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716B1 -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 - Google Patents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716B1
KR101458716B1 KR1020130103372A KR20130103372A KR101458716B1 KR 101458716 B1 KR101458716 B1 KR 101458716B1 KR 1020130103372 A KR1020130103372 A KR 1020130103372A KR 20130103372 A KR20130103372 A KR 20130103372A KR 101458716 B1 KR101458716 B1 KR 101458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fixed
luminaire
lamp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원
Original Assignee
조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중원 filed Critical 조중원
Priority to KR102013010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은 등기구 본체에 고정되는 제1부재와 천장에 고정되는 제2부재로 구성된 부착판을 등기구 본체에 구비하여 천장에 고정할 때는 제2부재를 등기구 본체에서 회전시켜 등기구 본체와 교차되게 한 상태에서 천장에 제2부재를 고정한 다음 등기구 본체를 회전시켜 천장에 고정된 제2부재를 커버하게 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고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MOUNTING PLATE FOR LAMP LIGHTING FIXTURES}
본 발명은 램프 등기구를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등기구가 천장에 고정 설치될 때 천장에 고정되는 제2부재와, 이 제2부재와 회전되게 결합되되 등기구 본체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1부재로 구성되는 부착판에 의해 천장에 먼저 제2부재를 고정한 다음 제1부재가 고정된 등기구 본체를 회전시켜 제2부재와 포개지게 함으로써 등기구를 천장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기구는 "특허문헌 1"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92363호(Y1)의 "피엘 램프(PL lamp)용 등기구"에서와 같이, 형광등 보다 전력소모가 적어 에너지 효율이 높은 소위 삼파장 램프라 호칭되는 피엘 램프(Photoluminescence lamp)를 사용하여 실내를 조명하고자 할 때 피엘 램프용 등기구 본체와 별도로 구비된 부착판(1)을 먼저 천장에 고정하고, 천장에 고정된 부착판(1)에 피엘 램프용 등기구 본체를 조립하여 고정하였다.
상기 부착판(1)을 천장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서는 주로 나사(screw)가 이용되는데, 앵커 볼트(anchor bolt)나 기타 고정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부착판(1)에는 타이 볼트(5)가 용접 등에 의해 부착판(1)에 소정 간격으로 예컨대 등기구 본체(2)의 관통 구멍(3)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완전히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판(1)에 간격지게 구비된 타이 볼트(5)에 등기구 본체(2)의 관통구멍(3)을 정렬하여 끼우면 등기구 본체(2)의 관통 구멍(3) 외부로 타이 볼트(5)가 노출되고, 이와 같이 노출된 타이 볼트(5)에 너트(6)를 체결하면 부착판(1)에 등기구 본체(2)의 고정이 완료된다.
이 후 등기구 본체(2)에 구비된 소켓(7)에 램프의 단자 핀을 끼우고 램프 몸체를 탄성 클립(8)에 끼워 고정하면 등기구 설치가 완료된다.
물론 상기 등기구 본체(2)는 안정기(도시되지 않음)가 안정기 커버(4)로 보호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부착판(1)을 천장에 고정한 다음 다시 등기구 본체(2)를 부착판(1)에 고정하는 방식은 한 번의 고정 설치작업과 등기구 본체(2)의 조립 작업, 즉 두 번의 작업을 해야 하므로 시간도 많이 걸리고 설치작업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KR 20-0296363 Y1
본 발명은 피엘 램프 등과 같은 등기구 본체를 천장 등에 설치하는 작업이 한 번의 고정작업에 의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등기구용 부착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등기구 본체에 배면에 구비된 부착판 중 한 부재를 먼저 천장에 고정설치하고, 등기구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등기구 본체를 천장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기구용 부착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장에 고정된 등기구용 부착판에 포개져서 부착판을 커버하는 등기구 본체가 부주의하게 회전되어 부착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 등기구용 부착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등기구 본체의 배면에 등기구 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고정된 제1부재와,
제1부재에 회전되게 결합되되 천장 고정용 고정구멍이 구비된 제2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등기구 본체에 구비된 등기구용 부착판에 의해 등기구 본체가 천장에 설치됐을 때 등기구 본체에 고정된 1부재가 천장에 고정된 제2부재에 대해 부주의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부재와 제2부재에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등기구 본체의 배면에 천장 고정용 부착판을 구비함으로써 천장에 등기구를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장에 등기구 설치가 완료됐을 때 부착판에 구비된 회전방지수단에 의해 부주의하게 등기구가 설치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등기구 본체와 이 본체를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판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착판이 구비된 램프 등기구 본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램프 등기구 본체에 구비된 부착판 중 천장에 고정하는 부재를 회전시킨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부착판의 제2부재를 보여주는 도 4의 "B-B"방향 측면도.
