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502B1 - 광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502B1
KR101462502B1 KR1020130077293A KR20130077293A KR101462502B1 KR 101462502 B1 KR101462502 B1 KR 101462502B1 KR 1020130077293 A KR1020130077293 A KR 1020130077293A KR 20130077293 A KR20130077293 A KR 20130077293A KR 101462502 B1 KR101462502 B1 KR 101462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optical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평
송근한
Original Assignee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Details of housings mounting, engaging or coupling of the package to a board, a frame or a panel
    • G02B6/4261Packages with mounting structures to be pluggable or detachable, e.g. having latches or r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3Arrangeme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o-electronic elements and associated optical inter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06Arrangements for feeding power
    • H04B10/808Electrical power feeding of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광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는,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송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는 전기 신호 처리부와 광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광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광 케이블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광 신호 처리부는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송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한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각종 디지털 영상 포트들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 포트들은 D형 DVI(Digital Visual Interface) 포트(Pdvid), I형 DVI 포트(Pdvii), 디스플레이 포트(Pdp), 및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Phdmi)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포트(Pdp)는 "디스플레이 포트"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른 포트를 의미한다.
도 2는 아날로그 영상 포트로서의 VGA(Video Graphics Array) 포트(Pvga)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포트들을 통하여 영상 신호들이 호스트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됨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의 경우에는 라인 전압 강하로 인하여 장거리 전송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신호의 장거리 전송에는 광 커넥터가 주로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광 커넥터는,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송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광 커넥터에 있어서, 송신부 또는 수신부가 고장난 경우, 고장난 송신부 전체 또는 수신부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송신부 및 수신부는 각각 다수의 소자들을 구비하므로, 송신부 또는 수신부의 고장 진단에도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6667호 (출원인 : 옵티시스 주식회사, 발명의 명칭 : 광 커넥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송신부 또는 수신부가 고장난 경우에 고장난 송신부 전체 또는 수신부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는, 경제적인 구조의 광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각각 다수의 소자들을 구비한 송신부 또는 수신부의 고장 진단이 용이한, 광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 커넥터는,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송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는 전기 신호 처리부와 광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광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광 케이블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광 신호 처리부는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광 커넥터는,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송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전기 신호 처리부와 광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광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광 케이블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광 신호 처리부는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광 커넥터는,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송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는 핀-배치 변경부, 전기 신호 처리부. 및 광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핀-배치 변경부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 출력 포트의 핀 배치를 변경한다.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핀-배치 변경부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광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광 케이블 사이를 연결하는 광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핀-배치 변경부,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광 신호 처리부는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광 커넥터는,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송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핀-배치 변경부, 전기 신호 처리부. 및 광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핀-배치 변경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 입력 포트의 핀 배치를 변경한다.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핀-배치 변경부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광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광 케이블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상기 핀-배치 변경부,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광 신호 처리부는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광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 송신부 또는 상기 수신부가 2단 또는 3단 구조이다.
2단 구조의 경우에 상기 송신부 또는 상기 수신부에 있어서, 전기 신호 처리부와 광 신호 처리부가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3단 구조의 경우에 상기 송신부 또는 상기 수신부에 있어서, 핀-배치 변경부, 전기 신호 처리부, 및 광 신호 처리부가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의 광 커넥터에 의하면, 송신부 또는 수신부가 고장난 경우에 고장난 송신부 전체 또는 수신부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는, 경제적인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광 커넥터에 의하면, 각각 다수의 소자들을 구비한 송신부 또는 수신부의 고장 진단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각종 디지털 영상 포트들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아날로그 영상 포트로서의 VGA(Video Graphics Array) 포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DVI(Digital Visual Interface) 광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DVI 광 커넥터의 송신부가 2단으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DVI 광 커넥터의 수신부가 2단으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송신부 또는 도 5의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가 리셉터클(receptacle) 형식(type)인 경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2 개의 광 섬유 라인들의 LC형 연결 포트들을 구비한 도 4의 송신부 또는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단일 광 섬유 라인의 LC형 연결 포트를 구비한 도 4의 송신부 또는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단일 광 섬유 라인의 SC형 연결 포트를 구비한 도 4의 송신부 또는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2 개의 광 섬유 라인들의 SC형 연결 포트들을 구비한 도 4의 송신부 또는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4의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4의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5의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DVI(Digital Visual Interface) 광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DVI 광 커넥터의 송신부가 3단으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DVI 광 커넥터의 수신부가 3단으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도 18의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도 18의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도 19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도 19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6은 도 19의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7은 도 19의 수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도 18의 송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Video Graphics Array)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도 18의 송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0은, 도 18의 송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1은, 도 18의 송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2는, 도 19의 수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3은, 도 19의 수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4는, 도 19의 수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5는, 도 19의 수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수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DVI(Digital Visual Interface) 광 커넥터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3의 DVI 광 커넥터의 송신부(301)가 2단으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DVI 광 커넥터는,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송신부(301),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수신부(302), 및 상기 송신부(301)와 상기 수신부(302) 사이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303)을 포함한다.
송신부(301)는 전기 신호 처리부(401)와 광 신호 처리부(402)를 포함한다. 전기 신호 처리부(401)는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된다. 광 신호 처리부(402)는 전기 신호 처리부(401)와 광 케이블(303)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전기 신호 처리부(401)와 광 신호 처리부(402)는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송신부(301)가 고장난 경우에 고장난 송신부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다수의 소자들을 구비한 송신부의 고장 진단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4에서 참조 부호 401h는 송신부(301)의 전기 신호 처리부(401)의 호스트 접속부를, 401s는 나사들을, 401p는 송신부(301)의 전기 신호 처리부(401)의 걸림 돌출부를, 402m은 송신부(301)의 광 신호 처리부(402)의 중간 접속부를, 그리고 402r은 송신부(301)의 광 신호 처리부(402)의 걸림 홈을 각각 가리킨다.
