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556B1 -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556B1
KR101457556B1 KR1020120043819A KR20120043819A KR101457556B1 KR 101457556 B1 KR101457556 B1 KR 101457556B1 KR 1020120043819 A KR1020120043819 A KR 1020120043819A KR 20120043819 A KR20120043819 A KR 20120043819A KR 101457556 B1 KR101457556 B1 KR 101457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emperature
evaporator
out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713A (ko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코리아콜드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콜드시스템(주) filed Critical 코리아콜드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2004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55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1Charging refrigerant to a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3Control issues for charging or collecting refrigerant to or from a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7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weighing of refrigerant or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4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inlet of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5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작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냉매주입공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전자저울과; 냉매공급관과, 냉매 배출구 전자변과, 냉매 배출단 전자변과, 제1온도측정수단과, 제2온도측정수단과, 제3온도측정수단과, 입력장치와,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로 구성된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 내지 제3온도측정수단을 통해 냉매주입대상 냉장고의 응축기액관, 증발기 입구 및 출구측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단계와; 상기 온도측정단계를 통해 확인된 온도값에 의거 응축기액관, 증발기 입구 및 출구측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단계와; 상기 온도설정단계에서 설정한 온도를 기준으로하여 응축기액관의 온도를 제어하는 응축기액관 온도제어단계와; 증발기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온도를 비교하여 그 비교값에 따라 맹매부족상태 또는 냉매과충전상태를 판단하는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와; 상기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에서 냉매부족으로 판단되었을 때 냉매주입공정을 실시하는 냉매주입단계와; 상기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에서 냉매과충전으로 판단되었을 때 냉매배출공정을 실시하는 냉매배출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A control method refrigerants injection device for cool air apparatus}
본 발명은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기장치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냉장 및 냉동온도를 충족할 수 있는 냉장 및 냉동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냉기장치의 냉매사이클 내에 최적량의 냉매를 주입할 수 있는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냉매주입장치는 냉기장치의 용량에 따라 정해진 냉매량만큼을 냉매 사이클 내에 냉매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냉매저장탱크의 중량을 달아 주입되는 냉매량을 체크하면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냉매 배출구의 개폐밸브를 조절하면서 냉매를 주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매주입방식은 단지 각각의 용량에 따라 정해진 냉매주입량을 일괄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전자저울로 냉매의 주입량을 체크하며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냉매를 주입하기 때문에 정해진 냉매량을 정확하게 주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냉기장치 각각의 특성 및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는 냉장 및 냉동성능을 갖도록 냉매주입을 최적으로 할 수 없어 냉장 및 냉동성능이 저하되거나 또는 필요 이상으로 과냉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로써 2011년 11월 28일자에 특허출원 제10-2011-125067호(명칭: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이하, '선출원'이라 칭함)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하였으며, 그 구성은 도 1a 및 도 1b에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냉매저장용기(30)가 탑재되어 냉매저장용기(30)내의 냉매중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전자저울(11)과; 상기 냉매저장용기(30)의 냉매 배출구(30a) 및 냉기장치의 콤프레셔(31)와 착탈가능하게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냉매저장용기(3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상기 콤프레셔(31)로 공급하는 동시에 과충전된 냉매를 외부로 매출하는 냉매 배출단(12a)을 갖는 냉매공급관(12)과; 상기 냉매저장용기(30)의 냉매 배출구(30a)상에 장착되어 상기 냉매 배출구(30a)를 개폐하는 냉매 배출구 전자변(13)과; 상기 냉매공급관(12)의 냉매 배출단(12a)상에 장착되어 상기 냉매 배출단(12a)을 개폐하는 배출단 전자변(14)과; 드라이어(34)의 입구측 관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드라이어(34)의 입구측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1온도측정수단(15)과; 증발기(36)의 입구측 관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증발기(36)의 입구측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2온도측정수단(16)과; 상기 증발기(36)의 출구측 