도 6은 부착판의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A-A"방향 측면도.
도 7은 부착판의 제2부재를 천장에 고정한 다음 등기구 본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등기구 설치용 부착판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등기구 설치용 부착판(200)은 천장(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설치장소에 등기구 본체(100)의 고정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등기구 본체(100)의 배면에 회전되게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등기구 설치용 부착판(200)은 등기구 본체(100)의 배면 외부로, 즉 등기구 본체(100)의 폭 및 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크기(size)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등기구 설치용 부착판(200)은 등기구 본체(100)를 천장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호 회전가능하게 상,하로 겹쳐지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등기구 설치용 부착판(200)은 강성을 갖는 금속판, 예컨대 1mm 이하의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판 대신에 이에 상응하는 강성을 갖는 기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되는 각각의 판(이하 천장에 고정되는 상부 판을 (상부의) '제2부재'라 하고, 등기구 본체(100)에 고정되는 하부 판을 (하부의) '제1부재"라 한다)은 등기구 본체의 배면 형태를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좁고 길이가 폭에 비해 긴 직사각형 판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등기구 설치용 부착판(200)을 구성하는 제1부재(300)와 제2부재(400)는 상호 회전되게 결합되기 전에 사전에 프레스 가공되는 데, 상호 회전이 이루어지게 결합되는 회전부(306)와, 부착판(200)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의 구멍과,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용도의 오목부 등이 통상의 천공(piercing), 블랭킹(blanking), 벤딩(bending) 작업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등기구 설치용 부착판(200)은 등기구 본체(100)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1부재(300)와, 제1부재(300)와 회전되게 결합되고 천장에 고정되는 제2부재(400)로 구성된다.
제1부재(300)의 중앙에는 관통구멍(304)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304)은 제2부재(400)와 회전되게 결합되도록 원통형 벽체(302)가 소정 높이로 연장 형성된다. 원통형 벽체(302)의 높이는 이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2부재(400)의 관통구멍(402) 위로 확개되어 제2부재(400)를 제1부재(300)측으로 회전되게 압착고정할 정도이면 충분하다.
또한 제1부재(300)의 원통형 벽체(304)에 제2부재(400)의 관통구멍(402)이 끼움 결합된 다음 제2부재(400)가 원통형 벽체(304)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회전되게 회전부(306)에 고정된 상태일 때 제1부재(300)의 원통형 벽체(304) 외주면과 제2부재(400)의 관통구멍(402) 내주면은 면접촉된다.
또한 제1부재(300)는 등기구 본체(100)에 고정되도록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간격지게 형성되는데 이 장공(312)의 간격은 등기구 본체(100)의 배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보스(110)의 간격에 대응된다.
제1부재(300)의 장공(312)은 제1부재(300)가 등기구 본체(100)에 고정됐을 때 제2부재(40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목부(330)에 형성된다.
