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906B1 - 분할된 반사부재를 가지는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분할된 반사부재를 가지는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906B1
KR101459906B1 KR1020130056057A KR20130056057A KR101459906B1 KR 101459906 B1 KR101459906 B1 KR 101459906B1 KR 1020130056057 A KR1020130056057 A KR 1020130056057A KR 20130056057 A KR20130056057 A KR 20130056057A KR 101459906 B1 KR101459906 B1 KR 101459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ght source
reflecting members
inner spa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석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6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된 반사부재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광원 장치는, 외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는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내측 공간 내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발광원과,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다수의 광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발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분할되어 위치하는 2개 이상의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직하형 광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공간에 고정되며, 인접하는 반사부재를 서로 연결함과 함께,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반사부재와 결합 후에 상기 반사부재를 관통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후크 (hook)와, 상기 반사부재와 결합 후에 내측 공간 내에서 상기 반사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후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 이상의 받침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2개의 후크와 받침부는 인접하는 반사부재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인접하는 반사부재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돌출되어 상기 반사부재를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할된 반사부재를 가지는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DIRECT-LIGHTING LIGHT SOURCE HAVING SPLIT REFLECTING MEMBERS AND DISPLAY DEVICE HA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할된 반사부재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 (Light Emitting Diode) 는 발광 다이오드라고도 하며,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이며, 발광 원리는 전계 발광 효과를 이용하고 있다. LED는 일리노이 대학의 닉 호로니악이 최초로 1962년에 개발한 이래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백열등을 대체할 광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LED는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저렴하며, 전구처럼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이며, 진동에 강하고 긴 수명을 가지고 있어서 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낮은 장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LCD TV의 백라이트, 자동차의 광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LED는 점광원 (點光源) 에 해당하고, LED에서 방출되는 빛은 지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넓은 면에서 균일한 광량 분포를 얻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확산판으로 균일한 광량 분포를 얻으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LED와 확산판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할수록 균일한 광량 분포를 얻기가 어려워, 박형화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점광원이 저면에 배치된 케이싱의 개구를 덮는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이 반사부재에는 빛이 통과될 수 있는 천공을 배치하여, 점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투과, 반사 및 난반사시킴으로써, 균일한 조명광을 얻을 수 있는 광원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반사부재를 가지는 직하형 광원 장치의 경우, 두께의 최소화를 위해 얇은 소재의 반사부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자중 등에 의해 반사수단이 휘게 될 경우, 설계 시 계획했던 광 경로가 변경됨으로써, 균일한 조명광을 얻을 수 없게 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일정 부분에서 반사부재를 지지하는 구조가 필수적이다.
특히, 최근에는 대면적의 직하형 광원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반사부재가 대면적이 되어야 하므로, 지지 구조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편리한 생산, 유지 보수를 위해 반사부재를 분할하여 케이싱을 덮는 광원 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8은 종래의 직하형 광원 장치 (1) 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직하형 광원 장치 (1) 는 복수의 분할될 반사부재 (2) 와 케이싱 (3) 을 구비한다. 케이싱 (3) 은 격벽 (4) 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각 구획된 공간의 바닥면에는 LED와 같은 광원이 배치되어 있다. 이 구획된 공간은 각각 분할된 반사부재 (2) 에 의해 덮여진다.
