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838B1 - 유체 배수 층을 갖는 통기성 의복 - Google Patents

유체 배수 층을 갖는 통기성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838B1
KR101460838B1 KR1020107012733A KR20107012733A KR101460838B1 KR 101460838 B1 KR101460838 B1 KR 101460838B1 KR 1020107012733 A KR1020107012733 A KR 1020107012733A KR 20107012733 A KR20107012733 A KR 20107012733A KR 101460838 B1 KR101460838 B1 KR 101460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arment
fabric
nanofiber web
fluid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862A (ko
Inventor
질 에이. 콘리
로버트 안토니 마린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00100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41D31/305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using layer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2Breathability, i.e. being vapour permeable and waterp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446Wrinkled, creased, crinkled or cre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10T428/24994Fiber embedded in or on the surface of a polymeric matrix
    • Y10T428/249949Two or more chemically different fi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84Nonwoven scri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707Woven fabric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Melt-blown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1Spun-bonded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2Needled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의복은 외부 및 내부 천 층들 사이에 통기성 복합 천을 포함한다. 통기성 복합 천은 2개의 나노섬유 웨브 층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성 유체 배수 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배수 층을 갖는 통기성 의복{BREATHABLE GARMENT HAVING A FLUID DRAINAGE LAYER}
본 발명은 2개의 나노섬유 웨브 층과 이들 사이의 유체 배수 층의 통기성 복합 천, 및 복합 천을 둘러싸는 선택적인 내부 및 외부 천 층을 포함하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의복이, 특히 고압의 지점이나 영역에서, 예를 들어 팔꿈치 및 바지의 앉는 부분에서, 유체, 예를 들어 빗물, 혈액 및 기름의 의복을 통한 침투에 덜 취약하도록 하는 것이 오랫동안 요구되어 왔다.
의복에 통기성을 부여하고 동시에 의복을 방수성으로 되게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더욱 쾌적해지도록 하기 위해, 통기성 및 방수성 멤브레인(membrane)을 의복 내로 통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확장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 ePTFE)이 이러한 응용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시간 경과에 따라, 신체 오일 및 삼출물 형태의 오염물 침범(soil impingement)은 멤브레인 내의 기공을 막히게 함으로써 멤브레인 성능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증기의 통과를 허용하는 중합체로 멤브레인을 코팅함으로써 멤브레인을 보호하려는 시도는 의복의 통기성의 감소를 야기한다. 따라서, 수명과 쾌적성 사이의 상충관계(tradeoff)가 존재한다.
의복의 통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특히 고압 영역에서의 개선된 침투 저항성을 의복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통기성 복합 천, 외부 천 층 및 내부 천 층을 포함하고, 통기성 복합 천이 2개의 나노섬유 웨브 층 및 그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성 유체 배수 층을 포함하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나노섬유 층", "나노섬유 웨브 층", "나노섬유 웨브" 및 "나노웨브 층"이라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어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나노섬유"라는 용어는 약 1000 ㎚ 미만, 심지어 약 800 ㎚ 미만, 심지어 약 50 ㎚ 내지 500 ㎚, 심지어 약 100 내지 400 ㎚의 수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를 지칭한다. 비원형 단면의 나노섬유의 경우,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직경"이라는 용어는 최대 단면 치수를 지칭한다.
"부직포"라는 용어는 다수의 무작위로 분포된 섬유들을 포함하는 웨브를 의미한다. 섬유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접합되거나 접합되지 않을 수 있다. 섬유는 스테이플(staple) 섬유 또는 연속 섬유일 수 있다. 섬유는 단일 재료, 또는 상이한 섬유들의 조합으로서 또는 각각 상이한 재료들로 구성된 유사한 섬유들의 조합으로서 다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의복"이란 사용자의 신체의 일정 영역을 날씨 또는 신체 외부 환경의 다른 요인으로부터 가리거나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가 착용하는 임의의 물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코트, 재킷, 바지, 모자, 장갑, 신발, 양말, 및 셔츠 모두가 이러한 정의 하에서의 의복으로 고려된다.
