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804B1 - 장식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수직물과 자수방법 - Google Patents

장식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수직물과 자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804B1
KR101462804B1 KR20130107933A KR20130107933A KR101462804B1 KR 101462804 B1 KR101462804 B1 KR 101462804B1 KR 20130107933 A KR20130107933 A KR 20130107933A KR 20130107933 A KR20130107933 A KR 20130107933A KR 101462804 B1 KR101462804 B1 KR 101462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yarns
decorative
center
m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희
민병관
Original Assignee
오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희 filed Critical 오경희
Priority to KR2013010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4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식사는 서로 연사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중심사, 상기 중심사의 연사부에 삽입되어 배열된 다수의 장식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식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수직물과 자수방법{Decoration ya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mbroidery fabric and method using the decoration yarn}
본 발명은 침구, 의류 등의 원단직물 자수에 사용되는 장식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수직물과 자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빛을 반사하는 장식 필름을 결합하여 외관을 더욱 화려하고 고급스럽게 향상시킨 장식사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장식사를 이용한 자수 직물과 자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굵기와 색상을 가지는 실로 직조되는 직물은 의류 또는 각종의 봉제품을 만드는 소재로 제공된다. 종래의 직물은 주로 색상의 배합이나 평면적인 문양 등으로 단조롭게 장식되어 있어, 화려하고 아름다운 의류 또는 봉제품을 원하는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역부족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려하고 미감이 향상된 편직물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장식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식사로는 이색연사, 스럽사, 루프사, 놋사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식사는 단순히 색이 다른 단사를 서로 꼬아 만들거나, 실의 굵기가 균일하지 않고 군데군데 굵게 하는 슬럽(slub), 또는 루프(loop)를 형성하여 입체감이 생기도록 제조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장식사는 하나의 정해진 패턴을 규칙적 반복적으로 표출하게 되어 무늬가 매우 단조로운 형태를 띠게 되며, 자연스럽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직물 또는 수지, 가죽과 같은 원단에 다수의 색상의 실을 사용하여 특정 모양 및 문자의 수(繡)를 놓아 원단에 미적인 아름다움을 부가하는 방법으로서 자수가 있다. 이러한 자수를 통해 완성된 자수물은 독립적으로 제조 및 판매가 가능하고, 최근 들어서는 가방, 신발, 의류, 침구류, 커튼류 등 여러 가지 생활용품에 제조회사의 상표 또는 로고, 기타 상징적인 문자와 그림 등을 수로 형성하여 자수물로 만듦으로써 그 제품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로 하여금 자수물의 심미감과 현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돌출과 굴곡을 갖는 입체적인 자수를 구현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하지만, 통상적인 자수 방법에 의해 자수된 자수물은 무늬 모양이 평면 또는 딱딱한 입체감을 주는 형태로만 자수되어 있어 입체감이 적고 장식효과가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38518 Y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심사에 빛을 반사하는 장식 필름을 결합하여 입체감과 장식효과를 증대하여 외관을 더욱 화려하고 고급스럽게 향상시킨 장식사와 자수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수 직물 및 자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식사는 (1) 서로 연사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중심사, (2) 상기 중심사의 연사부에 삽입되어 배열된 다수의 장식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각 장식 필름은 서로 이격되고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장식 필름은 상기 중심사의 연사부로부터 임의의 두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장식 필름은 상기 중심사의 연사부로부터 수직한 두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장식 필름은 2개 이상의 장식 필름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식사는 서로 연사된 중심사에 연사되는 부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사는 상기 중심사 보다 굵기가 더 굵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사는 굵기가 75 내지 120 데니어(denier)이고, 장식 필름은 폭이 0.25 내지 0.5mm이고, 가로 길이가 7 내지 10 mm이며, 상기 부사는 굵기가 100 내지 150 데니어(deni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사 및 부사는 폴리에스테르사, 나일론사, 면사, 아세테이트사 및 모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장식 필름은 폴리에틸렌수지나 메탈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식사 제조방법은 (1) 다수의 중심사에 다수의 장식 필름을 삽입하여 배열하는 제1단계, (2) 상기 다수의 중심사를 연사하여 제1장식사를 형성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사 