상술한 종래의 직하형 광원 장치 (1) 의 경우, 격벽 (4) 에 의해 반사부재 (2) 의 지지 구조가 형성되나, 이 격벽 (4) 에 의해 어느 하나의 구획된 공간에서의 빛이 다른 구획된 공간으로 전달될 수 없어, 격벽 (4) 의 상측에 어두운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균일한 면광원을 얻을 수 없어, 예를 들어 종래의 직하형 광원 장치 (1) 를 LCD 와 같은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back light) 로 사용하는 경우, 얼룩진 영상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할된 반사부재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면서도 이 지지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어두운 부분을 최소화하여 균일한 면광원을 얻을 수 있는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광원 장치는, 외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는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내측 공간 내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발광원과,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다수의 광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발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분할되어 위치하는 2개 이상의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직하형 광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공간에 고정되며, 인접하는 반사부재를 서로 연결함과 함께,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반사부재와 결합 후에 상기 반사부재를 관통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후크 (hook)와, 상기 반사부재와 결합 후에 내측 공간 내에서 상기 반사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후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 이상의 받침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2개의 후크와 받침부는 인접하는 반사부재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인접하는 반사부재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돌출되어 상기 반사부재를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내측 공간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접하는 상기 반사부재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술한 직하형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따르면, 분할된 반사부재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면서도 이 지지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어두운 부분을 최소화하여 균일한 면광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광원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지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직하형 광원 장치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하부 커버와 지지부재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직하형 광원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광원 장치 (100) 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지지부재 (40a) 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직하형 광원 장치 (100) 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3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1의 하부 커버 (60) 와 지지부재 (40a) 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광원 장치 (100) 는, 케이스 (10) 와, 발광원 집합 (20) 과, 반사부재 집합 (30) 과, 지지부재 집합 (40) 과, 확산판 (diffusion plate, 50) 과, 하부 커버 (cover bottom, 6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 (10) 는, 외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는 내측 공간 (11) 이 형성되며, 내측 공간 (11) 의 표면에는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공간 (11) 은 후술할 발광원 집합 (20) 이 설치되는 저면 (12) , 저면 (12) 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측면 (13) 으로 형성되어, 케이스 (10) 는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내측 공간 (11) 은 이러한 박스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13) 을 생략하고, 후술할 하부 커버 (60) 와 같은 부재로 대신할 수도 있다.
케이스 (10) 의 내측 공간 (11) 의 표면은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반사면은 후술할 발광원 집합 (20) 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 빛이 반사부재 집합 (30) 를 통과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반사면은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필름, PET 필름,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10) 가 TV,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에 장착되는 백라이트 유닛 (BLU ; Back Light Unit) 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케이스 (10) 자체를 반사판 (reflector) 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반사판을 접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케이스 (10) 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원 집합 (20) 은 복수의 발광원 (21) 이 배열된 집합이며, 발광원 (21) 이 개구부를 향하도록 케이스 (10) 의 내측 공간 (11) 의 표면에 설치된다. 발광원 (21) 은 케이스 (10) 의 저면 (12) 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방출하는 빛이 개구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원 (21) 은 예를 들어, 지향성이 강한 LED (Light Emitting Diode) 일 수 있으며, 발광원 집합 (20) 은 이 발광원 (21) 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제공된다. 발광원 (21) 은 케이스 (10) 의 관통된 구멍을 통해 내측 공간 (11) 내로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하부 커버 (60) 에 형성된 홈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발광원 (21) 의 배치는 빛이 조사되어야 할 면적에 따라 설정되며,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발광원 (21) 은 일정 간격을 가진 격자형으로 배치된다. 하지만, 발광원 (21) 의 개수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원 (21) 의 조도, 면조명을 얻고자 하는 면적, 모양 등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반사부재 집합 (30) 은 분할된 복수의 반사부재 (31) 로 구성된다. 반사부재 (31) 의 형상은 각각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재그로 배치한 지지부재 집합 (40) 의 배치에 따라, 반사부재 (31) 의 형상이 도 3과 같이 결정된다.
반사부재 (31) 는, 케이스 (10) 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발광원 (21) 으로부터의 빛 중 일부를 내측 공간 (11) 으로부터 그 외부로 통과시키거나, 내측 공간 (11) 으로 반사시키는 판형 부재를 말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반사부재 (31) 에는 다수의 광통로 (32) 가 설치되어 있어, 발광원 (21) 으로부터 광통로 (32) 로 입사된 빛은 광통로 (32) 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광통로 (32) 이외의 부분에 입사된 빛은 내측 공간 (11) 측으로 반사된다. 하지만, 광통로 (32) 이외의 부분에서도 일정 정도 (예를 들어, 2% 정도) 의 빛을 투과할 수 있고, 이 부분에서 완전히 빛이 차단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광통로 (32) 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의미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된 통로 (천공) 도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공기가 통과될 수는 없지만 빛이 통과될 수 있는 통로도 포함된다. 즉, 광통로 (32) 의 매질은, 공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리, 투명 수지 (PMMA, PC, PS, M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 도 3, 도 5 및 도 6에서는 광통로 (32) 를 도시하지 않고, 도 4에만 도시한다.
반사부재 (31) 로는 불투명의 재질 또는 반사율이 높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 (glass), 종이, PET 필름, 불투명 수지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반사부재 (31) 로서, 98% (550 nm: BaSO4) 의 반사율을 가지고, 성형성이 우수한 MCPET (Micro Cellular 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이나,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백색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율을 더 높이기 위해서는 반사되는 면에 비드 (beads) 를 코팅할 수도 있다.