도 5는 도 3의 DVI 광 커넥터의 수신부(302)가 2단으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수신부(302)는 전기 신호 처리부(501)와 광 신호 처리부(502)를 포함한다.
전기 신호 처리부(50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광 신호 처리부(502)는 전기 신호 처리부(501)와 광 케이블(303)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전기 신호 처리부(501)와 광 신호 처리부(502)는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신부(302)가 고장난 경우에 고장난 수신부(302)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다수의 소자들을 구비한 수신부(302)의 고장 진단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5에서 참조 부호 501s는 나사들을, 501d는 수신부(302)의 전기 신호 처리부(501)의 디스플레이 접속부를, 501p는 수신부(302)의 전기 신호 처리부(501)의 걸림 돌출부를, 502m은 수신부(302)의 광 신호 처리부(502)의 중간 접속부를, 그리고 502r은 수신부(302)의 광 신호 처리부(502)의 걸림 홈을 각각 가리킨다.
도 6은 도 4의 송신부(301) 또는 도 5의 수신부(302)의 전기 신호 처리부(401 또는 501)가 리셉터클(receptacle) 형식(type)인 경우를 보여준다. 도 6에서 도 4 및 5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송신부(301) 또는 수신부(302)의 전기 신호 처리부(401 또는 501)는 플러그(plug) 형식 또는 리셉터클(receptacle) 형식(type)을 취할 수 있다.
도 7은, 2 개의 광 섬유 라인들의 LC형 연결 포트들(702a 및 702b)을 구비한 도 4의 송신부 또는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402 또는 502)를 보여준다. 도 7에서 참조 부호 701은 전원 입력 단자를 가리킨다.
도 8은, 단일 광 섬유 라인의 LC형 연결 포트(802)를 구비한 도 4의 송신부 또는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402 또는 502)를 보여준다. 도 8에서 참조 부호 801은 전원 입력 단자를 가리킨다.
도 9는, 단일 광 섬유 라인의 SC형 연결 포트(902)를 구비한 도 4의 송신부 또는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402 또는 502)를 보여준다. 도 9에서 참조 부호 901은 전원 입력 단자를 가리킨다.
도 10은, 2 개의 광 섬유 라인들의 SC형 연결 포트들(1002a 및 1002b)을 구비한 도 4의 송신부 또는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402 또는 502)를 보여준다. 도 10에서 참조 부호 1001은 전원 입력 단자를 가리킨다.
도 11은 도 4의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401)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11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4의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401)는 호스트 접속부(401h), 통신 제어부(1105) 및 중간 접속부(401m)를 포함한다.
호스트 접속부(401h)로부터의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1101)은 중간 접속부(401m)에 출력된다. DDC(Display Data Channel) 신호들(1102)은, 호스트 접속부(401h)로부터의 직렬 데이터 신호와 클럭 신호,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직렬 데이터 신호를 포함한다.
호스트 접속부(401h)로부터의 DDC(Display Data Channel) 신호들 및 5 볼트(V) 신호(DDC 5V)는 통신 제어부(1105)에서 직렬 송신 신호들(1103)로 변환되어 중간 접속부(401m)에 출력된다.
중간 접속부(401m)로부터의 수신 신호들(1104)은 HPD(Hot Plug Detection)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이다. 이 수신 신호들(1104)은 통신 제어부(1105)를 통하여 호스트 접속부(401h)에 입력된다.
도 12는 도 4의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402)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12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4의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402)는 중간 접속부(402m), 수신 신호 증폭부(1202, AMP), 전원 입력 단자(402p), 및 6-파장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송신부(1203)를 포함한다.
중간 접속부(402m)로부터의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1201), 클럭 신호 및 직렬 데이터 신호는 6-파장 CWDM 송신부(1203)를 통하여 단일-광섬유 신호들(402f1)로서 수신부에 전송된다.
수신부로부터 단일-광섬유 신호들(402f1)로서 전송되는 HPD(Hot Plug Detection)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는 6-파장 CWDM 송신부(1203) 및 수신 신호 증폭부(1202, AMP)를 통하여 중간 접속부(402m)에 출력된다.
도 13은 도 4의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402)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13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4의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402)는 중간 접속부(402m),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05, LDD), 수신 신호 증폭부(1302, AMP), 전원 입력 단자(402p), 4-파장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송신부(1303), 및 BOSA(Bidirectional Optical Sub-Assembly, 1304)를 포함한다.
중간 접속부(402m)로부터의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1301)은 4-파장 CWDM 송신부(1303)를 통하여 2-광섬유 신호들(402f2) 중 한 광섬유 신호들로서 수신부에 전송된다.
중간 접속부(402m)로부터의 5 볼트(V) 신호(DDC 5V), 클럭 신호 및 직렬 데이터 신호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305, LDD) 및 BOSA(1304)를 통하여 2-광섬유 신호들(402f2) 중 한 광섬유 신호들로서 수신부에 전송된다.
수신부로부터 한 광섬유 신호들로서 전송되는 HPD(Hot Plug Detection)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는 BOSA(1304) 및 수신 신호 증폭부(1302, AMP)를 통하여 중간 접속부(402m)에 출력된다.
도 14는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502)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14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502)는 중간 접속부(502m), 수신 신호 증폭부(1402, AMP), 전원 입력 단자(502p), 및 6-파장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수신부(1403)를 포함한다.
