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775B1 -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 - Google Patents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775B1
KR101460775B1 KR20140100682A KR20140100682A KR101460775B1 KR 101460775 B1 KR101460775 B1 KR 101460775B1 KR 20140100682 A KR20140100682 A KR 20140100682A KR 20140100682 A KR20140100682 A KR 20140100682A KR 101460775 B1 KR101460775 B1 KR 101460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urner
flame
amount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0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대림로얄이앤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로얄이앤피(주) filed Critical 대림로얄이앤피(주)
Priority to KR20140100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100)는,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관(101)과, 상기 연료관(101)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110)와,상기 버너(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02)와, 상기 버너(110)가 장착되어 열을 공급받는 열교환기(103)와, 상기 열교환기(103)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관(104)을 포함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104)에 장착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낙스(NOx; 질소산화물)량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낙스센서(106)와, 상기 낙스센서(106)에 연계되어 상기 버너(110)의 화염각을 컨트롤하도록 구성된 제어부(107)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110)는 상기 제어부(107)를 통해서 화염각(a)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낙스센서(106)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낙스량을 데이터로 전송받고 연속적으로 화염각(a)과 화염속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낙스량을 용이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 {The boiler where automatic low NOx control system was constructed}
본 발명은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배기가스로부터 낙스(NOx)의 배출량을 감지하여 버너의 화염을 조정하므로 낙스의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함께 배경기술에 의한 보일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보일러(1)는 가스나 석유 등의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관(10)이 구성되고, 상기 연료관(10)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20)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버너(20)가 장착되어 열을 공급받는 열교환기(4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40)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관(50)이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40)는 수관이 내장된 것으로서 물이 유입되어 열교환된 후 배출되도록 구성된 챔버 형상의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관(50)의 내부에 장착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센서(60)가 구성되고, 상기 산소센서(60)에 연계되어 상기 송풍기(3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70)가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배경기술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료관(10)을 통해서 가스 또는 석유 등의 연료가 공급되면 버너에 착화되어 열교환기(40) 내부로 화염을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30)를 통해서 버너(20)로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배기관(50)을 통해서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산소센서(60)를 통해서 규정량 이하의 산소량이 감지되면 공급되는 산소의 부족에 의해서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송풍기(30)의 회전속도를 올려서 버너(20)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대시키므로 연료의 연소가 원활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규정량 이상의 산소량이 감지되면 송풍기(30)의 회전속도를 낮추어서 버너(20)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줄이도록 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배기관(50)을 통해서 배출되는 낙스(NOx;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화염을 모아지게 하면(화염각을 좁히면) 연소율이 저하되면서 낙스량이 증가하고 화염이 확장되면(화염각을 넓히면) 연소율이 향상되면서 낙스량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배경기술에 의하면 분사되는 화염이 공급되는 공기량과 연료량에 따라 수시로 변화하기 때문에 낙스의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없고, 이로 인해서 대기오염을 가속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10-0914616호 (2009년 08월 24일)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는 배기가스로부터 배출되는 낙스(NOx; 질소산화물)의 양을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화염 각도를 조정하므로 낙스의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는,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관과, 상기 연료관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버너가 장착되어 열을 