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482B1 -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482B1
KR101462482B1 KR1020140024851A KR20140024851A KR101462482B1 KR 101462482 B1 KR101462482 B1 KR 101462482B1 KR 1020140024851 A KR1020140024851 A KR 1020140024851A KR 20140024851 A KR20140024851 A KR 20140024851A KR 101462482 B1 KR101462482 B1 KR 10146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binding
stone
flexibl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덕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102014002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 사면보호공 및 세굴방지공 등 각종 건설 공사에 활용되는 스톤 매트(stone mat)에 관한 것으로, 금속제 망체(網體)인 상부망(22)과 하부망(21) 사이에 사석, 쇄석 또는 호박돌 등의 석재(10)가 포설되는 스톤 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망(22)과 하부망(21)을 연결하는 결속재로서 가요성 강연선(鋼撚線)을 적용하되, 일단 하부망(21)에 결속재를 설치하고 석재(10)를 포설한 후, 결속재를 석재(10) 상측으로 노출시켜 상부망(22)을 결속함으로써, 포설된 석재(10)의 공극을 통하여 결속봉(29)을 투입하고 결속봉(29) 하단과 하부망(21)을 체결하는 공정 없이도, 스톤 매트의 상부망(22)과 하부망(21)의 견고하고 긴밀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스톤 매트의 상부망(22) 및 하부망(21) 결속 공정을 획기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고 공기를 단축하며,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STONE MAT CONSTRUCTION METHOD USING FLEXIBLE WIRE}
본 발명은 호안, 사면보호공 및 세굴방지공 등 각종 건설 공사에 활용되는 스톤 매트(stone mat)에 관한 것으로, 금속제 망체(網體)인 상부망(22)과 하부망(21) 사이에 사석, 쇄석 또는 호박돌 등의 석재(10)가 포설되는 스톤 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망(22)과 하부망(21)을 연결하는 결속재로서 가요성 강연선(鋼撚線)을 적용하되, 일단 하부망(21)에 결속재를 설치하고 석재(10)를 포설한 후, 결속재를 석재(10) 상측으로 노출시켜 상부망(22)을 결속함으로써, 포설된 석재(10)의 공극을 통하여 결속봉(29)을 투입하고 결속봉(29) 하단과 하부망(21)을 체결하는 공정 없이도, 스톤 매트의 상부망(22)과 하부망(21)의 견고하고 긴밀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호안(護岸), 사면보호공 및 세굴방지공(洗掘防止工) 등 각종 건설 공사에 활용되는 스톤 매트는 도 1에서와 같이, 금속제 망체인 하부망(21)이 설치 지점 지면에 전개되어 고정핀 등으로 지반에 고정되고, 하부망(21) 상면에 다수의 석재(10)가 포설되며, 포설된 석재(10) 상면에 역시 금속제 망체인 상부망(22)이 적층되어 포설된 석재(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금속제 망체인 상부망(22) 및 하부망(21) 사이에 다수의 석재(10)가 충전되어 매트형태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석재(10)를 덮는 상부망(22)과 하부망(21) 사이에는 도 1의 타원내 확대부 및 도 2에서와 같이, 전산볼트 등의 체결봉이 체결되어 상부망(22)을 하부망(21)에 고정함으로써, 석재(10)의 이탈 및 유실을 방지하고 스톤 매트의 형태 및 구조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톤 매트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754979호를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 제754979호를 비롯한 종래의 스톤 매트는 상부망(22)과 하부망(21)이 결속봉(29)를 통하여 상호 결속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는 도 1의 타원내 확대부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부망(22)과 하부망(21)에 결합되는 클립 또는 와셔 등의 부착물을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결속봉(29)으로 체결하는 방식으로서, 도 3의 좌측 도면에서와 같이, 하부망(21) 상부에 이미 석재(10)가 포설된 상태에서 극히 협소한 석재(10)간 공극에 결속봉(29)를 투입하여 결속봉(29)의 하단을 하부망(21)에 결속하고, 상부망(22) 상측으로 돌출된 결속봉(29)의 상단에 너트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진행되는 바, 그 공정이 지극히 복잡할 뿐 아니라 고도로 숙련된 인력이 다수 소요될 수 밖에 없어 장기간의 공기와 막대한 공사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3의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지면에 전개된 하부망(21)에 일단 결속봉(29)의 하단을 결속하여 설치하고, 이후 석재(10)를 포설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동 