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280B1 -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 Google Patents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280B1
KR101461280B1 KR1020120122517A KR20120122517A KR101461280B1 KR 101461280 B1 KR101461280 B1 KR 101461280B1 KR 1020120122517 A KR1020120122517 A KR 1020120122517A KR 20120122517 A KR20120122517 A KR 20120122517A KR 101461280 B1 KR101461280 B1 KR 10146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id substrate
substrate portion
flexible
rigi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516A (ko
Inventor
김기석
이양제
박희주
김종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2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280B1/ko
Priority to DE102013106305A priority patent/DE102013106305A1/de
Priority to US13/921,685 priority patent/US9351403B2/en
Priority to JP2013128910A priority patent/JP2014003613A/ja
Priority to CN201310247095.2A priority patent/CN103516841A/zh
Priority to CN201610922037.9A priority patent/CN107105569B/zh
Publication of KR2014005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280B1/ko
Priority to US15/134,055 priority patent/US970665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소정 길이와 너비의 수평면과 소정 높이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평면내에 수평하게 형성된 제1 리지드 기판부와, 상기 케이스의 수직면내에 상기 수평면과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 제2 리지드 기판부와,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와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를 절곡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리지드 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이로써 수평-수직 기판 구조의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을 이용하여 기판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없애고 배터리 공간을 확보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수직 기판 구조의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EMI/ESD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Mobile Apparatus Having Vertical and Horizontal Substrate Structures}
본 발명은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경향(trend)은 컴퓨터 기능을 접목한 처리속도의 지속적인 증가 및 디스플레이 크기의 대형화에 따라 배터리 소모량의 증가, 세트(set)의 슬림화가 이슈(issue)화가 되고 있다.
이로 인해, 배터리 용량 확대 및 배터리 공간 확보가 모든 세트 제조자들의 주요과제이다.
종래 모바일 기기의 기판 구조를 보면 디지털부를 담당하는 메인 기판과 RF부를 담당하는 서브 기판이 케이스의 수평면에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기판과 동일면에 배터리가 함께 배치되어 있어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배터리 용량 및 부품배치 구조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팩의 구조가 개시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4244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수직 기판 구조의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을 이용하여 기판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없애고 배터리 공간을 확보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는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따른 수평-수직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는, 소정 길이와 너비의 수평면과 소정 높이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평면내에 수평하게 형성된 제1 리지드 기판부와, 상기 케이스의 수직면내에 상기 수평면과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 제2 리지드 기판부와,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와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를 절곡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리지드 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는 상기 케이스의 수평면에 제1 면적을 갖고 상기 케이스의 수직면에 제2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1 면적의 일부와 상기 제2 면적의 일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3 면적이 절곡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의 상기 제1 면적에 제1 리지드 영역을 형성하여 디지털 처리부를 담당하기 위한 제1 회로패턴이 패터닝되거나 제1 회로소자가 실장되며,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상기 제2 면적에 제2 리지드 영역을 형성하여 RF 처리부를 담당하기 위한 제2 회로패턴이 패터닝되거나 제2 회로소자가 실장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의 수평면과 동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수평면과 수직하게 형성된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로 인해 상기 수평면내에 확보된 공간만큼 확장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면적으로 이루어진 폴리이미드층;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양면에 형성된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1 도전층의 상면에 형성된 커버레이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전층에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와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패턴이 패터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의 상기 제1 리지드 영역의 양면에 형성된 프리프레그; 상기 프리프레그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 상면에 형성된 감광성 솔더 레지스트(PSR) 잉크(In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도전층에는 상기 제1 회로패턴이 노광 및 에칭을 통해 패터닝되거나 상기 제1 회로소자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의 상기 제2 리지드 영역의 양면에 형성된 프리프레그; 상기 프리프레그의 상면에 형성된 제3 도전층; 및 상기 제3 도전층 상면에 형성된 감광성 솔더 레지스트(PSR) 잉크(In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 도전층에는 상기 제2 회로패턴이 노광 및 에칭을 통해 패터닝되거나 상기 제2 회로소자가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수직 기판 구조의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을 이용하여 기판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없애고 배터리 공간을 확보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평-수직 기판 구조의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EMI/ESD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을 펼친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을 펼친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기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을 펼친 평면도이며, 도 1c는 도 1b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소정 길이(L)와 소정 너비(W), 그리고 소정 높이(H)를 갖는 케이스(1), 상기 케이스(1)의 수평면 및 수직면의 일부에 배치된 플렉시블-리지드 기판(10), 및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는 소정 길이(L)와 너비(W)의 수평면(1a)과 소정 높이(H)의 수직면(1b 또는 1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 내부의 수평면(1a) 및 수직면(1b 또는 1c)에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10)이 배치된다.