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615B1 -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615B1
KR101458615B1 KR1020120054712A KR20120054712A KR101458615B1 KR 101458615 B1 KR101458615 B1 KR 101458615B1 KR 1020120054712 A KR1020120054712 A KR 1020120054712A KR 20120054712 A KR20120054712 A KR 20120054712A KR 101458615 B1 KR101458615 B1 KR 101458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flame retardant
sheath
core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002A (ko
Inventor
최미남
마진숙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61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코어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에 있어서, 시스부는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60~80몰%, 이소프탈산 20~40몰%가 혼합되고, 디올성분으로 디에틸글리콜 0~4몰%, 에틸렌글리콜 95~100몰%, 폴리에틸렌글리콜 0~1몰%가 혼합되고,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의 혼합비율은 1:1~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 반응시킨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코어부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중합 반응하는 데, 상기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1:1~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 반응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한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FLAME-RETARDANT LOW MELTING POLYESTER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합 방사 섬유 제조시 중합 공정에서 인계 난연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난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섬유의 시스부에 사용하고, 중합 공정에서 인계 난연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섬유의 코어부에 사용하여,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라 함은, 분자 내에 에스테르 결합(-COO)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총칭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알키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대표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강도가 높고, 내약품성, 250 내지 255 ℃ 범위의 융점을 지녀 내열성이 우수하며, 신장 굴곡에 대하여는 탄성을 지니는 장점이 있어서 신사복지, 셔츠 등의 의류뿐만 아니라 산업용 재료로 용도가 다양하다.
그러나, 상기의 폴리에스테르는 비교적 융점이 높아 일반적으로 섬유 구조체를 경화시킬 때는 포르말린(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이라든가 유기용제를 함유한 접착제, 경질 수지(페놀 수지, 멜라닌 수지, 우레아 수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유기 용제를 함유한 접착제는 원단의 내부까지 침투하지 않아 접착성도 낮고 완성되었을 때의 촉감이 거칠다. 또한, 휘발성이 강하고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대부분이며, 유독 가스 배출 등의 환경적으로 문제가 되어 왔다.
한편, 난연성의 부여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후가공을 통해 이루어지나, 이는 공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어, 난연성이 포함된 원료 자체는 공정의 단축 및 효과의 발현 및 내구성면에 있어서 후가공 시 보다 훨씬 탁월하다.
이에 미국 특허발명 제5990213호에서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브롬계 난연 성분으로 구성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저융점 점도, 높은 흐름성, 향상된 강도 및 열적 성질을 나타냄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브롬계 난연 성분은 소각 시 다이옥신 등의 발암물질의 발생으로 환경 문제를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할로겐 계열의 난연 물질은 줄여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 밖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190161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 난연성 적층 부직포 및 그것을 이용한 필터에 관한 것으로, 한쪽 표면이 난연성 폴리에스터계 부직포이고, 다른 층은 시스부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이고, 코어부가 일반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시스-코어형 복합 섬유로 된 적층 부직포가 제안 되었으나, 상기의 난연 성분의 발현 효과가 한쪽 면에만 국한되어 난연 효과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233358호에서는 에어필터용 보강재로서 시스부에 저융점 중합체이고, 코어부가 고융점 중합체로 형성되고, 시스-코어형 복합 단섬유 상호간에 엉킴이 되어 저융점 중합체의 융착에 따라 결합되는 특징을 지니는 에어 필터 재목용 보강재로서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단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화염이 다가오면 섬유의 축 방향으로 전해져 연소하기 어려워지며, 저융점 중합체가 용융 또는 연화하게 되어 연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준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은 단섬유로 이루어진 에어필터용 부직포에만 적용되는 원료로서 난연성이 에어필터용 보강재에 만족한 난연성이 부여될 뿐, 그 밖의 다양한 상용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의 예 이외에도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107860호에서는 유리전이점 25 내지 70 ℃, 결정 개시 온도 80내지 120 ℃, 융점 140 내지 190 ℃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시스부에, 주된 반복 단위가 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인 폴리에스테르를 코어부에 배치한 시스-코어형 복합 섬유로, 난연성, 열접착성, 내열성 및 부드러운 촉감이 우수한 부직포를 얻을 수 있는 열접착성 심초형 복합 단섬유 및 이와 같은 성질을 지닌 단섬유 부직포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은 단섬유 부직포에만 한정되어 장섬유에서 발휘될 수 있는 촉감이 발현되기 어렵다.
