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949B1 - Gabion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Gabion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949B1
KR101460949B1 KR1020140086133A KR20140086133A KR101460949B1 KR 101460949 B1 KR101460949 B1 KR 101460949B1 KR 1020140086133 A KR1020140086133 A KR 1020140086133A KR 20140086133 A KR20140086133 A KR 20140086133A KR 101460949 B1 KR101460949 B1 KR 101460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
space
stone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1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영철
Original Assignee
허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철 filed Critical 허영철
Priority to KR102014008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9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9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b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gabion of which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are simple and which is solid in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 gab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one space having a front surface part (121) formed of a wire net, one pair of side surface parts (125)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surface part (121) and formed of a wire net, a bottom part (123)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ront surface part (121) and the side surfaces parts (125) and formed of a wire net, and a rear surface part (141) connected to the remaining side surfaces of the one pair of side surface parts (125) and the end of the bottom part (123) and formed of a wire net; a buried part (143) extending backwards from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part (141) and formed of a wire net; a first support wire (145) fixed to the rear surface part (141)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of the rear surface part (141) and having a strength larger than that of the wire mesh forming the rear surface part; a second support wire (146) fixed to the buried part (143)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of the buried part (143) and having a strength larger than that of the wire mesh forming the buried part; and a third support wire (147)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wire (145)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46).

Description

개비온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Gabion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bion unit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gabion unit,

본 발명은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과 시공이 간편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한 개비온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b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rbage which is structurally robust and easy to manufacture and construct,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개비온(돌망태)은 제방이나 둑, 옹벽 등을 설치할 때 주로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이는 철망 안에 석재를 채워 넣어 블록화 하는 것인데, 이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블록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부감이 적고 환경친화적인 이미지를 주면서도, 자연석 쌓기 공법보다 재료를 구하거나 시공하는 것이 훨씬 간단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Gabion (gabion) is a structure that is mainly used when installing a bank, a dam, a retaining wall, and so on.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much simpler to find or construct the material than the natural stone piling method, while providing a relatively less objectionabl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image as compared with the block made of concrete.

개비온은 하천변이나 절개지 사면에 시공하여 물이 범람하거나 폭우가 쏟아지더라도 사면의 토사가 흘러내리지 않고 유지되도록 한다.Gavion is constructed on riverside slopes and cut slopes to ensure that the slope does not flow down even if water is flooded or heavy rain falls.

한편 주로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는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도 개비온이 사용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522548호와 등록특허 제1246268호는 개비온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옹벽 시공방법은 블록화된 개비온들을 전체적으로든 부분적으로든 상하방향으로 적층하는 것을 기본적인 방법으로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garbons are used in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s mainly using concrete blocks. Japanese Patent No. 522548 and Japanese Patent No. 1246268 disclose a construction method of a retaining wall using a garbage. Such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has a basic method of laminating the blocked garbons as a whole, partially or vertically.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개비온 옹벽은 개비온을 적층해 감에 따라 하부에 있는 개비온이 상부에 적층된 개비온의 자중을 이기지 못하고 변형되며, 심지어 철망이 터져버리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garbage-retaining wall has a problem in that the garbage-temperature at the lower part is deformed without being able to overcome the weight of the garbage-layer at the upper part as the garbage-heat is laminated and even the wire mesh is blown.

또한 개비온 블록들을 서로 엮는 개소가 많고 그 과정이 매우 번거로워 공기가 길어지고 인건비가 크게 발생함은 물론, 서로 엮여 있는 개비온 블록이 토사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밀려나오거나, 엮을 때 사용했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등 콘크리트블록에 비해 사면을 지탱하는 힘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many gobion blocks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the process is very troublesome, and the air is lengthened and the labor cost is large. In addition, the gobion blocks that are woven together can not support the weight of the gravel, It is a reality that the strength to support the slope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concrete block.

아울러 이들은 펼쳐진 형태로 이동되어 현장에서 조립되어야 하므로, 현장에서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고, 아울러 인건비를 올리는 요인이 된다.In addition, since they must be moved to the unfolded form and assembled at the site, work is slow in the field and raises labor costs.

등록특허공보 제522548호Patent Registration No. 522548 공개특허공보 제2012-66298호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12-66298 등록특허공보 제1209477호Patent Registration No. 1209477 등록특허공보 제1246268호Patent Registration No. 124626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중에 잘 견딜 수 있고 작업 환경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의 개비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rbage which can withstand a load and can be flexibly applied to a work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개비온의 제작이 편리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동이 편리하며, 동시에 현장에서 제작공수를 줄일 수 있는 개비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garbage which can be manufactured conveniently at low cos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is easy to move, and can reduce the number of manufacturing operations in the field.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용도로 시공이 가능하고, 견고한 구조를 가지는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having a rigid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망으로 이루어진 전면부(121), 상기 전면부(121)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되 철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측면부(125), 상기 전면부(121)의 하단과 측면부(125)의 하단에 연결되되 철망으로 이루어진 바닥부(123) 및 상기 한 쌍의 측면부(125)의 나머지 측면과 상기 바닥부(123)의 단부에 연결되되 철망으로 이루어진 후면부(141)를 구비하는 석재공간; 상기 후면부(14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철망으로 이루어진 매립부(143); 상기 후면부(141)의 좌우방향으로 후면부에 고정되되 후면부를 구성하는 철망보다 큰 강도를 가진 제1버팀선(145); 상기 매립부(143)의 좌우방향으로 매립부에 고정되되 매립부를 구성하는 철망보다 큰 강도를 가진 제2버팀선(146); 그리고 상기 제1버팀선(145)과 제2버팀선(146) 사이를 연결하는 제3버팀선(1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단위체를 제공한다.A pair of side portions 125 formed of a wire net and connect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portion 121, a front portion 121 A bottom part 123 formed of a wire net and a rear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side parts 125 and the end part of the bottom part 123, 141); A buried portion 143 extending rea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rear portion 141 and made of a wire mesh; A first braided wire 145 fix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141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having a strength greater than that of the wire net constituting the rear portion; A second stranded wire (146) fixed to the buried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uried portion (143) and having a strength greater than that of the wire net constituting the buried portion; And a third stranded wire (147) connecting the first stranded wire (145) and the second stranded wire (146).

