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360B1 -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360B1
KR101459360B1 KR1020120148442A KR20120148442A KR101459360B1 KR 101459360 B1 KR101459360 B1 KR 101459360B1 KR 1020120148442 A KR1020120148442 A KR 1020120148442A KR 20120148442 A KR20120148442 A KR 20120148442A KR 101459360 B1 KR101459360 B1 KR 10145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plating
inert gas
steel sheet
nozz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011A (ko
Inventor
이종도
김진태
서현용
Original Assignee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8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3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pre-treatment chambers located immediately upstream of the bath or occurring locally before the dipping process
    • C23C2/004Snou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heating
    • C23C2/022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heating in a reactive atmosphere, e.g. oxidising or reducing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0Fluxes or coverings on molten bath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는, 상기 도금욕조 상의 강판안내도관 내에서 강판의 양면과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되, 하부가 도금액에 잠긴 격벽; 및 상기 강판안내도관 내에서 도금액에 부유되는 이물질을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강판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는 분사수단과 강판과 이격되어 배치된 격벽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분사수단에 의해 도금액에 부유되는 이물질을 도금액에 입수되는 강판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격벽에 의해 이동된 이물질이 강판 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사수단이 강판의 처짐변위에 따른 분사지점을 조절하게 회전구성됨으로써, 강판 중 자중에 의해 처지는 후판이 도금액에 입수될 때에도 분사된 불활성가스가 강판으로부터 반사되어 이물질을 강판으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적정한 분사각도를 이룰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으로 인하여 강판의 미도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platingless of plated strip}
본 발명은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로서, 부유되는 이물질을 도금액에 입수되는 강판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융도금공정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로에서 열처리를 거친 강판이 턴다운섹션(2)을 거쳐 도금욕조로 방향이 전환되어 스나우트(4) 통과한 후 스노클(5)로 인입되고 도금욕조 속으로 침적되어 외부로 올라오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강판(1)은 싱크롤(9a)을 타고 커랙팅롤(교정롤)(9b), 스태비라이징롤(안정화롤)(9c)을 거쳐 상승하며 에어나이프(9d)에 의해 도금량이 제어된다.
그런데, 상기 스노클(5) 내부의 도금욕조 표면에서 증발된 기체가 스노클(5)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내벽에 흡착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응집되어 미세 분말재(이하 '이물질'로 지칭함)로 성장하여, 중력 및 진동에 의해 도금욕조 표층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도금욕조 표층에서 떠다니던 이물질(8)이 인입되는 강판에 부착되어 도금욕조 속으로 인입되면 미도금과 같은 품질불량이 발생되므로, 상기 이물질(8)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제품 생산중에 공구를 이용하여 제거해야 하며, 완전히 제거하기가 불가능하므로 어느 정도 품질저하를 감안하여 생산해야만 하므로 생산성 저하 등의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메탈펌프를 이용한 스노클 내부 분말재 펌핑, 스나우트 인입형 질소블로잉 장치, 스노클 구조변경 등의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도금액에 부유되는 이물질을 도금액에 입수되는 강판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분사수단과 격벽이 설치된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는, 도금욕조 상의 강판안내도관 내에서 강판의 양면과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되, 하부가 도금액에 잠긴 격벽; 및 불활성가스를 강판에 하방분사시켜, 불활성가스가 강판에 반사되어 도금액 상에서 상기 격벽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강판안내도관 내에서 도금액에 부유되는 이물질을 상기 격벽의 양측부 바깥쪽을 통해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강판의 반대 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분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이물질이 상기 분사수단에 의해 분사된 불활성가스에 의해 상기 격벽 측으로 밀리면서 강판의 양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격벽과 강판안내도관의 전측벽 또는 후측벽 사이로 이동되도록, 양측부가 