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176B1 - 외부 단자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단자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176B1
KR101461176B1 KR1020130082173A KR20130082173A KR101461176B1 KR 101461176 B1 KR101461176 B1 KR 101461176B1 KR 1020130082173 A KR1020130082173 A KR 1020130082173A KR 20130082173 A KR20130082173 A KR 20130082173A KR 101461176 B1 KR101461176 B1 KR 101461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led light
light source
terminals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2905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6117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3008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176B1/ko
Priority to PCT/KR2014/001016 priority patent/WO2015005557A1/ko
Priority to US14/904,468 priority patent/US96603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2Conduits for light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전면 패널 등에 탑재되어 외부 기기를 차량의 전장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외부 단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단자 접속 장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복수의 단자들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LED 광원과, LED 광원의 광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나누어 유도하고 광을 2회 이상 굴절시켜 복수의 단자들이 노출되는 전면에 조사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부 단자 접속 장치{EXTERNAL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외부 단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면 패널 등에 탑재되어 외부 기기를 차량 전장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외부 단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기차와 자동차 기술은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미래의 자동차는 안전하고 편리하면서도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고 환경친화적인 지능형 자동차로 발전해 나아갈 것이다. 자동차의 발전과 함께 전자기기와 통신 기술도 획기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가운데,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람과 정보를 주고 받고자 하는 시대적 욕구는 차량 전자시스템을 진화시키고 있다.
차량 전자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차량 운전이나 차량 안전에 관련된 것을 제어하거나 지원하도록 구성되지만, 부가적으로 차량 운전자나 탑승자의 외부 기기(고성능 휴대 단말기 등)와 통신하거나, 외부 기기의 오디오 입력을 받아 차량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차량 배터리 등에 저장된 에너지를 외부 기기에 공급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그 기능 확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최근 차량의 운전석 전면 패널에는 단자 접속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대부분의 단자 접속 장치는 단순 구조의 오디오 입력 단자(AUX)나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를 전면 패널 속에 삽입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차량에 탑재되는 단자 접속 장치는 차량의 주간 또는 야간 운전 중에 운전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면 패널에 설치되는 단자 접속 장치에는 아직까지 주간 또는 야간 운전 중에 간편하게 단자를 식별하여 이용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단자 접속 장치는 운전 중 안전 사고를 유발하는 잠재적인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일례로, 운전자가 운전 중에 외부 기기를 연결하기 위해 오디오 입력 단자(AUX)나 USB 단자를 찾으려고 차량 전면에서 시선을 돌리는 경우, 차량 전방에서의 갑작스런 물체 출현 등의 비상 상황에서 운전자의 상황 대응 시간을 지연시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사람들의 기호가 다양해지면서 차량의 전면 패널에 더 많은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운전 중에도 조작 버튼이나 단자를 직접 보지 않고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나, 야간에도 버튼이나 단자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나 기능, 혹은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 등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차량 안전에 적합한 단자 접속 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 결과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981호(2005.08.0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1929호(2011.09.1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2394호(2007.10.1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20736호(2007.12.2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야간 운전 중에 용이하게 단자를 식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 인테리어로 이용할 수 있는 외부 단자 접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개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자들에 효과적으로 조명을 비출 수 있는 외부 단자 접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단자 접속 장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복수의 단자들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LED 광원과, LED 광원의 광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나누어 유도하고 광을 2회 이상 굴절시켜 복수의 단자들이 노출되는 전면에 조사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버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1차로 굴절시키고, 내벽에 부딪히는 광을 적어도 1회 2차로 반사시켜 하우징 커버의 전면에 조사하는 유도 프리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LED 광원은 인쇄회로기판의 전면 상의 하나의 제1 LED 광원과 인쇄회로기판의 후면 상의 하나의 제2 LED 광원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LED 광원 및 제2 LED 광원은 하우징 커버의 전면에서 복수의 단자를 중심으로 그 상부측과 하부측을 각각 조사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LED 광원 및 제2 LED 광원의 실장면 또는 광 조사 방향은 하우징 커버의 전면의 연장 방향과 대략 직각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버는, LED 광원을 향하여 돌출되는 광 인입부와, 하우징 커버의 내벽에서 광 인입부 측으로 돌출되는 격벽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단자들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 단자, 적어도 하나의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두리 조명부의 조명이나 돌출 구조를 통해 주간 또는 야간 운전 중에 운전자가 접속 단자를 식별하여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의 조명 인테리어로 사용할 수 있는 외부 단자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도 프리즘 기능을 갖는 하우징 커버를 통해 적은 개수의 광원으로 복수의 단자들에 효과적으로 조명을 비출 수 있는 외부 단자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단자 접속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를 우측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를 배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를 뒤집어 놓고 본 사시도.