공급받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장착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센서와,상기 산소센서에 연계되어 상기 송풍기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에 장착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낙스(NOx; 질소산화물)량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낙스센서와, 상기 낙스센서에 연계되어 상기 버너의 화염각(a)을 컨트롤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서 화염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일러에 낙스량을 감소시키도록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되고, 상기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은, 상기 배기관에 장착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낙스(NOx; 질소산화물)량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낙스센서와, 상기 낙스센서에 연계되어 상기 버너의 화염각을 컨트롤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너는 상기 연료관에 연결되어 연료를 안내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전방으로 씌워지는 캡과, 상기 캡의 외측면에서 내측방으로 연결되어 연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캡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컨트롤되는 리니어 액튜에이터와, 상기 캡과 로드를 수용하고 상기 열교환기에 고정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의 후방부가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의 전방에 배치되는 판상의 커버와,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관통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의 전방단부에 부착되는 판상의 전방커버와,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는 관통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는, 상기 낙스센서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낙스량을 데이터로 전송받고 연속적으로 로드를 전후진시키면서 화염각 및 화염속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낙스량이 증가되는 현상을 억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보일러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에 구성되는 버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에 구성되는 버너에서 파이프를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에 구성되는 버너에서 캡을 후진하여 화염이 모아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에 구성되는 버너에서 캡을 전진하여 화염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에 구성되는 버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에 구성되는 버너에서 파이프를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에 구성되는 버너에서 캡을 후진하여 화염이 모아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에 구성되는 버너에서 캡을 전진하여 화염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가스나 석유 등의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관(101)이 구성되고, 상기 연료관(101)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110)가 구성되며, 상기 버너(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0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버너(110)가 장착되어 열을 공급받는 열교환기(103)가 구성되고, 상기 열교환기(103)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관(104)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관(104)에 장착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센서(105)가 구성되고, 상기 산소센서(105)에 연계되어 상기 송풍기(102)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0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7)는 산소센서(105)를 통해서 규정량 이하의 산소량이 감지되면 공급되는 공기량의 부족에 의해서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송풍기(102)의 회전속도를 올려서 버너(110)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대시키므로 연료의 연소가 원활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규정량 이상의 산소량이 감지되면 송풍기(102)의 회전속도를 낮추어서 버너(110)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줄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40)는 수관이 내장된 것으로서 물이 유입되어 열교환된 후 배출되도록 구성된 챔버 형상의 것이거나, 물이 내장된 것으로서 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탱크 형상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100)는,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T) 및 이에 의해서 화염각(a)을 조정하는 버너(110)에 의해서 낙스의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T)은 상기 배기관(104)의 내부에 장착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낙스(NOx; 질소산화물)량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낙스센서(106)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낙스센서(106)에 연계되어 상기 버너(110)의 화염각을 컨트롤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어부(107)를 포함한다.