광통로 (32) 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관통공 (천공) 을 뚫어 형성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기판의 표면에 패턴 가공을 추가하여 형성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패턴 가공이라는 것은, 반사부재 (31) 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가공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반사부재 (31) 의 표면에 빛을 반사시키는 성질을 가진 물질을 코팅하는 가공, 반사부재 (31) 의 표면에 샌드 블라스트 (sand blast) 공정, 스크린 인쇄, 에칭 (etching) 공정, 드릴링 등의 기계 가공 (machining) 공정 등을 통해 홈을 만들어 빛을 반사시키는 성질을 가진 물질로 홈을 채우는 가공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패턴 가공에는, 반사부재 (31) 의 표면에 패턴이 형성된 반사테이프를 붙이는 것도 포함된다. 이렇듯, 패턴 가공에는, 반사부재 (31) 의 표면에 직접 패턴을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패턴이 형성된 물질이나 테이프 등을 반사부재 (30) 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것도 포함된다.
반사부재 (31) 에 형성된 광통로 (32) 의 배치는, 반사부재 (31) 를 통과한 빛이 전체 면에 있어서 균일할 수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발광원 (21) 이 지향성이 강한 광원으로 구성되므로, 발광원 (21) 과 가장 가까운 부분에는 광투과량을 낮추고 반사시켜 외측 부분으로 빛을 분산시키도록 하고, 발광원 (21) 과 먼 부분에는 반사되어 온 빛의 세기가 약하므로 대부분의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광투과량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와 같이, 발광원 (21) 과 가장 가까운 부분과 가장 먼 부분의 광투과량이 균일해지도록 광통로 (32) 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의 광통로 (32) 의 배치는 예시에 불과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광통로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투과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광통로 (32) 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광통로 (32) 의 단위 면적당 개수를 조절하거나, 광통로 (32) 의 형상을 조절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원 (21) 으로부터 먼 부분으로 갈수록 관통공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관통공의 밀도를 변화시켜 광투과량이 균일해지도록 광통로 (32) 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지지부재 집합 (40) 은 복수 개의 지지부재 (40a, 40b) 들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 (40a, 40b) 는 반사부재 (31) 와의 결합 형태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본적인 지지부재 (40a) 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재 (40a) 는 반사부재 (31) 와 결합 후에 반사부재 (31) 를 관통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후크 (hook, 41) 와, 반사부재 (31) 와 결합 후에 내측 공간 (11) 내에서 반사부재 (31) 를 지지하며 후크 (41) 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받침부 (42) 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재 (40a) 는 지지부 (43) 및 지지부 (43) 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 (44) 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후크 (41) 와 받침부 (42) 는 각각의 반사부재 (31) 를 고정할 수 있도록 대향하여 위치한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반사부재 (31) 를 연결하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 후크 (41) 는 반사부재 (31) 의 결합홀을 관통하여 반사부재 (31) 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반사부재 (31) 를 고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후크 (41) 는 반사부재 (31) 와 결합 후 탄성에 의해 결합홀에서 이탈되지 않고 걸리도록 서로 벌어져 위치하게 된다. 또한, 후크 (41) 의 단부는 뾰족한 형상을 가져, 결합홀에 쉽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반사부재 (31) 와의 결합은 한 번의 삽입으로 가능하게 되어 조립이 용이하다.
상술한 후크 (41) 가 반사부재 (31) 의 외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면, 받침부 (42) 는 반사부재 (31) 가 내측 공간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받침부 (42) 는 내측 공간 (11) 내에서 반사부재 (31) 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 (42) 를 후크 (41) 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 (43) 는 인접하는 반사부재 (31) 사이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지지부 (43) 는 서로 대향하여 한 쌍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 (43) 에는 지지부 (43) 를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돌출되어 반사부재 (31) 를 지지하는 돌출부 (44) 가 형성된다. 돌출부 (44) 로 인하여, 반사부재 (31) 를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여, 안정적인 지지를 행할 수 있다.