도 6는 도 5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를 배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의 하우징 커버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단자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를 우측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를 배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를 뒤집어 놓고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는 도 5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를 배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단자 접속 장치(10)는, 인쇄회로기판(11), 인쇄회로기판(11)에 실장되는 복수의 단자들(121, 122), 인쇄회로기판(11)에 실장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131, 132), 및 하우징 커버(14)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우징 커버(14)는 제2 LED 광원(132)의 광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나누어 유도하거나 외부에서 입사되는 제1 및 제2 LED 광원(131, 132)의 광을 2회 이상 굴절시켜 복수의 단자들(121, 122)이 노출되는 일면(141)으로 유도한다(도 3 및 도 5 참조).
또한, 구현에 따라서 본 실시예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10)는 인쇄회로기판(11), 복수의 단자들(12), LED 광원(13), 하우징 커버(14), PCB(Printed circuit board) 커넥터(15)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 경우, 하우징은 그 일측 개구부가 하우징 커버(14)와 맞물리고, 그 타측 개구부가 PCB 커넥터(15)를 외부에 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서 본 실시예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10)는 하우징 커버(14)의 일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각 단자(121, 122)의 테두리에 조명을 제공하는 테두리 조명부(161, 16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테두리 조명부(161, 162)는 소정의 광투광성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그 경우, 하우징 커버(14)의 일면은 불투광성 재료로 구성된다. 불투광성 재료는 재료 자체가 불투광 성질을 가지거나 투광성 재료의 표면에 불투광 재료가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테두리 조명부(161, 162)는 하우징 커버의 일면(141)에서 소정 높이(h1) 만큼 돌출될 수 있다. 소정 높이(h1)는 각 단자(121, 122)에 삽입되는 외부 기기의 단자와 접속 단자 간의 물리적인 접촉을 방해하지 않도록 0 초과 내지 약 3㎜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h1)는 각 단자(121, 122)의 이름을 돌출 구조로 표시한 명칭 표시부(171, 172)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테두리 조명부에 의하면, 운전자가 야간에도 단자 주위에 표시되는 조명을 통해 빠르고 정확하게 단자를 식별할 수 있고, 운전 중에도 테두리 조명부의 돌출 높이에 의한 촉감으로 단자를 식별할 수 있다.
외부 단자 접속 장치(10)의 각 구성요소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인쇄회로기판(11)은, 복수의 단자들(12)과 PCB 커넥터(15)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신호, 전력 등)를 전달하는 도전성 패턴(미도시)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11)은 사각 판 형태를 구비하고, 하우징 커버(14)의 내측 오목부(147)에 인입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커버(15)의 전면 개구부(142, 143)에는 복수의 단자들(121, 122)이 마운트된다.