도면에서와 같이, 시공과정에서 결속봉(29)이 전도되고 전도된 결속봉(29) 상부에 석재(10)가 포설될 수 밖에 없으며, 상부망(22)의 설치를 위해서는 매몰된 결속봉(29) 상측의 석재(10)를 제거한 후 전도된 결속봉(29)을 다시 세우는 복잡한 작업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이 과정에서 석재(10)의 포설구조가 와해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금속제 망체인 하부망(21)을 지면에 전개하는 하부망전개단계(S10)와, 전개된 하부망(21)에 가요성 강연선인 다수의 가요강연선(30) 하단부를 결속하는 결선단계(S11)와, 다수의 가요강연선(30)이 결속된 하부망(21) 상부에 다수의 석재(10)를 포설하는 포설단계(S20)와, 포설된 석재(10)에 매몰된 가요강연선(30)의 상단부를 석재(10) 상측으로 인발하여 노출시키는 노출단계(S31)와,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을 전개하고 가요강연선(30) 상단부와 상부망(22)을 결속하는 상부망결속단계(S3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이다.
또한, 가요성 강연선인 다수의 가요강연선(30)의 하단부가 결속된 금속제 망체인 하부망(21)을 지면에 전개하는 결선망전개단계(S12)와, 다수의 가요강연선(30)이 결속된 하부망(21) 상부에 다수의 석재(10)를 포설하는 포설단계(S20)와, 포설된 석재(10)에 매몰된 가요강연선(30)의 상단부를 석재(10) 상측으로 인발하여 노출시키는 노출단계(S31)와,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을 전개하고 가요강연선(30) 상단부와 상부망(22)을 결속하는 상부망결속단계(S3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결선단계(S11)는 하부망(21)에 다수의 통공(41)이 천공된 판체인 천공판(40)이 밀착되고, 가요강연선(30)의 하단부가 천공판(40)의 통공(41) 중 하나의 통공(41)을 통과하여 하부망(21)에 교차된 후 다른 통공(41)을 통과함으로써, 천공판(40)의 통공(41)을 경유하여 하부망(21)과 교차되는 가요강연선(30)과 천공판(40) 사이에 하부망(21)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또는 상기 상부망결속단계(S32)는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이 전개된 후, 상부망(22)에 다수의 통공(41)이 천공된 판체인 천공판(40)이 밀착되고, 가요강연선(30)의 상단부가 천공판(40)의 통공(41) 중 하나의 통공(41)을 통과하여 상부망(22)에 교차된 후 다른 통공(41)을 통과함으로써, 천공판(40)의 통공(41)을 경유하여 상부망(22)과 교차되는 가요강연선(30)과 천공판(40) 사이에 상부망(22)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이다.
또한, 상기 천공판(40)의 통공(41) 사이에는 안착홈(45)이 요입(凹入) 형성되고, 천공판(40)의 상부망(22) 또는 하부망(21) 밀착시 안착홈(45)에 상부망(22) 또는 하부망(21)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스톤 매트의 상부망(22) 및 하부망(21) 결속 공정을 획기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고 공기를 단축하며,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경직된 구조의 종래 결속봉(29) 체결방식을 탈피하여 스톤 매트의 상부망(22)과 하부망(21)간 유연한 연결구조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수류(水流)에 의한 충격이 빈발하는 호안공 등 스톤 매트 적용 시설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톤 매트 시공상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스톤 매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스톤 매트 시공과정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과정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요강연선 결속상태 사시도
도 6은 천공판이 적용된 본 발명 가요강연선 결속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천공판을 통한 가요강연선 결속방식 설명도
도 8은 안착홈이 형성된 본 발명의 천공판 대표 단면 비교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중 결속형 천공판이 적용된 가요강연선 결속상태 사시도
도 10은 천공판이 적용된 본 발명 스톤 매트 시공상태 대표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는 본 발명 시공방법의 단계별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전개된 하부망(21) 상부에 석재(10)를 포설한 후 상부망(22)과 하부망(21)간 결속재를 설치하는 종래기술을 완전히 탈피한 것으로, 하부망(21)에 일단 결속재인 가요강연선(30)을 결선(結線)한 후 석재(10)를 포설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면에 전개된 하부망(21)에 가요강연선(30)을 결선하는 현장 결선방식과 가요강연선(30)이 기 결선된 하부망(21)을 지면에 전개하는 사전 결선방식으로 구분 수행될 수 있으며, 이중 현장 결선 방식은 도 4의 좌측 상단에서와 같이, 금속제 망체인 하부망(21)을 스톤 매트 시공 계획 지점 지면에 전개하는 하부망전개단계(S10)로 개시된다.