등기구 본체(100)의 보스(110)는 소정 범위 내에 폭 방향의 관통 장공(112)을 갖고, 이 관통 장공(112)을 통해서 그리고 제1부재(300)의 장공(312)을 통해서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등기구 설치용 부착판(200)이 등기구 본체(100)에 고정된다.
등기구 본체(100)에 형성된 보스(110)의 장공(112)은 등기구 본체(10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부재(300)의 장공(312)은 제1부재(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부의 제2부재(400)와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오목부(330)에 형성된다.
예컨대 제1부재(300)의 오목부(330)는 제1부재(300)의 상면과 제2부재(400)의 하면이 접촉되는 평면보다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볼트(B) 머리(head)나 너트(N)가 오목부(330) 상방에 위치되는 제2부재(400)의 하면과 접촉이 방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등기구 본체(100)에 고정되는 부착판(300)은 제2부재(400)와 겹쳐지게(또는 포개지게) 결합된 상태에서 부주의하게 회전되어 제2부재(4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멈춤부재가 형성된다.
멈춤부재는 천장에 고정되는 제2부재(400)의 양측에 그리고 제2부재(400)에 대응하여 제1부재(3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제1부재(300)가 계속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 방지턱(410)이 제2부재(40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이 제2부재(400)의 회전 방지턱(410)에 대응하여 제1부재(300)로부터 상방으로 회전 방지턱(310)이 돌출형성된다.
이들 제2부재(400)의 회전 방지턱(410)과 제1부재(300)의 회전 방지턱(410)은 상호 회전시에 걸림고정될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이들 부재의 회전 방지턱(310, 410)은 부재의 폭 방향이 아니라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부재(300)와 제2부재(400)에 형성된 회전 방지턱(310, 410)은 회전 중심부에 대해 점대칭으로 각각 형성된다. 즉, 제1부재(300)의 관통구멍(304)을 중심으로 그리고 제2부재(400)의 관통구멍(402)을 중심으로 점대칭이 되게 형성된다.
이들 부재의 회전 방지턱(310, 410)은 부재의 폭 방향이 아니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1부재(300) 및 제2부재(4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회전 방지턱(310, 410)은 각 부재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 형태의 회전 방지턱으로 구성된다. 즉 왼쪽은 높고 오른쪽은 낮게 구성되는 데, 제2부재(400)는 천장에 고정되므로 회전 방지턱(410)이 하향 우측으로 경사지고, 이에 따라서 하부 마찰 접촉부(420)가 우측에 낮게 (여기에서 '낮게'라는 용어는 제2부재평면 보다 낮게라는 의미이다) 돌출 형성된다.
이와 달리 등기구용 본체(100)에 고정된 제1부재(30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향 좌측으로 경사지고, 이에 따라서 상부 마찰 접촉부(320)가 왼쪽에 높게(여기에서 '높게'라는 용어는 제1부재평면 보다 높게라는 의미이다) 돌출 형성된다.
즉 천장에 고정되는 제2부재(400)는 하부 마찰 접촉부(420)가 낮게 돌출 형성되고 등기구용 본체(100)에 고정된 제1부재(300)는 상부 마찰 접촉부(320)가 높게 돌출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S는 제1부재(300)와 제2부재(400)의 상부 마찰 접촉부(320) 및 하부 마찰 접촉부(420)에 회전 방지턱(310, 410)을 형성하기 위해 제1부재(300)와 제2부재(400)에서 삼각형태 또는 사각형태로 잘라낸 공간부이다. 이공간부(S)는 삼각형태 또는 사각형태로 예시되었으나 기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공간부(S)가 없으면 상부 마찰 접촉부(320) 및 하부 마찰 접촉부(420), 그리고 회전 방지턱(310, 320)이 제1부재(300) 및 제2부재(400)에 형성될 수 없다.