여기서 상기 후면부(141)에 좌우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버팀선(145)은, 상기 후면부(141)의 철망 중 상하방향으로 뻗는 철망부위가 후방을 향해 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삽입고리(142)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매립부(143)에 좌우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버팀선(146)은, 상기 매립부(143)의 철망 중 전후방향으로 뻗는 철망부위가 상방을 향해 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삽입고리(144)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stranded wire 145 fixed to the rear portion 14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insertion strand 145 formed by bending a wire net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the wire nettings of the rear portion 141, And the second stranded wire 146 fixed to the buried portion 14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buried portion 143 by a wire mesh portion extending in the front-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144 formed by bending it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144. [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면부(125)는 전방으로 갈수록 두 측면부(125)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The pair of side portions 125 may be 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de portions 125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front side.

여기서 상기 제3버팀선(147)의 양단에는, 각각 제1버팀선(145) 및 제2버팀선(146)에 걸어질 수 있는 고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tranded wires 145 and 146 may b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rd stranded wire 147.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술한 개비온 단위체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면부(121), 측면부(125) 및 바닥부(123)를 포함하는 전면철망(12)을 제작하고, 상기 후면부(141) 및 매립부(143)를 포함하는 후면철망(14)을 각각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후면부(141)와 매립부(143)에 각각 제1버팀선(145)과 제2버팀선(146)을 고정한 후 상기 후면부(141)와 매립부(143)에 고정된 제1버팀선과 제2버팀선을 제3버팀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면철망(12)과 후면철망(14)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비온 단위체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bove-described gabion-type unit, which comprises a front wire net 12 including the front part 121, the side part 125 and the bottom part 123, And fabricating a rear wire net (14) including the rear portion (141) and the buried portion (143), respectively; A first stranding line 145 and a second stranding line 146 are fixed to the rear portion 141 and the buried portion 143 respectively and then fixed to the rear portion 141 and the buried portion 143, Connecting the second stranded wire with a third stranded wire, and joining the front wire net 12 and the rear wire net 14 together.

상기 전면철망(12)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면부(121)와 측면부(125)와 바닥부(123)를 하나의 철망으로 제작하되 상기 전면부(121)와 측면부(125)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121)와 바닥부(123)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제작되고, 이후 측면부(125) 하단과 바닥부(123)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The front part 121 and the bottom part 123 are fabricated from one wire net while the front part 121 and the side part 12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ront part 121 and the bottom part 1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n the bottom part of the side part 125 and the bottom part 123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후면철망(14)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후면부(141)와 매립부(143)를 하나의 철망으로 제작하되 상기 후면부(141)와 매립부(143)의 경계부위를 절곡하여 후면부(141)와 매립부(143)를 형성하고, 후면부(141)의 상하방향 철망부위를 후방으로 고리모양으로 절곡하여 제1삽입고리(142)를 형성하며, 매립부(143)의 전후방향 철망부위를 상방으로 고리모양으로 절곡하여 제2삽입고리(144)를 형성할 수 있다.
The rear portion 141 and the buried portion 143 are formed of a single wire mesh while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rear portion 141 and the buried portion 143 is bent to form the rear portion 141 The first and second inserting rings 142 and 142 are formed by bend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ire mesh of the rear portion 141 in a ring shape to the rear, And the second inserting ring 144 can be formed by folding upward in an annular shap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술한 개비온 단위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절개지 상에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를 배치하고 석재공간에 석재(S)를 채워 넣는 단계; 및 상기 석재공간의 후방 공간으로서 상기 매립부(143)의 상부에 보강토(R)를 채워 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비온 단위체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gypsum unit, the method comprising: placing the first gypsum unit on a cutout and filling the stone space with a stone (S); And filling a reinforcing soil (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ried portion (143) as a rear space of the stone spac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후방 공간에 보강토(R)가 채워진 제1 개비온 단위체 상부에 제2 개비온 단위체를 배치하고 석재공간에 석재(S)를 채워 넣는 단계; 및 상기 제2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후방 공간으로서 매립부(143)의 상부에 보강토(R)를 채워 넣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ilding, comprising: placing a second gypsum unit on a first gypsum unit filled with a reinforcing earth (R) in a rear space; And filling the reinforced soil (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ried portion (143) as a rear space of the stone space of the second openable unit.

상기 제2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은, 상하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과 오버랩 되지 않고, 제1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The stone space of the second opening unit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stone space of the first opening unit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stone space of the first opening unit when view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제2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하부는, 전후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상부와 오버랩 되도록 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stone space of the second open-angle unit may overlap the upper portion of the stone space of the first open-angle unit when vi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제2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하부 전면은,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상부 후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stone space of the second open-angle un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stone space of the first open-angle unit.

상기 개비온 단위체 중 최하단의 개비온 단위체는 기초대(20) 상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lowermost unit of the lowermost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foundation 20.