1-광섬유 신호들(502f1)로서 6-파장 CWDM 수신부(1403)에 의하여 수신된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1401)은 중간 접속부(502m)에 입력된다.
1-광섬유 신호들(502f1)로서 6-파장 CWDM 수신부(1403)에 의하여 수신된 통신용 신호들은 수신 신호 증폭부(1402, AMP)를 통하여 중간 접속부(502m)에 입력된다.
중간 접속부(502m)로부터의 HPD(Hot Plug Detection)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는 1-광섬유 신호들(502f1)로서 6-파장 CWDM 수신부(1403)를 통하여 송신부에 전송된다.
도 15는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502)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15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5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502)는 전원 입력 단자(502p), 4-파장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수신부(1503), BOSA(Bidirectional Optical Sub-Assembly, 1504), 수신 신호 증폭부(1502, AMP), 및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505, LDD)를 포함한다.
2-광섬유 신호들(502f2) 중 1-광섬유 신호들로서 4-파장 CWDM 수신부(1503)에 의하여 수신된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1501)은 중간 접속부(502m)에 입력된다.
2-광섬유 신호들(502f2) 중 1-광섬유 신호들로서 BOSA(1504)에 의하여 수신되는 통신용 신호들은 수신 신호 증폭부(1502, AMP)를 통하여 중간 접속부(502m)에 입력된다.
중간 접속부(502m)로부터의 HPD(Hot Plug Detection)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는 1-광섬유 신호들(502f1)로서 BOSA(1504)를 통하여 송신부에 전송된다.
도 16은 도 5의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501)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16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5의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501)는 중간 접속부(501m), 통신 제어부(1605) 및 디스플레이 접속부(501d)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DDC(Display Data Channel) 신호들(1602)은, 통신 제어부(1605)로부터의 직렬 데이터 신호와 클럭 신호, 그리고 디스플레이 접속부(501d)로부터의 직렬 데이터 신호를 포함한다.
중간 접속부(501m)로부터의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1601)은 디스플레이 접속부(501d)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다.
중간 접속부(501m)로부터의 통신용 신호들(1604)은 통신 제어부(1605)에서 5 볼트(V) 신호(DDC 5V), 클럭 신호 및 직렬 데이터 신호로 구별되어 디스플레이 접속부(501d)에 입력된다.
디스플레이 접속부(501d)로부터의 HPD(Hot Plug Detection)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1603)은 통신 제어부(1605)에 의하여 중간 접속부(501m)에 출력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DVI(Digital Visual Interface) 광 커넥터를 보여준다.
도 18은 도 17의 DVI 광 커넥터의 송신부(1701)가 3단으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 및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DVI(Digital Visual Interface) 광 커넥터는,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송신부(1701),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수신부(1702), 및 상기 송신부(1701)와 상기 수신부(1702) 사이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1703)을 포함한다.
송신부(1701)는 핀-배치 변경부(1801), 전기 신호 처리부(1802). 및 광 신호 처리부(1803)를 포함한다.
핀-배치 변경부(1801)는,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 출력 포트의 핀 배치를 변경한다. 이에 따라, 전기 신호 처리부(1802)가 보다 집적될 수 있다.
전기 신호 처리부(1802)는 핀-배치 변경부(1801)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된다.
광 신호 처리부(1803)는 전기 신호 처리부(1802)와 광 케이블(1703)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핀-배치 변경부(1801), 전기 신호 처리부(1802), 및 광 신호 처리부(1803)는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송신부(1701)가 고장난 경우에 고장난 송신부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다수의 소자들을 구비한 송신부의 고장 진단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8에서, 참조 부호 1801h는 핀-배치 변경부(1801)의 호스트 접속부를, 1801s는 나사들을, 1801p는 핀-배치 변경부(1801)의 걸림 돌출부를, 1802m1은 전기 신호 처리부(1802)의 중간 접속부를, 1802r1은 광 신호 처리부(1803)의 걸림 홈을, 1803m은 광 신호 처리부(1803)의 중간 접속부를, 그리고 1803p는 광 신호 처리부(1803)의 걸림 돌출부를 각각 가리킨다.
도 19는 도 17의 DVI 광 커넥터의 수신부(1702)가 3단으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 및 19를 참조하면, 수신부(1702)는 핀-배치 변경부(1901), 전기 신호 처리부(1902). 및 광 신호 처리부(1903)를 포함한다.
핀-배치 변경부(190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어, 영상 입력 포트의 핀 배치를 변경한다. 이에 따라, 전기 신호 처리부(1902)가 보다 집적될 수 있다.
전기 신호 처리부(1902)는 핀-배치 변경부(1901)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광 신호 처리부(1903)는 전기 신호 처리부(1902)와 광 케이블(1703)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핀-배치 변경부(1901), 전기 신호 처리부(1902), 및 광 신호 처리부(1903)는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신부(1702)가 고장난 경우에 고장난 송신부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다수의 소자들을 구비한 송신부의 고장 진단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9에서, 참조 부호 1901h는 핀-배치 변경부(1901)의 호스트 접속부를, 1901s는 나사들을, 1901p는 핀-배치 변경부(1901)의 걸림 돌출부를, 1902m2는 전기 신호 처리부(1902)의 중간 접속부를, 1902r1은 전기 신호 처리부(1902)의 걸림 홈을, 1903m은 광 신호 처리부(1903)의 중간 접속부를, 그리고 1903p는 광 신호 처리부(1903)의 걸림 돌출부를 각각 가리킨다.
