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952B1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952B1
KR101461952B1 KR1020080040790A KR20080040790A KR101461952B1 KR 101461952 B1 KR101461952 B1 KR 101461952B1 KR 1020080040790 A KR1020080040790 A KR 1020080040790A KR 20080040790 A KR20080040790 A KR 20080040790A KR 101461952 B1 KR101461952 B1 KR 10146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detergent box
washing water
cov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912A (ko
Inventor
조인호
김보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952B1/ko
Priority to CN2008101296869A priority patent/CN101387063B/zh
Publication of KR20090114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편리한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갖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그리고 세제와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세제 수용부, 세탁수와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세제박스 바디; 그리고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상부 커버,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부 커버를 갖는 세제박스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가 제공된다.
세탁장치, 세제박스 어셈블리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편리한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갖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탁장치 중 특히 세탁기는 세탁을 위하여 세제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세탁기에는 일반적으로 세제 투입을 위한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구비된다. 따라서,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특히 세탁기에 있어서는 자명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부를 갖고, 상기 공간에 세탁수가 투입되어 세탁수와 함께 세제가 세탁을 위한 공간인 터브 또는 드럼으로 공급된다.
종래의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대부분 세탁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세제 수용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서랍 타입으로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캐비닛의 상면에 뚜껑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문제는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세탁수가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될 때 세탁수가 캐비닛 내측이나 외측으로 누수되는 데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 내측으로 누수되었을 때에는 전기 부품 등에 손상을 야기할 우려가 있고, 캐비닛 외측으로 누수되었을 때는 세탁장치의 미관을 해치고 외부에 이차적인 오염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세제박스 어셈블리에 있어서는 세탁수가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은 당연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또한, 세탁을 위한 세제로 분말 세제와 같은 고형 세제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고형 세제가 세제 수용부에서 세탁수에 의해 충분히 씻겨지거나 용해되지 않아 굳어 버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된다. 즉, 일단 분말 세제가 적셔진 후 용해되지 않고 굳어 버리면 세제 수용부에 달라붙어 잘 분해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고형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 고형 세제로 인한 세제박스 어셈블리의 오염을 방지하고자 함 또한 당연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이러한 고형 세제뿐만 아니라 액체 세제를 사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액체 세제는 고형 세제에 비하여 분해가 매우 잘 되기 때문에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오염시킬 경우는 적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액체 세제를 사용할지 고형 세제를 사용할지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세제의 다양성에 부합되는 세제박스 어셈블리의 필요 또한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액체 세제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단순한 세탁 개념을 벗어나 세탁물에 향기와 유연함을 제공하기 위한 섬유유연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섬유유연제는 헹굼 시 사용하기 때문에 세탁을 위하여 세탁수를 세제박스 어셈블리로 공급할 때 세탁수가 섬유유연제와 혼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결국, 사용할 수 있는 세제의 형태와 섬유유연제 등을 감안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세제박스 어셈블리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 세탁장치에서의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편리하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탁수가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통해 세탁장치 내부 또는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형의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 세제가 세제박스 어셈블리에 잔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차적으로 세제박스 어셈블리에서 충분히 세제가 용해될 수 있어 세탁 완료 후 세탁물에 세제 찌꺼기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세제의 종류와 섬유유연제 등 사용자의 요구의 변화에 대응하여 이에 적합하고 사용이 편리한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그리고 세제와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세제 수용부 그리고 세탁수와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제박스 바디; 그리고 상기 세제박스 바디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제 수용부 둘레를 따라 형성 되어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제박스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세탁수 유로에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유입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는 슬릿, 통공 또는 오버플로우를 위한 격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로를 따라 세탁수가 유동하면서 일부의 세탁수는 반경 방향으로 빠져나가 세제 수용부로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탁수 유로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인렛(inlet)과 아웃렛(outlet)이 동일 평면 상에 형성이 바람직하고, 상기 인렛에서 아웃렛 사이의 구간은 적어도 상기 세제 수용부의 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제 수용부는 고형의 세제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본세제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형의 세제는 일반적으로 분말 형태의 세제를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본세제 수용부에는 반드시 고형의 세제만 수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이는 제조자의 권장 사항을 의미하므로 액상 세제가 상기 본세제 