상기 개비온 단위체 중 최하단의 개비온 단위체 전방에는 최하단 개비온 단위체의 전면 하부가 일부 매립된 형태의 전면기초(3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front base 30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lowermost unit of the lowermost unit.

또한 본 발명은, 절개지 상에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를 배치하고,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의 측면에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와 나란히 제3 개비온 단위체를 배치하되, 서로 마주하는 제1 개비온 단위체와 제3 개비온 단위체의 측면부 후방 단부가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하는 단계; 서로 맞대어진 제1 개비온 단위체와 제3 개비온 단위체의 측면부 후방 단부의 인접부(C)를 서로 연결하고, 석재공간에 석재(S)를 채워 넣는 단계; 상기 석재공간의 후방 공간으로서 매립부(143)의 상부에 보강토(R)를 채워 넣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spect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aspect of the first aspect and the third aspect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itioning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side portions of the gobion unit to face each other; Connecting the adjoining portions (C) of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side portions of the third gobness unit and the first gobion unit facing each other to each other to fill the stone space with the stone (S); And fil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ried portion 143 with the reinforcing soil R as a rear space of the stone space.

본 발명에 의하면, 버팀선이 토압을 지지하게 할 수 있어 개비온 단위체를 높게 그리고 얇게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ing line can support the earth pressure, it is possible to form the narrow-angle unit member with a high height and a small thicknes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은 부품수와 공수로 개비온 단위체를 제작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bricate a gobion-type unit with a small number of parts and ai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별 부품의 이송이 편리하고, 현장에서 작업해야 할 양을 줄일 수 있으며, 곡선부에도 어려움 없이 시공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y individual components conveniently, reduce the amount of work required in the field, and also make it possible to construct without any difficulty in the curved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중을 많이 받는 부위와 적게 받는 부위를 별도로 제작하여 재료비를 절약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ve the material cost by separately fabricating the portion that receives a lot of load and the portion that receives les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철망의 와이어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diameter of the wire mesh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reduced,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is not greatly damag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용도로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 위치와 환경에 따라 적절한 시공 방법을 선택하여 시공이 가능하며, 옹벽을 구축함에 있어서 충분히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various kinds of applications, select appropriate constru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environment, and construct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a sufficient load in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개비온 단위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비온 단위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비온 단위체를 다단으로 적층하며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순서에 따라 완성된 보강토 옹벽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완만한 사면에 적용된 보강토 옹벽 시공 결과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개비온 단위체의 다른 시공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개비온 단위체를 배수용 개거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개비온 단위체를 측구 수로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개비온 단위체를 곡선부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ob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n-top unit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equence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y stacking the open-loop unit of FIG. 2 in multiple stages,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FIG. 3,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results of construction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pplied to a slope;
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construction method of the gob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rb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raining vessel;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ypsum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ater channel, and
9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ob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urved por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비온 단위체와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gob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개비온 단위체][Gavion monom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개비온 단위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비온 단위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비온 단위체(1)는 전면철망(12)과 후면철망(14)으로 분리 제작된 후, 이들을 결합하여 도 2와 같이 완성된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ob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bion unit of FIG. 1. FIG. As shown in FIG. 1, the garniture unit 1 is divided into a front wire netting 12 and a rear wire netting 14, and then the front and rear wire nettings 14 and 14 are combined to complete the process as shown in FIG.

전면철망(12)은 직사각형 형태이며 지면에 대해 수직(즉 중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면부(121), 전면부(121)와 직각으로 연결되고 전면부(121)의 하단에서 지면과 나란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123), 전면부(12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되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측면부(125)로 이루어진다. 즉, 전면부(121)와 바닥부(123)는 서로 수직을 이루고, 측면부(125)와 바닥부(123)도 서로 수직을 이룬다. 한편 바닥부(123)는 전면부(121)와의 연결부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이며, 측면부(125)는 이러한 바닥부(123)의 사다리꼴 빗변 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면부(121)에 대해 둔각을 이루며 연결되어 있다.The front wire net 12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composed of a front part 121 installed at a right angle to the front part 121 and a ground at the bottom of the front part 121, A bottom portion 123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side portions 125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ront portion 121 and vertically installed to the ground. That is, the front part 121 and the bottom part 123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side part 125 and the bottom part 123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ince the bottom part 123 has a trapezoidal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front part 121 and the side part 125 is connected to the trapezoidal hypotenuse part of the bottom part 123, Are connected at an obtuse angle.

상기 전면부(121)와 측면부(125)와 바닥부(123)는 하나의 철망으로 제작된다. 즉 도 1에서 측면부(125)와 바닥부(123) 사이의 연결부위가 절개된 상태의 전개도 형태로 평면의 철망을 제작하고, 이러한 평면의 철망을 절곡하여 전면부(121)와 측면부(125)와 바닥부(123)가 구분되도록 하며, 측면부(125)와 바닥부(123)가 접하는 부위를 와이어나 스프링 등의 연결구로 연결한다.The front part 121, the side part 125, and the bottom part 123 are made of a single wire mesh. 1, a planar wire net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xploded view in which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side part 125 and the bottom part 123 is cut, and the planar wire net is folded to form the front part 121 and the side part 125, And the bottom part 123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part such as a wire or a spring by a part where the side part 125 and the bottom part 12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면부와 측면부가 모두 평판 형태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전면부와 측면부가 절곡된 평판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측면부에서 전면부에 이르기까지 만곡한 곡면을 이루며 이에 대응하도록 바닥부가 원호형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즉 두 측면부 사이의 거리가 전면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구성하기만 하면 후술할 도 9에 도시된 곡선 영역에서도 개비온 단위체를 나란히 연결하며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형태로 전면철망(12)을 제작하면 복수의 전면철망들을 포개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면철망을 공장에서 자동화하여 제작한 후 현장에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현장에 이동한 후 입체 형태로 만들어야 하는 종래의 직육면체 모양의 개비온들과 비교하면 본 발명이 얼마나 편리한 것인지 알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re both in the form of a flat plate.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front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r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bent to form a curved surface from the side portion to the front portion, The bottom may have an arc shape. In other word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de portions is narrowed gradually toward the front por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narrow width unit members side by side even in the curved region shown in FIG.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front nettings can be stacked by fabricating the front netting net 12 in this form,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front netting net and to move it to the sit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how convenient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cuboid shape gobbons which must be made in a cubic shape after moving to the field.

