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755B1 - 광학계 - Google Patents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755B1
KR101459755B1 KR1020070099295A KR20070099295A KR101459755B1 KR 101459755 B1 KR101459755 B1 KR 101459755B1 KR 1020070099295 A KR1020070099295 A KR 1020070099295A KR 20070099295 A KR20070099295 A KR 20070099295A KR 101459755 B1 KR101459755 B1 KR 10145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resent
optical system
lenses
foca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117A (ko
Inventor
정혜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7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G02B9/36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arranged + -- +
    • G02B9/38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arranged + -- + both - components being menisc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95Relay lenses or ro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43Inhomogeneous or irregular arrays, e.g. varying shape, size, he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1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광학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제2렌즈와 제3렌즈는 제2렌즈와 제3렌즈 사이의 대칭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렌즈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렌즈를 사용함에 따라 렌즈 금형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고성능을 구현하면서도 렌즈 제작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4매의 렌즈로 구성되는 광학계의 경우 종래 대비 최대 50% 정도의 금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광학계, 렌즈, 금형, 비용, 조리개, CMOS, 대칭, 메니스커스.

Description

광학계 {Optical system}
본 발명은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기나 이동통신단말기에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고체 촬상소자를 이용한 콤팩트한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내장되고 있다. 이러한 촬상소자는 소형화되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촬상소자에 사용되는 광학계도 고성능이면서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요즘 고화소의 광학계에 요구되는 스펙이 높아지면서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2, 3장의 렌즈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보통 4장의 렌즈가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광학계에 많은 매수의 렌즈들이 사용되면서, 렌즈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형에 들어가는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제조사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광학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광학계는 제1렌 즈(11), 제2렌즈(13), 제3렌즈(15), 제4렌즈(17)의 총 4매의 렌즈가 사용되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광학계에서는 렌즈의 형태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렌즈의 매수만큼 금형이 필요하고, 이는 렌즈 제작시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다수의 렌즈를 사용하여 고성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렌즈를 제작하기 위한 고가의 금형비용으로 인하여 제작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성능을 구현하면서도 렌즈 제작비를 줄일 수 있는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제2렌즈와 제3렌즈는 제2렌즈와 제3렌즈 사이의 대칭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렌즈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렌즈와 제4렌즈는 제1렌즈와 제4렌즈 사이의 대칭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렌즈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렌즈를 사용함에 따라 렌즈 금형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고성능을 구현하면서도 렌즈 제작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4매의 렌즈로 구성되는 광학계의 경우 종래 대비최대 50% 정도의 금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광학계는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4렌즈(140)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는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4렌즈(140)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제2렌즈(120)와 제3렌즈(130)는 제2렌즈(120)와 제3렌즈(130) 사이의 대칭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렌즈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된다.
제1렌즈(110)는 양쪽 면이 볼록한 면으로 되어 있다. 도 2에서 제1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120)는 물체측 면이 볼록한 면으로 되어 있는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성된다. 도 2에서 제2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130)는 상 면이 볼록한 면으로 되어 있는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성된다. 도 2에서 제3렌즈(13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140)는 양쪽 면이 볼록한 면으로 되어 있다. 도 2에서 제4렌즈(14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조리개(150)는 제2렌즈(120)와 제3렌즈(130) 사이에 위치하여 광량을 조절하고 불필요한 광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적외선 필터(200)는 입사된 광선에 포함된 적외선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광학계의 초점거리가 3.72mm이고, 밝기(F number)는 3.5이고, 렌즈전장(TTL, Total Track Length)은 5.4mm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광학계는 f1은 제1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전체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일 때, 0.5<f1/f<2.0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에서 광학계는 f는 전체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이고, T는 물체측 면에서 상측면까지의 거리일 때, T/f<1.7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2렌즈(120)와 제3렌즈(130)는 동일한 렌즈이다. 즉, 제2렌즈(120)와 제3렌즈(130)는 렌즈의 곡률, 비구면계수, 두께 및 재질이 모두 동일하며 위치하는 방향만 다르게 배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렌즈 금형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4매의 렌즈로 구성되는 광학계의 경우에 제2렌즈(120)와 제3렌즈(130)가 동일하기 때문에 종래 대비 약 25% 정도의 금형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광학계는 제1렌즈(210), 제2렌즈(220), 제3렌즈(230), 제4렌즈(240)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는 제1렌즈(210), 제2렌즈(220), 제3렌즈(230), 제4렌즈(240)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제2렌즈(220)와 제3렌즈(230)는 제2렌즈(220)와 제3렌즈(230) 사이의 대칭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렌즈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되고, 제1렌즈(210)와 제4렌즈(240)는 제1렌즈(210)와 제4렌즈(240) 사이의 대칭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렌즈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된다.