관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증발기(36)의 출구측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3온도측정수단(17)과; 사용자가 설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18)와; 상기 전자저울(11), 냉매 배출구 전자변(13), 냉매 배출단 전자변(14), 제1 내지 제3온도측정수단(15)(16)(17), 입력장치(18) 및 응축기 팬 모터(33)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저울(11), 제1 내지 제3온도측정수단(15)(16)(17) 및 입력장치(18)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신호 및 설정치에 따라 상기 냉매 배출구 전자변(13), 냉매 배출단 전자변(14) 및 응축기 팬 모터(33)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19)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선출원인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작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냉매주입공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중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전자저울과; 상기 냉매저장용기의 냉매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콤프레셔로 공급하는 동시에 과충전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 배출단을 갖는 냉매공급관과; 상기 냉매 배출구를 개폐하는 냉매 배출구 전자변과; 상기 냉매 배출단을 개폐하는 냉매 배출단 전자변과; 드라이어의 입구측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1온도측정수단과; 증발기의 입구측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2온도측정수단과;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3온도측정수단과; 사용자가 설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전자저울, 냉매 배출구 전자변, 배출단 전자변, 제1 내지 제3온도측정수단, 입력장치 및 응축기 팬 모터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저울, 제1 내지 제3온도측정수단 및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신호 및 설정치에 따라 상기 냉매 배출구 전자변, 냉매 배출단 전자변 및 응축기 팬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로 구성된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 내지 제3온도측정수단을 통해 냉매주입대상 냉장고의 응축기액관, 증발기 입구 및 출구측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단계와; 상기 온도측정단계를 통해 확인된 온도값에 의거 응축기액관, 증발기 입구 및 출구측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단계와; 상기 온도설정단계에서 설정한 온도를 기준으로하여 응축기액관의 온도를 제어하는 응축기액관 온도제어단계와; 증발기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온도를 비교하여 그 비교값에 따라 냉매부족상태 또는 냉매과충전상태를 판단하는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와; 상기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에서 냉매부족으로 판단되었을 때 냉매주입공정을 실시하는 냉매주입단계와; 상기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에서 냉매과충전으로 판단되었을 때 냉매배출공정을 실시하는 냉매배출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은 각각의 냉기장치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맞춤형 냉매주입을 할 수 있어 냉기장치의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냉매주입공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 및 도 1b는 선 출원된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구성 및 구성요소 간의 상호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구성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중 응축기액관온도제어단계의 구성를 예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중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의 구성를 예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중 냉매주입단계의 구성를 예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중 냉매배출단계의 구성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은 온도측정단계(S100)와, 온도설정단계(S200)와, 응축기액관 온도제어단계(S300)와,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S400)와, 냉매주입단계(S500)와, 냉매배출단계(S600)로 구성된다.
상기 온도측정단계(S100)는 상기 제1 내지 제3온도측정수단(15)(16)(17)을 통해 냉매주입대상 냉장고의 응축기액관(응축기(32)와 드라이어(34) 사이의 기액관), 증발기(36)의 입구 및 출구 측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고, 그 온도측정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19)로 송신된다.
상기 온도설정단계(S200)는 상기 온도측정단계(S100)를 통해 확인된 온도값에 의거 응축기액관, 증발기(36)의 입구 및 출구 측 온도를 설정하는데 이때 작업자는 상기 입력장치(18)를 통해 중앙처리부(19)에 설정치를 입력함으로써 온도를 설정한다.
상기 응축기액관 온도제어단계(S300)는 상기 온도설정단계에서 설정한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응축기액관의 온도를 제어하며, 그 구성은 응축기액관 온도측정단계(S310)와, 응축기액관측정온도판단단계(S320)와, 응축기팬 가동단계(S330)와, 응축기팬 가동중지단계(S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응축기액관 온도측정단계(S310)는 드라이어(34)의 입구측에 장착된 제1온도측정수단(15)에 의해 응축기액관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응축기액관측정온도판단단계(S320)는 상기 응축기액관 온도측정단계(S310)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된 응축기액관의 설정온도치 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판단한다.
상기 응축기팬 가동단계(S330)는 상기 응축기액관측정온도 판단단계(S320)에서 만약 응축기액관의 측정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높을 때 응축기팬모터(33)을 ON시켜 응축기(32)의 온도를 낮춘다.
상기 응축기팬 가동중지단계(S340)는 상기 응축기액관측정온도 판단단계(S320)에서 만약 응축기액관의 측정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을 때 상기 응축기팬모터(33)를 OFF시켜 응축기팬의 가동을 중지한다.