그리고 각 부재의 하방으로 또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형성된 회전 방지턱(310, 410)은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상부 마찰 접촉부(320)와 하부 마찰 접촉부(420)가 각각 형성된다. 즉 제2부재(400)의 하방으로 형성된 회전 방지턱(410)의 하단부 끝부분으로부터 수평으로 하부 마찰 접촉부(420)가 형성되고, 제1부재(300)의 상방으로 형성된 회전 방지턱(310)이 회전 방지턱(310)의 상부 끝부분으로부터 수평으로 상부 마찰 접촉부(320)가 형성된다.
제1부재(300)와 제2부재(400)가 상호 회전될 때 제2부재(400)의 하부 슬라이드 접촉부(420)는 제1부재의 상면과 마찰접촉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고, 제1부재(300)의 상부 마찰 접촉부(320)는 제2부재(400)의 하면과 마찰접촉이 탄력적으로이루어진다.
예컨대 제1부재(300)와 제2부재(400)가 금속판으로 구성된 경우 이들 회전 방지턱(310, 320)이 소정 높이를 갖게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고, 절곡된 나머지 부분은 수평면을 이루게 함으로써 제2부재(400)의 하부 마찰 접촉부(420)와 제1부재(300)의 상부 마찰 접촉부(320)가 상호 마찰 접촉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등기구용 부착판(200)은 제1부재(300)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에 형성된 원통형 벽체(302) 외주연에 제2부재(400)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구멍(402)을 끼움 결합한다.
이 후 제2부재(400)의 관통구멍(402) 위로 돌출된 원통형 벽체(302)의 끝부분을 외측으로 확개하면서 제2부재(400)측으로 압착 고정하여 제2부재(400)와 제1부재(300)가 상호 회전이 이루어지게 결합 된다(도 2의 부분 확대 단면도 참조).
이와 같이 회전되게 결합된 등기구용 부착판(200)은 먼저 제1부재(300)와 제2부재(400)를 상호 회전시켜 겹쳐지지 않게 하고, 제1부재(300)의 장공(330)을 등기구 본체(100)의 보스(110)에 형성된 장공(112)에 정렬한 상태에서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볼트(B)는 오목부(330)에 위치되어 있고 제1부재(300)의 본체 평면 위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제1부재(300)와 제2부재(400)가 겹쳐진 상태(또는 포개진 상태)에서 제2부재(400)와 접촉되지 않는다.
등기구용 부착판(200)을 등기구 본체(100)에 고정한 다음 등기구 본체(100)를 잡은 상태에서 제2부재(400)를 시계 방향으로(제2부재 상방에서 보았을 때) 회전시켜 제2부재(400)가 제1부재(300)에 포개지게 한다.
제2부재(400)와 제1부재(300)가 포개진 상태일 때 제2부재(400)의 저면은 제1부재(300)의 상부 마찰 접촉부(320)와 탄력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제2부재(400)의 하부 마찰 접촉부(420)는 제1부재(300)의 상면과 접촉이 이루어진다.
최종적으로 제1부재(300)의 회전 방지턱(310)과 제2부재(400)의 회전 방지턱(410)이 상호 접촉되어 더 이상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2부재(400)가 제1부재(300)에 포개진 상태(도 2 참조)로 등기구 본체(100)는 포장 및 운반된다.
이 후 등기구용 부착판(200)이 구비된 등기구 본체(100)를 설치장소에 설치할 때 같이 설치시에는 도 3과 같이 제2부재(400)를 등기구 본체(100)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등기구 본체(100)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이때 제2부재(400)는 회전부(306)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2부재(400)가 등기구 본체(100) 상방에 위치되게 등기구 본체(100)를 잡은 다음 제2부재(400)의 상면을 천장의 설치장소에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제2부재(400)의 장공(404)을 통해 나사(S)를 체결함으로써 등기구 본체(100)를 천장에 간단히 고정한다.
제2부재(400)는 양측의 회전 방지턱(410)이 하방으로 돌출되고, 양단부에 위치한 하부 마찰 접촉부(420)가 천장 하부로 돌출된 상태이다.
