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161A -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161A
KR20130113161A KR1020120035525A KR20120035525A KR20130113161A KR 20130113161 A KR20130113161 A KR 20130113161A KR 1020120035525 A KR1020120035525 A KR 1020120035525A KR 20120035525 A KR20120035525 A KR 20120035525A KR 20130113161 A KR20130113161 A KR 20130113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ower
cable
connecto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3429B1 (ko
Inventor
정연수
김영기
박문기
허지영
Original Assignee
정연수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수, 김영기 filed Critical 정연수
Priority to KR102012003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42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2Adaptations for optic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rigid-tube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박스에서 변환된 광신호를 광케이블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미디어 박스에 인가되는 전원을 전원케이블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는 미디어 박스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미디어 박스의 송신부와 연결되는 제1 광 어댑터와,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미디어 박스의 제1 파워 보드와 연결되는 제1 전원 콘센트를 내부에 구비하는 제1 어댑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부와 연결되는 제2 광 어댑터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파워 보드와 연결되는 제2 전원 콘센트를 내부에 구비하는 제2 어댑터; 상기 제1 광 어댑터에 결합되는 제1 광 커넥터와, 상기 제1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제1 전원 플러그를 내부에 구비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광 커넥터에서 연장되는 광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제2 광 어댑터에 결합되는 제2 광 커넥터와, 상기 제1 전원 플러그에서 연장되는 전원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제2 전원 플러그가 내부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 그리고, 상기 제1, 2 광 커넥터를 연결시키는 광케이블과, 상기 제1, 2 전원 플러그를 연결시키는 전원케이블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POWER AND OPTICAL SIGNAL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디어 박스에서 변환된 광신호를 광케이블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미디어 박스에 인가되는 전원을 전원케이블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LCD나 PDP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셋톱박스(Settop Box, STB)나 DVD 플레이어와 같은 미디어 박스(Media Box)에 연결되어 재생에 필요한 영상신호, 음성신호,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미디어 박스의 후면에는 영상신호 전송을 위한 15핀 D_Sub, 음성신호 전송을 위한 RCA 포트, 그리고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9핀 D-Sub 등과 같은 다양한 출력포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는 25핀 D-Sub 케이블, RCA 케이블 등 전용 케이블을 통해 상기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영상신호, 음성신호,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25핀 D_Sub, RCA 포트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미디어 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신호전송이 다양한 전용 케이블들을 통해 이루어질 경우 미디어 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배선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케이블의 전체 부피가 증가하여 이용자가 다루기가 쉽지 않고 공간활용도가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상용화되어있는 디지털 전송 방식들 예를 들어,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패널 링크(Panel Link),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a와 같은 표준 방식에는 전용 케이블로서 동축 케이블 또는 구리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는데, 전용 케이블로 동축 케이블 또는 구리 케이블이 사용될 경우 케이블 길이가 3m 이상으로 증가하면 케이블에 따른 노이즈(Noise)의 영향으로 영상신호가 감쇄되므로 신호의 장거리 전송이 힘들뿐만 아니라 케이블 간에 전자기 방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 현상이 발생하여 전송 데이터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디어 박스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미디어 박스의 송신부와 연결되는 제1 광 어댑터와,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미디어 박스의 제1 파워 보드와 연결되는 제1 전원 콘센트를 내부에 구비하는 제1 어댑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부와 연결되는 제2 광 어댑터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파워 보드와 연결되는 제2 전원 콘센트를 내부에 구비하는 제2 어댑터; 상기 제1 광 어댑터에 결합되는 제1 광 커넥터와, 상기 제1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제1 전원 플러그를 내부에 구비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광 커넥터에서 연장되는 광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제2 광 어댑터에 결합되는 제2 광 커넥터와, 상기 제1 전원 플러그에서 연장되는 전원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제2 전원 플러그가 내부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 그리고, 상기 제1, 2 광 커넥터를 연결시키는 광케이블과, 상기 제1, 2 전원 플러그를 연결시키는 전원케이블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는 전기신호가 아닌 미디어 박스에서 변환되는 광신호를 광케이블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므로 거리에 따른 신호 감쇄가 없어 원거리에서도 선명한 영상신호 및 깨끗한 음성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는 미디어 박스에 인가되는 전원을 전원케이블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전송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케이블의 낭비를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는 광신호 전송을 위한 광케이블과 전원 전송을 위한 전원케이블이 모두 케이블 튜브 내부에 수납되어 하나의 라인으로 정리되므로 배선구조가 매우 단순해져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복잡한 배선들에 의한 불필요한 공간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어댑터에 제1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어댑터에 제2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어댑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어댑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커넥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ㄷ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커넥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어댑터에 제1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어댑터에 제2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는 제1 어댑터(Adaptor)(100), 제2 어댑터(200), 제1 커넥터(Connector)(300), 제2 커넥터(400), 그리고 케이블 튜브(Cable Tube)(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어댑터(100)는 셋톱박스(Settop Box, STB)나 DVD 플레이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박스(Media Box)(6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미디어 박스의 송신부(610)로부터 광신호를 전달받고, 또한 미디어 박스의 제1 파워 보드(Power Board)(6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어댑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위해 제1 어댑터(100)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미디어 박스의 송신부(610)와 광케이블(Optical Cable)(611)을 통해 연결되어 광신호를 전달받는 제1 광 어댑터(110)(Optical Adaptor)(110)가 구비된다.
