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876B1 -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 - Google Patents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876B1
KR101459876B1 KR1020130013742A KR20130013742A KR101459876B1 KR 101459876 B1 KR101459876 B1 KR 101459876B1 KR 1020130013742 A KR1020130013742 A KR 1020130013742A KR 20130013742 A KR20130013742 A KR 20130013742A KR 101459876 B1 KR101459876 B1 KR 101459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orrugated pipe
cylinder
hol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696A (ko
Inventor
목성균
Original Assignee
목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성균 filed Critical 목성균
Priority to KR102013001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87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0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5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03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이송 로울러가 마련되어 주름관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주름관의 피복재를 길이방향으로 절개시키도록 메인실린더의 구동을 통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제1블럭에 서브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서브실린더를 통해 피복재에 칼날을 침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와, 상기 이송부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주름관이 관통되는 절단블럭의 관통공 내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름관을 절단하는 동시에 주름관의 피복재를 절개하여 벗겨내는 작동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structure of connecting portion for covering}
본 발명은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관을 셋팅된 길이로 절단하는 동시에 주름관 일단의 피복재를 탈피시키도록 하여 주름관의 절단 및 피복재 탈피 공정을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름관은 통상 스테인레스 스틸제 주름관의 주름은 산과 골로 구성되어 구부리기 용이하도록 하며, 그 외부가 합성수지의 피복층으로 피복되어 있어 다양한 배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건축 및 환경관련 문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고급빌딩의 옥내배관에서 공장시설의 배관, 첨단장비의 특수배관, 자동차, 선박, 열교환기, 항공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널리 쓰이고 있다.
상기 주름관의 제조방법은 가스 후렉시블 파이프 부품 제조공정상 피복, 절단, 교정, 탈피 등 4개 공정이 개별 기계에서 단위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주름관 제조방법은 몇 번씩 운반 작업의 번거로움에 따른 비효율성이 상존하고 있어 생산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름관의 외주연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피복제를 피복시켜 피복제가 주름관에 밀착된 상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주름관은 연결장치를 통해 상호 연결하고자 할 때 주름관 일단에 위치한 피복재를 제거하여야만 한다.
종래기술의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칼을 통해 피복재를 벗겨내는 공정을 행하기 때문에 주름관 제조 공정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는 주름관을 셋팅된 길이로 절단하는 동시에 주름관 일단의 피복재를 탈피시키도록 하여 주름관의 절단 및 피복재 탈피 공정을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이송 로울러가 마련되어 주름관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주름관의 피복재를 길이방향으로 절개시키도록 메인실린더의 구동을 통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제1블럭에 서브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서브실린더를 통해 피복재에 칼날을 침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와, 상기 이송부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주름관이 관통되는 절단블럭의 관통공 내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름관을 절단하는 동시에 주름관의 피복재를 절개하여 벗겨내는 작동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절단블럭의 관통공 내주연에는 주름관을 안착시키도록 한 쌍의 굴림 로울러가 수평으로 배열되고 상기 굴림 로울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브라켓이 제1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받침수단과, 상기 절단블럭의 관통공 내주연에 설치되되 상기 받침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절단날과 절개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브라켓이 제2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절단수단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동부 전방에 설치되어 작동부에 의해 주름관이 절단 및 피복재 절개 공정이 진행될 때 상기 주름관을 유동 없이 파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시키되, 상기 고정부는 제3브라켓과, 상기 제3브라켓 전방에 주름관 일단이 관통되게 결합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통공과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제3브라켓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가압수단을 삽입공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주름관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3실린더로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이송 로울러가 마련되어 주름관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주름관의 피복재를 길이방향으로 절개시키도록 메인실린더의 구동을 통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제1블럭에 서브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서브실린더를 통해 피복재에 칼날을 침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와, 상기 이송부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주름관이 관통되는 절단블럭의 관통공 내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름관을 절단하는 동시에 주름관의 피복재를 절개하여 벗겨내는 작동부로 구성하여 주름관을 셋팅된 길이로 절단하는 동시에 주름관 일단의 피복재를 탈피시키도록 하여 주름관의 절단 및 피복재 탈피 공정을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에서 절개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에 의해 가공된 주름관을 나타낸 구성도.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이니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에서 절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에 의해 가공된 주름관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절개장치는 이송부 100와, 절개부 200와, 작동부 300로 구성한다.