다음으로, 후면철망(14)은 직사각형 형태이며 지면에 대해 수직(즉 중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후면부(141), 상기 후면부(141)의 하단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후면부 하단에서 후방을 향해 지면과 나란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매립부(143)를 포함한다. 후면부(141)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삽입고리(142)가 형성되어 있고, 매립부(143)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삽입고리(144)가 형성되어 있다.Next, the rear wire netting 14 has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 rear portion 141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i.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gravitational direction),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portion 141, And a buried portion 143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ground. The rear portion 141 is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ring 142 protruding rearward and a second insertion ring 144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the filling portion 143. [

상기 후면부(141)와 매립부(143)는 하나의 철망으로 제작한다. 즉 긴 직사각형 형태의 철망을 직각으로 절곡하면 후면부(141)와 매립부(143)가 형성되고, 후면부(141)의 상하방향 철망부위를 후방으로 고리모양으로 절곡하면 제1삽입고리(142)가 형성되며, 매립부(143)의 전후방향 철망부위를 상방으로 고리모양으로 절곡하면 제2삽입고리(144)가 형성된다.The rear portion 141 and the buried portion 143 are made of a single wire mesh. That is, when the long-shaped wire net is bent at a right angle, the rear portion 141 and the buried portion 143 are formed. Wh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ire net of the rear portion 141 are bent backward, And the second inserting ring 144 is formed when the forward and backward portions of the wire mesh of the embedding portion 143 are bent upward in an annular shape.

후면철망(14)을 이러한 형태로 제작하면 복수의 전면철망들을 포개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후면철망을 공장에서 자동화하여 제작한 후 현장에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Since it is possible to stack a plurality of front wire nettings by manufacturing the rear wire netting 14 in this form,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manufacturing of the rear wire nettings at the factory and then move them to the field.

이처럼 본 발명에서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개비온 단위체(1)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전면철망(12)과 후면철망(14)으로 분리 제작하게 되면, 이동을 편리하게 하면서도 현장에서 제작해야 할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gabion-heating unit 1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s separately manufactured by the front wire net 12 and the rear wire net 14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The portion can be minimized.

한편 후면철망(14)의 제1삽입고리(142)와 제2삽입고리(144)에는 각각 제1버팀선(145)과 제2버팀선(146)이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다. 그리고 양단에 고리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3버팀선(147)을 사선방향으로 배치하며 그 양단에 제1버팀선(145)과 제2버팀선(146)을 연결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stranded wires 145 and 146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rings 142 and 144 of the rear wire netting 14, respectively. A plurality of third supporting strands 147 each having an annular shape at both ends are disposed in an oblique direction, and the first supporting strands 145 and the second supporting strands 146 are connected to both ends thereof.

개비온 단위체는 전면철망(12)과 후면철망(14)이 별도로 제작되고, 이들을 절곡하는 과정을 거친 후, 각각 필요한 수량만큼 포개어 현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현장에서 전면철망(12)과 후면철망(14)을 연결하며, 아울러 후면철망에 버팀선들을 설치한다.The front wire netting 12 and the rear side wire netting 14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after the process of bending the front wire netting 12 and the backing wire netting 14, they are stacked by the necessary amount and moved to the site. In addition, the front wire net 12 and the rear wire net 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ield, and the support wires are installed on the rear wire netting.

이렇게 현장에서 완성되는 개비온 단위체를 절개지 상에 배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21)와 측면부(125)와 후면부(141)와 바닥부(123)로 형성된 석재공간에 석재(S)를 채워 넣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석재공간의 후방 공간으로서 매립부(143)의 상부에 해당하는 공간에 보강토(R)를 채워 넣게 된다. 여기서 석재는 가령 80~150mm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gypsum unit completed in the field is disposed on the cutout, the stone (S) is placed in the stone space formed by the front part 121, the side part 125, the rear part 141 and the bottom part 123 as shown in FIG. ). At the same time,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ried portion 143 is filled with the reinforcing soil R as a rear space of the stone space. Here, the stone can have a size of, for example, 80 to 150 mm.