제조방법은 상기 연사된 중심사에 부사를 연사하여 제2장식사를 형성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수방법은 (1) 다수의 중심사에 다수의 장식 필름을 삽입하여 배열하는 제1단계, (2) 다수의 중심사를 연사하여 제1장식사를 형성하는 제2단계, (3) 상기 연사된 중심사에 부사를 연사하여 제2장식사를 형성하는 제3단계, (4) 직물에 상기 제2장식사를 이용하여 자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수방법은 상기 제2장식사가 자수된 직물을 스팀으로 처리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사는 외관이 더욱 화려해지고 고급스러워지며, 이와 같은 장식사로 자수를 할 경우, 자수물이 반짝거리는 장식효과와 입체감이 증대되어 수요자의 다양한 미적요구를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장식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장식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장식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장식사의 견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장식사의 견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장식사로 자수된 자수직물의 견본 사진.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장식사(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장식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사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중심사(10, 각각의 중심사를 10a, 10b로 표시함)와 상기 중심사(10)의 연사부에 삽입되어 배열된 다수의 장식 필름(20, 각각의 장식 필름을 20a, 20b, 20c, 20d, 20e로 표시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중심사(10)는 일반적인 실로서, 어느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염색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으로 염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중심사(10)는 서로 연사되게, 즉 서로 겹쳐 꼬아지게 되며, 이와 같이 각 중심사(10)가 서로 겹쳐 꼬아진 부분을 연사부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심사(10)가 2개 구비(이들을 각각 "제1 중심사" 및 "제2 중심사"라 함)될 경우, 제1 중심사와 제2 중심사 사이에 상기 각 장식 필름(20)이 삽입되어 배열된다. 이때, 제1 및 제 2 중심사가 연사되면 상기 각 장식 필름(20)은 상기 제1 및 제2 중심사가 이루는 연사부에 자연스럽게 삽입된 채로 고정된다. 또 다른 예로서, 만일 상기 중심사(10)가 3개 구비(이들을 각각 "제1 중심사", "제2 중심사" 및 "제3 중심사"라 함)될 경우, 상기 각 장식 필름(20)은 제1 중심사와 제2 중심사 사이에 삽입되고, 이어서 제2 중심사와 제3 중심사 사이에 교차로 삽입되어 배열된다. 이때, 제1 내지 제3 중심사가 연사되면 상기 각 장식 필름(20)은 상기 제1 내지 제3 중심사가 이루는 연사부에 자연스럽게 삽입된 채로 고정된다.
특히, 상기 각 중심사(10)는 75 내지 120 데니어(denier)의 굵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중심사(10)는 폴리에스테르사, 나일론사, 면사, 아세테이트사 및 모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에스테르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각 장식 필름(20)은 투명하거나 색상을 갖는 폴리에틸렌수지(PET)나 메탈사로 이루어진 필름으로서, 빛을 반사하여 반짝거리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각 중심사(10)가 겹쳐 꼬아진 연사부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각 장식 필름(20)은 빛을 난반사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색상이 표출되도록, 펄필름, 오로라필름 또는 홀로그램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장식 필름(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장식 필름(20)은 상기 중심사(10)의 연사부로부터 임의의 두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각 장식 필름(20)이 연장되는 두 방향은 상기 중심사(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각 장식 필름(20)은 적절한 장식효과를 낼 수 있도록 폭이 0.25 내지 0.5mm이고, 가로 길이가 7 내지 10 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장식사(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다수의 장식 필름(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장식 필름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즉, 도 2에서 1쌍의 장식 필름(20a와 20b, 20c와 20d, 20e와 20f, 20g와 20h, 20i와 20j)은 각각 상기 중심사(10)의 연사부에서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장식사(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장식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장식사(100) 외에도 상기 제1장식사(100)에 연사되는 부사(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장식사(200)는 상기 서로 연사된 중심사(10)에 부사(210)가 다시 연사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부사(210)는 일반적인 실로서, 어느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염색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중심사(10)와 다른 색상으로 염색될 수도 있다. 