도 20은 도 18의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1801)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0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20을 참조하면,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1801)는 호스트 접속부(1801h) 및 중간 접속부(1801m)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호스트 접속부(1801h)의 핀 배열은 규정 배열과 동일하지만, 중간 접속부(1801m)의 핀 배열은 전기 신호 처리부(1802)가 보다 집적화되도록 변경되어 있다.
호스트 접속부(1801h)로부터의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2001)은 중간 접속부(1801m)에 출력된다. DDC(Display Data Channel) 신호들은, 호스트 접속부(1801h)로부터의 직렬 데이터 신호(SDA)와 클럭 신호(SCL),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포함한다.
호스트 접속부(1801h)로부터의 DDC(Display Data Channel) 신호들 및 5 볼트(V) 신호(DDC 5V)는 중간 접속부(1801m)에 출력된다.
중간 접속부(1801m)로부터의 HPD(Hot Plug Detection)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는 호스트 접속부(1801h)에 입력된다.
도 21은 도 18의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1802)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1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 18의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1802)는 제1 중간 접속부(1802m1), TMDS(Transition Minimized Display Signalling) 수신부(2102), 직병렬 변환부(2104, SERDES), 및 제2 중간 접속부(1802m2)를 포함한다.
제1 중간 접속부(1802m1)로부터의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2101)은 TMDS(Transition Minimized Display Signalling) 신호들이다. 이에 따라, TMDS 수신부(2102)는 TMDS 영상-데이터 신호들(2101)을 TTL(Transistor to Transistor Logic) 영상-데이터 신호들(2103)로 변환하여 직병렬 변환부(2104, SERDES)에 입력한다.
직병렬 변환부(2104, SERDES)는, 직병렬 변환부(2104, SERDES)로부터의 TTL 영상-데이터 신호들(2103), 제1 중간 접속부(1802m1)로부터의 직렬 데이터 신호(SDA), 클럭 신호(SCL) 및 5 볼트(V) 신호(DDC 5V)를 직렬화하여, 직렬화된 송신 신호들(2105)을 제2 중간 접속부(1802m2)에 출력한다.
또한, 직병렬 변환부(2104, SERDES)는 제2 중간 접속부(1802m2)로부터의 HPD(Hot Plug Detection)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제1 중간 접속부(1802m1)에 입력한다.
도 22는 도 18의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1803)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22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22를 참조하면, 도 18의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1803)는 중간 접속부(1803m),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들(2201, 2202, LDD), 수신 신호 증폭부(2203, AMP), 전원 입력 단자(220p), 2-채널 TOSA(2204), 및 ROSA(Reception Optical Sub-Assembly, 2205)를 포함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들(2201, 2202, LDD)에 의하여 동작하는 2-채널 TOSA(2204)는, 중간 접속부(1803m)로부터의 직렬화 송신 신호들을 광 신호들로 변환하여, 2-광섬유 신호들(1803f2) 중 1-광섬유 신호들로서 수신부에 전송한다.
ROSA(2205)는 2-광섬유 신호들(1803f2) 중 1-광섬유 신호들로서 수신된 HPD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전기적 신호들로 변환한다.
수신 신호 증폭부(2203, AMP)는 ROSA(2205)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증폭하여 중간 접속부(1803m)에 입력한다.
도 23은 도 18의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1803)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23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23을 참조하면, 도 18의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1803)는 중간 접속부(1803m),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들(2301, 2302, LDD), 수신 신호 증폭부(2303, AMP), 전원 입력 단자(220p), 및 3중 OSA(Optical Sub-Assembly, 2304)를 포함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들(2201, 2202, LDD)에 의하여 동작하는 3중 OSA(2304)는, 중간 접속부(1803m)로부터의 직렬화 송신 신호들을 광 신호들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의 광 신호들을 1-광섬유 신호들(1803f1)로서 수신부에 전송한다.
또한, 3중 OSA(2304)는 1-광섬유 신호들(1803f1)로서 수신된 HPD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전기적 신호들로 변환한다.
수신 신호 증폭부(2303, AMP)는 3중 OSA(2304)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증폭하여 중간 접속부(1803m)에 입력한다.
도 24는 도 19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1903)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24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24를 참조하면, 도 19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1903)는 전원 입력 단자(240p), 2-채널 ROSA(2404), TOSA(2405), 수신 신호 증폭부들(2401, 2402, AMP),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2403, LDD) 및 중간 접속부(1903m)를 포함한다.
2-채널 ROSA(2404)는 2-광섬유 신호들(1903f2) 중 1-광섬유 신호들로서 수신된 신호들을 전기적 신호들로 복원한다.
수신 신호 증폭부들(2401, 2402, AMP)은 2-채널 ROSA(2404)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증폭하여 중간 접속부(1903m)에 입력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2403, LDD)에 의하여 동작하는 TOSA(2405)는, 중간 접속부(1903m)로부터의 HPD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광 신호들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의 광 신호들을 2-광섬유 신호들(1903f2) 중 1-광섬유 신호들로서 송신부에 송신한다.
도 25는 도 19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1903)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25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25를 참조하면, 도 19의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1903)는 전원 입력 단자(240p), 3중 OSA(2504), 수신 신호 증폭부들(2501, 2502, AMP),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2503, LDD) 및 중간 접속부(1903m)를 포함한다.
3중 OSA(2504)는 1-광섬유 신호들(1903f1)로서 수신된 신호들을 전기적 신호들로 복원한다.
수신 신호 증폭부들(2501, 2502, AMP)은 3중 OSA(2504)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증폭하여 중간 접속부(1903m)에 입력한다.
한편, 3중 OSA(2504)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2403, LDD)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면서, 중간 접속부(1903m)로부터의 HPD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광 신호들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의 광 신호들을 1-광섬유 신호들(1903f1)로서 송신부에 송신한다.
