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553B1 - 패드일체형 인조잔디 매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패드일체형 인조잔디 매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553B1
KR101459553B1 KR1020120156366A KR20120156366A KR101459553B1 KR 101459553 B1 KR101459553 B1 KR 101459553B1 KR 1020120156366 A KR1020120156366 A KR 1020120156366A KR 20120156366 A KR20120156366 A KR 20120156366A KR 101459553 B1 KR101459553 B1 KR 101459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pad
shape
mat
suppor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183A (ko
Inventor
배기태
김종필
권영훈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553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잔디와 패드를 연속식 압출 압착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융된 패드에 의해 인조잔디와 패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 중에도 쉽게 분리되거나 변형되지 않아 사용안정성을 확보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인조잔디; 및 상기 인조잔디와 일체로 형성된 열가소성 합성수지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드일체형 인조잔디 매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RTIFICIAL TURF MAT}
본 발명은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잔디와 패드를 연속식 압출 압착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융된 패드에 의해 인조잔디와 패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 중에도 쉽게 분리되거나 변형되지 않아 사용안정성을 확보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는 천연잔디를 대체하여 경기장이나 학교 운동장에 널리 이용함으로써 천연잔디 사용에서처럼 잔디를 키우거나 농약을 뿌리는 일이 없어서 인조잔디를 이용하는 사람이나 관리자에게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각종 실외 경기장이나 학교 운동장을 비롯하여 각종 조경용, 장식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기술이 발달함과 함께 인조잔디의 품질도 매우 우수해졌으며, 천연잔디에 비하여 물 절약, 환경보호, 관리비용 절감 등의 이점이 있어서 인조단지의 시장은 매년 급증하고 있다. 대부분 인조잔디는 골프연습장이나, 축구경기장, 운동장 등에 시설되며, 인조잔디가 시설된 곳에서 주로 운동을 하기 때문에 골프채나 사람에 의한 충격력이 가해지고 슬라이딩에 의해 인조잔디가 압력을 받게 되어 변형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인조잔디는 파일이 결합된 부분과 함께 파일을 고정하기 위한 하부부재들이 있으며, 이러한 하부부재들에 의해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대부분 종래의 인조잔디는 파일부분과 하부부재들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방식으로 파일부분을 일정 크기로 제단한 후, 하부부재들을 접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 그 크기가 제한되고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단순히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므로 접착제에 의한 생산자의 인체피해나 공해발생 등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이러한 인조잔디들은 수년동안 사용하는 중에 수많은 충격력, 압력을 받아 형태가 변형되거나 접착된 부분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조잔디와 패드를 연속식 압출 압착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융된 패드에 의해 인조잔디와 패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 중에도 쉽게 분리되거나 변형되지 않아 사용안정성을 확보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드를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용융, 압출한 후 특정 형상을 구현하는 성형공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이 휘발성 유기용제의 접착제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제조자 또는 사용자에게 위해한 요소가 없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치식 매트 구조체 생산방식에서 탈피하여, 인조잔디와 패드를 단일 공정으로 부착하고 완제품을 구현함으로써 제조과정이라던가 제조장치의 구성이 단순화하여 생산효율이 증대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조잔디와 패드 계면간 융착성을 극대화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파일뽑힘 현상 및 계면 간 박리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드와 인조잔디 라미네이팅 후 소정의 형상을 가진 압착롤, 특히 엠보싱형성용 압착롤을 활용하여 패드와 인조잔디 사이의 융착성을 극대화함을 물론, 패드 이면에 형태학적 특성을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조잔디; 및 상기 인조잔디와 일체로 형성된 열가소성 합성수지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 패드는: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Styrene-butadiene-Styrene) 10 ~ 40 중량부에 대해, 미네랄오일(Mineral Oil) 20 ~ 40 중량부; 및 탄산칼슘(CaCO3) 20 ~ 4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 패드가 용융된 상태에서 압출/압착에 의해 인조잔디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는: 크림프 또는 미크림프 중 선택된 일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의 파일은: 폴리에틸렌, 나일론6, 나일론6.6,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일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의 파일은: 두께가 2,000 ~ 5,000 데니어의 원사로 