본 발명의 개비온 단위체 구조에 의하면, 후면부(141)가 매립부(143)로부터 버팀선을 통해 지탱되므로, 보강토(R)의 토압은 후면부(141)와 매립부(143), 즉 후면철망(14)에 주로 작용하고, 전면철망(12) 부위, 즉 전면부(121)와 바닥부(123)와 측면부(125)에는 그다지 전달되지 않는다. 전면철망(12)은 석재공간에 채워진 석재(S)의 하중을 견디면 되므로 후면철망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하중에 노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하중을 견디는 전면철망은 4~5mm 직경의 아연도금 강연선 철망으로 제작하고, 그보다는 큰 하중을 견뎌야 하는 후면철망은 전면철망보다 직경이 큰 5~6mm 직경의 아연도금 강연선 철망으로 제작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면철망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이므로 철망의 직경이 얇은 것이 미관상 좋은바, 본 발명은 이러한 조건에도 정확히 부합한다.The earth pressure of the reinforcing earth R is applied to the rear portion 141 and the buried portion 143, that is, the rear surface wire netting 14 And is not substantially transmit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wire netting 12, that is, the front portion 121, the bottom portion 123, and the side portion 125. Since the front wire net 12 can withstand the load of the stone S filled in the stone space, it is exposed to a relatively small load than the rear wire netting.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ire mesh which can withstand a relatively small load is made of a galvanized steel wire net with a diameter of 4 to 5 mm, and the rear side wire net which has to withstand a larger load is a galvanized steel wire with a diameter of 5 to 6 mm By using wire netting,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front wire mesh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wire mesh is thin, and the present invention precisely meets these conditions.

아울러 본 발명은 하중이 작게 걸리는 전면부와 바닥부와 측면부를 전면철망으로 구성하고, 하중이 크게 걸리는 후면부와 매립부를 후면철망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전면철망과 후면철망을 분리 제작함에 있어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각각 다른 직경의 철망을 사용할 수 있어 유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part, the bottom part, and the side part of the load are small, and the rear part and the buried part of the rear part are made of the rear wire net, It is advantageous to use a wire mesh of different diameter.

한편 후면철망은 그 면적 전체가 토압을 견디는 것이지만, 버팀선은 선재가 동일한 토압을 견뎌야 하므로, 버팀선의 선재는 후면철망의 선재보다 더 강해야 한다. 따라서 버팀선의 직경은 8mm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ackside wire net must withstand the earth pressure as a whole, but the stranded wire must withstand the same earth pressure, so the stranded wire must be stronger than the wire rope of the backside wire ne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supporting line is 8 mm or more.

[개비온 단위체의 시공][Construction of Gwbion Unit]

이하, 상술한 개비온 단위체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gabion-type uni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도 2의 개비온 단위체를 다단으로 적층하며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순서에 따라 완성된 보강토 옹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equence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y stacking the open-loop unit of FIG. 2 in multiple stages and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FIG.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조립이 완성된 개비온 단위체(1)를 절개지 상에 거치한다. 그리고 석재공간에 석재(S)를 채워 넣으면서 석재공간의 후방인 매립부(143) 상에 보강토(R)를 채워 넣는다.As shown in Fig. 3 (a), the gobion-type unit 1, which has been assembled in the field, is placed on the cut-out paper. Then, the stone (S) is filled in the stone space and the reinforcing soil (R) is filled on the buried portion (143) behind the stone space.

다음으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공간에 보강토(R)가 채워진 첫 번째 개비온 단위체 상부에 두 번째 개비온 단위체를 거치한다. 그리고 석재공간에 석재(S)를 채워 넣으면서 석재공간의 후방인 매립부(143) 상에 보강토(R)를 채워 넣는다.Next, as shown in FIG. 3 (b), a second gypsum unit is mounted on the first gypsum unit having the rear space filled with the reinforcing earth (R). Then, the stone (S) is filled in the stone space and the reinforcing soil (R) is filled on the buried portion (143) behind the stone space.

마찬가지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공간에 보강토(R)가 채워진 두 번째 개비온 단위체 상부에 세 번째 개비온 단위체를 거치한다. 그리고 석재공간에 석재(S)를 채워 넣으면서 석재공간의 후방인 매립부(143) 상에 보강토(R)를 채워 넣는다.Likewise, as shown in FIG. 3 (c), a third gobion-type unit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gobion unit, in which the reinforcing soil (R) is filled in the rear space. Then, the stone (S) is filled in the stone space and the reinforcing soil (R) is filled on the buried portion (143) behind the stone space.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개비온을 쌓아 올리며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When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stacking the garbons in this manner, as shown in FIG.

개비온 단위체(1)를 적층함에 있어서는, 상하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이 하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보다 후방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하층간의 석재공간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층의 석재공간이 상층의 자중을 받아 변형되거나 터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한다.When stacking the glow-in-1 units 1, the stone spaces of the glow-in unit units in the upper layer are arranged behind the stone spaces of the glow-room units in the lower layer when view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so that the stone spac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not overlapped, So that the stone space of the upper layer is prevented from deforming or popping due to the weight of the upper layer.

또한 개비온 단위체(1)를 적층함에 있어서, 상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하단이, 바로 하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상단부보다 밑에 배치되도록 하여, 전후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하부가 그 하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상부와 오버랩되도록 한다. 이는 개비온 단위체(1)의 석재공간 하부가 보강토(R)에 일부 매립되도록 하여, 매립된 석재공간 하부 전면에 있는 보강토(R)가 석재공간 하부에 작용하는 토압을 견뎌 주도록 함으로써, 개비온 단위체가 석재공간의 하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여준다. 즉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 상부는 버팀선에 의해 충분한 지지를 받는 반면,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 하부는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적층 구조를 통해 더욱 안정된 옹벽 구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gypsum unit 1 is laminated, the lower end of the stone space of the upper gypsum unit in the upper layer is dispos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stone space of the gypsum unit in the immediately lower layer,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stone space of the lower unit overlaps with the upper part of the stone space of the lower unit. This allows a lower portion of the stone space of the gypsum unit 1 to be partially embedded in the reinforcing soil R so that the reinforcing earth R on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embedded stone space can withstand the earth pressure acting under the stone space, Thereby allowing the load acting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 to be sufficiently sustained.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stone space of the gypsum unit is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supporting beams, while the lower part of the stone space of the gypsum unit may be relatively weaker than the upper part, so it is desirable to construct a more stable retaining wall through the above- .