상기 강판안내도관의 측부벽과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분사수단은, 분사된 불활성가스가 상기 강판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이물질을 상기 강판으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상기 강판의 처짐변위에 따른 분사지점을 조절하게 회전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강판안내도관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노즐몸체; 및 상기 노즐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노즐몸체의 양단부 측으로 경사가 커지는 노즐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노즐몸체의 양단부는 상기 강판안내도관에 그랜드 패킹으로 체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강판의 처짐변위에 따른 도금액에 대한 입수위치가 관찰되도록, 상기 강판안내도관에는 관찰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는,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는 분사수단과 강판과 이격되어 배치된 격벽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분사수단에 의해 도금액에 부유되는 이물질을 도금액에 입수되는 강판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격벽에 의해 이동된 이물질이 강판 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상기 분사수단이 강판의 처짐변위에 따른 분사지점을 조절하게 회전구성됨으로써, 강판 중 자중에 의해 처지는 후판이 도금액에 입수될 때에도 분사된 불활성가스가 강판으로부터 반사되어 이물질을 강판으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적정한 분사각도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으로 인하여 강판의 미도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용융도금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강판안내도관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강판안내도관 내에서 도 2의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에 의해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은, 강판의 미도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도금액에 입수되는 강판으로부터 부유되는 이물질이 멀어지도록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분사수단과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강판안내도관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강판안내도관 내에서 도 2의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에 의해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강판안내도관(3) 내에 배치된 격벽(10)과 분사수단(20)을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강판안내도관(3)은 도금욕조 상에서 강판(1)을 안내하는 관으로서,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나우트(4)와 스노클(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격벽(10)은 도금욕조 상의 강판안내도관(3) 내에서 강판(1)의 양면과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되, 하부가 도금액(7)에 잠긴 배치구조를 이룬다.
즉, 격벽(10)은 강판안내도관(3)의 전측벽(3a)과 강판(1) 사이, 후측벽(3b)과 강판(1) 사이에 각각 위치되되, 강판(1)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강판안내도관(3) 측부벽(3c)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10)의 양측부가 강판안내도관(3)의 측부벽(3c)과 이격됨으로써, 이물질(8)이 강판(1)의 양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격벽(10)과 강판안내도관(3)의 전측벽(3a) 또는 후측벽(3b) 사이로 이동하는 유동통로(12)가 형성된다.
물론, 이때 이동된 이물질(8)이 강판(1) 측으로 다시 유동될 수 있는데, 상기 유동통로(12)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격벽(10)에 막힘으로써 강판(1) 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격벽(10)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강판안내도관(3)의 일측에 연결되어 고정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수단(20)은 강판안내도관(3) 내에서 도금액(7)에 부유되는 이물질(8)을 상기 격벽(10)을 사이에 두고 강판(1)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사수단(20)은 분사된 불활성가스가 강판(1)으로부터 반사되어 이물질(8)을 강판(1)으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사수단(20)으로부터 강판(1) 측으로 분사되는 불활성가스가 강판(1)에 이르기 전에 부유하는 이물질(8)에 닿는 경우에, 이물질(8)은 강판(1) 측으로 유동됨에 따라 도금액(7)에 입수하는 강판(1)에 이물질(8)이 오히려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사수단(20)의 하방 경사각도는 불활성가스가 먼저 강판(1)에 이른 뒤 반사되어 강판(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할 때 이물질(8)에 이르게 됨으로써, 이물질(8)이 강판(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강판(1)은 박판(0.2mm ~ 0.6mm)과는 달리 후판(1.0mm ~ 2.5mm)인 경우 중력으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처진 강판(1a)(1b)이 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도금액(7)에 대한 강판(1)의 