상기 버너(110)는 상기 제어부(107)를 통해서 화염각(a)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일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버너(110)는 상기 연료관(101)에 연결되어 연료를 안내하는 안내관(111)이 구성된다. 상기 안내관(111)은 전방에 배출공(H)이 형성되어 연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관(111)의 전방으로 씌워지는 캡(112)이 구성되며, 상기 캡(112)의 외측면에서 내측방으로 연결되어 연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1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112)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드(115)가 구성되고, 상기 로드(115)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07)에 의해 컨트롤되는 리니어 액튜에이터(116)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112)과 배출관(113), 로드(115)를 수용하고 상기 열교환기(103)를 관통하여 열교환기(103)에 고정되는 파이프(117)가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117)의 후방부가 상기 송풍기(102)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102)가 파이프(117)와 연결되기 위해서는 상기 열교환기(103)에 고정된 파이프(117)를 수용하도록 열교환기(103)에 부착된 공기박스(108)가 구성되고, 상기 공기박스(108)와 송풍기(102)를 연결하는 공기관(109)이 구성되는데 배기관(104)을 통과해서 공기박스(108)에 연결되므로 배기가스에 의해 데워진 공기가 공기박스(108)에 유입되므로 열효율이 증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안내관(111)은 공기박스(108)를 관통하여 연료관(101)에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안내관(111)의 테두리에는 플랜지(F)가 형성되어 공기박스(109)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로드(115)는 플랜지(F)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고 이렇게 연장된 로드(115)에 리니어 액츄에이터(116)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로드(115)는 공기박스(108) 후방으로 연장되고 리니어 액츄에이터(116)는 공기박스(109)의 외부에서 로드(115)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7)는 낙스센서(106)에 연계되어 규정량 이상의 낙스가 감지되면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116)를 컨트롤하여 로드(115)를 전방으로 밀도록 하고 규정량 이하의 낙스가 감지되면 로드(115)를 후방으로 당기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가변하는 낙스의 양에 따라 로드(115)는 연속적으로 전후진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112)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113)의 전방에 배치되는 판상의 커버(S)가 구성되고, 상기 커버(S)를 관통하는 관통구(T)가 구성되며 외측방으로 개방된 노치(U)가 구성되므로 상기 관통구(T)와 노치(U)를 통해서 전방으로 화염이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112)의 전방단부에 부착되는 판상의 전방커버(K)가 구성되고, 상기 전방커버(K)를 관통하므로 화염이 전방으로 분사되는 관통구(R)가 구성된다. 상기 전방커버(K)는 상기 커버(S)보다 작게 형성하므로 화염을 차단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F)를 관통하여 파이프(117) 내부에 수용되므로, 배출되는 연료에 불을 붙이는 착화기(114)가 구성된다. 상기 착화기(114)는 일례로서 전기의 도통에 의해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것으로서 공기박스(108)를 관통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료관(101)을 통해서 가스나 석유 등의 연료를 공급하면 안내관(111)의 배출공(H)으로 연료가 배출된 후, 상기 배출관(113)을 통해서 파이프(117) 내부에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02)를 통해서 공기박스(108)에 공급된 공기가 파이프(117) 후방으로 유입되어 상기 연료와 혼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착화기(114)를 통해서 공기와 혼합된 연료에 불을 착화시키면 파이프(117) 후방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파이프(117)의 전방으로 화염이 분사된다. 이때, 배기가스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공급하므로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분사되는 화염은 커버(S)에 의해서 일부 차단되므로 상기 노치(U)와 관통구(T)를 통해서 분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현상은 물이 배출되는 호스의 배출구를 일부 막았을 때 배출되는 유속이 향상되는 것과 같다. 또한, 불길의 일부를 후방으로 역류시켜 아직 타지 않은 연료를 재차 태우게 되어 화염의 세기를 향상시켜서 연소율이 좋아지고 화염의 길이가 길어져서 열교환기(103) 내부를 고르게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화염의 분사 속도가 향상되어 연소율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서 낙스(NOx; 질소산화물)의 발생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커버(K)에 의해서 상기 노치(U)와 관통구(T)를 통해서 배출되는 화염이 후방으로 다시 역류하므로 타지 않은 연료를 또다시 태우게 되고 전방커버(K)의 둘레와 관통구(R)를 통해서 배출되는 화염의 분사속도가 증가된다. 이러한 현상은 물이 배출되는 호스의 배출구를 일부 막았을 때 배출되는 유속이 향상되는 것과 같다.
즉, 상기 커버(S)와 전방커버(K)에 의해서 화염의 분사속도를 증가시키고 후방으로 역류시켜서 연료의 완전연소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화염각(a)이 커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처럼 화염각(a)이 확장되었을 때 연소율이 향상되면서 낙스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당해 업자에게는 공지된 상식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산소센서(105)를 통해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량이 규정량 이하이면 제어부(107)는 연소가 불량한 것으로 인식하고, 송풍기(102)의 회전속도를 올려서 다량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므로 연소율이 향상된다.
또한, 산소센서(105)를 통해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량이 규정량 이상이면 제어부(107)는 연소가 양호한 것으로 인식하고,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 송풍기(102)의 회전속도를 낮추어 공기 공급을 줄이게 된다.