이루어지고, 인조잔디의 파일 높이는 10 ~ 40 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는: 파일; 파일의 저부에 층을 이루는 제1지지층; 및 상기 제1지지층 하부에 형성된 제2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편직물, 폴리프로필렌 편직물 중 선택된 일종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층은, 우레탄, 스틸렌부타디엔러버, 폴리에틸렌, 아크릴 중 선택된 일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인조잔디매트의 저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엠보싱무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엠보싱무니부의 형상은 삼각형상, 사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별형상, 캐릭터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수지 패드 원료가 투입되어 용융되는 패드투입단계; 연속으로 공급되는 인조잔디에 용융된 패드를 압출하는 압출단계; 연속으로 공급되는 인조잔디에 용융된 패드가 압출되고 압착부에 의해 압착되는 압착단계; 압착된 인조잔디매트를 냉각하는 냉각단계; 및 인조잔디매트에 대해 열안정화시키는 열안정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패드는: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Styrene-butadiene-Styrene) 10 ~ 40 중량부에 대해, 미네랄오일(Mineral Oil) 20 ~ 40 중량부; 및 탄산칼슘(CaCO3) 20 ~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는: 폴리에틸렌, 나일론6, 나일론6.6,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일종을 포함하는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는: 파일; 파일의 저부에 층을 이루는 제1지지층; 및 상기 제1지지층 하부에 형성된 제2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편직물, 폴리프로필렌 편직물 중 선택된 일종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층은, 우레탄, 스틸렌부타디엔러버, 폴리에틸렌, 아크릴 중 선택된 일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패드가 140 ~ 180℃의 온도에서 용융/압출되어 패드와 인조잔디가 라미네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계는, 상기 패드와 인조잔디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이 70 ~ 90 kgf/cm2으로 라미네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인조잔디매트의 저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엠보싱무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엠보싱무니부의 형상은 삼각형상, 사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별형상, 캐릭터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수지 패드 원료가 투입되어 용융되는 패드원료용융부; 연속으로 공급되는 인조잔디에 용융된 패드를 압출하는 압출부; 연속으로 공급되는 인조잔디에 용융된 패드가 압출된 후 압력에 의해 압착시키는 압착부; 압착된 인조잔디매트를 냉각하는 냉각부; 및 인조잔디매트에 대해 열안정화시키는 열안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인조잔디매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압착롤; 및 상기 인조잔디매트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압착롤과의 압착에 의해 인조잔디매트를 압착되게 하는 엠보싱압착롤을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압착롤에는 의해 인조잔디매트의 저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엠보싱무늬부가 형성되게 하는 엠보싱형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인조잔디와 패드를 연속식 압출 압착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융된 패드에 의해 인조잔디와 패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 중에도 쉽게 분리되거나 변형되지 않아 사용안정성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패드를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용융, 압출한 후 특정 형상을 구현하는 성형공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이 휘발성 유기용제의 접착제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제조자 또는 사용자에게 위해한 요소가 없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배치식 매트 구조체 생산방식에서 탈피하여, 인조잔디와 패드를 단일 공정으로 부착하고 완제품을 구현함으로써 제조과정이라던가 제조장치의 구성이 단순화하여 생산효율이 증대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인조잔디와 패드 계면간 융착성을 극대화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파일뽑힘 현상 및 계면 간 박리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패드와 인조잔디 라미네이팅 후 소정의 형상을 가진 압착롤, 특히 엠보싱형성용 압착롤을 활용하여 패드와 인조잔디 사이의 융착성을 극대화함을 물론, 패드 이면에 형태학적 특성을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에 대한 실시 설명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에 대한 실시 예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에 대한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의 제조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 등에서와 같이, 인조잔디(12); 및 상기 인조잔디(12)와 일체로 형성된 열가소성 합성수지 패드(14)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10)는 도 1, 도 2 및 도 4의 예에서와 같이,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 패드(14)가 용융된 상태에서 압출/압착에 의해 인조잔디(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종래에서처럼 별도의 하부부재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이 아니라서 제조공정이 간단하게 된다.
