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603B1 -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 - Google Patents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603B1
KR101458603B1 KR1020120132183A KR20120132183A KR101458603B1 KR 101458603 B1 KR101458603 B1 KR 101458603B1 KR 1020120132183 A KR1020120132183 A KR 1020120132183A KR 20120132183 A KR20120132183 A KR 20120132183A KR 101458603 B1 KR101458603 B1 KR 101458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connection pipe
spac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099A (ko
Inventor
이도경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딘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2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60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일정한 공간(110)이 형성되고 앵글밸브(300)가 고정되는 고정구(16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160) 양측을 포함하여 다수의 입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00)와, 상기 공간(110)에 설치되어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는 관과 배출하는 관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관(140)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140)은 여유 길이를 갖고 끝단이 상기 입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출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연결관을 당겨 몸체 외부로 드러나게 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하며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관과 연결할 수 있음에 따라 배관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연결관이 연결된 지점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연결관의 끝단을 당겨 연결지점이 잘 드러나게 한 상태에서 보수하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할 경우 연결관의 끝단을 잘라낸 다음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Water supply unit}
본 발명은 수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에의 고정과 배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양구형 수전구에 관한 것이다.
수전구(水傳具:Water supply unit)란 옥내의 벽체 등에 설치되어 원 급수처로부터 배관을 통해 급수를 전달받으며 수도꼭지 또는 배수관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급수를 배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전구는 특허공개 제10-2009-0112224호 "폐루프순환을이루는용수공급시스템"(2009. 10. 28.)에 개시되어 있는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나 온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관이 몸체 일단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에는 수도꼭지가 설치되어 있는 형태로서 수도꼭지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벽체 매립되게 설치되고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전구는 온수나 냉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관이 딱 맞거나 약간 긴 길이로 마련되어 몸체에 결합되는 방식이었다. 이는 수전구 자체가 규격화되어 형성됨에 따름에 기인한바, 따라서, 온수나 냉수를 공급하는 관이 정확한 길이로 준비되지 않거나 수전구의 위치에 오차가 생기는 경우 관을 연결하기가 상당히 어려워 시공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 후에도 유지 보수를 하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관들을 쉽게 연결할 수 있게 하여 시공이 편리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가 간편한 양구형 수전구를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 내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관을 설치하여 수전구를 형성함으로써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관을 연결하거나 유지 보수를 할 때 길이를 조절하면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관을 당겨 몸체 외부로 드러나게 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하며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관과 연결할 수 있음에 따라 배관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연결관이 연결된 지점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연결관의 끝단을 당겨 연결지점이 잘 드러나게 한 상태에서 보수하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할 경우 연결관의 끝단을 잘라낸 다음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수전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와 앵글밸브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와 앵글밸브의 결합관계를 평면에서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 몸체에 연결관이 설치된 상태를 측단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5,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로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관을 연결하는 상태를 측단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걸림핀이 제거되어 연결관이 끝단이 몸체 내부로 수용되는 상태를 측단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로 급수를 배수할 수 있게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관을 쉽게 연결할 수 있게 하여 시공이 편리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가 간편한 양구형 수전구를 얻기 위해,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앵글밸브가 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양측을 포함하여 다수의 입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는 관과 배출하는 관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은 여유 길이를 갖고 끝단이 상기 입출구를 통해 외부로 출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구형 수전구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110)이 형성되는 몸체(100)로 된다. 상기 몸체(100)는 전방(도면상 좌측, 이하 동일)에 고정구(16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160)에는 벽체 외측에 설치되어 온수와 냉수를 세면기 등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앵글밸브(300)가 연결되는데, 앵글밸브(300)에는 고정관(3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관(310)이 고정구(16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160) 양측과 몸체(100) 아래쪽에 다수 개의 입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출구(120)의 위치는 상기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관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바, 특히 몸체(100) 아래쪽에 형성되는 입출구(120)는 몸체 후방 쪽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양구형 수전구는 상기 공간(110)에 설치되는 연결관(140)을 포함한다. 연결관(140)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고 배수하는 관들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한다. 이로써 충분한 여유길이를 갖은 채 공간(110)에 수용되는바, 필요할 경우 연결관(140)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을 입출구(120)를 통해 출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결관(140)의 길이는 필요한 최소한의 길이보다 1.5~3배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공간(110)은 상기와 같이 여유길이를 갖는 연결관(140)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며, 그 형상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라면 구형이든 육면체 형상이든 어느 것이라도 채택이 가능하다.