이후, 전개된 하부망(21)에 가요성 강연선인 다수의 가요강연선(30) 하단부를 결속하는 결선단계(S11)가 수행되는데, 가요강연선(30)과 하부망(21)의 결선부위에는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식 클램프(31)가 체결되거나 동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식 파이프터미널(pipe terminal)(32)이 결합되어 결선부위를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망(22)과 하부망(21)을 결속하는 가요강연선(30)은 스톤 매트의 설치면적, 포설되는 석재(10)의 중량 또는 수변 시설의 경우 수류에 의한 충격 등 외력 조건에 따라 그 결선 지점의 수 및 간격이 결정되며, 소요 결선 지점별로 전술한 결선단계(S11)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하부망(21)에 대한 가요강연선(30) 결속이 완료되면, 다수의 가요강연선(30)이 결속된 하부망(21) 상부에 다수의 석재(10)를 포설하는 포설단계(S20)가 수행된 후, 포설된 석재(10)에 매몰된 가요강연선(30)의 상단부를 석재(10) 상측으로 인발하여 노출시키는 노출단계(S31)가 수행된다.
종래의 스톤 매트에서는 석재(10)를 조밀하게 포설할 경우 상부망(22)과 하부망(21)의 결속 작업시 결속봉(29)의 투입 및 체결 공간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이완된 상태로 석재(10)를 포설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는 전체 스톤 매트내 석재(10)층의 구조적 치밀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야기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장강도는 종래 결속봉(29)에 필적하거나 오히려 상회하면서도 특유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가요강연선(30)을 적용함으로써, 석재(10)가 치밀하게 포설되어 가요강연선(30)이 매몰된 상태에서도 가요강연선(30)의 일부분을 포착하여 상측으로 인발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가요강연선(30)의 상단부를 상부망(22)에 결속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스톤 매트에 비하여 포설된 석재(10)가 일층 치밀한 조직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면 보호공 또는 호안공 등 스톤 매트 적용 구조물의 성능 및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노출단계(S31)가 완료되면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을 전개하고 가요강연선(30) 상단부와 상부망(22)을 결속하는 상부망결속단계(S32)가 수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스톤 매트가 완성되는데, 상부망(22)과 가요강연선(30)의 결속부에는 전술한 도 5에서와 같은 하부망(21)과 가요강연선(30)간 결속에서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가요강연선(30)이 기 결선된 하부망(21)을 지면에 전개하는 사전 결선방식은 도 4의 우측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강연선인 다수의 가요강연선(30) 하단부가 결속된 금속제 망체인 하부망(21)을 지면에 전개하는 결선망전개단계(S12)로 개시되며, 이후 전술한 포설단계(S20) 내지 상부망결속단계(S32)가 수행되어 스톤 매트가 완성된다.
