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212B1 - 휴대단말장치, 기지국장치, 및 교환국장치 및 이동통신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장치, 기지국장치, 및 교환국장치 및 이동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212B1
KR101460212B1 KR1020127030446A KR20127030446A KR101460212B1 KR 101460212 B1 KR101460212 B1 KR 101460212B1 KR 1020127030446 A KR1020127030446 A KR 1020127030446A KR 20127030446 A KR20127030446 A KR 20127030446A KR 101460212 B1 KR101460212 B1 KR 10146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portable terminal
network
radio quality
star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740A (ko
Inventor
우리 안다르마완티 합사리
아닐 우메시
미키오 이와무라
히데아키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3002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휴대단말장치는, 위치정보의 취득이 수행될 때에, 해당 휴대단말장치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위한 측정조건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측정조건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측정 제어부와,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결과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하는 보고정보 생성부와, 상기 보고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휴대단말장치, 기지국장치, 및 교환국장치 및 이동통신방법{MOBILE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EXCHANG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는,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표준화단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양이 작성되고 있다. LTE는, W-CDMA의 확장기술인 HSPA(High Speed Packet Access)로부터 더욱 발전한 표준규격이다. LTE에서는, 하향링크에 있어서 100Mbps 이상, 상향링크에 있어서 50Mbps 이상의 고속통신이 실현되고, 지연의 개선이나 주파수의 이용효율 향상 등이 도모된다.
앞으로, LTE가 도입됨으로써, 기존의 이동체 통신시스템과 LTE가 혼재하는 상황이 되는 것이 예상된다. 기존의 시스템에는, W-CDMA 방식에 의한 이동체 통신시스템이 포함된다.
이동체 통신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의 품질의 개선을 수행하기 위해, 드라이브 테스트(Drive-Tests)가 수행된다. 드라이브 테스트란, 오퍼레이터 자신이 각 에어리어에서 전계 강도의 측정(전측(電測))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품질의 조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모든 에어리어에 정기적으로 직접 가서,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한다. 상기 전계 강도의 측정결과로부터 문제가 되는 에어리어를 검출한다. 상기 문제가 되는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의 품질을 개선한다. 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3GPP TR 36.805 v9.0.0(Dec. 2009)을 참조하기 바란다.
드라이브 테스트를 수행하려면, 오퍼레이터 자신이 각 에어리어로 직접 갈 필요가 있다. 각 에어리어로 직접 갈 필요가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의 측정에 시간이 걸린다. 또, 코스트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3GPP에서는, 미니마이제이션 오브 드라이브 테스트(드라이브 테스트의 최소화)(MDT:Minimization of Drive-Tests)(이하, 'MDT'라 부른다)에 대해 의논되고 있다.
MDT에서는,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무선품질의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품질측정조사를 수행한다. 상기 측정결과는, 네트워크에 보고된다.
MDT가 도입됨으로써,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의 측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MDT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측정보고와 함께 정확한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 기지국장치, 및 교환국장치 및 이동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휴대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의 취득이 수행될 때에, 해당 휴대단말장치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위한 측정조건 및 보고방법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측정조건 및 보고방법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측정 제어부와, 상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결과와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하는 보고정보 생성부와, 상기 보고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보고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휴대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대상 휴대단말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보고시키는 이동통신방법으로 이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에 의해 통지되어야 하는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을 나타내는 기동신호를 수신하는 기동신호 수신부와, 교환국장치로부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개시시키는 신호를 수신하는 측정개시신호 수신부와, 상기 기동신호 수신부에 의해 기동신호가 수신되고, 그리고 상기 측정개시신호 수신부에 의해 측정을 개시시키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기지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보고시키는 이동통신방법으로 이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을 검출하는 기동 검출부와, 상기 기동 검출부에 의해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로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개시시키기 위한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는 측정개시신호 송신부를 갖고, 상기 기지국장치는,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측정개시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수행하는 교환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휴대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의 취득이 수행될 때에, 해당 휴대단말장치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위한 측정조건 및 보고방법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상기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측정조건 및 보고방법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측정 제어단계와, 상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결과와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하는 보고정보 생성단계와, 상기 보고정보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보고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갖는 이동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대상 휴대단말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보고시키는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장치가,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에 의해 통지되어야 하는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을 나타내는 기동신호를 수신하는 기동신호 수신단계와, 기지국장치가, 교환국장치로부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개시신호를 수신하는 측정개시신호 수신단계와, 기지국장치가, 상기 기동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기동신호가 수신되고, 그리고 상기 측정개시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측정개시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 이동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보고시키는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교환국장치가,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을 검출하는 기동 검출단계와, 교환국장치가, 상기 기동 검출단계에 의해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로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개시시키기 위한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는 측정개시신호 송신단계와,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단말장치가, 상기 측정개시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갖는 이동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의 휴대단말장치, 기지국장치, 및 교환국장치 및 이동통신방법에 의하면,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측정보고와 함께 정확한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통신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를 나타내는 하드웨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환국장치를 나타내는 하드웨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환국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환국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시스템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하드웨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시스템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이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
[시스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100)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휴대단말장치(100)가 적용되는 환경은, W-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이어도 좋으며, Evolved UTRA and UTRAN 방식의 이동체 통신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이어도 좋다. 양 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이어도 좋다. Evolved UTRAN and UTRAN 방식의 이동체 통신시스템은,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이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도 1에, 일 예로서, Evolved UTRA and UTRAN 방식의 이동체 통신시스템이 도시된다.