특히 인조잔디매트(10)에서 인조잔디(12)와 패드(14)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패드(14)와 인조잔디(12)가 분리되거나 형태 변형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 패드(14)는,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Styrene-butadiene-Styrene) 10 ~ 40 중량부에 대해, 첨가제로 미네랄오일(Mineral Oil) 20 ~ 40 중량부; 탄산칼슘(CaCO3) 20 ~ 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Styrene-butadiene-Styrene)은 패드 조성물의 탄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이 10 중량부 미만일 때에는 탄성 성질을 갖기 어렵게 되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특성에 비해 용량이 무리하게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첨가제로 미네랄오일(Mineral Oil)은 패드 제조시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며 20 중량부 미만일 때에는 작업성에 영향을 주기 어려우며 40 중량부를 초과할 때에는 용량을 무리하게 많이 투여하게 된다. 또한 탄산칼슘(CaCO3)은 패드의 형태에 대한 안정성을 주기 위한 것으로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패드 형태가 안정적이지 못할 수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소재 용량이 많이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조잔디(12)는, 크림프 또는 크림프 현상이 없는 미크림프 중 선택된 일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조잔디(12)는, 폴리에틸렌, 나일론6, 나일론6.6,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일종이 포함되어 인조잔디 파일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조잔디(12)에 있어서, 파일(120)은 두께가 2,000 ~ 5,000 데니어의 원사로 파일이 이루어지고, 인조잔디의 파일(120) 높이는 10 ~ 40 mm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인조잔디(12)는, 파일(120); 파일(120)의 저부에 층을 이루는 제1지지층(121); 상기 제1지지층(121) 하부에 형성된 제2지지층(122)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파일(120)은 제1지지층(121) 및 제2지지층(122) 등에 의해
이에 상기 제1지지층(12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편직물, 폴리프로필렌 편직물 중 선택된 일종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지지층(122)은, 우레탄, 스틸렌부타디엔러버, 폴리에틸렌, 아크릴 중 선택된 일종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2, 도 3 등에서처럼 인조잔디매트(10)의 저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엠보싱무늬부(15)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엠보싱무니부(15)의 형상은 삼각형상, 사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별형상, 캐릭터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엠보싱무늬부(15)에 의하여 충격을 완화하기 때문에, 골프에 적용될 경우 인조잔디의 손상을 방지하고, 축구나 구기 종목에 적용될 경우 운동하는 사람이 엠보싱무늬부(15)에 의한 완충작용에 의해 다치는 경우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인조잔디매트(10)가 놓여지는 바닥면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것으로, 인조잔디가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하거나 운동중에 힘을 가하여도 인조잔디매트(10)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인조잔디매트(10)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합성수지 패드(14) 원료가 투입되어 용융되는 패드투입단계(S01)가 수행된다. 합성수지 패드의 원료가 투입되는 것이며, 투입된 원료는 패드원료용융부(21)에서 용융되어 골고루 섞이게 된다. 이처럼 용융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패드(14)가 140 ~ 180℃의 온도에서 용융/압출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연속으로 공급되는 인조잔디(12)에 용융된 패드(14)를 압출하는 압출단계(S02)가 수행된다. 즉 압축부(22)의 스크류에 의해 인조잔디롤(23)에서 연속으로 공급되는 인조잔디(12)에 용융된 패드(14) 재료들이 강제로 압출되어 인조잔디(12)의 아래 부분에 일체로 부착될 것이다. 즉 패드(14)와 인조잔디(12)가 라미네이팅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속으로 공급되는 인조잔디(12)에 용융된 패드(14)가 압출되고 압착부(24)에 의해 압착되는 압착단계(S03)가 수행된다. 이러한 상기 압착단계(S03)는, 상기 패드(14)와 인조잔디(12)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이 70 ~ 90 kgf/cm2으로 라미네이팅되는 것이다.