아울러, 상층의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하부 전면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층의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상부 후면과 접하도록 하면, 상층의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 하부에 작용하는 토압을, 하층의 개비온 단위체의 버팀선이 지지하게 되어, 더욱 안정적인 옹벽 구축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3 to 4, when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upper garbons of the upper garbons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lower garbons of the garbon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more stable retaining wall.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경사의 옹벽을 시공할 때에도, 별다른 문제 없이 옹벽 구축이 가능하다. 한편, 최하층의 개비온 단위체에 대해서는, 지면에 기초대(20)를 설치하여 침하를 방지하고, 아울러 석재공간 전면에 전면 기초(30)를 두어 마찬가지로 석재공간 하부에 작용하는 토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a retaining wall of steep slope is constructed as shown in Fig. 4, the retaining wall can be constructed without any problem.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lowermost gypsum unit, a foundation 20 is provided on the ground to prevent settlement, and a front foundation 30 is placed on the entire stone space to sufficiently withstand the earth pressure acting under the stone space .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개비온 단위체를 이러한 구조로 시공을 하면, 석재공간이 견딜 수 있는 토압이 크게 되므로, 석재공간의 높이를 대략 500~1000mm 정도로 높게 하면서 깊이는 대략 200mm 정도로 구성할 수 있고, 매립부(143)의 길이는 대략 350~1000mm로 구성할 수 있다.
When the gypsum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is applied with such a structure, the earth pressure with which the stone space can withstand is increas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tone space can be increased to about 500 to 1000 mm, And the length of the buried portion 143 may be approximately 350 to 1000 mm.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사면을 절개하여 다단으로 옹벽을 시공한 예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개비온 단위체(1)를 적층함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이 하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하단이, 바로 하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상단부보다 밑에 배치되도록 한 구조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완만한 사면에서는 상층의 개비온 단위체(1) 후방의 토압이 하층의 개비온 단위체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점에서 상층의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하부 전면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그 하층의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상부 후면과 접하지 않는다고 하여 문제될 것은 없다.
FIG. 5 is an example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relatively gently sloping slope is cut in comparison with FIG. 4 to construct a multi-stage retaining wall. As described above, when stacking the gypsum unit 1, the stone space of the gypsum unit in the upper layer is disposed behind the stone space of the gypsum unit in the lower layer when view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stone room of the gwionon unit is arrang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stone room of the gwionon unit immediately below. On the gentle slope, since the earth pressure behind the gypsum unit (1) on the upper layer has little effect on the gypsum unit on the lower layer,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gypsum unit on the upper gypsum unit, as shown in Figs. 3 to 4, There is no problem in that it is not in contact with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stone space of the gobion unit.

도 6은 본 발명의 개비온 단위체의 또 다른 시공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와 대비하였을 때, 개비온 단위체(1)를 적층함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이 하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보다 후방에 배치되기는 하지만, 전후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하단이, 바로 하층에 있는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상단과 일치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토압이 크게 문제되지 않는 곳, 가령 등산로의 사면 계단을 구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construction method of the gob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n comparison with FIG. 5, in the stacking of the gyromon unit 1, the stone space of the gypsum unit in the upper layer is arranged behind the stone space of the gypsum unit in the lower layer as view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 The lower end of the stone space of the gabion unit in the upper layer coincides with the upper end of the stone space of the gabion unit in the lower layer. Such a method can be used in places where the earth pressure is not a problem, for example, when building a slope of a mountain slope.

도 7은 본 발명의 개비온 단위체를 배수용 개거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개비온은 석재 사이의 공극을 통해 지면에 스며든 빗물이 충분히 빠져나올 수 있는 구조이므로 배수 기능이 매우 뛰어난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콘크리트 블록 대신 개비온 블록을 사용하여 배수용 개거를 구축하면, 배수용 개거 본연의 기능에 더욱 부합한다.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ypsum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ouring vessel; Fig. Gavion is an excellent drainage system because it has enough structure to allow the rainwater that leaks through the pores between the stones to escape sufficiently. Therefore, when the gavion block is used instead of the concrete block to construct the drainage gates, It is more in conformity with the function of the original.

도 8은 본 발명의 개비온 단위체를 측구 수로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비온의 배수 기능을 통해 측구에 스며든 빗물이 수로로 자연스럽게 배수되도록 하면, 측구의 붕괴를 예방할 수 있다.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ypsum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ater channel. Fig. As shown in the figure, if the rainwater seeped into the sidewall through the drainage function of the garbage can be drained naturally by the waterway, the collapse of the sidewall can be prevented.