제1렌즈(210)는 양쪽 면이 볼록한 면으로 되어 있다. 도 3에서 제1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220)는 물체측 면이 볼록한 면으로 되어 있는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성된다. 도 3에서 제2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230)는 상 면이 볼록한 면으로 되어 있는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성된다. 도 3에서 제3렌즈(23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240)는 양쪽 면이 볼록한 면으로 되어 있다. 도 8에서 제4렌즈(24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조리개(250)는 제2렌즈(220)와 제3렌즈(230) 사이에 위치하여 광량을 조절하고 불필요한 광을 차단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적외선 필터(200)는 입사된 광선에 포함된 적외선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 다.
도 3의 실시예에서 광학계의 초점거리가 4.4mm이고, 밝기(F number)는 3.5이고, 렌즈전장(TTL, Total Track Length)은 6.09mm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광학계는 f2은 제2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전체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일 때, -2.0<f1/f<-0.5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에서 광학계는 f는 전체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이고, T는 물체측 면에서 상측면까지의 거리일 때, T/f<1.7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2렌즈(220)와 제3렌즈(230)는 동일한 렌즈이다. 즉, 제2렌즈(220)와 제3렌즈(230)는 렌즈의 곡률, 비구면계수, 두께 및 재질이 모두 동일하며 위치하는 방향만 다르게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1렌즈(210)와 제4렌즈(240)는 동일한 렌즈이다. 즉, 제1렌즈(210)와 제4렌즈(240)는 렌즈의 곡률, 비구면계수, 두께 및 재질이 모두 동일하며 위치하는 방향만 다르게 배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렌즈 금형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4매의 렌즈로 구성되는 광학계의 경우에 제1렌즈(210)와 제4렌즈(240)가 동일하고 제2렌즈(220)와 제3렌즈(230)가 동일하기 때문에 종래 대비 약 50% 정도의 금형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보통 광학계에서는 피사체를 촬상시에 입력되는 상이한 종류의 파장을 갖는 입사광의 영향으로 피사체의 모양이나 형태가 변형되는 다양한 종류의 수차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 등의 수차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수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광학계를 설계하여야 한다.
여기서,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란 렌즈 또는 구면거울 등에서 피사체의 상을 만들 때 빛의 파장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상을 완전히 재현할 수 없는 색수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색수차를 제외한 나머지 수차를 넓은 의미의 구면수차라고 하고, 광축상(光軸上)의 한 점에서 나온 광선속으로 만들어지는 상점(像點)이 다르게 나타나는 수차를 좁은 뜻의 구면수차라고 한다.
또한, 비점수차(Astigmatism)는 넓은 뜻의 구면수차 중의 하나로서, 주축에서 떨어져 있는 물점(物點)의 상(像)이 완전한 점이 되지 않고 고리 모양 또는 방사상(放射狀)으로 흐릿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왜곡수차(Distortion)란 피사체의 직선 부분이 휘어져서 결상되는 현상으로 피사체가 실패처럼 안쪽으로 휘거나, 술통처럼 바깥쪽으로 휘어 나타나는 것으로서, 피사체각 부분의 배율은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하지만, 전체적인 상은 비례하여 변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데이터를 나타낸 표이다.
[표 1]
Figure 112007071052657-pat00001
[표 1]에서 맨 좌측 열의 번호는 면번호, R은 곡률반경, d는 렌즈면 간격, N은 d선에 대한 굴절율, 면번호의 *표시는 비구면 렌즈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비구면 정의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71052657-pat00002
여기서 z는 광학면의 정점으로부터 광축에 따른 거리, y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 c는 광학면의 정점에서의 곡률, K는 코닉 계수(conic coefficient), A, B, C, D는 비구면 계수이다.
다음 [표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 비구면에 대한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이다.
[표 2]
Figure 112007071052657-pat00003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 그래프이다. 도 4 (a)는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 (b)는 비점수차(Astigmatism)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 (c)는 왜곡수차(Distortion)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횡수차 그래프이다. 횡수차(lateral aberration)는 기준광선이 상면(300)에 입사한 위치와 다른 광선이 상면(300)에 입사한 위치의 차이로 정의되는 수차이다. 도 5 (a)는 횡수차가 0.0F~0.5F일 때의 그래프이고, 도 5 (b)는 횡수차가 0.6F~1.0F일 때의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광선 사출각 그래프이다. 주광선 사출 각은 CRA(Chief Ray Angle)라고도 하며 주광선 각도를 의미한다. 도 6에서 주광선 최대사출각은 20.66도이다.
다음 [표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데이터를 나타낸 표이다.
[표 3]
Figure 112007071052657-pat00004
[표 3]에서 맨 좌측 열의 번호는 면번호, R은 곡률반경, d는 렌즈면 간격, N은 d선에 대한 굴절율, 면번호의 *표시는 비구면 렌즈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비구면 정의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71052657-pat00005
여기서 z는 광학면의 정점으로부터 광축에 따른 거리, y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 c는 광학면의 정점에서의 곡률, K는 코닉 계수(conic coefficient), A, B, C, D는 비구면 계수이다.
다음 [표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각 비구면에 대한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이다.
[표 4]
Figure 112007071052657-pat00006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 그래프이다. 도 7 (a)는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 (b)는 비점수차(Astigmatism)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 (c)는 왜곡수차(Distortion)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횡수차 그래프이다. 횡수차(lateral aberration)는 기준광선이 상면(300)에 입사한 위치와 다른 광선이 상면(300)에 입사한 위치의 차이로 정의되는 수차이다. 도 8 (a)는 횡수차가 0.0F~0.5F일 때의 그래프이고, 도 8 (b)는 횡수차가 0.6F~1.0F일 때의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광선 사출각 그래프이다. 주광선 사출각은 CRA(Chief Ray Angle)라고도 하며 주광선 각도를 의미한다. 도 9에서 주광선 최대사출각은 25.88도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광학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횡수차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광선 사출각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횡수차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광선 사출각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제1렌즈 120, 220 제2렌즈
130, 230 제3렌즈 140, 240 제4렌즈
150, 250 조리개 200 적외선 필터
300 상면