입수지점(11a)(11b)이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분사수단(20)의 하방 경사각도가 상술된 적정각을 이루지 못함에 따라, 분사되는 불활성가스가 이물질(8)을 강판(1)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불활성가스가 분사되더라도 이물질(8)을 강판(1)으로부터 멀어지게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이물질(8)이 강판(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게 위해, 상기 분사수단(20)은 불활성가스가 강판(1)으로부터 반사되어 이물질(8)을 강판(1)으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구성되도록, 강판(1)의 처짐변위에 따른 분사지점을 조절하게 회전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수단(20)은 회전되는 노즐몸체(21)와, 상기 노즐몸체(21)에 형성되는 노즐구멍(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노즐몸체(21)는 양단부(21a)가 강판안내도관(3)에 회전되게 체결되는데,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례로서 양단부(21a)에 구성되는 수동회전 손잡이에 의해 작업자가 수동회전될 수 있고, 또는 양단부(21a)에 구성되는 자동회전 서보모터에 의해 작업자의 입력지시를 받아 자동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즐몸체(21)의 회전구동구조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회전구동구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상기 노즐몸체(21)의 양단부(21a)는 강판안내도관(3)에 그랜드 패킹(30)으로 체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랜드 패킹(30)은 노즐몸체(21)의 회전축이 되는 양단부(21a)가 강판안내도관(3)의 측부벽(3c)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면서, 나아가 강판안내도관(3) 내로 외부의 산소가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강판(1)의 처짐변위에 따른 도금액(7)에 대한 입수위치가 관찰되도록, 상기 강판안내도관(3)에는 관찰구(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찰구(40)는 작업자가 강판(1)의 처짐변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창으로 밀폐되는 구조를 취하며, 나아가 원거리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카메라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노즐몸체(21)에 형성된 노즐구멍(22)은 노즐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노즐몸체(21)의 양단부(21a) 측으로 경사가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구멍(22)은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방향이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노즐몸체(21)의 양단부(21a) 측을 향해 점점 더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노즐구멍(22)과 강판(1) 사이에 부유하는 이물질(8)을 강판(1)의 양측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분사수단(20)은 도금액(7) 상에서 부유하는 이물질(8)을 적정 높이에서도 분사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트노즐과 같은 부재가 활용될 수 있으며, 분사되는 불활성가스는 강판(1)의 산화를 방지하면서 이물질(8)이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도록 하며, 일례로서 질소가스가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불활성가스를 분사하는 분사수단(20)과 강판(1)과 이격되어 배치된 격벽(10)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분사수단(20)에 의해 도금액(7)에 부유되는 이물질(8)을 도금액(7)에 입수되는 강판(1)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격벽(10)에 의해 이동된 이물질(8)이 강판(1) 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사수단(20)이 강판(1)의 처짐변위에 따른 분사지점을 조절하게 회전구성됨으로써, 강판(1) 중 자중에 의해 처지는 후판이 도금액(7)에 입수될 때에도 분사된 불활성가스가 강판(1)으로부터 반사되어 이물질(8)을 강판(1)으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적정한 분사각도를 이룰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으로 인하여 강판(1)의 미도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강판 3 : 강판안내도관
7 : 도금액 8 : 이물질
10 : 격벽 12 : 유동통로
20 : 분사수단 21 : 노즐몸체
21a : 양단부 22 : 노즐구멍
30 : 그랜드 패킹 40 : 관찰구

Claims (6)

  1. 도금욕조 상의 강판안내도관(3) 내에서 강판(1)의 양면과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되, 하부가 도금액(7)에 잠긴 격벽(10); 및
    불활성가스를 강판(1)에 하방분사시켜, 불활성가스가 강판(1)에 반사되어 도금액(7) 상에서 상기 격벽(10)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강판안내도관(3) 내에서 도금액(7)에 부유되는 이물질(8)을 상기 격벽(10)의 양측부 바깥쪽을 통해 상기 격벽(10)을 기준으로 강판(1)의 반대 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분사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10)은, 이물질(8)이 상기 분사수단(20)에 의해 분사된 불활성가스에 의해 상기 격벽(10) 측으로 밀리면서 강판(1)의 양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격벽(10)과 강판안내도관(3)의 전측벽(3a) 또는 후측벽(3b) 사이로 이동되도록, 양측부가 상기 강판안내도관(3)의 측부벽(3c)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20)은,