상기 미디어 박스(600)의 송신부(610)는 R, G, B 영상신호, 음성신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병렬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미도시)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직렬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광 변환보드(Electrical to Optical Conversion Board)(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광 어댑터(110)는 전광 변환보드와 광케이블(611)로 연결되어 전광 변환보드에서 출력되는 광신호를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제1 어댑터(100)의 내부에는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미디어 박스(600)의 제1 파워 보드(620)와 전원케이블(621)을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1 전원 콘센트(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파워 보드(620)는 전자기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자기기에 적합한 레벨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제1 전원 콘센트(120)가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제1 파워 보드(620)에 전원케이블(621)을 통해 연결되면 제1 파워 보드(620)를 통해 제1 전원 콘센트(120)에는 자연히 필요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제2 어댑터(200)는 상술한 제1 어댑터(100)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어댑터(100) 및 이하 설명할 제1 커넥터(300), 케이블 튜브(500), 제2 커넥터(400)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부(710)로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어댑터(100), 제1 커넥터(300), 케이블 튜브(500), 제2 커넥터(400)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파워 보드(720)로 전송한다.(도 1 및 도 3참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어댑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위해 제2 어댑터(200)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부(710)와 광케이블(711)을 통해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부(710)에 광신호를 전송하는 제2 광 어댑터(21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수신부(710)는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보드(Optical to Electrical Conversion Board)(미도시)와, 상기 광전 변환보드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서 직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미도시)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R, G, B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로 분리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 광 어댑터(210)는 광전 변환보드와 광케이블(711)로 연결되어 광신호를 광전 변환보드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2 어댑터(20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7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파워 보드(720)와 전원케이블(721)을 통해 연결되는 제2 전원 콘센트(2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파워 보드(720)는 이미 설명한 미디어 박스(600)에 설치되는 제1 파워 보드(610)와 동일한 장치로서, 제2 전원 콘센트(22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모니터, HD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종류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적합한 레벨의 전원을 선택하여 공급한다.
미설명부호 630, 730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A/D 보드이다.
한편, 상기 제1 어댑터(100) 및 제2 어댑터(200)는 이하 설명될 제1 커넥터 (300)및 제2 커넥터(400)와의 결합을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구조를 이룬다. 미디어 박스(6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700)가 운반되거나 판매 등을 위해 일정 장소에 보관될 경우 제1, 2 어댑터(100, 200)는 제1, 2 커넥터(300, 400)와 분리된 상태로 운반되거나 보관되는데, 이때 제1, 2 어댑터(100, 200)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제1, 2 어댑터(100, 200)의 고장을 야기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2 어댑터(100, 200)의 개방된 일면에는 제1, 2 어댑터(100, 200)에서 제1, 2 커넥터(300, 400)가 분리될 경우 개방된 일면을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130, 230)가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2 어댑터(100, 200)의 개방된 일면에는 슬라이딩 도어(130, 230)를 대신하여 비교적 단순한 구조의 캡(Cap) 또는 커버(Cover)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어댑터(100)의 일측에는 제1 광 어댑터(110) 및 제1 전원 콘센트(120)에서 연장되어 제1 어댑터(100) 외부로 빠져나가는 광케이블(611) 및 전원케이블(621)을 고정시키는 제1 케이블 홀더(14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케이블 홀더(140)는 제1 어댑터(100) 외부로 빠져나가는 광케이블 (611)과 전원케이블(621)의 꼬임을 방지하여 광케이블(611) 및 전원케이블(621)이 미디어 박스(600)의 송신부(610) 및 제1 파워 보드(62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어댑터(200)의 일측에는 제2 광 어댑터(210) 및 제2 전원 콘센트(220)에서 연장되어 제2 어댑터(200) 외부로 빠져나가는 광케이블(711) 및 전원케이블(721)을 고정시키는 제2 케이블 홀더(24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케이블 홀더(240)는 제2 어댑터(200) 