층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때 "외부"라는 용어는 착용자로부터 멀리 향하는 의복의 면을 지칭한다. "내부"라는 용어는 의복의 사용자를 향하는 면을 지칭한다.
"캘린더링(calendering)"이라는 용어는 웨브를 2개의 롤들 사이의 닙(nip)을 통과시키는 공정이다. 롤들은 서로 접촉할 수 있거나, 롤 표면들 사이에 고정 또는 가변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비패터닝된" 롤은 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정의 능력 내에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롤이다. 점 접합 롤과 달리, 웨브가 닙을 통과함에 따라 의도적으로 웨브 상에 패턴을 생성하는 점 또는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다.
"스크림", "기재" 및 "지지 층"이라는 용어는 나노웨브가 접합, 부착 또는 라미네이팅될 수 있는 임의의 평면 구조라 하기 위해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유용한 스크림 층은 스펀본드(spunbond) 부직 층이지만, 부직 섬유 등의 카디드(carded) 웨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복의 복합 천에 사용하기 위한 나노섬유 웨브 층은 전기 방사(electrospinning), 예컨대 전통적인 전기 방사 또는 일렉트로블로잉(electroblowing)에 의해, 그리고 소정 환경에서는 멜트블로잉(melt blowing)공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전통적인 전기 방사는, 나노섬유 및 부직 매트(nonwoven mat)를 생성하기 위해 고전압이 용액 내의 중합체에 인가되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 미국 특허 제4,127,706호에 예시된 기술이다. 그러나, 전기 방사 공정에서의 총 처리량은 너무 낮아서 더 무거운 평량의 나노웨브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업적으로 실행가능하지 않다.
일렉트로블로잉 공정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국제 특허 공개 WO 03/080905호에 개시되어 있다. 중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중합체 용액의 스트림이 저장 탱크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고 중합체 용액이 배출되는 방사구(spinneret) 내의 일련의 방사 노즐로 공급된다. 한편, 선택적으로 가열되는 압축 공기가 방사 노즐의 측면 또는 그 주연부에 배치된 공기 노즐로부터 방출된다. 공기는, 새로 방출된 중합체 용액을 둘러싸서 전진시키고 진공 챔버 위의 접지된 다공성 수집 벨트 상에 수집되는 섬유질 웨브의 형성을 돕는 송풍 기체 스트림(blowing gas stream)으로서 대체로 하향으로 지향된다. 일렉트로블로잉 공정은 약 1 gsm을 초과하는, 심지어 약 40 gsm 이상만큼 높은 평량의 나노웨브의 상업적 크기 및 수량의 형성을 비교적 단기간에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나노웨브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 재료는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부가 중합체 및 축합 중합체 재료 둘 모두, 예컨대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폴리알킬렌 설파이드, 폴리아릴렌 옥사이드, 폴리설폰, 개질된 폴리설폰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포괄 부류에 속하는 바람직한 재료는 가교결합 및 비-가교결합 형태의 다양한 가수분해도(87% 내지 99.5%)의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그리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및 다른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및 (ABA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부가 중합체는 유리질인 경향이 있다(Tg가 실온보다 높음). 이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중합체 조성물 또는 얼로이(alloy) 또는 저결정성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비닐알코올 재료의 경우에 해당한다. 