도 26은 도 19의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1902)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6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26을 참조하면, 도 19의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1902)는 제1 중간 접속부(1902m1), 직병렬 변환부(2603, SERDES), TMDS 송신부(2605) 및 제2 중간 접속부(1902m2)를 포함한다.
직병렬 변환부(2603, SERDES)는, 제1 중간 접속부(1902m1)로부터의 수신 신호들(2601) 중에서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2604)을 추출하여 TMDS 송신부(2605)에 입력한다.
또한, 직병렬 변환부(2603, SERDES)는, 제1 중간 접속부(1902m1)로부터의 수신 신호들(2601) 중에서 직렬 데이터 신호(SDA), 클럭 신호(SCL) 및 5 볼트(V) 신호(DDC 5V)를 추출하여 제2 중간 접속부(1902m2)에 입력한다.
TMDS 송신부(2605)는 직병렬 변환부(2603, SERDES)로부터의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2604)을 TMDS 형식으로 복원하여 제2 중간 접속부(1902m2)에 입력한다.
한편, 직병렬 변환부(2603, SERDES)는, 제2 중간 접속부(1902m2)로부터의 HPD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제1 중간 접속부(1902m1)에 출력한다.
도 27은 도 19의 수신부의 핀-배치 변경부(1901)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7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27을 참조하면, 수신부의 핀-배치 변경부(1901)는 중간 접속부(1901m) 및 디스플레이 접속부(1901d)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접속부(1901d)의 핀 배열은 규정 배열과 동일하지만, 중간 접속부(1901m)의 핀 배열은 전기 신호 처리부(1902)가 보다 집적화되도록 변경되어 있다.
중간 접속부(1901m)로부터의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2001), DDC(Display Data Channel) 신호들(SCL, SDA) 및 5 볼트(V) 신호(DDC 5V)는 디스플레이 접속부(1901d)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HPD(Hot Plug Detection)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는 디스플레이 접속부(1901d)를 통하여 중간 접속부(1901m)에 출력된다.
도 28은, 도 18의 송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Video Graphics Array)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280)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8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28을 참조하면,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280)는 호스트 접속부(280h) 및 중간 접속부(280m)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호스트 접속부(280h)의 핀 배열은 규정 배열과 동일하지만, 중간 접속부(280m)의 핀 배열은 전기 신호 처리부(290)가 보다 집적화되도록 변경되어 있다.
호스트 접속부(280h)로부터의 VGA 비디오 신호들(2801), 수평 동기 신호(H_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_Sync)는 중간 접속부(1801m)에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DDC(Display Data Channel) 신호들은, 호스트 접속부(1801h)로부터의 직렬 데이터 신호(SDA)와 클럭 신호(SCL),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포함한다.
호스트 접속부(280h)로부터의 DDC(Display Data Channel) 신호들 및 5 볼트(V) 신호(DDC 5V)는 중간 접속부(280m)에 출력된다.
중간 접속부(280m)로부터의 HPD(Hot Plug Detection)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는 호스트 접속부(280h)에 입력된다.
도 29는, 도 18의 송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290)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9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29를 참조하면, VGA용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290)는 제1 중간 접속부(290m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902, ADC), 직병렬 변환부(2904, SERDES), 및 제2 중간 접속부(290m2)를 포함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902, ADC)는, 제1 중간 접속부(290m1)로부터의 VGA 비디오 신호들(2101), 수평 동기 신호(H_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_Sync)를 디지털 신호들(2903)로 변환하여 직병렬 변환부(2904, SERDES)에 출력한다.
직병렬 변환부(2904, SERDES)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902, ADC)로부터의 VGA 비디오 신호들(2101), 수평 동기 신호(H_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_Sync), 그리고 제1 중간 접속부(290m1)로부터의 DDC 신호들(SCL, SDA) 및 5 볼트(V) 신호(DDC 5V)를 직렬화하고, 직렬화 결과의 4 채널 신호들(2905)을 제2 중간 접속부(290m2)에 출력한다.
또한, 직병렬 변환부(2904, SERDES)는 제2 중간 접속부(290m2)로부터의 수신 신호들(2906)을 HPD(Hot Plug Detection)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로서 제1 중간 접속부(290m1)에 입력한다.
도 30은, 도 18의 송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300)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30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30을 참조하면, VGA용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300)는 중간 접속부(300m),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들(3001, 3002, LDD), 수신 신호 증폭부(3003, AMP), 전원 입력 단자(300p), 2-채널 TOSA(3004), 및 ROSA(Reception Optical Sub-Assembly, 3005)를 포함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들(3001, 3002, LDD)에 의하여 동작하는 2-채널 TOSA(3004)는, 중간 접속부(300m)로부터의 직렬화 송신 신호들을 광 신호들로 변환하여, 2-광섬유 신호들(300f2) 중 1-광섬유 신호들로서 수신부에 전송한다.
ROSA(3005)는 2-광섬유 신호들(300f2) 중 1-광섬유 신호들로서 수신된 HPD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전기적 신호들로 변환한다.
수신 신호 증폭부(3003, AMP)는 ROSA(3005)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증폭하여 중간 접속부(1803m)에 입력한다.
여기에서, 도 30의 VGA용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300)의 내부 구성은 도 22의 DVI용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1803)의 내부 구성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3단 구조에 의하면,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는 동일한 구성으로써 신호 종류와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31은, 도 18의 송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300)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31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31을 참조하면, VGA용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300)는 중간 접속부(300m),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들(3101, 3102, LDD), 수신 신호 증폭부(3103, AMP), 전원 입력 단자(300p), 및 3중 OSA(Optical Sub-Assembly, 3104)를 포함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들(3101, 3102, LDD)에 의하여 동작하는 3중 OSA(2304)는, 중간 접속부(300m)로부터의 직렬화 송신 신호들을 광 신호들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의 광 신호들을 1-광섬유 신호들(300f1)로서 수신부에 전송한다.