상기 이송부 100는 하나 이상의 이송 로울러 110가 마련되어 주름관 11을 이송시킨다.
즉, 이송부 100는 복수개의 이송 로울러 110가 2열로 수평 배열되어 상기 이송 로울러 110의 회전에 의해 주름관 11이 상,하부에 설치된 이송 로울러 110 사이로 이동한다.
이렇게 이송부 100을 통해 작동부 300로 주름관 11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절개부 200는 상기 작동부 300로 주름관 11의 이동이 완료되고 나면 주름관 11의 피복재 12를 길이방향으로 절개시킬 수 있도록 메인실린더 210을 구동을 통해 전방으로 제1블럭 260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블럭 260에 설치된 서브실린더 220를 통해 피복재 12에 칼날 250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절개부 200는 주름관 11이 이송되고 난 후 정지된 상태에서 메인실린더 210가 구동되어 제1블럭 26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제1블럭 에 설치된 서브실린더 220는 하부로 회전하여 상기 서브실린더 220에 결합된 칼날 250을 피복재 12에 밀착시킨다.
이후, 메인실린더 210를 구동시켜 제1블럭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칼날 250이 피복재 12에 길이방향으로 절개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서브실린더 220를 역회전시켜 칼날 250을 상부로 회전시켜 칼날 250을 피복재 12에서 분리시켜 피복재 12의 절개 공정을 마무리 한다.
여기서, 칼날 250에 의해 피복재 12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부위를 1차절개부 13라 칭한다.
이후 공정은 작동부 300를 통해 주름관 11을 절단하는 동시에 피복재 12를 완전히 절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작동부 300는 상기 이송부 100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부 100에 의해 이동하는 주름관 11이 관통된 절단블럭 310의 관통공 311 내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름관 11을 절단하는 동시에 주름관 11의 피복재 12를 종방향으로 절개하여 피복재 12의 탈피 작업을 보다 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 30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송부 100에 의해 이동한 주름관 11에서 상기 1차절개부 13가 작동부 300에 위치시킨 다음 후술 될 작동부 300의 받침수단 320과 절단수단 360에 의해 주름관 11을 절단하는 동시에 1차절개부 양측에 종방향으로 2차절개부를 절개시킨다.
여기서, 상기 2차절개부는 피복재 12에서 횡방향으로 절개된 1차절개부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절개되는 부위를 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1차절개부 13와 2차절개부 14를 통해 주름관 11의 일단에 피복된 피복재 12의 탈피를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차절개부 14의 절개 공정을 수행하는 작동부 300은 받침수단 320, 절단수단 3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수단 320은 상기 절단블럭 310의 관통공 311 내주연에는 주름관 11을 안착시키도록 한 쌍의 굴림 로울러 321가 설치되고, 상기 굴림 로울러 3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브라켓 322이 제1실린더 323에 의해 승하강된다.
즉, 주름관 11이 작동부 300의 관통공 311에 진입할 때 받침수단 320이 간섭되지 않도록 작동부 300의 관통공 311 내주연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주름관 11이 관통공 311에 진입한 이후에는 상기 제1실린더 323에 의해 제1브라켓 322를 상승시켜 상기 굴림 로울러 321가 주름관 11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주름관 11이 절단수단 360에 의해 절단 및 피복재 12 절개 공정이 행하여 질 때 주름관 11의 흔들림 없이 받쳐주어 2차절개부 14의 정밀한 절개를 이루도록 한다.
이후, 주름관 11의 절단 및 피복재 12의 탈피 공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1실린더 323가 구동하여 한 쌍의 굴림 로울러 321를 하강시켜 다음 작동부 300 내부로 이동하는 다음 순차의 주름관 11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절단수단 360은 상기 절단블럭 310의 관통공 311 내주연에 설치되되 상기 받침수단 3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절단날 361과 절개날 36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브라켓 363이 제2실린더 364에 의해 승하강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날 362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절단날 361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절개날 362과 전달날 361은 하나의 축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절단날 361 보다 절개날 362의 지름이 작다.