수용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세탁수 유로는 상기 본세제 수용부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 유로와 상기 본세제 수용부로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본세제 냉수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수 유로의 시작단은 온수 유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본세제 냉수 유로의 시작단은 본세제 냉수 유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유로와 상기 본세제 냉수 유로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공 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구간은 상기 본세제 수용부를 둘러싸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온수가 공급되는지 냉수가 공급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상기 본세제 수용부에 골고루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온수 유로의 온수 유입구 부근과 상기 본세제 냉수 유로의 본세제 냉수 유입구 부근에 각각 상기 세제박스 바디로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온수 유로로 유입된 온수가 상기 냉수 유입구로 유입되거나, 반대의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세제 수용부는 고형의 세제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예비세제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예비세제 수용부는 상기 본세제 수용부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세제와 예비세제를 구분하는 것은 애벌 세탁을 위해서 필요한 세제가 예비세제이고, 애벌 세탁 후 본 세탁을 위해서 필요한 세제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세탁수 유로는 상기 예비세제 수용부로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예비세제 냉수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예비세제 냉수 유로의 시작단은 예비세제 냉수 유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예비세제 냉수 유로의 유로 방향으로의 말단은 막혀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예비세제 냉수 유로에는 반경 방향으로 냉수가 상기 예비세제 수용부로 오버 플로우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격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릿, 통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예비세제 냉수 유로를 따라 상기 격벽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일례로 냉수 유로가 진행될 수록, 특히 냉수 유로의 말단에서의 격벽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수 유로의 말단까지 충분히 세탁수가 공급되어 세제 수용부를 둘러싸는 모든 방향에서 충분히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예비세제 냉수 유로의 말단 부분에 상기 예비세제 냉수 유로의 바닥면 이하 높이를 갖는 잔수배수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되었을 상기 유로에 세탁수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예비세제 수용부와 예비세제 냉수 유로는 전술한 본세제 수용부와 본세제 냉수 유로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세제와 예비세제의 구분은 언제 이러한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할지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일 뿐 특별히 구별할 실익은 없다고 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세제와 세탁수를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고형세제 수용부와 액상세제 수용부를 갖는 세제 수용부, 그리고 세탁수와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제박스 바디; 그리고 세탁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세제박스 바디 상부에 구비되는 세제박스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탁수 유로는, 상기 고형세제 수용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고형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고형세제 세탁수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세탁수 유로는 상기 고형세제 세탁수 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액상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액상세제 세탁수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형세제 세탁수 유로 상에 일부의 세탁수를 상기 액상세제 수용부로 원활히 안내하도록 안내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제박스 바디는 제 2 고형세제 수용부를 추가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액상세제 수용부는 상기 고형세제 수용부들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예를 들어 두 개의 고형세제 수용부가 구비된다면, 어느 하나는 본세제 수용부 다른 하나는 예비세제 수용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세탁수 유로는, 상기 제 2 고형세제 수용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2 고형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2 고형세제 세탁수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상세제 수용부는 섬유유연제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일측에는 액상세제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구획되어 타측에는 섬유유연제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세탁수 유로는 상기 고형세제 세탁수 유로와 상기 제 2 고형세제 세탁수 유로 사이에 상기 섬유유연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섬유유연제 세탁수 유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섬유유연제 세탁수 유로는, 상기 고형세제 세탁수 유로와 상기 제 2 고형세제 세탁수 유로로 세탁수가 유입될 때 상기 유입되는 세탁수 사이의 모멘텀의 상쇄로 인해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제박스 커버는,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 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세탁수를 원활히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를 갖는 상부 커버;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와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세탁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부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그리고 세제와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세제 수용부, 세탁수와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세제박스 바디; 그리고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상부 커버,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부 커버를 갖는 세제박스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투입구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세탁수를 원활히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탁수 유로는 상기 세제 수용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반경 방향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하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세탁수를 하방으로 안내함으로써 주변으로 세탁수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세탁 수 유로의 외측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부 