상기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S400)는 증발기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온도를 비교하여 그 비교값에 따라 냉매부족상태 또는 냉매과충전상태를 판단하데 그 구성은 냉매충전상태판단단계(S410)와, 냉매의 적정충전상태 판단단계(S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매충전상태판단단계(S410)는 증발기(36)의 출구 측 온도가 입구 측 온도보다 낮은지 또는 높은지를 비교하여, 만약 증발기(36)의 출구 측 온도가 입구 측 온도보다 낮다면, 냉매가 과충전된 상태로 판단하여 냉매배출단계(S600)을 실시한다.
상기 냉매의 적정충전상태 판단단계(S420)는 상기 냉매충전상태판단단계 (S410)에서 만약 증발기(36)의 출구 측 온도가 입구 측 온도보다 높으면, 그 온도차가 '4℃' 보다 작을 때 냉매의 적정충전상태로 판단하여 리턴하고, 만약 온도차가 '4℃' 보다 클 때 냉매부족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냉마주입단계(S500)를 실시한다.
상기 냉매주입단계(S500)는 상기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에서 냉매부족으로 판단되었을 때 냉매주입공정을 실시하데 그 구성은 제 1 온도차 확인단계(S510)와, 제 2 온도차 확인단계(S560)와, 제 3 온도차 확인단계(S570)와, 냉매배출단차단단계(S520)와, 냉매주입단계(S530)와, 냉매주입중지단계(S540)와, 대기시간확인단계(S5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온도차 확인단계(S510)는 증발기의 입구 측과 출구 측 온도차가 '30℃' 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온도차 확인단계(S560)는 상기 증발기의 입출구 온도차 확인단계(S510)에서 만약 온도차가 '30℃' 보다 작았을 때, 증발기의 입출구 온도차가 '29℃ ~ 10℃'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 3 온도차 확인단계(S570)는 상기 제 2 온도차확인단계(S5560)에서 만약 온도차가 '29℃ ~ 10℃' 범위 내에 있지 않을 때, 온도차가 '9℃ ~ 5℃'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해당 범위내에 속하지 않다면 냉매가 적정충전상태인 것을 판단하여 냉매주입단계(S500)를 종료한다.
상기 냉매배출단차단단계(S520)는 상기 제1 온도차 확인단계(S510)에서 온도차가 '30℃' 보다 크거나 또는 제 2 및 제3 온도차 확인단계(S560)(S570)에서 온도차가 각 범위 내에 속하였을 때, 냉매공급관(12)의 냉매 배출단(12a)상에 장착된 배출단 전자변(14)을 가동시켜 냉매 배출단(12a)을 차단한다.
상기 냉매주입단계(S530)는 상기 냉매배출단차단단계(S520)가 완료된 후 냉매공급관(12)과상에 장착된 냉매 배출구 전자변(13)를 가동시켜 냉매공급관(12)의 냉매주입통로를 개방하여 냉매저장용기(30)내에 저장된 냉매를 해당량만큼 주입한다.
상기 냉매주입중지단계(S540)는 상기 냉매주입단계(S530)에서 해당량의 냉매가 주입되었을 때 냉매 배출구 전자변(13)을 가동시켜 냉매공급관(12)의 냉매주입통로를 차단하여 냉매주입을 중지한다.
상기 대기시간확인단계(S550)는 상기 냉매주입중지단계(S540)가 완료되었을 때로부터 예정된 시간이 소요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예정된 시간이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1 온도차 확인단계(S510)로 리턴한다.
상기 냉매배출단계(S600)는 상기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에서 냉매과충전으로 판단되었을 때 냉매배출공정을 실시하는데 그 구성은 냉매주입통로차단단계(S610)와, 냉매배출단계(S620)와, 냉매배출시간확인단계(S630)와, 냉매배출중지단계(S640)와, 증발기의 입출구 온도차 확인단계(S650)와, 증발기 입출구 온도차 확인단계(S6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매주입통로차단단계(S610)는 냉매 배출구 전자변(13)을 가동시켜 냉매공급관(12)의 냉매주입통로를 차단한다.