폴리아미드 축합 중합체의 하나의 바람직한 부류는 나일론 재료, 예컨대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 6,6-6,10 등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나노웨브가 멜트블로잉에 의해 형성될 때,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부틸렌,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미드, 예컨대 상기 열거된 나일론 중합체를 포함하여, 나노섬유로 멜트블로잉될 수 있는 임의의 열가소성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나노웨브는 동일한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나노웨브는 상이한 중합체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섬유 중합체의 Tg를 감소시키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가소제를 전술한 다양한 중합체에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Tg는 본 명세서에서 중합체가 유리질로부터 고무질 상태로의 전이를 겪는 온도로서 정의된다. 적합한 가소제는 전기 방사되는 또는 일렉트로블로잉되는 중합체, 및 나노웨브가 채용될 특정한 최종 용도에 좌우될 것이다. 예를 들어, 나일론 중합체는 물 또는 심지어 전기 방사 또는 일렉트로블로잉 공정으로부터 잔존하는 잔류 용매로 가소화될 수 있다. 중합체 Tg를 낮추는 데 유용할 수 있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가소제로는 지방족 글리콜, 방향족 설파노미드, 다이부틸 프탈레이트, 다이헥슬 프탈레이트, 다이사이클로헥실 프탈레이트, 다이옥틸 프탈레이트, 다이아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다이운데실 프탈레이트, 다이도데칸일 프탈레이트 및 다이페닐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프탈레이트 에스테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문헌[Handbook of Plasticizers, edited by George Wypych, 2004 Chemtec Publishing]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중합체/가소제 조합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방사된 상태의 나노웨브는, 2006년 9월 20일자로 출원되고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공히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11/523,82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에 원하는 물리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캘린더링될 수 있다. 방사된 상태의 나노웨브는, 하나의 롤이 비패터닝 소프트 롤이고 하나의 롤이 비패터닝 하드 롤인 2개의 비패터닝 롤들 사이의 닙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하드 롤의 온도는 Tg와 본 명세서에서 중합체의 용융 개시 온도로서 정의되는 Tom 사이의 온도로 유지되어, 나노웨브의 나노섬유는 캘린더 닙을 통과할 때 가소화된 상태에 있다. 롤의 조성 및 경도는 천의 원하는 최종 용도의 특성을 생성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하나의 롤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초경 금속(hard metal)일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롤은 연질 금속(soft-metal) 또는 중합체 코팅된 롤 또는 로크웰(Rockwell) B 70 미만의 경도를 갖는 복합 롤일 수 있다. 2개의 롤들 사이의 닙 내에서의 웨브의 체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약 1 m/분 내지 약 50 m/분의 웨브의 라인 속도에 의해 제어되며, 2개의 롤들 사이의 풋프린트(footprint)는 웨브가 두 롤 모두와 동시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MD 거리이다. 풋프린트는 2개의 롤들 사이의 닙에서 가해지며 일반적으로 롤의 선형 CD 치수당 힘으로 측정되는 압력에 의해 제어되고, 바람직하게는 약 1 ㎜ 내지 약 30 ㎜이다.
또한, 나노웨브는, 선택적으로 나노섬유 중합체의 가장 낮은 Tom과 Tg 사이인 온도로 가열되는 동안, 신축될 수 있다. 신축은 웨브가 캘린더 롤로 공급되기 전 및/또는 후에 그리고 기계방향 또는 폭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 발생할 수 있다.