인쇄회로기판(11)에는 LED 광원(131, 13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실장된 전력공급용 컨버터(미도시) 등이 더 실장될 수 있다. 그 경우, 컨버터는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적절하게 변환하여 LED 광원(131, 132)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로서 인쇄회로기판(11) 상에 탑재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11)은 복수의 단자들(121, 122)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단자(121, 122)에 접속된 외부 기기와 직접 통신하거나 외부 기기와 차량 제어부가 기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구현에 따라서 인쇄회로기판(11)은 단자들(121, 122)에 접속된 외부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거나, 외부 기기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인쇄회로기판(11)은 외부 기기와 차량 제어부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미도시), 신호의 증폭이나 변환을 수행하는 신호 변환부(미도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들(121, 122)은 외부 기기의 단자를 차량 배터리나 ECU(Electroic Control Unit) 등의 전장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 단자로서 오디오 입력 단자(AUX)(121)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122)를 구비한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스마트폰, PDA, 노트북, 카메라, 캠코더, 네비게이션 장치, 배터리 충전 장치,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이 될 수 있다.
물론, 구현에 따라서 복수의 단자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2개 이상의 오디오 입력 단자들 또는 USB 단자들로 각각 구성되거나 또 다른 단자(IEEE 1394 단자 등)과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단자들(121, 122)은 하우징 커버(14)의 일면 또는 전면(141)에 구비된 두 개구부(142, 143)에 각 단자(121, 122)의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하우징 커버(14)와 결합한다.
LED 광원(131, 132)은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LED 소자를 구비한다. LED 광원(131, 132)은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를 구비하는 LED 모듈일 수 있으며, 여기서 LED 소자는 적색(R), 녹색(G), 청색(B)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의 빛을 내는 것이거나, RGB 색상 모두를 발광하여 백색 광을 내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LED 광원은 제1 LED 광원(131) 및 제2 LED 광원(132)을 구비한다. 제1 LED 광원(131) 및 제2 LED 광원(132)은 인쇄회로기판(11)과 하우징 커버(14)의 결합 관계에 의해 복수의 단자들(121, 122)을 중심으로 하우징 커버의 일면(141)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빛을 조사하도록 인쇄회로기판(1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LED 광원은 인쇄회로기판(11)의 전면 상의 하나의 제1 LED 광원(131)과 인쇄회로기판(11)의 후면 상의 하나의 제2 LED 광원(13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LED 광원은 2개의 LED 광원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자들(121, 122)이 탑재되는 하우징 커버(14)를 통해 효율적으로 조명을 제공한다.
LED 광원(131, 132)과 하우징 커버(14)의 연결관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LED 광원(131) 및 제2 LED 광원(132)의 실장면 또는 광 조사 방향은 하우징 커버의 전면의 연장 방향과 대략 직각이다. 그것은 제1 LED 광원(131)과 제2 LED 광원(132)에서 각각 나오는 빛의 경로를 길게 연장하여 하우징 커버(14)의 일면(141)에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즉, LED 광원(131, 132)은 점광원 형태로 발광하므로 LED 광원(131, 132)이 발광할 때 LED 광원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는 면에는 광이 집중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LED 광원(131, 132)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하우징 커버(14)의 일면(141) 전체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LED 광원(131, 132)의 배치 구조와 함께 LED 광원의 광이 입사되는 면과 광이 유도되는 면이 대략 교차하도록 배열된 하우징 커버(14)를 이용한다.
게다가, 하우징 커버(14)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1차로 굴절시키고, 내벽에 부딪히는 광을 적어도 1회 2차로 반사시켜 하우징 커버의 일면에 조사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 커버(14)는 유도 프리즘 구조를 구비한다. 유도 프리즘은 외부에서 입사된 광을 내부에서 복수 회 반사시켜 최종적으로 기설정 면으로 유도하는 소자로서, 본 실시예에 적용된 유도 프리즘 구조와 그 작동 원리는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하우징 커버(14)는, 제2 LED 광원(132)을 향하여 돌출되는 광 인입부(148)와, 하우징 커버(14)의 내벽에서 안쪽으로 또는 내벽에서 광 인입부(148) 쪽으로 돌출되는 격벽부(144)를 구비한다(도 2 참조).