또한 국내 특허 제 10-0915458 에서는 시스부에 레귤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고, 코어부에 난연 폴리머를 사용하여 시스/코어 단면으로 복합 방사 하여 난연 성능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는 코어부에만 난연제가 함유한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최종 제품의 연소 시에 시스부에 난연 성능이 없으므로 인하여 목표로 하는 우수한 난연 성능을 발현하기 어렵다.
특히 최근 건축자재 및 인테리어 소재들은 내구성과 작업의 용이성, 시각적 효과, 단열 및 방음 등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화학물질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바닥재로 사용되는 PVC 바닥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가소제로서 Phthalate계를 주로 사용하고 있고, 각종 접착제, 잉크, 가공 첨가제 등 유해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PVC 바닥재 제품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가소제의 이행 등의 문제로 환경규제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어 이를 대체 가능한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소재들은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유기화학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을 함유하며, 빌딩 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 등을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환경 규제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는 Phthalate계 가소제를 사용한 PVC 코팅 제품을 대체 할 수 있는 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 방사 기술에 의하여 시스-코어 구조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개발하고자 하며, 시스부에 중합 공정에서 인계 난연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난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용하고, 코어부에 중합 공정에서 인계 난연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용하여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 규제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는 Phthalate계 가소제를 사용한 PVC 코팅 제품을 대체 할 수 있는 섬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 방사 기술에 의하여 시스-코어 구조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개발하였으며, 시스부에 중합 공정에서 인계 난연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난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용하고, 코어부에 중합 공정에서 인계 난연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용하여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스코어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에 있어서, 시스부는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60~80몰%, 이소프탈산 20~40몰%가 혼합되고, 디올성분으로 디에틸글리콜 0~4몰%, 에틸렌글리콜 95~100몰%, 폴리에틸렌글리콜 0~1몰%가 혼합되고,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의 혼합비율은 1:1~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 반응시킨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코어부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중합 반응하는 데, 상기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1:1~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 반응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한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연제가 인계 난연제로서 하기의 [화학식 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1243214-pat00001
단, R1, R2는 메틸, 페닐, 할로페닐, 알킬, 할로알킬, 또는 할로아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계 난연제가 시스부와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내에 3,000 ppm 내지 10,000 ppm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부와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내에 공중합 성분, 소광제, 착색제 또는 활제 등이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광제가 이산화티타늄(TiO2)이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00을 기준으로 0.01 내지 2.5 중량부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부 대 코어부의 비가 10:90 내지 50:5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부 및 코어부를 용융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하는 데 있어서, 상기 시스부는 200 내지 280℃의 온도로 용융하며, 상기 코어부는 240 내지 320℃의 온도로 용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코어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스부와 코어부가 각각 용융되는 용융단계; 용융된 수지가 방사되는 복합방사단계; 방사된 섬유가 냉각 및 고화되는 냉각 및 고화단계; 및 방사된 섬유에 열공정 후에 연신이 이루어지는 열공정 및 연신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스부는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60~80몰%, 이소프탈산 20~40몰%가 혼합되고, 디올성분으로 디에틸글리콜 0~4몰%, 에틸렌글리콜 95~100몰%, 폴리에틸렌글리콜 0~1몰%가 혼합되고,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의 혼합비율은 1:1~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하는 중합공정 및 건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상기 코어부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중합 반응하는 데, 상기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1:1~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하는 중합공정 및 건조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융단계에서 용융 압출기에 투입하여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성분(A 성분, 시스부) 경우 온도 200 내지 280℃ 용융하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성분(B 성분, 코어부) 경우 240 내지 320℃에서 용융하며, 상기 방사단계에서 용융물을 방사 팩을 거쳐 240 내지 300℃ 온도에서 방사하며, 상기 연신단계에서 400 내지 1,500mpm의 1차 고뎃롤러 속도 와 2,500 내지 4,000mpm의 2차 고뎃롤러 속도을 이용한 연신비 2.5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계 난연제가 시스부와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내에 3,000 ppm 내지 10,000 ppm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환경 규제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는 Phthalate계 가소제를 사용한 PVC 코팅 제품을 대체 할 수 있는 섬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합 방사 기술에 의하여 시스-코어 구조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개발하였으며, 시스부에 중합 공정에서 인계 난연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난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용하고, 코어부에 중합 공정에서 인계 난연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사용하여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조하는 복합방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단면도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시스코어형의 복합섬유에 관한 것으로, 시스부는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60~80몰%, 이소프탈산 20~40몰%가 혼합되고, 디올성분으로 디에틸글리콜 0~4몰%, 에틸렌글리콜 95~100몰%, 폴리에틸렌글리콜 0~1몰%가 혼합되고,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의 혼합비율은 1:1.0~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 반응시킨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코어부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중합 반응하는 데, 상기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1:1.0~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 반응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부와 코어부가 각각 용융되는 용융단계; 용융된 수지가 방사되는 복합방사단계; 방사된 섬유가 냉각 및 고화되는 냉각 및 고화단계; 방사된 섬유에 유제가 공급되는 유제공급단계; 및 섬유에 열공정 후에 연신이 이루어지는 열공정 및 연신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스부는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60~80몰%, 이소프탈산 20~40몰%가 혼합되고, 디올성분으로 디에틸글리콜 0~4몰%, 에틸렌글리콜 95~100몰%, 폴리에틸렌글리콜 0~1몰%가 혼합되고,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의 혼합비율은 1:1~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하는 중합공정 및 건조공정으로 제조된다.