상기 부사(210)의 연사에 의해 상기 제2장식사(200)는 굵기가 굵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입체감이 더욱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사(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사된 중심사(10)를 심사로 하고, 그 외측을 나선형으로 커버링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사(210)는 상기 각 장식 필름(20)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상기 장식 필름(20)을 덮지 않게 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부사(210)는 상기 중심사(10) 보다 굵기가 더 굵은 것이 바람직하며, 100 내지 150 데니어(denier) 굵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사(210)는 폴리에스테르사, 나일론사, 면사, 아세테이트사 및 모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에스테르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수 직물, 자수방법 및 장식사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수직물은 상기 제1장식사(100)나 제2장식사(200)를 이용하여 자수용 직물원단에 자수되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 제2장식사(200)를 이용하여 자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자수직물은 상기 제2장식사(200)에 포함된 중심사(10) 및 부사(210) 외에도 장식 필름(20)에 의해 입체감과 반짝거리는 효과가 증대되어 자수의 외관과 장식효과가 더욱 화려해지고 고급스러워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수방법은 다수의 중심사(10) 사이에 다수의 장식 필름(20)을 삽입하여 배열하는 제1단계(S10), 상기 다수의 중심사(10)를 연사하여 제1장식사(100)를 형성하는 제2단계(S20), 상기 연사된 중심사(10)에 부사(210)를 연사하여 제2장식사(200)를 형성하는 제3단계(S30), 직물에 상기 제2장식사(200)를 이용하여 자수하는 제4단계(S40), 상기 제2장식사(200)가 자수된 직물을 스팀으로 처리하는 제5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단계(S10)는 각 장식 필름(20)이 서로 이격되고 평행하도록 배열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는 2개 이상의 장식 필름(20)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열하는 단계(S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는 상기 각 장식 필름(20)이 상기 중심사(10)의 연사부로부터 임의의 두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하는 단계(S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는 상기 각 장식 필름(20)이 상기 중심사(10)의 연사부로부터 수직한 두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하는 단계(S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S20)는 연사기(twister)를 이용하여 다수의 중심사(10)를 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3단계(S30)도 연사기(twister)를 이용하여 상기 연사된 중심사(10)에 부사(210)를 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5단계(S50)에서는 스팀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장식사(200)가 자수된 직물을 스팀으로 열처리 및 압축처리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제2 장식사를 사용한 자수 직물을 안정화하고 부드럽게 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장식 필름(20)을 더 반짝거리게 할 수 있어 자수 직물의 미감 및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사 제조방법은 다수의 중심사(10) 사이에 다수의 장식 필름(20)을 삽입하여 배열하는 제1단계(S100), 상기 다수의 중심사(10)를 연사하여 제1장식사(100)를 형성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제1장식사의 연사된 중심사(10)에 부사(210)를 연사하여 제2장식사(200)를 형성하는 제3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단계(S100)는 각 장식 필름(20)이 서로 이격되고 평행하도록 배열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0)는 2개 이상의 장식 필름(20)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열하는 단계(S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0)는 상기 각 장식 필름(20)이 상기 중심사(10)의 연사부로부터 임의의 두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0)는 상기 각 장식 필름(20)이 상기 중심사(10)의 연사부로부터 수직한 두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S200)는 연사기(twister)를 이용하여 다수의 중심사(10)를 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단계(S300)도 연사기(twister)를 이용하여 상기 제1장식사의 연사된 중심사(100)에 부사(210)를 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10a, 10b : 중심사
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장식 필름
100 : 제1장식사 200 : 제2장식사
210 : 부사

Claims (18)

  1. 서로 연사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중심사;
    상기 중심사의 연사부에 삽입되어 배열된 다수의 장식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연사된 중심사에 부사를 더 연사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식 필름은 서로 이격되고 평행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식 필름은 상기 중심사의 연사부로부터 임의의 두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식 필름은 상기 중심사의 연사부로부터 수직한 두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장식 필름은 2개 이상의 장식 필름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사는 상기 중심사 보다 굵기가 더 굵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사는 굵기가 75 내지 120 데니어이고,
    장식 필름은 폭이 0.25 내지 0.5mm이고, 가로 길이가 7 내지 10 mm이며,
    상기 부사는 굵기가 100 내지 15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사 및 부사는 폴리에스테르사, 나일론사, 면사, 아세테이트사 및 모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장식 필름은 폴리에틸렌수지나 메탈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10.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식사를 이용하여 자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직물.