즉, 주름관 11이 작동부 300의 관통공 311 내부로 위치되고 받침수단 320이 주름관 11 외주연에 밀착되면 작동부 300 내부에 설치된 제2실린더 364가 구동하여 절단날 361과 절개날 362이 피복재 12 표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작동부 300는 회전하여 받침수단 320과 절단수단 360을 연동시킨다.
이때, 상기 받침수단 320은 굴림 로울러 321가 주름관 11의 피복재 12에 밀착된 상태로 굴림회전하면서 고정된 상태의 주름관 11 외주연에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 300의 관통공 311 내주연에서 받침수단 320의 반대편에 설치된 절단수단 360의 절단날 361과 절개날 362이 주름관 11 피복재 12의 외주연에서 굴림 회전하면서 회전한다.
여기서, 절단날 361과 절개날 362은 제2실린더 364를 통해 점진적으로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절단날 361은 주름관 11을 절단하는 동시에 상기 절개날 362은 피복재 12에 1차로 절개된 부위 양측을 피복재 12 외주연에서 회전하여 1차로 절개된 부위 양측을 원형으로 2차 절개시킨다.
이로써, 상기 절단날 361을 통해 주름관 11을 절단하는 동시에 절개날 362을 통해 피복재 12를 손쉽게 탈피시키도록 절개하는 공정을 완료한다.
더불어, 상기 작동부 300 전방에 설치되어 작동부 300에 의해 주름관 11이 절단 및 피복재 12 절개 공정이 진행될 때 상기 주름관 11을 유동 없이 파지하는 고정부 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 400는 제3브라켓 410과, 상기 제3브라켓 410 전방에 주름관 11 일단이 관통되게 결합되도록 통공 42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삽입공 422이 형성되어 통공 421과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고정블럭 420과, 상기 제3브라켓 41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가압수단을 삽입공 422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주름관 1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3실린더 430로 구성한다.
즉, 상기 고정부 400는 주름관 11의 절단 및 피복재 12의 절개 공정이 행하여질 때 주름관 11이 흔들림 없이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작동부 300를 관통한 주름관 11 일단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작동부 300를 관통한 주름관 11이 고정부 400의 통공 421으로 결합되고 나면 상기 제3실린더 430를 통해 고정블럭 420을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블럭 420이 삽입공 422을 통해 통공 421 내주연으로 결합되면서 주름관 11의 외부를 압박하여 상기 주름관 11이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 11 : 주름관
12 : 피복재 13 : 1차절개부
14 : 2차절개부 100 : 이송부
110 : 이송 로울러 200 : 절개부
210 : 메인실린더 220 : 서브실린더
250 : 칼날 260 : 제1블럭
300 : 작동부 310 : 절단블럭
311 : 관통공 320 : 받침수단
321 : 굴림 로울러 322 : 제1브라켓
323 : 제1실린더 360 : 절단수단
361 : 절단날 362 : 절개날
363 : 제2브라켓 364 : 제2실린더
400 : 고정부 410 : 제3브라켓
420 : 고정블럭 421 : 통공
422 : 삽입공 430 : 제3실린더
440 : 가압수단

Claims (3)

  1. 하나 이상의 이송 로울러가 마련되어 주름관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주름관의 피복재를 길이방향으로 절개시키도록 메인실린더의 구동을 통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제1블럭에 서브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서브실린더를 통해 피복재에 칼날을 침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와,
    상기 이송부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주름관이 관통되는 절단블럭의 관통공 내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름관을 절단하는 동시에 주름관의 피복재를 절개하여 벗겨내도록 하는 받침수단과 절단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받침수단은 상기 절단블럭의 관통공 내주연에는 주름관을 안착시키도록 한 쌍의 굴림 로울러가 수평으로 배열되고 상기 굴림 로울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브라켓이 제1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고,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절단블럭의 관통공 내주연에 설치되되 상기 받침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절단날과 절개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브라켓이 제2실린더에 의해 승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진 작동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 전방에 설치되어 작동부에 의해 주름관이 절단 및 피복재 절개 공정이 진행될 때 상기 주름관을 유동 없이 파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시키되,
    상기 고정부는,
    제3브라켓과,
    상기 제3브라켓 전방에 주름관 일단이 관통되게 결합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통공과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제3브라켓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가압수단을 삽입공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주름관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3실린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