먼저, 시스부에 있어서,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을 중합하는데, 산성분 대비 에틸렌글리콜의 중합비율은 1.0 : 1.0 ~ 1.2 중량비로 중합할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산의 사용시 디올성분의 사용량이 적은 경우, 수득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 반응성이 부족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형성이 안되거나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치수 안정성 및 성형 가공성 등의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최종 섬유로 적용시 제품 성능 발현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반대로 디올성분의 사용량이 많은 경우, 수득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부반응물인 디에틸렌글리콜을 다량 형성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물성 저하를 초래할 뿐 아니라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코어부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중합 반응하는 데, 상기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1:1~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 반응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시스부 및 코어부에 인계 난연제가 투입될 수 있는 데, 상기 인계 난연제로는 하기의 [화학식 1]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1243214-pat00002
(단, R1, R2는 메틸, 페닐, 할로페닐, 알킬, 할로알킬, 또는 할로아릴이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시스부와 코어부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내에 3,000 ppm 내지 10,000 ppm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중합반응으로 제조하는 것으로 진공상태에서 240~290℃로 30~90rpm으로 교반하면서 60~300분간 중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수지를 복합섬유 제조전에 건조공정을 거쳐 사용될 수 있다. 건조시켜 수분율을 낮게 한 뒤에 사용한다. 수분율이 높으면 방사성이 떨어지고 사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건조공정을 통해 수분율을 100ppm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공정은 시스부와 코어부를 달리하는 데, 상기 시스부는 50~60℃ 48~72시간 건조하고, 상기 코어부는 20~160℃로 6~12시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사용상 편의를 위해 시스부 및 코어부 모두 칩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시스부 및 코어부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내에 공중합 성분, 소광제, 착색제 또는 활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로는 이산화티타늄(TiO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00을 기준으로 0.01 내지 2.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방사 장치의 개념도로서, 각각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및 난연성 폴리에스테프계 원료는 용융부(10, 20)을 통하여 각각 용융될 수 있다. 상기 용융된 폴리머는 각각으로 분배가 되며, 그 아래의 구금 토출공을 통해 방사된 개개의 섬유상 중합체를 방사팩(30)을 통과하는 방사단계를 거쳐 냉각 및 고화부(40)에서 고화 공정 중 유제 공급부(50)에서 유제가 공급되며 냉각 및 고화단계가 진행된 후 1차고뎃롤러(60)와 2차고뎃롤러(70)를 통해 연신단계를 거쳐 권취부(80)에서 권취하여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성분(A 성분, 시스부)과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성분(B 성분, 코어부)의 두 가지 폴리머를 각각 용융하여 각각의 용융물을 형성하는 용융단계를 진행하되, 시스부의 함량은 1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최종 섬유 제조 후 열 융착 공정에서 원활한 융착이 되기 좋다. 건조 이후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성분(A 성분, 시스부) 및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성분(B 성분, 코어부) 각각을 별도의 용융 압출기에 투입하여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성분(A 성분, 시스부) 경우 온도 200 내지 280℃,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260℃에서 용융하는 것이 좋고,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성분(B 성분, 코어부) 경우 240 내지 320℃,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300℃에서 용융하여 용융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각 성분이 원활하게 용융이 되어 방사성을 높이는데 좋다. 상기 용융단계를 거친 각각의 용융물을 방사팩을 거쳐 24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280℃ 온도에서 방사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복합방사 단계 이후, 냉각 및 고화(Quenching)단계가 진행될 수 있는데, 단면의 형태를 제어하고 섬유의 균제도 향상을 위해 냉각풍의 속도는 15 내지 40 mpm (meter per minute ; m/min)의 속도로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 및 고화 공정 이후 원활한 방사 및 권취를 위하여 유제가 공급될 수 있는데, 유제공급은 고화 영역에 가이드를 설치한 가이드에서 유제 분사 방식이나 오일 롤러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두 방식 중 어떤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무관하다.