외부로 빠져나가는 광케이블 (711)과 전원케이블(721)의 꼬임을 방지하여 광케이블(711) 및 전원케이블(721)이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수신부(710) 및 제2 파워 보드(72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커넥터(300)와 제2 커넥터(400)는 상술한 제1 어댑터(100)와 제2 어댑터(200)에 각각 결합되어 미디어 박스(600)의 송신부(610) 및 제1 파워 보드(620)에서 제1 어댑터(100)로 전송되는 광신호 및 전원을 제2 어댑터(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도 1 내지 도 3참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커넥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커넥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기 제1 커넥터(300)의 내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 어댑터(110)에 결합되는 제1 광 커넥터(310)와, 상기 제1 전원 콘센트(120)에 결합되는 제1 전원 플러그(3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커넥터(400)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 커넥터(310)에서 연장되는 광케이블(311)과 연결되어 상기 제2 광 어댑터(210)에 결합되는 제2 광 커넥터(410)와, 상기 제1 전원 플러그(320)에서 연장되는 전원케이블(321)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전원콘센트(220)에 결합되는 제2 전원 플러그(4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1 광 커넥터(310)가 제1 광 어댑터(110)에 결합되고, 제1 전원 플러그(320)가 제1 전원 콘센트(120)에 결합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어댑터(100)에 제1 커넥터(300)가 결합되며, 또한 제2 광 커넥터(410)가 제2 광 어댑터(210)에 결합되고, 제2 전원 플러그(420)가 제2 전원 콘센트(220)에 결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어댑터(200)에 제2 커넥터(40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 2 커넥터(300, 400)가 제1, 2 어댑터(100, 200)에 결합되면 제1 광 어댑터(11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는 제1 광 커넥터(310)와, 제1 광 커넥터(310)에서 연장되는 광케이블(311), 그리고 제2 광 커넥터(410)를 거쳐 제2 광 어댑터(210)로 전송되며, 제1 전원 콘센트(120)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은 제1 전원 플러그(320)와, 제1 전원 플러그(320)에서 연장되는 전원케이블(321), 그리고 제2 전원 플러그(420)를 거쳐 제2 전원 콘센트(220)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제1, 2 커넥터(300, 400) 역시 제1, 2 어댑터(100, 200)와의 결합을 위해 일면이 개방된 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제1, 2 커넥터(300, 400)가 제1, 2 어댑터(100, 200)에서 분리되면 이미 설명한 제1, 2 어댑터(100, 200)와 같이 제1, 2 커넥터(300, 400)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2 커넥터(300, 400)의 개방된 일면에도 제1, 2 어댑터(100, 200)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130, 230)와 같이 개방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330, 430) 등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 튜브(500)는 제1, 2 광 커넥터(310, 410)를 연결시키는 광케이블(311)과, 제1, 2 전원 플러그(320, 420)를 연결시키는 전원케이블(321)을 감싸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일종의 보호 튜브로서, 내부에 광케이블(311)과 전원케이블(321)이 수납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제1 커넥터(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커넥터(4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케이블 튜브(500)는 광케이블(311)과 전원케이블(321)이 꼬이거나 묶여져 함께 원형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원형 케이블(Circular Cable) 형태로 제작되거나, 광케이블(311)과 전원케이블(321)이 묶이거나 꼬이지 않고 각각 펼쳐진 상태로 내부에 수납되는 플랫 케이블(Flat Cable)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광케이블(311)과 전원케이블(321)이 서로 꼬이거나 묶여진 상태로 케이블 튜브(500) 내부에 있게 되면 케이블 상호간의 노이즈(Noise) 영향이 증가되고 신호 Loss 역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케이블 튜브(500)는 광케이블(311)과 전원케이블(321)이 묶이거나 꼬이지 않고 각각 펼쳐진 상태로 내부에 수납되는 플랫 케이블 형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케이블 튜브(500)의 일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3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케이블 튜브(500) 내부에 수납되는 광케이블(311)과 전원케이블(321)을 제1 광 커넥터(310) 및 제1 전원 플러그(320)로 안내하는 제1 케이블 가이드(Cable Guide)(5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튜브(500)의 타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4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케이블 튜브(500) 내부에 수납된 광케이블(311)과 전원케이블(321)을 제2 광 커넥터(410) 및 제2 전원 플러그(420)로 안내하는 제2 케이블 가이드(5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2 케이블 가이드(510, 520)는 광케이블(311)과 전원케이블(321)이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하여 광케이블(311)과 전원케이블(321)이 안정적으로 제1, 2 광 케넥터(310, 410) 및 제1, 2 전원 플러그(320, 4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에 의해 미디어 박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원과 광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2 커넥터(300, 400)를 제1, 2 