나노섬유 웨브는 정전기 방지제, 항미생물제, 처리 첨가제, 착색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복합 천은 2개의 나노섬유 층 사이에 배치된 유체 배수 층을 포함한다. 유체 배수 층은 내부 나노웨브가 현저하게 감소된 유체 압력을 받도록 외부 나노웨브를 침투하는 유체의 압력을 감소시켜 몰아치는 빗물, 팔꿈치, 앉는 부위 등에서의 가압에 의해 침투되는 유체와 같은, 힘이나 압력을 받는 유체의 유체 침투를 방지한다. 유체 배수 층은 내부 또는 외부 나노섬유 웨브 층을 통해 침투하여 유체 배수 층과 접촉하게 되는 유체가 신속하게 유체 배수 층을 통과하여 가압된 영역으로부터 멀리 지나갈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한 두께 및 평균 기공 크기를 갖는 가요성 구조이다. 유체 배수 층의 평균 기공 크기는 유체 배수 층의 양 면 상의 내부 및 외부 나노섬유 웨브 층의 평균 기공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유체 배수 층의 두께는 나노섬유 웨브 층의 두꺼운 부분만큼 두꺼울 수 있으며, 유리하게는 그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유체 배수 층이 소수성인 경우, 유체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더 큰 기공 크기 및 다공성이 바람직하다. 유체 배수 층의 재료는 유체가 유체 배수 층으로 침투하는 경우에, 유체가 유체 배수 층을 완전히 습윤시킬 가능성이 낮고 그리고/또는 다른 나노섬유 웨브 층으로 침투할 가능성이 낮도록 비흡수성 및 다공성일 수 있다. "다공성"이라는 것은 층이 20 ㎜ 수주(water gauge)에서 적어도 제곱미터당 분당 0.05 세제곱미터(0.05 ㎥/분/㎡)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20 ㎜ 수주에서 200 ㎥/분/㎡ 이상의 공기 투과도를 갖는 층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체 배수 층의 재료는 흡수성일 수 있으며 높은 위킹 레이트(wicking rate)를 가질 수 있어, 유체가 유체 배수 층으로 침투하는 경우에, 유체가 침투 장소로부터 멀리 신속하게 이동될 것이다.
유체 배수 층은 스펀본디드 부직포, 카디드 부직포, 니들펀칭된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웨트-레이드 부직포, 스펀레이스드 부직포, 스펀본디드-멜트블로운-스펀본디드 부직포, 직조 천, 니트 천, 멜트블로운 부직포, 입체 메시, 나노섬유 층, 이들의 조합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유체 배수 층은 선택적으로 텍스처화되거나 크레이프되어 유체 배수 층을 통하고 가압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유체를 지향시키고 유체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배수 층 내의 채널을 생성한다. 만약, 유체 배수 층이 나노섬유 층을 포함한다면, 유체 배수 층의 위킹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나노섬유 층의 친수성 처리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유체 배수 층은 나노섬유 웨브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에서 수집 기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데, 즉 유체 배수 층을 나노섬유 웨브 수집기 상에 배열하여 방사된 나노섬유 웨브가 기재 상에 수집 및 조합될 수 있다. 생성되는 조합된 웨브/유체 배수 층은 본 발명의 의복의 복합 천에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나노섬유 웨브 층과 그들 사이의 유체 배수 층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 천은 통기성을 가지며, 약 0.15 ㎥/분/㎡(0.5 CFM/ft2) 내지 약 7.6 ㎥/분/㎡(25 CFM/ft2)의 공기 투과도와, 적어도 약 500 g/㎡/24시의 수증기 투과율(vapor transmission rate)을 가질 수 있다.
유체 배수 층 및 나노웨브는 선택적으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3개의 층 모두는 점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에 의해 동시에 서로 접합될 수 있으며, 또는 3개의 층 중 2개만이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배수 층은 인접한 나노섬유 웨브 층에 접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나노섬유 웨브 층은 접합된 영역의 패턴이 나노웨브가 접합되지 않은 나노웨브 사이에 공극 또는 공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유체 배수 층은 나노웨브에 부착되지 않고 공극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적합한 접합 기술의 예에는 접착 접합, 열 접합, 예를 들어 점 접합, 및 초음파 접합이 포함되지만,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접합 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복합 천 및 복합 천을 포함하는 의복의 액체 침투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나노섬유 웨브 층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최외부 나노섬유 웨브 층은 층(들)의 유체 반발성을 향상시키고 나노섬유 웨브 층을 소수성 및 소유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불소-함유 화합물로 처리될 수 있다.
접착 접합의 경우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분산물 및 합성 라텍스를 포함하여 다양한 접착제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착제는 복합 천에 사용되는 섬유의 내화학성 및 내열성과 유사하거나 이보다 우수한 내화학성 및 내열성을 가져야 한다. 가능한 접착제 시스템은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 에스테르, 비닐 및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중합체를 기반으로 한 공중합체와 유화 중합에 의해 생성되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부타디엔, 스티렌, 및 비닐 피리딘의 삼원공중합체의 수성 음이온성 분산물을 포함한다.