이 후 천장에 고정된 제2부재(400) 하부에 위치한 등기구 본체(100)를 잡아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등기구 본체(100)의 배면에 고정된 제1부재(300)의 양측 단부는 제2부재(400) 하부로 진행되고 제2부재(400)의 하부 마찰 접촉부(410)와 접촉되기 시작함과 동시에 제1부재(300)의 상부 마찰 접촉부(310)가 제2부재(400)의 저면과 접촉되기 시작한다. 물론 이와 같은 접촉은 제2부재(400)의 하부 마찰 접촉부(410)와 제2부재(400)의 상부 마찰 접촉부(310)가 양측에 각기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측에서 동시에 접촉이 이루어진다.
등기구 본체(100)의 시계방향 회전이 더욱 이루어져서 제2부재(400)의 하부로 돌출된 회전 방지턱(410)에 제1부재(300)의 회전 방지턱(310)이 접촉되면 등기구 본체(100)는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회전 방지턱(310, 410)에 의해 멈추어지고, 제2부재(400)의 하부로 돌출형성된 하부 마찰 접촉부(420)와 제1부재(300)의 본체 상면이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동시에 제1부재(300)의 상부로 돌출형성된 상부 마찰 접촉부(320)와 제2부재(400)의 본체 저면이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어서 등기구 본체(100)는 부주의한 외력에 의해 제2부재(400)와의 겹침 결합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등기구 본체(100)를 회전시켜 제2부재(400)를 등기구 본체(100)로 가려지게 한 상태에서 소켓(114)에 PL 램프(도시되지 않음)를 끼우면 천장에 등기구의 설치가 완료된다.
등기구 본체(100)를 천장에서 떼어내기 위해서는 상기와 반대로 PL 램프를 제거하고, 등기구 본체(1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천장에 고정된 제2부재(400)를 외부로 노출시킨 다음 등기구 본체(100)를 잡은 상태에서 고정나사를 풀어푼다.
한편 본 발명은 하부 마찰 접촉부(420)와 상부 마찰 접촉부(410) 대신에 제2부재(400)에 클립(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부재(300)에 상기 클립에 끼움결합되도록 끼움판(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엘 램프(PL LAMP)와 같은 등기구나 기타 등기구에 구비하여 등기구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100: 등기구 본체
110: 보스
114: 소켓
116: 탄성 클램프
200: 부착판
300: (등기구용 본체에 고정되는)제1부재
302: 관통 구멍
304: 원통형 벽체
306: 회전부
310: 회전 방지턱
312: 장공
320: 상부 마찰 접촉부
330: 오목부
400: (천장에 고정되는)제2부재
402: 관통구멍
404: (천장고정용)장공
410: 회전 방지턱
420: 하부 마찰 접촉부
B: 볼트
N: 너트
S: 공간부

Claims (5)

  1. 등기구 본체에 구비되어 천장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등기구용 부착판에 있어서,
    등기구 본체(100)의 배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제1부재(300)와,
    등기구 본체(100)의 제1부재(300)에 회전되게 미리 결합되고, 천장에 고정되는 제2부재(400)로 구성되되,
    제1부재(300)는 중앙부분에 관통구멍(304)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304) 둘레에 제2부재(400)와 회전되게 결합되고 고정하도록 원통형 벽체(302)가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제1부재(300)의 회전시 부주의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회전 방지턱(310)이 양측에 형성되고,
    제1부재(300)의 원통형 벽체(302)와 양측의 회전 방지턱(310) 사이에 오목부(330)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330)에 제1부재(300)를 등기구 본체(100)에 고정하기 위한 장공(312)이 형성되며,
    제2부재(400)는 제1부재(300)의 원통형 벽체(302)에 끼움결합되도록 중앙부분에 관통구멍(402)이 형성되고,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천장고정용 장공(404)이 양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회전 방지턱(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부재(400)의 회전 방지턱(410)은 공간부(S)에 의해 천장 아래로 돌출되도록 제2부재 상면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1부재(300)의 회전 방지턱(310)은 공간부(S)에 의해 제1부재 상면의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부재(300)의 회전 방지턱(410)은 상부로 돌출된 끝부분에서 수평으로 상부 마찰 접촉부(320)가 형성되고,