즉 상압착롤(241)과 하부의 엠보싱압착롤(242) 등에 의한 압착압력에 의해 인조잔디(12)와 패드(14)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인조잔디(12)는 파일(120)을 고정시키는 편직물의 제1지지층(121), 제2지지층(122) 등이 마련되는 것으로, 이러한 인조잔디(12)의 제1지지층(121), 제2지지층(122) 및 파일(120)의 하측을 용융된 패드(14)가 스며들면서 고압력에 의해 압착과정을 거침으로써, 인조잔디(12) 아래측에 패드(1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패드(14)와 인조잔디(12)가 별도의 접착제가 없어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갖기 때문에, 격렬한 운동을 하더라도 쉽게 인조잔디매트(10)가 변형되지 않고 오래도록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으로 압착된 인조잔디매트(10)를 냉각하는 냉각단계(S04)가 수행되는 것이다. 즉 패드 조성물이 용융되고 압착되는 중에 고온을 유지하므로, 냉각단계(S04)를 지나면서 인조잔디매트(10)가 냉각되는 것이다.
그리고 인조잔디매트(10)에 대해 열안정화시키는 열안정화단계(S05)를 수행한다. 즉 열처리를 하여 인조잔디매트(10)의 형태를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조잔디매트(1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패드(14)가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Styrene-butadiene-Styrene) 10 ~ 40 중량부에 대해, 미네랄오일(Mineral Oil) 20 ~ 40 중량부; 탄산칼슘(CaCO3) 20 ~ 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조잔디(12) 파일은, 폴리에틸렌, 나일론6, 나일론6.6,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일종으로 이루어지는 파일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인조잔디(12)는, 파일(120); 파일(120)의 저부에 층을 이루는 제1지지층(121); 상기 제1지지층(121) 하부에 형성된 제2지지층(122) 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층(12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편직물, 폴리프로필렌 편직물 중 선택된 일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지지층(122)은, 우레탄, 스틸렌부타디엔러버, 폴리에틸렌, 아크릴 중 선택된 일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울러 인조잔디매트(10)의 저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엠보싱무늬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엠보싱무니부(15)의 형상은 삼각형상, 사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별형상, 캐릭터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인조잔디매트(10)의 제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제조장치로, 도 4에서처럼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장치(20)가 마련된다.
즉 합성수지 패드(14) 원료가 투입되어 용융되는 패드원료용융부(21)가 구비된다. 이러한 패드원료용융부(21)에 합성수지 패드(14)의 원료가 투입되어 고온에서 용융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속으로 공급되는 인조잔디(12)에 용융된 패드(14)를 압출하는 압출부(22)가 마련된다. 이러한 압출부(22)의 스크류에 의한 압력으로 용융된 패드(14)가 인조잔디(12) 측으로 압출된다.
또한 연속으로 공급되는 인조잔디(12)에 용융된 패드(14)가 압출된 후 압력에 의해 압착시키는 압착부(24)가 마련된다. 압착부(24)의 상압착롤(241)과 아래의 엠보싱압착롤(242) 사이를 인조잔디매트(10)가 연속으로 지나면서, 인조잔디(12)와 패드(14)가 압력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인조잔디(12) 아래의 패드(14) 하부에는 엠보싱압착롤(242)이 접하게 되고, 엠보싱압착롤(242)의 압력에 의해 엠보싱무늬부(15)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엠보싱무늬부(15)는 다양한 형태의 오목부분과 볼록부분으로 이루져 엠보싱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압착부(24)는 인조잔디매트(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압착롤(241); 상기 인조잔디매트(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압착롤(241)과의 압착에 의해 인조잔디매트(10)를 압착되게 하는 엠보싱압착롤(242) 등을 포함하여, 상기 엠보싱압착롤(242)에는 의해 인조잔디매트(10)의 저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엠보싱무늬부(15)가 형성되게 하는 엠보싱형성부(243)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압착된 인조잔디매트(10)를 냉각하는 냉각부(25)가 마련된다. 이러한 냉각부(25)는 인조잔디매트(10)의 제조과정에서 고온을 이루는 것을 냉각하게 된다.