나노웨브(들)를 유체 배수 층에 접착제로 접합하는 상이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웨브(들)는 먼저 필요로 하는 영역에 접착제로 코팅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유체 배수 층이 코팅된 나노웨브(들) 상의 접착제와 접촉하여 위치된다. 충분한 열 및 압력이 인가되어 접착제가 유체 배수 층 및 나노웨브의 기공의 일부 내로 유동하게 된다. 만약, 접착제가 가교결합성인 경우, 접착제는 열로 인해 가교결합되고, 결과적으로 나노웨브 및 유체 배수 층의 기계적 부착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나노웨브 및 유체 배수 층은, 예를 들어 접착제를 용융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닙을 통해 재료를 통과시킴으로써 적합한 적층 기술을 사용하여 접합된다. 닙 롤들 중 하나는 라미네이트 내에 점 접합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그 표면 상에 돌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복합 천은 의복 내에 외부 천 층과 내부 천 층 사이에 위치된다. 광범위한 천연 및 합성 천이 공지되어 있으며 외부 및 내부 천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거친 겉옷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의복은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strength 또는 tenacity)를 갖는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예를 들어, 나일론, 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등)로부터 제조된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직조된 천으로 구성되었으며, 각각의 섬유는 인장 강도가 약 8 그램/데니어(Denier) (gpd) 미만, 더 전형적으로 약 5 gpd 미만, 그리고 몇몇 경우에서는 약 3 gpd 미만이다. 그러한 재료는, 예를 들어 염색성, 통기성, 경량성, 쾌적성, 그리고 몇몇 경우에서는 내마모성과 같은 다양한 이로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직조 구조 및 다양한 직조 밀도가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몇몇 대안적인 직조 천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직조 구조, 예컨대 평직(plain woven) 구조, (이중 또는 다중 경사 및/또는 위사를 갖는) 강화 평직 구조, 능직(twill woven) 구조, (이중 또는 다중 경사 및/또는 위사를 갖는) 강화 능직 구조, 수자직(satin woven) 구조, (이중 또는 다중 경사 및/또는 위사를 갖는) 강화 수자직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신축성 직조 천, 립스톱(ripstop), 도비(dobby) 직물, 및 자카드(jacquard) 직물이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대안적으로 부직포 천이 외부 천 층 및 선택적인 내부 천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부직 시트의 예는 스펀본디드 웨브, 멜트 블로운 웨브, 다방향성 다층 카디드 웨브, 에어-레이드 웨브, 웨트-레이드 웨브, 스펀레이스드 웨브, 및 하나 초과의 부직 시트를 포함하는 복합 웨브를 포함한다. 적합한 스펀본디드 웨브는 폴리올레핀 섬유,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섬유는 소량의 다른 공단량체 유닛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스펀본디드 웨브"라는 용어는 연속적인 수집 표면 상에 침착, 압출 및 인발된 필라멘트로 형성된 부직 웨브를 의미한다. 접합은 점 또는 패턴 접합, 캘린더링, 또는 부직포 천을 상승된 압력의 포화된 증기 챔버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임의의 몇몇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적합한 스펀본디드 폴리올레핀 시트 재료의 예는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컴퍼니(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로부터 타이벡(Tyvek®)이라는 상품명으로 입수가능한 플래시 스펀 폴리에틸렌이다.