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10)은 상기 케이스(1)의 수평면(1a)내에 수평하게 형성된 제1 리지드 기판부(10-3)와, 상기 케이스(1)의 수직면(예컨대, 1b)내에 상기 수평면(1a)와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 제2 리지드 기판부(10-5)와,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10-3)와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10-5)를 절곡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부(10-1)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10-1)는 상기 케이스(1)의 수평면(1a)에 제1 면적을 갖고 상기 케이스(1)의 수직면(1b 또는 1c)에 제2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1 면적의 일부와 상기 제2 면적의 일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3 면적이 절곡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면적의 길이 또는 너비(즉, 제1 면적과 상기 제2 면적 간 간격)(d1)은 약 3mm ~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10-3)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10-1)의 상기 제1 면적에 제1 리지드 영역을 형성하여 디지털 처리부를 담당하기 위한 제1 회로패턴이 패터닝되거나 제1 회로소자가 실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10-5)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10-1)의 상기 제2 면적에 제2 리지드 영역을 형성하여 RF 처리부를 담당하기 위한 제2 회로패턴이 패터닝되거나 제2 회로소자가 실장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10-1)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및 제3 면적으로 이루어진 폴리이미드층(Polyimide)(11), 상기 폴리이미드층(11)의 양면에 형성된 제1 도전층(Copper)(12), 상기 제1 도전층(12)의 상면에 소정의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커버레이층(13)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전층(12)에는 노광(exposure)/에칭(etching)을 통해 패턴화된 회로 패턴,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리지드 기판(10-3 및 10-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레이층(13)은 절연성으로 플렉시블 기판(10-1)의 표면을 보호한다.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10-3)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10-1)의 상기 제1 리지드 영역의 양면에 형성된 프리프레그(14), 상기 프리프레그(14) 상면에 형성된 제2 도전층(15), 및 상기 제2 도전층(15) 상면에 형성된 감광성 솔더 레지스트(PSR: Photo Solder Resist) 잉크(Ink)(1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리프레그(14)는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10-3)를 리지드하게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10-1)(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레이층(13))의 제1 면적의 양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도전층(15)에는 상기 제1 도전층(12)과 마찬가지로 노광(exposure)/에칭(etching)을 통해 패턴화된 회로패턴(예컨대, 상기 디지털 처리부를 담당하기 위한 제1 회로패턴)이 패터닝되거나 상기 제1 회로소자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10-3)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10-1)와 연결되거나 표면 실장된 하드웨어 또는 상기 제1 회로 소자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10-5)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10-1)의 상기 제2 리지드 영역의 양면에 형성된 프리프레그(14), 상기 프리프레그(14) 상면에 형성된 제3 도전층(16), 및 상기 제3 도전층(16) 상면에 형성된 감광성 솔더 레지스트(PSR: Photo Solder Resist) 잉크(Ink)(1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리프레그(14)는 상기 제2 리지드 기판(10-5)을 리지드하게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10-1)(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레이층(13))의 상기 제2 면적의 양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도전층(16)에는 상기 제2 도전층(15)과 마찬가지로 노광(exposure)/에칭(etching)을 통해 패턴화된 회로패턴(예컨대, 상기 RF 처리부를 담당하기 위한 제2 회로패턴)이 패터닝되거나 상기 제2 회로소자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10-5)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10-1)와 연결되거나 표면 실장된 하드웨어 또는 상기 제2 회로 소자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10-3) 및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10-5)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10-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부(10)에서 상기 제1 및 제2 면적에 해당하는 부분은 리지드하고 상기 제3 면적에 해당하는 부분만이 플렉시블하여 상기 제1 및 제2 리지드 기판부(10-3 및 10-5)가 만나는 부분이 절곡 가능하여 상기 케이스(1)의 수평면(1a)과 수직면(1b 또는 1c)에 함께 배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20)는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10)의 수평면과 동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수평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10-3)로 인해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10-3)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케이스(1)의 수평면내에 확보된 공간만큼 확장된 크기의 확장부(화살표 E, E')를 가질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수평-수직 기판 구조의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10)을 통해 상기 제2 리지드 기판(10-5)부를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10-3)와 수평인 아닌 수직 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10-5)가 차지하는 수평 면적만큼 상기 배터리(20)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20)의 면적이 늘어난 만큼 그 용량 또한 늘어난다.