연결관(140)은 탄성적으로 굴곡이 가능한 재질로 된 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연결관(140)이 탄성적으로 굴곡되어 상기 공간(110)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끝단을 당겨 입출구(120)를 통해 돌출시켜 공급관(210) 또는 배출관(220)과 연결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관(140)이 똬리 형태로 감긴 상태로 설치되게 하였다. 탄성을 가진 재질로 된 관을 똬리 형태로 감아서 설치하여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관(140)을 설치함으로써 연결관(140)을 충분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연결관(140)의 일측 끝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타측 끝단을 당겨 입출구(120)를 통해 공간(110) 외부로 돌출되게 한 다음 당기던 힘을 제거하여 놓아주면 연결관(140)의 끝단이 다시 원래의 위치인 공간(110) 내부로 회귀케 하는 것도가능해 진다.
상기 입출구(120)에는 걸림핀(130)이 설치될 수 있다. 걸림핀(130)은 입출구(120)의 지름을 줄여 연결관(140)의 끝단이 공간(110)으로 딸려 들어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핀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관(140)을 감싸면서 입출구(120)를 횡으로 관통하게 설치됨으로써 연결관(140)의 끝단이 걸릴 수 있게 형성된다. 연결관(140)은 끝단에는 공급관(210)이나 배출관(220)과의 연결을 위해 조인트가 설치되어야 함은 필수인바, 연결관(140)을 당겼다가 놓아주더라도 걸림핀(130)에 상기 조인트가 걸리면서 연결관(140)의 끝단이 공간(110) 내부로 딸려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는 반면, 걸림핀(130)을 제거하면 연결관(140) 끝단이 공간(110) 내부로 딸려 들어가 완전히 수용되게 된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로 급수와 배수가 가능하게 관을 연결하는 방법을 도 5 내지 8을 참고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00) 내부 공간(110)에 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연결관(140)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관(140)은 관의 연결을 위해 최소한으로 필요한 길이보다 길어 충분한 여유길이를 갖고 똬리 형태로 감겨 설치되며 끝단에는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들과의 연결을 위한 공지의 조인트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수전구 몸체(100)에 연결관(140)을 설치할 때에는 연결관(140)의 끝단을 당겨 입출구(120)를 통해 몸체(100) 외부로 드러나게 돌출시켜 주고, 그 상태에서 걸림핀(130)을 체결하여 연결관(140)의 끝단이 공간(110)으로 딸려 들어가지 않게 한 상태로 설치한다.
상기 수전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대부분이 벽체에 매설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몸체(100)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120)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120)를 통해 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관(140)이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관과 연결되어 급배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수전구가 설치되는 벽체에는 수전구 몸체(1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설치공간을 미리 형성하여 줄 수 있음은 당연하며,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고 배출하기 위한 관들 또한 미리 설계된 대로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수전구의 설치가 완료되면 입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드러나 있는 연결관(140)의 끝단을 당겨 벽체 외부에 설치되는 앵글밸브(300)에 연결하거나 또는 벽체 내부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급수 또는 배수를 위한 관과 연결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외부로 드러나 있는 연결관(140)의 끝단을 손으로 잡고 당겨서 연결을 하는 것이다.
상기에 따라 연결관(140)의 길이를 조절하며 온수나 냉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관들을 편리하게 연결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전구의 설치 위치에 오차가 있거나 두 수전구 사이에서 연결하여야 할 관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연결관(140)의 길이를 늘여서 연결을 하여 줄 수 있게 되는바, 상당히 편리하게 관들을 연결하여 줄 있다.