상기 이동체 통신시스템은, 휴대단말장치(UE:User Equipment)(100)와, 기지국장치(eNB:eNodeB)(200)와, 교환국장치(300)를 포함한다. 교환국장치(300)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장치(200)는 교환국장치(300)와 접속되고, 교환국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미도시)와 접속된다. 코어 네트워크에, 오퍼레이션 앤드 메인터넌스(OAM:operation and maintenance) 노드(500)가 접속된다. 또, 코어 네트워크에,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가 접속된다. 위치정보 관련 노드에는,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모바일 로케이션 센터(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가 포함된다. 휴대단말장치(100)는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커버되는 셀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 방식에 의해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도 1에는, 1대의 휴대단말장치(100)가 그려져 있으나, 2대 이상이어도 좋다. 또, 도 1에는, 교환국장치(300)에 1대의 기지국장치(200)가 접속되어 있으나, 2대 이상이어도 좋다. 또, 도 1에는, 1대의 교환국장치(300)가 그려져 있으나, 2대 이상이어도 좋다.
기지국장치(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100)는, W-CDMA 방식에 의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미도시)와도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바꿔말하면, 휴대단말장치(100)는, 듀얼모드 단말이어도 좋다. 듀얼모드 단말은, 기존의 이동체 통신시스템, 예를 들면 W-CDMA 방식과, 새롭게 도입되는 이동체 통신시스템, 예를 들면 LTE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단말장치(100)에는, 기존의 이동체 통신시스템에 의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과, 새롭게 도입되는 이동체 통신시스템에 의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 양방의 이동체 통신시스템에 의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되어도 좋다.
[본 휴대단말장치]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2에는, 주로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된다.
본 휴대단말장치(100)는, 입력부(102)와, 출력부(104)와, 통신 제어부(106)와, 무선부(108)와, 기억부(110)와, 중앙 연산처리 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112)와, 위치정보 취득부(114)를 갖는다. 각 기능 블록은, 버스(150)에 의해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서, 휴대단말장치(100)에 대해 설명된다. 휴대단말장치(100)에 한하지 않고, MDT의 측정을 적용할 수 있는 단말장치라면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정보단말(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중앙 연산처리 장치(112)는, 입력부(102)와, 출력부(104), 통신 제어부(106), 무선부(108), 기억부(110), 및 위치정보 취득부(114)의 제어를 수행한다. 중앙 연산처리 장치(112)는, 기억부(110)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능하고,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다.
기억부(110)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오퍼레이팅 시스템(OS:Operating System)을 갖는다. 애플리케이션은, 유저가 본 휴대단말장치(100) 상에서 실행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이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본 휴대단말장치(100)에 있어서, 하드웨어를 추상화한 인터페이스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입력부(102)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에 의해 구성되고, 해당 휴대단말장치(100)로의 지시나, 데이터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 입력부(102)는, 예를 들면, 마이크에 의해 구성되고, 유저에 의해 발생된 음성을 입력한다. 상기 음성에는, 해당 휴대단말장치(100)로의 지시가 포함되어도 좋다. 상기 지시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대한 것이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것이 포함된다.
출력부(104)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되고, 해당 휴대단말장치(100)에 의한 처리상태나 처리결과를 표시한다. 또, 출력부(104)는, 예를 들면, 스피커에 의해 구성되고, 유저에 대해, 소리를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처리상태나 처리결과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것이 포함된다. 디스플레이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Plasma Display Panel),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이 포함된다.
통신 제어부(106)는, 해당 휴대단말장치(100)를 접속해야 하는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또, 접속해야 하는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송신된 제어정보를 해석한다. 또, 통신 제어부(106)는,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이하, 'MDT 측정'이라 부른다)를 수행한다. 상기 MDT 측정에서는, 참조신호 수신전력(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참조신호 수신품질(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이 측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부(108)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MDP 측정을 수행한다.
무선부(108)는, 중앙 연산처리 장치(112)에 의한 제어에 의해, 기지국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방식에는,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통신 제어부(106)에 의해 생성된 제어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또, 기지국장치(20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위치정보 취득부(114)는, 해당 휴대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위치정보 취득 프러시저를 기동함으로써, 위치정보를 취득한다. 또, 예를 들면, 위치정보 취득부(114)는, GPS 수신장치를 포함해도 좋다.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에 의해 송신되는 측위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휴대단말장치(100)의 위치를 측위한다. 위치정보는, 경도, 위도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좋다. 또한, 위치정보는, 고도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좋다. 현재, 약 30개의 GPS 위성이 고도 약 20,000㎞의 상공에서 지구를 일주하고 있으며, 55도씩 기울어진 6개의 지구 주회(周回) 궤도면이 있으며, 각각의 궤도면에 4개 이상의 GPS 위성이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천공이 열려있는 장소라면, 지구상의 어느 장소에 있어도, 상시, 적어도 5개 이상의 GPS 위성이 관측 가능하다. 또, 위치정보 취득부(114)는, GPS에 한하지 않고, 다른 위치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위치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LAN에 있어서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전파에 기초하여 위치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MDT의 종류]
MDT에는, '이미디어트 MDT(Immediate MDT)'와 '로그 MDT(Logged MDT)'의 2개의 타입이 규정되어 있다.
'Immediate MDT'는, 해당 휴대단말장치(100)가, RRC_CONNECTED의 상태인 경우에 실행되는 MDT의 측정과, 상기 측정결과의 보고를 포함한다. 통상, 휴대단말장치(100)는, RRC_CONNECTED의 상태에서, CONNECTED Measurement and Reporting을 수행하나, 상기 CONNECTED Measurement and Reporting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면, 휴대단말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나 피리어드를 만족시키는 경우에 보고를 수행한다. 이벤트에는, 서빙 셀로부터의 전계 강도가 어느 임계값 미만이 되는 것이 포함된다.