구체적으로,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10)에서 상기 제1 면적의 상측의 일부와 상기 제2 면적의 하측의 일부(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면적의 하측의 일부와 상기 제2 면적의 상측의 일부)가 상기 제3 면적과 일체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10-3)는 길이(L1)가 상기 케이스(1)의 길이(L)에 상응되는 길이(L1)와 소정의 너비너비(W1)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20)의 너비(W2)는 상기 케이스(1)의 너비(W)와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10-3)에 의해 고정되나, 상기 배터리의 길이(L2)는 상기 수평면(1a)에 수직하게 형성된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10-5)로 인해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10-5)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케이스(1)의 수평면(1a)내에 확보된 공간만큼 확장된 크기, 즉 확장된 길이인 확장부(화살표 E)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20)의 길이(L2)가 너비(W2)보다 4:3의 비율로 긴 직사각형일 경우, 상기 배터리(20)의 길이(L2)가 약 0.1 내지 0.5% 확장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20)의 용량은 약 8 내지 12% 정도 증가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을 펼친 평면도이며, 도 2c는 도 2b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기판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a 내지 2c에 따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는 도 1a 내지 1c에 따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수평면과 수직면이 연결되어 절곡되는 위치를 제외하고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10)에서 상기 제1 및 제2 면적에 해당하는 부분은 리지드하고 상기 제3 면적에 해당하는 부분만이 플렉시블하여 상기 제1 및 제2 리지드 기판부(10-3 및 10-5)가 만나는 부분이 절곡 가능하여 상기 케이스(1)의 수평면(1a)과 수직면(1b 또는 1c)에 함께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10)에서 상기 제1 면적의 좌측의 일부와 상기 제2 면적의 우측의 일부(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면적의 우측의 일부와 상기 제2 면적의 좌측의 일부)가 상기 제3 면적과 일체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10-3)는 상기 케이스(1)의 너비(W)에 상응되는 너비로 고정되는 너비(W1)와 소정의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20)의 길이(L2)는 상기 케이스(1)의 길이(L)와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10-3)에 의해 고정되나, 상기 배터리(20)의 너비(W2)는 상기 수평면(1a)에 수직하게 형성된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10-5)로 인해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10-5)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케이스(1)의 수평면(1a)내에 확보된 공간만큼 확장된 크기, 즉 확장된 폭인 확장부(화살표 E')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20)의 길이(L2)가 너비(W2)보다 4:3의 비율로 긴 직사각형일 경우, 상기 배터리(20)의 너비(W2)가 약 0.1 내지 0.5% 확장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20)의 용량은 약 10 내지 15% 정도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약 10 내지 15%가 증가된 배터리(20)의 용량을 시간으로 환산하면,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하지 않고 전원을 켜두기만 한 상태인 대기모드일 경우 약 30시간을 더 지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터넷 검색, 통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등 상기 모바일 기기(100)를 사용하는 스마트 모드일 경우 약 2~3시간 정도 더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수평-수직 기판 구조의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을 이용하여 기판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없애고 배터리 공간을 확보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또한, 상기 수평-수직 기판 구조의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및 수직 기판 간 임피던스 매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EMI/ESD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모바일 기기 1 : 케이스
1a : 수평면 1b, 1c : 수직면
10 : 플렉시블-리지드 기판 10-1 : 플렉시블 기판부
10-3 : 제1 리지드 기판부 10-5 : 제2 리지드 기판부
11 : 폴리이미드층 12 : 제1 도전층
13 : 커버레이층 14 : 프리프레그
15 : 제2 도전층 16: 제3 도전층
17 : 솔더 레지스트 잉크

Claims (9)

  1. 소정 길이와 너비의 수평면과 소정 높이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평면내에 수평하게 형성된 제1 리지드 기판부와, 상기 케이스의 수직면내에 상기 수직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면과 수직하게 형성된 제2 리지드 기판부와,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와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를 절곡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와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리지드 기판과 제2 리지드 기판부에 일체로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리지드 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는,
    상기 케이스의 수평면에 제1 면적을 갖고 상기 케이스의 수직면에 제2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1 면적의 일부와 상기 제2 면적의 일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3 면적이 절곡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제1 면적에 제1 리지드 영역을 형성하여 디지털 처리부를 담당하기 위한 제1 회로패턴이 패터닝되거나 제1 회로소자가 실장되며,