복합 천은 그 표면의 일부에 걸쳐 내부 천 층 및/또는 외부 천 층에, 임의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열에 의해, 초음파장을 사용하여, 또는 용매 접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접착제가 복합 천을 내부 및/또는 외부 층 천에 접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적합한 접착제는 열가소성 접착제이며, 이는 가열시 연화될 수 있고 이어서 다수의 가열 및 냉각 사이클에 걸친 냉각시 경화될 수 있다. 그러한 열가소성 접착제의 일례는 "고온 용융" 접착제이다. 일 실시예에서, 나노웨브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중합체 접착제의 용액을 사용하고 용매를 증발되게 함으로써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나노웨브가 천 상으로 직접 전기 방사될 때, 용매 접합을 달성하기 위해 나노웨브가 그 내에서 방사되는 용매가 사용된다.

Claims (22)

  1. 통기성 복합 천, 외부 천 층 및 내부 천 층을 포함하고, 상기 통기성 복합 천은 2개의 나노섬유 웨브 층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성 유체 배수 층을 포함하는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유체 배수 층은 접착제 접합, 열 접합, 초음파 접합, 용매 접합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나노섬유 웨브 층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접합되는 의복.
  3. 제1항에 있어서, 복합 천은 외부 및 내부 천 층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합되는 의복.
  4. 제1항에 있어서, 유체 배수 층은 스펀본디드 부직포, 카디드 부직포, 니들펀칭된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웨트-레이드 부직포, 스펀레이스드 부직포, 스펀본디드-멜트블로운-스펀본디드 부직포, 직조 천, 니트 천, 멜트블로운 부직포, 입체 메시, 나노섬유 층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의복.
  5. 제4항에 있어서, 유체 배수 층은 유체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텍스처화되거나 크레이프된 의복.
  6. 제1항에 있어서, 통기성 복합 천은 0.15 ㎥/분/㎡ 내지 7.6 ㎥/분/㎡의 공기 투과도 및 적어도 500 g/㎡/일의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의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나노섬유 웨브 층 중 외부 나노섬유 웨브 층은 불소-함유 화합물로 처리된 의복.
  8. 제1항에 있어서, 유체 배수 층의 평균 기공 크기는 적어도 나노섬유 웨브 층 중 하나의 평균 기공 크기만큼 크고 유체 배수 층은 적어도 나노섬유 웨브 층 중 더 두꺼운 부분만큼 두꺼운 의복.
  9. 제1항에 있어서, 유체 배수 층은 비흡수성인 의복.
  10. 제1항에 있어서, 유체 배수 층은 흡수성인 의복.
  11.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및 내부 천 층은 나일론, 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섬유를 포함하는 직조 천인 의복.
  12. 제1항에 있어서, 나노섬유 웨브 층은 그들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패턴으로 서로 접합되고, 유체 배수 층은 공극 내에 나노섬유 웨브 층들 사이에 부착되지 않게 배치되는 의복.
  13. 제1항에 있어서, 나노섬유 웨브 층은 유체 배수 층의 표면 상에 직접 전기 방사 또는 일렉트로블로잉함으로써 생성되고, 나노섬유 웨브 층 및 유체 배수 층은 전기 방사 또는 일렉트로블로잉 공정으로부터의 잔류 용매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의복.
  14. 제1항에 있어서, 나노섬유 웨브 층은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에테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폴리알킬렌 설파이드, 폴리아릴렌 옥사이드, 폴리설폰, 개질된 폴리설폰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의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의복.
  15. 제1항에 있어서, 나노섬유 웨브 층은 가교결합 및 비가교결합 형태의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그리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의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의복.
  16. 제1항에 있어서, 나노섬유 웨브 층은 나일론 6, 나일론 6,6, 및 나일론 6,6-6,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의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의복.
  17.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나노섬유 웨브 층의 각각은 상이한 중합체를 포함하는 의복.
  18. 제1항에 있어서, 나노섬유 웨브 층은 캘린더링되는 의복.
  19. 제1항에 있어서, 복합 천은 캘린더링되는 의복.
  20. 제1항에 있어서, 복합 천은 내부 및 외부 천 층과 접촉하면서 캘린더링되는 의복.