상기 냉각 및 고화, 유제 공급 공정 이후 400 내지 1,500mpm의 1차 고뎃롤러 속도 와 2,500 내지 4,000mpm의 2차 고뎃롤러 속도의 연신단계가 진행 될 수 있다.
상기 1차 고뎃 롤러(Godet Roller) 속도는 400 내지 1,500,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000mpm, 온도는 6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고뎃 롤러의 연신속도가 400mpm 미만인 경우, 원사의 경시별 물성 변화가 생길 우려가 있으며, 낮은 1차 고뎃 롤러 속도로 인하여 방사 장력이 낮으며 그로 인하여 사절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1,500mpm을 초과하면 사 터짐으로 인한 원사 결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2차 고뎃 롤러 속도는 2,500 내지 4,000mpm,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3,500mpm이 방사 조업성을 고려하면 안정적이며, 열고정 온도는 10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40℃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고뎃 롤러 속도가 2,500mpm 미만인 경우, 방사된 원사의 물성, 특히 강신도가 낮아지고 생산성이 저하되게 되며, 4,000mpm을 초과하면 2차 고뎃 롤러에서 원사 떨림이 발생하여 사절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상기 연신시 2차 고뎃 롤러의 열고정 온도가 100℃미만인 경우, 경시에 따른 강신도 등의 물성 변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160℃를 초과하면 2차 고뎃 롤러에서 사 떨림이 커져 안정한 조업이 곤란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연신단계가 진행됨에 있어서, 연신비는 2.5 내지 6.0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신비가 2.5 미만인 경우, 섬유의 강신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6.0을 초과하면 방사 사절이 발생하거나 최종 원사에 있어서 사 터짐으로 인한 결점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단면도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는 방사단면에 따라 섬유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는 데, 예를 들면, 원형, 사각형, 삼각형, Y 자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는 저융점임과 동시에 난연성능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시스부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복합섬유 제조
시스부 수지;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60~80몰%, 이소프탈산 20~40몰%가 혼합되고, 디올성분으로 디에틸글리콜 0~4몰%, 에틸렌글리콜 95~100몰%, 폴리에틸렌글리콜 0~1몰%가 혼합되고,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의 혼합비율은 1:1~1.2 중량비로 혼합하였으며, 인계 난연제 6,000ppm를 투입하여 중합 반응시켜 공중합된 융점 180℃의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코어부 수지;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중합 반응하는 데, 상기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1:1~1.2 중량비로 혼합하였으며, 인계 난연제 6,000ppm를 투입하여 중합 반응시켜 공중합된 융점 245℃의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였다.
시스부(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함량을 30%, 코어부(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함량을 70%로 하였으며, 시스부의 용융 온도를 240℃, 코어부의 용융 온도를 280℃, 방사 팩의 온도는 270℃ 로 하였다.
1차 고뎃 롤러의 속도는 600mpm 에 온도는 90℃, 2차 고뎃 롤러의 속도는 3,300mpm 에 온도는 140℃ 권취 속도는 3200mpm 으로 하여 260데니어/48필라멘트의 섬유를 제조하였으며, 보다 상세한 조건은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시스부 및 코어부의 난연제 투입량이 각각 4,000ppm 이다. 보다 상세한 조건은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방사 팩 온도가 280℃ 이다. 보다 상세한 조건은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시스부 및 코어부의 폴리머 중합시 각각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보다 상세한 조건은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코어부의 폴리머 중합 시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보다 상세한 조건은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시스부의 폴리머 중합 시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보다 상세한 조건은 표 1에 기재하였다.
시험방법
1. 강도와 신도
섬유의 강도와 신도의 측정은 자동 인장 시험기(Textechno 사)를 사용하여 50 cm/min의 속도, 50 cm의 파지 거리를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강도와 신도는 섬유에 일정한 힘을 주어 절단될 때까지 연신시켰을 때 걸린 하중을 데니어(Denier;de)로 나눈값(g/de)을 강도, 늘어난 길이에 대한 처음 길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신도로 정의하였다.