'Logged MDT'는, 해당 휴대단말장치(100)가, RRC_IDLE 상태인 경우에 실행되는 MDT의 측정과, 상기 측정결과의 기록을 포함한다. 휴대단말장치(100)에는, MDT의 측정을 위한 측정조건 및 보고방법(이하,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라 부른다)이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면, RRC_CONNECTED의 상태인 경우에, 휴대단말장치(100)에,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된다. 상기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는, 휴대단말장치(100)가 RRC_IDLE인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어도 좋다. 휴대단말장치(100)는, RRC_IDLE 상태가 되면, 미리 설정된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MDT의 측정과, 상기 측정결과를 기록한다. 또, RRC_CONNECTED의 상태인 경우에, MDT용 측정과, 상기 측정결과를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휴대단말장치(100)는, RRC_CONNECTED 세션에서, 기록한 측정결과를 보고한다.
'Immediate MDT'와 'Logged MDT'의 차이는, 이벤트를 만족시킨 경우에 보고하는지, 기록하는지의 차이여도 좋다.
[본 휴대단말장치의 기능]
MDT 측정결과의 보고는,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을 조사하여, 상기 품질이 나쁜 곳을 개선하기 위해 수행된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의 정보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상기 무선품질이 얻어진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도 필요하다.
특히, 'Logged MDT'에서는, 다양한 위치에서 측정된 네트워크의 품질의 측정결과가 기록되기 때문에, 상기 측정결과를 보고할 때에, 위치정보도 포함시켜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ogged MDT'에서는, 휴대단말장치(100)가 RRC_IDLE의 상태에서의 측정결과가 기록되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위치정보를 네트워크측에서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본 휴대단말장치(100)에서는,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의 측위결과와, 해당 휴대단말장치(100)가 갖는 이용 가능한 위치정보를 기록한다.
본 휴대단말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는, 해당 휴대단말장치(100)가 갖는 위치정보 취득부(114)가 기동한 경우에,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가 포함된다. 본 휴대단말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는, 상기 판정의 결과가,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MDT 측정을 수행하는 처리가 포함된다. 본 휴대단말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는, 상기 측정결과와 해당 휴대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location info)를 보고하는 처리가 포함된다. 상기 위치정보는, 해당 휴대단말장치(100)가 갖는 이용 가능한(available) 위치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는, 해당 휴대단말장치(100)가 갖는 최신의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보고를 위해, 최신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수순(프러시저:procedure)은 기동하지 않고, 측정결과를 보고하는 시점에서 해당 휴대단말장치(100)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여도 좋다. 또, 필요에 따라서, 측정결과를 보고할 때에,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수순이 기동되고, 상기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수순에 의해 취득된 위치정보여도 좋다.
또, 위치정보에는, 상기 위치정보에 관련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스탠드얼론(standalone) GPS가 기동된 경우에는, 상기 GPS에 의한 측위결과에 더해, 주변 셀의 참조신호 수신전력, 참조신호 수신품질이 포함되어도 좋다.
도 3은, 본 휴대단말장치(100)의 기능을 나타낸다. 도 3에는, 중앙 연산처리 장치(112)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이 주로 도시된다.
본 휴대단말장치(100)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를 갖는다. 상기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에는, 위치정보 취득부(114)로부터 상기 위치정보 취득부(114)가 기동된 경우에, 기동된 것을 나타내는 기동정보가 입력된다. 예를 들면, GPS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취득부(114)에, 위치정보 서비스에 의한 명령이 입력됨으로써 상기 GPS 수신장치가 기동된 경우에, 상기 위치정보 취득부(114)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에 기동정보를 입력한다.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는, 위치정보 취득부(114)로부터 기동정보가 입력되면,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1124)에,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문의한다.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1124)에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는, MDT 측정 제어부(1126)에, MDT 측정을 개시하도록 명령한다.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1124)에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는, 대기한다.
본 휴대단말장치(100)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1124)를 갖는다. 상기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1124)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와 접속된다. 상기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1124)에는, 통신 제어부(106)로부터,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입력된다. 상기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에는, MDT 측정에 의해 측정하고, 보고해야 하는 측정결과를 얻기 위한 측정 파라미터나 항목이 포함된다.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1124)는, 통신 제어부(106)에 의해 입력된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을 설정한다. 또,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1124)는, MDT 측정 제어부(1126)에,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의 설정결과를 입력한다. 또,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1124)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에 의한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었는지 여부의 문의에 응답한다.
본 휴대단말장치(100)는, MDT 측정 제어부(1126)를 갖는다. 상기 MDT 측정 제어부(1126)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 및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1124)와 접속된다. 상기 MDT 측정 제어부(1126)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로부터 MDT 측정을 개시하도록 명령된 경우에,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1124)에 의해 입력되어야 하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MDT 측정의 제어를 수행한다. MDT 측정 제어부(1126)는, MDT 측정결과 보고정보 생성부(1128)에, 네트워크에 보고해야 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본 휴대단말장치(100)는, MDT 측정결과 보고정보 생성부(1128)를 갖는다. 상기 MDT 측정결과 보고정보 생성부(1128)는, MDT 측정 제어부(1126)와 접속된다. 상기 MDT 측정결과 보고정보 생성부(1128)에는, 위치정보 취득부(114)로부터 위치정보가 입력되고, 통신 제어부(106)로부터 MDT 측정결과가 입력된다. MDT 측정결과 보고정보 생성부(1128)는, MDT 측정 제어부(1126)로부터 네트워크에 보고해야 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하도록 명령된 경우, 상기 명령에 따라, MDT 측정결과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한다. MDT 측정결과 보고정보 생성부(1128)는, 상기 보고정보를 통신 제어부(106)에 입력한다.
[본 휴대단말장치의 동작]
도 4는, 본 휴대단말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휴대단말장치(100)가 갖는 위치측위장치가 기동된다(단계 S402). 상기 위치측위장치는, 예를 들면 스탠드얼론 GPS여도 좋다. 예를 들면, 위치정보 취득부(114)는, 해당 휴대단말장치(100)가 갖는 위치측위장치가 기동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기동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에, 기동정보를 입력한다.