    상기 제2 리지드 기판은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제2 면적에 제2 리지드 영역을 형성하여 RF 처리부를 담당하기 위한 제2 회로패턴이 패터닝되거나 제2 회로소자가 실장되는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플렉시블-리지드 기판의 수평면과 동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수평면과 수직하게 형성된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로 인해 상기 수평면내에 확보된 공간만큼 확장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면적으로 이루어진 폴리이미드층;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양면에 형성된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1 도전층의 상면에 형성된 커버레이층을 포함하는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에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와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패턴이 패터닝되는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지드 기판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의 상기 제1 리지드 영역의 양면에 형성된 프리프레그;
    상기 프리프레그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 상면에 형성된 감광성 솔더 레지스트(PSR) 잉크(Ink)를 포함하는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층에는 상기 제1 회로패턴이 노광 및 에칭을 통해 패터닝되거나 상기 제1 회로소자가 실장되는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지드 기판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부의 상기 제2 리지드 영역의 양면에 형성된 프리프레그;
    상기 프리프레그의 상면에 형성된 제3 도전층; 및
    상기 제3 도전층 상면에 형성된 감광성 솔더 레지스트(PSR) 잉크(Ink)를 포함하는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전층에는 상기 제2 회로패턴이 노광 및 에칭을 통해 패터닝되거나 상기 제2 회로소자가 실장되는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KR1020120122517A 2012-06-20 2012-10-31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KR10146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517A KR101461280B1 (ko) 2012-10-31 2012-10-31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DE102013106305A DE102013106305A1 (de) 2012-06-20 2013-06-18 Tragbares Endgerät
US13/921,685 US9351403B2 (en) 2012-06-20 2013-06-19 Portable terminal
JP2013128910A JP2014003613A (ja) 2012-06-20 2013-06-19 携帯用端末
CN201310247095.2A CN103516841A (zh) 2012-06-20 2013-06-20 便携式终端
CN201610922037.9A CN107105569B (zh) 2012-06-20 2013-06-20 基底及便携式终端
US15/134,055 US9706658B2 (en) 2012-06-20 2016-04-20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517A KR101461280B1 (ko) 2012-10-31 2012-10-31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516A KR20140055516A (ko) 2014-05-09
KR101461280B1 true KR101461280B1 (ko) 2014-11-12

Family

ID=5088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517A KR101461280B1 (ko) 2012-06-20 2012-10-31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376B1 (ko) 2016-04-01 202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363B1 (ko) * 2006-07-21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KR20110044529A (ko) * 2009-10-23 2011-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경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363B1 (ko) * 2006-07-21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KR20110044529A (ko) * 2009-10-23 2011-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경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516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305B1 (ko) 곡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CN210008007U (zh) 电子设备
US20130153286A1 (en) Shielding system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ystem
WO2009154335A1 (en)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of electronic device
US8779292B2 (en) Substrate and substrate bonding device using the same
US11178768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EMI enclosure
JP2005303541A (ja) 携帯端末装置
US9706658B2 (en) Portable terminal
US755977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n antenna module to a grounding plate
KR101461280B1 (ko) 수평-수직 기판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
WO2014023029A1 (en) Radio module and relavent manufacturing method
CN112512212A (zh) 具有结合在腔内的倒装芯片的显示系统和刚柔结合pcb
CN105722313A (zh) 移动终端
KR101079385B1 (ko)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KR101092315B1 (ko) 측면 안테나를 구비한 배터리팩
US20130016466A1 (en) Motherboard capable of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KR20090006601U (ko)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 기판
TWI428073B (zh) 複合電路板
JP2008244879A (ja) 携帯無線端末
JP5965065B2 (ja) アンテナ及び端末装置
US9549464B2 (en) Modules for increasing useable space on circuit boards
JP5845792B2 (ja) 電子部品
KR101224665B1 (ko) 카메라 모듈
CN106163092B (zh) 一种自带散热功能的电路板结构制作方法
US20130252480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ing uni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