돌출부 (44) 는 지지부 (43) 를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즉 지그재그 (zigzag)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돌출부 (44) 의 배치는, 어두운 부분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만약 예를 들어, 돌출부를 서로 대칭으로 형성하게 된다면, 지지부 (43) 를 경계로 대향 배치된 각각의 발광원으로부터의 빛이 막히게 되는 부분이 동일하게 되어 돌출부 상측에 어두운 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반면, 도 2와 같이 돌출부 (44) 를 지그재그로 배치하면, 지지부 (43) 를 경계로 대향 배치된 각각의 발광원으로부터의 빛이 막히게 되는 부분이 각각 다르게 되어, 돌출부 (44) 상측에 어두운 부분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 (44) 의 비대칭적인 배치로 어두운 부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균일한 면광원을 얻을 수 있다.
돌출봉 (45) 은 반사부재 (31) 의 외측에 적층되는 후술할 확산판 (50) 이 반사부재 (31) 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돌출봉 (45) 의 단부 (端部) 가 확산판 (50) 을 지지함으로써, 확산판 (50) 이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고, 반사부재 (31) 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크 (41) 와 받침부 (42) 는 인접하는 반사부재 (31) 를 고정해야 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2개가 대향되어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상의 후크 (41) 와 받침부 (42) 를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 (43) 도 2개가 대향되어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1개의 지지부 (43) 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지지부재의 배치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지지부재는, 도 5의 우측의 지지부재 (40a) 와 같이 한 쌍의 후크 (41) 및 한 쌍의 지지부 (43) 를 구비할 수도 있고, 도 5의 좌측과 도 6의 지지부재 (40b) 와 같이 한 쌍의 후크 (41) 와 1개의 지지부 (43) 를 구비할 수 있다.
확산판 (50) 은 반사부재 집합 (30) 의 상측에 위치한다. 확산판 (50) 은 반사부재 집합 (30) 을 통과한 빛을 확산시켜 다시 고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확산판 (50) 으로는,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폴리스티렌 (Polystyrene) 수지, 아크릴 (PMMA, polymethylmethacrylate) 수지, MS (methylmethacrylate-styrene)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공지의 확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커버 (60) 에는 발광원 집합 (20) 이 고정 배치되며, 하부 커버 (60) 는 발광원 (21) 의 열을 확산하여 방출하기 쉽도록 열전도도가 높고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의 재질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광원 장치 (100) 의 조립은, 발광원 집합 (20) 을 하부 커버 (60) 에 고정시키고, 케이스 (10) 를 발광원 집합 (20) 위에 위치시키고, 지지부재 (40a, 40b) 를 케이스 (10) 의 고정용 홀 (14) 에 통과시켜 하부 커버 (60) 와 고정시킴으로써 케이스 (10) 를 하부 커버 (60) 에 고정시키고, 각각의 반사부재 (31) 를 지지부재 (40a, 40b) 와 결합시키는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재 (40a) 의 하부에는 결합부 (46) 가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부 (46) 는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후크를 구비하며, 후크는 하부 커버 (60) 에 형성된 고정홀 (61) 에 삽입되어, 하부 커버 (60) 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판 (62) 에 걸리게 됨으로써, 지지부재 (40a) 가 하부 커버 (60) 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 (46) 는 케이스 (10) 의 고정용 홀 (14) 을 관통하여 하부 커버 (60) 에 결합되므로, 케이스 (10) 는 지지부재 (40a) 와 하부 커버 (60) 가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재 (40a) 에 눌려 하부 커버 (60) 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별도로 케이스 (10) 를 고정하는 과정 없이, 케이스 (10) 를 하부 커버 (60) 에 고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결합부 (46) 는 모든 지지부재 (40a, 40b) 에 형성되어도 되고, 일부 지지부재 (40a, 40b) 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결합부 (46) 를 통해서만 지지부재 (40a, 40b) 가 하부 커버 (60) 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지지부재 (40a, 40b) 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부재 (40a, 40b) 는 도 3에서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 (40a, 40b) 가 모두 일렬로 배치된다면, 지지부재 (40a, 40b) 의 상측에 발생하는 어두운 부분이 패턴성을 가지고 모아지게 되어 광분포가 균일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지지부재 (40a, 40b) 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됨으로써, 지지부재 (40a, 40b) 의 상측에 발생하는 어두운 부분의 패턴성을 줄여 광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인접하는 반사부재 (31) 간은 도 6과 같이 일정 간격 (X) 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반사부재 (31) 사이에는 발광원 (21) 으로부터 빛이 가장 적게 도달하는데, 일정 간격을 떨어지게 하여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다 균일한 광분포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직하형 광원 장치 (100) 는, TV, 모니터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에 적용될 경우, 확산판 (50) 측으로 프리즘 시트 등의 광학 시트, LCD 패널 등이 더욱 적층될 수 있으며, 하부 커버 (60) 의 후측으로 후방 케이스가 더욱 적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케이스 20…발광원 집합
21…발광원 30…반사부재 집합
31…반사부재 40…지지부재 집합
40a, 40b…지지부재 41…후크
42…받침부 43…지지부
44…돌출부 45…돌출봉
46…결합부 50…확산판
60…하부 커버
100…본 발명에 따른 직하형 광원 장치

Claims (4)