  21. 제1항에 있어서, 나노섬유 웨브 층 중 적어도 하나는 소유성 또는 소수성인 의복.
  2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및 내부 천 층은 부직포 천인 의복.
KR1020107012733A 2007-11-13 2008-03-11 유체 배수 층을 갖는 통기성 의복 KR101460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2007P 2007-11-13 2007-11-13
US61/002,820 2007-11-13
PCT/US2008/003213 WO2009064311A1 (en) 2007-11-13 2008-03-11 Breathable garment having a fluid drainage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862A KR20100100862A (ko) 2010-09-15
KR101460838B1 true KR101460838B1 (ko) 2014-11-12

Family

ID=3959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733A KR101460838B1 (ko) 2007-11-13 2008-03-11 유체 배수 층을 갖는 통기성 의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41729B2 (ko)
EP (1) EP2207440B1 (ko)
JP (1) JP5336504B2 (ko)
KR (1) KR101460838B1 (ko)
CN (1) CN101854820B (ko)
AT (1) ATE524079T1 (ko)
BR (1) BRPI0817404A2 (ko)
WO (1) WO20090643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100A (ko) * 2016-06-10 2019-02-15 어센드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오퍼레이션즈 엘엘씨 용액-방사된 폴리아미드 나노섬유 부직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719410A2 (pt) * 2006-12-15 2017-10-31 Freudenberg Nonwovens India Pvt Ltd um sistema para aumento de entrada de massa de ar
KR101460838B1 (ko) 2007-11-13 2014-11-12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유체 배수 층을 갖는 통기성 의복
CN102481527B (zh) * 2008-10-07 2015-04-01 纽约州立大学研究基金会 高通量高效率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
EP2367595A4 (en) * 2008-11-24 2014-11-19 Georgia Tech Res Inst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ANATOMICAL STRUCTURES
US20100292664A1 (en) * 2009-05-13 2010-11-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Garment having a fluid drainage layer
WO2011040718A2 (ko) * 2009-09-30 2011-04-07 주식회사 아모메디 웨스턴 블롯용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WO2013172831A1 (en) * 2012-05-16 2013-11-21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nanofibers from sheared solutions under continuous flow
RU2658909C2 (ru) 2013-02-14 2018-06-26 НАНОПАРЕЙЛ, ЭлЭлСи Гибридные войлоки из нановолокон, полученных электропрядением
DE102013008391A1 (de) * 2013-04-23 2014-10-23 Mann + Hummel Gmbh Filtermedium, insbesondere Luftfiltermedium, sowie Filterelement, insbesondere Luftfilterelement, mit einem Filtermedium
US10201198B2 (en) * 2014-12-23 2019-02-12 Profit Royal Pharmaceutical Limited Protective masks with coating comprising different electrospun fibers interweaved with each other, formulations form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CN107215034A (zh) 2017-04-26 2017-09-29 博爱(中国)膨化芯材有限公司 一种在线热复合速渗导流材料
BR102017017992B1 (pt) * 2017-08-22 2023-04-18 Ec Brand Com Imp Exp De Vest Ltda Forro multicamada de vestuário
TWI790283B (zh) 2017-09-18 2023-01-21 美商百美貼有限公司 用於形成及使用黏著帶的系統及方法
CN108004628B (zh) * 2018-01-05 2021-04-02 东华大学 一种带有纳米纤维防粘连机构用于制备纳米纤维/短纤混纺纱的装置及方法
US20210015684A1 (en) * 2019-07-15 2021-01-21 Patricia Kayanga Nakabugo Bamboo And Nonwoven Disposable Garm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193B2 (ja) * 1985-01-25 1994-06-01 旭化成工業株式会社 通気性防水布帛
US20030065298A1 (en) * 2000-06-21 2003-04-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barrier structures having a high convective air flow rat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060195964A1 (en) * 2005-03-04 2006-09-07 Robert Bury Quilted cold-weather garment