본 휴대단말장치(100)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04). 예를 들면,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1124)에,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문의함으로써,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단계 S404:YES), 본 휴대단말장치(100)는, MDT 측정을 개시하고, MDT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한다(단계 S406). 예를 들면,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MDT 측정 제어부(1126)에, MDT 측정을 개시하도록 명령한다. MDT 측정 제어부(1126)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1122)에 의해 입력된 MDT 측정을 개시하는 명령에 따라 MDT 측정의 제어를 수행한다.
본 휴대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에, MDT 데이터 수집결과와, 측위정보를 보고한다. 예를 들면, MDT 측정 제어부(1126)는, MDT 측정결과 보고정보 생성부(1128)에, 네트워크에 보고해야 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MDT 측정결과 보고정보 생성부(1128)는, MDT 측정 제어부(1126)로부터, 네트워크에 보고해야 하는 측위결과정보를 생성하도록 명령된 경우, 상기 명령에 따라, MDT 측위결과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한다. MDT 측정결과 보고정보 생성부(1128)는, 보고정보를 통신 제어부(106)에 입력한다. 통신 제어부(106)는, 상기 보고정보를 무선부(108)로부터 무선송신시킨다.
단계 S404에 있어서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MDT 측정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종료한다.
도 4에 도시되는 흐름도에 있어서, 단계 S408에 있어서 생성된 보고정보를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MDT 측정 제어부(1126)는, MDT 측정결과 보고정보 생성부(1128)에, 보고정보를 기억부(110)에 저장하도록 명령한다. 기억부(110)에 저장된 보고정보는, 그 후, 네트워크에 무선송신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MDT 측정결과에, 본 휴대단말장치(100)가 갖는 최신의 위치정보와 관련지어 보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MDT 측정을 위해 위치정보의 측정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위치정보가 취득될 때에 MDT 측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MDT 측정에 따른 처리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시스템]
본 실시예에 따른 교환국장치(300)가 적용되는 환경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환경과 동일하다.
[본 교환국장치]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환국장치(300)를 나타낸다. 도 5에는, 주로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된다.
본 교환국장치(300)는, 통신부(302)와, 중앙 연산처리 장치(304)와, 기억부(306)를 갖는다. 각 기능 블록은, 버스(350)에 의해 접속된다.
중앙 연산처리 장치(304)는, 통신부(302), 및 기억부(306)의 제어를 수행한다. 중앙 연산처리 장치(304)는, 기억부(306)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능하고,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다.
기억부(306)는, 애플리케이션과,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갖는다. 애플리케이션은, 유저가 본 교환국장치(300) 상에서 실행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이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본 교환국장치(300)에 있어서, 하드웨어를 추상화한 인터페이스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통신부(302)는, 중앙 연산처리 장치(304)에 의한 제어에 의해, 기지국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또, 통신부(302)는, OAM 노드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또, 통신부(302)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본 교환국장치의 기능]
교환국장치(300)는, 휴대단말장치(100)가 RRC_IDLE의 상태인지 RRC_CONNECTED의 상태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에 의해 위치정보 측위수순이 기동될 때에는, 교환국장치(300)에, 위치정보 측위지시가 송신된다. 교환국장치(300)는, 상기 위치정보 측위지시를 트리거로서, 기지국장치(200)에, MDT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지시는,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장치에 소망의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보고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교환국장치(300)의 기능을 나타낸다. 도 6에는, 중앙 연산처리 장치(304)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이 주로 도시된다.
본 교환국장치(300)는, MDT 폴리시 통지부(3042)를 갖는다. MDT 폴리시 통지부(3042)에는, MDT 폴리시가 입력된다. 상기 MDT 폴리시에는, MDT 측정을 수행하는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면, 셀 ID가 포함된다. 또, MDT 폴리시에는, 휴대단말장치(100)의 계약자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또, MDT 폴리시에는, 휴대단말장치(100)의 능력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또, MDT 폴리시에는, 어느 가입자 식별자(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갖는 휴대단말장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MDT 폴리시는, 예를 들면, OAM 노드(500)로부터 수신된 것이어도 좋다. OAM 노드(500)는, 네트워크 장치의 운용·보수를 수행하기 위한 노드이다. MDT 폴리시 통지부(3042)는, 기억부(306)에, MDT 폴리시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또, MDT 폴리시 통지부(3042)는, 기억부(306)에 저장된 MDT 폴리시를 통신부(302)에 입력한다. 통신부(302)에 입력된 MDT 폴리시는, 기지국장치(200)로 송신된다. 상기 MDT 폴리시는,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휴대단말장치(100)로 송신하기 위한 포맷으로 변환되고,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으로서, 휴대단말장치(100)로 무선송신된다. 휴대단말장치(100)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을 설정한다.
본 교환국장치(300)는, MDT 측정개시 제어부(3044)를 갖는다. MDT 측정개시 제어부(3044)에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에 의해 위치정보 측위지시신호가 입력된다. MDT 측정개시 제어부(3044)는, MDT 폴리시 통지부(3042)에, MDT 폴리시를 통지하도록 명령한다. 또, MDT 측정개시 제어부(3044)는, 상기 위치정보 측위지시신호가 입력된 것을 트리거로서, MDT 측정개시신호 생성부(3046)에, MDT 측정개시신호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본 교환국장치(300)는, MDT 측정개시신호 생성부(3046)를 갖는다. MDT 측정개시신호 생성부(3046)는, MDT 측정개시 제어부(3044)로부터의 MDT 측정개시신호를 생성하는 명령에 따라, MDT 측정개시신호를 생성한다. 또, MDT 측정개시신호 생성부(3046)는, 상기 MDT 측정개시신호를 통신부(302)에 입력한다. 상기 MDT 측정개시신호는,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휴대단말장치(100)로 송신하기 위한 포맷으로 변환되고, 휴대단말장치(100)로 무선송신된다. 휴대단말장치(100)는, 상기 MDT 측정개시신호에 따라, MDT 측정을 수행한다.