또한 인조잔디매트(10)에 대해 열안정화시키는 열안정화부(26)가 마련된다. 이러한 열안정화부(26)에 의해 인조잔디매트(10)의 형태가 안정화된다.
그리고 열안정화단계를 거친 인조잔디매트(10)는 롤형태로 인조잔디매트롤(27)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다음과 같이 하였다.
상기 설명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10)를 제조하는 것으로, 용융된 열가소성 합성수지 패드를 압출에 의해 연속공급되는 인조잔디와 일체로 형성한다.
이에 열가소성 합성수지 패드의 원료로는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Styrene-butadiene-Styrene) 25 중량부에 대해, 미네랄오일(Mineral Oil) 30 중량부; 탄산칼슘(CaCO3) 30 중량부가 포함되고, 140 ~ 180℃에서 용융되게 하였다.
인조잔디(12)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하고, 제1지지층(12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편직물, 제2지지층은 폴리에틸렌으로 구비하였다.
인조잔디(12)와 패드(14)에 가해지는 압력은 70 ~ 90 kgf/cm2으로 가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인조잔디매트(10)는 표1의 실시예1과 같이 만들어졌다. 최종 형성된 패드는 10mm를 이루었다.
(비교예1)
비교예1은 배치식 접착제 방식1로, 인조잔디에 패드가 13mm(발포형 Rubber 8mm, 무발포형 Rubber 5mm)로 형성하여 우레탄 접착제로 접착하였다.
(비교예2)
비교예2는 배치식 접착제 방식2로, 인조잔디에 패드가 25mm 형되게 하여 돼지본드(Rubber 계)로 접착한 것이다.
(비교예3)
비교예3은 배치식 압착합포방식으로, 인조잔디에 패드를 압착 합포시켜 형성하는 것이며, 패드는 15mm 높이로 형성한다.
이러한 비교예들은 인조잔디를 미리 배치시켜 형성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는 연속공급되는 중에 용융된 패드가 인조잔디에 압착되는 것이다.
표1은 제품의 실시에 따른 외관 사진으로, 아래 표1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측면의 두께가 다른 비교예들에 비해 적게 되어 전체 재료비의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112012109044959-pat00001
Figure 112012109044959-pat00002
표2는 물성평가에 대한 것으로, 인발강도, 박리강도 등에서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가 비교예들보다 월등한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고, 내열에서도 이상이 없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2109044959-pat00003
표 3은 충격 및 변형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매트가 충격흡수 및 변형률에서도 양호한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인조잔디매트 12 : 인조잔디
120 : 파일 121 : 제1지지층
122 : 제2지지층 14 : 패드
15 : 엠보싱무늬부
20 : 인조잔디매트 제조장치
21 : 패드원료용융부 22 : 압출부
23 : 인조잔디롤 24 : 압착부
241 : 상압착롤 242 : 엠보싱압착롤
243 : 엠보싱형성부 25 : 냉각부
26 : 열안정화부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열가소성 합성수지 패드 원료가 투입되어 용융되는 패드투입단계;
    연속으로 공급되는 인조잔디에 용융된 패드를 압출하는 압출단계;
    연속으로 공급되는 인조잔디에 용융된 패드가 압출되고 압착부에 의해 압착되는 압착단계;
    압착된 인조잔디매트를 냉각하는 냉각단계; 및
    인조잔디매트에 대해 열안정화시키는 열안정화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조잔디는, 파일, 파일의 저부에 층을 이루는 제1지지층 및 상기 제1지지층 하부에 형성된 제2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 패드는,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Styrene-butadiene-Styrene) 10 ~ 40 중량부에 대해, 미네랄오일(Mineral Oil) 20 ~ 40 중량부; 및 탄산칼슘(CaCO3) 20 ~ 4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패드가 140 ~ 180℃의 온도에서 용융/압출되어 패드와 인조잔디가 라미네이팅되고,
    상기 압착단계는, 상기 패드와 인조잔디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이 70 ~ 90 kgf/cm2으로 라미네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는:
    폴리에틸렌, 나일론6, 나일론6.6,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일종을 포함하는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편직물, 폴리프로필렌 편직물 중 선택된 일종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층은, 우레탄, 스틸렌부타디엔러버, 폴리에틸렌, 아크릴 중 선택된 일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 9항에 있어서,