상기 냉매배출단계(S620)는 냉매공급관(12)의 냉매 배출단(12a)상에 장착된 배출단 전자변(14)을 가동시켜 냉매 배출단(12a)을 개방하는 충전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냉매배출시간확인단계(S630)는 상기 냉매배출단계(S620)가 실시된 때로부터 예정된 시간에 도달되었는 지를 확인한다.
상기 냉매배출중지단계(S640)는 상기 냉매배출시간확인단계(S630)에서 냉매매출시간에 도달하였을 때, 냉매 배출구 전자변(13)을 가동시켜 냉매공급관(12)의 냉매주입통로를 차단하여 냉매배출을 중지한다.
상기 증발기의 입출구 온도차 확인단계(S650)는 상기 냉매배출중지단계(S640)가 완료된 후 증발기의 입출구측 온도를 측정하여 출구 측 온도가 입구 측 보다 높은지를 확인하고, 만약 출구 측 온도가 입구 측 온보다 낮았을 때 상기 냉매배출단계(S620)로 리턴한다.
상기 증발기 입출구 온도차 확인단계(S660)는 상기 증발기의 입출구 온도차 확인단계(S650)에서 만약 증발기의 출구 측 온도가 입구 측 온도보다 높았을 때 그 온도차가 '4℃'보다 작은지를 확인하고, 만약 '4℃ 보다 크 다면 상기 냉매주입단계(S500)를 실시하고, 만약 '4℃ 보다 작 다면 냉매배출단계(S600)를 종료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은 냉매주입장치의 작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냉기장치에 대한 냉매충전상태를 자동으로 진단하여 냉매충전상태의 적정상태, 냉매부족 및 냉매과충전 상태를 판단한 후 냉매부족이나 냉매과충전상태 일 때에만 냉매주입 또는 냉매배출공정을 실시하여 적정한 냉매충전상태를 유지시켜 냉기장치의 냉각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냉매주입장치 11: 전자저울
12: 냉매공급관 13: 냉매 배출구 전자변
14: 냉매 배출단 전자변 15: 제1온도측정수단
16: 제2온도측정수단 17: 제3온도측정수단
18: 입력장치 19: 중앙처리부
30: 냉매저장용기 31: 콤프레셔
32: 응축기 33: 응축기 팬 모터
34: 드라이어 35: 모세관
36: 증발기 S100: 온도측정단계
S200: 온도설정단계 S300: 응축기액관 온도제어단계
S400: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 S500: 냉매주입단계
S600: 냉매배출단계

Claims (5)

  1. 냉매저장용기(30)내의 냉매중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전자저울(11)과, 상기 냉매저장용기(30)의 냉매 배출구(30a)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콤프레셔(31)로 공급하는 동시에 과충전된 냉매를 외부로 매출하는 냉매 배출단(12a)을 갖는 냉매공급관(12)과, 상기 냉매 배출구(30a)를 개폐하는 냉매 배출구 전자변(13)과, 상기 냉매 배출단(12a)을 개폐하는 배출단 전자변(14)과, 드라이어(34)의 입구측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1온도측정수단(15)과, 증발기(36)의 입구측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2온도측정수단(16)과, 상기 증발기(36)의 출구측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3온도측정수단(17)과, 사용자가 설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18)와, 상기 전자저울(11), 냉매 배출구 전자변(13), 냉매 배출단 전자변(14), 제1 내지 제3온도측정수단(15)(16)(17), 입력장치(18) 및 응축기 팬 모터(33)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저울(11), 제1 내지 제3온도측정수단(15)(16)(17) 및 입력장치(18)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신호 및 설정치에 따라 상기 냉매 배출구 전자변(13), 냉매 배출단 전자변(14) 및 응축기 팬 모터(33)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19)로 구성된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 내지 제3온도측정수단(15)(16)(17)을 통해 냉매주입대상 냉장고의 응축기액관, 증발기 입구 및 출구측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단계(S100)와;
    상기 온도측정단계(S100)를 통해 확인된 온도값에 의거 응축기액관, 증발기 입구 및 출구측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단계(S200)와;
    상기 온도설정단계에서 설정한 온도를 기준으로하여 응축기액관의 온도를 제어하는 응축기액관 온도제어단계(S300)와;
    증발기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온도를 비교하여 그 비교값에 따라 냉매부족상태 또는 냉매과충전상태를 판단하는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S400)와;
    상기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에서 냉매부족으로 판단되었을 때 냉매주입공정을 실시하는 냉매주입단계(S500)와;
    상기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에서 냉매과충전으로 판단되었을 때 냉매배출공정을 실시하는 냉매배출단계(S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단계(S300)는,