2. 방사 작업성(방사 조업성)(%) : 원사 100 개 생산 기준
(총생산된 원사개수 - 사절된 원사개수) / 총생산된 원사 개수× 100
방사 조업성 90% 이상은 양호, 80 이상이며 90% 미만은 보통, 80 % 이하는 불량으로 판정함
3. 원사 결점 발생율(%)
100개 측정 기준으로, 4 Kg 권취량 기준에서의 원사 결점(원사 표면 모우, 루프) 1개 이상이 발생한 시료의 발생율 2% 미만은 양호, 2% 이상 5% 미만은 보통, 5% 이상은 불량으로 판정함
4. 난연성 평가(LOI : Limiting Oxygen Index)
난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KS-M ISO 4589-1~3 또는 JIS K7201 A-1호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LOI 지수 27 이상은 난연성 양호, 24이상 27미만은 보통, 23 미만은 불량으로 판정함
구분 단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시스부
난연제 함량
ppm 6000 4000 6000 0 6000 0
코어부
난연제 함량
ppm 6000 4000 6000 0 0 6000
시스부 용융온도 240 240 240 240 240 240
코어부 용융온도 280 280 280 280 280 280
방사팩 온도 270 270 280 270 270 270
1차고뎃롤러속도 mpm 600 600 600 600 600 600
2차고뎃롤러속도 mpm 3300 3300 3300 3300 3300 3300
강도 g/de' 4.00 4.20 4.15 4.50 3.80 4.20
신도 % 24.0 26.0 28.0 27.0 26.5 25.3
방사 작업성 % 94.0 95.0 91.0 95.0 85.0 94.0
평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보통 양호
원사 결점 발생율 % 1.0 0.8 1.8 0.8 3.0 2.0
평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보통 보통
LOI 지수 지수 30 27 29 21 25 23
평가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보통 불량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

  1. 시스코어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에 있어서,
    시스부는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60~80몰%, 이소프탈산 20~40몰%가 혼합되고, 디올성분으로 디에틸글리콜 0~4몰%, 에틸렌글리콜 95~100몰%, 폴리에틸렌글리콜 0~1몰%가 혼합되고,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의 혼합비율은 1:1~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 반응시킨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코어부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중합 반응하는 데, 상기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1:1~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 반응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상기 난연제가 인계 난연제로서 하기의 [화학식 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화학식 1]
    Figure 112014041627706-pat00009

    단, R1, R2는 페닐, 할로페닐, 할로알킬, 또는 할로아릴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시스부와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내에 3,000 ppm 내지 10,000 ppm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부와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내에 소광제, 착색제 및 활제 중 1이상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는 이산화티타늄(TiO2)이며,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00을 기준으로 0.01 내지 2.5 중량부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부 대 코어부의 비가 10:90 내지 50:5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부 및 코어부를 용융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하는 데 있어서, 상기 시스부는 200 내지 280℃의 온도로 용융하며, 상기 코어부는 240 내지 320℃의 온도로 용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8. 시스코어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스부와 코어부가 각각 용융되는 용융단계; 용융된 수지가 방사되는 복합방사단계; 방사된 섬유가 냉각 및 고화되는 단계; 및 방사된 섬유에 열 공정 후에 연신이 이루어지는 열공정 및 연신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스부는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60~80몰%, 이소프탈산 20~40몰%가 혼합되고, 디올성분으로 디에틸글리콜 0~4몰%, 에틸렌글리콜 95~100몰%, 폴리에틸렌글리콜 0~1몰%가 혼합되고,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의 혼합비율은 1:1~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하는 중합공정 및 건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상기 코어부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중합 반응하는 데, 상기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1:1~1.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여 중합하는 중합공정 및 건조공정으로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상기 난연제가 인계 난연제로서 하기의 [화학식 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4041627706-pat00010

    단, R1, R2는 페닐, 할로페닐, 할로알킬, 또는 할로아릴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단계에서 용융 압출기에 투입하여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성분(A 성분, 시스부) 경우 온도 200 내지 280℃ 용융하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성분(B 성분, 코어부) 경우 240 내지 320℃에서 용융하며, 상기 방사단계에서 용융물을 방사 팩을 거쳐 240 내지 300℃ 온도에서 방사하며, 상기 연신단계에서 400 내지 1,500mpm의 1차 고뎃롤러 속도 와 2,500 내지 4,000mpm의 2차 고뎃롤러 속도을 이용한 연신비 2.5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시스부와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내에 3,000 ppm 내지 10,000 ppm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제조방법.