또한, 3중 OSA(3104)는 1-광섬유 신호들(300f1)로서 수신된 HPD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전기적 신호들로 변환한다.
수신 신호 증폭부(3103, AMP)는 3중 OSA(3104)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증폭하여 중간 접속부(300m)에 입력한다.
여기에서, 도 31의 VGA용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300)의 내부 구성은 도 23의 DVI용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1803)의 내부 구성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3단 구조에 의하면,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는 동일한 구성으로써 신호 종류와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32는, 도 19의 수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320)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24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32를 참조하면, VGA용 광 신호 처리부(320)는 전원 입력 단자(320p), 2-채널 ROSA(3204), TOSA(3205), 수신 신호 증폭부들(3201, 3202, AMP),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3203, LDD) 및 중간 접속부(320m)를 포함한다.
2-채널 ROSA(3204)는 2-광섬유 신호들(320f2) 중 1-광섬유 신호들로서 수신된 신호들을 전기적 신호들로 복원한다.
수신 신호 증폭부들(3201, 3202, AMP)은 2-채널 ROSA(3204)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증폭하여 중간 접속부(320m)에 입력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3203, LDD)에 의하여 동작하는 TOSA(3205)는, 중간 접속부(320m)로부터의 HPD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광 신호들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의 광 신호들을 2-광섬유 신호들(1903f2) 중 1-광섬유 신호들로서 송신부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도 32의 VGA용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320)의 내부 구성은 도 24의 DVI용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1903)의 내부 구성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3단 구조에 의하면,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는 동일한 구성으로써 신호 종류와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33은, 도 19의 수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320)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33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33을 참조하면, VGA용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320)는 전원 입력 단자(320p), 3중 OSA(3304), 수신 신호 증폭부들(3301, 3302, AMP),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3303, LDD) 및 중간 접속부(320m)를 포함한다.
3중 OSA(3304)는 1-광섬유 신호들(320f1)로서 수신된 신호들을 전기적 신호들로 복원한다.
수신 신호 증폭부들(3301, 3302, AMP)은 3중 OSA(3304)로부터의 수신 신호들을 증폭하여 중간 접속부(320m)에 입력한다.
한편, 3중 OSA(3304)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3303, LDD)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면서, 중간 접속부(320m)로부터의 HPD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광 신호들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의 광 신호들을 1-광섬유 신호들(320f1)로서 송신부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도 33의 VGA용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320)의 내부 구성은 도 25의 DVI용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1903)의 내부 구성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3단 구조에 의하면,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는 동일한 구성으로써 신호 종류와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34는, 도 19의 수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340)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34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34를 참조하면, VGA용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340)는 제1 중간 접속부(340m1), 직병렬 변환부(3403, SERDES),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405, DAC) 및 제2 중간 접속부(340m2)를 포함한다.
직병렬 변환부(3403, SERDES)는, 제1 중간 접속부(340m1)로부터의 수신 신호들(3401) 중에서 VGA 비디오 신호들, 수평 동기 신호(H_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_Sync)를 추출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405, DAC)에 입력한다.
또한, 직병렬 변환부(3403, SERDES)는, 제1 중간 접속부(340m1)로부터의 수신 신호들(3401) 중에서 직렬 데이터 신호(SDA), 클럭 신호(SCL) 및 5 볼트(V) 신호(DDC 5V)를 추출하여 제2 중간 접속부(340m2)에 입력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405, DAC)는 직병렬 변환부(3403, SERDES)로부터의 VGA 비디오 신호들(3406), 수평 동기 신호(H_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_Sync)를 아날로그 신호들로 복원하여 제2 중간 접속부(340m2)에 입력한다.
한편, 직병렬 변환부(3403, SERDES)는, 제2 중간 접속부(340m2)로부터의 HPD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를 제1 중간 접속부(340m1)에 출력한다.
도 35는, 도 19의 수신부가 DVI용이 아니라 VGA용이다고 가정한 경우, 수신부의 핀-배치 변경부(350)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35에서 참조 부호 VCC는 직류 전원 전압을, 그리고 GND는 접지 전압을 각각 가리킨다.
도 35를 참조하면, 수신부의 핀-배치 변경부(350)는 중간 접속부(350m) 및 디스플레이 접속부(350d)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접속부(350d)의 핀 배열은 규정 배열과 동일하지만, 중간 접속부(350m)의 핀 배열은 전기 신호 처리부(340)가 보다 집적화되도록 변경되어 있다.
중간 접속부(350m)로부터의 VGA 비디오 신호들(3406), 수평 동기 신호(H_Sync), 수직 동기 신호(V_Sync), DDC(Display Data Channel) 신호들(SCL, SDA) 및 5 볼트(V) 신호(DDC 5V)는 디스플레이 접속부(350d)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HPD(Hot Plug Detection) 신호(HPD)와 직렬 데이터 신호(SDA)는 디스플레이 접속부(350d)를 통하여 중간 접속부(350m)에 출력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광 커넥터에 의하면, 송신부 또는 수신부가 2단 또는 3단 구조이다.