    드라이어(34)의 입구측에 장착된 제1온도측정수단(15)에 의해 응축기액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응축기액관 온도측정단계(S310)와;
    상기 응축기액관 온도측정단계(S310)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된 응축기액관의 설정온도치 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판단하는 응축기액관측정온도판단단계(S320)와;
    상기 응축기액관측정온도 판단단계(S320)에서 만약 응축기액관의 측정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높을 때 응축기팬모터(33)을 ON시켜 응축기(32)의 온도를 낮추는 응축기팬 가동단계(S330)와;
    상기 응축기액관측정온도 판단단계(S320)에서 만약 응축기액관의 측정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을 때 상기 응축기팬모터(33)를 OFF시켜 응축기팬의 가동을 중지하는 응축기팬 가동중지단계(S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냉매부족 또는 냉매과충전 판단단계(S400)는,
    증발기(36)의 출구 측 온도가 입구 측 온도보다 낮은지 또는 높은지를 비교하여, 만약 증발기(36)의 출구 측 온도가 입구 측 온도보다 낮다면, 냉매가 과충전된 상태로 판단하여 냉매배출단계(S600)을 실시하는 냉매충전상태판단단계(S410)와;
    상기 냉매충전상태판단단계(S410)에서 만약 증발기(36)의 출구 측 온도가 입구 측 온도보다 높으면, 그 온도차가 '4℃' 보다 작을 때 냉매의 적정충전상태로 판단하여 리턴하고, 만약 온도차가 '4℃' 보다 클 때 냉매부족상태로 판단하여 냉마주입단계(S500)를 실시하는 냉매의 적정충전상태 판단단계(S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주입단계(S500)는,
    증발기의 입구 측과 출구 측 온도차가 '30℃' 보다 큰 지를 판단하는 제 1 온도차 확인단계(S510)와;
    상기 증발기의 입출구 온도차 확인단계(S510)에서 만약 온도차가 '30℃' 보다 작았을 때, 증발기의 입출구 온도차가 '29℃ ~ 10℃'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2 온도차 확인단계(S560)와;
    상기 제 2 온도차확인단계(S5560)에서 만약 온도차가 '29℃ ~ 10℃' 범위 내에 있지 않을 때, 온도차가 '9℃ ~ 5℃'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해당 범위내에 속하지 않다면 냉매가 적정충전상태인 것을 판단하여 냉매주입단계(S500)를종료하는 제 3 온도차 확인단계(S570)와;
    상기 제1 온도차 확인단계(S510)에서 온도차가 '30℃' 보다 크거나 또는 제 2 및 제3 온도차 확인단계(S560)(S570)에서 온도차가 각 범위 내에 속하였을 때, 냉매공급관(12)의 냉매 배출단(12a)상에 장착된 배출단 전자변(14)을 가동시켜 냉매 배출단(12a)을 차단하는 냉매배출단차단단계(S520)와;
    상기 냉매배출단차단단계(S520)가 완료된 후 냉매공급관(12)과상에 장착된 냉매 배출구 전자변(13)를 가동시켜 냉매공급관(12)의 냉매주입통로를 개방하여 냉매저장용기(30)내에 저장된 냉매를 해당량만큼 주입하는 냉매주입단계(S530)와;
    상기 냉매주입단계(S530)에서 해당량의 냉매가 주입되었을 때 냉매 배출구 전자변(13)을 가동시켜 냉매공급관(12)의 냉매주입통로를 차단하여 냉매주입을 중지하는 냉매주입중지단계(S540)와;
    상기 냉매주입중지단계(S540)가 완료되었을 때로부터 예정된 시간이 소요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예정된 시간이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1 온도차 확인단계(S510)로 리턴하는 대기시간확인단계(S5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배출단계(S600)는,
    냉매 배출구 전자변(13)을 가동시켜 냉매공급관(12)의 냉매주입통로를 차단하는 냉매주입통로차단단계(S610)와;
    냉매공급관(12)의 냉매 배출단(12a)상에 장착된 배출단 전자변(14)을 가동시켜 냉매 배출단(12a)을 개방하는 충전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단계(S620)와;
    상기 냉매배출단계(S620)가 실시된 때로부터 예정된 시간에 도달되었는 지를 확인하는 냉매배출시간확인단계(S630)와;
    상기 냉매배출시간확인단계(S630)에서 냉매매출시간에 도달하였을 때, 냉매 배출구 전자변(13)을 가동시켜 냉매공급관(12)의 냉매주입통로를 차단하여 냉매배출을 중지하는 냉매배출중지단계(S640)와;
    상기 냉매배출중지단계(S640)가 완료된 후 증발기의 입출구측 온도를 측정하여 출구 측 온도가 입구 측 보다 높은지를 확인하고, 만약 출구 측 온도가 입구 측 온보다 낮았을 때 상기 냉매배출단계(S620)로 리턴하는 증발기의 입출구 온도차 확인단계(S650)와;