또, 휴대단말장치(100)에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로부터 위치정보가 통지된다. 휴대단말장치(100)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에 의해 통지된 위치정보와, MDT 측정결과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보고정보는, 교환국장치(300)로 송신된다. 또한, 교환국장치(300)로부터 OAM 노드(500)로 통지되어도 좋다.
[본 교환국장치의 동작]
도 7은, 본 교환국장치(300)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OAM 노드(500)로부터 교환국장치(300)로, MDT 폴리시가 송신된다(단계 S702).
교환국장치(300)는, OAM 노드(500)로부터의 MDT 폴리시를 기지국장치(200)로 송신한다(단계 S704). 예를 들면, MDT 폴리시 통지부(3042)는, MDT 폴리시를 기억부(306)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MDT 폴리시 통지부(3042)는, 기억부(306)에 저장된 MDT 폴리시를 기지국장치(200)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MDT 폴리시를 수신했을 때의 휴대단말장치(100)의 상태가 RRC_IDLE의 상태인 경우에 기억부(306)에 저장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100)가 RRC_CONNECTED의 상태로 천이했을 때에, 기지국장치(200)로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 기억부(306)에 저장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기억부(306)에 저장하지 않고, 기지국장치(300)로 송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MDT 폴리시를 수신했을 때의 휴대단말장치(100)의 상태가 RRC_CONNECTED의 상태인 경우에, 기억부(306)에 저장하지 않고 송신해도 좋다.
기지국장치(200)는, 교환국장치(300)에 의해 통지된 MDT 폴리시를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으로 변환하고, 휴대단말장치(100)로 무선송신한다(단계 S706). 휴대단말장치(100)는,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통지된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을 설정한다(단계 S708).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에 있어서 위치측위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로부터, 교환국장치(300)로, 위치정보 측위지시신호가 송신된다(단계 S710).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는, 위치정보 측위수순을 기동한다(단계 S712).
교환국장치(300)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로부터의 위치정보 측위지시신호를 트리거로서, MDT 측위개시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714). 예를 들면,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로부터의 위치정보 개시신호는, MDT 측위개시 제어부(3044)에 입력된다. MDT 측위개시 제어부(3044)는, 상기 위치정보 측위지시신호를 트리거로서, MDT 측정개시신호 생성부(3046)에, MDT 측정개시신호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MDT 측정개시신호 생성부(3046)는, MDT 측정개시신호 생성부(304)에 의해 입력된 MDT 측정개시신호를 생성하는 명령에 따라, MDT 측정개시신호를 생성한다.
교환국장치(300)는, MDT 측정개시신호를 기지국장치(200)로 송신한다(단계 S716).
기지국장치(200)는, 휴대단말장치(100)로, 교환국장치(300)로부터의 MDT 측정개시신호를 무선송신한다(단계 S718). 상기 MDT 측정개시신호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송신된다.
휴대단말장치(100)는, MDT 측정개시신호를 수신한 경우, 단계 S708에 의해 설정한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MDT 측정을 수행한다(단계 S720).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로부터, 휴대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가, 상기 휴대단말장치(100)에 통지된다(단계 S722).
휴대단말장치(100)는, 단계 S720에 의한 MDT 측정결과와, 단계 S722에 의해 통지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724).
휴대단말장치(100)는, 단계 S724에 의해 생성된 보고정보를 교환국장치(300)로 송신한다(단계 S726). 또한, 교환국장치(300)로부터 OAM 노드(500)로, 상기 보고정보가 송신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국장치(300)가 MDT 폴리시를 통지함으로써, MDT 측정이 개시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교환국장치(300)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로부터의 위치정보 측위지시신호를 수신하기까지는, MDT 폴리시를 보유한다. 교환국장치(300)는, 위치정보 측위지시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MDT 폴리시를 기지국장치(200)로 송신한다. 기지국장치(200)는, 교환국장치(300)로부터의 MDT 폴리시에 기초하여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을 생성하고, 휴대단말장치(100)로 무선송신한다. 휴대단말장치(100)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의 MDT 컨피규레이션을 설정하고, MDT 측정을 개시한다. MDT 폴리시의 통지에 의해 MDT 측정이 개시됨으로써, MDT 측정을 위해 통지하는 신호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정보 취득 프러시저가 기동되고 있었던 경우에, 휴대단말장치는 MDT 측정을 개시하고, MDT의 측정결과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한다. MDT 측정을 위해 위치정보의 측정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위치정보가 취득될 때에 MDT 측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MDT 측정에 따른 처리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변경예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휴대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와, 상기 휴대단말장치(100)에 의한 MDT 측위결과를 대응지어도 좋다.
[본 기지국장치]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를 나타낸다. 도 8에는, 주로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된다.
본 기지국장치(200)는, 통신부(202)와, 중앙 연산처리 장치(204)와, 기억부(206)를 갖는다. 각 기능 블록은, 버스(250)에 의해 접속된다.
중앙 연산처리 장치(204)는, 통신부(202), 및 기억부(206)의 제어를 수행한다. 중앙 연산처리 장치(204)는, 기억부(206)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능하고,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다.
기억부(206)는, 애플리케이션과,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갖는다. 애플리케이션은, 유저가 본 기지국장치(200) 상에서 실행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이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본 교환국장치(300)에 있어서, 하드웨어를 추상화한 인터페이스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통신부(202)는, 중앙 연산처리 장치(204)에 의한 제어에 의해, 교환국장치(300)와의 사이에서 유선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또, 통신부(202)는, 중앙 연산처리 장치(204)에 의한 제어에 의해, 휴대단말장치(100)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방식에는, LTE가 포함된다.
[본 기지국장치의 기능]
도 9는, 본 기지국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9에는, 중앙 연산처리 장치(204)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이 주로 도시된다.