도 9는 본 발명의 개비온 단위체를 곡선부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개비온 단위체를 옆으로 나란히 배열할 때에는 이웃하는 개비온 단위체 사이에 마주하는 인접부(C; 측면부 후방 단부)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본 발명의 측면부(125)는 전면부(121)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양측 변 형태를 이루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부에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시공할 수 있다.
9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ob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urved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obion units are arranged side by side, the adjoining portions (C) facing each other between adjacent gobion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de part 125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apezoidal shape with a narrower width as the front part 121 is closer to the front part 121, the curved part can be constructed without any difficulty as shown in FIG.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don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1: 개비온 단위체
12: 전면철망
121: 전면부
123: 바닥부
125: 측면부
14: 후면철망
141: 후면부
142: 제1삽입고리
143: 매립부
144: 제2삽입고리
145: 제1버팀선
146: 제2버팀선
147: 제3버팀선
20: 기초대
30: 전면기초
S: 석재
R: 보강토
C: 인접부
1: Gavion unit
12: Front wire netting
121: front part
123:
125:
14: Rear wire net
141:
142: first insert ring
143:
144: second inserting ring
145: First strand
146: Second strand
147: Third strand
20: foundation stand
30: Front Basics
S: Stone
R: Reinforcing soil
C: Adjacent portion

Claims (15)

철망으로 이루어진 전면부(121), 상기 전면부(121)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되 철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측면부(125), 상기 전면부(121)의 하단과 측면부(125)의 하단에 연결되되 철망으로 이루어진 바닥부(123) 및 상기 한 쌍의 측면부(125)의 나머지 측면과 상기 바닥부(123)의 단부에 연결되되 철망으로 이루어진 후면부(141)를 구비하는 석재공간;
상기 후면부(14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철망으로 이루어진 매립부(143);
상기 후면부(141)의 좌우방향으로 후면부에 고정되되 후면부를 구성하는 철망보다 큰 강도를 가진 제1버팀선(145);
상기 매립부(143)의 좌우방향으로 매립부에 고정되되 매립부를 구성하는 철망보다 큰 강도를 가진 제2버팀선(146); 그리고
상기 제1버팀선(145)과 제2버팀선(146) 사이를 연결하는 제3버팀선(147)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부(141)에 좌우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버팀선(145)은, 상기 후면부(141)의 철망 중 상하방향으로 뻗는 철망부위가 후방을 향해 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삽입고리(142)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매립부(143)에 좌우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버팀선(146)은, 상기 매립부(143)의 철망 중 전후방향으로 뻗는 철망부위가 상방을 향해 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삽입고리(144)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단위체.
A pair of side portions 125 connect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portion 121 and made of a wire net and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125 of the front portion 121, A stone space having a bottom part 123 made of a wire net and a rear part 141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side parts 125 and the end part of the bottom part 123 and made of a wire mesh;
A buried portion 143 extending rea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rear portion 141 and made of a wire mesh;
A first braided wire 145 fix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141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having a strength greater than that of the wire net constituting the rear portion;
A second stranded wire (146) fixed to the buried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uried portion (143) and having a strength greater than that of the wire net constituting the buried portion; And
And a third strut 147 connecting the first strut 145 and the second strut 146,
The first stranded wire 145 fixed to the rear portion 14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has a first inserting portion 142 formed by bending a wire net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ire net of the rear portion 141 rearward, And is fixed,
The second stranded wire 146 fixed to the buried portion 14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formed by a second inserting ring 146 formed by bending a wire net portion extending in the front- (144), and is fix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부(125)는 전방으로 갈수록 두 측면부(125)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단위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side portions (125)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de portions (125)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front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버팀선(147)의 양단에는, 각각 제1버팀선(145) 및 제2버팀선(146)에 걸어질 수 있는 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단위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randed wires (145) and (146)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rd stranded wire (147) with a ring that can be hooked to the first stranded wire (145) and the second stranded wire (146).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개비온 단위체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면부(121), 측면부(125) 및 바닥부(123)를 포함하는 전면철망(12)을 제작하고, 상기 후면부(141) 및 매립부(143)를 포함하는 후면철망(14)을 각각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후면부(141)와 매립부(143)에 각각 제1버팀선(145)과 제2버팀선(146)을 고정한 후 상기 후면부(141)와 매립부(143)에 고정된 제1버팀선과 제2버팀선을 제3버팀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면철망(12)과 후면철망(14)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비온 단위체 제작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the glow-in-1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A front wire net 12 including the front part 121, the side part 125 and the bottom part 123 is manufactured and the rear wire net 14 including the rear part 141 and the buried part 143 Producing; And
The first and second stranding wires 145 and 146 are fixed to the rear portion 141 and the buried portion 143 and then the first stranding wire 145 and the second stranding wire 146 are fixed to the rear portion 141 and the buried portion 143, And connecting the front wire netting (12) and the rear side wire netting (14) by connecting the two stranding wires with a third stranding wir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면철망(12)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면부(121)와 측면부(125)와 바닥부(123)를 하나의 철망으로 제작하되 상기 전면부(121)와 측면부(125)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121)와 바닥부(123)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제작되고,
이후 측면부(125) 하단과 바닥부(123)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단위체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front part 121 and the bottom part 123 are fabricated from one wire net while the front part 121 and the side part 12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ront part 121 and the bottom part 1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bottom part of the side part (125) and the bottom part (1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후면철망(14)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후면부(141)와 매립부(143)를 하나의 철망으로 제작하되 상기 후면부(141)와 매립부(143)의 경계부위를 절곡하여 후면부(141)와 매립부(143)를 형성하고, 후면부(141)의 상하방향 철망부위를 후방으로 고리모양으로 절곡하여 제1삽입고리(142)를 형성하며, 매립부(143)의 전후방향 철망부위를 상방으로 고리모양으로 절곡하여 제2삽입고리(14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단위체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rear portion 141 and the buried portion 143 are formed of a single wire mesh while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rear portion 141 and the buried portion 143 is bent to form the rear portion 141 The first and second inserting rings 142 and 142 are formed by bend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ire mesh of the rear portion 141 in a ring shape to the rear, And the second inserting ring (144) is formed by folding upward in an annular shape.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개비온 단위체를 사용한 시공 방법으로서,
절개지 상에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를 배치하고 석재공간에 석재(S)를 채워 넣는 단계; 및
상기 석재공간의 후방 공간으로서 상기 매립부(143)의 상부에 보강토(R)를 채워 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비온 단위체 시공 방법.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gypsum unit according to claim 1, claim 3, or claim 4,
Disposing the first gypsum unit on the cutout and filling the stone space with stones (S); And
And fil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ried portion (143) with a reinforcing earth (R) as a rear space of the stone space.
청구항 8에 있어서,
후방 공간에 보강토(R)가 채워진 제1 개비온 단위체 상부에 제2 개비온 단위체를 배치하고 석재공간에 석재(S)를 채워 넣는 단계; 및
상기 제2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후방 공간으로서 매립부(143)의 상부에 보강토(R)를 채워 넣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비온 단위체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Placing a second gypsum unit on top of the first gypsum unit filled with reinforcing soil (R) in a rear space and filling the stone space with stones (S); And
And fil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ried portion (143) with the reinforcing soil (R) as a rear space of the stone space of the second gyre uni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은, 상하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과 오버랩 되지 않고, 제1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단위체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one space of the second gyre unit does not overlap with the stone space of the first gypsum unit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located behind the stone space of the first gypsum unit.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하부는, 전후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상부와 오버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단위체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ne space of the second gyre-in unit unit overlaps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tone space of the first gyre-in unit unit when vi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하부 전면이,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의 석재공간의 상부 후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단위체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stone space of the second grate uni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stone space of the first grate uni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 단위체 중 최하단의 개비온 단위체는 기초대(20)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단위체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wermost unit of the lowermost unit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 단위체 중 최하단의 개비온 단위체 전방에는 최하단 개비온 단위체의 전면 하부가 일부 매립된 형태의 전면기초(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단위체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ront base (30) is formed in front of the lowermost unit of the lowermost unit, and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lowermost unit is partially embedded.
청구항 3의 개비온 단위체를 사용한 시공 방법으로서,
절개지 상에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를 배치하고,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의 측면에 상기 제1 개비온 단위체와 나란히 제3 개비온 단위체를 배치하되, 서로 마주하는 제1 개비온 단위체와 제3 개비온 단위체의 측면부 후방 단부가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하는 단계;
서로 맞대어진 제1 개비온 단위체와 제3 개비온 단위체의 측면부 후방 단부의 인접부(C)를 서로 연결하고, 석재공간에 석재(S)를 채워 넣는 단계; 및
상기 석재공간의 후방 공간으로서 매립부(143)의 상부에 보강토(R)를 채워 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비온 단위체 시공 방법.
A method of using the open-end unit of claim 3,
And a third opening unit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opening unit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opening unit, wherein the first opening unit and the third opening unit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opening unit, Disposing the ends so that they abut against each other;
Connecting the adjoining portions (C) of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side portions of the third gobness unit and the first gobion unit facing each other to each other to fill the stone space with the stone (S); And
And fil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uried portion (143) with a reinforcing earth (R) as a rear space of the stone space.
KR1020140086133A 2014-07-09 2014-07-09 Gabion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609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33A KR101460949B1 (en) 2014-07-09 2014-07-09 Gabion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33A KR101460949B1 (en) 2014-07-09 2014-07-09 Gabion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949B1 true KR101460949B1 (en) 2014-11-12