결선망전개단계(S12)에 적용되는 하부망(21)은 현장 전개 직전은 물론 공장에서의 하부망(21) 생산단계 또는 가공단계에서 가요강연선(30)이 결속될 수 있는 바, 용접을 비롯한 다양한 결속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은 가요강연선(30)과 하부망(21) 또는 상부망(22)의 결속 수단으로서 다수의 통공(41)이 천공된 천공판(40)이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천공판(40)을 통하여 특별한 공구 또는 복잡한 현장 가공 공정 없이도 가요강연선(30)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요강연선(30)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인력(人力)으로도 충분한 변형이 가능한 수준의 가요성(可撓性)을 가진 소직경 강연선으로서, 휨 또는 비틀림 등의 변형은 충분히 가능하지만 외력이 제거되면 신속하게 복원되는 특징을 가지며, 따라서 저탄성 강철 또는 선철(銑鐵)로 제작되는 일반 철사와 달리 그 자체로 매듭을 형성하기가 매우 어려운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가요강연선(30)의 결속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클램프(31) 또는 파이프터미널(32) 등의 고정수단이 결합되어 결속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클램프(31)는 나사의 체결을 위한 공구 결합 및 조작이 필요하고 금속제 관체의 전연성(展延性) 변형을 이용하는 파이프터미널(32) 역시 금형이 결합된 압착공구가 필요할 뿐 아니라, 숙련된 인력의 장시간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전술한 결선단계(S11) 또는 상부망결속단계(S32)를 수행함에 있어서, 최소 2개 이상 다수의 통공(41)이 천공된 판체인 천공판(40)을 하부망(21) 또는 상부망(22)에 밀착하고, 가요강연선(30)의 단부를 상기 다수의 통공(41)을 순차 통과시키되, 천공판(40)의 통공(41)을 경유하는 가요강연선(30)이 상부망(22) 또는 하부망(21)과 교차되면서 천공판(40)과 가요강연선(30) 사이에 상부망(22) 또는 하부망(21)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또는 복잡한 장시간 작업 없이도 가요강연선(30)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전술한 결선단계(S11)는 도 7에서와 같이, 하부망(21)에 다수의 통공(41)이 천공된 판체인 천공판(40)이 밀착되고, 가요강연선(30)의 하단부가 천공판(40)의 통공(41) 중 하나의 통공(41)을 통과하여 하부망(21)에 교차된 후 다른 통공(41)을 통과함으로써, 천공판(40)의 통공(41)을 경유하여 하부망(21)과 교차되는 가요강연선(30)과 천공판(40) 사이에 하부망(21)이 결합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상부망결속단계(S32) 역시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이 전개된 후, 상부망(22)에 다수의 통공(41)이 천공된 판체인 천공판(40)이 밀착되고, 가요강연선(30)의 상단부가 천공판(40)의 통공(41) 중 하나의 통공(41)을 통과하여 상부망(22)에 교차된 후 다른 통공(41)을 통과함으로써, 천공판(40)의 통공(41)을 경유하여 상부망(22)과 교차되는 가요강연선(30)과 천공판(40) 사이에 상부망(22)이 결합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다.
이렇듯, 천공판(40)이 적용된 가요강연선(30)과 하부망(21) 또는 상부망(22)의 결속부위는 도 7의 우단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형성하게 되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강연선(30) 특유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만곡되었던 가요강연선(30)이 직선으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통공(41)의 외곽부와 가요강연선(30)의 외주면간에 형성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천공판(40)에서 가요강연선(30)이 이탈되지 않고 결속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의 천공판(40)과 가요강연선(30)간 결속 방식에서는 도 7의 우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강연선(30)을 천공판(40)에서 인발 이탈시키는 축방향 외력이 발생될 경우 가요강연선(30)의 외주면이 통공(41)의 외곽부에 더욱 강력하게 밀착되면서 마찰력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석재(10)의 활동 충격 또는 수류에 의한 충격 등 상부망(22) 및 하부망(21)과 가요강연선(30)을 해체하려는 외력이 작용하여도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천공판(40)의 통공(41) 사이에 안착홈(45)이 요입(凹入)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천공판(40)의 상부망(22) 또는 하부망(21) 밀착시 안착홈(45)에 상부망(22) 또는 하부망(21)이 결합되어, 일층 긴밀한 결속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천공판(40)과 가요강연선(30) 간의 결속력은 천공판(40)의 통공(41)을 경유하면서 만곡된 가요강연선(30)이 복원되면서 통공(41) 외곽부와 가요강연선(30)의 외주면간에 형성되는 마찰력에서 