본 기지국장치(200)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통지부(2042)를 갖는다.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통지부(2042)에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로부터의 기동통지신호와, 교환국장치(300)로부터의 MDT 측정개시신호가 입력된다.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통지부(2042)는, 기동 통지신호 및 MDT 측정개시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통신부(202)에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을 입력한다.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을 생성하기 위한 MDT 폴리시가 사전에 해당 기지국장치(200)에 통지된다. 통신부(202)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통지부(2042)에 의해 입력된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을, 휴대단말장치(100)로 무선송신한다.
[본 기지국장치의 동작]
도 10은, 본 기지국장치(200)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에 의해 위치정보 측위수순이 기동되고 있는 경우,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는, 기지국장치(200)에, 기동된 것을 통지한다(단계 S1002). 예를 들면,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가 E-SMLC(Evolved-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인 경우, 상기 E-SMLC는, 기지국장치(200)에 기동된 것을 통지한다.
OAM 노드(500)로부터 교환국장치(300)로, MDT 폴리시가 송신된다(단계 S1004).
교환국장치(300)는, OAM 노드(500)로부터의 MDT 폴리시를 기지국장치(200)로 송신한다(단계 S1006). 예를 들면, MDT 폴리시 통지부(3042)는, MDT 폴리시를 기억부(306)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MDT 폴리시 통지부(3042)는, 기억부(306)에 저장된 MDT 폴리시를 기지국장치(200)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MDT 폴리시를 수신했을 때의 휴대단말장치(100)의 상태가 RRC_IDLE의 상태인 경우에 기억부(306)에 저장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100)가 RRC_CONNECTED의 상태로 천이했을 때에, 기지국장치(200)로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 기억부(306)에 저장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기억부(306)에 저장하지 않고, 기지국장치(300)로 송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MDT 폴리시를 수신했을 때의 휴대단말장치(100)의 상태가 RRC_CONNECTED의 상태인 경우에, 기억부(306)에 저장하지 않고 송신해도 좋다.
또, 교환국장치(300)는, OAM 노드(500)로부터의 MDT 폴리시가 수신되었을 때에, MDT 측정개시신호를 기지국장치(200)로 송신한다(단계 S1008).
기지국장치(200)는, 교환국장치(300)에 의해 통지된 MDT 폴리시를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으로 변환하고, 휴대단말장치(100)로 무선송신한다(단계 S1010). 휴대단말장치(100)는,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통지된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을 설정한다(단계 S1012).
휴대단말장치(100)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을 설정한 후, 상기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MDT 측정을 수행한다(단계 S1014). 기지국장치(200)는, 휴대단말장치(100)에, MDT 측정을 개시시키는 MDT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MDT 측정개시신호는,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송신되는 것이어도 좋다.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로부터, 휴대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가, 상기 휴대단말장치(100)에 통지된다(단계 S1016).
휴대단말장치(100)는, 단계 S1014에 의한 MDT 측정결과와, 단계 S1016에 의해 통지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1018).
휴대단말장치(100)는, 단계 S1018에 의해 생성된 보고정보를 교환국장치(300)로 송신한다(단계 S1020). 또한, 교환국장치(300)로부터 OAM 노드(500)로, 상기 보고정보가 송신되어도 좋다.
본 변경예에 있어서, 위치정보 관련 노드(400)로부터의 위치정보가 기지국장치(200)로 통지되도록 해도 좋다. 바꿔말하면, 위치정보가 휴대단말장치(100)에 되돌려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MT-LR(Mobile Terminated Location Request) 수순이 적용된 경우가 해당한다. 위치정보가 휴대단말장치(100)로 되돌려지지 않는 경우,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MDT 측정결과와 위치정보가 대응지어진다. 상기 대응지어진 MDT 측정결과와 위치정보는, 교환국장치(300)로 송신된다. 또한, OAM 노드(500)로 송신되어도 좋다.
본 변경예에 의하면, 위치정보 취득 프러시저가 기동되고 있었던 경우에, 네트워크는 MDT 측정을 지시한다.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지시에 따라 MDT의 측정을 개시하고, 상기 MDT의 측정결과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한다. MDT 측정을 위해 위치정보의 측정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위치정보가 취득될 때에 MDT 측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MDT 측정에 따른 처리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에는, 기지국장치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휴대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위치정보의 취득이 수행될 때에, 해당 휴대단말장치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위한 측정조건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측정조건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측정 제어부와,
상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결과와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하는 보고정보 생성부와,
상기 보고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보고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MDT 측정결과에, 본 휴대단말장치(100)가 갖는 최신의 위치정보와 관련지어 보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MDT 측정을 위해 위치정보의 측정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위치정보가 취득될 때에 MDT 측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MDT 측정에 따른 처리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고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보고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보고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신한다.
MDT 측정결과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와 한꺼번에 보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지국장치는,
대상 휴대단말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보고시키는 이동통신방법으로 이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에 의해 통지되어야 하는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을 나타내는 기동신호를 수신하는 기동신호 수신부와,
교환국장치로부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개시시키는 신호를 수신하는 측정개시신호 수신부와,
상기 기동신호 수신부에 의해 기동신호가 수신되고, 그리고 상기 측정개시신호 수신부에 의해 측정을 개시시키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위치정보 취득 프러시저가 기동되고 있었던 경우에, 네트워크는 MDT 측정을 지시한다.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지시에 따라 MDT의 측정을 개시하고, 상기 MDT의 측정결과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한다. MDT 측정을 위해 위치정보의 측정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위치정보가 취득될 때에 MDT 측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MDT 측정에 따른 처리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관련 노드에 의해 송신되어야 하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정보 취득부와,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의해 송신되어야 하는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에의한 측정결과를 취득하는 측정결과 취득부와,
상기 위치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정보와, 상기 측정결과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측정결과 중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휴대단말장치에 의해 송신된 측정결과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하는 보고정보 생성부와,
상기 보고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보고정보를 상위 노드로 송신하는 보고정보 송신부를 갖는다.