    인조잔디매트의 저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엠보싱무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엠보싱무니부의 형상은 삼각형상, 사각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별형상, 캐릭터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패드일체형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16. 삭제
  17. 삭제
KR1020120156366A 2012-12-28 2012-12-28 패드일체형 인조잔디 매트의 제조방법 KR101459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366A KR101459553B1 (ko) 2012-12-28 2012-12-28 패드일체형 인조잔디 매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366A KR101459553B1 (ko) 2012-12-28 2012-12-28 패드일체형 인조잔디 매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183A KR20140086183A (ko) 2014-07-08
KR101459553B1 true KR101459553B1 (ko) 2014-11-07

Family

ID=5173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366A KR101459553B1 (ko) 2012-12-28 2012-12-28 패드일체형 인조잔디 매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150B1 (ko) * 2019-09-18 2020-04-24 비아이랜드주식회사 친환경 인조잔디 시공구조
KR102424160B1 (ko) * 2020-09-10 2022-07-22 주식회사 필드글로벌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761B1 (ko) 2006-04-27 2007-07-10 진재삼 골프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94033B1 (ko) 2008-11-04 2009-04-22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조성물
KR20120072617A (ko) * 2010-12-24 2012-07-0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보행로용 인조잔디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761B1 (ko) 2006-04-27 2007-07-10 진재삼 골프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94033B1 (ko) 2008-11-04 2009-04-22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조성물
KR20120072617A (ko) * 2010-12-24 2012-07-0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보행로용 인조잔디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183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29555A1 (ja) 靴底、靴の中底、靴の本底及び靴
US20120276339A1 (en) Cushioning elements comprising elastomeric material and methods of forming same
KR101977176B1 (ko) 3중 구조의 파일원사를 가지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CN104014101B (zh) 啦啦操训练竞赛专用地垫
US7625458B2 (en) Method of making cushion material
WO2006066191A1 (en) Textile surface covering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KR101459553B1 (ko) 패드일체형 인조잔디 매트의 제조방법
EP3126573B1 (en) Mat for forming an artificial lawn and process for producing such a mat
DE102016223571B4 (de) Herstellung von Vliesstoffen einschließlich einer Komponente
CN203620221U (zh) 一种新型高强度地毯面料的武术垫
KR101470789B1 (ko) 인조잔디형 고무블럭과 그 제조방법
CN203899014U (zh) 啦啦操训练竞赛专用地垫
KR101647964B1 (ko) 중공사 결합을 통한 주름방지를 위한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215714397U (zh) 一种整体可回收人造草坪
US10021934B2 (en) Footwear outsole with fabric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201782119U (zh) 一种鞋垫
CN113103505A (zh) 一种垫子的制备方法
MX2013008488A (es) Almohadilla ultra-resiliente y metodo para su produccion.
JP5557207B2 (ja) 床シート
CN204292338U (zh) 凹凸鞋面结构
CN206910657U (zh) 一种tpu瑜伽垫
US20200071588A1 (en) Cooling support cushion and related methods
CN220384409U (zh) 一种复合环保透气鞋垫
CN103611287B (zh) 一种新型高强度地毯面料的武术垫及其制备方法
CN201624195U (zh) 一种具有纺织物的鞋子的鞋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