연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이와 함께 상기 상부 커버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연장부와 연결되어 세탁수 유로의 외측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상부 연장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세탁수 유로의 외측벽을 구성하는 유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세탁수 유로의 외측벽은 세제 수용부를 둘러싸는 내측벽의 반대편에서 세탁수 유로를 형성하는 벽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측벽을 통과하여 세탁수가 배출되지 않고 내측벽을 통과하여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세제박스 바디에는 상기 세제박스 커버가 형성하는 세탁수 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세탁수 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세제박스 커버가 상기 세제박스 바디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박스 바디에는 상기 세탁수 유로의 외벽 또는 외측벽의 외측으로 상기 상부 커버와 결합되는 커버 결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 결합부는 후크 결합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결합부는 상기 유로 결합부에 비해 수평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유로 결합부에 미세한 틈이 형성되어 이 틈을 통해 세탁수가 누출되더라도 상기 커버 결합부의 높이가 더 높기 때문에 세탁수가 커버 결합부를 통해 세제박스 어셈블리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유로 결합부는 열융착 또는 진동융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은 개구부가 형성된 탑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제박스 커버는 상기 개구부의 아래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 밀착되도록 상기 세제박스 커버와 결합되는 세제박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일측이 상기 세제박스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세제박스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에 상기 개구부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위치된 누수방지 리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캐비닛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더라도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통해 캐비닛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 리브 내측에 상기 상부 커버를 상기 세제박스 프레임에 나사 내지 리벳 결합시키기 위한 보스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상기 나사나 리벳 등을 통해 유입된 물이 캐비닛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세제 수용부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세탁수 유로는 상기 복수 개의 세제 수용부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세탁수 유로의 외측으로 누수되는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 바디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잔수배수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잔수배수홀을 통해서 세제박스 어셈블리에 잔수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종래 세탁장치에서의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편리하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탁수가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통해 세탁장치 내부 또는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형의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 세제가 세제박스 어셈블리에 잔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차적으로 세제박스 어셈블리에서 충분히 세제가 용해될 수 있어 세탁 완료 후 세탁물에 세제 찌꺼기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제의 종류와 섬유유연제 등 사용자의 요구의 변화에 대응하여 이에 적합하고 사용이 편리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제박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세제박스 어셈블리 이외의 세탁장치 구성은 일반적인 세탁장치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을 설명하고, 일반적인 세탁장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캐비닛(미도시), 터브, 그리고 세제박스 어셈블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캐비닛은 세탁장치의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 각종 구성들을 수용하게 된다. 도 1에는 이러한 캐비닛의 일부인 탑 플레이트(170)가 도시되어 있으며, 탑 플레이트는 캐비닛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는 세탁수와 함께 세제가 공급되어 저수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부에서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과 터브 등의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100)는, 세제 수용부(161) 그리고 세탁수와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제박스 바디(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제 수용부(161)는 세제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165)를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원활히 세제와 세탁수가 상기 배출구(165)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100)는 상기 세제박스 바디(16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제 수용부(161)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제박스 커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세제박스 커버(130)에는 세탁수 유로(310, 320, 330, 3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수 유로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수 유로에 대응되어 세제 수용부도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4 개 의 세탁수 유로가 형성되고, 3 개의 세제 수용부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별도의 세제 박스(150)을 통해 특정 세제 수용부를 두 개 이상의 세제 수용부로 분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세탁수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세제 수용부(16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먼저, 세제 수용부(161) 중 본세제 수용부(162)와 세탁수 유로 중 상기 본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본세제 냉수 유로(320)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세제라는 의미는 본 세탁에 사용되는 세제를 의미하는 상대적인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본세제는 예비 세탁에 사용되는 예비세제와 대체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본세제 냉수 유로(320)는 예비세제 냉수 유로(340)과 대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세제 냉수 유로는 세제박스 커버(130)의 후방에서 시작되어 적어도 본세제 수용부(162)를 둘러쌀 때까지 연장된다. 