 핸드피스에 탈부착 되도록, 내측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블록이 삽입되는 결합 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는 상기 연결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장되며, 상기 집속 초음파 변환부에 의해 시술 중인 피부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KR1020130026065A 2013-03-12 2013-03-12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KR101463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065A KR101463210B1 (ko) 2013-03-12 2013-03-12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065A KR101463210B1 (ko) 2013-03-12 2013-03-12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770A KR20140111770A (ko) 2014-09-22
KR101463210B1 true KR101463210B1 (ko) 2014-11-21

Family

ID=5175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065A KR101463210B1 (ko) 2013-03-12 2013-03-12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146B1 (ko) * 2017-04-07 2020-05-29 주식회사 하이로닉 피부 미용 시술 장치
KR102366558B1 (ko) * 2020-04-14 2022-02-23 (주)메딕콘 초음파 피부 미용 장치
KR102366560B1 (ko) * 2020-04-14 2022-02-23 (주)메딕콘 초음파 피부 미용 장치 제어 방법
KR102366559B1 (ko) * 2020-04-14 2022-02-23 (주)메딕콘 초음파 피부 미용 장치
KR102366561B1 (ko) * 2020-04-14 2022-02-23 (주)메딕콘 초음파 및 led광을 이용한 피부 미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70B1 (ko) * 2000-10-10 2003-10-08 김영애 원격 피부진단 및 치료기
JP2006087686A (ja) * 2004-09-24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超音波美容装置
KR101154520B1 (ko) * 2011-05-17 2012-06-13 주식회사 하이로닉 분리형 이미지 센싱 수단을 갖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70B1 (ko) * 2000-10-10 2003-10-08 김영애 원격 피부진단 및 치료기
JP2006087686A (ja) * 2004-09-24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超音波美容装置
KR101154520B1 (ko) * 2011-05-17 2012-06-13 주식회사 하이로닉 분리형 이미지 센싱 수단을 갖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770A (ko)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257B1 (ko) 발진자의 이동위치 감지를 위한 장치 내장형 hifu 장치
US9802063B2 (en) Reflective ultrasound technology for dermatological treatments
CN110582237B (zh) 用于自动流体响应测量的系统及方法
KR101463210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KR101583302B1 (ko) 진단 치료 겸용 광융합형 초음파기기
EP2704621B1 (en)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75878B1 (ko) 시술부위 밀착 감지 기능을 갖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JP2009525061A (ja) 切断された肢が原因による出血を制御するための高密度焦点式超音波の誘導及び適用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CN101616712A (zh) 超声装置、治疗系统以及增加工作流的方法
KR101389243B1 (ko) 비침습적 초음파 방광내압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
TWI433665B (zh) Medical ultrasonic device with irradiation position confirm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35167A (ko) 연질 이방성 매질을 특징짓는 초음파 방법과 장치, 및 이러한 특징짓는 장치를 위한 초음파 탐침 조립체
KR20240054253A (ko) 초음파 및 고주파 조사 장치
JPH11192231A (ja) 女性胸部の超音波治療装置
WO2017000290A1 (zh) 超声扫描探头及超声成像系统
KR101075536B1 (ko) 마킹 인식 기능을 구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KR102143977B1 (ko) 좁은 시술부위용 초음파 장치
KR101534574B1 (ko)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초음파 의료 장치
KR101446782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장치
JP2017029277A (ja) 光音響装置、光音響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光音響装置用の被検体保持部材
KR101317244B1 (ko) 이미지 센싱 수단을 갖는 고강도 집속초음파 생성장치
CN107242894B (zh) 一种辅助椎弓根钉打孔的定位装置
WO2018182018A1 (ja) 超音波照射装置
KR101772293B1 (ko) 프로브 내의 기체를 분리 수집하는 초음파 치료 장치
KR101154520B1 (ko) 분리형 이미지 센싱 수단을 갖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