KR1020130013742A 2013-02-07 2013-02-07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 KR101459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42A KR101459876B1 (ko) 2013-02-07 2013-02-07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42A KR101459876B1 (ko) 2013-02-07 2013-02-07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696A KR20140100696A (ko) 2014-08-18
KR101459876B1 true KR101459876B1 (ko) 2014-11-07

Family

ID=5174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742A KR101459876B1 (ko) 2013-02-07 2013-02-07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8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0990B (zh) * 2014-12-19 2016-05-11 苏州中拓专利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软管切割机
CN104589400B (zh) * 2015-01-23 2017-01-11 苏州惠斯福自动化科技有限公司 波纹管切断机的切割刀架
PL238902B1 (pl) * 2017-02-17 2021-10-18 Dan Rob Daniel Kubacki Robert Tomzik Spolka Jawna Uniwersalne urządzenie do cięcia korugowanych rur
JP2023122496A (ja) 2022-02-22 2023-09-01 富士電機株式会社 二酸化炭素回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8569A (ja) * 1997-10-31 1999-05-18 Sanoh Industrial Co Ltd 被覆管の被覆層剥離装置
JP2000166044A (ja) * 1998-12-01 2000-06-16 Akatsuki:Kk 被覆線切断・剥皮装置及び被覆線の切断・剥皮方法
JP2000202701A (ja) * 1999-01-12 2000-07-25 Nkk Corp 合成樹脂被覆金属管の管端被覆除去装置
JP2001269897A (ja) * 2000-03-24 2001-10-02 Toho Gas Co Ltd 被覆管用被覆材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8569A (ja) * 1997-10-31 1999-05-18 Sanoh Industrial Co Ltd 被覆管の被覆層剥離装置
JP2000166044A (ja) * 1998-12-01 2000-06-16 Akatsuki:Kk 被覆線切断・剥皮装置及び被覆線の切断・剥皮方法
JP2000202701A (ja) * 1999-01-12 2000-07-25 Nkk Corp 合成樹脂被覆金属管の管端被覆除去装置
JP2001269897A (ja) * 2000-03-24 2001-10-02 Toho Gas Co Ltd 被覆管用被覆材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696A (ko) 201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876B1 (ko) 주름관 피복재 절단 및 탈피 장치
CN104626710B (zh) 一种背胶产品加工工艺及背胶产品
CN103979359B (zh) 一种覆膜设备及覆膜方法
WO2007046945A3 (en) Product-related feedback for process control
WO2007149131A3 (en) Automatic clipping line
KR101708814B1 (ko) 코팅층이 형성된 파이프의 코팅층 컷팅장치
NZ593185A (en) Curved building panel, building structure, panel curving system and methods for making curved building panels
US20090215601A1 (en) Plastic bag sealing device
CN104275553A (zh) 切割装置
CN106425494B (zh) 一种数控全自动切管冲孔一体装置
KR102004171B1 (ko) 양쪽이 마감되는 스폴파이프와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8990A (ko) 파이프 절단장치
CN206597806U (zh) 高精度切断装置及其高精度冲孔切断设备
CN108337807B (zh) Pcb双方向v-cut流水线
CN108672526A (zh) 一种卷板设备及自动化卷板工艺
EP2824252A1 (en) Metal roofing sheets and the method of their manufacture
US10675706B2 (en) Cutting apparatus for cutting flexible material with a first cutting unit and a second cutting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laser emitter
KR102005775B1 (ko) 작업성이 개선된 글라스울 디버터
CN206528726U (zh) 一种烟姿态矫正输送打码装置
WO2020152176A3 (de)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klebstoff
KR20090005462A (ko) 에지테잎 칩 길이 분할 커팅수단을 갖는 에지벤딩기
EP2757208B1 (en) Method for producing, transporting and installing insulating lamellae of mineral wool
WO2007104021A3 (en) Cutting machine for cutting fiber-cement materials and method operation and use
KR101841912B1 (ko) 선박용 보온재의 홈 가공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보온재
KR20120126187A (ko) 금속판재의 찬넬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