연결관(140)의 연결이 완료되면 당겨주고 있던 연결관(140)을 놓아 주면 똬리 형태로 감겨있는 연결관(140)이 풀리면서 연결관(140)의 끝단이 공간(110)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연결관(140)의 끝단은 입출구(120)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핀(130)에 걸리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입출구(120)에 설치되어 있던 걸림핀(130)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40)의 끝단 연결 부분이 몸체(100)의 공간(110) 내부로 딸려 들어가 수용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를 이용해 급수와 배수를 위한 관의 연결이 완료된 뒤 사용 중 연결관(140)과 연결된 지점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연결관(140)이 연결된 지점을 당겨 몸체(100) 외부로 드러나게 한 상태에서 보수를 하게된다. 필요할 경우 연결관(140)의 끝단을 잘라내고 조인트를 다시 설치하여 연결하여 줄 수 있게 되는바, 관을 연결하는 작업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또한 용이하게 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몸체, 110 : 공간,
120 : 입출구, 130 : 걸림핀,
140 : 연결관, 160 : 고정구,
300 : 앵글밸브, 310 : 고정관.

Claims (3)

  1. 내부에 일정한 공간(110)이 형성되고 앵글밸브(300)가 고정되는 고정구(16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160) 양측을 포함하여 다수의 입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00)와, 상기 공간(110)에 설치되어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는 관과 배출하는 관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관(140)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140)은 여유 길이를 갖고 탄성을 가진 관이 똬리 형태로 감기게 되어 끝단을 당기면 입출구(120) 외부로 돌출되었다가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원위치로 복귀되 게 되고,
    상기 입출구(120)에는 'ㄷ'자 형태의 걸림핀(130)이 입출구(120)를 횡으로 관통하게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연결관(140)의 끝단이 상기 걸림핀(130)에 걸려 공간(110)으로 딸려 들어가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
  2. 삭제
  3. 삭제
KR1020120132183A 2012-11-21 2012-11-21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 KR101458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183A KR101458603B1 (ko) 2012-11-21 2012-11-21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183A KR101458603B1 (ko) 2012-11-21 2012-11-21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099A KR20140065099A (ko) 2014-05-29
KR101458603B1 true KR101458603B1 (ko) 2014-11-07

Family

ID=5089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183A KR101458603B1 (ko) 2012-11-21 2012-11-21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6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7151A (ja) * 1995-12-27 1997-07-08 Toto Ltd ホースの収納構造
JP2000213020A (ja) 1999-01-22 2000-08-02 Toto Ltd 水栓装置
KR100515761B1 (ko) * 2005-02-23 2005-09-16 주식회사 피아이피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KR20080043182A (ko) * 2006-11-13 2008-05-16 이용춘 벽체 매립 분배기 일체형 수전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7151A (ja) * 1995-12-27 1997-07-08 Toto Ltd ホースの収納構造
JP2000213020A (ja) 1999-01-22 2000-08-02 Toto Ltd 水栓装置
KR100515761B1 (ko) * 2005-02-23 2005-09-16 주식회사 피아이피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KR20080043182A (ko) * 2006-11-13 2008-05-16 이용춘 벽체 매립 분배기 일체형 수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099A (ko)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20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ucet installations
CN101824839B (zh) 用于卫生设备的连接单元
CA2793061C (en) Method for circulating water through the inside of a pipeline
KR100860555B1 (ko) 냉온수 다분기 연결수단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 배관시스템
KR101458603B1 (ko)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
KR101204760B1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천정매립형 분배기
KR101458602B1 (ko) 배관이 용이한 수전구
US55988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ining plumbing lines
WO2016017881A1 (ko) 설치와 분리가 용이한 수전의 결합구조
KR101435370B1 (ko)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KR101081429B1 (ko) 냉온수배관의 연결구조
KR100775917B1 (ko) 수전박스의 배관연결장치
KR200387795Y1 (ko) 수도꼭지 연결관
KR101300522B1 (ko) 매립 배관 연결 유니트
GB2476732A (en) Emergency condensate release valve
CN207961798U (zh) 一种便捷式管道接头
KR101116305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개선된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및 냉온수배관용 연장
KR200459303Y1 (ko) 수압측정용 배관마개
KR200435704Y1 (ko)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KR101583555B1 (ko) 소화전 앵글밸브 슬리브
KR100904508B1 (ko) 수전용 밸브소켓과 그 밸브소켓을 이용한 수전결합 시스템
JPH11140928A (ja) 埋込型水栓の取付構造
KR20090027873A (ko) 수전함의 배관 연결구조
KR20090000780U (ko) 신축조절기능을 가진 배관용 커플러
JP2003064738A (ja) 水栓の配管カバー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