Claims (13)

  1.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광축에서 양볼록인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물체측 면이 볼록한 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측 면이 오목면을 가진 매니스커스 렌즈로 구성되는 제2렌즈;
    상측 면이 볼록한 면으로 되어 있으며 물체측 면이 오목면을 가진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진 매니스커스 렌즈로 구성되는 제3렌즈;
    광축에서 양볼록한 제4렌즈
    를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제2렌즈의 굴절률이 1.6보다 크고, 제1렌즈 및 제4렌즈의 굴절률은 1.5보더 크고 1.6보다 작으며, 제1렌즈와 제4렌즈는 재질이 동일한 광학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와 제4렌즈는 제1렌즈와 제4렌즈 사이의 대칭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렌즈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되는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와 제3렌즈 사이에 위치하여 광량을 조절하고 불필요한 광을 차단시키기 위한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광학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와 제3렌즈는 제2렌즈와 제3렌즈 사이의 대칭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렌즈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되는 광학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광학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광학계.
  8. 제1항에 있어서,
    f1은 제1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전체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일 때,
    0.5<f1/f<2.0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광학계.
  9. 제1항에 있어서,
    f는 전체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이고, T는 물체측 면에서 상측면까지의 거리 일 때,
    T/f<1.7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광학계.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f2는 제2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전체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일 때,
    -2.0<f2/f<-0.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광학계.
  12. 삭제
  13. 삭제
KR1020070099295A 2007-10-02 2007-10-02 광학계 KR101459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295A KR101459755B1 (ko) 2007-10-02 2007-10-02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295A KR101459755B1 (ko) 2007-10-02 2007-10-02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117A KR20090034117A (ko) 2009-04-07
KR101459755B1 true KR101459755B1 (ko) 2014-11-12

Family

ID=4076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295A KR101459755B1 (ko) 2007-10-02 2007-10-02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7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2119A (ja) * 1985-06-20 1986-12-22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複写用レンズ
JPS63273809A (ja) * 1987-05-02 1988-11-10 Minolta Camera Co Ltd 複写機用レンズ系
JPH0540220A (ja) * 1991-08-07 1993-02-19 Ricoh Co Ltd 撮像用結像レンズ
JP2000111795A (ja) 1998-09-30 2000-04-21 Canon Inc 複写用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複写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2119A (ja) * 1985-06-20 1986-12-22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複写用レンズ
JPS63273809A (ja) * 1987-05-02 1988-11-10 Minolta Camera Co Ltd 複写機用レンズ系
JPH0540220A (ja) * 1991-08-07 1993-02-19 Ricoh Co Ltd 撮像用結像レンズ
JP2000111795A (ja) 1998-09-30 2000-04-21 Canon Inc 複写用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複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117A (ko) 200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728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0812685B1 (ko) 촬상렌즈
KR101364974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691351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699681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30025750A (ko) 단초점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30047585A (ko) 촬상 렌즈
KR101780432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72947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393198B1 (ko) 촬상 렌즈 및 카메라 모듈
KR10171032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JP5362528B2 (ja) 2焦点レンズ、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情報機器
JP2001337268A (ja) 広角レンズ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0930780B1 (ko) 촬상 렌즈
KR100859037B1 (ko) 소형 광학계
KR101547462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TWI810449B (zh) 光學成像系統
KR101459755B1 (ko) 광학계
JP3833218B2 (ja) 2群ズームレンズ
KR102126411B1 (ko) 촬상 광학계
KR20200002744A (ko) 촬상 렌즈
KR101621204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TWI809431B (zh) 光學成像系統
KR100906842B1 (ko)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