  1. 외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는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내측 공간 내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발광원과,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다수의 광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발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분할되어 위치하는 2개 이상의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직하형 광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공간에 고정되며, 인접하는 반사부재를 서로 연결함과 함께,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반사부재와 결합 후에 상기 반사부재를 관통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후크 (hook)와, 상기 반사부재와 결합 후에 내측 공간 내에서 상기 반사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후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 이상의 받침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2개의 후크와 받침부는 인접하는 반사부재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인접하는 반사부재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돌출되어 상기 반사부재를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광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내측 공간 내에서 부분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광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반사부재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광원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하형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30056057A 2013-05-16 2013-05-16 분할된 반사부재를 가지는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459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057A KR101459906B1 (ko) 2013-05-16 2013-05-16 분할된 반사부재를 가지는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057A KR101459906B1 (ko) 2013-05-16 2013-05-16 분할된 반사부재를 가지는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906B1 true KR101459906B1 (ko) 2014-11-10

Family

ID=5228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057A KR101459906B1 (ko) 2013-05-16 2013-05-16 분할된 반사부재를 가지는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2787A (zh) * 2016-03-01 2018-01-02 索尼公司 发光设备、显示装置及照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237A (ko) * 2005-10-29 2007-05-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엘이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70121994A (ko) * 2006-06-23 2007-12-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램프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장치모듈
JP2008218090A (ja) * 2007-03-01 2008-09-18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090059997A (ko) * 2007-12-07 2009-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237A (ko) * 2005-10-29 2007-05-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엘이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70121994A (ko) * 2006-06-23 2007-12-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램프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장치모듈
JP2008218090A (ja) * 2007-03-01 2008-09-18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090059997A (ko) * 2007-12-07 2009-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2787A (zh) * 2016-03-01 2018-01-02 索尼公司 发光设备、显示装置及照明装置
EP3425262A4 (en) * 2016-03-01 2019-10-23 Sony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CN107532787B (zh) * 2016-03-01 2020-11-20 索尼公司 发光设备、显示装置及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8752B2 (ja) フリーフォームのライトモジュ−ル
JP5463462B2 (ja) 面状光源装置及び照明装置
JP4764962B2 (ja) 面照明光源装置及び面照明装置
JP5550505B2 (ja) 面状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1684117B1 (ko) 차량용 무드등
TW201307753A (zh) 使用發光體之面照明光源裝置
JP5842274B2 (ja) 照明装置
US20140092628A1 (en) Illumination device
JP6230144B2 (ja) 面照明装置
KR101279486B1 (ko)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
JP5816908B2 (ja) Led光源装置及びこの光源装置を用いた照明装置
KR101459906B1 (ko) 분할된 반사부재를 가지는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4538674B2 (ja) 面照明ユニット、面照明光源装置、面照明装置および面照明ユニットの製造用展開基板
JP2009289506A (ja) 点光源を備えた両面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11227197A (ja) 照明表示方法及び照明表示装置
KR101422393B1 (ko)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213207543U (zh) 一种照明灯具
JP2011054430A (ja) 面照明光源装置及びこの面照明光源装置を用いた面照明装置
WO2012023602A1 (ja) 車両用灯具
JP2011210719A (ja) 面光源ユニット、面照明光源装置及び面照明装置
KR101427512B1 (ko) 광통로를 가지는 반사부재의 휨 방지용 지지판을 포함하는 직하형 광원장치
JP2004302028A (ja) 表示装置および誘導灯装置
CN220397376U (zh) 灯具
KR101549028B1 (ko) 조명장치
JP6170405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