그런데, 상기 커버(S)와 전방커버(K)에 의해서 화염속도 및 화염각도를 조정하여 낙스의 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지만, 상기 산소센서(105)와 송풍기(102)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공급되는 산소량이 불규칙하므로 낙스의 발생도 불규칙하게 발생한다. 즉, 공기의 공급이 증가하게 되면 연소율이 향상되면서 낙스 발생률이 감소하게 되고 공기의 공급이 감소하게 되면 연소율이 저하되면서 낙스 발생률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커버(S)와 전방커버(K)에 의해서 화염속도 및 화염각도를 최적으로 구성한 후, 상기 낙스센서(106)를 통해서 규정량 이상의 양을 제어부(107)가 감지하게 되면,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116)를 컨트롤하여 로드(115)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러면 캡(112)이 파이프(117)의 전방으로 이송하면서 화염은 파이프(117)를 벗어나게 되어 화염각(a)이 벌어지게 되고 연소율이 향상되어 낙스량이 저감된다. 즉, 공기의 공급이 상기 송풍기(102)를 통해서 감소하더라도 로드(115)의 전진에 의해서 연소율이 향상되면서 낙스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낙스량이 저감되면 제어부(107)는 로드(115)를 후진시키게 되고, 로드(115)의 후진에 의해서도 낙스의 양이 증가하지 않는다면 로드(115)를 계속 후진시키다가 낙스의 양이 규정량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다시 로드(115)를 전진시켜서 화염이 확산되도록 하여 낙스량을 줄이게 된다. 상기처럼 로드(115)의 후진에 의해서도 낙스의 양이 증가하지 않는 것은 상기 팬(102)을 통해서 공기의 공급이 증가할 경우에 발생한다. 그리고, 이렇게 로드(115)를 후진시키는 이유는 로드(115)를 전진시킨 상태에서는 화염이 확산되어 화염길이가 짧아져서 열교환기(103) 내부를 고르게 가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드(115)를 후진시켜서 화염이 파이프(117) 내부로 당겨지게 되면 화염각(a)이 작아지면서 화염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낙스량을 규정량 이하로 줄이면서도 화염길이를 최적으로 길게 할 수 있는 지점을 찾아서 연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제어부(107)는 로드(115)를 실시간으로 전후진시키면서 낙스량을 규정량 이하가 되도록 하면서도 화염의 길이를 가장 길게 할 수 있는 지점을 찾아서 화염을 분사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은 낙스센서(106)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낙스량을 데이터로 전송받고 연속적으로 로드(115)를 전후진시키면서 낙스량이 증가되는 현상을 억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 101: 연료관
102: 송풍기 103: 열교환기
104: 배기관 105: 산소센서
106: 낙스센서 107: 제어부
108: 공기박스 109: 공기관
110: 버너 111: 안내관
F: 플랜지 112: 캡
113: 배출관 114: 착화기
115: 로드 116: 리니어 액츄에이터
117: 파이프 S: 커버
T: 관통구 U: 노치
K: 전방커버 R: 관통구
T: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

Claims (1)

  1.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관(101)과,
    상기 연료관(101)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110)와,
    상기 버너(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02)와,
    상기 버너(110)가 장착되어 열을 공급받는 열교환기(103)와,
    상기 열교환기(103)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관(104)과,
    상기 배기관(104)에 장착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센서(105)와,
    상기 산소센서(105)에 연계되어 상기 송풍기(102)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07)를 포함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에 낙스량을 감소시키도록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T)이 구성되고,
    상기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T)은,
    상기 배기관(104)에 장착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낙스(NOx; 질소산화물)량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낙스센서(106)와,
    상기 낙스센서(106)에 연계되어 상기 버너(110)의 화염각(a)을 컨트롤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어부(107)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110)는, 상기 연료관(101)에 연결되어 연료를 안내하는 안내관(111)과,
    상기 안내관(111)의 전방으로 씌워지는 캡(112)과,
    상기 캡(112)의 외측면에서 내측방으로 연결되어 연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13)과,
    상기 캡(112)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드(115)와,