기인하므로, 가요강연선(30)의 천공판(40) 통과 구간이 직선에 근접할수록 결속력 측면에서 유리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판(40)과 가요강연선(30) 사이에 결합된 상부망(22) 또는 하부망(21)으로 인하여 가요강연선(30)이 과도하게 휘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력에 의하여 상부망(22) 또는 하부망(21)이 이동 또는 진동하는 과정에서 가요강연선(30)의 불필요한 휨변형이 촉진될 수 있으며, 이는 가요강연선(30)의 천공판(40) 이탈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판(40)에 안착홈(45)을 요입 형성하고 이 안착홈(45)에 상부망(22) 또는 하부망(21)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가요강연선(30)의 과도한 휨변형을 억제하고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9는 천공판(40)에 최소 3개 이상의 통공(41)을 형성하고 천공판(40)의 통공(41)을 2개소 경유하여 상부망(22) 또는 하부망(21)과 결속된 가요강연선(30)의 말단부가 상기 2개소의 통공(41)을 제외한 천공판(40)의 타 통공(41)을 재차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일층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0은 가요강연선(30)과 상부망(22)의 결속부 및 가요강연선(30)과 하부망(21)의 결속부 모두에 천공판(40)이 적용된 본 발명 스톤 매트의 시공상태 대표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이렇듯 스톤 매트를 구성하는 상부망(22)과 하부망(21)을 유연성과 인장강도를 겸비한 가요강연선(30)으로 연결함으로써 시공 편의성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10 : 석재
21 : 하부망
22 : 상부망
29 : 결속봉
30 : 가요강연선
31 : 클램프
32 : 파이프터미널
40 : 천공판
41 : 통공
45 : 안착홈
S10 : 하부망전개단계
S11 : 결선단계
S12 : 결선망전개단계
S20 : 포설단계
S31 : 노출단계
S32 : 상부망결속단계

Claims (5)

  1. 금속제 망체인 하부망(21)을 지면에 전개하는 하부망전개단계(S10)와, 전개된 하부망(21)에 가요성 강연선인 다수의 가요강연선(30) 하단부를 결속하는 결선단계(S11)와, 다수의 가요강연선(30)이 결속된 하부망(21) 상부에 다수의 석재(10)를 포설하는 포설단계(S20)와, 포설된 석재(10)에 매몰된 가요강연선(30)의 상단부를 석재(10) 상측으로 인발하여 노출시키는 노출단계(S31)와,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을 전개하고 가요강연선(30) 상단부와 상부망(22)을 결속하는 상부망결속단계(S32)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결선단계(S11)는 하부망(21)에 다수의 통공(41)이 천공된 판체인 천공판(40)이 밀착되고, 가요강연선(30)의 하단부가 천공판(40)의 통공(41) 중 하나의 통공(41)을 통과하여 하부망(21)에 교차된 후 다른 통공(41)을 통과함으로써, 천공판(40)의 통공(41)을 경유하여 하부망(21)과 교차되는 가요강연선(30)과 천공판(40) 사이에 하부망(21)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2. 금속제 망체인 하부망(21)을 지면에 전개하는 하부망전개단계(S10)와, 전개된 하부망(21)에 가요성 강연선인 다수의 가요강연선(30) 하단부를 결속하는 결선단계(S11)와, 다수의 가요강연선(30)이 결속된 하부망(21) 상부에 다수의 석재(10)를 포설하는 포설단계(S20)와, 포설된 석재(10)에 매몰된 가요강연선(30)의 상단부를 석재(10) 상측으로 인발하여 노출시키는 노출단계(S31)와,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을 전개하고 가요강연선(30) 상단부와 상부망(22)을 결속하는 상부망결속단계(S32)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부망결속단계(S32)는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이 전개된 후,
    상부망(22)에 다수의 통공(41)이 천공된 판체인 천공판(40)이 밀착되고, 가요강연선(30)의 상단부가 천공판(40)의 통공(41) 중 하나의 통공(41)을 통과하여 상부망(22)에 교차된 후 다른 통공(41)을 통과함으로써, 천공판(40)의 통공(41)을 경유하여 상부망(22)과 교차되는 가요강연선(30)과 천공판(40) 사이에 상부망(22)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3. 가요성 강연선인 다수의 가요강연선(30)의 하단부가 결속된 금속제 망체인 하부망(21)을 지면에 전개하는 결선망전개단계(S12)와, 다수의 가요강연선(30)이 결속된 하부망(21) 상부에 다수의 석재(10)를 포설하는 포설단계(S20)와, 포설된 석재(10)에 매몰된 가요강연선(30)의 상단부를 석재(10) 상측으로 인발하여 노출시키는 노출단계(S31)와,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을 전개하고 가요강연선(30) 상단부와 상부망(22)을 결속하는 상부망결속단계(S32)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부망결속단계(S32)는 석재(10) 상부에 상부망(22)이 전개된 후,