광 인입부(148)는 하우징 커버(14)의 일면에서 제2 LED 광원(132)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으로 제2 LED 광원(132)로부터 나오는 빛을 좀더 좁은 범위로 집광하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격벽부(144)는 광 인입부(148)에 의해 집광된 빛 줄기를 두 개의 구획하여 하나의 단자(예컨대, AUX 단자)가 위치하는 제1 영역(146a)과 다른 하나의 단자(예컨대, USB 단자)가 위치하는 제2 영역(146b)으로 가이드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제2 LED 광원(132)에서 나오는 빛을 두 개의 단자들(121, 122)이 각각 장착되어 있는 두 영역(146a, 146b)으로 구분하여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단일 광원에서 두 영역으로 빛을 유도하는데 유리하다.
PCB 커넥터(15)는 인쇄회로기판(11)의 일측에 마련되어 차량의 전원 공급부 및 차량 제어부에 접속된다. PCB 커넥터(15)의 종류 및 구조로는 전기 접속을 위한 다양한 소켓 형태가 이용가능하다.
도 7은 도 1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의 하우징 커버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외부 단자 접속 장치에 이용되는 유도 프리즘은 하우징 커버(14) 내에 탑재된다. 하우징 커버(14)는 유도 프리즘 자체이거나 유도 프리즘의 외표면에 소정의 반사 재료(금속성 재료 등)가 코팅된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LED 광원(131, 132)으로부터 하우징 커버(14) 내부로 광이 입사되면, 하우징 커버(14)는 입사된 광을 내부에서 적어도 2회 반사시켜 하우징 커버(14)의 전면(141)으로 유도한다.
즉, LED 광원(131, 132)에서 출사된 광은 하우징 커버(14)의 외부에서 하우징 커버의 입사면(149a, 149b)으로 입사하면서 입사면 양측 매질의 굴절율 차이에 따라 소정 크기의 각도로 1차로 굴절되고, 하우징 커버(14) 내부에서 적어도 1회 이상 내벽에 반사된 후 하우징 커버의 전면(141)으로 유도된다.
특히, 인쇄회로기판(11)의 전면 상에 위치하며 하우징 커버(14)의 상부측 제1 영역(145)으로 빛을 공급하는 제1 LED 광원(131)의 경우와 달리, 제2 LED 광원(132)은 단자부(12)의 앞쪽에 위치하는 하우징 커버(14)의 전면의 두 단자들(121, 122)에 효율적으로 조명 광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자부(12)의 뒤쪽에서 광 인입부(148)를 통해 하우징 커버(14) 내부로 빛을 조사한다. 여기서, 하우징 커버(14)는 격벽부(144)에 의해 광 인입부(148)로 유입된 제2 LED 광원(132)의 빛을 두 단자들(121, 122)이 위치하는 제1 영역(146a) 및 제2 영역(146b)으로 나누어 유도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유도 프리즘이 내장된 하우징 커버를 이용함으로써 적은 개수의 LED 광원의 빛을 효과적으로 분산 및 집광하여 하우징 커버의 전면의 제1 및 제2 영역(146a, 146b)에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고, 하우징 커버 전면에서의 음영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하는 영역에 광을 집중시키거나 원하지 않는 다른 영역으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테두리 조명부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도 촉감 등을 통해 운전자가 쉽게 단자를 식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외부 단자 접속 장치
11: 인쇄회로기판
12: 단자부
121, 122: 단자
131, 132: LED 광원
14: 하우징 커버
151, 152: PCB 커넥터
161, 162: 테두리 조명부
171, 172: 명칭 표시부

Claims (6)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복수의 단자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LED 광원; 및
    상기 LED 광원의 광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나누어 유도하고 상기 광을 2회 이상 굴절시켜 상기 복수의 단자들이 노출되는 전면에 조사하는 하우징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커버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1차로 굴절시키고, 내벽에 부딪히는 광을 적어도 1회 2차로 반사시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전면에 조사하는 유도 프리즘을 포함하는 외부 단자 접속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광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 상의 하나의 제1 LED 광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 상의 하나의 제2 LED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LED 광원 및 상기 제2 LED 광원은 상기 하우징 커버의 전면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를 중심으로 그 상부측과 하부측을 각각 조사하는 외부 단자 접속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LED 광원 및 제2 LED 광원의 실장면 또는 광 조사 방향은 상기 하우징 커버의 전면의 연장 방향과 직각인 외부 단자 접속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LED 광원을 향하여 돌출되는 광 인입부; 및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벽에서 상기 광 인입부 측으로 돌출되는 격벽부;
    를 구비하는 외부 단자 접속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 단자, 적어도 하나의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외부 단자 접속 장치.