    제2부재(400)의 회전 방지턱(410)은 아래로 돌출된 끝부분에서 수평으로 하부 마찰 접촉부(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부재(300)의 상부 마찰 접촉부(320)는 제2부재(400)의 저면과 마찰결합되고,
    제2부재(400)의 하부 마찰 접촉부(420)는 제1부재(300)의 상면과 마찰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
KR1020130103372A 2013-08-29 2013-08-29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 KR101458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72A KR101458716B1 (ko) 2013-08-29 2013-08-29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72A KR101458716B1 (ko) 2013-08-29 2013-08-29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716B1 true KR101458716B1 (ko) 2014-11-05

Family

ID=5228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372A KR101458716B1 (ko) 2013-08-29 2013-08-29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7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12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동우전자 엘이디 평판등 브라켓
KR102313904B1 (ko) * 2020-10-06 2021-10-18 이용권 천정 인테리어용 라인조명 유니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515U (ko) * 1986-07-02 1988-01-20
KR20080006572U (ko) * 2007-06-22 2008-12-26 신영 방향전환이 가능한 조명기구
KR20110009503U (ko) * 2010-03-31 2011-10-06 제이피라이팅 주식회사 조명등용 고정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515U (ko) * 1986-07-02 1988-01-20
KR20080006572U (ko) * 2007-06-22 2008-12-26 신영 방향전환이 가능한 조명기구
KR20110009503U (ko) * 2010-03-31 2011-10-06 제이피라이팅 주식회사 조명등용 고정클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12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동우전자 엘이디 평판등 브라켓
KR101884466B1 (ko) * 2016-12-12 2018-08-01 주식회사 동우전자 엘이디 평판등 브라켓
KR102313904B1 (ko) * 2020-10-06 2021-10-18 이용권 천정 인테리어용 라인조명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1522B2 (en) Electrical box bar hanger
KR101458716B1 (ko) 램프 등기구용 부착판
KR200482259Y1 (ko) 기구물 취부장치
RU2013149487A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стройств с рабочим веществом под давлением
RU2010126584A (ru) Держатель стойки
KR101163965B1 (ko) 조명등 본체에 결합되는 확산판 프레임을 원하는 위치에서 조명등 본체에 바로 탈부착할 수 있는 고정장치
RU2014153078A (ru) Узел зажима инструмента для разломки
RU2017144588A (ru) Светодиодная лампа в сборе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0462788Y1 (ko) 반사부재의 결합이 용이한 조명
RU2016141583A (ru) Потолочная подвесная система
CN104349562A (zh) 灯具的镇流器箱体结构
KR101719055B1 (ko) 천정등 커버 탈착장치
JP2012123981A (ja) 照明器具
JP2005141938A (ja) 街路灯用グローブ及び該街路灯用グローブの製造方法
KR20160006964A (ko) 안전 홀더를 갖는 매립형 등기구
KR200484030Y1 (ko) 조명등 프레임의 확산판 고정장치
KR101545689B1 (ko) Led 조명장치
CN218348474U (zh) 灯罩、灯壳、筒灯外壳组件和灯具
CN211011028U (zh) 一种灯具底盘
KR200462071Y1 (ko) 천정 매입형 조명기구의 행거 구조물
KR20190026547A (ko) 스프링 볼트
US2737635A (en) Fluorescent lamp socket mounting
TWM513964U (zh) 一種便於簡易安裝之燈具
JPH0631007U (ja) 埋込形照明器具
KR20160131757A (ko) 등기구용 표면 부착형 자석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