    상부망(22)에 다수의 통공(41)이 천공된 판체인 천공판(40)이 밀착되고, 가요강연선(30)의 상단부가 천공판(40)의 통공(41) 중 하나의 통공(41)을 통과하여 상부망(22)에 교차된 후 다른 통공(41)을 통과함으로써, 천공판(40)의 통공(41)을 경유하여 상부망(22)과 교차되는 가요강연선(30)과 천공판(40) 사이에 상부망(22)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천공판(40)의 통공(41) 사이에는 안착홈(45)이 요입(凹入) 형성되고, 천공판(40)의 하부망(21) 밀착시 안착홈(45)에 하부망(21)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천공판(40)의 통공(41) 사이에는 안착홈(45)이 요입(凹入) 형성되고, 천공판(40)의 상부망(22) 밀착시 안착홈(45)에 상부망(22)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KR1020140024851A 2014-03-03 2014-03-03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KR101462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51A KR101462482B1 (ko) 2014-03-03 2014-03-03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51A KR101462482B1 (ko) 2014-03-03 2014-03-03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482B1 true KR101462482B1 (ko) 2014-11-17

Family

ID=5229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851A KR101462482B1 (ko) 2014-03-03 2014-03-03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4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79B1 (ko) * 2006-01-26 2007-09-04 (주)리버앤텍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구조물
KR101219924B1 (ko) * 2012-08-01 2013-01-09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스톤매트의 체결구
KR101244415B1 (ko) * 2012-08-02 2013-03-18 석송희 스톤네트형 식생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79B1 (ko) * 2006-01-26 2007-09-04 (주)리버앤텍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구조물
KR101219924B1 (ko) * 2012-08-01 2013-01-09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스톤매트의 체결구
KR101244415B1 (ko) * 2012-08-02 2013-03-18 석송희 스톤네트형 식생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8085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рилегающих сбор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первого и второго сбор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KR20060134935A (ko) 보호 와이어 네트, 보호용 와이어 네트로 구성된 보호구조물, 및 보호 구조물의 제조를 위한 보호용 와이어네트의 용도
KR101395202B1 (ko) 탄소섬유 보강재 및 그리드형 섬유보강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KR102099207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KR101462482B1 (ko) 가요성 결속재를 이용한 스톤 매트 시공방법
JP5086871B2 (ja) 覆網式斜面保護工法
JPH08338005A (ja) コンクリート橋梁の補強方法
CA3044210A1 (en) Method of repairing cracked concrete
KR102226921B1 (ko)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JP5222666B2 (ja) 住宅コンクリート基礎の補強構造
KR102004420B1 (ko)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방법
JP4952029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JP4632566B2 (ja) 柱と梁の端部接合方法
KR101575082B1 (ko) 가요성 결속재가 설치된 스톤 매트
JP2012026088A (ja) ループ状継手付きプレキャスト床版の連結方法及び連結構造
JP2002322816A (ja) 壁面の補修工法
KR20150050012A (ko)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TWM602576U (zh) 建築預埋構件之結構及包含建築預埋構件之建築物結構
KR101223268B1 (ko) 교량의 보수 및 보강 방법
JP2008127941A (ja) 柱と梁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接合方法
JP2019210686A (ja) Rc部材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JP7032241B2 (ja) 天井板落下防止構造及び天井板落下防止方法
KR101745536B1 (ko) 하천보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03146B1 (ko) 철골 구조물의 결합 시공 방법 및 철골 구조물의 결합 구조체
JP3066016B1 (ja) 法枠および法枠構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