2단 구조의 경우에 송신부 또는 수신부에 있어서, 전기 신호 처리부와 광 신호 처리부가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3단 구조의 경우에 송신부 또는 수신부에 있어서, 핀-배치 변경부, 전기 신호 처리부, 및 광 신호 처리부가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의 광 커넥터에 의하면, 송신부 또는 수신부가 고장난 경우에 고장난 송신부 전체 또는 수신부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는, 경제적인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광 커넥터에 의하면, 각각 다수의 소자들을 구비한 송신부 또는 수신부의 고장 진단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광 커넥터 뿐만 아니라 영상 신호의 중계 장치에서도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Pdvid : D형 DVI(Digital Visual Interface) 포트,
Pdp : 디스플레이 포트(DP : Display Port),
Phdmi :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Pdvii : I형 DVI(Digital Visual Interface) 포트,
Pvga : VGA(Video Graphics Array) 포트,
301 : DVI 광 커넥터의 송신부, 302 : DVI 광 커넥터의 송신부,
303 : 광 케이블,
401 :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 401s : 나사들,
401h :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호스트 접속부,
401p :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걸림 돌출부,
402 :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
402m :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402r :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걸림 홈,
501 :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 501s : 나사들,
501d :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디스플레이 접속부,
501p :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걸림 돌출부,
502 :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
502m :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502r :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걸림 홈,
701, 801, 901, 1001 : 전원 입력 단자들,
702a, 702b, 802, 902, 1002a, 1002b : 광섬유 라인 접속부들,
1101 :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
1102 : DDC(Display Data Channel) 신호들,
DDC 5V : 5 볼트(V) 신호,
HPD : HPD(Hot Plug Detection) 신호,
1103 : 송신부의 송신 신호들, 1104 : 송신부의 수신 신호들,
1105 : 통신 제어부, VCC : 직류 전압,
GND : 접지 전압,
402m :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1201 :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
1202(AMP) : 송신부의 수신 신호 증폭부, 402p : 전원 입력 단자,
1203 : 6-파장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송신부,
402f1 : 단일-광섬유 신호들,
1301 :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
1302(AMP) : 송신부의 수신 신호 증폭부,
1303 : 4-파장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송신부,
1304 : BOSA(Bidirectional Optical Sub-Assembly),
1305(LDD)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
402f2 : 2-광섬유 신호들,
502 :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 502f1 : 1-광섬유 신호들,
1401 :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
1402(AMP) : 수신부의 수신 신호 증폭부,
1403 : 6-파장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수신부,
502m :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502f2 : 2-광섬유 신호들,
1501 :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
1502(AMP) : 수신부의 수신 신호 증폭부,
1503 : 4-파장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수신부,
1504 : BOSA(Bidirectional Optical Sub-Assembly),
1505(LDD)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
501 :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
501m :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1601 :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
1602 : DDC(Display Data Channel) 신호들,
DDC 5V : 5 볼트(V) 신호,
HPD : HPD(Hot Plug Detection) 신호,
1603 : 수신부의 송신 신호들, 1604 : 수신부의 수신 신호들,
1605 : 통신 제어부,
1701 : DVI 광 커넥터의 송신부,
1702 : DVI 광 커넥터의 수신부, 1703 : 광 케이블,
1801 :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
1801h :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호스트 접속부,
1801s : 나사들,
1801p :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걸림 돌출부,
1802 :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
1802m1 :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1802r1 :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걸림 홈,
1803 :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
1803m :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1803p :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걸림 돌출부,
1901 : 수신부의 핀-배치 변경부,
1901h : 수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호스트 접속부,
1901s : 나사들,
1901p : 수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걸림 돌출부,
1902 :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
1902m2 :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1902r1 :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걸림 홈,
1903 :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
1903m :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1903p :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걸림 돌출부,
1801 :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
1801h :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호스트 접속부,
2001 :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 SDA : 직렬 데이터 신호,
SCL : 직렬 클럭 신호,
1801m :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중간 접속부,
1802 :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
1802m1 :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제1 중간 접속부,
2101 : DVI 영상-데이터 신호들,
2102 : TMDS(Transition Minimized Display Signalling) 수신부,
2103 : TTL(Transistor to Transistor Logic) 영상-데이터 신호들,
2104(SERDES) : 직병렬 변환부,
2105 : 송신부의 직렬 송신 신호들, 2106 : 송신부의 수신 신호들,
1802m2 :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제2 중간 접속부,
1803 :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
1803m :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2201(LDD), 2202(LDD)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들,
2203(AMP) : 송신부의 수신 신호 증폭부,
2204 : 2-채널 TOSA(Transmission Optical Sub-Assembly),
2205 : ROSA(Reception Optical Sub-Assembly),
1803f2 : 2-광섬유 신호들,
2301(LDD), 2302(LDD)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들,
2303(AMP) : 송신부의 수신 신호 증폭부,
2304 : 3중 OSA(Optical Sub-Assembly), 1803f1 : 1-광섬유 신호들,
1903 :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
1903m :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2401(AMP), 2402(AMP) : 수신부의 수신 신호 증폭부들,
2403(LDD)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
2404 : 2-채널 ROSA(Reception Optical Sub-Assembly),
2405 : TOSA(Transmission Optical Sub-Assembly),
1903f2 : 2-광섬유 신호들,
2501(AMP), 2502(AMP) : 수신부의 수신 신호 증폭부들,
2503(LDD)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
2504 : 3중 OSA(Optical Sub-Assembly), 1903f1 : 1-광섬유 신호들,
280 :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
280h :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호스트 접속부,
2801 : VGA 비디오 신호들, H_Sync : 수평 동기 신호,
V_Sync : 수직 동기 신호, SDA : 직렬 데이터 신호,
SCL : 직렬 클럭 신호,
280m : 송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중간 접속부,
290 :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
290m1 :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제1 중간 접속부,
2901 : VGA 비디오 신호들,
2902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2903 : VGA 디지털 비디오 신호들, 2904(SERDES) : 직병렬 변환부,
2905 : 송신부의 직렬 송신 신호들, 2906 : 송신부의 수신 신호들,
290m2 : 송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제2 중간 접속부,
300 :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
300m : 송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3001(LDD), 3002(LDD)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들,
3003(AMP) : 송신부의 수신 신호 증폭부,
3004 : 2-채널 TOSA(Transmission Optical Sub-Assembly),
3005 : ROSA(Reception Optical Sub-Assembly),
300f2 : 2-광섬유 신호들,
3101(LDD), 3102(LDD)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들,
3103(AMP) : 송신부의 수신 신호 증폭부,
3104 : 3중 OSA(Optical Sub-Assembly), 300f1 : 1-광섬유 신호들,
320 :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
320m : 수신부의 광 신호 처리부의 중간 접속부,
3201(AMP), 3202(AMP) : 수신부의 수신 신호 증폭부들,
3203(LDD)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
3204 : 2-채널 ROSA(Reception Optical Sub-Assembly),
3205 : TOSA(Transmission Optical Sub-Assembly),
320f2 : 2-광섬유 신호들,
3301(AMP), 3302(AMP) : 수신부의 수신 신호 증폭부들,
3303(LDD)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
3304 : 3중 OSA(Optical Sub-Assembly), 320f1 : 1-광섬유 신호들,
340 :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
340m1 :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제1 중간 접속부,
3401 : 수신부의 직렬 수신 신호들, 3402 : 수신부의 송신 신호들,
3403(SERDES) : 직병렬 변환부,
3404 : VGA 디지털 비디오 신호들.