  11. 다수의 중심사에 다수의 장식 필름을 삽입하여 배열하는 제1단계;
    상기 다수의 중심사를 연사하여 제1장식사를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연사된 중심사에 부사를 연사하여 제2장식사를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각 장식 필름이 서로 이격되고 평행하도록 배열하는 것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2개 이상의 장식 필름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갖도록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각 장식 필름이 상기 중심사의 연사부로부터 임의의 두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각 장식 필름이 상기 중심사의 연사부로부터 수직한 두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사 제조방법.
  17. 다수의 중심사에 다수의 장식 필름을 삽입하여 배열하는 제1단계;
    상기 다수의 중심사를 연사하여 제1장식사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연사된 중심사에 부사를 연사하여 제2장식사를 형성하는 제3단계;
    직물에 상기 제2장식사를 이용하여 자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식사가 자수된 직물을 스팀으로 처리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방법.
KR20130107933A 2013-09-09 2013-09-09 장식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수직물과 자수방법 KR10146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933A KR101462804B1 (ko) 2013-09-09 2013-09-09 장식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수직물과 자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933A KR101462804B1 (ko) 2013-09-09 2013-09-09 장식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수직물과 자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804B1 true KR101462804B1 (ko) 2014-11-20

Family

ID=5229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7933A KR101462804B1 (ko) 2013-09-09 2013-09-09 장식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수직물과 자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968B1 (ko) 2016-01-26 2016-08-05 화영실업(주)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이용한 장식사 및 직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911B1 (ko) * 1986-12-29 1988-09-30 김재욱 장식사(Fancy Yarn),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244347Y1 (ko) 2001-05-24 2001-10-17 신규태 샤넬 얀.
KR20060117508A (ko) * 2005-05-11 2006-11-17 주식회사 유상실업 커버링사 또는 복합사 직물의 리플 가공방법
KR100679063B1 (ko) 2006-04-11 2007-02-06 주식회사 은수 장식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911B1 (ko) * 1986-12-29 1988-09-30 김재욱 장식사(Fancy Yarn),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244347Y1 (ko) 2001-05-24 2001-10-17 신규태 샤넬 얀.
KR20060117508A (ko) * 2005-05-11 2006-11-17 주식회사 유상실업 커버링사 또는 복합사 직물의 리플 가공방법
KR100679063B1 (ko) 2006-04-11 2007-02-06 주식회사 은수 장식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968B1 (ko) 2016-01-26 2016-08-05 화영실업(주)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이용한 장식사 및 직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17347A (ja) 帯 体
CN101173416A (zh) 一种经编短毛绒产品
KR101462804B1 (ko) 장식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수직물과 자수방법
CN204728045U (zh) 一种立体3d的三层网孔布
TW201020354A (en) A woven camouflage patterned texti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camouflage patterned textile
KR20170012726A (ko) 코팅필라멘트 커버링사 및 그 제조방법
CN107938099A (zh) 一种特殊织带纹拉链布带的制备方法
KR101593199B1 (ko) 린넨직물
KR101701410B1 (ko) 한복용 직물
KR101468706B1 (ko) 자카드 질감의 디자인 문양을 그라운드조직에 표출하는 직물화된 경편 생지
KR100679063B1 (ko) 장식사
KR101759864B1 (ko) 광택특성이 향상된 자카드 스판직물
KR101645968B1 (ko)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이용한 장식사 및 직물의 제조방법
CN106012272B (zh) 一种拉伸渐变色经编材料的制备方法
JP7077501B2 (ja) 編糸および編物を形成する方法
KR101468705B1 (ko) 자카드 질감의 디자인 문양을 그라운드조직에 표출하는 경편 생지
KR200438518Y1 (ko) 레인보우필름을 이용한 장식사
Khurana Introduction to fashion technology
CN101348969A (zh) 半边绒面料及制造该面料的方法
CN204661985U (zh) 一种表面凸凹的三层网布
WO2015161526A1 (zh) 一种黄梅挑花双面绣简易平顺连续针法
JP6861352B1 (ja) 皮革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Sun et al. Fabric Composition and Wearability Analysis of Zhuanghua
Stanfield 100 Flowers to Knit & Crochet (new edition)
CN201396388Y (zh) 弹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