어댑터(100, 200)에 각각 결합시키고 미디어 박스(600)에 외부 전원을 연결하면, 미디어 박스(6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 음성신호, 제어신호는 미디어 박스의 송신부(610)에서 광신호로 변환된 후 제1 광 어댑터(110), 제1 광 커넥터(310), 케이블 튜브(50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광케이블(311), 제2 광 커넥터(410), 제2 광 어댑터(210)를 차례로 거쳐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부(71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부(710)에 입력된 광신호는 수신부(710)에서 다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화면 및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외부 전원에 의해 미디어 박스(600)에 인가되는 전원은 미디어 박스의 제1 파워 보드(620)를 거쳐 제1 전원 콘센트(120), 제1 전원 플러그(220), 케이블 튜브(50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전원케이블(321), 제2 전원 플러그(420), 제2 전원 콘센트(220)를 거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파워 보드(72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구동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은 그 범위가 전술된 바에 한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고, 그 균등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제1 어댑터 110: 제1 광 어댑터
120: 제1 전원 콘센트 130, 230: 슬라이딩 도어
140: 제1 케이블 홀더 200: 제2 어댑터
210: 제2 광 어댑터 220: 제2 전원 콘센트
240: 제2 케이블 홀더 300: 제1 커넥터
310: 제1 광 커넥터 311, 711: 광케이블
320: 제1 전원 플러그 321, 721: 전원케이블
330, 430: 덮개 400: 제2 커넥터
410: 제2 광 커넥터 420: 제2 전원 플러그
500: 케이블 튜브 600: 미디어 박스
610: 송신부 620: 제1 파워 보드
630, 730: A/D 보드 700: 디스플레이 장치
710: 수신부 720: 제2 파워 보드

Claims (9)

  1. 미디어 박스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미디어 박스의 송신부와 연결되는 제1 광 어댑터와,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미디어 박스의 제1 파워 보드와 연결되는 제1 전원 콘센트를 내부에 구비하는 제1 어댑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부와 연결되는 제2 광 어댑터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파워 보드와 연결되는 제2 전원 콘센트를 내부에 구비하는 제2 어댑터;
    상기 제1 광 어댑터에 결합되는 제1 광 커넥터와, 상기 제1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제1 전원 플러그를 내부에 구비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광 커넥터에서 연장되는 광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제2 광 어댑터에 결합되는 제2 광 커넥터와, 상기 제1 전원 플러그에서 연장되는 전원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제2 전원 플러그가 내부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 그리고,
    상기 제1, 2 광 커넥터를 연결시키는 광케이블과, 상기 제1, 2 전원 플러그를 연결시키는 전원케이블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어댑터는 제1, 2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해 일면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개방된 일면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의 일측에는 제1 광 어댑터와 미디어 박스의 송신부를 연결시키는 광케이블 및 제1 전원 콘센트와 제1 파워 보드를 연결시키는 전원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제1 케이블 홀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어댑터의 일측에는 제2 광 어댑터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부를 연결시키는 광케이블 및 제2 전원 콘센트와 제2 파워 보드를 연결시키는 전원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제2 케이블 홀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커넥터는 제1, 2 어댑터와의 결합을 위해 일면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개방된 일면에는 개방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튜브는 광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꼬이거나 묶여져 함께 원형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원형 케이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튜브는 광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묶이거나 꼬이지 않고 각각 펼쳐진 상태로 내부에 수납되는 플랫 케이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튜브의 일단에는 제1 커넥터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케이블 튜브 내부에 수납된 광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을 제1 광 커넥터 및 제1 전원 플러그로 안내하는 제1 케이블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튜브의 타단에는 제2 커넥터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케이블 튜브 내부에 수납된 광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을 제2 광 커넥터 및 제2 전원 플러그로 안내하는 제2 케이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박스의 송신부는 R, G, B 영상신호, 음성신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병렬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직렬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광 변환보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광 어댑터는 상기 전광 변환보드와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부는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보드와, 