즉, 본세제 수용부의 좌우와 전방을 적어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세탁수 유로 특히 본세제 냉수 유로에는 상기 세제 수용부 특히 본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되, 반경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유입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구는 슬릿, 통공 또는 오버플로우를 위한 격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한편, 세탁을 위해서 냉수뿐만 아니라 온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수 유로는 온수 유로(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 유로(310) 또한 상기 본세제 수용부(16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반경 방향으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유입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 유로(310)는 상기 본세제 냉수 유로(320)과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공간상의 제약 및 보다 용이한 제작을 위하여 상기 온수 유로(310)과 상기 본세제 냉수 유로(320)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공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세제 냉수 유로(320)는 세제박스 커버(130)의 후방에 구비된 냉수 유입구(363)로부터 시작되어 본세제 수용부를 감싼 후 실질적으로 상기 세제박스 커버(130)의 후방에 구비된 온수 유입구(361)까지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본세제 냉수 유로(320)는 상기 본세제 수용부를 삼면을 둘러싸게 되는 지점(315)까지라고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온수 유로(310)는 온수 유입구(361)로부터 시작되어 본세제 수용부를 감싼 후 실질적으로 상기 냉수 유입구(363)까지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온수 유로(310)는 상기 본세제 수용부를 둘러싸게 되는 지점(325)까지라고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점(325)는 본세제 냉수 유로(320) 관점에서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인렛(inlet)이라 할 수 있고, 상기 지점(315)는 세탁수가 유출되는 아웃렛(outlet)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수 유로 중 상기 인렛과 아웃렛 사이의 구간은 세제 수용부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완전히 둘러싸는 것은 세제 수용부의 사방을 둘러싸는 것일 수 있으나 적어도 삼면을 둘러싸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렛과 아웃렛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렛과 아울렛 사이의 구간에서 반경 방향으로 세탁수가 유입되고 세제와 세탁수가 세제박스 어셈블리의 후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세제와 세탁수가 흘러 나가는 방향, 즉 후방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세탁수가 세제 수용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세제 수용부와 이에 수용된 세제에 골고루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세탁수의 공급 방향으로 인하여 세제 수용부에 세제가 잔류되지 않고, 아울러 세제가 뭉치는 것 또한 방지되어 세제박스 어셈블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차적으로 세제박스 어셈블리에서 세제가 원활히 용해되도록 함으로써 세탁 완료 후 세탁물에 세제가 잔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본세제 수용부에 분말 세제와 같은 고형 세제가 수용된 경우에 더욱 두드러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세제 냉수 유로(320)따라 유입되는 세탁수가 온수 유입구(361)까지 계속 유입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상기 인렛(325)와 아웃렛(315) 부분에는 상기 세제박스 바디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배수구(311, 3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 유로의 온수 유입구 부근과 상기 본세제 냉수 유로의 본세제 냉수 유입구 부근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제 수용부(161)는 예비세제 수용부(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 다. 아울러, 상기 세탁수 유로는 상기 예비세제 수용부로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예비세제 냉수 유로(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예비세제 수용부와 예비세제 냉수 유로는 전술한 본세제 수용부와 본세제 냉수 유로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든 냉수 유로(340)의 말단은 막혀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예비세제 냉수 유로(340)의 시작단은 예비세제 냉수 유입구(362)와 연결되며, 상기 예비세제 냉수 유로(340)의 유로 방향으로의 말단은 막혀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막혀있는 냉수 유로(340)의 말단(341)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막혀있다는 것은 더 이상 유로가 연장되지 않는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상기 말단 부분에서도 반경 방향으로 세탁수가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말단 부분은 전술한 인렛(325) 또는 아웃렛(315)와 동일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세탁수가 세제 수용부로 유입되기 위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예비세제 냉수 유로(340)을 일례로 하며, 동일한 사항이 전술한 본세제 냉수 유로(320)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3에는 세제박스 커버의 하부 커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세제박스 커버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예비세제 냉수 유로(340)는 상기 세제박스 커버(130)의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상기 예비세제 냉수 유로(340)의 외벽, 즉 외측벽은 막혀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유로의 상부와 하부 또한 막혀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예비세제 냉수 유로(340)을 따라 내측벽은 다양한 형태로 개방되어 있어 내측벽을 따라 세탁수가 세제 수용부의 반경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수 유로(340)의 내측벽(343)을 따라 복수 개의 격벽(341, 342)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세탁수는 내측벽을 넘어 오버플러우됨으로써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반경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격벽을 통해서도 오버플로우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격벽은 전체적으로 오버플로우되는 세탁수의 양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유로의 말단 부분의 격벽은 다른 부분의 격벽보다 높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유로의 말단까지 충분히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로(340)의 말단에는 상기 유로의 바닥면 이하 높이로 형성된 잔수배수구(34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로 상에 잔류되는 물이 없이 모두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잔수배수구는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통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격벽은 통공 형태 또는 슬릿 형태로 대체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유로를 따라 골고루 세탁수가 세제 수용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100)는 고형세제가 수용되록 마련된 본세제 수용부(162)와 예비세제 수용부(164)를 각각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자를 제 2 고형세제 수용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세제 수용부와 예비세제 수용부 사이에 액상 세제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액상세제 수용부(16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상세제 수용부(163)로도 세탁수를 