기지국장치에 의해 보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교환국장치는,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을 검출하는 기동 검출부와,
상기 기동 검출부에 의해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로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개시시키기 위한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는 측정개시신호 송신부를 갖고,
상기 기지국장치는,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측정개시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수행한다.
위치정보 취득 프러시저가 기동되고 있었던 경우에, 휴대단말장치는 MDT 측정을 개시하고, MDT의 측정결과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한다. MDT 측정을 위해 위치정보의 측정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위치정보가 취득될 때에 MDT 측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MDT 측정에 따른 처리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 폴리시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상기 기지국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 폴리시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기지국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 폴리시를,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위한 측정조건으로 변환하여,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통지한다.
휴대단말장치에, 미니마이제이션 오브 드라이브 테스트의 측정을 위한 컨피규레이션을 통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방법에 의하면,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휴대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의 취득이 수행될 때에, 해당 휴대단말장치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위한 측정조건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상기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측정조건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측정 제어단계와,
상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결과와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하는 보고정보 생성단계와,
상기 보고정보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보고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통신방법은,
대상 휴대단말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보고시키는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장치가,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에 의해 통지되어야 하는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을 나타내는 기동신호를 수신하는 기동신호 수신단계와,
기지국장치가, 교환국장치로부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개시신호를 수신하는 측정개시신호 수신단계와,
기지국장치가, 상기 기동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기동신호가 수신되고, 그리고 상기 측정개시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측정개시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통신방법은,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보고시키는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교환국장치가,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을 검출하는 기동 검출단계와,
교환국장치가, 상기 기동 검출단계에 의해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로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개시시키기 위한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는 측정개시신호 송신단계와,
상기 기지국이,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단말장치가, 상기 측정개시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갖는다.
설명의 편의상,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예를 이용하여 설명되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경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이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10년 4월 30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10-105995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10-105995호의 모든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0 휴대단말장치
102 입력부
104 출력부
106 통신 제어부
108 무선부
110 기억부
112 중앙 연산처리 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
1122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 판정부
1124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설정부
1126 MDT 측정 제어부
1128 MDT 측정결과 보고정보 생성부
114 위치정보 취득부
200 기지국장치
202 통신부
204 CPU
2042 MDT 측정 컨피규레이션 통지부
206 기억부
300 교환국장치
302 통신부
304 CPU
3042 MDT 폴리시 통지부
3044 MDT 측정개시 제어부
3046 MDT 측정개시신호 생성부
306 기억부
400 위치정보 관련 노드
500 오퍼레이션 앤드 메인터넌스(OAM:Operation and Maintenances) 노드

Claims (9)

  1.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휴대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의 취득이 수행될 때에,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의 측정조건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측정조건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측정 제어부;
    상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의 측정결과와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하는 보고정보 생성부;
    상기 보고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보고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측정조건은,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휴대단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보고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보고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휴대단말장치.
  3.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보고시키는 이동통신방법으로 이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에 의해 통지되어야 하는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을 나타내는 기동신호를 수신하는 기동신호 수신부;
    교환국장치로부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을 개시시키는 신호를 수신하는 측정개시신호 수신부;
    상기 기동신호 수신부에 의해 기동신호가 수신되고, 그리고 상기 측정개시신호 수신부에 의해 측정을 개시시키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기지국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관련 노드에 의해 송신되어야 하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정보 취득부;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의해 송신되어야 하는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의 측정결과를 취득하는 측정결과 취득부;
    상기 위치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정보와, 상기 측정결과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측정결과 중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의해 송신된 측정결과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하는 보고정보 생성부;
    상기 보고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보고정보를 상위 노드로 송신하는 보고정보 송신부;를 갖는 기지국장치.
  5.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보고시키는 이동통신방법으로 이용되는 교환국장치에 있어서,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을 검출하는 기동 검출부;
    상기 기동 검출부에 의해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로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의 측정을 개시시키기 위한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는 측정개시신호 송신부;를 갖고,
    상기 기지국장치는,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측정개시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는 교환국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 폴리시를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상기 기지국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 폴리시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기지국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 폴리시를,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건으로 변환하여,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통지하는 교환국장치.
  7.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휴대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의 취득이 수행될 때에,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의 측정조건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
    상기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측정조건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측정 제어단계;
    상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결과와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생성하는 보고정보 생성단계;
    상기 보고정보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보고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가지며,
    상기 측정조건은,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이동통신방법.