    분사된 불활성가스가 상기 강판(1)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이물질(8)을 상기 강판(1)으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상기 강판(1)의 처짐변위에 따른 분사지점을 조절하게 회전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20)은,
    양단부(21a)가 상기 강판안내도관(3)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노즐몸체(21); 및
    상기 노즐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되, 상기 노즐몸체(21)의 길이방향에 대한 상기 노즐몸체(21)의 중심에서 상기 노즐몸체(21)의 길이방향에 대한 양단부 측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노즐몸체(21)의 양단부(21a) 측으로 경사가 커지는 노즐구멍(22);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21)의 양단부(21a)는 상기 강판안내도관(3)에 그랜드 패킹(30)으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1)의 처짐변위에 따른 도금액(7)에 대한 입수위치가 관찰되도록, 상기 강판안내도관(3)에는 관찰구(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
  6. 삭제
KR1020120148442A 2012-12-18 2012-12-18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 KR10145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442A KR101459360B1 (ko) 2012-12-18 2012-12-18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442A KR101459360B1 (ko) 2012-12-18 2012-12-18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011A KR20140079011A (ko) 2014-06-26
KR101459360B1 true KR101459360B1 (ko) 2014-11-20

Family

ID=5113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442A KR101459360B1 (ko) 2012-12-18 2012-12-18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3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016A (ja) * 1996-02-23 1997-09-02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めっき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25557B1 (ko) * 2000-11-10 2007-06-08 쏠락 금속 스트립의 딥-코팅 방법 및 설비
JP2008231484A (ja) * 2007-03-19 2008-10-02 Nippon Steel Corp 連続溶融亜鉛めっき装置。
KR101069991B1 (ko) * 2008-12-23 2011-10-0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도금 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016A (ja) * 1996-02-23 1997-09-02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めっき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25557B1 (ko) * 2000-11-10 2007-06-08 쏠락 금속 스트립의 딥-코팅 방법 및 설비
JP2008231484A (ja) * 2007-03-19 2008-10-02 Nippon Steel Corp 連続溶融亜鉛めっき装置。
KR101069991B1 (ko) * 2008-12-23 2011-10-0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도금 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011A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0330C (en)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hot-dip coating of metal strip
TWI399458B (zh) 熔融鍍敷鋼板的製造方法及熔融鍍敷裝置
JPH08323263A (ja) カーテンコーティング中の乱れを少なく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219146B1 (ko) 조절가능한 구속 박스를 포함하는 금속 스트립의 핫 디프 코팅용 설비
WO2011024636A1 (ja) カーテンコータのエッジガイド
JP2020111781A (ja) 表面処理装置
JP2020111780A (ja) 表面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459360B1 (ko) 도금강판의 미도금 방지장치
JP2010215929A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製造設備及び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JP2014167148A (ja)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及びガスワイピング方法
JP2010229509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装置
JPH0459955A (ja) 連続溶融亜鉛めっき装置
KR101867731B1 (ko) 도금장치
KR101568472B1 (ko) 스나우트의 기체유동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금강판 제조장치
KR101568473B1 (ko) 스나우트의 기체유동 조절장치
KR101518597B1 (ko) 스나우트의 기체유동 조절장치
KR101753597B1 (ko)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JP2009254928A (ja) 化粧板用塗装装置、及び化粧板塗装方法
TWI556901B (zh) 於軟焊時提供惰性氣體的設備
JP2011127180A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設備及び製造方法
JPH0730673Y2 (ja) 金属帯の表面処理設備のシールボックス
JPH08356Y2 (ja) ガスワイピング装置
TW201814780A (zh) 溼式製程設備
JPS63203758A (ja) 溶融金属メツキ装置のエツジオ−バ−コ−ト防止装置
KR20150045838A (ko) 스나우트의 기체유동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