공급해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액상세제는 그 특성한 많은 양의 세탁수가 공급되지 않아도 용이하게 세탁수에 용해되고 세제 수용부에 잔류됨이 없이 터브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상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액상세제 세탁수 유로(330)는 전술한 다른 유로와는 달리 액상세제 수용부(163)를 둘러싸도록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박스 커버(130), 특히 하부 커버(300)에는 상기 본세제 냉수 유로(320)에서 분기된 액상세제 세탁수 유로(330)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본세제 냉수 유로(320) 상에는 상기 액상세제 세탁수 유로(330)로 세탁수의 일부가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부(33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내부는 곡면 형태 또는 가이드 리브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액상세제 세탁수 유로(330)의 말단 부분에는 세탁수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331)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세탁을 위해 사용자가 액상세제 수용부에 액상세제를 넣은 경우 세탁수는 본세제 냉수 유로(320)으로 유입되어 일부분은 액상세제 세탁수 유로(330)으로 유입된 후 액상세제 수용부(163)으로 공급되고, 일부분은 본세제 수용부로 유입된다. 물론 이러한 세제와 세탁수는 세제박스 바디 후방 하부에서 합류되어 배출구(165)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액상세제는 섬유유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을 위한 액상세제와 섬유유연제는 구분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각자의 기능이 다르고 세탁기의 작 동 중 터브로 공급되는 시점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액상세제 수용부(163)은 별도의 세제박스(150)를 통해 양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액상인 특성상 상기 세제박스에는 사이폰 현상을 이용하여 액상 세제 또는 섬유유연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사이폰 캡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이폰 캡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액상세제 세탁수 유로(330)은 상기 액상세제 수용부 중 특히 세탁을 위한 액상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따라서, 이와는 별도로 상기 섬유유연제가 상기 세제박스(150)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유로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섬유유연제는 헹굼 과정에서 필요하므로 세탁 과정에서는 상기 섬유유연제가 수용된 부분으로는 세탁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섬유유연제 세탁수 유로(350)이 별도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유연제 세탁수 유로(350)은 상기 본세제 세탁수 유로(320)와 상기 예비세제 세탁수 유로(340)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세제 세탁수 유로와 상기 예비세제 세탁수 유로는 각각 냉수 유입구(362, 363)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냉수 유입구들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수 유입구들과 상기 섬유유연제 세탁수 유로는 'Y'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냉수 유입구들에서 동시에 냉수인 세탁수가 유입되는 경우 이들 세탁수들 사이의 모멘텀의 상쇄로 인하여 세탁수가 흘러가는 방향이 바뀐다. 즉, 양측으로 향하는 모멘텀은 상쇄되어 중앙 방향으로 세탁수가 흘러가고 이러한 중앙 방향을 따라 섬유유연제 세탁수 유로(35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과정 중에는 본세제 세탁수 유로나 예비세제 세탁수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에만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헹굼 과정 중에는 양자 동시에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헹굼 과정에만 섬유유연제 세탁수 유로로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섬유유연제 세탁수 유로(350)의 말단에는 세탁수의 공급을 위한 배출홀(351)이 형성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박스 어셈블리(1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100)는 캐비닛 전면에 서랍 형태로 구비되지 않고, 탑 플레이트(17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탑 플레이트(170)에 형성된 개구부(171)를 통해 사용자가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세젝박스 어셈블리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개구부(171)에는 세제박스 프레임(120)이 삽입된다. 상기 세제박스 프레임(120)의 중앙에도 개구부(121)이 형성되어 이러한 개구부를 통해 사용자가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세제박스 프레임(120)은 상기 탑 플레이트(170)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세제박스 프레임(120)과 탑 플레이트(170) 사이의 틈을 통해 물이 캐비닛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실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세제박스 프레임(120)에는 뚜껑(110)이 결합되는 데, 상기 뚜껑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힌지 구조 등으로 인해 이 부분을 통해 물이 캐비닛 내부로 유입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이 캐비닛 내부로 유입될 여지를 없애기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제박스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 커버는 상기 탑 플레이트(170)의 하부로부터 상기 탑 플레이트(170)과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세제박스 프레임(120)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탑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제박스 커버(130)는 단일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부 커버(200)과 하부 커버(300)이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서로 결함됨으로써 내부에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탁수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세제박스 커버에는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6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세탁수를 원활히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16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167)은 반경 방향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세탁수의 유동 방향을 하방으로 부드럽게 안내하여 세탁수가 세제 수용부에서 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수가 세제 수용부에서 벗어나 외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세제박스 커버가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투입구(167)과 상기 가이드 리브(167)은 상부 커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는 서로 결합되어 세탁수 유로를 형성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세탁수 유로의 외측벽 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부 연장부(31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커버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연장부(310)와 결합되는 상부 연장부(2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연장부(310)와 상부 연장부(210)은 진동 융착이나 열 융착 등으로 서로 결합되어 세탁수 유로의 외측벽(330)을 구성하는 유로 결합부(320)를 이루게 된다.