  8.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보고시키는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장치가,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관련 노드에 의해 통지되어야 하는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을 나타내는 기동신호를 수신하는 기동신호 수신단계;
    기지국장치가, 교환국장치로부터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의 측정개시신호를 수신하는 측정개시신호 수신단계;
    기지국장치가, 상기 기동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기동신호가 수신되고, 그리고 상기 측정개시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측정개시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9.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소망 무선품질을 측정시켜 보고시키는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교환국장치가,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을 검출하는 기동 검출단계;
    교환국장치가, 상기 기동 검출단계에 의해 위치 측위수순이 기동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로 네트워크의 무선품질의 측정을 개시시키기 위한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는 측정개시신호 송신단계;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망 무선품질의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측정개시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휴대단말장치가, 상기 측정개시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의 무선품질 측정조사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KR1020127030446A 2010-04-30 2011-04-26 휴대단말장치, 기지국장치, 및 교환국장치 및 이동통신방법 KR101460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05995A JP5236684B2 (ja) 2010-04-30 2010-04-30 携帯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交換局装置並びに移動通信方法
JPJP-P-2010-105995 2010-04-30
PCT/JP2011/060141 WO2011136208A1 (ja) 2010-04-30 2011-04-26 携帯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交換局装置並びに移動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740A KR20130028740A (ko) 2013-03-19
KR101460212B1 true KR101460212B1 (ko) 2014-11-12

Family

ID=4486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446A KR101460212B1 (ko) 2010-04-30 2011-04-26 휴대단말장치, 기지국장치, 및 교환국장치 및 이동통신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115970A1 (ko)
EP (1) EP2566224A1 (ko)
JP (1) JP5236684B2 (ko)
KR (1) KR101460212B1 (ko)
CN (1) CN102884827A (ko)
AU (1) AU2011246184B2 (ko)
BR (1) BR112012027875A2 (ko)
WO (1) WO2011136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7449B2 (ja) * 2010-07-28 2015-08-19 京セラ株式会社 無線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無線端末、プロセッサ
US9272851B2 (en) 2011-11-07 2016-03-01 Mediatek Inc. Minimization of drive tests for uplink link coverage
US9473967B2 (en) * 2011-11-17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hysical layer measurements in multicast broadcast multimedia service systems
JP5679137B2 (ja) * 2012-01-19 2015-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局、無線端末、ネットワーク運用管理装置、及び、通信品質確認方法
JP5855278B2 (ja) * 2012-01-20 2016-02-09 聯發科技股▲ふん▼有限公司Mediatek Inc. Lteシステムにおけるドライブ試験の省力化の位置オプション制御方法
JP6192235B2 (ja) * 2012-01-27 2017-09-06 ノキア テクノロジーズ オーユー 走行試験の最小化及び適合性試験に関する位置情報シグナリングのテスト
US9420451B2 (en) 2012-01-29 2016-08-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limited positioning-based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6122242B2 (ja) * 2012-01-30 2017-04-26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CN103313185B (zh) * 2012-03-16 2016-08-3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位置信息获取方法和设备
JP6071222B2 (ja) * 2012-03-21 2017-02-01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
US8897815B2 (en) 2012-09-11 2014-11-25 Acer Incorporated Method of operating user equipment for providing measurement report in UMTS
WO2014106347A1 (zh) 2013-01-07 2014-07-10 华为技术有限公司 收集无线局域网的接入点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4175882A1 (en) * 2013-04-24 2014-10-30 Nokia Corporation Logged measurements
EP2819454B1 (en) * 2013-06-24 2019-12-04 Deutsche Telekom AG Enhancing the transmission of environment-related informa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WI555413B (zh) * 2013-07-01 2016-10-21 創新音速股份有限公司 在無線通訊系統中處理一測量配置的方法及裝置
CN103517316A (zh) * 2013-09-18 2014-01-15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电路域回退技术的通讯方法和装置
EP3127352B1 (en) * 2014-04-02 2020-10-28 Sony Corporation Power efficient proximity detection
BR112017015913A2 (pt) * 2015-01-29 2018-03-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étodo para facilitar a medição em um dispositivo de terminal, estação base de rádio, e, dispositivo de terminal.
US10999625B2 (en) * 2015-06-16 2021-05-04 Sk Telecom Co., Ltd. Method for reporting QoS/QoE in mobile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JP2017224934A (ja) * 2016-06-14 2017-12-21 株式会社東芝 子局装置及びその受信電界強度測定方法
EP3419197A4 (en) * 2016-09-02 2019-05-29 Sony Corporation CIRCUIT,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1166A (ja) * 2002-12-20 2004-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携帯端末
CN100401824C (zh) * 2004-02-04 2008-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通信网络测试系统及其方法
EP2186912A3 (en) * 2005-11-08 2011-01-19 Euclid Diagnostics LLC Materials and methods for assaying for methylation of CpG islands associated with genes in the evaluation of cancer
JP2008288777A (ja) * 2007-05-16 2008-11-27 Nec Corp サーバ、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電界環境通知方法および電界環境表示方法
US8498609B2 (en) * 2007-10-11 2013-07-30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1521901A (zh) * 2008-02-25 2009-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盲区的方法、系统及设备
CN101296470A (zh) * 2008-06-23 2008-10-29 北京民享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支持td-scdma的无线网络覆盖路测软件
JP5394042B2 (ja) 2008-10-31 2014-01-22 ホーユー株式会社 酸性染毛料組成物
US9143947B2 (en) * 2010-01-08 2015-09-2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Geographical determination of coverage in communications systems
US9220028B2 (en) * 2010-02-12 2015-12-22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measurement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00469 *
3GPP R2-10245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27875A2 (pt) 2016-08-09
JP2011238990A (ja) 2011-11-24
WO2011136208A1 (ja) 2011-11-03
CN102884827A (zh) 2013-01-16
JP5236684B2 (ja) 2013-07-17
KR20130028740A (ko) 2013-03-19
AU2011246184B2 (en) 2014-10-23
EP2566224A1 (en) 2013-03-06
AU2011246184A8 (en) 2012-11-29
US20130115970A1 (en)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212B1 (ko) 휴대단말장치, 기지국장치, 및 교환국장치 및 이동통신방법
US102920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port about link status monitoring result acquired by mobile station and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EP2621115B1 (en) Wireless measurement collection method and wireless terminal
KR101217989B1 (ko) 무선 측정 수집 방법 및 무선 단말
US9363693B2 (en) Radio measurement collection method, radio terminal, and radio base station
US9544868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terminal, radio network,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6092970B2 (ja) 無線リンク障害原因の確定方法及び装置
US9232424B2 (en) Management of storage of measurement data
EP2819454B1 (en) Enhancing the transmission of environment-related informa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130130627A1 (en) Radio measurement collection method and radio terminal
EP30991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unauthorized-frequency information
JP2010057178A (ja) モバイル無線サブスクライバの探索方法及び装置
US7706798B2 (en) Discovery of neighbour cell beacon frequencies in mobile networks
WO2010104171A1 (ja) 通信システム、品質情報収集装置、無線端末、受信品質収集方法、及び受信品質収集プログラム
EP3836572A1 (en) Method of acquiring identifier of terminal device and network element
WO2015168859A1 (zh) 确定用户设备位置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