KR1020120054712A 2012-05-23 2012-05-23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712A KR101458615B1 (ko) 2012-05-23 2012-05-23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712A KR101458615B1 (ko) 2012-05-23 2012-05-23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002A KR20130131002A (ko) 2013-12-03
KR101458615B1 true KR101458615B1 (ko) 2014-11-11

Family

ID=4998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712A KR101458615B1 (ko) 2012-05-23 2012-05-23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97A (ko) 2021-06-30 2023-01-06 이정수 난연성이 우수한 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난연성이 우수한 섬유 원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120B1 (ko) * 2016-03-31 2023-03-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난연성이 개선된 시스-코어형 차량 내장재용 복합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내장재
KR102470107B1 (ko) * 2016-03-31 2022-11-2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염색성이 우수한 저융점 난연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섬유, 이를 포함하는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0909B1 (ko) * 2016-10-28 2018-06-26 주식회사 휴비스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200486050Y1 (ko) * 2017-08-31 2018-03-27 김명화 침구류 커버용 난연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난연성 침구류
CN108441985A (zh) * 2018-03-29 2018-08-24 南通新帝克单丝科技股份有限公司 大直径l-pet单丝及其制备方法
WO2020246719A1 (ko) * 2019-06-04 2020-12-1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2763B1 (ko) * 2020-03-10 2020-12-21 성림첨단산업(주) 적층분할형 영구자석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영구자석
CN113604903B (zh) * 2021-08-06 2022-09-06 联润翔(青岛)纺织科技有限公司 相变调温纤维及其制备方法、制备设备
KR102642537B1 (ko) * 2021-08-17 2024-02-2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중금속 비용출 트리코트 여과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8803B1 (ko) * 2021-12-16 2024-03-1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수처리 분리막의 지지체용 심초형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분리막용 지지체,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모듈
CN114574995B (zh) * 2022-03-11 2024-03-22 宁波华星科技有限公司 阻燃低熔点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
KR102665953B1 (ko) * 2024-03-06 2024-05-14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현수막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225A (ja) 1998-06-16 2000-01-11 Toyobo Co Ltd 難燃性に優れた弾性複合フィラメント
KR100701622B1 (ko) 2005-02-24 2007-03-30 이규득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15458B1 (ko) 2007-06-15 2009-09-0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34165A (ko) * 2010-06-08 2011-12-1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225A (ja) 1998-06-16 2000-01-11 Toyobo Co Ltd 難燃性に優れた弾性複合フィラメント
KR100701622B1 (ko) 2005-02-24 2007-03-30 이규득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15458B1 (ko) 2007-06-15 2009-09-0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34165A (ko) * 2010-06-08 2011-12-1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97A (ko) 2021-06-30 2023-01-06 이정수 난연성이 우수한 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난연성이 우수한 섬유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002A (ko)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615B1 (ko) 난연 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5996B1 (ko) 난연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CN101508770B (zh) 一种磷系无卤阻燃共聚聚酯的制备方法
KR101216690B1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15458B1 (ko)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1001A (ko) 난연 성능이 우수한 재생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KR101425999B1 (ko) 난연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KR20120070858A (ko) 자외선 차단 및 난연 성능이 우수한 재생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0909B1 (ko)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20100127077A (ko)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008163505A (ja) オキシメチレン複合繊維
JP7345553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繊維および繊維構造体ならびに樹脂複合体
EP3785894A1 (en) Sound-absorbing air duct for vehicle containing polyester fiber with low melting point
KR101766903B1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4938B1 (ko)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KR102183240B1 (ko) 고강도 난연 복합사
KR101180243B1 (ko) 난연성과 방사성이 우수한 장섬유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6669A (ko) 진동감쇠 성능이 우수한 압축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JP531214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繊維集合物
KR102426436B1 (ko) 압축성형체용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0539B1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난연성 자동차용 내장재
KR102541731B1 (ko) 생분해성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112438A (ko) 고비중 및 고난연성 코어-시스형 복합섬유
KR20180062606A (ko)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독섬유 및 이를 이용한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KR102167672B1 (ko)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재생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