    상기 로드(115)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컨트롤되는 리니어 액튜에이터(116)와,
    상기 캡(112)과 로드(115)를 수용하고 상기 열교환기(103)에 고정되는 파이프(117)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117)의 후방부가 상기 송풍기(102)와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캡(112)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113)의 전방에 배치되는 판상의 커버(S)와,
    상기 커버(S)를 관통하는 관통구(T)를 포함하고,
    상기 캡(112)의 전방단부에 부착되는 판상의 전방커버(K)와,
    상기 전방커버(K)를 관통하는 관통구(R)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
KR20140100682A 2014-08-05 2014-08-05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 KR101460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0682A KR101460775B1 (ko) 2014-08-05 2014-08-05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0682A KR101460775B1 (ko) 2014-08-05 2014-08-05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775B1 true KR101460775B1 (ko) 2014-11-24

Family

ID=5229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0682A KR101460775B1 (ko) 2014-08-05 2014-08-05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7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566B1 (ko) 2022-04-12 2022-11-16 김택주 질소산화물이 저감된 횡형 산업용 보일러
KR102467565B1 (ko) 2022-04-12 2022-11-16 김택주 질소산화물이 저감된 입형 산업용 보일러
KR102478997B1 (ko) 2022-03-23 2022-12-19 이병주 저녹스 버너가 구비된 보일러
KR102478990B1 (ko) 2022-03-23 2022-12-19 이병주 저녹스 버너가 구비된 보일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902A (ko) * 2006-12-19 2008-06-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2단으로 연료 및 공기를 분사하는 축열식 버너
KR100867743B1 (ko) 2008-07-04 2008-11-10 박정재 산소와 연료의 믹싱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산소노즐이구비된 산소버너
KR101300940B1 (ko) 2013-07-15 2013-08-27 주식회사 수국 저녹스형 버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902A (ko) * 2006-12-19 2008-06-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2단으로 연료 및 공기를 분사하는 축열식 버너
KR100867743B1 (ko) 2008-07-04 2008-11-10 박정재 산소와 연료의 믹싱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산소노즐이구비된 산소버너
KR101300940B1 (ko) 2013-07-15 2013-08-27 주식회사 수국 저녹스형 버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997B1 (ko) 2022-03-23 2022-12-19 이병주 저녹스 버너가 구비된 보일러
KR102478990B1 (ko) 2022-03-23 2022-12-19 이병주 저녹스 버너가 구비된 보일러
KR102467566B1 (ko) 2022-04-12 2022-11-16 김택주 질소산화물이 저감된 횡형 산업용 보일러
KR102467565B1 (ko) 2022-04-12 2022-11-16 김택주 질소산화물이 저감된 입형 산업용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775B1 (ko) 오토 저녹스 컨트롤 시스템이 구성된 보일러
JP2009299955A (ja) バーナ燃焼方法及び高速噴流型拡散燃焼式バーナ
KR101568900B1 (ko) 연소장치 및 연소장치의 연소 제어 방법
KR101443855B1 (ko) 질소산화물 저감형 친환경 저녹스 버너
WO2022176347A1 (ja) 燃焼装置およびボイラ
KR200448947Y1 (ko) 저녹스형 버너
CN103017190B (zh) 一种少油或无油点火的加氧装置
US20140158108A1 (en) Combustion device
JP6429471B2 (ja) 蓄熱式バーナ及び金属加熱炉
CN216744342U (zh) 低氮燃烧器
KR101765885B1 (ko) 산소 버너
JP4775398B2 (ja) 放射加熱装置
KR101766478B1 (ko) 방사형의 블로잉 구조를 갖는 펠릿보일러
JP3215513U (ja) チャージ式バーナー
CN203068497U (zh) 一种循环流化床点火装置混合风的布置结构
KR101830501B1 (ko) 분사노즐과 이를 갖춘 버너
KR101536137B1 (ko) 산업용 보일러 연소보조기
CN108343951B (zh) 煤粉燃烧设备及煤粉燃烧锅炉
RU92149U1 (ru) Горелка для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ой пыли
CN211694880U (zh) 一种二级内循环燃气燃烧器装置
JP2019015439A (ja) 蓄熱式燃焼設備
WO2022176353A1 (ja) 燃焼装置およびボイラ
KR101078845B1 (ko) 풀타임 축열연소식 컴팩트 버너
JP3553495B2 (ja) ボイラ装置
KR101722467B1 (ko) 이원 다중 동체 구조를 갖는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