    상기 증발기의 입출구 온도차 확인단계(S650)에서 만약 증발기의 출구 측 온도가 입구 측 온도보다 높았을 때 그 온도차가 '4℃'보다 작은지를 확인하고, 만약 '4℃ 보다 크 다면 상기 냉매주입단계(S500)를 실시하고, 만약 '4℃ 보다 작 다면 냉매배출단계(S600)를 종료하는 증발기 입출구 온도차 확인단계(S6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043819A 2012-04-26 2012-04-26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KR10145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19A KR101457556B1 (ko) 2012-04-26 2012-04-26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19A KR101457556B1 (ko) 2012-04-26 2012-04-26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13A KR20130120713A (ko) 2013-11-05
KR101457556B1 true KR101457556B1 (ko) 2014-11-03

Family

ID=4985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819A KR101457556B1 (ko) 2012-04-26 2012-04-26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534A (ko)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다온마이스터 휴대용 냉매주입량 측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2234A (ja) * 1995-11-30 1997-06-10 Asahi Glass Eng Kk フッ素系冷媒充填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241172A (ja) 2004-02-27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凍サイクルに対する冷媒充填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60121054A (ko)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장치의 자동 냉매 충진장치
JP2011085390A (ja) 2005-10-25 2011-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2234A (ja) * 1995-11-30 1997-06-10 Asahi Glass Eng Kk フッ素系冷媒充填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241172A (ja) 2004-02-27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凍サイクルに対する冷媒充填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60121054A (ko)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장치의 자동 냉매 충진장치
JP2011085390A (ja) 2005-10-25 2011-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534A (ko)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다온마이스터 휴대용 냉매주입량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13A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52103B (zh) 一种用于调节动力电池温度的装置、方法及汽车
CN110529966A (zh) 一种变冷媒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207004B1 (ko) 공기 조화 장치
CN110068102A (zh) 冷媒量控制方法
CN105823291B (zh) 冰箱及其工作方法
EP1589305A1 (en) Ice-Making Apparatus
CN103842736B (zh) 制冷装置
US20160201980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3575003B (zh) 用于空调器的冷媒灌注组件及冷媒灌注方法
KR2018005228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EP3324137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529965A (zh) 一种低温制热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80052285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07906671A (zh) 冷媒量判断方法及系统
KR101457556B1 (ko)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의 제어방법
CN103671050B (zh) 压缩机喷液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系统
EP1643193A2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511693B1 (ko) 열충격 냉온 시스템
CN109906348B (zh) 冰箱及其控制方法
KR101545206B1 (ko) 에너지 절약형 항온항습기의 냉동기 제어장치
CN109599619A (zh) 车载电池的温度调节方法和温度调节系统
CN105066269B (zh) 窗机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40099747A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02537B1 (ko) 냉기장치용 냉매주입장치
CN109764632A (zh) 冰箱及其制冷控制方法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