3405(DAC)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3406 : VGA 비디오 신호들,
340m2 : 수신부의 전기 신호 처리부의 제2 중간 접속부,
350 : 수신부의 핀-배치 변경부,
350m : 수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중간 접속부,
3501 : VGA 비디오 신호들. DDC 5V : 5 볼트(V) 신호,
HPD : HPD(Hot Plug Detection) 신호,
350 : 수신부의 핀-배치 변경부의 디스플레이 접속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송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한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 출력 포트의 핀 배치를 변경하는 핀-배치 변경부;
    상기 핀-배치 변경부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전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광 케이블 사이를 연결하는 광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핀-배치 변경부,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광 신호 처리부는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 광 커넥터.
  4. 호스트 장치의 영상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송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한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 입력 포트의 핀 배치를 변경하는 핀-배치 변경부;
    상기 핀-배치 변경부의 영상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전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광 케이블 사이를 연결하는 광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핀-배치 변경부, 상기 전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광 신호 처리부는 상호 분리 및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 광 커넥터.
KR1020130077293A 2013-07-02 2013-07-02 광 커넥터 KR101462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293A KR101462502B1 (ko) 2013-07-02 2013-07-02 광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293A KR101462502B1 (ko) 2013-07-02 2013-07-02 광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502B1 true KR101462502B1 (ko) 2014-11-20

Family

ID=5229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293A KR101462502B1 (ko) 2013-07-02 2013-07-02 광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5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548A (ko) * 2006-05-11 2006-06-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Uwb를 이용한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94511A (ja) * 2008-02-13 2009-08-27 Sharp Corp 信号伝送装置とコネクタユニット,コネクタシステムおよび接続アダプタ,接続アダプタシステムと電子機器
KR20120010666A (ko) * 2010-07-23 2012-02-06 옵티시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포트 광 커넥터
KR20130113161A (ko) * 2012-04-05 2013-10-15 정연수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548A (ko) * 2006-05-11 2006-06-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Uwb를 이용한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94511A (ja) * 2008-02-13 2009-08-27 Sharp Corp 信号伝送装置とコネクタユニット,コネクタシステムおよび接続アダプタ,接続アダプタシステムと電子機器
KR20120010666A (ko) * 2010-07-23 2012-02-06 옵티시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포트 광 커넥터
KR20130113161A (ko) * 2012-04-05 2013-10-15 정연수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409B1 (ko) 원거리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 인터페이스 모듈
US9979481B2 (en)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s cable
US7706691B2 (en) Transmission device having optical fiberhigh definition digital audio-video data interface
JP2006115516A (ja) ディジタルディスプレイ用の光ファイバ接続システム
US200900221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communication interfaces and protocols
CN110572602A (zh) 用于光学数据互连系统的激活的电池触发
US20230119332A1 (en) Usb connector for fiber optic cable and related usb extender
US20090052208A1 (en) Apparatus to Extend HDMI Connections over a Single Ethernet CAT Cable
JP2007180642A (ja) 高精細画像シリアルデータ伝送装置
US20220158814A1 (en) HDMI Signal Communication Over An Optical Link
KR101462502B1 (ko) 광 커넥터
KR100911245B1 (ko)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지털 영상 전송 시스템
KR101021891B1 (ko) 그래픽 신호 및 터치입력 신호의 장거리 전송을 위한 광신호 전송장치
US9053298B2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optical fiber
US8456456B2 (en) Dongle
JP2009123561A (ja) 光dviケーブル
US8458378B2 (en) Cable
US20070052869A1 (en) Long-distance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apparatus
KR101857980B1 (ko) 고속 능동형 광케이블
KR20050096701A (ko) 디지털 영상 전송장치
US20180241962A1 (en) Television main board apparatus, television and television system
JP4345652B2 (ja) デジタルビデオ信号インタフェースモジュール
JP5286749B2 (ja) 光デジタルビデオケーブル
KR100861417B1 (ko) 디지털 영상 전송장치의 수신기
JP2011151488A (ja) 映像信号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