상기 세제박스 커버(130)은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 바디(160)의 상부에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후크 결합일 수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세제박스 바디(160)에는 상기 세제박스 커버가 형성하는 세탁수 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홈(166)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제박스 바디에는 상기 세탁수 유로의 외벽 외측으로 상기 상부 커버와 결합되는 커버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결합부는 상기 상부 커버와 세제박스 바디가 맞닿는 부분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 결합부(320)는 유로를 따라 틈이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치수 오차의 차이나 결합 부정확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의 틈이 발생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이 부분으로 세탁수가 누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누수된 세탁수가 세제박스 어셈블리(1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 결합부(220)는 상기 유로 결합부(320)에 비해 수평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단 상기 유로 결합부를 통해 세탁수가 누수된다고 하더라도, 높이차로 인해 상기 커버 결합부를 통해 외부로 세탁 수가 누수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세제박스 바디(160)은 상기 세제박스 커버(130)와 결합되며, 상기 세제박스 커버를 통해 상기 탑 플레이트(170)의 하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세제박스 커버(130)의 상부에는 누수방지 리브(23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누수방지 리브(230)는 상기 탑 플레이트(170)의 개구부(171)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71)로 유입된 물은 상기 누수방지 리브(230)로 인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물이 캐비닛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수방지 리브(230)의 내측에 상기 상부 커버를 상기 세제박스 프레임(120) 또는 탑 플레이트(170)에 결합시키기 위한 보스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스부(240)을 통해 나사나 리벳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나사 등을 통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보스부가 상기 누수방지 리브 내측에 위치하므로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370은 잔수배수홀이다. 이러한 잔수배수홀은 세탁수 유로의 외측으로 누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세제박스 바디(160)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세제박스 어셈블리에 물이 잔류되어 부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박스 어셈블리의 하부 커버와 세제박스 바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커버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부 커버, 하부 커버 그리고 세제박스 바디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Claims (20)

  1.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그리고 세제와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고형세제가 수용되는 본세제 수용부와 예비세제 수용부 및 상기 본세제 수용부와 예비세제 수용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액상세제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액상세제 수용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세제 수용부, 세탁수와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세제박스 바디; 그리고
    상기 세제박스 바디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상부 커버,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부 커버를 갖는 세제박스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액상세제 수용부는 액상세제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는 별도의 세제박스에 의해 양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투입구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세탁수를 원활히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 유로는 상기 세제 수용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반경 방향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하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 유로의 외측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부 연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세탁수 유로의 외측벽을 구성하는 유로 결합부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 바디에는 상기 세제박스 커버가 형성하는 세탁수 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 바디에는 상기 세탁수 유로의 외벽 외측으로 상기 상부 커버와 결합되는 커버 결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결합부는 상기 유로 결합부에 비해 수평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결합부는 열융착 또는 진동융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개구부가 형성된 탑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제박스 커버는 상기 개구부의 아래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 밀착되도록 상기 세제박스 커버와 결합되는 세제박스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일측이 상기 세제박스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세제박스 뚜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에 상기 개구부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위치된 누수방지 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 리브 내측에 상기 상부 커버를 상기 세제박스 프레임에 나사 내지 리벳 결합시키기 위한 보스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 유로는 상기 복수 개의 세제 수용부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세탁수 유로의 외측으로 누수되는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 바디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잔수배수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8. 개구부가 형성된 탑 플레이트를 갖는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그리고 세제와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고형세제가 수용되는 본세제 수용부와 예비세제 수용부 및 상기 본세제 수용부와 예비세제 수용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액상세제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액상세제 수용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세제 수용부 그리고 세탁수와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세제박스 바디; 그리고