WO2007098449A1 (en) * 2006-02-21 2007-08-30 Fiber Web Simpsonville, Inc. Extensible absorbent composit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22605A (en) 1974-09-26 1978-08-23 Ici Ltd Preparation of fibrous sheet product
US4420521A (en) * 1982-03-25 1983-12-13 Carr George S Thermal garment design
JPS5926561A (ja) * 1983-06-21 1984-02-10 旭化成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
JPS6285005A (ja) * 1985-10-09 1987-04-18 帝人株式会社 防水衣服
US5204156A (en) * 1989-10-17 1993-04-20 Malden Mills Industries, Inc. Windproof and water resistant composite fabric with barrier layer
FR2822071B1 (fr) * 2001-03-15 2005-07-01 Pf Medicament Utilisation d'une fraction membranaire de bacteries a gram negatif pour induire la maturation des cellules dendritiques
KR100549140B1 (ko) * 2002-03-26 2006-02-03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일렉트로-브로운 방사법에 의한 초극세 나노섬유 웹제조방법
TWM251728U (en) * 2003-09-02 2004-12-01 Diamond Hosiery & Thread Co Lt Highly air permeable, moisture permeable, wet-proof, wind-blocking fast dried functional cloth
US7553371B2 (en) * 2004-02-02 2009-06-30 Nanosys, Inc. Porous substrates, articles, system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nanofibers and methods of their use and production
GB2416781A (en) * 2004-08-04 2006-02-08 Lightex Ltd Breathable fabric
CN2855115Y (zh) * 2005-12-20 2007-01-10 东华大学 具有静电纺纳米纤维非织造布的手帕
US20080070463A1 (en) * 2006-09-20 2008-03-20 Pankaj Arora Nanowebs
US7712579B2 (en) * 2007-09-06 2010-05-11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Floor silencer
KR101460838B1 (ko) 2007-11-13 2014-11-12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유체 배수 층을 갖는 통기성 의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193B2 (ja) * 1985-01-25 1994-06-01 旭化成工業株式会社 通気性防水布帛
US20030065298A1 (en) * 2000-06-21 2003-04-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barrier structures having a high convective air flow rat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060195964A1 (en) * 2005-03-04 2006-09-07 Robert Bury Quilted cold-weather garment
WO2007098449A1 (en) * 2006-02-21 2007-08-30 Fiber Web Simpsonville, Inc. Extensible absorbent composit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100A (ko) * 2016-06-10 2019-02-15 어센드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오퍼레이션즈 엘엘씨 용액-방사된 폴리아미드 나노섬유 부직포
KR102299766B1 (ko) * 2016-06-10 2021-09-07 어센드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오퍼레이션즈 엘엘씨 용액-방사된 폴리아미드 나노섬유 부직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54820B (zh) 2013-06-19
WO2009064311A1 (en) 2009-05-22
US8241729B2 (en) 2012-08-14
KR20100100862A (ko) 2010-09-15
CN101854820A (zh) 2010-10-06
EP2207440B1 (en) 2011-09-14
EP2207440A1 (en) 2010-07-21
US20090123700A1 (en) 2009-05-14
JP2011503383A (ja) 2011-01-27
BRPI0817404A2 (pt) 2018-06-12
JP5336504B2 (ja) 2013-11-06
ATE524079T1 (de)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838B1 (ko) 유체 배수 층을 갖는 통기성 의복
KR101460383B1 (ko) 통기성 방수 의복
JP5710979B2 (ja) 通気性のある耐水性衣類
EP2083644B1 (en) Liquid water resistant and water vapor permeable garments
KR101433406B1 (ko) 내풍성 및 수증기 투과성 의복
WO2009088564A1 (en) Liquid water resistant and water vapor permeable garments comprising hydrophobic treated nonwoven made from nanofibers
KR20090080103A (ko) 염색 및 접합된 미공성 층을 구비한 통기성 방수 천
US20100292664A1 (en) Garment having a fluid drainage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