KR1020130082173A 2013-07-12 2013-07-12 외부 단자 접속 장치 KR101461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173A KR101461176B1 (ko) 2013-07-12 2013-07-12 외부 단자 접속 장치
PCT/KR2014/001016 WO2015005557A1 (ko) 2013-07-12 2014-02-06 광원 모듈을 구비한 단자 접속 장치
US14/904,468 US9660395B2 (en) 2013-07-12 2014-02-06 Terminal connection device having light sourc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173A KR101461176B1 (ko) 2013-07-12 2013-07-12 외부 단자 접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176B1 true KR101461176B1 (ko) 2014-11-18

Family

ID=5229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173A KR101461176B1 (ko) 2013-07-12 2013-07-12 외부 단자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1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269B1 (ko) * 2014-09-17 2015-11-11 노명재 자동차의 소켓 액세서리 데코 조명용 광디스플레이 렌즈
CN113708164A (zh) * 2021-07-09 2021-11-26 贸联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151A (ja) * 1998-03-31 1999-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電子機器の照明方法および照明装置
KR200438600Y1 (ko) * 2006-10-26 2008-02-2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JP2008147077A (ja) * 2006-12-12 200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電子装置
KR101351451B1 (ko) * 2013-05-23 2014-01-15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광원 모듈을 갖는 차량용 단자 접속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151A (ja) * 1998-03-31 1999-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電子機器の照明方法および照明装置
KR200438600Y1 (ko) * 2006-10-26 2008-02-2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JP2008147077A (ja) * 2006-12-12 200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電子装置
KR101351451B1 (ko) * 2013-05-23 2014-01-15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광원 모듈을 갖는 차량용 단자 접속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269B1 (ko) * 2014-09-17 2015-11-11 노명재 자동차의 소켓 액세서리 데코 조명용 광디스플레이 렌즈
CN113708164A (zh) * 2021-07-09 2021-11-26 贸联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0395B2 (en) Terminal connection device having light source module
CN204791058U (zh) 一种指纹识别装置及具有该指纹识别装置的终端
CN103594883B (zh) 设置有照明装置的车辆用多媒体插座
JP3179184U (ja) 外部電源が不要の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該発光モジュールを有する自動車スカッフプレート
CN105591243B (zh) 线缆连接器组件
KR101351451B1 (ko) 광원 모듈을 갖는 차량용 단자 접속 장치
US20110138665A1 (en) Emergency exit indicator
US20160233706A1 (en) Battery charging status indicator for electric vehicle
CN108603648A (zh) 灯和具有灯的车辆
CN102022699B (zh) 发光模块以及车辆用灯具
CN108541243B (zh) 用于机动车辆的乘客舱的照明模块
JP2007184547A (ja) Ledランプ装置
US8608358B2 (en) Ligh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KR101461176B1 (ko) 외부 단자 접속 장치
CN212031902U (zh) 补光灯结构、拍摄设备及可移动平台
CN107166185A (zh) 一种无缝拼接结构的led灯
CN207831261U (zh) 一种汽车雾灯装置以及汽车
CN205065391U (zh) 发光机构
KR101488689B1 (ko) 광원 모듈을 구비한 단자 접속 장치
US10295381B2 (en) Indicator
CN112789847A (zh) 补光灯结构、拍摄设备及可移动平台
JP6658834B2 (ja) 照明装置
JP2009292311A (ja) 車載用led照明装置
KR20210012404A (ko) 조립이 용이한 차량용 usb 미디어잭
CN204592910U (zh) 一种照明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5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6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