Family

ID=5228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133A KR101460949B1 (en) 2014-07-09 2014-07-09 Gabion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94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036A (en) * 2002-10-31 2004-05-08 김준석 The structure of gabion stiffener was applied of breast wall
KR200429312Y1 (en) * 2006-08-03 2006-10-20 (주)용마공영 Connecting Structure of stiffener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Wall
KR101071572B1 (en) * 2011-07-18 2011-10-10 (주)신승이앤씨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vegetation using wire mesh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036A (en) * 2002-10-31 2004-05-08 김준석 The structure of gabion stiffener was applied of breast wall
KR200429312Y1 (en) * 2006-08-03 2006-10-20 (주)용마공영 Connecting Structure of stiffener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Wall
KR101071572B1 (en) * 2011-07-18 2011-10-10 (주)신승이앤씨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vegetation using wire mesh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12B1 (en)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steel rod grid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KR101221944B1 (en) Gabion
KR101460948B1 (en) A Gabion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78127B1 (en) Block for engineering works
KR101633853B1 (en) An eco-friendly gabibolck for retaining wall with modular retaining wall
KR101460949B1 (en) Gabion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12127160A (en) Earth retaining wall of forestry exclusive road or forestry work road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528725B1 (en) The slope reinforcement method using natural stone
KR20050097291A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20150061712A (en) Water proof structure of Bank
KR20070029975A (en) Stairtype concrete retaining wall having functions of drainage and vegeta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2007314963A (en) Drain structure and drai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KR200345937Y1 (en)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KR200413303Y1 (en) Stone stacked wall structure using steel beam
KR101348584B1 (en) Structure of Complex Retaining Wall Block
JP4629559B2 (en) Drai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drain structure
KR100970457B1 (en) Block for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using the same
KR200357964Y1 (en) Block for retaining wall
KR101074267B1 (en) A revetment
KR200448481Y1 (en) Structure of retaining wall having a possible planting for cutting slope
KR100593181B1 (en) A terrace-revetment unit and a process of construction unsing the same
JP3774459B2 (en) Assembly fence
KR102087905B1 (en) the fiber cell unit for retaining wall and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222690B1 (en) Gabion block
KR102153322B1 (en) Compound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