상기 광전 변환보드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서 직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R, G, B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로 분리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광 어댑터는 상기 광전 변환보드와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KR1020120035525A 2012-04-05 2012-04-05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KR101333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525A KR101333429B1 (ko) 2012-04-05 2012-04-05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525A KR101333429B1 (ko) 2012-04-05 2012-04-05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161A true KR20130113161A (ko) 2013-10-15
KR101333429B1 KR101333429B1 (ko) 2013-11-26

Family

ID=4963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525A KR101333429B1 (ko) 2012-04-05 2012-04-05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4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502B1 (ko) * 2013-07-02 2014-11-20 옵티시스 주식회사 광 커넥터
WO2019135608A1 (en) 2018-01-04 2019-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ource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WO2019182247A1 (ko) * 2018-03-23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121B1 (ko) 2017-10-12 2022-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762A (ko)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956479B1 (ko) * 2008-03-06 2010-05-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전원선 복합 케이블
KR20100029422A (ko) * 2008-09-08 2010-03-17 김동천 전원 및 데이터 일체형 플러그
KR101067698B1 (ko) * 2009-07-28 2011-09-27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광전 복합 케이블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502B1 (ko) * 2013-07-02 2014-11-20 옵티시스 주식회사 광 커넥터
WO2019135608A1 (en) 2018-01-04 2019-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ource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20190083526A (ko) * 2018-01-04 2019-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신호 전송 장치, 전자 장치, 소오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527432A (zh) * 2018-01-04 2020-08-11 三星电子株式会社 光信号传输设备、电子设备、源装置及其操作方法
US10796824B2 (en) 2018-01-04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ource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EP3685203A4 (en) * 2018-01-04 2020-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DEVICE FOR OPTICAL SIGNALS, ELECTRONIC DEVICE, SOURCE DEVICE AND OPERATING PROCEDURES FOR IT
CN111527432B (zh) * 2018-01-04 2022-08-09 三星电子株式会社 光信号传输设备、电子设备、源装置及其操作方法
WO2019182247A1 (ko) * 2018-03-23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1239911B2 (en) 2018-03-23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429B1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77524B2 (ja) 光データ相互接続システムを起動する為の電池トリガ
US9549148B2 (en) Power supply architectures for powered devices
KR101307011B1 (ko) 백 채널링을 위한 송신, 수신 및 누화 제거 필터
JP3979300B2 (ja) デジタルビデオ信号伝送用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
KR101333429B1 (ko) 전원 및 광신호 전송장치
US8462759B2 (en) Multi-media digital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CN101426120B (zh) 用单根以太网电缆延展hdmi和/或dvi接口连接长距离的方法
US9250405B2 (en) Fiber optic cable with electrical connectors at both ends, wall plates and control boxes
JP2022525134A (ja) シンクを動力源とする光データ相互接続システム
CN101727873A (zh) 信号转换装置与显示系统
US20090156054A1 (en) Wall plate assembly
US20080018653A1 (en) Graphic card
CN101809549B (zh) 电子设备以及用于取消电子设备的防火墙的方法
US20090052208A1 (en) Apparatus to Extend HDMI Connections over a Single Ethernet CAT Cable
US11081254B2 (en) Smart home cable
JP2007180642A (ja) 高精細画像シリアルデータ伝送装置
CN109587427A (zh) 高清晰多媒体接口有源光缆电路
JP2019504581A (ja) テレビメインボード装置、接続装置、テレビ及びテレビシステム
CN204257275U (zh) 高速率视频和高速率usb信号复合延长装置
JP5412663B2 (ja) ハイビジョントランシーバ
JP2009194511A (ja) 信号伝送装置とコネクタユニット,コネクタシステムおよび接続アダプタ,接続アダプタシステムと電子機器
CN103531977A (zh) 数据传输线
US10880012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20220368424A1 (en) Removable multimedia plug for aoc active optical cable
JP4345652B2 (ja) デジタルビデオ信号インタフェース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