    상기 세제박스 바디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내부에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세탁수 유로, 그리고 상부에 상기 개구부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누수방지 리브를 갖고, 상기 개구부와 상기 세제박스 바디 사이에 위치되는 세제박스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액상세제 수용부는 액상세제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는 별도의 세제박스에 의해 양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9.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그리고 세제와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 어셈블리는,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상부 커버,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유로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부 커버를 갖는 세제박스 커버; 그리고
    상기 세제박스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고, 고형세제가 수용되는 본세제 수용부와 예비세제 수용부 및 상기 본세제 수용부와 예비세제 수용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액상세제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액상세제 수용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세제 수용부, 세탁수와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 그리고 상기 세탁수 유로의 외벽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제박스 커버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커버 결합부를 갖는 세제박스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액상세제 수용부는 액상세제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는 별도의 세제박스에 의해 양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결합부는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결합되는 유로 결합부 에 비해 수평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080040790A 2008-04-30 2008-04-30 세탁장치 KR10146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790A KR101461952B1 (ko) 2008-04-30 2008-04-30 세탁장치
CN2008101296869A CN101387063B (zh) 2008-04-30 2008-08-05 洗衣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790A KR101461952B1 (ko) 2008-04-30 2008-04-30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912A KR20090114912A (ko) 2009-11-04
KR101461952B1 true KR101461952B1 (ko) 2014-11-14

Family

ID=4047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790A KR101461952B1 (ko) 2008-04-30 2008-04-30 세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1952B1 (ko)
CN (1) CN1013870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5134B (zh) * 2013-06-26 2017-01-25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喷头体组件
CN104514125B (zh) * 2013-10-08 2018-05-2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分配器盒及进水方法
CN104514126B (zh) * 2013-10-08 2018-08-0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分配器盒及进水方法
CN107630332A (zh) * 2017-08-29 2018-01-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进水盒组件及洗衣机
CN107747194A (zh) * 2017-11-08 2018-03-0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涤用品容纳盒和清洗装置
CN116065355A (zh) * 2021-11-02 2023-05-05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涤剂盒以及衣物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963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세탁보조제 투입장치
JP2004329536A (ja) * 2003-05-07 2004-11-25 Toshiba Corp 洗濯機
KR100484830B1 (ko) * 2002-11-28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세제통 조립구조
KR20050100556A (ko) * 2004-04-14 2005-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제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963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세탁보조제 투입장치
KR100484830B1 (ko) * 2002-11-28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세제통 조립구조
JP2004329536A (ja) * 2003-05-07 2004-11-25 Toshiba Corp 洗濯機
KR20050100556A (ko) * 2004-04-14 2005-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제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87063B (zh) 2010-12-22
CN101387063A (zh) 2009-03-18
KR20090114912A (ko)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585B1 (ko) 세탁장치
EP2325376B1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461952B1 (ko) 세탁장치
JP2005514133A (ja) 洗濯機の洗剤供給装置
US20120017653A1 (en) Washing machine
JP2005168652A (ja) 洗濯機
JP2010104775A (ja) 洗濯機
KR102071704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40131809A (ko) 자동 세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010698B1 (ko) 세탁기
KR20030009847A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WO2016084284A1 (ja) 洗濯機
EP3786336A1 (en) Detergent supply device
KR101544759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JP6311124B2 (ja) 洗濯機
KR10102222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0830487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20060089300A (ko) 드럼세탁기
KR200465498Y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JP2020195578A (ja) 衣類処理装置
KR20090099809A (ko) 가변형 세제함을 구비하는 세탁기
JP2011024667A (ja) 洗濯機
KR101474433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JP2023015711A (ja) 衣類処理装置
JP6311123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